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134A -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 - Google Patents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134A
KR20160072134A KR1020167011546A KR20167011546A KR20160072134A KR 20160072134 A KR20160072134 A KR 20160072134A KR 1020167011546 A KR1020167011546 A KR 1020167011546A KR 20167011546 A KR20167011546 A KR 20167011546A KR 20160072134 A KR20160072134 A KR 20160072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es
methyl
dihydro
difluoromethyl
s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1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580B1 (ko
Inventor
브리타 올레니크
스테판 힐레브란트
피에르 바스나이레
마르틴 바이스
울리케 바헨도르프-노이만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크롭사이언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72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Abstract

본 발명은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 그의 제조방법 및 농약 제제에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NOVEL CRYSTALLINE FORM OF 2-{3-[2-(1-{[3,5-BIS(DIFLUOROMETHYL)-1H-PYRAZOL-1-YL]ACETYL}PIPERIDIN-4-YL)-1,3-THIAZOL-4-YL]-4,5-DIHYDRO-1,2-OXAZOL-5-YL}-3-CHLOROPHENYLMETHANE SULFONATE}
본 발명은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도 1 참조), 이 신규 결정형의 제조방법, 안정한 적용 형태의 제조를 위한 유리한 용도, 및 식물내 및/또는 식물상 또는 식물의 종자내 및/또는 종자상에서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을 방제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2-{3-[2-(1-{[3,5- 비스 ( 디플루오로메틸 )-1H- 피라졸 -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 및 이 화합물의 제조방법은 공지되었다. 이 화합물이 살진균 작용을 가진다는 것이 또한 공지되었다. 요컨대, 예를 들어 WO 2012/025557호는 처음으로 이 화합물의 제조 및 식물내 및/또는 식물상 또는 식물의 종자내 및/또는 종자상에서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을 방제하기 위한 그의 용도에 대해 기재하였다.
또한,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가 다른 살진균제와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었다: WO 2013/127704.
WO 2012/025557호에 의한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무정형 고체 형태이다. 이는, 예컨대 고체가 용해된 에멀젼 농축물 (EC)과 같은 제형, 또는 활성 성분이 고체 형태로 존재하는 제형 (고체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예로서는, 과립제, 캡슐화된 과립제, 정제, 수분산성 과립제, 수분산성 정제, 수분산성 분제 또는 종자 처리용 수분산성 분제, 더스트 제형, 활성 성분이 분산된 형태로 존재하는 제형, 예를 들어 현탁 농축물 (SC), 오일-기제 현탁액, 현탁에멀젼 또는 종자 처리용 현탁 농축물을 들 수 있다.
원칙적으로, 고체 제형은 저장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유의미성이 크다. 그러나, 이것은 활성 성분이 무정형으로 존재하는 경우일 때에만 그렇고, 따라서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변형체는 아니다.
오늘날의 작물 보호 조성물은, 예를 들어 작용 스펙트럼, 활성 및 적용률에 대해 생태학적 및 경제학적 요구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무정형 외에도, 고체 제형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공지 조성물에 비해 이점을 갖는 활성 성분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추가 변형체를 제공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언급된 고체 제형에서의 저장 안정성에 대한 단점을 갖지 않고 고체 제형에서의 무정형에 비해 살진균 활성이 개선된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새로운 결정형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25 ℃에서 Cu-Kα 방사선(1.54 Å)을 사용한 X-선 분말 디프랙토그램 (도 2 참조)이 하기 2Θ(2 세타) 값 (표 1) 중 적어도 3개, 특히 적어도 4 또는 6개 및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신규 결정형은 2 세타 값 외에도, 표 2에 기재된 격자면간 거리 "d"를 갖는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놀랍게도, 신규 결정형의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경제적으로 유의미한 용도상 열역학적으로 충분히 안정하고 장기 저장시에도 다른 형태로 전환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현탁 농축물, 오일-기제 현탁액, 및 예를 들어, 수분산성 과립제 및 종자 처리를 위한 유사 제형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신규 결정형의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그의 안정성 때문에, 식물내 및/또는 식물상 또는 식물의 종자내 및/또는 종자상에서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을 방제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신규 결정형을 단독으로 또는 보조제 및 담체와의 혼합물로, 및 다른 활성 성분과의 혼합물로서 포함하는, 식물내 및/또는 식물상 또는 식물의 종자내 및/또는 종자상에서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을 방제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 결정형의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20 중량% 미만의 신규 고체 형태,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미만,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4, 3, 2 또는 1 중량% 미만의 신규 결정형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용어 "조성물"은 또한 제형 및 사용형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또한 신규 결정형의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를 사용한, 식물내 및/또는 식물상 또는 식물의 종자내 및/또는 종자상에서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을 방제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규 결정형의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를 포함하는 제조 안정성이 증가하고 따라서 부정확한 용량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신규 결정형의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통상의 제제, 예컨대 현탁 농축물, 오일-기제 현탁 농축물, 콜로이드성 농축물, 수분산성 농축물, 유화성 농축물(에멀젼 농축물), 에멀젼 드레싱, 현탁 드레싱, 과립제, 마이크로과립제, 현탁에멀젼, 수용성 과립제, 수용성 농축물, 수분산성 과립제, 및 또한 적합한 보조제 및 담체 또는 용매를 사용하는 상응하는 즉석 사용 제형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활성 화합물은 총 혼합물의 약 0.0001 내지 90 중량%의 농도, 즉 필요한 용량 수준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여야 한다. 제형은, 예를 들어, 신규 결정형의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를, 필요에 따라, 유화제 및/또는 분산제, 및/또는 다른 보조제, 예컨대 침투제 등을 사용하여 물, 용매 및/또는 담체에 확산시켜 제조된다.
종자 처리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비롯한 현탁 농축물의 제조시, 활성 성분 및 증량제(물, 용매 또는 오일) 뿐만 아니라, 추가의 보조제가 일반적으로 첨가된다. 연속상으로 활성 성분을 습윤시키기 위해 습윤제가 사용되고, 액상으로 현탁물을 안정화하기 위해 분산제가 사용되며, 용매- 또는 오일을 포함하는 현탁 농축물의 비수성상을 유화시키기 위해 유화제가 사용된다. 필요에 따라, 동결방지제, 살생물제, 증점제, 착색제, 전착제 및/또는 침투제가 도입된다.
신규 고체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후술하는 방법으로 얻어진다.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예를 들어 WO2012/02555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따라서 수득한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무정형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무정형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를 적어도 50 ℃,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의 온도에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현탁시키고, 목적하는 결정이 석출될 때까지 서냉시킨다. 사용되는 용매의 양은 혼합물이 결정화 동안 잘 교반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서냉은 선형적으로 또는 단계식으로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은 선형적으로 일어나는데, 이 경우 결정화 용액은 목적하는 결정이 석출될 때까지 추가 냉각하기 전에, 특정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20 ℃에서 수 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시간,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시간,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7 시간동안 교반된다.
모 결정(seed crystal)이 결정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현탁물에 임의로 첨가된다. 모 결정의 첨가는 원칙적으로 교반중에 수행될 수 있다.
적합한 용매는 할로겐화 탄화수소(예를 들어 클로로벤젠, 브로모벤젠, 디클로로벤젠, 클로로톨루엔, 트리클로로벤젠), 에테르 (예를 들어 에틸 프로필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n-부틸 에테르, 아니솔, 페네톨, 사이클로헥실 메틸 에테르, 디메틸 에테르, 디에틸 에테르, 디메틸 글리콜, 디페닐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디-n-부틸 에테르, 디이소부틸 에테르, 디이소아밀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이소프로필 에틸 에테르, 메틸 tert-부틸 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메틸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디클로로디에틸 에테르, 메틸-THF 및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폴리에테르), 니트로탄화수소 (예를 들어 니트로메탄, 니트로에탄, 니트로프로판, 니트로벤젠, 클로로니트로벤젠, o-니트로톨루엔), 지방족, 지환식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펜탄, n-헥산, n-헵탄, n-옥탄, 노난, 예를 들어, 비점이 40 ℃ 내지 250 ℃ 범위인 성분들을 가지는 백유, 시멘, 비점 범위가 70 ℃ 내지 190 ℃ 내인 석유 분획물, 사이클로헥산, 메틸사이클로헥산, 석유 에테르, 리그로인, 옥탄,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스테르 (예를 들어 말로네이트, 아세트산 n-부틸 에스테르 (n-부틸 아세테이트),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지방족 알콜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및 n-부탄올, tert-아밀 알콜)이다. 바람직한 용매는 에테르,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벤젠, 톨루엔, 크실렌, 클로로벤젠, 에스테르 및 지방족 알콜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은 이소프로판올, 톨루엔, 메틸-THF, 디에틸 카보네이트, 클로로벤젠, n-부틸 아세테이트 및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에탄올, 에틸 말로네이트, 메틸 t-부틸 에테르, 및 또한 톨루엔 및 부탄올의 혼합물, 톨루엔 및 n-부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 에틸 말로네이트 및 메틸 t-부틸 에테르의 혼합물, 및 부틸 아세테이트 및 메틸 t-부틸 에테르의 혼합물이다. 2 초과 성분들의 용매 혼합물이 또한 가능하다.
상기 언급된 제형 외에, 신규 결정형의 화합물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다른 제형으로도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예로서는, 용액제, 에멀젼, 수화제, 물- 및 오일-기제 현탁물, 분말, 더스트, 페이스트, 가용성 분말, 가용성 과립제, 살포용 과립제, 현탁에멀젼 농축물, 활성 성분이 함침된 천연 물질 및 활성 성분이 함침된 합성 물질, 비료 및 중합물질 중의 마이크로캅셀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체 제형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형은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임의로 계면활성제, 즉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및/또는 소포제를 사용하여 활성 화합물을 증량제, 즉 액체 용매 및/또는 고체 담체와 혼합하여 제조된다. 제형은 적합한 플랜트에서 또는 적용전이나 적용 도중에 제조된다.
사용되는 보조제는 조성물 자체 및/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제제(예를 들어 분무액, 시드 드레싱)에 특정 성질, 예컨대 특정 기술적 성질 및/또는 특정 생물학적 성질을 부여하기에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전형적인 보조제는 증량제, 용매 및 담체를 포함한다.
