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1308A -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을 사용하는 적층체, 및 포장재 - Google Patents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을 사용하는 적층체, 및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1308A
KR20160061308A KR1020167003042A KR20167003042A KR20160061308A KR 20160061308 A KR20160061308 A KR 20160061308A KR 1020167003042 A KR1020167003042 A KR 1020167003042A KR 20167003042 A KR20167003042 A KR 20167003042A KR 20160061308 A KR20160061308 A KR 20160061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aminate
antifogging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1562B1 (ko
Inventor
도모히사 기다
다카시 모리야
요노스케 고네무라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1Heat seal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2Tear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14Corona, ionisation, electrical discharge, plasma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32B2435/02Closures, end caps, stopper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쇄상 폴리에틸렌(a)을 주성분으로 하고, 방담제를 포함하지 않는 라미네이트층(A), 직쇄상 폴리에틸렌(b1)과 방담제(b2)를 함유하는 중간층(B),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c1)와 방담제(c2)를 함유하는 히트실층(C)이, (A)/(B)/(C)의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서, 다층 필름의 전질량에 대해서 방담제(b2)와 방담제(c2)의 합계 질량이 0.8∼1.6질량%의 범위에서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다층 필름의 양외면이, 젖음 장력 35∼45mN/m의 범위로 처리된 것이며, 다층 필름의 전두께가 20∼100㎛의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을 사용하는 적층체, 및 포장재{ANTIFOGGING MULTILAYER FILM, LAMINATE USING SAME, AND PACKAGING MATERIAL}
본 발명은, 식품 포장 용기의 덮개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담성과 이개봉성(易開封性)을 겸비하는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 패키지 시장에서는, 예를 들면 청과물, 반찬 등의 내용물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서, 포장재에는 방담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용기 내의 청과물, 반찬으로부터의 수분의 증산으로 포장재 내표면에 흐림(fogging)이 생겨버리면, 내용물을 보기 어렵고, 상품 가치의 저하, 즉 식품의 안전과 안심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를 수 없게 되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용기의 덮개재에는, 내용물을 꺼낼 때까지의 확실한 실성(seal性)을 갖는 것은 필수인 한편, 유니버설 디자인화 경향 속에서, 사회적 약자(고령자, 유아, 장애인 등)에 대한 배려로서, 소비자가 개봉하기 쉬운 방식, 예를 들면 이개봉성이 계속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 포장재에 방담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 방담제를 포장 재료에 사용하는 수지 중에 혼련하여 넣고, 이것을 필름상으로 성형한 후, 각종 포장재용으로 2차 성형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과, 수지를 필름상으로 성형한 후에, 적어도 내용물에 접하는 면에 방담제를 도포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이 알려져 있다.
방담제를 수지에 혼련하여 넣는 방법에서는, 단층 필름의 경우나, 다층 필름의 전층에 방담제를 혼련하여 넣었을 경우, 이것의 표면에 인쇄를 실시하거나, 다른 기재 필름과 첩합하거나 할 때에, 표면에 블리드 아웃한 방담제가 인쇄 잉크나 접착제와 반응하여, 인쇄면의 박리나, 접착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다층 필름의 경우에, 특정 층에만 방담제를 혼련하여 넣는 예도 제공되고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방담제가 다층 필름 중에서 이동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므로, 방담성의 효과가 일정하지 않으며, 효과에 지속성이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방담제를 포함하는 도액을 필름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에서는, 도막의 건조 공정이 필요하여 생산 효율이 낮고, 또한 내용물로부터의 수분의 증산에 의해 도포면의 방담제가 흘러 버려, 방담 효과의 지속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국 특개평04-047936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09-248880호 공보 일본국 특개2007-253349호 공보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내용물로부터의 수증기에 의한 흐림을 방지하는 방담성이 양호함과 함께 뛰어난 이개봉성을 갖고, 포장 용기의 덮개재 등의 용도에 호적한 다층 필름과, 이 다층 필름을 기재 필름에 라미네이트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하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예의 연구한 결과, 특정 올레핀계 수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3층의 다층 필름으로서, 방담제의 혼련하여 넣음을 행하는 층의 선택, 방담제의 사용 비율의 조정, 및 다층 필름의 표면 처리를 적절히 행함에 의해 얻어지는 다층 필름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직쇄상 폴리에틸렌(a)을 주성분으로 하고, 방담제를 포함하지 않는 라미네이트층(A), 직쇄상 폴리에틸렌(b1)과 방담제(b2)를 함유하는 중간층(B),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c1)와 방담제(c2)를 함유하는 히트실층(C)이, (A)/(B)/(C)의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서, 상기 다층 필름의 전질량에 대해서 상기 방담제(b2)와 상기 방담제(c2)의 합계 질량이 0.8∼1.6질량%의 범위에서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다층 필름의 양외면이, 젖음 장력 35∼45mN/m의 범위로 처리된 것이며, 다층 필름의 전두께가 2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과 기재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 및 이것을 사용하는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적층체는, 포장 용기의 덮개재로서 히트실했을 때나, 주머니상으로 형성하여 시트실했을 때에, 층간 박리에 근거하는 이개봉성을 발현한다. 또한 방담성이 양호하며, 그 지속성도 가지므로, 청과물이나 반찬 등의 포장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과 이것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에 대해서 상술한다.
