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2489A -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2489A
KR20160062489A KR1020140165288A KR20140165288A KR20160062489A KR 20160062489 A KR20160062489 A KR 20160062489A KR 1020140165288 A KR1020140165288 A KR 1020140165288A KR 20140165288 A KR20140165288 A KR 20140165288A KR 20160062489 A KR20160062489 A KR 20160062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cleaning
unit
bel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광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5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2489A/ko
Publication of KR2016006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1/00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11/04Cleaning flexible or delicate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plate glass, e.g. prior to manufacture of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커버 글라스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를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는 모션 구동부; 상기 모션 구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커버 글라스의 측면 또는 모서리 부위를 세정하는 세정부 및; 상기 모션 구동부와 상기 세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Apparatus for cleaning of cover glass}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표시장치용 커버 글라스의 측면 및 모서리 부위를 세정할 수 있는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 전력화의 장점을 지닌 평판표시장치(FPD : Flat Panel Display)가 개발되어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평판표시소자로서,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전기발광표시장치(ELD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전계방출표시장치(FED : Field Emission Display)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장치 등이 있으며, 이러한 평판표시소자는 기존의 브라운관(CRT : Cathode Ray Tube)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는 실정이다.
평판표시장치는 이동통신단말기, 노트북, 모니터, TV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는 버튼을 없애고 넓은 화면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 주로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글라스(윈도우 글라스)로 커버가 이루어진다.
커버 글라스는 하부의 표시패널이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파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유리 재질로 제작되는데, 대형 유리를 소정의 커버 글라스 크기로 절단하고,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패널, 스피커, 마이크 및 카메라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커버 글라스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커버 글라스는 내부 구성요소와의 결합을 위하여 커버 글라스의 제조 공정 중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커버 글라스 세정 공정은, 세정하고자 하는 커버 글라스를 롤러 또는 벨트 등의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이송시키면서 상면 또는 하면을 세정하는 공정만 수행할 뿐이어서, 커버 글라스의 측면 및 모서리 영역에 존재하는 이물질은 제대로 세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커버 글라스의 측면 및 모서리 영역에 존재하는 이물을 제거하지 못함에 따라 화상 형성 공정에 오픈/쇼트(Open/Short) 불량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모서리 영역의 화상 형성 공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커버 글라스의 측면 및 모서리 영역의 세정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7290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484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커버 글라스의 측면 및 모서리 영역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는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는, 커버 글라스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션 구동부; 상기 모션 구동부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되는 커버 글라스의 측면 및 모서리 부위를 세정하는 세정부 및; 상기 모션 구동부와 상기 세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모션 구동부는, 상기 커버 글라스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제어 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커버 글라스를 전후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재 및; 상기 커버 글라스를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모션 구동부는, 상기 커버 글라스를 상하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Z축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부는, 텐션을 갖는 세정 벨트와; 감겨진 상기 세정 벨트를 공급하는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로부터 공급되는 세정 벨트를 되감는 리와인더 및; 상기 세정 벨트를 안내하고 상기 세정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들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벨트가 텐션을 갖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텐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세정 벨트에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에 의하면, 커버 글라스의 측면 및 모서리 영역이 용이하게 세정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커버 글라스가 세정 벨트에 일정 깊이만큼 인입되어 커버 글라스의 측면 부위가 세정되는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의 측면 부위를 세정하는 관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의 모서리 부위를 세정하는 관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의 양 측면 부위를 동시에 세정하는 관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의 제어 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예시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100)는, 커버 글라스(G)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G)를 전후좌우 방향 즉,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킬 수 있는 모션 구동부(110)와, 이 모션 구동부(110)에 의해 이동되는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또는 모서리 부위를 세정할 수 있는 세정부(150) 및 모션 구동부(110)와 세정부(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션 구동부(110)는 커버 글라스(G)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제어 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 부재(132,134)와, 커버 글라스(G)를 전후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Y축 구동부재(112,114,130) 및 커버 글라스(G)를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X축 구동부재(116,118,126,12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부재(132,134)는 커버 글라스(G)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버 글라스(G)를 파지함과 아울러 제어 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커버 글라스(G)가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G)의 전후 좌우 측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커버 글라스(G) 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커버 글라스(G)의 전후 폭이 A이고, 좌우 폭이 B라고 가정할 경우, 회전 부재(132,134)의 전후 폭은 A 보다 작고 좌우 폭은 B보다 작은 것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커버 글라스(G)가 회전 부재(132,134)에 안착된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커버 글라스(G)의 전후 