적합한 증량제는 예를 들어 물, 극성 및 비극성 유기 화학 액체, 예를 들어 방향족 및 비방향족 탄화수소(예: 파라핀, 알킬벤젠, 알킬나프탈렌, 클로로벤젠), 알콜 및 폴리올(경우에 따라 치환, 에테르화 및/또는 에스테르화될 수 있음), 케톤(예:사이클로헥사논), 에스테르(지방 및 오일 포함) 및 (폴리)에테르, 비치환 및 치환 아민, 아미드, 락탐(예: N-알킬피롤리돈) 및 락톤, 설폰 및 설폭사이드(예: 디메틸 설폭사이드) 계이다.
사용된 증량제가 물인 경우, 유기 용매가 또한 예를 들어 보조 용매로 사용될 수도 있다. 유용한 액체 용매는, 주로 크실렌, 톨루엔 또는 알킬나프탈렌과 같은 방향족 화합물, 지방족 탄화수소, 파라핀, 예를 들어, 광유 분획, 광유 및 식물유, 알콜 및 이들의 에테르 및 에스테르,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또는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 및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설폭사이드와 같은 강극성 용매 및 또한 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담체라는 것은, 특히 식물 또는 식물 부위 또는 종자 적용을 위해 적용성을 개선하도록 활성 성분과 혼합 또는 조합되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는 천연 또는 합성의 유기 또는 무기 물질이다. 담체는 일반적으로 불활성이고, 농업상 사용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적합한 고체 담체 또는 액체 담체는, 예를 들어 암모늄염, 및 카올린, 점토, 활석, 쵸크, 석영, 아타펄기트, 몬트모릴로나이트 또는 규조토와 같은 분쇄된 천연 광물, 및 미분 실리카, 알루미나 및 실리케이트와 같은 합성 석분이다. 적합한 과립제용 고체 담체는, 예를 들어 방해석, 대리석, 모래, 경석, 해포석 및 백운석과 같은 분쇄 및 분류된 천연 암석, 및 무기 및 유기 가루의 합성 과립, 및 종이, 톱밥, 코코넛 껍질, 옥수수 속대 및 담배줄기와 같은 유기물질의 과립이다. 적합한 유화제 및/또는 포움 형성제는 예를 들어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유화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 알콜 에테르, 예를 들어 알킬아릴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아릴설포네이트 및 또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이다. 적합한 분산제는, 예를 들어 지방 알콜-POE- 및/또는 POP 에테르, 산 및/또는 POP POE 에스테르, 알킬아릴 및/또는 POP POE 에테르, 지방 및/또는 POP POE 부가물, POE- 및/또는 POP-폴리올 유도체, POE- 및/또는 POP-소르비탄 또는 -당 부가물, 알킬 또는 아릴 설페이트, 알킬- 또는 아릴 설포네이트 및 알킬 또는 아릴 포스페이트 또는 상응하는 PO-에테르 부가물류로부터의 비이온성 및/또는 이온성 물질이다. 또한, 리그닌 및 그의 설폰산 유도체, 비변형 및 변형 셀룰로즈, 방향족 및/또는 지방족 설폰산뿐 아니라 이들의 포름알데하이드와의 부가물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점착 부여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아라비아고무, 폴리비닐 알콜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분말, 과립 또는 라텍스 형태의 천연 및 합성 분말 중합체, 및 또한 세팔린 및 레시틴과 같은 천연 인지질, 및 합성 인지질이 제제에 사용될 수 있다.
염료, 예를 들어 산화철, 산화티탄 및 프루시안 블루 등의 무기 안료, 및 알리자린 염료, 아조 염료 및 금속 프탈로시아닌 염료 등의 유기 염료 및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과 같은 미량 영양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 첨가제는 임의로 변형된 방향족계, 미네랄 또는 식물성 오일, 왁스 및 영양소(미량 영양소 포함), 예컨대 철, 망간, 붕소, 구리, 코발트, 몰리브덴 및 아연의 염일 수 있다.
저온 안정화제와 같은 안정화제, 보존제, 항산화제, 광안정제 또는 화학 및/또는 물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제제도 존재할 수 있다.
제형으로부터 제조된 사용형 중 활성 성분의 함량은 넓은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사용형 중 활성 성분의 농도는 활성 성분 0.00000001 내지 97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는 0.0000001 내지 97 중량%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001 내지 83 중량% 범위 또는 0.000001 내지 5 중량% 범위,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01 내지 1 중량%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인 신규 결정형의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는 식물 상용성이 우수하고, 온혈 동물에 허용하는 정도의 독성을 가지며, 친환경성이 우수하여서 식물 및 식물 기관을 보호하고, 수확량을 증산시키고, 수확 물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식물내 및/또는 식물상 또는 식물의 종자내 및/또는 종자상에서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을 방제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진균성 질병의 병원균이 다음과 같이 언급될 수 있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흰가루병(powdery mildew) 병원균, 예를 들어, 블루메리아(Blumeria)종, 예를 들어, Blumeria graminis; 포도스파에라(Podosphaera)종, 예를 들어, Podosphaera leucotricha; 스파에로테카(Sphaerotheca)종, 예를 들어, Sphaerotheca fuliginea; 운시눌라(Uncinula)종, 예를 들어, Uncinula necator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녹병(rust disease) 병원균, 예를 들어, 김노스포란기움(Gymnosporangium)종, 예를 들어, Gymnosporangium sabinae; 헤밀레이아(Hemileia)종, 예를 들어, Hemileia vastatrix; 파콥소라(Phakopsora)종, 예를 들어, Phakopsora pachyrhizi 또는 Phakopsora meibomiae; 푸치니아(Puccinia)종, 예를 들어, Puccinia recondite, Puccinia graminis 또는 Puccinia striiformis; 우로마이세스(Uromyces)종, 예를 들어, Uromyces appendiculatus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난균성(Oomycetes) 그룹으로부터의 병원균, 예를 들어, 알부고(Albugo)종, 예를 들어, Albugo candida; 브레미아(Bremia)종, 예를 들어, Bremia lactucae; 페로노스포라(Peronospora)종, 예를 들어, Peronospora pisi 또는 P. brassicae; 피토프토라(Phytophthora)종, 예를 들어, Phytophthora infestans; 플라스모파라(Plasmopara)종, 예를 들어, Plasmopara viticola; 슈도페로노스포라(Pseudoperonospora)종, 예를 들어, Pseudoperonospora humuli 또는 Pseudoperonospora cubensis; 피티움(Pythium)종, 예를 들어, Pythium ultimum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예를 들어, 알터나리아(Alternaria)종, 예를 들어, Alternaria solani; 세르코스포라(Cercospora)종, 예를 들어, Cercospora beticola; 클라디오스포리움(Cladiosporium)종, 예를 들어, Cladiosporium cucumerinum; 코클리오볼루스(Cochliobolus)종, 예를 들어, Cochliobolus sativus(분생자 형태: Drechslera, 동의어: Helminthosporium) 또는 Cochliobolus miyabeanus;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종, 예를 들어, Colletotrichum lindemuthanium; 사이클로코늄(Cycloconium)종, 예를 들어, Cycloconium oleaginum; 디아포르테(Diaporthe)종, 예를 들어, Diaporthe citri; 엘시노에(Elsinoe)종, 예를 들어, Elsinoe fawcettii; 글로에오스포리움(Gloeosporium)종, 예를 들어, Gloeosporium laeticolor; 글로메렐라(Glomerella)종, 예를 들어, Glomerella cingulata; 귁나르디아(Guignardia)종, 예를 들어, Guignardia bidwelli; 렙토스파에리아(Leptosphaeria)종, 예를 들어, Leptosphaeria maculansLeptosphaeria nodorum; 마그나포르테(Magnaporthe)종, 예를 들어, Magnaporthe grisea; 마이크로도치움(Microdochium)종, 예를 들어, Microdochium nivale; 마이코스파에렐라(Mycosphaerella)종, 예를 들어, Mycosphaerella graminicola, Mycosphaerella arachidicola 또는 Mycosphaerella fijiensis; 파에오스파에리아(Phaeosphaeria)종, 예를 들어, Phaeosphaeria nodorum; 피레노포라(Pyrenophora)종, 예를 들어, Pyrenophora teres 또는 Pyrenophora tritici repentis; 라물라리아(Ramularia)종, 예를 들어, Ramularia collo-cygni 또는 Ramularia areola; 린코스포리움(Rhynchosporium)종, 예를 들어, Rhynchosporium secalis; 셉토리아(Septoria)종, 예를 들어, Septoria apii 또는 Septoria lycopersici; 스타고노스포라(Stagonospora) 종, 예를 들어 Stagonospora nodorum; 타이풀라(Typhula)종, 예를 들어, Typhula incarnata; 벤투리아(Venturia)종, 예를 들어, Venturia inaequalis에 의해 유발되는 잎마름병(leaf blotch disease) 및 잎시들음병(leaf wilt diseases);
예를 들어, 코르티시움(Corticium)종, 예를 들어, Corticium graminarum; 푸사리움(Fusarium)종, 예를 들어, Fusarium oxysporum; 가에우만노마이세스(Gaeumannomyces)종, 예를 들어, Gaeumannomyces graminis; 플라스모디오스포라(Plasmodiophora)종, 예를 들어 Plasmodiophora brassicae; 리족토니아(Rhizoctonia)종, 예를 들어, Rhizoctonia solani; 사로클라디움(Sarocladium)종, 예를 들어, Sarocladium oryzae; 스클레로티움(Sclerotium)종, 예를 들어, Sclerotium oryzae; 타페시아(Tapesia)종, 예를 들어, Tapesia acuformis; 티엘라비옵시스(Thielaviopsis)종, 예를 들어, Thielaviopsis basicola에 의해 유발되는 뿌리 및 줄기(stem) 질병;
