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829A - 칫솔용의 핸들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용의 핸들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829A
KR20160065829A KR1020167007681A KR20167007681A KR20160065829A KR 20160065829 A KR20160065829 A KR 20160065829A KR 1020167007681 A KR1020167007681 A KR 1020167007681A KR 20167007681 A KR20167007681 A KR 20167007681A KR 20160065829 A KR20160065829 A KR 2016006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handle
toothbrush
fitt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오쿠다
히로유키 코바야시
루이 첸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2종 이상의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칫솔의 핸들체. 핸들부(20)와, 상기 핸들부(20)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10)를 구비하는 칫솔의 핸들체(2)에 있어서, 제1의 수지로 구성된 제1의 부재(4)와, 상기 제1의 수지와는 다른 제2의 수지로 구성된 제2의 부재(6)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부재(4)는, 상기 헤드부(10)와, 상기 헤드부(10)로부터 상기 핸들부(20)를 향하여 늘어나는 연설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부재(6)는, 상기 핸들부(2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설부(40)의 일부가 상기 제2의 부재(6)에 매설되고, 상기 연설부(40)에는, 그 연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감합부(44, 46)가 형성되고, 상기 감합부(44, 46)는, 상기 제2의 부재(6)에 형성된 감합구멍(64, 66)과 감합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Description

칫솔용의 핸들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칫솔{HANDLE BODY FOR TOOTHBRUSH,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용의 핸들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10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3-20770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칫솔로서는, 핸들부와, 핸들부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핸들체와, 헤드부에 식모된 모속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통상, 핸들부에는 축경한 네크부가 형성되고 네크부의 선단에 헤드가 마련되어 있다.
칫솔에는, 어금니나 앞니의 이측(裏側) 등을 보다 찰소(擦掃)하기 쉽게 하기 위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높인 칫솔로서는, 헤드부를 작게 하거나, 헤드부를 얇게 하거나, 네크부를 가늘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핸들부를 일래스토머 수지로 피복하여,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 칫솔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칫솔의 핸들체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PP제의 핸들체의 헤드부를 단지 얇게 하면, 평선식 식모로 모속을 식모한 때에 헤드부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헤드부의 강도가 저하되어, 사용 중에 헤드부가 파손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이들의 문제에 대해, 특정한 두께의 평선으로 모속을 식모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 WO2005/060788호 팜플렛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의 발명은, 박형화된 헤드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는 있지만, 네크부를 가늘게 하면, 네크부의 강도가 불충분하게 된다.
강도가 높은 수지로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나 폴리아세탈(POM) 등이 알려져 있지만, PBT나 POM은 일래스토머 수지와의 접착성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PBT제나 POM제의 핸들체를 일래스토머 수지로 피복하는 경우에는, 일래스토머 수지로 이루어지는 피복부의 형상이 제한되고, 충분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발휘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PBT나 POM은, PP 등의 범용의 플라스틱과의 접착성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PBT나 POM로 구성된 헤드부 및 네크부와, PP 등으로 구성된 핸들부를 갖는 핸들체를 인서트 성형으로 성형하여도, PBT나 POM로 구성된 부재와 PP로 구성된 부재가, 계면에서 박리하기 쉽다. PBT나 POM로 구성된 부재와, PP 등으로 구성된 부재를 개별적으로 성형하고, 이들을 접속하면, 접속부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부위마다 다른 수지를 채용하면, 충분한 강도를 갖는 핸들체를 얻는 것은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2종 이상의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칫솔의 핸들체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의 핸들체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칫솔의 핸들체에 있어서, 제1의 수지로 구성된 제1의 부재와, 상기 제1의 수지와는 다른 제2의 수지로 구성된 제2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부재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핸들부를 향하여 늘어나는 연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부재는, 상기 핸들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설부의 일부는, 상기 제2의 부재에 매설되고, 상기 연설부에는, 그 연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즉, 식모면(11)측(표면) 방향 및 그 배면에 돌출하는 감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감합부는, 상기 제2의 부재에 형성된 감합구멍과 감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합부는, 상기 감합구멍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의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세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의 수지는, 폴리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의 부재는, 상기 제2의 수지보다도 연질의 수지로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칫솔은, 상기한 본 발명의 칫솔용의 핸들체에, 모속이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용의 핸들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의 부재를 금형 내에 배치하고, 금형 내에 상기 제2의 수지를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의 핸들체에 의하면,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2종 이상의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평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의 측면도.