좌우 측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와 같이 커버 글라스(G)의 전후 좌우 측 일부 영역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후술되는 세정부(150)에 의해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및 모서리 부위를 세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커버 글라스(G)는 통상적으로 나란한 장변(長邊)(G3)과, 나란한 단변(短邊)(G1)을 갖고, 모서리(G2) 측이 라운드 진 직사각 형상의 것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 형상이나 마름모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 글라스(G)가 안착되는 회전 부재(132,134)는 커버 글라스(G)에 비하여 단면적이 작은 것이 적용됨에 따라 커버 글라스(G)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회전 부재(132,134)는 하부 플레이트(132)와 상부 플레이트(134)로 마련될 수 있고, 커버 글라스(G)는 하부 플레이트(132)와 상부 플레이트(134)에 개재된 상태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회전 부재(132,134)의 하부 플레이트(132)와 상부 플레이트(134)에 커버 글라스(G)가 개재됨에 따라 하부 플레이트(132) 및 상부 플레이트(134)는 커버 글라스(G)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별도의 결속 수단이 결여되는바, 하부 플레이트(132)와 상부 플레이트(134)는 진공력(Vacuum)에 의해 결속력을 갖도록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글라스(G)를 전후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재는, 그 상부 쪽에 회전 부재(132,134)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어 결합되는 이동부재(130)와, 회전됨에 따라 이동부재(13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샤프트(114)와, 이 샤프트(114)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Y축 구동부재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112)와, 이 구동 모터(112)의 축과 연결되어 연동됨으로써 회전이 이루어지는 샤프트(114)와, 이 샤프트(114)의 회전에 따라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동부재(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모터(112)는 통상적인 모든 모터가 적용될 수 있고, 샤프트(114)는 그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 샤프트일 수 있으며, 이동부재(130)는 나선홈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볼 샤프트의 회전에 따른 나사결합에 의해 전후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볼 나사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Y축 구동부재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볼 스크류(Ball screw)가 적용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Y축 구동부재가 볼 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기적 신호 또는 자력에 의해 일정 길이의 축을 따라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이미 공지된 어떠한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Y축 구동부재의 구성을 이루는 샤프트(114)는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샤프트(114)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 모터(112)의 축이 연결됨에 따라 샤프트(114)가 처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샤프트(114)의 타측 단부에는 지지 홀더(122)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샤프트(114)의 타측 단부가 삽입되어 공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 홀더(122)가 제공되어 샤프트(114)의 자중 및 커버 글라스(G)의 중량에 의해 처짐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샤프트(114)의 일측 단부는 구동 모터(112)의 축과 연결되어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지지 홀더(12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지지 홀더(122)를 대신하여 샤프트(114)의 타측 단부에도 다른 구동 모터와 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114)의 양측 단부에 각각 구동 모터가 축 결합되는 경우, 양쪽의 구동 모터들은 제어 신호에 따라 동일 회전수만큼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샤프트(114)가 정밀하게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글라스(G)를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재는, Y축 구동부재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구동 모터(112)와 지지 홀더(122)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축 부재(116,126)들과, 이 지지 축 부재(116,126)들이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나란하게 형성되는 레일 부재(118,128)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X축 구동부재는, 커버 글라스(G)를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며, 커버 글라스(G)는 Y축 구동부재 상에 배치됨으로써, 결국 Y축 구동부재를 X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X축 구동부재의 구성을 이루는 지지 축 부재(116,126)가 레일 부재(118,128)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액츄에이터나 볼 스크류 등의 기계적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모터 등을 이용한 전기적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등, 종래에 공지된 어떠한 왕복 이동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뒷받침하는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X축 구동부재를 이루는 지지 축 부재(116,126)는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버 글라스(G)가 Z축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지지 축 부재(116,126)를 상하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하는 것은 액츄에이터나 볼 스크류 등의 기계적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모터 등을 이용한 전기적 구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등, 종래에 공지된 어떠한 왕복 이동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32,134), Y축 구동부재 및 X축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모션 구동부(1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입력 신호가 예 입력되어 있는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글라스(G)의 크기와 현재 위치 등에 따라 Y축 구동부재 또는 X축 구동부재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커버 글라스(G)가 Y축 또는 X축으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회전 부재(132,134)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커버 글라스(G)가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작동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세정부(150)는, 소정의 텐션을 갖는 세정 벨트(152)와, 감겨진 세정 벨트(152)를 공급하는 와인더(154a)와, 세정 공정을 거친 세정 벨트(152)를 되감는 리와인더(154b) 및 세정 벨트(152)를 안내하고 세정 벨트(152)의 텐션을 조절하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정부(150)는, 세정 벨트(152)에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정액 공급부(16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인더(154a)로부터 풀려져 나와 공급되는 세정 벨트(152)의 선단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롤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156)와, 한 쌍의 가이드 롤러(156)들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세정 벨트(152)가 소정의 텐션을 갖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텐션 롤러(15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쌍의 가이드 롤러(156) 중,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롤러는 제1가이드 롤러(156)로 칭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롤러는 제2가이드 롤러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한 쌍의 텐션 롤러(158) 중, 상부에 위치하는 텐션 롤러는 제1텐션 롤러로 칭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텐션 롤러(158)는 제2텐션 롤러로 칭하기로 한다.
