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950A -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950A
KR20160064950A KR1020150102521A KR20150102521A KR20160064950A KR 20160064950 A KR20160064950 A KR 20160064950A KR 1020150102521 A KR1020150102521 A KR 1020150102521A KR 20150102521 A KR20150102521 A KR 20150102521A KR 20160064950 A KR20160064950 A KR 20160064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hair
present
formula
pyrimid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873B1 (ko
Inventor
정세규
배종환
박부만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주)네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팜 filed Critical (주)네오팜
Priority to PCT/KR2015/01209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85160A2/ko
Priority to US15/519,822 priority patent/US10016351B2/en
Publication of KR2016006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4Amides, e.g. hydroxamic acids of a carboxylic acid with an aminoalcohol, e.g. cer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회복 및 강화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신규 화합물에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일일사용 하여도, 인체에 해롭지 아니하며, 부작용이 없으며,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손상된 모발 회복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condition of damaged hair}
본 발명은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손상된 모발의 회복 및 강화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의 끝부분은 두피쪽 부분에 비해 외부 환경에 노출된 시간이 길므로 손상도가 더 크게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외부 환경에의 노출에 의한 풍화작용은 모발의 큐티클의 손실을 유발하여 모발 끝이 갈라지고 결국 끊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일예로 모발에 헤어드라이어 등을 통한 고열을 지속적으로 가하는 경우 모발의 장력이 감소하고 약해지는 현상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잦은 퍼머와 염색 등에 의한 다양한 물리, 화학적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모발 손상에 의해 모발 내부의 단백질 및 지질이 용출되어 다공성화되게 된다. 이로 인해 모발이 거칠어지고 윤기를 잃으며 마찰력이 증가하여 모발 손실이 어려워지고 모발이 쉽게 절단되거나 끝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탄력 상실로 인해 모발이 쳐지면서 볼륨감이 없어지거나 모발이 가늘어지는 문제점 또한 발생한다.
모발을 구성하는 지질 성분은 지방, 오일, 왁스 등의 소수성 물질을 포함하여 모발의 윤기를 유지하는 컨디셔닝 작용을 수행한다. 모간 성분 중 0.7-1.3%가 지질성분에 해당한다. 모발 표면의 얇은 지질층이 모발의 단백질과 공유결합을 하여 모발 본연의 성질인 완고함과 소수성 특징을 유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세라미드(ceramide)는 모발에서 자연 발생되어 발견되는 성분으로 큐티클 층에 결합하고 있으며 모발을 건강하고 윤기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모발, 내모근초 및 모공에서 세라미드의 비율은 각각 26.9%, 23.2% 및 20%로 알려져 있다(J. Dermatol Sci. 2011 Dec; 64(3) 153-158). 세라미드는 또한 큐티클과 코르텍스(cortex) 부분-세포막 복합체(cell membrane complex, CMC)에도 존재한다. 세라미드가 포함된 조성물(제품)을 모발에 사용하는 경우, 모발 내부의 손상 회복과 모발 외부에 수분 보호막을 형성하여 모발의 끊어짐을 방지하고 충분한 영양이 공급될 수 있어 모발의 상태가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세라미드는 큐티클이 밀접하게 접합되어 모발을 형성하도록 하는 접착제의 역할을 수행한다.