예를 들어, 알터나리아(Alternaria)종, 예를 들어, Alternaria spp.; 아스퍼길루스(Aspergillus)종, 예를 들어, Aspergillus flavus; 클라도스포리움(Cladosporium)종, 예를 들어, Cladosporium cladosporioides; 클라비셉스(Claviceps)종, 예를 들어, Claviceps purpurea; 푸사리움(Fusarium)종, 예를 들어, Fusarium culmorum; 지베렐라(Gibberella)종, 예를 들어, Gibberella zeae; 모노그라펠라(Monographella)종, 예를 들어, Monographella nivalis; 셉토리아(Septoria)종, 예를 들어, Septoria nodorum에 의해 유발되는 이삭(ear) 및 유수(panicle) 질병(옥수수 속대 포함);
깜부기균, 예를 들어, 스파셀로테카(Sphacelotheca)종, 예를 들어, Sphacelotheca reiliana; 틸레티아(Tilletia)종, 예를 들어, Tilletia caries 또는 Tilletia controversa; 우로시스티스(Urocystis)종, 예를 들어, Urocystis occulta; 우스틸라고(Ustilago)종, 예를 들어, Ustilago nuda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
예를 들어, 아스퍼길루스(Aspergillus)종, 예를 들어, Aspergillus flavus; 보트리티스(Botrytis)종, 예를 들어, Botrytis cinerea; 페니실리움(Penicillium)종, 예를 들어, Penicillium expansum 또는 Penicillium purpurogenum; 리조푸스(Rhizopus)종, 예를 들어, Rhizopus stolonifer; 스클레로티니아(Sclerotinia)종, 예를 들어, Sclerotinia sclerotiorum; 베르티실리움(Verticilium)종, 예를 들어, Verticilium alboatrum에 의해 유발되는 과실 부패(fruit rot);
예를 들어, 알터나리아(Alternaria)종, 예를 들어, Alternaria brassicicola; 아파노마이세스(Aphanomyces)종, 예를 들어, Aphanomyces euteiches; 아스코키타(Ascochyta)종, 예를 들어, Ascochyta lentis; 아스퍼길루스(Aspergillus)종, 예를 들어, Aspergillus flavus; 클라도스포리움(Cladosporium)종, 예를 들어, Cladosporium herbarum;, 코클리오볼루스(Cochliobolus)종, 예를 들어, Cochliobolus sativus (분생자 형태: Drechslera, Bipolaris, 동의어: Helminthosporium); 콜레토트리쿰(Colletotrichum)종, 예를 들어, Colletotrichum coccodes; 푸사리움(Fusarium)종, 예를 들어, Fusarium culmorum; 기베렐라(Gibberella)종, 예를 들어, Gibberella zeae; 마크로포미나(Macrophomina)종, 예를 들어, Macrophomina phaseolina; 마이크로도키움(Microdochium)종, 예를 들어, Microdochium nivale; 모노그라펠라(Monographella)종, 예를 들어, Monographella nivalis; 페니실리움(Penicillium)종, 예를 들어, Penicillium expansum; 포마(Phoma)종, 예를 들어, Phoma lingam; 포몹시스(Phomopsis)종, 예를 들어, Phomopsis sojae; 피토프토라(Phytophthora)종, 예를 들어, Phytophthora cactorum; 피레노포라(Pyrenophora)종, 예를 들어, Pyrenophora graminea; 피리쿨라리아(Pyricularia)종, 예를 들어, Pyricularia oryzae; 피티움(Pythium)종, 예를 들어, Pythium ultimum; 리족토니아(Rhizoctonia)종, 예를 들어, Rhizoctonia solani; 리조푸스(Rhizopus)종, 예를 들어, Rhizopus oryzae; 스클레로티움(Sclerotium)종, 예를 들어, Sclerotium rolfsii; 셉토리아(Septoria)종, 예를 들어, Septoria nodorum; 타이풀라(Typhula)종, 예를 들어, Typhula incarnata; 베르티실리움(Verticillium)종, 예를 들어 Verticillium dahliae;에 의해 유발되는 종자 및 토양성 썩음병 및 시들음병, 및 또한 유식물병;
예를 들어, 넥트리아(Nectria)종, 예를 들어, Nectria galligena에 의해 유발되는 암, 혹 (gall) 및 빗자루병 (witches' broom);
예를 들어, 모닐리니아(Monilinia)종, 예를 들어, Monilinia laxa에 의해 유발되는 시들음병;
예를 들어, 엑소바시디움(Exobasidium)종, 예를 들어, exobasidium vexans; 타프리나(Taphrina)종, 예를 들어, Taphrina deformans에 의해 유발되는 잎, 꽃 및 과실 기형;
에스카(Esca)종, 예를 들어, Phaemoniella clamydospora, Phaeoacremonium aleophilum 또는 Fomitiporia mediterranea; 가노더마(Ganoderma)종, 예를 들어, Ganoderma boninense에 의해 유발되는 목본 식물의 변성 질병;
예를 들어, 보트리티스(Botrytis)종, 예를 들어, Botrytis cinerea에 의해 유발되는 꽃 및 종자 질병;
예를 들어, 리족토니아(Rhizoctonia)종, 예를 들어, Rhizoctonia solani; 헬민토스포리움(Helminthosporium)종, 예를 들어, Helminthosporium solani에 의해 유발되는 식물 괴경의 질병.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은 또한 식물에서 매우 우수한 강화 작용을 발휘한다. 따라서, 이들은 원치않는 미생물에 의한 침습에 대해 식물의 고유 방어를 동원하는데 적합하다.
여기에서, 식물 강화(저항성-유도) 물질이란, 처리 식물에 원치않는 미생물을 접종하였을 때 식물에 이들 미생물에 대해 고도의 저항성이 생기도록 식물의 방어 시스템을 자극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의 경우, 원치않는 미생물이라는 것은 식물병원성 진균 및 박테리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질은 처리 후 특정 기간 내에 상기 언급된 병원균에 의한 공격에 대하여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보호가 제공되는 시기는 일반적으로 활성 성분으로 식물을 처리한 후 1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일에 달한다.
식물 질병을 방제하는데 필요한 농도에서 식물이 활성 성분을 잘 견디기 때문에 식물의 지상부, 영양 번식 물질, 종자 및 토양 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은 포도나무, 감자, 과수 및 채소 재배시 질병, 예를 들면 특히 백분병 진균 등, 난균류, 예를 들면 피토프토라, 플라스모파라, 슈도페레노스포라 및 피티움 종을 특히 성공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은 수확량을 증대시키는데 또한 적합하다. 또한, 이들은 저독성을 지니며, 식물이 우수한 내성을 보인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은 또한 특정 농도 또는 적용률에서 제초제, 약해완화제, 성장조절제, 또는 식물 특성 개량제, 살미생물제, 예를 들어 살진균제, 항균제, 살균제, 살바이러스제(비로이드에 대한 제제 포함), MLO(미코플라즈마-류 유기체) 및 RLO(리케차-류 유기체)에 대한 제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들은 살충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들은 또한 다른 활성 성분을 합성하기 위한 중간체 또는 전구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 또는 조성물로 식물 및 식물 부위를 처리하는 것은 통상의 처리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침지, 분무, 분사, 관개, 증발, 더스팅, 포깅, 브로드캐스팅, 포밍, 도포, 스프레딩, 살수(드렌칭), 세류 관개에 의해서 및, 전파 물질, 특히 종자의 경우에는 또한 건조 종자 처리용 분말, 종자 처리용 용액, 슬러리 처리용 수용성 분말에 의해, 외피형성에 의해, 일 또는 다중 코팅으로의 코팅 등에 의해 직접, 또는 그의 주변, 서식지 또는 저장 공간에 작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활성 성분을 극소 용적법으로 적용하거나, 활성 성분 제제 또는 활성 성분 자체를 토양에 주입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 또는 조성물은 공업용 물질이 원치 않는 미생물, 예를 들면 진균 등에 의해 감염 및 파괴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공업용 물질이란 산업적 용도로 제조된 무생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미생물에 의한 변화 또는 파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에 의해 보호받고자 하는 공업용 물질은 접착제, 아교, 종이, 보드, 직물, 가죽, 목재, 페인트, 플라스틱 제품, 냉각 윤활제 및 미생물에 의해 감염되거나 파괴될 수 있는 기타 물질일 수 있다. 보호되는 물질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으로는 또한 미생물의 증식에 의해 불리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생산 설비의 일부, 예를 들어 냉각수 회로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될 수 있는 공업용 물질은 접착제, 아교, 종이, 카드지, 가죽, 목재, 페인트, 냉각 윤활제 및 열전달 유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목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 또는 조성물은 부식, 부패, 변색, 탈색 또는 곰팡이 형성과 같은 불리한 효과를 예방할 수 있다.
원치않는 진균을 방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저장 제품을 보호하는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저장 제품이란 장기 보호가 필요한, 식물성 또는 동물성 기원의 천연 물질 또는 천연 기원의 가공 제품으로 이해하면 된다. 천연 기원의 가공 제품, 예를 들면 식물 또는 식물 부위, 이를테면 줄기, 잎, 괴경, 종자, 과실, 낟알 등이 새로이 수확된 상태로 또는 (전)건조, 습윤화, 세분화, 분쇄, 압축 또는 굽기에 의해 가공된 후 보호될 수 있다. 저장 제품은 또한 건축용 목재, 전신주 및 배리어와 같은 비가공 형태, 또는 가구와 같은 완성품 형태 모두의 목재를 포함한다. 동물 기원의 저장 제품은, 예를 들면 가죽, 레더, 모피 및 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은 부식, 부패, 변색, 탈색 또는 곰팡이 형성과 같은 불리한 효과를 예방할 수 있다.
