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981A -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981A
KR20180120981A KR1020170055048A KR20170055048A KR20180120981A KR 20180120981 A KR20180120981 A KR 20180120981A KR 1020170055048 A KR1020170055048 A KR 1020170055048A KR 20170055048 A KR20170055048 A KR 20170055048A KR 20180120981 A KR20180120981 A KR 20180120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hanger
welding
rod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언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70055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0981A/ko
Publication of KR2018012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7Apparatus used as intake or exhaust silen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는 차체에 구비된 장착홀에 끼워지며 배기 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와 결합하는 로드부와, 로드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차체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부를 가진 행거 로드를 포함하며, 헤드부는 차체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HANGER UNIT FOR MUFFLER OF VEHICLE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머플러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머플러를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플러는 자동차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소음을 줄이기 위해서 소정용적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후방측으로 배관되는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 필수적으로 장착되는 소음기이다.
이와 같이 배기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안내하며 소음을 감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 및 머플러는 차량의 언더 패널의 하측에 장착되는데, 진동의 전달을 줄이기 위해서 차량의 고정 측과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행거를 매개로 장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1)는 차체(2)에 접합된 행거 브라켓(3)과, 그 행거 브라켓(3)에 접합되어 머플러(미도시)에 연결된 행거(미도시)를 끼워서 걸기 위한 행거 로드(5)로 구성된다.
여기서, 행거 브라켓(3)에는 행거 로드(5)의 일단 부가 안착 홈에 안착된 상태로 용접된다. 행거 로드(5)는 원형단면의 봉재로 구비되며, 일정한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와 같은 행거 구조체(1)는 행거 브라켓(3)의 설정된 안착 홈에 행거 로드(5)의 일단 부를 안착시킨 상태로, 그 행거 로드(5)와 안착 홈 주위를 CO2 용접으로 접합하고, 행거 브라켓(3)을 차체(2)에 스폿 용접으로 접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행거 구조체(1)는 머플러(미도시)를 포함한 차량의 배기 계를 차체(2)에 매다는 과정에서 행거(미도시)가 개재되어 배기계와 차체간의 진동전달이 어느 정도는 차단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1)는 행거 로드(5)의 일단 부를 행거 브라켓(3)에 CO2 용접으로 접합하고, 그 행거 브라켓(3)을 차체(2)에 스폿 용접으로 접합함에 따라, 용접 공정의 과다로 인해 설비 투자비가 증가하게 되고,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1)는 행거 로드(5)의 일단 부를 행거 브라켓(3)에 CO2 용접을 통하여 접합함에 따라, 행거 브라켓(3)이 열 변형될 수 있고, 용접과정에 스패터가 행거 브라켓(3)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외관품질을 저하시키며, 생산성 역시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행거 브라켓을 삭제하며, 행거 로드를 프로젝션 용접을 통하여 차체에 직접 접합함으로써, 전체적인 용접 공정을 줄여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과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는, 차체에 구비된 장착홀에 끼워지며 배기 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와 결합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차체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부를 가진 행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차체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차체와의 접합 면에 용접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용접 돌기는 삼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상기 헤드부의 용접 돌기에 의한 프로젝션 용접으로 상기 차체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헤드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전방 측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서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는, 센터 플로워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는 차체의 바닥 면에 구비된 장착홀에 끼워지며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차체에 접합되는 행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로드는, 상기 차체의 내측에서 장착홀에 끼워지며 외측으로 돌출되고, 배기 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와 결합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차체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에 프로젝션 용접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차체와의 접합 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체에는 프로젝션 용접용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기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차체의 내측에서 용접 전극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용접 전극의 통전에 의해 상기 용접 돌기를 통하여 상기 차체에 프로젝션 용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행거 로드를 프로젝션 용접을 통하여 차체에 직접 저항 접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행거 브라켓을 삭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용접 공정을 줄여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신속한 프로젝션 용접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를 도시한 용접 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에 적용되는 행거 로드의 접합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를 도시한 용접 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100)는 차량의 배기 파이프에 연결된 고무 재질의 행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매개로 하여 머플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차체(10)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체(10)는 차량의 언더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센터 플로워 크로스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10)로서 센터 플로워 크로스 멤버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차량의 머플러를 차체(10)에 장착하기 위한 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한 종류 및 용도의 상관 부품들을 소정의 구조체에 장착하기 위한 행거 구조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위치하는 차체(10)에 행거 구조체(100)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부, 상단, 상단부, 상단면 및 상면으로 정의할 수 있고,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부, 하단, 하단부, 하단면 및 하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차체(10)의 기준 위치 및 행거 구조체(100)의 조립 방향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실시 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100)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행거 브라켓을 삭제하며, 행거 로드를 프로젝션 용접을 통하여 차체(10)에 직접 접합함으로써, 전체적인 용접 공정을 줄여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과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 스패터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100)는 차체(10)에 직접 접합되는 행거 로드(30)를 포함하며, 그 행거 로드(30)는 로드부(31)와 헤드부(33)를 포함한다.
상기 로드부(31)는 차체(10)의 바닥 면 예를 들면, 센터 플로워 크로스 멤버의 하측 바닥 면에 구비된 장착홀(11)에 끼워지며, 배기 파이프에 연결된 행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상기 로드부(31)는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차체(10)의 내측에서 장착홀(11)에 끼워지며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부(31)는 차체(10)의 장착홀(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뒤에서 더욱 설명될 헤드부(33)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 부분(35a)과, 제1 부분(35a)에서 전방 측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되는 제2 부분(35b)과, 제2 부분(35b)에서 차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부분(35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33)는 차체(10)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로드부(31)에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원판의 플랜지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헤드부(3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접합 단부로 구비되는 바, 차체(10)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11)의 가장자리 부분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행거 로드(30)는 접합 단부로서의 헤드부(33)를 통해 프로젝션 용접에 의하여 차체(10)에 직접 접합되며, 로드부(31)는 조립 단부로서 행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행거 로드(30)에서 헤드부(33)는 차체(10)와의 접합 면에 용접 돌기(4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용접 돌기(41)는 프로젝션 용접 돌기로서, 헤드부(33)의 차체 접합 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원형의 헤드부(33)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 돌기(41)는 삼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바, 삼각 형상의 단면에서 넓은 면이 헤드부(33)의 차체 접합 면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넓은 면에서 단면 폭이 점차 작아지게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행거 로드(30)는 헤드부(33)의 용접 돌기(41)를 통하여 프로젝션 용접으로 차체(10)의 내측 면에 직접 접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차체(10)에는 프로젝션 용접용 가이드 핀(P)(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기준 핀"이라고도 한다)이 삽입되는 기준 홀(12)을 형성하고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100)의 조립방법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에 적용되는 행거 로드의 접합 설명도이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10)의 기준 홀(12)에 프로젝션 용접용 가이드 핀(P)을 삽입하고, 차체(10)를 용접 다이(51)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행거 로드(30)의 로드부(31)를 차체(10)의 내측에서 장착홀(11)에 끼운다.
이 때, 상기 행거 로드(30)의 헤드부(33)는 차체(10)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11)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고, 로드부(31)는 장착홀(11)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프로젝션 용접 전극(53)을 차체(10)의 내측으로 진입시키며 그 프로젝션 용접 전극(53)을 통하여 행거 로드(30)의 헤드부(33)를 차체(10)의 접합 면(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으로 가압하면서 통전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차체(10)의 접합 면에 대하여 헤드부(33)의 용접 돌기(41)가 전기 저항열에 의해 차체(10)의 접합 면에 용착되면서 헤드부(33)를 차체(10)의 접합 면에 용융 접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100)에 의하면, 행거 로드(30)를 프로젝션 용접을 통하여 차체(10)에 직접 저항 접합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행거 브라켓을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전체적인 용접 공정을 줄여 설비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고, 신속한 프로젝션 용접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차체
11... 장착홀
12... 기준홀
30... 행거 로드
31... 로드부
33... 헤드부
35a... 제1 부분
35b... 제2 부분
35c... 제3 부분
41... 용접 돌기
51... 용접 다이
53... 용접 전극
P... 가이드 핀