한 쌍의 가이드 롤러(156)는, 상부 가이드 롤러와 하부 가이드 롤러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동일 선상에 배치됨에 따라 세정 벨트(152)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 롤러와 하부 가이드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부위는 수직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모션 구동부(110)에 의하여 커버 글라스(G)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부위가 세정 벨트(152)의 수직면과 면 접촉을 이룰 수 있게 된다.
한편, 한 쌍의 텐션 롤러(158)들은 그 사이의 간격이 한 쌍의 가이드 롤러(156)들 사이의 간격 보다 가깝게 배치됨으로써, 와인더(154a)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세정 벨트(152)를 가압하고 리와인더(154b)로 감기는 세정 벨트(152)를 가압함에 따라 세정 벨트(152)는 소정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부(150)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입력 신호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글라스(G)의 두께 또는 측면 부위 형상에 따라 와인더(154a) 및 리와인더(154b)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그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텐션 롤러(158)들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세정 벨트(152)의 텐션(장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가이드 롤러(156)들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부위 세정 영역을 제어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작동 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세정액 공급부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156)와 한 쌍의 텐션 롤러(158) 중, 상부 가이드 롤러(156)와 상부 텐션 롤러(158) 사이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정액 공급부(160)는 세정액이 담기는 용기와, 용기의 선단에 구비되는 노즐과, 노즐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162) 및 세정액의 용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6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정액 공급부(160) 또한 설정된 입력 신호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부(150)의 작동 속도 즉 세정 벨트(152)의 이동 속도에 따라 개폐 밸브(162)의 개폐량을 조절함으로써, 세정 벨트(152)로의 세정액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이 부족하여 감지센서(164)에 의해 이 신호를 제어부가 송신 받게 되면 세정부(150) 및 모션 구동부(110)의 작동을 일시 중지시킬 수도 있다.
참고로,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80)은 리와인더로 되감기는 세정 벨트의 면에 묻은 이물을 감지하여 세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는 감지할 수 있는 세정면 감지센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커버 글라스가 세정 벨트에 일정 깊이만큼 인입되어 커버 글라스의 측면 부위가 세정되는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의 측면 부위를 세정하는 관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션 구동부(110)의 회전 부재(132,134)에 커버 글라스(G)가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 글라스(G)의 단변(G1)을 세정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는 회전 부재(132,134)에 신호를 인가하여 회전 부재(132,134)가 회전되도록 하여 커버 글라스(G)의 단변(G1)이 세정부(150)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X축 구동부재를 설정된 위치로 수평 이동시켜서 커버 글라스(G)의 일측 단변(G1)이 세정부(150)의 세정 벨트(152) 수직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도록 한다.
다음에, 제어부는 Y축 구동부재에 설정된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Y축 구동부재에 의해 커버 글라스(G)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구동 모터(112)에 작동 신호를 인가함에 따라 샤프트(114)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이동부재(130)가 직선 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이동부재(130)와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 회전 부재(132,134) 또한 직선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회전 부재(132,134)에 안착된 커버 글라스(G)가 직선 이동하면서 그 일측 단변(G1)이 세정부(150)의 세정 벨트(152) 수직면과 밀착되면서, 세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부위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측면 사이에 일정 각도의 경사면(G4)이 형성되고, 하면과 측면 사이에도 일정 각도의 경사면(G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경사면(G4)은 제대로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부위가 세정 벨트(152)의 수직면을 텐션에 의해 안쪽으로 밀고 들어가도록 하여 세정을 시키게 되면, 커버 글라스(G)의 측면을 비롯한 경사면(G4)도 용이하게 세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롤러(156)들의 간격과, 텐션 롤러(158)에 대한 가이드 롤러(156)의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 세정 벨트(15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부위를 더욱 안쪽으로 밀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의 경우 커버 글라스(G)의 측면과 근접한 상면 일부 및 하면 일부도 동시에 세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커버 글라스(G)의 장변(G3)을 세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32,134)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여 커버 글라스(G)를 회전시킨 후, 상기한 순서대로 커버 글라스(G)의 장변(G3)을 세정하면 되는바,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 글라스(G)의 단변(G1) 또는 장변(G3)을 세정하고자 모션 구동부(110)를 구동시키면서 커버 글라스(G)를 X,Y축으로 직선 이동시킴과 동시에, 제어부는 세정부(150)에도 입력 신호를 인가하여 세정부(150)가 작동되도록 한다.