공업용 물질을 분해 또는 변화시킬 수 있는 미생물로는 예를 들어, 박테리아, 진균, 이스트, 조류(algae) 및 변형(slime) 유기체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진균, 특히 사상균, 목재 변색 및 목재 파괴 진균(바시디오마이세테스) 및 변형 유기체 및 조류에 작용한다. 이들로는 알터나리아(Alternaria), 예를 들어 알터나리아 테누이스(Alternaria tenuis), 아스퍼길루스(Aspergillus), 예를 들어 아스퍼길루스 니거(Aspergillus niger), 캐토미움(Chaetomium), 예를 들어 캐토미움 글로보숨(Chaetomium globosum), 코니오포라(Coniophora), 예를 들어 코니오포라 푸에타나(Coniophora puetana), 렌티누스(Lentinus), 예를 들어 렌티누스 티그리누스(Lentinus tigrinus), 페니실리움(Penicillium), 예를 들어 페니실리움 글라우쿰(Penicillium glaucum), 폴리포루스(Polyporus), 예를 들어, 폴리포루스 버시컬러(Polyporus versicolor), 아우레오바시디움(Aureobasidium), 예를 들어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스클레오포마(Sclerophoma), 예를 들어 스클레오포마 피타이오필라 (Sclerophoma pityophila ), 트리코더마(Trichoderma), 예를 들어 트리코더마 비리데(트리choderma viride),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 예를 들어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 슈도모나스(Pseudomonas), 예를 들어 슈도모나스 아에루기노사(Pseudomonas aeruginosa) 및 스타필로코쿠스(Staphylococcus), 예를 들어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속의 미생물들이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진균성 조성물은 식물병원성 진균을 치유적 또는 보호적/예방적으로 방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종자, 식물 또는 식물 부위, 과실, 또는 식물이 자라고 있는 토양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 또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식물병원성 진균을 치유적 및 보호적으로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작물 보호에 있어 식물병원성 진균을 방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하지만 식물독성이 없는 양의 본 발명에 따른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유효하지만 식물독성이 없는 양"은 식물의 진균성 질병을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방제하거나 진균성 질병을 완전히 근절하기에 충분한 동시에 임의의 중요한 식물독성 증상을 유발하지 않는, 양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적용률은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변화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요인, 예를 들어, 방제하고자 하는 진균, 식물, 기후 조건 및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성분에 따라 좌우된다.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식물 부위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물이란 원하거나 원치않는 야생 식물 또는 작물(자연 발생 작물 포함)과 같은 모든 식물 및 식물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작물은 품종권자의 주권으로 보호될 수 있거나 보호될 수 없는 식물 품종 및 유전자이식(transgenic) 식물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식물 재배 및 최적화 방법에 의해, 생명공학 및 유전자공학에 의해 또는 이들 방법을 조합하여 얻을 수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식물 부위는 식물의 모든 지상 및 지하 부분 및 기관, 예를 들어 싹, 잎, 꽃 및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들의 예로 잎, 침엽(needles), 자루(stalk), 줄기(stem), 꽃, 과실체, 과일, 종자, 뿌리, 괴경 및 뿌리 줄기가 언급될 수 있다. 수확 물질, 및 영양 및 생식 번식 물질, 예를 들어 묘목, 괴경, 뿌리줄기, 자른가지 및 종자가 또한 식물 부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식물로는 면화, 아마, 포도나무, 과수, 채소류, 예컨대 장미과류(Rosaceae sp.)(예를 들어, 사과 및 배 등의 이과 식물(pip fruit) 뿐만 아니라, 살구, 체리, 아몬드 및 복숭아 등의 핵과, 딸기 등의 씨없는 작은 과일), 리베시오이다에 종(Ribesioidae sp.), 가래나무과 종(Juglandaceae sp .), 자작나무과 종(Betulaceae sp.), 옻나무과 종(Anacardiaceae sp.), 참나무과 종(Fagaceae sp.), 뽕나무과 종(Moraceae sp.), 올레아세아에 종(Oleaceae sp.), 악티니다세아에 종(Actinidaceae sp.), 녹나무과 종(Lauraceae sp.), 파초과 종(Musaceae sp.)(예를 들어 바나나 나무 및 바나나 농장), 꼭두서니과 종(Rubiaceae sp.)(예를 들어 커피), 차나무과 종(Theaceae sp.), 스테르쿨리세아에 종(Sterculiceae sp.), 운향과 종(Rutaceae sp.)(예를 들어 레몬, 오렌지 및 자몽); 솔라나세아에 종(Solanaceae sp.)(예를 들어 토마토), 백합과 종(Liliaceae sp.), 아스터라세아 종(Asteraceae sp.)(예: 상추), 산형과 종(Umbelliferae sp.), 십자화과 종(Cruciferae sp.), 케노포디아세아 종(Chenopodiaceae sp.), 박과 종(Cucurbitaceae sp.)(예를 들어 오이), 부추과 종(Alliaceae ap.)(예: 부추, 양파), 파필리오나세아에 종(Papilionaceae sp.)(예를 들어 완두), 벼과 종(graminae sp.)(예를 들어 옥수수, 잔디, 밀, 호밀, 쌀, 보리, 귀리, 수수, 라이밀과 같은 곡물), 국화과 종(Asteraceae sp.)(예: 해바라기), 십자화과 종(Brassicaceae sp.)(예: 흰양배추, 적채,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브루셀 양배추, 청경채, 콜라비, 무, 유채, 겨자, 양고추냉이, 큰다닥냉이), 파바카에 종(Fabacae sp.)(예: 콩, 땅콩), 파필리오나세아에 종(Papilionaceae sp.)(예를 들어 대두), 가지과 종(Solanaceae sp.)(예를 들어 감자), 케노포디아세아 종(Chenopodiaceae sp.)(예: 사탕무, 사료용무, 스위스근대, 근대뿌리); 정원 및 산림에 있는 유용 식물 및 관상용 식물; 및 각 경우 이들 식물의 유전자 변형된 품종이 언급될 수 있다.
(A) 신규 결정형의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 및
(B) 후술하는 목록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살진균제,
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예상대로 상가적으로 확대된 스펙트럼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또한 상승적인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놀랍게도, 이러한 상승적인 효과는 무정형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가 살진균제와 조합된 혼합물 (WO2013/127704)의 경우보다 더 현저하다.
적합한 혼합 성분 (B)는 특히 다음의 살진균제이다:
(1) 에르고스테롤 생합성 저해제, 예를 들어 (1.1) 알디모르프, (1.2) 아자코나졸, (1.3) 비테르타놀, (1.4) 브로무코나졸, (1.5) 시프로코나졸, (1.6) 디클로부트라졸, (1.7) 디페노코나졸, (1.8) 디니코나졸, (1.9) 디니코나졸-M, (1.10) 도데모르프, (1.11) 도데모르프 아세테이트, (1.12) 에폭시코나졸, (1.13) 에타코나졸, (1.14) 페나리몰, (1.15) 펜부코나졸, (1.16) 펜헥사미드, (1.17) 펜프로피딘, (1.18) 펜프로피모르프, (1.19) 플루퀸코나졸, (1.20) 플루르프리미돌, (1.21) 플루실라졸, (1.22) 플루트리아폴, (1.23) 푸르코나졸, (1.24) 푸르코나졸-시스, (1.25) 헥사코나졸, (1.26) 이마잘릴, (1.27) 이마잘릴 설페이트, (1.28) 이미벤코나졸, (1.29) 이프코나졸, (1.30) 메트코나졸, (1.31) 미클로부타닐, (1.32) 나프티핀, (1.33) 누아리몰, (1.34) 옥스포코나졸, (1.35) 파클로부트라졸, (1.36) 페푸라조에이트, (1.37) 펜코나졸, (1.38) 피페랄린, (1.39) 프로클로라즈, (1.40) 프로피코나졸, (1.41) 프로티오코나졸, (1.42) 피리부티카브, (1.43) 피리페녹스, (1.44) 퀸코나졸, (1.45) 시메코나졸, (1.46) 스피록사민, (1.47) 테부코나졸, (1.48) 테르비나핀, (1.49) 테트라코나졸, (1.50) 트리아디메폰, (1.51) 트리아디메놀, (1.52) 트리데모르프, (1.53) 트리플루미졸, (1.54) 트리포린, (1.55) 트리티코나졸, (1.56) 유니코나졸, (1.57) 유니코나졸-p, (1.58) 비니코나졸, (1.59) 보리코나졸, (1.60) 1-(4-클로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사이클로헵탄올, (1.61) 메틸 1-(2,2-디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1-일)-1H-이미다졸-5-카복실레이트, (1.62) N'-{5-(디플루오로메틸)-2-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63) N-에틸-N-메틸-N'-{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폭시]페닐}이미도포름아미드, (1.64) O-[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1H-이미다졸-1-카보티오에이트, (1.65) 피리속사졸.
(2) 호흡 억제제 (호흡사슬 억제제), 예를 들어 (2.1) 빅사펜, (2.2) 보스칼리드, (2.3) 카복신, (2.4) 디플루메토림, (2.5) 펜푸람, (2.6) 플루오피람, (2.7) 플루톨라닐, (2.8) 플럭사피록사드, (2.9) 푸라메트피르, (2.10) 푸르메사이클록스, (2.11) 이소피라잠 신(syn)-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및 안티(anti)-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SR의 혼합물, (2.12) 이소피라잠 (안티-에피머 라세미체), (2.13) 이소피라잠 (안티-에피머 거울상이성체 1R,4S,9S), (2.14) 이소피라잠 (안티-에피머 거울상이성체 1S,4R,9R), (2.15) 이소피라잠 (신-에피머 라세미체 1RS,4SR,9RS), (2.16) 이소피라잠 (신-에피머 거울상이성체 1R,4S,9R), (2.17) 이소피라잠 (신-에피머 거울상이성체 1S,4R,9S), (2.18) 메프로닐, (2.19) 옥시카복신, (2.20) 펜플루펜, (2.21) 펜티오피라드, (2.22) 세닥산, (2.23) 티플루자미드, (2.24) 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25)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2-(1,1,2,2-테트라플루오로에톡시)페닐]-1H-피라졸-4-카복사미드, (2.26) 3-(디플루오로메틸)-N-[4-플루오로-2-(1,1,2,3,3,3-헥사플루오로프로폭시)페닐]-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27) N-[1-(2,4-디클로로페닐)-1-메톡시프로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28) 5,8-디플루오로-N-[2-(2-플루오로-4-{[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일]옥시}페닐)에틸]퀴나졸린-4-아민, (2.29) 벤조빈디플루피르, (2.30) N-[(1S,4R)-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1) N-[(1R,4S)-9-(디클로로메틸렌)-1,2,3,4-테트라하이드로-1,4-메타노나프탈렌-5-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2)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3) 1,3,5-트리메틸-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4)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5)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3R)-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6)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3S)-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7)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3S)-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8)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3R)-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39) 1,3,5-트리메틸-N-[(3R)-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40) 1,3,5-트리메틸-N-[(3S)-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2.41) 베노다닐, (2.42) 2-클로로-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피리딘-3-카복사미드, (2.43) 이소페타미드.