도 2A는 도 1A의 칫솔의 제1의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B는 도 1B의 칫솔의 제1의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A은 도 1A의 칫솔의 제2의 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B는 도 1B의 칫솔의 제2의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A는 도 1A의 피복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B는 도 1B의 피복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핸들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핸들체의 평면도.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칫솔에 관해, 이하에 도 1A∼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B의 칫솔(1)은, 핸들부(20) 및 핸들부(20)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10)를 구비하는 칫솔용의 핸들체(2)(이하, 간단히 핸들체라고 함)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핸들부(20)는, 파지부(24)와, 파지부(24)로부터 연설되고 헤드부(10)에 접속하는 네크부(22)를 구비한다.
헤드부(10)의 식모면(11)에는, 식모 구멍(12)가 복수 형성되고, 식모 구멍(12)에 용모의 모속(14)이 식설되어 있다.
또한, 도 1A의 평면도에서는, 모속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핸들체(2)는, 헤드부(10)와 네크부(22)를 형성하는 제1의 부재(4)와, 파지부(24)를 형성하는 제2의 부재(6)와, 제2의 부재(6)의 일부를 피복하는 피복부(8)를 구비한다.
파지부(24)에서의 네크부(22)의 부근, 즉, 제1의 감합구멍(64)과 제2의 감합구멍(66)의 사이에는, 식모면(11)측(본 명세서에서, 식모면측을 「표면」이라고 함)에 평면시(平面視) 타원형의 활지부(滑止部)(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활지부(82)는, 본 발명의 칫솔의 사용시에 미끄럼 방지의 기능을 가지면 그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평면시에 있어서 타원형, 원형, 기타의 오발형이 바람직하다.
도 2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의 부재(4)는, 헤드부(10)와, 헤드부(10)로부터 연설된 개략 원주상의 연설부(40)가 일체에 성형되어 있다. 연설부(40)는, 그 선단에 제2의 감합부(46)가 형성되고, 제2의 감합부(46)와 헤드부(10)와의 사이에는 제1의 감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감합부(44) 및 제2의 감합부(46)는, 연설부(40)의 표면(식모면(11)측) 및 그 배면에 돌출하고 있지만, 그 측면에는 돌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의 감합부(44) 및 제2의 감합부(46)는, 연설부(40)의 연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은, 본 발명의 칫솔을 표면측에서 평면시한 경우, 제1의 감합부 및 제2의 감합부의 단부(端部)가 관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1의 감합부 및 제2의 감합부의 단부가, 제2의 부재가 구성하는 외표면과 단차가 없는 면을 구성하고 있다.
연설부(40)에 감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의 부재(4)는 제2의 부재(6)로부터 빠져버리기 어렵다.
연설부(40)에는, 제1의 감합부(44)와 제2의 감합부(46)와의 사이에, 관통구멍(48)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구멍(48)은, 표면부터 배면을 향하여 관통하고 있다.
