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2630A -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2630A
KR20130032630A KR1020110096343A KR20110096343A KR20130032630A KR 20130032630 A KR20130032630 A KR 20130032630A KR 1020110096343 A KR1020110096343 A KR 1020110096343A KR 20110096343 A KR20110096343 A KR 20110096343A KR 20130032630 A KR20130032630 A KR 20130032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door
vehicle
fixed beam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5004B1 (ko
Inventor
김형건
신종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50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5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 도어 패널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양측 단부를 도어 내측에 각각 고정하는 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빔 브라켓은 도어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 일측에 고정빔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을 형성하고 안착홈의 타측에 고정빔의 단부가 통과하게 관통홀을 형성한 빔 홀더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DOOR IMPACT BEAM FOR VEHICLE}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임팩트 빔의 고정 구조 개선으로 강도를 증대시키고, 충돌성능을 개선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은 차량의 도어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어 측면 충돌시 도어가 차량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재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패널(20)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부(11)는 납작하게 압입한 상태로 도어 패널(20)에 장착된 브라켓(30)에 접합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10)의 단부(11) 납작하게 압입되어 있어 도어 임팩트 빔(10)의 중앙 부분 보다는 강성이 취약하며, 이에 측면 충돌시 도어 임팩트 빔(10)의 단부(11)의 차량 내부로 침입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 임팩트 빔(10)의 단부(11)가 브라켓(30)에 용접 접합되기에 측면 충돌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10)의 단부(11)를 압입하기 위한 압입공정을 추가함에 따라 작업시간 및 원가가 상승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 임팩트 빔의 구조를 개선함과 동시에 브라켓과의 결합성을 증대시켜 임팩트 빔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차량의 내부로 침입량을 감소시키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은 도어 패널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양측 단부를 도어 내측에 각각 고정하는 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빔 브라켓은 도어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 일측에 고정빔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을 형성하고 안착홈의 타측에 고정빔의 단부가 통과하게 관통홀을 형성한 빔 홀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패널에 접합한 브라켓에 도어 임팩트 빔의 단부를 끼워서 결합함으로써 도어 임팩트 빔의 강도는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도어 임팩트 빔과 브라켓의 결합성은 증대시켜 차량의 내부로 침입량을 감소시키고, 탑승객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빔과 빔 브라켓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빔과 빔 브라켓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을 도시한 단면도.
이와 같은 목적과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은 도어 패널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양측 단부를 도어 내측에 각각 고정하는 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빔 브라켓은 도어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 일측에 고정빔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을 형성하고 안착홈의 타측에 고정빔의 단부가 통과하게 관통홀을 형성한 빔 홀더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착홈은 고정빔의 단부 주면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빔 홀더부는 안착홈에 고정빔의 단부를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도어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한다.
상기 관통홀과 고정빔의 밀착 부분은 선택적으로 용접하여 접합한다.
상기 고정빔의 단부는 원형봉 그대로 빔 홀더부에 안착하고 삽입하여 강도를 확보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20)의 내측에서 차체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고정빔(100), 상기 고정빔(100)의 양측 단부(110)를 도어패널(20)에 각각 고정하는 빔 브라켓(200)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인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의 구성을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고정빔(100)은 중공형 원형봉으로 이루어진다. 즉 고정빔(100)은 일측 단부부터 타측 단부까지 원형봉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고정빔(100) 전체에 균일한 강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인 빔 브라켓(200)은 도어패널(20)의 중앙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에 각각 대응하게 고정하여 상기 고정빔(100)의 양측 단부(110)를 각각 안착하고 삽입한다.
즉, 상기 빔 브라켓(200)은 도어 패널(20)에 고정하는 고정부(210)와, 고정빔(100)의 단부(110)와 대응하는 고정부(210)의 일측에 고정빔(100)의 단부(110)가 안착되도록 안착홈(221)을 형성하고 안착홈(221)의 타측에 고정빔(100)의 단부가 통과하게 관통홀(222)을 형성한 빔 홀더부(2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착홈(22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21)에 안착된 고정빔(100)의 단부(110)를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형성하며, 이를 통해 고정빔(100)을 자동차를 기준으로 할 때 위 아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222)은 고정빔(100)의 단부(110)가 밀착된 상태로 통과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이를 통해 고정빔(100)의 자동차를 기준으로 할 때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관통홀(222)은 고정빔(110)의 단부 전체를 지지 고정한다.
한편, 관통홀(222)과 고정빔(100)의 밀착 부분은 결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용접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고정빔(100)의 양측 단부에 빔 브라켓(200)을 삽입한다. 고정빔(100)의 단부를 빔 브라켓(200)의 빔 홀더부(220) 안착홈(221)에 안착시킨 상태로 빔 브라켓(200)을 고정빔(100)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빔(100)의 단부가 안착홈(221)에 지지된 상태로 관통홀(222)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고정빔(100) 양측 단부에 빔 브라켓(200)을 삽입한 후, 고정빔(100)을 도어패널(20)에 길이방향으로 배치한 상태로 고정빔(100)의 양측에 삽입된 빔 브라켓(200)의 고정부(210)를 도어패널(20)에 고정하면,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 패널(10)을 통해 고정빔(100)에 충격력이 전달되는데, 이때 고정빔(100)의 단부가 빔 브라켓(100)에 삽입 고정되어 있어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하며, 이에 차실내로의 침입을 최소화한다. 더욱이 고정빔(100) 전체를 원형봉으로 형성함에 따라 강도 감소가 없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고정빔 220: 빔 브라켓
221: 안착홈 222: 관통홀