(3) 호흡사슬의 복합체 III에서 작용하는 호흡 억제제 (호흡사슬 억제제), 예를 들어 (3.1) 아메톡트라딘, (3.2) 아미설브롬, (3.3) 아족시스트로빈, (3.4) 시아조파미드, (3.5) 쿠메톡시스트로빈, (3.6) 쿠목시스트로빈, (3.7) 디목시스트로빈, (3.8) 에네스트로부린, (3.9) 파목사돈, (3.10) 페나미돈, (3.11) 플루페녹시스트로빈, (3.12) 플루옥사스트로빈, (3.13) 크레속심-메틸, (3.14) 메토미노스트로빈, (3.15) 오리사스트로빈, (3.16) 피콕시스트로빈, (3.17) 피라클로스트로빈, (3.18) 피라메토스트로빈, (3.19) 피라옥시스트로빈, (3.20) 피리벤카브, (3.21) 트리클로피리카브, (3.22) 트리플록시스트로빈, (3.23) (2E)-2-(2-{[6-(3-클로로-2-메틸페녹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옥시}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탄아미드, (3.24)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에탄아미드, (3.25) (2E)-2-(메톡시이미노)-N-메틸-2-{2-[(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톡시}이미노)메틸]페닐}에탄아미드, (3.26) (2E)-2-{2-[({[(1E)-1-(3-{[(E)-1-플루오로-2-페닐에테닐]옥시}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탄아미드, (3.27) (2E)-2-{2-[({[(2E,3E)-4-(2,6-디클로로페닐)부트-3-엔-2-일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메톡시이미노)-N-메틸에탄아미드, (3.28) 2-클로로-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피리딘-3-카복사미드, (3.29) 5-메톡시-2-메틸-4-(2-{[({(1E)-1-[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리덴}아미노)옥시]메틸}페닐)-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온, (3.30) 메틸 (2E)-2-{2-[({사이클로프로필[(4-메톡시페닐)이미노]메틸}설파닐)메틸]페닐}-3-메톡시프로프-2-에노에이트, (3.31) N-(3-에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3-(포르밀아미노)-2-하이드록시벤즈아미드, (3.32) 2-{2-[(2,5-디메틸페녹시)메틸]페닐}-2-메톡시-N-메틸아세트아미드,
(4) 유사분열 및 세포 분열 억제제, 예를 들어 (4.1) 베노밀, (4.2) 카벤다짐, (4.3) 클로르페나졸, (4.4) 디에토펜카브, (4.5) 에타복삼, (4.6) 플루오피콜라이드, (4.7) 푸베리다졸, (4.8) 펜시쿠론, (4.9) 티아벤다졸, (4.10) 티오파네이트-메틸, (4.11) 티오파네이트, (4.12) 족사미드, (4.13) 5-클로로-7-(4-메틸피페리딘-1-일)-6-(2,4,6-트리플루오로페닐)[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 및 (4.14) 3-클로로-5-(6-클로로피리딘-3-일)-6-메틸-4-(2,4,6-트리플루오로페닐)피리다진.
(5) 다중부위 활성을 가지는 화합물, 예를 들어 (5.1) 보르도 혼합물(bordeaux mixture), (5.2) 캅타폴, (5.3) 캅탄, (5.4) 클로로탈로닐, (5.5) 수산화구리와 같은 구리 제제, (5.6) 구리 나프테네이트, (5.7) 산화구리, (5.8) 옥시염화구리, (5.9) 황산구리, (5.10) 디클로플루아니드, (5.11) 디티아논, (5.12) 도딘, (5.13) 도딘 자유 염기, (5.14) 페르밤, (5.15) 플루오로폴펫, (5.16) 폴펫, (5.17) 구아자틴, (5.18) 구아자틴 아세테이트, (5.19) 이미녹타딘, (5.20) 이미녹타딘 알베실레이트, (5.21) 이미녹타딘 트리아세테이트, (5.22) 만코퍼, (5.23) 만코젭, (5.24) 마넵, (5.25) 메티람, (5.26) 아연 메티람, (5.27) 구리-옥신, (5.28) 프로파미딘, (5.29) 프로피네브, (5.30) 황과 칼슘 폴리설파이드를 포함하는 황 제제, (5.31) 티람, (5.32) 톨릴플루아니드, (5.33) 지넵, (5.34) 지람 및 (5.35) 아닐라진.
(6) 저항성 유도제, 예를 들어 (6.1) 아시벤졸라-S-메틸, (6.2) 이소티아닐, (6.3) 프로베나졸 및 (6.4) 티아디닐 및 (6.5) 라미나린.
(7) 아미노산 및 단백질 생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7.1) , (7.2) 블라스티시딘-S, (7.3) 시프로디닐, (7.4) 카수가마이신, (7.5) 카수가마이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레이트, (7.6) 메파니피림 및 (7.7) 피리메타닐, (7.8) 3-(5-플루오로-3,3,4,4-테트라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7.9) 옥시테트라사이클린 및 (7.10) 스트렙토마이신.
(8) ATP 생산 억제제, 예를 들어 (8.1) 펜틴 아세테이트, (8.2) 펜틴 클로라이드, (8.3) 펜틴 하이드록사이드 및 (8.4) 실티오팜.
(9) 세포벽 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9.1) 벤티아발리카브, (9.2) 디메토모르프, (9.3) 플루모르프, (9.4) 이프로발리카브, (9.5) 만디프로파미드, (9.6) 폴리옥신스, (9.7) 폴리옥소림, (9.8) 발리다마이신 A, (9.9) 발리페날레이트, (9.10) 폴리옥신 B.
(10) 지질 및 막 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10.1) 비페닐, (10.2) 클로르넵, (10.3) 디클로란, (10.4) 에디펜포스, (10.5) 에트리디아졸, (10.6) 요오도카브, (10.7) 이프로벤포스, (10.8) 이소프로티올란, (10.9) 프로파모카브, (10.10) 프로파모카브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0.11) 프로티오카브, (10.12) 피라조포스, (10.13) 퀸토젠, (10.14) 테크나젠 및 (10.15) 톨클로포스-메틸.
(11) 멜라닌 생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11.1) 카프로파미드, (11.2) 디클로시메트, (11.3) 페녹사닐, (11.4) 프탈라이드, (11.5) 피로퀼론, (11.6) 트리사이클라졸 및 (11.7) 2,2,2-트리플루오로에틸 {3-메틸-1-[(4-메틸벤조일)아미노]부탄-2-일}카바메이트.
(12) 핵산 합성 억제제, 예를 들어 (12.1) 베날락실, (12.2) 베날락실-M(키랄락실), (12.3) 부피리메이트, (12.4) 클로질라콘, (12.5) 디메티리몰, (12.6) 에티리몰, (12.7) 푸랄락실, (12.8) 히멕사졸, (12.9) 메탈락실, (12.10) 메탈락실-M(메페녹삼), (12.11) 오푸라스, (12.12) 옥사딕실, (12.13) 옥솔린산 및 (12.14) 옥틸리논.
(13) 신호전달 억제제, 예를 들어 (13.1) 클로졸리네이트, (13.2) 펜피클로닐, (13.3) 플루디옥소닐, (13.4) 이프로디온, (13.5) 프로시미돈, (13.6) 퀴녹시펜, (13.7) 빈클로졸린 및 (13.8) 프로퀴나지드.
(14) 탈커플러(Decoupler), 예를 들어 (14.1) 비나파크릴, (14.2) 디노캅, (14.3) 페림존, (14.4) 플루아지남, (14.5) 멥틸디노캅.
(15) 추가 화합물, 예를 들어 (15.1) 벤티아졸, (15.2) 베톡사진, (15.3) 캡시마이신, (15.4) 카본, (15.5) 키노메티오네트, (15.6) 피리오페논(클라자페논), (15.7) 쿠프라네브, (15.8) 사이플루펜아미드, (15.9) 사이목사닐, (15.10) 사이프로설파미드, (15.11) 다조메트, (15.12) 데바카브, (15.13) 디클로로펜, (15.14) 디클로메진, (15.15) 디펜조쿼트, (15.16) 디펜조쿼트 메틸설페이트, (15.17) 디페닐아민, (15.18) 에코메이트, (15.19) 펜피라자민, (15.20) 플루메토버, (15.21) 플루오르이미드, (15.22) 플루설파미드, (15.23) 플루티아닐, (15.24) 포세틸-알루미늄, (15.25) 포세틸-칼슘, (15.26) 포세틸-소듐, (15.27) 헥사클로로벤젠, (15.28) 이루마마이신, (15.29) 메타설포카브, (15.30) 메틸 이소티오시아네이트, (15.31) 메트라페논, (15.32) 밀디오마이신, (15.33) 나타마이신, (15.34) 니켈 디메틸디티오카바메이트, (15.35) 니트로탈-이소프로필, (15.36) 옥틸리논, (15.37) 옥사모카브, (15.38) 옥시펜티인, (15.39) 펜타클로로페놀 및 염, (15.40) 페노트린, (15.41) 아인산 및 그의 염, (15.42) 프로파모카브-포세틸레이트, (15.43) 프로파노신-소듐, (15.44) 피리모프, (15.45) (2E)-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르폴린-4-일)프로프-2-엔-1-온, (15.46) (2Z)-3-(4-tert-부틸페닐)-3-(2-클로로피리딘-4-일)-1-(모르폴린-4-일)프로프-2-엔-1-온, (15.47) 피롤니트린, (15.48) 테부플로퀸, (15.49) 테클로프탈람, (15.50) 톨니파니드, (15.51) 트리아족시드, (15.52) 트리클라미드, (15.53) 자릴라미드, (15.54) (3S,6S,7R,8R)-8-벤질-3-[({3-[(이소부티릴옥시)메톡시]-4-메톡시피리딘-2-일}카보닐)아미노]-6-메틸-4,9-디옥소-1,5-디옥소난-7-일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15.55) 1-(4-{4-[(5R)-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5.56) 1-(4-{4-[(5S)-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5.57) 1-(4-{4-[5-(2,6-디플루오로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에타논, (15.58) 1-(4-메톡시페녹시)-3,3-디메틸부탄-2-일 1H-이미다졸-1-카복실레이트, (15.59) 2,3,5,6-테트라클로로-4-(메틸설포닐)피리딘, (15.60) 2,3-디부틸-6-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4(3H)-온, (15.61) 2,6-디메틸-1H,5H-[1,4]디티이노[2,3-c:5,6-c']디피롤-1,3,5,7(2H,6H)-테트론, (15.62)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R)-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15.63)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S)-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15.64) 2-[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1-{4-[4-(5-페닐-4,5-디하이드로-1,2-옥사졸-3-일)-1,3-티아졸-2-일]피페리딘-1-일}에타논, (15.65) 2-부톡시-6-요오도-3-프로필-4H-크로멘-4-온, (15.66) 2-클로로-5-[2-클로로-1-(2,6-디플루오로-4-메톡시페닐)-4-메틸-1H-이미다졸-5-일]피리딘, (15.67) 2-페닐페놀 및 염, (15.68) 3-(4,4,5-트리플루오로-3,3-디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15.69) 3,4,5-트리클로로피리딘-2,6-디카보니트릴, (15.70) 3-클로로-5-(4-클로로페닐)-4-(2,6-디플루오로페닐)-6-메틸피리다진, (15.71) 4-(4-클로로페닐)-5-(2,6-디플루오로페닐)-3,6-디메틸피리다진, (15.72) 5-아미노-1,3,4-티아디아졸-2-티올, (15.73) 5-클로로-N'-페닐-N'-(프로프-2-인-1-일)티오펜-2-설포노히드라지드, (15.74) 5-플루오로-2-[(4-플루오로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15.75) 5-플루오로-2-[(4-메틸벤질)옥시]피리미딘-4-아민, (15.76) 5-메틸-6-옥틸[1,2,4]트리아졸로[1,5-a]피리미딘-7-아민, (15.77) 에틸 (2Z)-3-아미노-2-시아노-3-페닐아크릴레이트, (15.78) N'-(4-{[3-(4-클로로벤질)-1,2,4-티아디아졸-5-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79) N-(4-클로로벤질)-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15.80) N-[(4-클로로페닐)(시아노)메틸]-3-[3-메톡시-4-(프로프-2-인-1-일옥시)페닐]프로판아미드, (15.81) N-[(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메틸]-2,4-디클로로니코틴아미드, (15.82)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4-디클로로니코틴아미드, (15.83) N-[1-(5-브로모-3-클로로피리딘-2-일)에틸]-2-플루오로-4-요오도니코틴아미드, (15.84) N-{(E)-[(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트아미드, (15.85) N-{(Z)-[(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이미노][6-(디플루오로메톡시)-2,3-디플루오로페닐]메틸}-2-페닐아세트아미드, (15.86) N'-{4-[(3-tert-부틸-4-시아노-1,2-티아졸-5-일)옥시]-2-클로로-5-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87)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15.88)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R)-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15.89) N-메틸-2-(1-{[5-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N-[(1S)-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1-일]-1,3-티아졸-4-카복사미드, (15.90) 