즉, 와인더(154a) 및 리와인더(154b)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세정 벨트(152)가 와인더(154a)에서 풀려져 나와 텐션 롤러(158) 및 가이드 롤러(156)를 따라 이동하고, 다시 리와인더(154b)에 감기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는 와인더(154a) 및 리와인더(154b)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세정 벨트(152)의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으며, 텐션 롤러(158)와 가이드 롤러(156)의 간격을 조절하여 세정 벨트(15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어부는 세정액 공급부(160)에도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세정 벨트(152)로 세정액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 벨트(152)의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면 세정액 공급부(160)의 개폐 밸브(162) 개도량을 크게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세정액이 세정 벨트(152)로 공급되도록 하고, 세정 벨트(152)의 이동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면 세정액 공급부(160)의 개폐 밸브(162) 개도량을 줄여 보다 적은 양의 세정액이 세정 벨트(152)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 감지센서(164)는 세정액 공급부(160) 내의 세정액 양을 감지하여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감지된 신호를 입력하고, 제어부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세정액 양이 설정된 양 이하일 경우, 점등이나 소리 등의 신호를 발생시켜 세정액을 보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세정액이 없는 경우에는 모션 구동부(110) 및 세정부(150)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의 모서리 부위를 세정하는 관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100)는, 커버 글라스(G)의 모서리(G2) 부위를 세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 글라스(G)는 모션 구동부(110)의 회전 부재(132,134)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고, Y축 구동부재에 의해 Y축 방향 직선 이동이 가능하며, X축 구동부재에 의해 X축 방향 직선 이동이 가능한바, 제어부에 의해 회전 부재(132,134)와 Y축 구동부재 및 X축 구동부재를 동시에 제어하면서 커버 글라스(G)의 모서리(G2) 부위를 세정할 수 있다.
즉, 모션 구동부(110)의 회전 부재(132,134)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G)를 한 쪽 방향으로 서서히 회전시킴과 동시에, X축 구동부재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G)를 X축 방향으로 서서히 직선 이동시키고, Y축 구동부재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G)를 Y축 방향으로 서서히 직선 이동시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글라스(G)의 모서리(G2) 부위를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100)는, 모션 구동부(110)에 의해 커버 글라스(G)를 회전, X축 이동 및 Y축 이동시킴에 따라 모서리(G2) 부위를 비롯한 전체 측면(G1,G3) 부위를 연속해서 세정할 수 있다.
즉, 어느 한쪽 측면을 세정한 상태에서, 모션 구동부(110)의 구동으로 어느 한쪽 모서리 부위를 세정한 후, 다시 인접한 다른 한쪽 측면을 세정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커버 글라스(G)의 둘레 측면 모두를 순차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이용하여 커버 글라스(G)의 양 측면 부위를 동시에 세정하는 관계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는 앞선 실시 예와 비교할 때, 세정부(150)가 커버 글라스(G)의 양쪽에 서로 대향되도록 나란하게 형성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커버 글라스(G)의 양쪽에 서로 대향되게 세정부(150)가 형성되고, 이러한 세정부(150)는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커버 글라스(G)가 모션 구동부(110)에 의하여 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양 변이 동시에 세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세정부(150)가 나란하게 양쪽으로 배치됨으로써, 커버 글라스(G)의 양 변을 동시에 세정할 수 있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의 나머지 구성 및 작동 관계는 앞선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는, 앞선 실시 예들과 비교하여 세정부(150)에 세정액 공급부가 양쪽에 배치되고, 와인더(154a) 및 리와인더(154b)가 양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차이가 있다.