종래의 헤어제품은 세라미드를 포함함으로써 손상된 모발에 부족한 양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세라미드를 포함하는 원료로는 1-3 옥타데카네디오(octadecanedio), 밀 배아 오일(wheat germ oil), 홍화유(safflower oil), 포도씨 오일(grapeseed oil) 및 해바라기 오일(sunflower oil) 등이 있으나 이들로부터 유효성분인 세라미드를 분리하는 데에는 복잡한 공정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에 해롭지 아니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나아가 손상된 모발의 회복을 통해 인장강도가 크게 강화된 세라미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및 R2는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C7-C30)알킬, (C7-C30)알케닐 또는 (C7-C30)알키닐이며, 상기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은 하이드록시, 카보닐, (C7-C30)아릴, (C7-C30)아릴옥시, (C1-C30)알킬아미노, 디(C1-C30)알킬아미노 또는 아미노(C1-C30)알킬로 더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 상기 R1 및 R2의 탄소 수의 합이 4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예시한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더 포함하는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상기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는 6-(피페리니딜)-2,2-피리미딘디아민-3-옥사이드(6-(piperidinyl)-2,4,-pyrimidinediamine-3-oxide) 또는 2,4-디아미노-6-피롤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yrrolidino-pyrimidine-3-ox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상기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가 1 : 0.1 내지 10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0.01 ~ 10 중량%의 유효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 에어로솔제, 겔제 또는 왁스제 형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제형이거나, 샴푸, 린스, 앰플 또는 트리트먼트 형태의 모발 외용제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신규 화합물에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일일사용 하여도, 인체에 해롭지 아니하며, 부작용이 없으며, 장기간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손상된 모발 회복 효과를 갖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처리한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인은 인체에 무해하며, 부작용이 없고, 손상 모발 회복 효과가 우수한 물질에 대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출원인이 개발한 신규한 화합물에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를 더 포함하는 복합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손상된 모발 회복을 현저히 촉진시킴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및 R2는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C7-C30)알킬, (C7-C30)알케닐 또는 (C7-C30)알키닐이며, 상기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은 하이드록시, 카보닐, (C7-C30)아릴, (C7-C30)아릴옥시, (C1-C30)알킬아미노, 디(C1-C30)알킬아미노 또는 아미노(C1-C30)알킬로 더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및 R2는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C7-C30)알킬, 1 또는 2개의 이중결합을 갖는 (C7-C30)알케닐 또는 1 또는 2개의 삼중결합을 갖는 (C7-C30)알키닐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예로써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에서 상기 R1 및 R2 은 상기 R1 및 R2 의 탄소 수의 합이 4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은 예를 들자면,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Figure pat00004
본 발명은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조성물은 손상 모발 회복 성분을 더 포함하는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손상 모발 회복 성분으로는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는 손상 모발 회복 성분으로 사용 시 항균펩타이드의 증식을 촉진하여 손상 모발 회복의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를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인 상기 화학식 1과 복합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상기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손상 모발 회복 효과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6-(피페리니딜)-2,2-피리미딘디아민-3-옥사이드(6-(piperidinyl)-2,4,-pyrimidinediamine-3-oxide) 또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2,4-디아미노-6-피롤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yrrolidino-pyrimidine-3-ox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이 손상 모발 회복 효과를 극히 현저하게 증진시킬 수 있어 보다 좋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화학식 3]
Figure pat00006
나아가, 유효물질로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 중 6-(피페리니딜)-2,2-피리미딘디아민-3-옥사이드(6-(piperidinyl)-2,4,-pyrimidinediamine-3-oxide) 또는 2,4-디아미노-6-피롤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yrrolidino-pyrimidine-3-oxide)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손상 모발 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좋다.