연설부(40)에는, 경계(5)에 대응하는 위치에, 연설부(40)를 주회(周回)하는 환형상(環狀)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경계(5)란,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가 외표면(바깥(表)에 부재가 보이는 면)에서 접하는 개소를 말한다. 환형상 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1의 부재(4)와 제2의 부재(6)를 보다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1의 부재(4)는, 환형상 오목부(42)로부터 제2의 감합부(46)에 이르는 부분이 제2의 부재(6)에 매설되어 있고, 경계(5)로부터 헤드부(10)에 걸쳐서 노출되어 있다. 즉, 경계(5)는, 네크부(22)의 기단(基端)에 위치하고, 연설부(40)는, 일부가 제2의 부재(6)에 매설되고, 노출한 부분이 네크부(22)를 형성하고 있다. 즉, 네크부(22)란, 헤드부(10)로부터 연설부(40)가 연설 방향으로 연설되는 개소로부터 경계(5)까지의 부분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의 감합부(44)는, 제1의 감합구멍(64)을 관통하고, 제2의 감합부(46)는 제2의 감합구멍(66)을 관통하고 있다.
도 3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의 부재(6)에는, 활지부(82)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의 부재(6)에는, 제1의 감합부(44)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의 감합구멍(64)이 형성되고, 제2의 감합부(4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의 감합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핸들체에서는, 제1의 감합부(44)와 제1의 감합구멍(64)이 감합되도록 ; 제2의 감합부(46)와 제2의 감합구멍(66)이 감합되도록, 감합부(44, 46), 감합구멍(64, 66)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감합부(44)의 칫솔의 표면측의 단부(端部)는, 제2의 부재가 형성한 면의 일부와 동일면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의 부재(6)에는, 제1의 부재의 관통구멍(48)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68)은, 제2의 부재(6)의 표면 및 배면에 개공(開孔)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핸들체에 있어서, 제1의 부재의 관통구멍(48)과, 제2의 부재의 관통구멍(68)이 관통하도록, 관통구멍(48과 68)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도 4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복부(8)는, 피복 본체(80)와, 활지부(82)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피복 본체(80)는, 경계(5)로부터 파지부(24)의 후단에 걸쳐서, 제2의 부재(6)의 측면 및 배면을 피복하고, 제2의 부재(6)의 표면의 일부를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활지부(82)는, 관통구멍(48) 및 관통구멍(68)을 관통하는 지지부(81)에 의해, 피복 본체(80)와 접속되어 있다.
제1의 부재(4)는, 제1의 수지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의 수지는, 헤드부(10)나 네크부(22)에서 구하여지는 강성이나 기계 특성 등을 감안하여 선택된다.
제1의 수지로서는, 휨 탄성률(JIS K7203)이 500㎫ 이상 3000㎫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등의 폴리에스테르 ; POM ; PP,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스티렌(PS)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및 POM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POM이 보다 바람직하고, PBT, POM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나 POM이라면, 강성이 보다 높기 때문에, 헤드부(10)를 더욱 얇게 하거나, 네크부(22)를 더욱 가늘게 하여도,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들의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또한, 「주성분」은, 50질량% 이상을 함유하고 있어도 좋은 것을 말하고, 7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의 부재(6)는, 제1의 수지와 다른 제2의 수지로 구성된다. 제1의 수지와 다르다는 것은, 수지의 종류나 조성이 달라도 좋고, 첨가제의 종류가 달라도 좋고, 또는, 색조가 달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2의 수지는, 파지부(24)에서 구하여지는 강성, 피복부(8)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접착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된다.
제2의 수지는, 제1의 수지와 다르면 좋고, 휨 탄성률(JIS K7203)이 500㎫ 이상 3000㎫ 이하인 수지를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등의 폴리에스테르 ; POM ; PP, 폴리에틸렌(PE) 등의 폴리올레핀 ; 폴리스티렌(PS)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올레핀이 바람직하고, PP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이라면, 피복부(8)를 일래스토머 수지로 구성한 경우, 제2의 부재(6)와 피복부(8)와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이들의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의 수지와 제2의 수지와의 조합으로서는, 제1의 수지를 폴리에스테르 및 POM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로 하고, 제2의 수지를 폴리올레핀으로 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1의 수지를 PBT 또는 POM으로 하고, 제2의 수지를 PP로 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합으로 함으로써, 헤드부(10)를 보다 얇게 하고, 네크부(22)를 보다 가늘게 하여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높이고, 또한 파지부(24)와 피복부(8)와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1의 수지를 비투과성의 수지로 하고, 제2의 수지를 투광성의 수지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조합으로 함으로써, 핸들체(2)의 의장의 변화를 다양화할 수 있다.