[라미네이트층(A)]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층(A)은, 직쇄상 폴리에틸렌(a)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또한 당해 층에는 방담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주성분으로 한다는 것은, 당해 층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 전량에 대해서 특정 수지를 6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상기 직쇄상 폴리에틸렌(a)으로서는, 싱글 사이트 촉매를 사용한 저압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에틸렌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여, 이것에 코모노머로서 부텐-1, 헥센-1, 옥텐-1,4-메틸펜텐 등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한 것이다. 코모노머 함유율로서는, 0.5∼20몰%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18몰%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싱글 사이트 촉매로서는, 주기율표 제Ⅳ 또는 V족 천이 금속의 메탈로센 화합물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및/또는 이온성 화합물의 조합 등의 메탈로센 촉매계 등의 각종의 싱글 사이트 촉매를 들 수 있다. 또한, 싱글 사이트 촉매는 활성점이 균일하기 때문에, 활성점이 불균일한 멀티사이트 촉매와 비교하여, 얻어지는 수지의 분자량 분포가 샤프해지기 때문에, 필름에 성막했을 때에 저분자량 성분의 석출이 적고, 수지층 간의 접착 강도의 안정성이 뛰어난 물성의 수지가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층(A)에 사용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a)의 밀도로서는, 0.920∼0.945g/㎤인 것이 바람직하고, 0.930∼0.940g/㎤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밀도가 이 범위이면, 적당한 강성을 갖고, 내핀홀성 등의 기계 강도도 뛰어나며, 필름 성막성, 압출 적성이 향상한다. 또한, 융점은 60∼13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25℃가 보다 바람직하다. 융점이 이 범위이면, 가공 안정성이나 다른 층과 공압출 가공할 때의 가공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직쇄상 폴리에틸렌(a)의 MFR(190℃, 21.18N)은 2∼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3∼10g/10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FR가 이 범위이면, 필름의 압출 성형성이 향상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층(A)은 상기 직쇄상 폴리에틸렌(a)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지만, 다른 기재와 접착제를 사용하여 라미네이트할 때나, 인쇄를 실시하는 등의 때에, 접착제나 인쇄 잉크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목적의 관점에서, 그 외의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이때 병용할 수 있는 그 외의 수지로서는, 에틸렌계 수지인 것이, 얻어지는 다층 필름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분기상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MA)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말레산 공중합체(E-EA-MAH),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또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등이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의 환상 올레핀 구조를 갖는 모노머와 에틸렌 등과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고,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간층(B)]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중간층(B)은, 직쇄상 폴리에틸렌(b1)과 방담제(b2)를 함유한다. 이 직쇄상 폴리에틸렌(b1)은, 상술의 라미네이트층(A)에 사용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a)과 같은 것이다.
중간층(B) 중에 있어서의 상기 직쇄상 폴리에틸렌(b1)의 사용 비율로서는, 당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질량% 이상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병용할 수 있는 수지종으로서는, 라미네이트층(A)에서 병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 예시한 것과 같다.
