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886A -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886A
KR20160061886A KR1020150162768A KR20150162768A KR20160061886A KR 20160061886 A KR20160061886 A KR 20160061886A KR 1020150162768 A KR1020150162768 A KR 1020150162768A KR 20150162768 A KR20150162768 A KR 20150162768A KR 20160061886 A KR20160061886 A KR 2016006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yed
pigment
dyes
real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7400B1 (ko
Inventor
손정일
정재열
정두용
최연욱
김태수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16006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일면에 배치된 마감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층은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INTERIOR MATERIALS FOR AUTOMOBILES AND MANUFACTURING MEHT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장재로써 쎈터페시아, 계기판 마감재, 도어 가니쉬, 콘솔박스 부위에 수지성형부품이 사용되고 있고, 가전 제품의 표면 마감재로 수지성형품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내부 운전석 및 조수석 주변에 장착되는 대시보드(dash board) 및 오디오 데크, 기어 변속부, 에어백, 도어잠금 및 창문개폐부 등에는 각종의 제어부 및 편의장치들이 설치되는 바, 각종 제어장치 및 편의장치의 외곽과 내장재 사이의 틈새에는 내장재 마감 패널이 설치되어 내장재를 마감 처리하게 되고, 이러한 내장재는 차량의 실내에 대한 감성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용 내장재는 자동차 내부의 미감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자동차가 고급화, 개성화되는 흐름에 있어서 외관상 미적인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외관상 세련미 및 고급 질감을 얻기 위하여 리얼우드 등의 천연 소재를 적용한 자동차용 내장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부에 형성된 마감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층은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기재층 일면에 배치된 마감재층으로서 염색 또는 착색된 리얼우드층을 사용함으로써 리얼우드의 패턴을 잘 살려 자동차용 내장재의 외관을 다양한 색상 및 고급스러운 질감으로 표현할 수 있고, 자동차용 내장재의 내구성 및 내후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일면에 배치된 마감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층은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은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에 의해 미리 염색 또는 착색된 리얼우드로부터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식물염료, 동물염료, 광물염료,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건염염료, 반응성염료, 형광염료, 분산염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또는 금속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료화 안료는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미만일 수 있다.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의 두께는 0.1mm 내지 1.5mm일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마감재층의 일면에 배치된 접착층 및 치수안정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a)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에 의해 리얼우드를 염색 또는 착색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사출 성형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마감재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마감재층 하부에 기재층을 배치한 후,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b) 단계에서 마감재층은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 하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접착층 및 치수안정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기재층은 미리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는 마감재층으로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시킴으로써,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 상부에 별도의 표면 도장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리얼우드의 패턴을 잘 살려 자동차용 내장재의 외관을 다양한 색상 및 고급스러운 질감으로 표현할 수 있고, 자동차용 내장재의 내구성 및 내후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조도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용 내장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부에 형성된 마감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층은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는 기재층(10); 및 마감재층(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재층(20)은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의 일면에 배치된 접착층(22) 및 치수안정 보강층(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마감재층(20)으로서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은 그 상부에 별도의 표면 도장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자동차용 내장재의 외관을 다양한 색상 및 고급스러운 질감으로 표현할 수 있고, 자동차용 내장재의 내구성 및 내후성을 모두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 자동차용 내장재에 적용되는 리얼우드층은 다양한 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그 상부에 별도의 표면 도장층을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이와 같은 표면 도장층의 형성을 위해서는 사출 성형의 후가공 공정으로 샌딩(sanding) 및 착색(coloring) 공정이 수반되어야 하고, 이러한 후가공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샌딩 시간, 수차례의 착색 시간 및 2~3일 정도의 경화 시간이 필요한 바,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 불량률 또한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은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에 의해 염색 또는 착색된 리얼우드로부터 형성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은 마감재층에 적용되어 기재층 일면에 배치되기 전에 미리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에 의해 염색 또는 착색된 것이다. 이로써,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 과정에서 후가공 공정으로 샌딩 및 착색의 공정이 필요 없게 되고, 별도로 형성되는 표면 도장층에 비해 자연스러운 우드 외관과 수려한 색감을 동시에 구현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염료(dye)"라 함은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 사용하는 색소를 말하는 것이고, "안료(pigment)"라 함은 용매에 분산시켜 입자 상태로 사용하는 색소를 말한다. 