피복부(8)로서는, 제2의 수지보다도 연질인 것(이하, 연질 수지라고 하는 일이 있다)이라면 좋다.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쇼어 경도 A가 90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고, 쇼어 경도 A가 50∼80의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쇼어 경도란, 압자(壓子)를 이용하여, 패인곳 깊이에 대응하여 변화한 시험 하중을 시료에 부하(負荷)고 패인곳 깊이(h)로부터 구한 값이고, JIS K 7215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일래스토머(예를 들면, 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일래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등), 실리콘을 들 수 있다.
핸들체(2)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20∼200㎜거 된다. 핸들체(2)의 길이란, 헤드부(10)의 선단부터, 파지부(24)까지의 최대의 거리를 말한다.
헤드부(10)의 폭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7∼13㎜가 바람직하고, 8∼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모속(14)을 식설하는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라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헤드부(10)의 폭은, 헤드부(10)의 식모면을 위로 하여 칫솔을 정치(靜置) 한 때의 수평 방향이면서 핸들체(2)의 연재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의 최대의 길이이다.
헤드부(10)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30㎜가 바람직하고, 12∼28㎜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모속(14)을 식설한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라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헤드부(10)의 길이란, 헤드부(10)의 선단부터, 모속(14) 중 가장 후단측에 있는 모속의 후단까지의 거리이고, 헤드부(10)의 선단부터, 모속(14) 중 가장 후단측에 있는 모속의 후단까지의 거리는, 예를 들면 15∼30㎜가 바람직하다.
헤드부(10)의 두께는,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2∼6㎜가 바람직하고, 2.5∼4㎜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헤드부(10)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라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네크부(22)의 굵기는,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네크부(22)의 가장 가는 개소에서, 3∼6㎜가 바람직하고, 3.5∼4.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치 이상이면, 네크부(22)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상기 상한치 이하라면, 구강 내에서의 조작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모속(14)은, 복수의 용모를 묶은 것이다.
식모면(11)부터 모속(14)의 선단까지의 길이(모장)는, 모속(14)에 구하여지는 모탄력성(毛腰)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6∼13㎜가 된다.
모든 모속(14)은 동일한 모장이라도 좋고, 상호 달라도 좋다.
모속(14)의 굵기(모속경(毛束徑))는, 모속(14)에 구하여지는 모탄력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3㎜가 된다. 모든 모속(14)은 동일한 모속경이라도 좋고, 상호 달라도 좋다.
모속(14)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예를 들면, 모선을 향하여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고, 모선(毛先)이 선예화된 용모(테이퍼모), 식모면(11)부터 모선을 향하여 그 지름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등을 들 수 있다. 스트레이트모로서는, 모선이 식모면(11)에 개략 평행한 평면으로 된 것이나, 모선이 반구형상으로 둥글게 된 것을 들 수 있다.
용모의 재질은, 예를 들면, 6-12나일론(6-12NY), 6-10나일론(6-10NY) 등의 폴리아미드, PET,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계 일래스토머, 스티렌계 일래스토머 등의 일래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모로서는,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마련된 적어도 1층 이상의 껍질부를 갖는 다중심(多重芯) 구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제 용모를 들 수 있다.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형, 타원형 등의 원형, 다각형, 성형(星形), 3엽(葉)의 클로버형, 4엽의 클로버형 등으로 하여도 좋다. 모든 용모의 단면 형상은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용모의 두께는, 재질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 용모의 가장 굵은 지름을 갖는 개소에서, 예를 들면, 6∼9mil(1mil=1/1000inch=0.025㎜)로 된다. 또한, 사용감, 쇄소감(刷掃感),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두께가 다른 복수개의 용모를 임의로 조합시켜서 사용하여도 좋다.