Claims (5)

  1. 도어 패널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는 고정빔;
    상기 고정빔의 양측 단부를 도어 내측에 각각 고정하는 빔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빔 브라켓은 도어 내측에 고정하는 고정부와, 고정부 일측에 고정빔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안착홈을 형성하고 안착홈의 타측에 고정빔의 단부가 통과하게 관통홀을 형성한 빔 홀더부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고정빔의 단부 주면을 감싸도록 반원형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빔 홀더부는 안착홈에 고정빔의 단부를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도어패널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과 고정빔의 밀착 부분은 선택적으로 용접하여 접합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빔의 단부는 원형봉 그대로 빔 홀더부에 안착하고 삽입하여 강도를 확보하는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1020110096343A 2011-09-23 2011-09-23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KR101745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43A KR101745004B1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43A KR101745004B1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30A true KR20130032630A (ko) 2013-04-02
KR101745004B1 KR101745004B1 (ko) 2017-06-09

Family

ID=48435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343A KR101745004B1 (ko) 2011-09-23 2011-09-23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50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07A (ko) 2017-05-16 2018-11-26 동원금속 (주) 롤 포밍 도어 임팩트 빔 제조방법
CN113580896A (zh) * 2021-08-30 2021-11-02 南京盛腾汽车科技有限责任公司 小偏置碰加强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667B1 (ko) 2018-06-21 2020-03-24 주식회사 캠스 차량 도어용 충격방지 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0301B2 (en) * 2009-03-31 2013-01-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ixed metal magnetic pulse impact be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5707A (ko) 2017-05-16 2018-11-26 동원금속 (주) 롤 포밍 도어 임팩트 빔 제조방법
CN113580896A (zh) * 2021-08-30 2021-11-02 南京盛腾汽车科技有限责任公司 小偏置碰加强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5004B1 (ko) 2017-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70124C (en) Module carrie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102364776B1 (ko) 구동 유닛을 위한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후방 차축 지지 프레임
KR100974554B1 (ko) 차량의 언더바디 프레임
CN107107962B (zh) 仪表板加强件
JP2013095359A (ja) 車両後部の側部パネルの補強構造
KR10133896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1188469B1 (ko) 자동차의 프론트사이드멤버와 서브프레임 마운팅구조
KR20130032630A (ko)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JP2009137543A (ja) 車体前部構造
KR20110035696A (ko) 차량의 사이드 실 유닛
JP2013121772A (ja) 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構造
JP2019038301A (ja) 車体構造
KR101613470B1 (ko) 자동차용 로워암
JP2014144715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06273134A (ja) 車両後部構造
JP2007245910A (ja) 車両のリヤサイドメンバー構造
KR20140106873A (ko) 차량용 사이드멤버 연결구조물
JP2013067236A (ja) 車体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6610882B2 (ja) 車両のロールロッド組付構造
KR20130109584A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JP6079752B2 (ja)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KR102199902B1 (ko) 자동차 프레임 구조
JP6385947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要素を受け入れるための装置、2つの同一な装置を備える装備、及び装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20140024661A (ko) 차체 보강 유닛
KR101005461B1 (ko) 차량용 크래쉬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