펜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5.91) 페나진-1-카복실산, (15.92) 퀴놀린-8-올, (15.93) 퀴놀린-8-올 설페이트 (2:1), (15.94) tert-부틸 {6-[({[(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5.95) 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틸)바이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96) N-(4'-클로로바이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97) N-(2',4'-디클로로바이페닐-2-일)-3-(디플루오로메틸)-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98)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바이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99) N-(2',5'-디플루오로바이페닐-2-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00) 3-(디플루오로메틸)-1-메틸-N-[4'-(프로프-1-인-1-일)바이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01) 5-플루오로-1,3-디메틸-N-[4'-(프로프-1-인-1-일)바이페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02) 2-클로로-N-[4'-(프로프-1-인-1-일)바이페닐-2-일]니코틴아미드, (15.103) 3-(디플루오로메틸)-N-[4'-(3,3-디메틸부트-1-인-1-일)바이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04) N-[4'-(3,3-디메틸부트-1-인-1-일)바이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05) 3-(디플루오로메틸)-N-(4'-에티닐바이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06) N-(4'-에티닐바이페닐-2-일)-5-플루오로-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07) 2-클로로-N-(4'-에티닐바이페닐-2-일)니코틴아미드, (15.108) 2-클로로-N-[4'-(3,3-디메틸부트-1-인-1-일)바이페닐-2-일]니코틴아미드, (15.109) 4-(디플루오로메틸)-2-메틸-N-[4'-(트리플루오로메틸)바이페닐-2-일]-1,3-티아졸-5-카복사미드, (15.110) 5-플루오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바이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11) 2-클로로-N-[4'-(3-하이드록시-3-메틸부트-1-인-1-일)바이페닐-2-일]니코틴아미드, (15.112) 3-(디플루오로메틸)-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바이페닐-2-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13) 5-플루오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바이페닐-2-일]-1,3-디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14) 2-클로로-N-[4'-(3-메톡시-3-메틸부트-1-인-1-일)바이페닐-2-일]니코틴아미드, (15.115) (5-브로모-2-메톡시-4-메틸피리딘-3-일)(2,3,4-트리메톡시-6-메틸페닐)메타논, (15.116) N-[2-(4-{[3-(4-클로로페닐)프로프-2-인-1-일]옥시}-3-메톡시페닐)에틸]-N2-(메틸설포닐)발린아미드, (15.117) 4-옥소-4-[(2-페닐에틸)아미노]부탄산, (15.118) 부트-3-인-1-일 {6-[({[(Z)-(1-메틸-1H-테트라졸-5-일)(페닐)메틸렌]아미노}옥시)메틸]피리딘-2-일}카바메이트, (15.119) 4-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2-올 (호변이성형: 4-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2(1H)-온), (15.120) 프로필 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15.121) 1,3-디메틸-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22) 1,3-디메틸-N-[(3R)-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23) 1,3-디메틸-N-[(3S)-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24) [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디플루오로페닐)-1,2-옥사졸-4-일](피리딘-3-일)메탄올, (15.125) (S)-[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디플루오로페닐)-1,2-옥사졸-4-일](피리딘-3-일)메탄올, (15.126) (R)-[3-(4-클로로-2-플루오로페닐)-5-(2,4-디플루오로페닐)-1,2-옥사졸-4-일](피리딘-3-일)메탄올, (15.127) 2-{[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28) 1-{[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1H-1,2,4-트리아졸-5-일 티오시아네이트, (15.129) 5-(알릴설파닐)-1-{[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1H-1,2,4-트리아졸, (15.130) 2-[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31) 2-{[rel(2R,3S)-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32) 2-{[rel(2R,3R)-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33) 1-{[rel(2R,3S)-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1H-1,2,4-트리아졸-5-일 티오시아네이트, (15.134) 1-{[rel(2R,3R)-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1H-1,2,4-트리아졸-5-일 티오시아네이트, (15.135) 5-(알릴설파닐)-1-{[rel(2R,3S)-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1H-1,2,4-트리아졸, (15.136) 5-(알릴설파닐)-1-{[rel(2R,3R)-3-(2-클로로페닐)-2-(2,4-디플루오로페닐)옥시란-2-일]메틸}-1H-1,2,4-트리아졸, (15.137) 2-[(2S,4S,5S)-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38) 2-[(2R,4S,5S)-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39) 2-[(2R,4R,5R)-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40) 2-[(2S,4R,5R)-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41) 2-[(2S,4S,5R)-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42) 2-[(2R,4S,5R)-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43) 2-[(2R,4R,5S)-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44) 2-[(2S,4R,5S)-1-(2,4-디클로로페닐)-5-하이드록시-2,6,6-트리메틸헵탄-4-일]-2,4-디하이드로-3H-1,2,4-트리아졸-3-티온, (15.145) 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N-(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벤즈아미드, (15.146) 2-(6-벤질피리딘-2-일)퀴나졸린, (15.147) 2-[6-(3-플루오로-4-메톡시페닐)-5-메틸피리딘-2-일]퀴나졸린, (15.148) 3-(4,4-디플루오로-3,3-디메틸-3,4-디하이드로이소퀴놀린-1-일)퀴놀린, (15.149) 아브시스산, (15.150) 3-(디플루오로메틸)-N-메톡시-1-메틸-N-[1-(2,4,6-트리클로로페닐)프로판-2-일]-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51) N'-[5-브로모-6-(2,3-디하이드로-1H-인덴-2-일옥시)-2-메틸피리딘-3-일]-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152) N'-{5-브로모-6-[1-(3,5-디플루오로페닐)에톡시]-2-메틸피리딘-3-일}-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153) N'-{5-브로모-6-[(1R)-1-(3,5-디플루오로페닐)에톡시]-2-메틸피리딘-3-일}-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154) N'-{5-브로모-6-[(1S)-1-(3,5-디플루오로페닐)에톡시]-2-메틸피리딘-3-일}-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155) N'-{5-브로모-6-[(시스-4-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실)옥시]-2-메틸피리딘-3-일}-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156) N'-{5-브로모-6-[(트랜스-4-이소프로필사이클로헥실)옥시]-2-메틸피리딘-3-일}-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157)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N-(2-이소프로필벤질)-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58) N-사이클로프로필-N-(2-사이클로프로필벤질)-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59) N-(2-tert-부틸벤질)-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0) N-(5-클로로-2-에틸벤질)-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1) N-(5-클로로-2-이소프로필벤질)-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2)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N-(2-에틸-5-플루오로벤질)-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3)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N-(5-플루오로-2-이소프로필벤질)-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4) N-사이클로프로필-N-(2-사이클로프로필-5-플루오로벤질)-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5) N-(2-사이클로펜틸-5-플루오로벤질)-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6)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N-(2-플루오로-6-이소프로필벤질)-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7)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N-(2-에틸-5-메틸벤질)-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8)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N-(2-이소프로필-5-메틸벤질)-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69) N-사이클로프로필-N-(2-사이클로프로필-5-메틸벤질)-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0) N-(2-tert-부틸-5-메틸벤질)-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1) N-[5-클로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2)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N-[5-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3) N-[2-클로로-6-(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4) N-[3-클로로-2-플루오로-6-(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5)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N-(2-에틸-4,5-디메틸벤질)-5-플루오로-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6) N-사이클로프로필-3-(디플루오로메틸)-5-플루오로-N-(2-이소프로필벤질)-1-메틸-1H-피라졸-4-카보티오아미드, (15.177) 3-(디플루오로메틸)-N-(7-플루오로-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8) 3-(디플루오로메틸)-N-[(3R)-7-플루오로-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79) 3-(디플루오로메틸)-N-[(3S)-7-플루오로-1,1,3-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H-인덴-4-일]-1-메틸-1H-피라졸-4-카복사미드, (15.180) N'-(2,5-디메틸-4-페녹시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181) N'-{4-[(4,5-디클로로-1,3-티아졸-2-일)옥시]-2,5-디메틸페닐}-N-에틸-N-메틸이미도포름아미드, (15.182) N-(4-클로로-2,6-디플루오로페닐)-4-(2-클로로-4-플루오로페닐)-1,3-디메틸-1H-피라졸-5-아민.