칫솔(1)의 제조 방법은, 인서트 성형으로 핸들체(2)를 성형하고, 뒤이어, 헤드부(10)에 모속(14)을 식모한다.
인서트 성형은, 제1의 부재(4)를 제1의 금형 내에 배치하고, 여기에 제2의 수지를 사출하여, 기체를 얻는다. 제1의 부재(4)는, 예를 들면, 종래 공지의 사출 성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사용되는 제1의 금형은, 내부에 제1의 부재(4)를 배치한 상태에서, 제2의 부재(6)에 응한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부재(4)를 제1의 금형 내에 배치하면, 제1의 감합부(44) 및 제2의 감합부(46)의 선단이 제1의 금형의 내면에 당접(當接)하기 때문에, 제2의 수지를 사출한 때에, 제1의 부재(4)가 어긋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1의 부재(4)를 덮는 제2의 부재(6)의 두께가, 소망하는 두께가 되고, 제1의 부재(4)와 제2의 부재(6)를 보다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얻어진 기체는, 제1의 부재(4)에 형성된 감합부가 제2의 부재(6)의 감합구멍에 감합된 상태가 된다.
뒤이어, 얻어진 기체를 제2의 금형 내에 배치하고, 연질 수지를 사출하여 핸들체(2)를 얻는다. 사용되는 제2의 금형은, 내부에 기체를 배치한 상태에서, 피복부(8)에 응한 형상의 캐비티가 형성되어 있다.
제2의 금형 내에 사출된 연질 수지는, 관통구멍(48 및 68)을 충전하여, 피복 본체(80)와 활지부(82)를 형성한다.
뒤이어, 얻어진 핸들체(2)의 헤드부(10)에, 모속(14)을 식모한다. 모속(14)의 식모 방법으로서는, 모속(14)을 2개로 접어 그 사이에 끼워 넣어진 평선을 식모 구멍(12)에 타입함에 의해 모속(14)을 식설하는 평선식 식모, 모속(14)의 하단을 식모부가 되는 용융 수지 중에 압입하여 고정하는 열융착법, 모속(14)의 하단을 가열하여 용융괴를 형성한 후에 금형 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하여 식모부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핸들체에 의하면,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를 구비하고며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고강성의 PBT나 POM로 제1의 부재를 구성하고, 일래스토머 수지와의 접착성이 높은 PP로 제2의 부재를 구성하여도,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가 분리되기 어렵기 때문에, 높은 강도의 핸들체를 얻을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 형태의 핸들체는, 제1의 부재에 감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의 부재로부터 제1의 부재가 빠지기 어렵다.
또한, 감합부가 감합구멍을 관통하는, 즉, 제2의 금형의 내면에 감합부가 당접하기 때문에, 제2의 수지를 사출한 때에, 제1의 부재가 어긋나거나 하지 않고,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를 보다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와의 경계, 즉,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가 외표면(바깥에 부재가 보인 면)에서 접하는 개소가 네크부의 기단에 위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경계가 헤드부의 기단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경계가 네크부의 도중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고, 경계가 파지부의 도중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즉, 연재부는, 노출하지 않아도 좋고, 네크부의 일부를 형성하여도 좋고, 파지부의 일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의 2개의 부재로 기체가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부재로 기체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헤드부를 구성하는 부재와, 네크부를 구성하는 부재와, 핸들부를 구성하는 부재의 3개의 부재로, 기체가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더하여, 이들의 3개의 부재는, 서로 다른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2개의 부재가 같은 수지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연재부의 2개소에 감합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감합부는, 1개소만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3개소 이상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부가 표면 및 배면의 2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감합부는, 1차 금형의 구조 등을 감안하여 형성되면 좋다. 따라서, 감합부는, 1방향으로만 돌출하고 있어도 좋고, 방사형상으로 돌출하고 있어도 좋고, 환형상을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단,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를 보다 강고하게 접합하는 관점에서, 감합부는, 적어도 임의의 방향과, 그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부가 감합구멍을 관통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감합부가 감합구멍을 관통하지 않아도 좋고, 감합부가 제2의 부재로 덮여 있어도 좋다. 단, 금형 내에서의 제1의 부재의 자세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감합부는, 감합구멍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2의 부재의 일부를 덮도록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피복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피복부가 제2의 부재의 전체를 덮고 있어도 좋고, 피복부가 제1의 부재를 덮고 있어도 좋다.