상기 방담제(b2)로서는, 일반적으로 올레핀계 수지에 첨가되어 방담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이온계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디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디팔미테이트, 소르비탄모노베헤네이트, 소르비탄디베헤네이트,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디라우레이트 등의 소르비탄계 계면 활성제;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디라우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팔미테이트, 디글리세린디팔미테이트, 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디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디스테아레이트, 디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디글리세린디라우레이트 등의 글리세린계 계면 활성제;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팔미네이트 등의 폴리에틸렌글리콜계 계면 활성제; 트리메틸올프로판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계 계면 활성제; 라우릴디에탄올아민, 올레일디에탄올아민, 스테아릴디에탄올아민, 라우릴디에탄올아미드, 올레일디에탄올아미드, 스테아릴디에탄올아미드 등의 디에탄올알킬아민계 및 디에탄올알킬아미드계 계면 활성제; 펜타에리트리톨모노팔미테이트 등의 펜타에리트리톨계 계면 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디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디글리세린 축합체의 모노 및 디스테아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B) 중의 방담제(b2)의 사용 비율로서는, 당해 층의 전질량에 대해서 0.8∼5.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0∼3.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방담제(b2)를 사용함에 의해, 상술의 라미네이트층(A)에의 과잉한 이행이 일어나지 않고, 필름으로서의 방담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중간층(B)은 밀도가 다른 직쇄상 폴리에틸렌을 복수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성이어도 되며, 특히 방담제의 라미네이트층에의 이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방담성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중간층(B)이, 밀도가 다른 층(B1) 및 층(B2)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A)/(B1)/(B2)/(C)의 순으로 적층되며, 또한 층(B1)에 함유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층(B2)에 함유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보다도 높은 것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층 이상의 중간층(B)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층(B1)에 함유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20∼0.945g/㎤의 범위이며, 상기 층(B2)에 함유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880∼0.920g/㎤의 범위인 것이, 다층 필름으로서의 방담성과, 라미네이트층에의 방담제의 이행 억제의 밸런스가 뛰어난 점에서 바람직하다.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 조건 이외에는, 상기 중간층(B)에 사용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b1), 방담제(b2)는 같다.
특히 라미네이트층(A)에 인접하는 중간층(B1)에 사용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상기 라미네이트층(A)에 사용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a)의 밀도와 같거나, 혹은 작은 것이, 방담제(b2)의 이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방담제(b2)의 사용 비율로서는, 모든 복수의 중간층(B)에서 동일해도, 달라도 되며, 또한 사용하는 방담제(b2)의 종류로서도, 동일해도 달라도 되지만, 필름으로서의 방담성의 지속성의 관점에서는, 동종의 방담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실층(C)]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히트실층(C)으로서는, 이것을 용기의 덮개재나 포장 주머니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이개봉성의 발현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c1)를 사용하는 것을 필수로 하는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c1)로서는, 상술의 라미네이트층(A), 중간층(B)과 적층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예를 들면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메탈로센 촉매계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며, 병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특히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중합된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들의 프로필렌계 수지를 히트실층(C)용의 수지로서 사용함에 의해, 특히 포장 용기의 실면(seal面)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인 포장 용기의 덮개재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c1)는, MFR(230℃)이 0.5∼30.0g/10분이며, 융점이 110∼16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MFR(230℃)이 2.0∼15.0g/10분이며, 융점이 115∼162℃인 것이다. MFR 및 융점이 이 범위이면, 히트실 시의 필름의 수축이 적고, 필름의 성막성도 더 향상한다.
히트실층(C)에 있어서의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c1)의 사용 비율로서는, 당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90질량% 이상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병용할 수 있는 수지종으로서는, 라미네이트층(A)에서 병용할 수 있는 수지로서 예시한 것과 같다.
히트실층(C)에 사용하는 방담제(c2)로서는, 상기 중간층(B)에서 사용하는 방담제(b2)로서 예시한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호적한 것도 같다.
중간층(B)에 사용하는 방담제(b2)와, 히트실층(C)에 사용하는 방담제(c2)로서는, 동일해도, 달라도 된다. 마스터배치화된 방담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용성의 관점에서, 베이스 수지가 각각, 중간층(B)에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히트실층(C)에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실층(C)에 있어서의 방담제(c2)의 사용 비율로서는, 당해 층의 전질량에 대해서 1.0∼6.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4.0질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방담제(c2)를 사용함에 의해, 필름으로서의 방담성, 방담 지속성이 양호한 것을 얻는 것이 용이해진다.