즉, 상기 염료는 용매에 용해된 상태로서 입자 형상을 갖지 않는 것이고, 상기 안료는 용매에 분산된 상태로서 입자 형상을 갖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내 "리얼우드"라 함은 천연 목재를 얇게 켠 베니어(veneer)를 의미하는 것이며, 일부는 천연 목재를 집성하여 절단하여 제작한 집성 베니어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리얼우드를 자동차용 내장재의 마감재층(20)에 표면재층으로 적용하게 되면, 외관상 세련미 및 고급 질감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리얼우드 소재 고유의 안정감으로 타 소재 대비 적용빈도가 높은 특징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리얼우드는 자동차 내장재로서의 외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천연 목재 수종을 선별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특정 수종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로 상기 리얼우드를 사용하는 경우 자동차 실내 디자인을 고급화할 수 있어, 센터페시아(centre facia), 도어 트림 가니쉬(door trim garnish), 기어박스(gear box), 크래시 패드(Crash Pad)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얼우드를 염색 또는 착색하기 위한 재료로는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염료(dye)는 용매에 녹는 특성을 가지며, 이를 이용해 리얼우드를 염색 또는 착색하는 경우 미감적으로 고급스러운 색감을 나타내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안료(pigment)는 용매에 녹지 않고 분산되는 특성을 가지며, 염료에 비해 미감적으로 고급스러운 색감을 나타내지는 못하지만, 우수한 내광성 및 내변색성을 구현하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염료화 안료(dye type pigment)는 상기 안료(pigment)와 같이 우수한 내광성 및 내변색성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상기 염료(dye)와 같이 우수한 외관 및 색감을 구현하는 특성을 갖도록 가공 또는 개질된 착색 재료이다.
상기 염료(dye)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매에 녹은 상태로 사용되므로 일정 크기를 갖지 않는다. 한편, 상기 안료(pigment)는 용매에 녹지 않고 분산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으로, 마이크로(micro) 단위의 입경(particle diameter)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료는 약 1㎛ 이상의 입경을 갖는다.
상기 염료화 안료는 염료의 장점인 맑고 깊은 은은한 색채감과 안료의 특징인 일광견뢰도, 즉 내광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특징을 동시에 가지도록 가공 또는 개질된 착색 재료로서, 나노(nano) 단위의 입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염료화 안료의 입경은 약 1um 미만이며, 입경 크기가 작을수록 미관적 효과 및 일광 견뢰성을 함께 확보하기에 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염료화 안료의 입경은 약 0nm 초과, 1000nm 미만이며, 예를 들어, 약 500㎚ 이하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3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염료화 안료의 입경은 SEM 또는 TEM 등을 통하여 투영상의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염료화 안료는 상기 범위의 입경을 통하여 상기 안료보다 미세한 입자 크기를 확보할 수 있고, 분산성 및 침투성을 동시에 향상시켜 전술한 안료의 장점 및 염료의 장점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료화 안료는 상기 범위의 입경을 통하여 상기 리얼우드에 적용될 때 분산성 및 침투성을 극대화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식물염료, 동물염료, 광물염료,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건염염료, 반응성염료, 형광염료, 분산염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응성 염료나 분산성 염료로 리얼우드를 염색하는 경우 내후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염료는 리얼우드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염색하면서도, 리얼우드의 패턴을 보다 잘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또는 금속안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예를 들어, 무기안료 또는 금속안료를 이용하는 것이 내후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안료는 자동차 내장재의 내구성 및 내후성의 저하를 방지하는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
또한, 상기 염료화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체질안료, 카본안료, 금속안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가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약 0.1mm 내지 약 1.5mm일 수 있다.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우수한 외관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자동차 내장재로서 사용되는 중에 내구성을 확보하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을 포함하는 마감재층(20)이 기재층의 일면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재층(10)은 상기 마감재층(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그 재질 및 두께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마감재층(20)은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의 일면에 배치된 접착층(22) 및 치수안정 보강층(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수안정 보강층(21)은 상기 기재층(10)과 리얼우드층(23)의 적층에 있어서, 이종 소재의 적층에 따른 소재 고유의 각기 다른 물성적 거동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며, 외부 환경에 대한 치수안정의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내부 층간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치수안정 보강층(21)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직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거나, 섬유 및 수지 기지재로 구성된 섬유 강화 복합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층(22)은 상기 치수안정 보강층(21)과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23)의 부착을 매개하는 층으로서, 층간 계면 박리를 방지하는 접착의 기능을 수행하는 재질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는 마감재층(20)으로 착색 또는 염색된 리얼우드층(23)을 포함시킴으로써, 리얼우드층(23)의 상부에 별도의 표면 도장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리얼우드의 패턴을 잘 살려 자동차용 내장재의 외관을 다양한 색상 및 고급스러운 질감으로 표현할 수 있고, 자동차용 내장재의 내광성 및 내변색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내구성 및 내후성을 구현할 수 있다.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a)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에 의해 리얼우드를 염색 또는 착색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사출 성형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마감재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마감재층 하부에 기재층을 배치한 후,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은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에 의해 리얼우드를 염색 또는 착색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제조하고[(a) 단계],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사출 성형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마감재층을 제조하며[(b) 단계], 상기 마감재층 하부에 기재층을 배치한 후, 사출 성형함으로써[(c) 단계]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 형성은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에 의해 미리 염색된 리얼우드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사출의 온도, 압력, 시간 조건은 변경 가능한 조건이다.