(1) 내지 (15) 그룹에 언급된 모든 혼합 파트너들은 이들의 작용 그룹에 기초해 적합한 염기 또는 산과 임의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모든 식물 및 식물 부위가 처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물이란 원하거나 원치않는 야생 식물 또는 작물(자연 발생 작물 포함)과 같은 모든 식물 및 식물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작물은 품종권자의 주권으로 보호될 수 있거나 보호될 수 없는 식물 품종 및 유전자이식(transgenic) 식물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식물 재배 및 최적화 방법에 의해, 생명공학 및 유전자공학에 의해 또는 이들 방법을 조합하여 얻을 수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식물 부위는 식물의 모든 지상 및 지하 부분 및 기관, 예를 들어 싹, 잎, 꽃 및 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들의 예로 잎, 침엽(needles), 자루(stalk), 줄기(stem), 꽃, 과실체, 과일, 종자, 뿌리, 괴경 및 뿌리 줄기가 언급될 수 있다. 수확 물질, 및 영양 및 생식 번식 물질, 예를 들어 묘목, 괴경, 뿌리줄기, 슬립(slip) 및 종자가 또한 식물 부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신규 결정성 활성 성분 또는 신규 결정성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활성 성분 배합물로 식물 및 식물 부위를 처리하는 것은 통상의 처리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침지, 분무, 증발, 포깅, 스캐터링, 도포, 주입에 의해서 및, 번식 물질, 특히 종자의 경우에는 또한 일 또는 다중 코팅을 적용하여 직접, 또는 그의 주변, 환경 또는 저장 공간에 작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다음의 식물들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식물로서 언급될 수 있다: 면화, 아마, 포도나무, 과수, 채소류, 예컨대 장미과류(Rosaceae sp.)(예를 들어, 사과 및 배 등의 이과 식물(pip fruit) 뿐만 아니라, 살구, 체리, 아몬드 및 복숭아 등의 핵과, 딸기 등의 씨없는 작은 과일), 리베시오이다에 종(Ribesioidae sp.), 가래나무과 종(Juglandaceae sp.), 자작나무과 종(Betulaceae sp.), 옻나무과 종(Anacardiaceae sp.), 참나무과 종(Fagaceae sp.), 뽕나무과 종(Moraceae sp.), 올레아세아에 종(Oleaceae sp.), 악티니다세아에 종(Actinidaceae sp.), 녹나무과 종(Lauraceae sp.), 파초과 종(Musaceae sp.)(예를 들어 바나나 나무 및 바나나 농장), 꼭두서니과 종(Rubiaceae sp.)(예를 들어 커피), 차나무과 종(Theaceae sp.), 스테르쿨리세아에 종(Sterculiceae sp.), 운향과 종(Rutaceae sp.)(예를 들어 레몬, 오렌지 및 자몽); 솔라나세아에 종(Solanaceae sp.)(예를 들어 토마토), 백합과 종(Liliaceae sp.), 아스터라세아 종(Asteraceae sp.)(예: 상추), 산형과 종(Umbelliferae sp.), 십자화과 종(Cruciferae sp.), 케노포디아세아 종(Chenopodiaceae sp.), 박과 종(Cucurbitaceae sp.)(예를 들어 오이), 부추과 종(Alliaceae ap.)(예: 부추, 양파), 파필리오나세아에 종(Papilionaceae sp.)(예를 들어 완두), 벼과 종(graminae sp.)(예를 들어 옥수수, 잔디, 밀, 호밀, 쌀, 보리, 귀리, 수수, 라이밀과 같은 곡물), 국화과 종(Asteraceae sp.)(예: 해바라기), 십자화과 종(Brassicaceae sp.)(예: 흰양배추, 적채,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브루셀 양배추, 청경채, 콜라비, 무, 유채, 겨자, 양고추냉이, 큰다닥냉이), 파바카에 종(Fabacae sp.)(예: 콩, 땅콩), 파필리오나세아에 종(Papilionaceae sp.)(예를 들어 대두), 가지과 종(Solanaceae sp.)(예를 들어 감자), 케노포디아세아 종(Chenopodiaceae sp.)(예: 사탕무, 사료용무, 스위스근대, 근대뿌리); 정원 및 산림에 있는 유용 식물 및 관상용 식물; 및 각 경우 이들 식물의 유전자 변형된 품종.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결정성 활성 성분 또는 활성 성분 배합물로 식물 및 식물 부위를 처리하는 것은 통상의 처리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침지, 분무, 증발, 포깅, 스캐터링, 도포, 주입에 의해서 및, 번식 물질, 특히 번식 물질의 경우에는 또한 일 또는 다중 코팅을 적용하여 직접, 또는 그의 주변, 환경 또는 저장 공간에 작용시킴으로써 수행된다.
해충에 의해 야기되는 대부분의 작물 피해는 종자가 저장 중에 감염될 때, 종자가 토양에 도입된 후, 식물의 발아 동안, 및 그 직후와 같이 일찍이 일어난다. 이러한 현상은 성장 식물의 뿌리 및 어린싹이 특히 민감하고 심지어 약간의 피해에도 전체 식물이 고사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적절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종자 및 발아 식물을 보호하는 것이 큰 관심사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또한 종자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하여 종자 및 발아 식물을 해충의 침습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종자 및 그에서 생겨난 식물을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종자를 처리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처리된 종자에 관한 것이다. 종자는 통상적인 종자 또는 유전자이식 종자의 의미로 이해된다.
유전자이식 종자의 경우, 이 종자로부터 발생한 식물이 해충에 대한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특히 살충성을 갖는 폴리펩티드의 발현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종 유전자를 포함하는 식물의 종자 형태를 위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전자이식 종자내 이종 유전자는 바실러스(Bacillus), 리조비움(Rhizobium), 슈도모나스(Pseudomonas), 세타리아(Serratia), 트리코더마(Trichoderma), 클라비박터(Clavibacter), 글로무스(Glomus) 또는 글리오클라듐(Glio-cladium)과 같은 미생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실러스 에스피(Bacillus sp.)로부터 유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종 유전자를 포함하며 그의 유전자 산물이 유럽 조명충나방 및/또는 옥수수 뿌리벌레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 유전자이식 종자를 처리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바실러스 투린기엔시스(Bacillus thuringiensis)로부터 유래된 이종 유전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종자를 처리함으로써, 예를 들어 살충 단백질의 발현만으로도 특정 해충이 방제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종자에 대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농업, 온실, 숲, 또는 원예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 식물 품종의 종자를 보호하는데 적합하다. 특히, 이는 옥수수, 땅콩, 캐놀라, 유채, 양귀비, 대두, 면화, 무(예: 사탕무 및 사료무), 쌀, 수수, 밀, 보리, 귀리, 호밀, 해바라기, 담배, 감자 또는 채소 (예: 토마토, 캐비지종)의 종자 형태를 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상술된 과수 식물 및 채소의 종자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다. 옥수수, 대두, 면화, 밀 및 캐놀라 또는 유채의 종자 처리가 특히 중요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적합한 제형으로 종자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종자는 처리 동안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히 안정한 상태로 처리된다. 일반적으로, 종자는 수확과 파종 사이 어느 시점에도 처리가 가능하다. 보통, 사용된 종자는 식물로부터 분리되며, 식물의 속, 껍질, 줄기, 외피, 털 또는 과육이 없다.
종자 처리시, 일반적으로 종자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양 및/또는 추가의 첨가제의 양은 종자 발아가 해를 입지 않거나, 발생된 식물이 피해를 입지 않게 선택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는 특히 특정 적용률에서 식물독성 효과를 가질 수 있는 활성 성분인 경우에 지켜져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직접, 즉 어떤 다른 성분을 함유함이 없이 희석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조성물을 적합한 제형 형태로 종자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제형 및 종자 처리방법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음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US 4,272,417 A, US 4,245,432 A, US 4,808,430 A, US 5,876,739 A, US 2003/0176428 A1, WO 2002/080675 A1, WO 2002/028186 A2.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은 용액제, 에멀젼, 현탁액, 분말, 포움, 슬러리 또는 기타 종자용 코팅 물질 및 ULV 제제와 같은 통상의 제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활성 성분을 통상의 첨가제, 예를 들면 통상의 증량제 및 또한 용매 또는 희석제, 염료, 습윤제, 분산제, 유화제, 소포제, 방부제, 이차 농후제, 점착제, 지베렐린 및 물과 혼합하여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착색제는 이러한 목적에 통상적인 모든 착색제를 포함한다. 수난용성 안료 또는 수용성 염료 둘 다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는, 로다민 B, C.I. 적색소 112 및 C.I. 적용매 1로 알려진 염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습윤제는 습윤성을 촉진하고 농약 활성 성분의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한다. 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 예컨대 디이소프로필- 또는 디이소부틸나프탈렌설포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분산제 및/또는 유화제는 농약 활성 성분의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비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분산제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분산제 또는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분산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분산제는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블록 폴리머, 알킬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및 트리스티릴페놀 폴리글리콜 에테르 및 이들의 포스페이트화 또는 설페이트화 유도체이다. 적합한 음이온성 분산제는 리그노설포네이트, 폴리아크릴산염 및 아릴설포네이트/포름알데히드 축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소포제는 농약 활성 성분의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기포 억제 물질이다. 실리콘 소포제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방부제는 농약 조성물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이다. 예로서는 디클로로펜 및 벤질 알콜 헤미포르말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이차 농후제는 농화학 조성물에서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이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셀룰로즈 유도체, 아크릴산 유도체, 크산탄, 개질 점토 및 고분산 실리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종자 드레싱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점착제는 종자 드레싱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통상의 바인더이다. 바람직한 예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콜 및 틸로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지베렐린은 바람직하게는 지베렐린 A1, A3 (= 지베렐린산), A4 및 A7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지베렐린산이 사용된다. 지베렐린은 공지되었다(참조: R. Wegler "Chemie der Pflanzenschutz- und Schaedlingsbekaempfungsmittel", vol. 2, Springer Verlag, 1970, pp. 401-412).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은 유전자이식 식물의 종자를 비롯해, 상이한 광범위 종자를 처리하기 위해 직접, 또는 사전에 물로 희석 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현에 의해 형성된 물질과의 상호작용으로 추가의 상승효과가 또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종자 드레싱 제형 또는 물을 첨가하여 그로부터 제조된 제제로 종자를 처리하기 위해, 종자 드레싱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혼합 장비가 유용하다. 특히, 종자 드레싱시 채용되는 절차는 종자를 믹서에 도입하고, 특정 소정량의 종자 드레싱 제형을 그 자체로 또는 물로 희석한 후에 첨가한 다음, 제형이 종자상에 균일하게 분포될 때까지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건조 작업이 뒤따른다.
도 2: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의 X-선 분말 디프랙토그램.