[방담성 다층 필름]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은, 상기 라미네이트층(A), 중간층(B) 및 히트실층(C)이, (A)/(B)/(C)로 적층된 다층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은, 당해 층구성에 있어서, 라미네이트층(A)에 방담제를 함유하지 않고, 중간층(B) 및 히트실층(C)의 양층에 방담제를 함유하고, 또한 방담제의 함유량을 다층 필름의 전질량에 대한 방담제의 합계 질량이 0.8∼1.6질량%의 범위이며, 양외면의 젖음 장력이 35∼45mN/m이며, 그 전두께가 20∼100㎛이다. 당해 구성의 다층 필름은, 호적한 방담성을 실현할 수 있음과 함께, 히트실했을 때에 호적한 접착 강도를 실현할 수 있고, 개봉 시에도 (B)/(C)층 간에서 호적한 이개봉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방담제의 탈락이 생기기 어려운 동시에, 안정하여 방담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인쇄나 다른 기재와의 접착도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의 전두께로서는, 이것을 다른 기재와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의 라미네이트가 용이하며, 호적한 방담성을 얻어지므로 20∼1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30∼80㎛의 범위인 것이, 성막이 용이한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각층의 비율로서는, 실성, 이개봉성, 및 라미네이트성의 관점에서, 중간층(B)의 두께 비율이 35∼60%의 범위이며, 히트실층(C)의 두께 비율이 8∼1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 전체에 포함되는 방담제의 총량으로서는, 0.8∼1.6질량%이며, 특히 1.0∼1.3질량%의 범위인 것이, 성막성이 양호한 점과, 방담성, 방담 지속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의 각층 (A), (B), (C)에는, 대전 방지제, 열안정제, 조핵제, 산화 방지제, 활제, 안티블록킹제,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착색제 등의 성분을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특히, 필름 성형 시의 가공 적성, 충전기의 포장 적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필름 표면의 마찰 계수는 1.5 이하, 그 중에서도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층 필름의 표면층에 상당하는 수지층에는, 활제나 안티블록킹제나 대전 방지제를 적의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의 양외면을 처리하고, 표면의 젖음 장력 35∼45mN/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38∼42mN/m의 범위로 한다. 이러한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의 표면 산화 처리, 혹은 샌드블라스트 등의 표면 요철 처리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방전 처리이다. 이러한 표면 처리를 행함에 의해, 당해 다층 필름의 라미네이트층(A)에 인쇄나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재와 적층하는 등의 후공정을 실시하는 경우의, 잉크나 접착제의 도공성이 양호해지고, 잉크나 알루미늄, 앵커 코팅제 등과의 밀착성이 뛰어나며, 잉크나 증착 알루미늄의 탈락이나 디라미네이션 등의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히트실층(C)의 표면을 처리함에 의해, 방담제를 외표면에 비교적 장기에 걸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방담성 및 방담 지속성이 뛰어난 필름이 된다. 라미네이트층(A)과 히트실층(C)의 처리 방법, 및 처리도는 동일해도 달라도 되지만, 생산성의 관점에서는,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로나 방전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39-12838호, 일본국 특개소47-19824호, 일본국 특개소48-28067호, 일본국 특개소52-42114호의 각 공보에 기재 등의 처리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코로나 방전 처리 장치는, Pillar사제 솔리드 스테이트 코로나 처리기, LEPEL형 표면 처리기, VETAPHON형 처리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처리는 공기 중에서의 상압에서 행할 수 있다. 처리 시의 방전 주파수는, 5㎸∼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이며, 파형은 교류 정현파가 바람직하다. 전극과 유전체 롤의 갭 클리어런스는 0.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이다. 방전은, 방전 대역에 마련된 유전 서포트 롤러의 상방으로 처리하고, 처리량은, 0.34㎸·A·분/㎡∼0.4㎸·A·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0.344㎸·A·분/㎡∼0.38㎸·A·분/㎡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히트실 후의 박리 강도는, 사용 태양에 따라 적의 조정하면 되지만, 예를 들면, 10㎝×5㎝로 잘라낸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폴리프로필렌제 시트에, 180℃, 0.2㎫로 1초간 히트실했을 때의 박리 강도가 5∼20N/15㎜인 것이 바람직하고, 8∼12N/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박리 강도로 함으로써 적층 필름의 박리나 탈락이 생기기 어렵고, 또한, 개봉 시의 이개봉성이 특히 적합해진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층(A), 중간층(B), 히트실층(C)에 사용하는 각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을, 각각 별개의 압출기로 가열 용융시켜, 공압출 다층 다이스법이나 피드 블록법 등의 방법에 의해 용융 상태에서 (A)/(B)/(C), 또는 (A)/(B1)/(B2)/(C)의 순으로 적층한 후, 인플레이션이나 T다이·칠롤법 등에 의해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공압출법을 들 수 있다. 