또한,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마감재층은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 하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접착층 및 치수안정 보강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마감재층은 치수안정 보강층, 접착층 및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의 적층 구조를 열압착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열압착 성형은 다양한 공지의 열압착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이고, 핫프레스(hot press)에 의한 열압착 성형은 치수안정 보강층, 접착층 및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의 적층 구조를 열판 간에 끼우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핫프레스에 의한 성형을 통해 균일하고 고밀도의 상기 마감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압착 성형의 온도, 압력, 시간 조건은 변경 가능한 조건이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미리 사출 성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다양한 형상을 가짐으로써, 자동차용 내장재로서 주요 기능인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상기 마감재층 하부에 배치된 후,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다양한 공지의 사출 방법에 의해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은 금형 내에서 마감재층과 기재층을 투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인서트 사출에 의한 성형을 통해 다양한 형상의 상기 자동차용 내장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출의 온도, 압력, 시간 조건은 변경 가능한 조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6
상기 실시예 1-6의 경우, 각각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리얼우드를 각각의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로 착색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제조하였다. 이후,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0.5±0.3mm두께를 갖는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형성하였고,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 하부에 접착층, 그 하부에 치수안정 보강층을 배치한 후, 핫프레스 설비로 열압착하여 성형함으로써 마감재층을 제조하였다. 마감재층 하부에 미리 사출 성형된 기재층을 배치한 후, 인서트 사출 성형하였다.
비교예 1
상기 리얼우드가 염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동차용 내장재를 제조하였다.
리얼우드
수종 재질
염색/착색 재료
종류 특성
실시예 1 단풍나무 반응성 염료 용해
실시예 2 단풍나무 분산성 염료 용해
실시예 3 단풍나무 산성 염료 용해
실시예 4 단풍나무 일반 안료 분산
실시예 5 단풍나무 염료화 안료 (500㎚이상, 1㎛미만) 분산
실시예 6 단풍나무 염료화 안료 (500㎚미만) 분산
비교예 1 단풍나무 미처리 미처리
[평가]
실험예 1: 내변색성의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자동차용 내장재에 대하여 내변색성을 평가하였고, 구체적으로, 각각의 리얼우드층에 대하여, UVB-313 광원을 사용하는 촉진 내후성 시험기기를 사용하여 내광성 및 내변색성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리얼우드층을 흑판 패널 온도 60?에서 36시간 동안 시험하였고, 그 전후의 변색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변색 정도는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고, 변색도는 ○: 양호, △: 보통, X: 심함의 기준으로 기재하였다.
도 2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는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함으로써, 염색 또는 착색되지 않은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비하여 우수한 외관을 구현하며, 내변색성 측면에서도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을 서로 비교할 때, 반응성 염료, 분산성 염료 및 산성 염료와 같이 염료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3은 일반 안료를 사용한 실시예 4 및 염료화 안료를 사용한 실시예 5 및 6에 비하여, 내광성 및 내변색성을 좋지 않으나, 염료가 리얼우드에 잘 침투하여 은은한 색상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리얼우드의 수종에 따른 문양이 외관으로 구현되어 우수한 외관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5 및 6은 염료화 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염료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우수한 외관을 구현하면서도, 향상된 내변색성을 확보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5는 500㎚ 이상, 1㎛ 미만의 입경을 갖는 염료화 안료를 사용한 것이고, 상기 실시예 6은 0nm 초과, 500㎚ 미만의 입경을 갖는 염료화 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더 작은 크기의 염료화 안료를 사용한 실시예 6의 경우가 상기 염료와 같은 우수한 외관 및 향상된 내변색성을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기재층
20: 마감재층
21: 치수안정 보강층
22: 접착층
23: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

Claims (10)

  1.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일면에 배치된 마감재층을 포함하고,
    상기 마감재층은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은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재료에 의해 염색 또는 착색된 리얼우드로부터 형성된 것인 자동차용 내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식물염료, 동물염료, 광물염료, 직접염료, 산성염료, 염기성염료, 건염염료, 반응성염료, 형광염료, 분산염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유기안료, 무기안료 또는 금속안료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화 안료의 입경(particle diameter)은 1um 미만인 자동차용 내장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의 두께는 0.1mm 내지 1.5 mm인 자동차용 내장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층은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의 일면에 배치된 접착층 및 치수안정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