본 발명의 일 예로써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와 상기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가 1 : 0.1 내지 10 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로 포함하여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할 때 손상 모발 회복 효과가 가장 뛰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의 제조방법으로는, 1,3-디아미노-2-프로판올(1,3-Diamino-2-propanol), 디클로로메탄(DCM),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을 함유하는 반응액을 5 내지 -5℃로 감온한 후, 올레산,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교반이 완료된 반응액에 물과 디클로로메탄(DCM)을 넣고 교반, 정치 후 층분리하여 유기층을 세척 및 건조하는 단계, 건조하여 얻은 잔여물을 재결정화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로 수득되는 생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 1의 제조방법에서 올레산, 팔미트산 또는 스테아르산을 첨가하여 화합물 1의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올레산(oleic acid)를 첨가하여 제조한 상기 화합물 1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할 때 가장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그 제형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제형 또는 모발 외용제 제형일 수 있고, 피부 외용제 제형은 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 에어로솔제, 겔제 또는 왁스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발 외용제 제형은 샴푸, 린스, 앰플 또는 트리트먼트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외용제 제형인 경우, 피부는 두피, 턱, 겨드랑이, 귀밑, 볼, 눈썹등 신체 전반에 모근 및 모낭이 있는 모든 표피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발 외용제 제형인 경우, 모발은 머리카락, 눈썹(속눈썹 및 겉눈썹을 포함함), 수염, 겨드랑이등 신체 전반에 있는 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용제라 함은 조성물이 표피 또는 털에 직접 도포 또는 산포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표피 또는 털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표피 또는 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 상기 화학식1에 해당하는 물질과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 중 6-(피페리니딜)-2,2-피리미딘디아민-3-옥사이드(6-(piperidinyl)-2,4,-pyrimidinediamine-3-oxide) 또는 2,4-디아미노-6-피롤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yrrolidino-pyrimidine-3-oxide)를 함유한 복합유효성분, 상기 화학식1의 유도체, 상기 화학식1의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은 손상된 피부장벽회복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보다 좋다. 이때,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유도체는 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일 수 있고,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염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약리학적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과 유기산 및 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학적 조성물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면 무방하다. 담체 및/또는 부형제로는 결합제, 활택제, 붕괴제, 윤활제, 피복제, 유화제, 현탁제, 용제, 안정화제, 흡수조제, 주사용수 및 등장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과립, 분말, 용액, 크림, 연고, 에어로솔, 페이스트, 겔 또는 왁스등의 형태일 수 있고, 용액은 유효성분이 용매에 용해된 상태뿐만 아니라, 현탁액이나 에멀젼상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인 경우, 조성물의 적합한 도포량은 도포 대상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조성물의 제형, 도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에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 중 6-(피페리니딜)-2,2-피리미딘디아민-3-옥사이드(6-(piperidinyl)-2,4,-pyrimidinediamine-3-oxide), 2,4-디아미노-6-피롤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yrrolidino-pyrimidine-3-ox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복합 유효성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유효성분은 성인기준으로, 1회 도포 시 도포량은 털이 제거된 피부의 단위 면적당 20μl/cm2의 조성물이 도포되도록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포는 하루에 1회 내지 6회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루에 2회 이상의 도포가 이루어지는 경우 각 도포는 동일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인 경우,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와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 중 6-(피페리니딜)-2,2-피리미딘디아민-3-옥사이드(6-(piperidinyl)-2,4,-pyrimidinediamine-3-oxide), 2,4-디아미노-6-피롤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yrrolidino-pyrimidine-3-oxide) 또는 이들의 혼합물를 함유한 복합유효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이나 의약외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이나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이나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염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인 경우, 화장품 또는 의약외품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의약외품 제형은 과립, 분말, 용액, 크림, 연고, 에어로솔, 페이스트, 겔 또는 왁스 등의 형태일 수 있고, 용액은 유효성분이 용매에 용해된 상태뿐만 아니라, 현탁액이나 에멀젼 상태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또는 의약외품의 제형으로, 세럼, 오일, 