이 공압출법은, 각층의 두께의 비율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위생성이 뛰어나며, 코스트 퍼포먼스도 뛰어난 다층 필름이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T다이·칠롤법은, 융점이나 Tg가 다른 수지를 공압출할 때의 필름 외관의 열화의 억제나 균일한 층구성의 형성이 하기 쉽고, 호적한 투명성이나 광택의 필름을 얻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인플레이션법은, 설비가 간편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소량 다품종의 생산에도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은,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실질적으로 무연신의 다층 필름으로서 얻어지므로, 진공 성형에 의한 딥드로잉 성형이나 엠보싱 가공 등의 2차 성형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방담성 다층 필름을, 다른 기재와 첩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기재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용이하게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고강성, 고광택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 특히는 이축 연신된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의 경우에는 알루미늄박을 단독 혹은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연신된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PET),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PA),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중심층으로 한 공압출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을 코팅한 공압출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복합화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에 의해 얻어진 방담성 다층 필름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 필름이며, 적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드라이 라미네이션, 웨트 라미네이션, 논솔벤트 라미네이션, 압출 라미네이션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드라이 라미네이션에서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각종의 점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감압성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압성 점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이소부틸렌 고무, 부틸 고무, 이들의 혼합물을 벤젠, 톨루엔, 자일렌, 헥산과 같은 유기 용제에 용해한 고무계 점착제, 혹은, 이들 고무계 점착제에 아비에트산로진에스테르, 테르펜·페놀 공중합체, 테르펜·인덴 공중합체 등의 점착 부여제를 배합한 것, 혹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n-부틸 공중합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에틸·메타크릴산메틸 공중합체 등의 유리 전이점이 -20℃ 이하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유기 용제로 용해한 아크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적층체의 용도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식품, 약품, 공업부품, 잡화, 잡지 등의 용도에 사용하는 포장 용기의 덮개재 등에 호적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당해 포장 용기의 최외층(본 발명의 다층 필름의 히트실층과 접착하는 부분)이 각종 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이개봉성과 실 강도와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특히 언급이 없는 한, 「부」는 질량 기준이다.
(조제예1)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베이스로 하는 방담제 마스터배치의 조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MFR(230℃) 7g/10min, 융점 130℃(이하, 폴리프로필렌(1)이라고 함)]와, 리켄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리케말 O-71-D를 질량비가 90/10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조립기(造粒機)로 방담제 마스터배치 펠렛을 얻었다(이하, 방담제(1)라고 함).
(조제예2)
[직쇄상 폴리에틸렌을 베이스로 하는 방담제 마스터배치의 조제]
직쇄상 폴리에틸렌[MFR(190℃) 4g/10min, 밀도 0.905g/㎤][이하, LLDPE(1)라고 함]과, 리켄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리케말 O-71-D를 질량비가 80/20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조립기로 방담제 마스터배치 펠렛을 얻었다(이하, 방담제(2)라고 함).
(조제예3)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베이스로 하는 방담제 마스터배치의 조제]
밀도 0.918g/㎤, MFR 3.4g/10min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이하, LDPE라고 함]과, 리켄비타민 가부시키가이샤제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리케말 O-71-D를 질량비가 80/20이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로 용융 혼련한 후, 조립기로 방담제 마스터배치 펠렛을 얻었다(이하, 방담제(3)라고 함).
