KR20160073855A -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855A
KR20160073855A KR1020140182694A KR20140182694A KR20160073855A KR 20160073855 A KR20160073855 A KR 20160073855A KR 1020140182694 A KR1020140182694 A KR 1020140182694A KR 20140182694 A KR20140182694 A KR 20140182694A KR 20160073855 A KR20160073855 A KR 20160073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hanger bracket
welding
muffle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익
이문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4018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855A/ko
Publication of KR20160073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4Projectio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은 차체의 바닥패널에 구성된 행거 브라켓과, 상기 행거 브라켓에 구성되어 배기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에 끼워지는 행거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일단부가 상기 행거 브라켓의 단면상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HANGER BRACKET UNIT FOR MUFFLER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젝션 용접을 통하여 행거 브라켓과 행거 로드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플러는 자동차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소정용적을 갖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측으로 배관되는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소음기이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안내하며 소음을 감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는 차량의 언더 패널의 하측에 장착되는데, 진동의 전달을 줄이기 위해서 차량의 고정측과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행거를 매개로 장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10)은 차체의 바닥패널(미도시)에 구성된 행거 브라켓(1)과, 상기 행거 브라켓에 접합되어 머플러(미도시)에 연결된 행거(미도시)를 끼워서 걸기 위한 행거 로드(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행거 로드(3)는 원형단면의 봉재로 형성되어 일정한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행거 브라켓(1) 상에는 상기 행거 로드(3)의 일단부가 안착된 상태로 용접하도록 안착홈(5)이 형성된다.
즉, 상기 행거 브라켓(1)의 안착홈(5)에 상기 행서 로드(3)의 일단부를 안착시킨 상태로, 상기 행거 로드(3)와 상기 안착홈(5) 주위를 CO2 용접(W)에 의해 접합하여 행거 브라켓 유닛(10)을 구성한다.
이와 같은 행거 브라켓 유닛(10)은 머플러(미도시)를 포함한 차량의 배기계를 차체에 매다는 과정에서 행거(미도시)가 개재되어 배기계와 차체간의 진동전달이 어느 정도는 차단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는 단순한 직각형태의 행거 로드(3)를 행거 브라켓(1)에 CO2 용접을 통하여 접합함에 따라 용접과정에 스패터가 행거 브라켓(1)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외관품질을 저하시키며, 생산성 역시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프로젝션 용접을 통하여 행거 브라켓과 행거 로드를 접합함으로써, 행거 브라켓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고,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접합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접 스패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의 바닥패널에 구성된 행거 브라켓과, 상기 행거 브라켓에 구성되어 배기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에 끼워지는 행거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일단부가 상기 행거 브라켓의 단면상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 로드는 일단부를 단조 성형하여 상기 행거 브라켓에 접합되는 접합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 로드는 상기 행거 브라켓과의 접합면에 용접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돌기는 상기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된 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돌기는 상기 접합면 상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2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접돌기는 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 로드는 상기 접합면 상의 2열의 용접돌기 사이의 중앙에 프로젝션 용접용 가이드 핀홀이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프로젝션 용접을 통하여 행거 브라켓과 행거 로드를 접합함으로써, 행거 브라켓의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고,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접합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용접 스패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 브라켓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 브라켓 유닛에 적용되는 행거 로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 브라켓 유닛에 적용되는 행거 브라켓과 행거 로드의 접합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 브라켓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 브라켓 유닛에 적용되는 행거 로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10)은 차체의 바닥패널(미도시)에 구성되는 행거 브라켓(1)과, 상기 행거 브라켓(1)에 구성되어 배기파이프(미도시)에 연결된 행거(미도시)에 끼워지는 행거 로드(3)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행거 로드(3)는 일단부를 접합단부(31)로 하여 이 접합단부(31)를 통하여 상기 행거 브라켓(1)의 단면상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되고, 타단부는 조립단부(33)로 상기 행거(미도시)에 끼워져 조립된다.
이러한 행거 로드(3)는 상기 접합단부(31)를 단조 성형하여 상기 행거 브라켓(1)에 접합되는 접합면(F)이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행거 로드(3)는 상기 행거 브라켓(1)과의 접합면(F)에 용접돌기(3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용접돌기(35)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합면(F)으로부터 돌출된 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갖는다.
즉, 상기 용접돌기(35)는 사다리꼴의 단면에서 넓은 면이 상기 접합면(F)에 형성되고, 좁은 면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용접돌기(35)는 상기 접합면(F) 상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2열로 형성되는데, 상기 파형의 패턴, 즉, 정현파형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 로드(3)는 상기 접합면(F) 상의 2열의 용접돌기(35) 사이의 중앙에 프로젝션 용접을 위한 가이드 핀홀(H)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 브라켓 유닛(10)은 도 6을 참조하면, 행거 브라켓(1) 상의 관통홀(H1)을 통하여 가이드 핀이 삽입되도록 하여 행거 브라켓(1)을 프로젝션 용접다이(41)에 안착시키고, 상기 행거 로드(3) 상의 접합단부(31)에 형성된 가이드 핀홀(H)을 통하여 상기 가이드 핀(45)에 행거 로드(3)를 끼워져 행거 브라켓(1)에 로딩한 상태로, 상부의 프로젝션 용접전극(43)을 가압하면서 통전하면, 상기 헹거 로드(3)는 접합단부(31)가 용접돌기(35)의 전기 저항열에 의해 행거 브라켓(1)에 용융 접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행거 브라켓 유닛(10)은 프로젝션 용접을 통하여 행거 브라켓(1)과 행거 로드(3)를 저항 접합함으로써, 행거 브라켓(1)의 형상을 설계한 때, 종래와 같이, 행거 로드(3)를 안착할 안착홈(5)을 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단순화하여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션 용접을 통해 행거 브라켓(1)과 행거 로드(3)의 접합강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 CO2 용접(W)에 의해 스패터의 발생이 없어 행거 브라켓(1)의 오염을 방지하여 신속한 프로젝션 용접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 행거 브라켓 유닛
1: 행거 브라켓
3: 행거 로드
31: 접합단부
33: 조립단부
35: 용접돌기
F: 접합면
H: 가이드 핀홀