또한, 피복부는, 칫솔의 디자인이나 기능에 응하여 적절히 결정된다.
예를 들면, 도 5의 핸들체(102)와 같이, 제2의 부재를 일부 덮는 피복부(108)를 구비하여도 좋다. 핸들체(102)는, 헤드부(110)와 핸들부(120)를 구비하고, 핸들부(120)는 네크부(122)와 파지부(124)를 구비한다. 제1의 부재(104)는, 헤드부(110)와 네크부(122)를 형성하고, 제2의 부재(106)와 피복부(108)는, 파지부(124)를 형성한다. 이 피복부(108)에는, 파지부(124)의 측방의 각각에 팽출한 원호형상의 팽출부(180)가 2개소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80)는, 소망하는 디자인이나 용도 등에 의해, 팽출부의 개수나 제2 부재로부터의 팽출의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도 6의 핸들체(202)와 같은 피복부(208)를 구비하여도 좋다. 핸들체(202)는, 헤드부(210)와 핸들부(220)를 구비하고, 핸들부(220)는, 네크부(222)와 파지부(224)를 구비한다. 제1의 부재(204)는, 헤드부(210)와 네크부(222)를 형성하고, 제2의 부재(206)와 피복부(208)는, 핸들부(220)를 형성한다. 피복부(208)는, 파지부(224)의 일방의 측면을 덮고, 타방의 측면을 개방하도록 형성되고, 평면시에 있어서, 피복부(208)와 제2의 부재(206)가 노출한 부분과의 경계(282)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파지부(224)에서의 네크부(222)의 기단 근처에는, 식모면(211)측(즉, 표면)에, 제2의 부재(206)가 평면시 타원형으로 노출한 노출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칫솔의 핸들체에 의하면, 다른 수지로 이루어지는 2종 이상의 부재를 구비하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1 : 칫솔 2, 102, 202 : 핸들체
4, 104, 204 : 제1의 부재 6, 106, 206 : 제2의 부재
8, 108, 208 : 피복부 10, 110, 210 : 헤드부
14 : 모속 20, 120, 220 : 핸들부
40 : 연설부 44 : 제1의 감합부
46 : 제2의 감합부 64 : 제1의 감합구멍
66 : 제2의 감합구멍

Claims (7)

  1.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의 선단에 마련된 헤드부를 구비하는 칫솔의 핸들체에 있어서,
    제1의 수지로 구성된 제1의 부재와, 상기 제1의 수지와는 다른 제2의 수지로 구성된 제2의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부재는 상기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핸들부를 향하여 늘어나는 연설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의 부재는 상기 핸들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설부의 일부는 상기 제2의 부재에 매설되고,
    상기 연설부에는 그 연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감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감합부는 상기 제2의 부재에 형성된 감합구멍과 감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용의 핸들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는 상기 감합구멍을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용의 핸들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세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용의 핸들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수지는 폴리올레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용의 핸들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부재는 상기 제2의 수지보다도 연질의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용의 핸들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용의 핸들체에 모속이 식설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7. 상기 제1의 부재를 금형 내에 배치하고, 금형 내에 상기 제2의 수지를 사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칫솔용의 핸들체의 제조 방법.