(실시예1)
히트실층(C)용의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1) 76부와, 방담제(1) 24부를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히트실층(C)의 방담제 농도는 2.4질량%였다. 중간층(B2)용의 수지로서, LLDPE(1) 80부와, 방담제(2) 20부를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방담제 농도는 4질량%였다.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밀도 0.933g/㎤, MFR 5.0g/10min의 직쇄상 폴리에틸렌[이하, LLDPE(2)라고 함] 97.5부와 방담제(2) 2.5부를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방담제 농도는 0.5%였다. 라미네이트층(A)용의 수지로서 LLDPE(2)를 사용했다. 히트실층(C)용 압출기(구경 40㎜), 중간층(B2)용 압출기(구경 40㎜), 중간층(B1)용 압출기(구경 50㎜)와 라미네이트층(A)용 압출기(구경 50㎜)와의 각각에 수지를 공급하고, 공압출법에 의해 압출 온도 250℃에서 T다이로부터 (A)/(B1)/(B2)/(C)의 각층의 두께가 10㎛/12㎛/4㎛/4㎛가 되도록 압출, 40℃의 수냉 금속 냉각롤에서 냉각했다. 이어서, 코로나 방전 처리를 라미네이트층 및 히트실층의 양면에 실시하고, 롤에 권취하고, 38℃의 숙성실에서 24시간 숙성시켜서, 전두께가 30㎛의 본 발명의 다층 필름을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질량에 대한 방담제 농도는 약 1.1질량%이다. 라미네이트층 표면의 젖음 장력은 39mN/m, 히트실층 표면의 젖음 장력은 44mN/m였다. 이 후, 얻어진 공압출 필름과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12㎛를 폴리우레탄계 접착제[DIC 가부시키가이샤제 딕드라이 LX510/KR90]로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2)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2)와 방담제(2)를 혼합비 99.5/0.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 농도는 0.1질량%(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0.9질량%)였다. 또한,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방전 출력을 조정하여, 히트실층 표면의 젖음 장력을 39mN/m로 했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2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3)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2)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99.5/0.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 농도는 0.1질량%(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0.9질량%)였다. 또한,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방전 출력을 조정하여, 히트실층 표면의 젖음 장력을 35mN/m로 했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3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4)
전체 두께를 90㎛로 하고, (A)/(B1)/(B2)/(C)의 각층의 두께가 30㎛/36㎛/12㎛/12㎛가 되도록 냉각롤의 회전 속도를 바꾸고, 인취 속도를 조정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4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5)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2)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92/8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 농도는 1.6질량%(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5질량%)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5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6)
중간층(B2)용의 수지로서, LLDPE(1)에 대신하여, LLDPE(2)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6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7)
라미네이트층(A)용의 수지로서, 밀도 0.920g/㎤, MFR(190℃) 4g/10min의 직쇄상 폴리에틸렌[이하, LLDPE(3)라고 함]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7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8)
히트실층(C)용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1)과 방담제(1)를 질량비가 76/24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히트실층(C) 중의 방담제 농도는 2.4질량%였다.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1)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92.5/7.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 농도는 1.5질량%였다. 라미네이트층(A)용 수지로서, LLDPE(2)를 사용했다. 히트실층(C)용 압출기(구경 30㎜), 중간층(B1)용 압출기(구경 40㎜)와 라미네이트층(A)용 압출기(구경 30㎜)와의 각각에 수지를 공급하고, 공압출법에 의해 압출 온도 250℃에서 T다이로부터 (A)/(B1)/(C)의 각층의 두께가 10㎛/16㎛/4㎛가 되도록 압출한 이외에는 실시예3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8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1질량%였다.
(실시예9)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1)에 대신하여, LLDPE(2)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8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9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10)
히트실층(C)용의 수지로서,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공중합체[MFR(230℃) 7g/10min, 융점 129℃(이하, 폴리프로필렌(2)이라고 함)]와 방담제(1)를 질량비가 76/24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또한,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방전 출력을 조정하여, 히트실층 표면의 젖음 장력을 39mN/m로 했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10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11)
라미네이트층 측의 코로나 방전 출력을 조정하여, 라미네이트면의 젖음 장력을 44mN/m로 하고,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처리 출력도 조정하여, 히트실면의 젖음 장력을 39mN/m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11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12)
라미네이트층 측의 코로나 방전 출력을 조정하여, 라미네이트면의 젖음 장력을 36mN/m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12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13)
라미네이트층(A)용 수지로서, LLDPE(2)와 LDPE를 질량비가 80/20이 되도록 혼합하고, 또한,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처리 출력도 조정하여, 히트실면의 젖음 장력을 39mN/m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13의 적층체를 얻었다.
(실시예14)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2), LDPE 및 방담제(2)를 질량비가 77.5/20/2.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그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 농도는 0.5질량%였다. 중간층(B2)용의 수지로서, LLDPE(1), LDPE 및 방담제(2)를 질량비가 60/20/20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그때의 방담제 농도는 4%였다. 또한,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처리 출력도 조정하여, 히트실면의 젖음 장력을 39mN/m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14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1질량%였다.