Claims (10)

  1. 차체의 바닥패널에 구성된 행거 브라켓과, 상기 행거 브라켓에 구성되어 배기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에 끼워지는 행거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일단부가 상기 행거 브라켓의 단면상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일단부를 단조 성형하여 상기 행거 브라켓에 접합되는 접합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상기 행거 브라켓과의 접합면에 용접돌기가 형성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돌기는
    상기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된 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갖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돌기는
    상기 접합면 상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2열로 형성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6. 제3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돌기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상기 접합면 상의 2열의 용접돌기 사이의 중앙에 프로젝션 용접용 가이드 핀홀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8. 차체의 바닥패널에 구성된 행거 브라켓과, 상기 행거 브라켓에 구성되어 배기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에 끼워지는 행거 로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일단부가 단조 성형에 의해 상기 행거 브라켓에 접합되는 접합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합면에는 용접돌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2열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합면 상의 2열의 용접돌기 사이의 중앙에 프로젝션 용접용 가이드 핀홀이 형성되어 상기 행거 브라켓의 단면상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돌기는
    상기 접합면으로부터 돌출된 사다리꼴 모양의 단면을 갖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돌기는
    파형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KR1020140182694A 2014-12-17 2014-12-17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KR20160073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94A KR20160073855A (ko) 2014-12-17 2014-12-17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94A KR20160073855A (ko) 2014-12-17 2014-12-17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55A true KR20160073855A (ko) 2016-06-27

Family

ID=5634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694A KR20160073855A (ko) 2014-12-17 2014-12-17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4505A (zh) * 2019-01-11 2020-07-21 双叶产业株式会社 排气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4505A (zh) * 2019-01-11 2020-07-21 双叶产业株式会社 排气装置
CN111434505B (zh) * 2019-01-11 2023-03-14 双叶产业株式会社 排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0277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6344478B2 (ja) 溶接構造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57330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KR101569825B1 (ko) 마찰교반용접을 적용한 자동차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3855A (ko)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KR20170078451A (ko) 차량용 토잉 파이프 조립체
US9663160B2 (en) Towing tractor
KR20130032630A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20140106873A (ko) 차량용 사이드멤버 연결구조물
JP2016199110A (ja) 牽引フック取付構造
KR101813948B1 (ko) 차량의 이종소재 서브 프레임
JP4440133B2 (ja) クロスメンバ取付構造
KR20160139859A (ko) 자동차용 하프타입 서브프레임
JP6627435B2 (ja) ブレーキチャンバー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KR101415464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KR101553993B1 (ko) 강성 보강형 차량용 중공 차축
KR101553992B1 (ko) 차량용 중공 차축
KR20180120981A (ko)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CN105835646A (zh) 一种减振器固定支架及汽车
CN213008376U (zh) 车身结构
KR102428224B1 (ko) 차량용 범퍼 빔
KR20170066718A (ko) 자동차 로어암
JP6061993B1 (ja) 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のステイ締結構造およびフロントサブフレームの車体組付け方法
JP2012030633A (ja) 車両用シート
KR101755490B1 (ko) 쇽업소버 마운팅 구조를 갖는 차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