즉, 와인더(154a)와 가이드 롤러(156) 사이에 배치되는 세정액 공급부(160)에 더하여 리와인더(154b)와 가이드 롤러(156) 사이에도 다른 세정액 공급부(170)를 배치하고, 와인더(154a)와 리와인더(154b)가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정부(150)의 작동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리와인더(154a)와 가이드 롤러(156) 사이에 배치되는 세정액 공급부(170) 또한 앞선 실시 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세정액이 담기는 용기와, 용기의 선단에 구비되는 노즐과, 노즐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172) 및 세정액의 용량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부(150)가 양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면, 와인더(154a)에서 풀려져 나온 세정 벨트(152)가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및 모서리 부위 세정을 모두 마치고 리와인더(154b)에 모두 감긴 경우, 다시 리와인더(154b)로부터 세정 벨트(152)가 풀려져 나오도록 하여 연속해서 커버 글라스(G)의 측면 및 모서리 부위를 세정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앞선 실시 예들과 비교하여 세정부(150)가 정,역방향 즉 양방향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과, 이에 따라 세정액 공급부(160,170)가 양 방향에 각각 마련된 것 외에 나머지 구성 및 그에 따른 작동 관계는 모두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세정장치 110 : 모션 구동부
112 : 구동 모터 114 : 샤프트
116, 126 : 지지 축 부재 118,128 : 레일
122 : 지지 홀더 130 : 이동 부재
132,134 : 회전 부재 150 : 세정부
152 : 세정 벨트 154a : 와인더
154b : 리와인더 156 : 가이드 롤러
158 : 텐션 롤러 160,170 : 세정액 공급부
162,172 : 개폐 밸브 164 : 세정액 감지센서
G : 커버 글라스 G1 : 커버 글라스의 단변
G2 : 커버 글라스의 모서리 G3 : 커버 글라스의 장변

Claims (6)

  1. 커버 글라스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킴과 아울러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션 구동부;
    상기 모션 구동부에 의해 회전 또는 이동되는 커버 글라스의 측면 및 모서리 부위를 세정하는 세정부 및;
    상기 모션 구동부와 상기 세정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구동부는,
    상기 커버 글라스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제어 신호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커버 글라스를 전후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구동부재 및;
    상기 커버 글라스를 좌우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구동부는,
    상기 커버 글라스를 상하 방향 즉 Z축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Z축 구동부를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텐션을 갖는 세정 벨트와;
    감겨진 상기 세정 벨트를 공급하는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로부터 공급되는 세정 벨트를 되감는 리와인더 및;
    상기 세정 벨트를 안내하고 상기 세정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복수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롤러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들과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세정 벨트가 텐션을 갖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텐션 롤러를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부는,
    상기 세정 벨트에 세정액을 공급하기 위한 세정액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KR1020140165288A 2014-11-25 2014-11-25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KR201600624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288A KR20160062489A (ko) 2014-11-25 2014-11-25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288A KR20160062489A (ko) 2014-11-25 2014-11-25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489A true KR20160062489A (ko) 2016-06-02

Family

ID=56135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288A KR20160062489A (ko) 2014-11-25 2014-11-25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24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297A (ko) * 2016-09-19 2018-03-28 주식회사 메카로 접착력을 이용한 유리기판 테두리 처리장치 및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407A (ko) 2008-10-31 2010-05-11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지지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00117290A (ko) 2009-04-24 2010-11-03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8407A (ko) 2008-10-31 2010-05-11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지지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100117290A (ko) 2009-04-24 2010-11-03 삼성전기주식회사 기판 세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1297A (ko) * 2016-09-19 2018-03-28 주식회사 메카로 접착력을 이용한 유리기판 테두리 처리장치 및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5440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치
KR101594477B1 (ko)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JP5897208B2 (ja) パネル取り付け装置
JP5631464B1 (ja) 露光装置
KR20110049075A (ko) 보호필름 부착장치, 그의 세정장치 및 보호필름 세정방법
KR101331106B1 (ko)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KR20080067198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크리닝 장치
KR20160062489A (ko) 커버 글라스 세정장치
KR101493443B1 (ko) 패널 부착장치
KR101025907B1 (ko)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KR102512305B1 (ko) 대전압 측정 장치 및 대전압 측정 방법
KR20100107692A (ko) 소형 평판 패널용 세정 장치
JP2004272242A (ja) 液晶パネル自動把持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870745B1 (ko) 이송장치
KR100745150B1 (ko) 액정패널의 상부 보호필름 분리장치
KR20150072216A (ko) 글라스 기판 접촉식 세정유닛 및 그 세정유닛이 구비된 세정장치
KR101000494B1 (ko) 이송장치
KR20070100007A (ko) 기판 이송장치
KR101371297B1 (ko) 롤투롤 공정용 플렉시블 기판 위치정렬 장치
KR101502784B1 (ko) 라벨 부착 장치
KR10233996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기능을 갖는 패널 이송용 반전장치
KR20150029276A (ko) 라미네이트 시스템
TWI553423B (zh) Exposure device
KR102037685B1 (ko) 무정지 패널 클린장치
KR10121832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테이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