미스트,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헤어에어졸, 포마드, 분말, 젤, 헤어팩, 헤어트리트먼트, 눈썹발모제, 속눈썹 발모제, 속눈썹 영양제, 또는 애완동물용 샴푸 및 애완동물용 린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상술한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탈모방지 또는 발모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각종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일 예로, 샴푸의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세정 성분인 합성 계면활성제와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및 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각종 제형에 따라 또는 최종목적에 적합하게 통상의 탈모방지 또는 발모용 조성물에 배합되는 통상적인 각종 성분들은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0.01 ~ 10 중량%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일 수 있다. 좋게는 1일 1 내지 3회의 도포로, 현저한 발모 효과를 얻기 위해서 0.01 내지 8 중량%, 보다 좋게는 0.01 내지 6중량%의 유효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글리콜, C1~C5의 저급 알코올 및 물을 더 함유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글리콜은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글리콜은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 가능하게 하며 보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C1~C5의 저급 알코올은 유효물질의 용매일 수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n-부탄올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 선택되는 물질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급 알코올은 조성물의 도포 시 휘발성이 우수하여 사용감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에탄올은 휘발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 1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부의 글리콜, 4 내지 15 중량부의 저급 알코올 및 1 내지 10 중량부의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유효성분 기준, 글리콜, 저급 알코올 및 물의 중량비율은 손상 모발 회복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도포 시 피부 자극을 억제하고 균일한 도포에 필요한 사용시간을 확보하면서도 적절한 휘발에 의해 청량한 사용감을 가지며, 유효물질의 흡수를 촉진할 수 있는 범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3-디아미노-2-프로판올(1,3-Diamino-2-propanol, 3.99 g, 44.25 mmol, Sigma-Aldrich)에 디클로로메탄(DCM, 500 mL, 삼전순약)과 트리에틸아민(TEA, 24.7 mL, 삼전순약)을 투입하여 반응액을 만들었다. 상온에서 10분 후, 반응액에 EDCㅇ HCl(25.45g, 132.76 mmol, Sigma-Aldrich)), HOBt(17.9 g, 132.76 mmol, Sigma-Aldrich)), Oleic acid(25.0 g, 88.51 mmol, Sigma-Aldrich)를 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교반 후 상기 반응액에 디클로로메탄 500 mL과 물 500 mL을 넣고 교반, 정치 후 층분리 하였다. 상기 반응액의 모든 유기층을 진한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5 분간 교반한 뒤 포화 염화수소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유기층을 모아 브레인(Brine, 150 mL)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MgSO4)으로 건조, 여과한 뒤 여액을 감압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 100 mL로 재결정하여 흰색의 고체 화합물(23 g, 수율: 84%)을 얻었다. 수득된 고체를 '056N'이라 명명하고, MS(Thermo Fisher,미국) 및 NMR(Bruker Biospin, 캐나다)로 분석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MS (ESI pos. ion) m/z: 620 (MH+). 1H NMR (600 MHz, CDCl3) : 6.36 - 6.34 (m, 2H), 5.37 - 5.31 (m, 4H), 4.25 (br s, 1H), 3.78 ?? 3.75 (m, 1H), 3.38 ?? 3.27 (m, 4H), 2.22 (t, J = 7.8 Hz, 4H), 2.01 (q, J = 6.0 Hz, 8H), 1.68 ?? 1.60 (m, 5H), 1.33 - 1.27 (m, 39H), 0.88 (t, J = 7.2 Hz, 6H).
Figure pat00007
상기 제조된 '056N'과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를 함유한 복합 유효성분을 이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세하게, '056N'1중량%,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2,4-디아미노-6-피롤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yrrolidino-pyrimidine-3-oxide)(Kumar) 2 중량%, 에탄올 60 중량%, 폴리프로필렌글리콜(Mw=76.09) 37 중량%를 혼합하여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모발 인장 강도 측정
화학적 시술을 전혀 하지 않은 한국인 여성의 건강모에 스트레이트펌 1회 후 탈색 1회 시술한 모발을 사용하여 모발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모발을 하기 표 1과 같이 2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1개의 실험군에는 본 발명의 상기 제조예로부터 제조한 0.5% O56N을 포함하는 에센스를, 나머지 1개의 실험군은 대조군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에센스를 각각 1회 도포한 후 완전히 건조된 상태에서 레오메터(Reometer; CR-500DX-L)로 모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8
인장강도 측정 결과는 도 1과 같다. 대조군에 비해 약 16.5%의 손상모발의 회복 효과와 신장률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모발 지질 간의 결합이 형성되어 모발이 더욱 견고해졌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젤 내 분해(in-gel digestion)
인간 모유두세포주(human dermal papilla cell)는 (Promocell, Germany)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6-웰 플레이트(6-well plate)에서 2 x 105 hDP cells/웰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다음 날 최종농도 10 μM의 세라미드 HS(ceramide HS)를 처리한 후 37℃, 0.5% CO2 배양기에서 2일간 배양한 후 Shotgun proteomics로 분석하였다.