  8. (a) 염료, 안료 또는 염료화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재료에 의해 리얼우드를 염색 또는 착색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를 사출 성형하여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을 포함하는 마감재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마감재층 하부에 기재층을 배치한 후, 사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마감재층은 상기 염색 또는 착색 리얼우드층 하부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접착층 및 치수안정 보강층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기재층은 미리 사출 성형된 것인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20150162768A 2014-11-21 2015-11-19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7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3540 2014-11-21
KR1020140163540 2014-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886A true KR20160061886A (ko) 2016-06-01
KR102107400B1 KR102107400B1 (ko) 2020-05-08

Family

ID=5613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768A KR102107400B1 (ko) 2014-11-21 2015-11-19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74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022A (ko) * 2017-02-08 2018-08-17 (주)엘지하우시스 내광성 및 내변색성 개선을 위한 리얼우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435864A (zh) * 2018-10-31 2019-03-08 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真木发光饰件及其制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990B1 (ko) 2021-06-24 2024-01-31 (주)엘엑스하우시스 차량용 우드 내장재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0638A (ja) * 1997-05-28 1998-12-15 Basf Ag 複合顔料、その製法、変性金属酸化物ナノ粒子、その製法及び着色法
US20020031620A1 (en) * 2000-05-24 2002-03-14 Satoshi Yuzawa Wood-based decorativ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253152A (ja) * 2002-03-01 2003-09-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着色剤含有樹脂微粒子を含有する水性着色材
KR101192271B1 (ko) * 2011-09-20 2012-10-17 재영웰릭스 주식회사 차량용 천연목재 무늬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0638A (ja) * 1997-05-28 1998-12-15 Basf Ag 複合顔料、その製法、変性金属酸化物ナノ粒子、その製法及び着色法
US20020031620A1 (en) * 2000-05-24 2002-03-14 Satoshi Yuzawa Wood-based decorative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253152A (ja) * 2002-03-01 2003-09-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着色剤含有樹脂微粒子を含有する水性着色材
KR101192271B1 (ko) * 2011-09-20 2012-10-17 재영웰릭스 주식회사 차량용 천연목재 무늬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2022A (ko) * 2017-02-08 2018-08-17 (주)엘지하우시스 내광성 및 내변색성 개선을 위한 리얼우드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435864A (zh) * 2018-10-31 2019-03-08 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真木发光饰件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7400B1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4954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meherer Niveaus von Automobilverkleidungsstücken
EP191158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uteilen mit Furnier-Folien-Verbund
KR20160061886A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952947B2 (ja) 自動車用デコレーション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167026A1 (en) Decorative products having depth of image
KR101542326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DE102017222957A1 (de) Bauteil mit transluzenter, formveränderlicher Oberfläche
EP3107706B1 (de) Mehrschichtiger formkörper für fahrzeuginnenausstattung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formkörper
KR20190007003A (ko) 플라스틱 차량 부가 부품 제조 방법
US20170173922A1 (en) Vehicle interior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69918673T2 (de) Lage zur foliendekoratio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foliendekorierter gegenstand
DE102007054579B4 (de) Klavierlackoptik durch Folieneinsatz
KR100970801B1 (ko) 차량용 컬러 인쇄 라이닝
DE102014227010A1 (de) Steinlage, die für ein Fahrzeuginterieurmaterial aus einem echten Stein gerfertigt is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KR20170014180A (ko) 표면에 부분적으로 섬유파일을 부착한 자동차 내장재
JP7326365B2 (ja) 熱成形可能な装飾材料
DE102018217565A1 (de) Mehrschichtverbundfolie aus Kunststoff
KR101397589B1 (ko) 자동차용 보조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4269986B (zh) 用于汽车内饰的可热成型表皮材料及其制造方法
DE102018114335B4 (de) Fahrzeugkarosserieanordnung
DE102008062200A1 (de) Trägerfreies Dekor
DE10200504318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lienbeschichteten Fahrzeuginnenausstattungsteils
KR102206169B1 (ko) 리얼카본 성형품 및 그의 제조방법
CN207314012U (zh) 一种环保无底布汽车内饰pvc人造革
DE602004002327T2 (de) Tapet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