(비교예1)
히트실층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1의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2)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방전 출력을 조정하여, 히트실층의 표면의 젖음 장력을 33mN/m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2의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3)
히트실층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전체 두께를 150㎛로 하고, (A)/(B1)/(B2)/(C)의 각층의 두께가 50㎛/60㎛/20㎛/20㎛가 되도록 냉각롤의 회전 속도를 바꾸고, 인취 속도를 조정으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1의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4)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방전 출력을 조정하여, 히트실층의 표면의 젖음 장력을 39mN/m로 했다. 중간층(B1)용 수지로서, LLDPE(2)만을 사용하고, 방담제를 첨가하지 않고, 중간층(B2)용 수지로서, LLDPE(1)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90/10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2) 중의 방담제 농도는 2.0질량%였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4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0.6질량%였다.
(비교예5)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2)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88/12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방담제 농도는 중간층(B1) 중의 2.4질량%였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5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8질량%였다.
(비교예6)
라미네이트층(A)용 수지로서, LDPE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99/1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라미네이트층(A) 중의 방담제 농도는 0.2질량%였다. 중간층(B1) 및 (B2)용 수지로서, LDPE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98.5/1.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및 (B2) 중의 방담제 농도는 0.3질량%였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6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0질량%였다.
(비교예7)
라미네이트층(A)용 수지로서, LDPE(분기상)만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7의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8)
라미네이트층(A)용 수지로서, LLDPE(2)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99/1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량은 0.2질량%였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8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1질량%였다.
(비교예9)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DPE와 방담제(3)를 질량비가 92.5/7.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 농도는 1.5질량%였다. 히트실층 측의 코로나 처리 출력도 조정하여, 히트실면의 젖음 장력을 44mN/m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8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9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1질량%였다.
(비교예10)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DPE와 방담제(3)를 질량비가 97.5/2.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 농도는 0.5질량%였다. 또한, 중간층(B2)용의 수지로서, LDPE와 방담제(3)를 질량비가 80/20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그때의 방담제 농도는 4질량%였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10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1질량%였다.
(비교예11)
라미네이트층 측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11의 적층체를 얻었다.
(비교예12)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2)와 방담제(2)를 질량비가 95/5가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1) 중의 방담제 농도는 1질량%였다. 또한 중간층(B2)용 수지로서, LLDPE(1)와 방담제(2)를 질량비 75/26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중간층(B2) 중의 방담제 농도는 5%였다. 라미네이트층(A) 및 히트실층(C)에는 방담제는 첨가하지 않았다. 이들 이외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12의 적층체를 얻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1질량%였다.
(비교예13)
라미네이트층(A)용의 수지로서, LLDPE(2)를 사용하고, 중간층(B1)용의 수지로서 LLDPE(2)를 사용하고, 중간층(B2)용의 수지로서 LLDPE(1)를 사용하고, 방담제를 첨가하지 않고, 히트실층(C)용의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1)과 방담제(1)를 질량비가 20/80이 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했다. 이때의 필름 전체의 방담제 농도는 약 1.1질량%였다. 그들을 각 압출기에 도입하여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250℃에서 압출했지만, 현저한 면거칠기에 의한 외관 불량이 발생하고, 양호한 필름이 얻어지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있어서, 이하의 평가를 행했다. 얻어진 결과는 표 중에 나타냈다. 또 표 중의 각층의 배합 성분의 함유량은, 층 중의 질량비이다.
[에이징 후의 필름 외관 평가]
공압출법에 의해, T다이로부터 압출된 필름의 38℃, 24시간 에이징한 샘플의 외관을 목시에 의해 확인했다.
○ : 방담제 블리드에 의한 백화는 보이지 않음
× : 방담제 블리드에 의한 백화로, 필름의 투명성 악화
[라미네이트 강도의 평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공압출법으로 얻어진 필름 간의 라미네이트 강도의 거동에 대해서, 인장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 에이·앤드·디제)를 사용하여, 300㎜/min의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상태를 이하의 기준에서 평가했다.
○ : 충분한 라미네이트 강도의 유지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공압출법으로 얻어진 필름 간에서 강고한 접착을 확인.