KR1020167007681A 2013-10-02 2014-09-24 칫솔용의 핸들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칫솔 KR201600658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7708A JP6170802B2 (ja) 2013-10-02 2013-10-02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ブラシ
JPJP-P-2013-207708 2013-10-02
PCT/JP2014/075212 WO2015050019A1 (ja) 2013-10-02 2014-09-24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ブラ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829A true KR20160065829A (ko) 2016-06-09

Family

ID=5277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681A KR20160065829A (ko) 2013-10-02 2014-09-24 칫솔용의 핸들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70802B2 (ko)
KR (1) KR20160065829A (ko)
CN (1) CN105530833B (ko)
WO (1) WO20150500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27A (ko) * 2016-03-09 2020-09-11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7487A1 (ja) * 2014-03-14 2015-09-1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歯ブラシ、及び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の製造方法
JP6869634B2 (ja) * 2015-09-25 2021-05-1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7176219A (ja) * 2016-03-28 2017-10-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のハンドル体および歯ブラシ
KR20230113407A (ko) * 2016-10-28 2023-07-2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JP6914024B2 (ja) * 2016-10-28 2021-08-04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および歯ブラシ製造方法
CN113995223A (zh) * 2016-10-28 2022-02-01 狮王株式会社 牙刷
JP6983568B2 (ja) * 2017-07-31 2021-12-17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9030583A (ja) * 2017-08-09 2019-02-2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KR102519050B1 (ko) * 2020-10-08 2023-04-05 김혁수 교체가능한 칫솔모 헤드부를 포함하는 칫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0788A1 (ja) 2003-12-24 2005-07-07 Lion Corporation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5510A (en) * 1996-09-27 1999-03-02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Replaceable head toothbrush
US6502272B1 (en) * 2000-05-24 2003-01-07 Colgate-Palmolive Company Replaceable head toothbrush providing controlled brushing pressure
JP4541508B2 (ja) * 2000-07-19 2010-09-08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ハンドルの製造方法
JP2002291534A (ja) * 2001-04-03 2002-10-08 Temuko Kk 歯ブラシ
JP5530776B2 (ja) * 2010-03-24 2014-06-2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0201197A (ja) * 2010-06-14 2010-09-16 Lion Corp 歯ブラ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60788A1 (ja) 2003-12-24 2005-07-07 Lion Corporation 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227A (ko) * 2016-03-09 2020-09-11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530833B (zh) 2018-04-17
CN105530833A (zh) 2016-04-27
JP6170802B2 (ja) 2017-07-26
WO2015050019A1 (ja) 2015-04-09
JP2015070925A (ja)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5829A (ko) 칫솔용의 핸들체 및 그 제조 방법 및 칫솔
JP5830277B2 (ja) 歯ブラシ
KR20140066691A (ko) 칫솔
JP6893541B2 (ja) 歯ブラシ
KR20180120143A (ko) 칫솔
KR20180058218A (ko) 칫솔
WO2017169967A1 (ja) 歯ブラシのハンドル体および歯ブラシ
WO2018079115A1 (ja) 歯ブラシ
JP2017124005A (ja) 歯間ブラシ
KR20190069391A (ko) 칫솔
JP7203882B2 (ja) 歯ブラシ
JP5879118B2 (ja) 歯ブラシ
KR20180120144A (ko) 칫솔
JP6478384B2 (ja) 歯ブラシ用ハンドル体及び歯ブラシ
KR102638892B1 (ko) 칫솔
KR20160134643A (ko) 칫솔용 핸들체, 칫솔, 및 칫솔용 핸들체의 제조방법
KR20200037203A (ko) 칫솔
KR20190039685A (ko) 칫솔의 제조 방법
JP2003144232A (ja) 歯ブラシハンドルの製造方法
KR101870485B1 (ko) 칫솔
TWI840807B (zh) 牙刷
WO2018110299A1 (ja) 歯ブラシと歯ブラシの製造方法
JP2015054210A (ja) 歯ブラシ
KR20200051640A (ko) 칫솔
JP4270890B2 (ja) 歯間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