Claims (9)

  1. 차체에 구비된 장착홀에 끼워지며 배기 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와 결합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차체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부를 가진 행거 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차체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에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차체와의 접합 면에 용접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돌기는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로드는,
    상기 헤드부의 용접 돌기에 의한 프로젝션 용접으로 상기 차체에 직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헤드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전방 측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서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6. 센터 플로워 크로스 멤버를 포함하는 차체의 바닥 면에 구비된 장착홀에 끼워지며 프로젝션 용접에 의해 차체에 접합되는 행거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행거 로드는, 상기 차체의 내측에서 장착홀에 끼워지며 외측으로 돌출되고, 배기 파이프에 연결된 행거와 결합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차체의 내측 면에서 장착홀의 가장자리 부분에 프로젝션 용접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상기 차체와의 접합 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차체에는 프로젝션 용접용 가이드 핀이 삽입되는 기준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헤드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서 전방 측으로 라운드 지게 연장된 제2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에서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제3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돌기는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차체의 내측에서 용접 전극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용접 전극의 통전에 의해 상기 용접 돌기를 통하여 상기 차체에 프로젝션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KR1020170055048A 2017-04-28 2017-04-28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KR20180120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048A KR20180120981A (ko) 2017-04-28 2017-04-28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5048A KR20180120981A (ko) 2017-04-28 2017-04-28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981A true KR20180120981A (ko) 2018-11-07

Family

ID=64363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048A KR20180120981A (ko) 2017-04-28 2017-04-28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09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5640B2 (ja) 車両用バンパ構造
JP2003306047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CN109204510B (zh) 车身前部构造
US5322208A (en) Method for welding vehicle frame
JP5087119B2 (ja) トルクロッド取付け用ブラケット構造
JP2003072493A (ja)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JP3553578B2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の取付構造
JPH028945B2 (ko)
JP4867387B2 (ja) 自動車の前部構造
KR20180120981A (ko)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구조체
JP2008260448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の取付構造
JP4133723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20170073130A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볼트
KR100569994B1 (ko)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JP2000016350A (ja) 自動車のリヤフロア構造
KR20170024383A (ko) 차체 멤버 체결 구조체
KR102381308B1 (ko)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 유닛
KR20160073855A (ko) 차량의 머플러용 행거 브라켓 유닛
CN211223014U (zh) 发动机悬置安装点加强装置及包含其的汽车
KR100534250B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팅 브라켓트
JPH0714146Y2 (ja) スクーターのフレーム構造
JPS6322771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8282565A (ja) 自動二輪車のフレーム構造
JPH081147Y2 (ja) バンパの取付け構造
WO2018230204A1 (ja) 車体前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