신규 고체 형태의 제조
무정형의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 (형태 A) (WO201202555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됨) 3 g을 40 ml의 이소프로판올과 혼합하고, 82 ℃로 가열하였다. 이어, 현탁액을 그 온도에서 10 분동안 교반하였다. 현탁액을 방치하여 20 ℃ 까지 식힌 후, 이 온도에서 16 시간 더 교반하였다. 침전된 결정을 흡인여과하고, 실온 및 대기압하에 건조하였다. 153 - 154 ℃ 범위의 융점을 가지는 결정성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 (형태 B) 2.7 g을 수득하였다.
1H-NMR (D6-DMSO, 298K, 400 MHz)은 WO 2012/025557호에 언급된 무정형 상태의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것에 해당한다.
실시예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을 방제하는데 무정형에 비해 결정형이 우월하다는 것이 하기 실시예로 입증된다:
실시예 1
피토프토라 시험(토마토)/보호성
제형을 물에 현탁시키고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적합한 활성 성분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물질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공지된 무정형 변형체 (형태 A)와, 물질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본 발명의 결정형 (형태 B) 모두 50 g a.i./리터의 SC 제형으로서 사용되었다.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어린 식물에 활성 성분의 제제를 지정된 적용률로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의 초기 건조 후, 식물을 피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의 수성 포자 현탁액으로 접종하였다. 이어 식물을 약 20 ℃ 및 100% 상대 대기습도의 인큐베이션 캐비넷에 두었다.
접종 3일 후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0%란 대조군에 상응하는 효과를 의미하고, 효과가 100%란 감염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표 A
피토프토라 시험(토마토)/보호성
Figure pct00006
실시예 2
플라스모파라 시험(포도나무)/보호성
제형을 물에 현탁시키고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적합한 활성 성분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 경우, 물질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공지된 무정형 변형체 (형태 A)와, 물질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본 발명의 결정형 (형태 B) 모두 50 g a.i./리터의 SC 제형으로서 사용되었다.
보호 효과를 시험하기 위해, 어린 식물에 활성 성분의 제제를 지정된 적용률로 분무하였다. 분무 코팅의 초기 건조 후, 식물을 플라스모파라 비티콜라(Plasmopara viticola)의 수성 포자 현탁액으로 접종하였다. 이어 식물을 약 20 ℃ 및 100% 상대 대기습도의 인큐베이션 캐비넷에 하루동안 두었다. 이어, 식물을 약 21 ℃ 및 약 90% 상대 대기습도의 온실에 4 일동안 놓아 두었다. 그 다음에, 식물을 습윤화시키고, 인큐베이션 캐비넷에 하루동안 두었다.
접종 6일 후에 평가를 실시하였다. 0%란 대조군에 상응하는 효과를 의미하고, 효과가 100%란 감염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표 B
플라스모파라 시험(포도나무)/보호성
Figure pct00007

Claims (10)

  1. 25 ℃에서 X-선 분말 디프랙토그램이 적어도 3개의 하기 2Θ(2 세타)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결정형: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2. 제1항에 있어서, 25 ℃에서 그의 X-선 분말 디프랙토그램이 적어도 4개의 제1항에 언급된 2Θ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신규 고체 형태 및 적합한 보조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식물내 및/또는 식물상 또는 식물의 종자내 및/또는 종자상에서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을 방제하기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결정형 또는 제3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5. 종자 처리를 위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결정형 또는 제3항에 따른 조성물의 용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신규 고체 형태 또는 제3항에 따른 조성물을 식물-병원성 유해 진균 및/또는 그의 서식지 및/또는 종자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내 및/또는 식물상 또는 식물의 종자내 및/또는 종자상에서의 방제방법.
  7. (a) 무정형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를 적어도 50 ℃의 온도에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현탁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현탁액을 서서히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화합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서서히 냉각시키는 단계가 단계식으로 수행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사용된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이 이소프로판올, 톨루엔, 메틸-THF, 디에틸 카보네이트, 클로로벤젠, n-부틸 아세테이트 및 이소부틸 아세테이트, n-부탄올, 에탄올, 에틸 말로네이트, 메틸 t-부틸 에테르, 및 또한 톨루엔과 부탄올의 혼합물, 톨루엔과 n-부틸 아세테이트의 혼합물, 에틸 말로네이트와 메틸 t-부틸 에테르의 혼합물, 및 부틸 아세테이트와 메틸 t-부틸 에테르의 혼합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사용된 용매가 이소프로판올인 방법.
KR1020167011546A 2013-10-17 2014-10-13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 KR102280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89076 2013-10-17
EP13189076.6 2013-10-17
EP14175455 2014-07-02
EP14175455.6 2014-07-02
PCT/EP2014/071874 WO2015055574A1 (de) 2013-10-17 2014-10-13 Neue kristalline form von 2-{3-[2-(1-{[3,5-bis(difluormethyl)-1h-pyrazol-1-yl]acetyl}piperidin-4-yl)-1,3-thiazol-4-yl]-4,5-dihydro-1,2-oxazol-5-yl}-3-chlorphenylmethansulfon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134A true KR20160072134A (ko) 2016-06-22
KR102280580B1 KR102280580B1 (ko) 2021-07-21

Family

ID=5169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1546A KR102280580B1 (ko) 2013-10-17 2014-10-13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783534B2 (ko)
EP (1) EP3057967B1 (ko)
JP (1) JP6400696B2 (ko)
KR (1) KR102280580B1 (ko)
CN (1) CN105829306B (ko)
DK (1) DK3057967T3 (ko)
ES (1) ES2645448T3 (ko)
MX (1) MX361771B (ko)
RU (1) RU2691948C2 (ko)
UA (1) UA116582C2 (ko)
WO (1) WO2015055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24350A1 (ja) 2014-08-13 2016-02-18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エス バイオテック 縮合11員環化合物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菌剤
WO2016173996A1 (en) * 2015-04-29 2016-11-03 Bayer Cropscience Aktiengesellschaft Use of 2-{3-[2-(1-{[3,5-bis(difluoromethyl)-1h-pyrazol-1-yl]acetyl}piperidin-4-yl)-1,3-thiazol-4-yl]-4,5-dihydro-1,2-oxazol-5-yl}-3-chlorophenyl methanesulfonate
WO2017109855A1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エス バイオテック チアゾール化合物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菌剤
WO2017109858A1 (ja) * 2015-12-22 2017-06-29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エス バイオテック 縮合11員環化合物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農園芸用殺菌剤
US11903387B2 (en) 2016-02-08 2024-02-20 Gowan Company, L.L.C. Fungicidal composition
JP6407457B2 (ja) 2016-02-08 2018-10-17 株式会社エス・ディー・エス バイオテック 1,2−ベンゼンジメタノ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PL3522714T3 (pl) 2016-10-10 2024-03-04 Basf Se Mieszaniny szkodnikobójcz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5557A1 (en) * 2010-08-25 2012-03-01 Bayer Cropscience Ag Heteroarylpiperidine and -piperazine derivatives as fungicides
WO2013127704A1 (en) * 2012-02-27 2013-09-06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ntaining a thiazoylisoxazoline and a fungici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28091B (zh) * 2007-10-23 2014-03-01 Du Pont 殺真菌劑混合物
TWI508962B (zh) * 2009-04-22 2015-11-21 Du Pont 氮雜環醯胺之固體形態
CN104936450A (zh) * 2012-12-20 2015-09-23 巴斯夫欧洲公司 包含三唑化合物的组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5557A1 (en) * 2010-08-25 2012-03-01 Bayer Cropscience Ag Heteroarylpiperidine and -piperazine derivatives as fungicides
WO2013127704A1 (en) * 2012-02-27 2013-09-06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ontaining a thiazoylisoxazoline and a fungic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45448T3 (es) 2017-12-05
CN105829306A (zh) 2016-08-03
RU2016118796A3 (ko) 2018-06-22
MX2016004725A (es) 2016-07-26
KR102280580B1 (ko) 2021-07-21
EP3057967A1 (de) 2016-08-24
RU2016118796A (ru) 2017-11-20
US9783534B2 (en) 2017-10-10
CN105829306B (zh) 2019-07-23
DK3057967T3 (da) 2017-11-06
JP6400696B2 (ja) 2018-10-03
RU2691948C2 (ru) 2019-06-19
US20160251344A1 (en) 2016-09-01
JP2016533362A (ja) 2016-10-27
WO2015055574A1 (de) 2015-04-23
MX361771B (es) 2018-12-17
EP3057967B1 (de) 2017-10-11
UA116582C2 (uk) 201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7466B (zh) 活性化合物结合物
JP6088426B2 (ja) 殺菌剤と組み合わせたアントラニルアミド
RU2480457C2 (ru) Фунгицидные n-циклоалкилбензилтиокарбоксамиды или n-циклоалкилбензил-n'-замещенные амиди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KR102280580B1 (ko) 2-{3-[2-(1-{[3,5-비스(디플루오로메틸)-1h-피라졸-1-일]아세틸}피페리딘-4-일)-1,3-티아졸-4-일]-4,5-디하이드로-1,2-옥사졸-5-일}-3-클로로페닐메탄설포네이트의 신규 결정형
KR20190115449A (ko) 1-(페녹시-피리디닐)-2-(1,2,4-트리아졸-1-일)-에탄올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해 미생물을 방제하기 위한 조성물
TW201927775A (zh) 殺真菌性之㗁二唑
AU2016227796A1 (en) Fungicidally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CN111712495A (zh) 羟基异*唑啉及其衍生物
EP3525588A1 (en) 4-substituted phenyl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to protect crops by fighting undesired phytopathogenic micoorganisms
JP2020513413A (ja) フェニルアミジン類及びそれの殺菌剤としての使用
AU2017342206B2 (en) 4-amino substituted phenyla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to protect crops by fighting undesired phytopathogenic micoorganisms
WO2017220491A1 (en)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KR20180008703A (ko) 커피 녹병, 감귤 검은무늬병, 감귤 더뎅이병 및 바나나 검정 시가토카병의 처리 방법
WO2018116073A1 (en) 1, 2, 3-thiadiazole compounds and their use as crop protecting agent
BR112019012219A2 (pt) fenoxifenilamidinas e o uso das mesmas como fungicidas
EP3612514B1 (en) Novel phenylamine compounds
CN109890795A (zh) 新的5-取代的咪唑衍生物
RU2796397C2 (ru) Производные 4-замещенного фенилами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защиты культур от нежелательных фитопатогенны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WO2019122320A1 (en) Heterocyclic benzosultams and analogues
WO2021094906A1 (en) Novel agrochemical composition comprising 4-substituted phenylamidine compounds
TW201825448A (zh) 新穎之三唑衍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