상기로부터 얻은 단백질 시료 15 μg을 12% SDS-PAGE(mini-PROTEAN, Bio-Rad)를 이용해 분리하고 쿠마시 블루 R-250(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으로 염색 후 탈색하였다.
겔을 각각의 분자량에 따라 7 개의 분획으로 나누고 각각을 Kim et al.의 방법에 따라 1 mm2의 크기의 조각으로 절단하였다(Kim et al., 2006). 상기 조각을 1.5 mL 튜브로 옮긴 후 30% 메탄올을 첨가하여 겔을 세척시켰다. 이후 10 mM 농도의 ABC(ammonium bicarbonate)/50% ACN(acetonitrile)을 겔 부피의 2 배 정도 혼합하여, 겔의 쿠마시 블루가 완전히 제거되도록 3회 처리하였다.
탈색된 겔 조각에 100% ACN을 첨가하여 겔이 흰색으로 변할 때까지 반응시키고, 이후 ACN을 제거하고 진공 건조기(Savant, USA)를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켰다.
건조된 겔 조각에 겔이 잠길 정도의 100 mM ABC 및 10 mM DTT(dithiothreitol) 용액 을 첨가하여 56 ℃에서 1 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DTT를 제거하고 55 mM IAA(iodoacetamide) 및 100 mM ACN 용액을 첨가하여 어두운 곳에서 40 분간 처리하였다. 이후 IAA를 제거하고 2 배의 증류수를 3회 처리하여 겔을 세척하였다. 100% ACN으로 겔의 수분을 제거하고,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완전 건조시켰다.
상기 과정을 거쳐 완전히 건조된 겔에 0.1 μg/μL 트립신(Promega, USA) 12 μL가 첨가된 50 mM ABC 용액을 상기 겔이 완전히 잠길 정도로 처리하고 37 ℃에서 16 시간 반응시켰다. 이후 겔을 원심분리하고 상등액을 새로운 1.5 mL 튜브에 옮겼다. 남아 있는 겔에 겔과 동일한 부피의 0.5% TFA(trifluoroacetic acid)/50% ACN을 첨가하여 겔에 남아있는 트립신 분해 펩티드(tryptic peptide)를 용출시키고, 상등액을 동일한 튜브로 옮겼다. 이후 겔에 100% ACN을 가하여 남아 있는 트립신 부해 펩티드를 완전히 용출시키고 다시 동일한 튜브로 옮긴 후 수득한 트립신 분해 펩티드 용액을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MS/MS 분석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3] LC-MS/MS(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분석
상기 실험예 2로부터 얻은 결과물의 분석을 위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와 연동된 전자분무 이온화 질량분석기(electrospray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LC/ESI ion Trap MS)를 이용하였다.
0.1% TFA와 0.02% 포름산(formic acid) 10 μL가 첨가된 3차 증류수로 건조된 트립신 분해 펩타이드를 용해시키고 1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로딩 튜브(loading tube)에 옮겼다. 자동 샘플러(auto sampler; DIONEX, USA)를 이용하여 nanoACQUITY UPLC® 2G-V/VTrap 5um Symmetry® C18(180um x 20mm) trapping column (Waters, Ireland)에 결합(binding)시켰다. 트랩 컬럼에서 탈염, 농축된 펩티드를 상기 컬럼에 직접 연결된 10 cm x 5 um(id) C18 reverse-phase (RP) column (PROXEON, Denmark)에 결합시켰다. 이후 80% ACN 버퍼를 이용하여 300 nL/분의 유속으로 0 - 80%의 기울기(gradient)를 이용하여 80분간 용리(elution)시켰다.
용리된 펩타이드를 LTQ velos (Thermo Scientific, USA)를 사용하여 m/z가 400 ~ 2000의 범위에서 가장 감도가 높은 5개의 MS에 대하여 전자분무 이온화 MS/MS 방식으로 분석하여 스펙트럼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실험예 4]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단백질 동정
Mascot ver. 2.4 (Matrixscience, USA) 을 사용하여 상기 확보한 단백체(proteome)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 때 데이터 분석은 MIS 모드(MS/MS Ion Search)에서 UNIPROT-인간 유전체 데이터베이스(human complete genome database)를 이용하였다. Hoskins et al.을 따라 효소타입:트립신, 가변적 변화 요소에는 시스테인에 카바미도메틸화(carbamidomethylation), 메티오닌에 산화(oxidation)을 선택하였고, 펩티드 매스 톨러런스(peptide mass tolerance)와 조각 매스 톨러런스(fragment mass tolerance)는 각각 0.8 Da로, 이온 타입(ion type)은 +2, +3 또는 +4로 설정하고 펩티드 검증을 위해 decoy database search mode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Hoskins et al., 2001).
최종 분석 결과에 대해 decoy database에서 유추한 거짓값(false value)을 감안하여 거짓 양성 비율(false positive ratio, FDR)을 최대로 1% 까지 허용하여 검증하였다.
하기 표 2은 상기 분석 결과 얻은 세라미드 HS에 의한 hDP 세포에서 발현되는 손상모발 개선 관련 단백질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pat00009
이로부터 hDP 세포에 본원 발명의 056N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상기 LSS(Lanosterol synthase) 유전자를 유도발현함으로써 손상된 모발 회복 효과를 나타내는 단백질이 분비되어 모발 표면에도 영향을 주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유도체,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이들의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 및 R2는 수소, 직쇄 또는 분지쇄(C7-C30)알킬, (C7-C30)알케닐 또는 (C7-C30)알키닐이며, 상기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은 하이드록시, 카보닐, (C1-C30)아릴, (C1-C30)아릴옥시, (C1-C30)알킬아미노, 디(C1-C30)알킬아미노 또는 아미노(C1-C30)알킬로 더 치환될 수 있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 및 R2의 탄소 수의 합이 4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Figure pat00011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는 6-(피페리니딜)-2,2-피리미딘디아민-3-옥사이드(6-(piperidinyl)-2,4,-pyrimidinediamine-3-oxide) 또는 2,4-디아미노-6-피롤리디노-피리미딘-3-옥사이드(2,4-diamino-6-pyrrolidino-pyrimidine-3-oxide)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유도체와 상기 피리미딘 옥사이드 유도체는 1 : 0.1 내지 10 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0.01 ~ 10 중량%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 에어로졸제, 겔제 또는 왁스제 형태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제형이거나, 샴푸, 린스, 앰플 또는 트리트먼트 형태의 모발 외용제 제형인 조성물.
KR1020150102521A 2014-11-28 2015-07-20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1696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2099 WO2016085160A2 (ko) 2014-11-28 2015-11-11 발모촉진용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US15/519,822 US10016351B2 (en) 2014-11-28 2015-11-11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8171 2014-11-28
KR1020140168171 2014-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950A true KR20160064950A (ko) 2016-06-08
KR101696873B1 KR101696873B1 (ko) 2017-01-17

Family

ID=561938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521A KR101696873B1 (ko) 2014-11-28 2015-07-20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20150102490A KR101696857B1 (ko) 2014-11-28 2015-07-20 두피개선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490A KR101696857B1 (ko) 2014-11-28 2015-07-20 두피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16351B2 (ko)
KR (2) KR1016968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672A (ko) 2019-12-24 2021-07-02 강철용 손상 모발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1116B (zh) * 2017-09-14 2020-05-19 安徽农业大学 一种功能聚酰胺单体、功能聚酰胺以及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607A (ko) * 2000-05-31 2001-12-12 서경배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KR20070030690A (ko) 2005-09-13 2007-03-16 (주)아모레퍼시픽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10039069A (ko) 2009-10-09 2011-04-15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20043167A (ko) * 2009-04-09 2012-05-03 시므라이즈 아게 피부 자극-완화제로서 트랜스-텔트-부틸 사이클로헥사놀을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2248A (en) 1965-11-01 1968-05-07 Upjohn Co 6-amino-4, 5-di(substituted amino)-1, 2-dihydro-1-hydroxy-2-iminopyrimidines
US5215894A (en) 1992-02-25 1993-06-01 Merck & Co., Inc. Biological process for producing 17β-N-monosubstituted carbamoyl-11-oxo-4-aza-5-α-androst-3-one testosterone-5-α reductase inhibitors
US6051698A (en) * 1997-06-06 2000-04-18 Janjic; Nebojs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nucleic acid ligand complexes
FR2850869B1 (fr) * 2003-02-12 2005-03-25 Genfit S A Utilisations d'aminopropanediols acyles et de leurs analogues azotes et sulfures
FR2850969B1 (fr) 2003-02-12 2005-03-25 Genfit S A Aminopropanediols acyles et analogues et leurs utilisations therapeutiques
KR20080027526A (ko) 2006-09-25 2008-03-28 (주)아모레퍼시픽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20130092256A (ko) 2012-02-10 2013-08-20 애경산업(주)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607A (ko) * 2000-05-31 2001-12-12 서경배 피부에 있어서 안티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외용제 조성물
KR20070030690A (ko) 2005-09-13 2007-03-16 (주)아모레퍼시픽 피롤리디닐 디아미노피리미딘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20120043167A (ko) * 2009-04-09 2012-05-03 시므라이즈 아게 피부 자극-완화제로서 트랜스-텔트-부틸 사이클로헥사놀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10039069A (ko) 2009-10-09 2011-04-15 (주)아모레퍼시픽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1672A (ko) 2019-12-24 2021-07-02 강철용 손상 모발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39164A1 (en) 2017-08-24
US10016351B2 (en) 2018-07-10
KR20160064949A (ko) 2016-06-08
KR101696873B1 (ko) 2017-01-17
KR101696857B1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G176729A1 (en) Extract of whole seeds of moringa sp., and use thereof i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KR102006952B1 (ko) 주름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6413680A (zh) 用于诱导抗微生物肽生成的烟酰胺
KR101696873B1 (ko) 손상모발 개선용 조성물
CN108904319A (zh) 含有硫氧还蛋白的皮肤外用剂组合物
KR20180112003A (ko) 피나스테라이드와 펩타이드의 결합체
CN111447937B (zh) 作为自噬促进剂的协同组合物
JP6430408B2 (ja) ケウインの化粧料使用
KR102014395B1 (ko) 블랙커민(Nigella sativ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62957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2894B1 (ko) 호두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볼륨감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97123B1 (ko) 마타리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08228A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6577581B2 (ja) Abh抗原の発現を調節する物質を含む組成物
KR102242340B1 (ko) 옥수수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TW201720805A (zh) 新穎羥基吡喃酮化合物、其製備方法和含有其的化妝品組成物
KR102006953B1 (ko) 향료 조성물
KR20220075109A (ko) 각질세포 단백질 유래 고 기능성 펩타이드 제조 방법
KR102552616B1 (ko) 아토피 등 극건성 피부의 보습과 진정, 피부장벽강화 효과를 지니는 흰민들레 태좌 배양 추출물 함유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701934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or adiponectin, comprising trimethoxy phenyl compound
KR20230149643A (ko) 성게껍질 가수분해발효물에서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494244B1 (ko) 청미래덩굴 꽃 유래의 앱솔루트 타입형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상처 치료용 조성물
KR102215769B1 (ko) 새삼 꽃 유래 정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557890B1 (ko) 두피 개선 및 탈모 완화용 펩타이드 조성물
KR102491505B1 (ko) 동규자 추출물부터 분리된 지방산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