× : 라미네이트 강도의 부족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공압출법으로 얻어진 필름 간에서 용이한 박리를 확인.
[방담 효과 확인 시험]
얻어진 적층체를, 38℃ 환경하 24시간 에이징을 실시한 후, 8㎝×8㎝로 잘라내고, 40℃의 물 30㎖를 넣은 71φ 인젝션 용기(도코 가부시키가이샤제)와 히트실한 후(압력 64kgf/cup, 온도 160℃, 시간 1.0초), 목시에 의해 이하의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 저온실 3℃에서 3시간 보관하여, 방담 효과를 확인했다.
○ : 필름 표면에 연속적인 수막이 형성되어, 시인성 양호
△ : 필름 표면에 세밀한 물방울 부착에도 시인성 양호
× : 물방울 부착 있음, 시인성 악화
[히트실 시험]
얻어진 적층체를, 10㎝×5㎝로 잘라내고, 두께 0.3㎜의 폴리프로필렌제 시트와, 히트실면이 폴리프로필렌 시트 측에 오도록 겹쳐, 히트실 테스터(테스터산교제 정밀 히트 실러)를 사용하여, 소정의 온도로 조절된 상부 히트실 바가, 적층체의 최외층 측에 오도록 세트하고, 0.2㎫, 1초의 조건에서 히트실했다.
[박리 강도의 평가]
히트실된 부분과 수직 방향으로 15㎜ 폭의 스트립상의 샘플을 잘라내어, 인장 시험기(가부시키가이샤 에이·앤드·디제)를 사용하여, 300㎜/min의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최대 강도를 박리 강도로 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2]
Figure pct00002
[표 3]
Figure pct00003
[표 4]
Figure pct00004
상기 표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실시예1∼12의 본 발명의 방담성 적층 필름은, 호적한 방담성과 박리 강도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호적한 필름 외관을 갖고, 라미네이트 강도도 호적했다. 한편, 비교예1∼6, 9∼11의 적층 필름은, 호적한 방담성과 박리 강도를 양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비교예7∼8, 12∼13의 적층 필름은, 적층 필름 자체의 특성이 뒤떨어지는 것이며, 실용상의 사용이 곤란한 것이었다.

Claims (13)

  1. 직쇄상 폴리에틸렌(a)을 주성분으로 하고, 방담제를 포함하지 않는 라미네이트층(A), 직쇄상 폴리에틸렌(b1)과 방담제(b2)를 함유하는 중간층(B), 및 폴리프로필렌계 수지(c1)와 방담제(c2)를 함유하는 히트실층(C)이, (A)/(B)/(C)의 순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서,
    상기 다층 필름의 전질량에 대해서 상기 방담제(b2)와 상기 방담제(c2)의 합계 질량이 0.8∼1.6질량%의 범위에서 포함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다층 필름의 양외면의 젖음 장력이 35∼45mN/m의 범위이며, 다층 필름의 전두께가 2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담성 다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담성 다층 필름에 있어서의 중간층(B)이, 밀도가 다른 층(B1) 및 층(B2)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A)/(B1)/(B2)/(C)의 순으로 적층되고, 또한 층(B1)에 함유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층(B2)에 함유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보다도 높은 것인 방담성 다층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층(B1)에 함유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20∼0.945g/㎤의 범위이며, 상기 층(B2)에 함유되는 직쇄상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880∼0.920g/㎤의 범위인 방담성 다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상 폴리에틸렌(a)의 밀도가 0.920∼0.945g/㎤의 범위인 방담성 다층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의 전두께가 20∼100㎛의 범위인 방담성 다층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의 전두께에 대한 중간층(B)의 두께 비율이 35∼60%의 범위이며, 상기 히트실층(C)의 두께 비율이 8∼15%의 범위인 방담성 다층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필름이 공압출 적층법으로 제조된 것인 방담성 다층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가, 코로나 방전 처리인 방담성 다층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담제(b2) 및 (c2)가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인 방담성 다층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담성 다층 필름의 라미네이트층(A)과,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11. 제10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식품 포장 용기의 덮개재인 포장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포장 용기의 실면(seal面)이 프로필렌계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층인 포장재.
KR1020167003042A 2013-09-27 2014-09-22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을 사용하는 적층체, 및 포장재 KR102161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1481 2013-09-27
JP2013201481 2013-09-27
PCT/JP2014/075041 WO2015046131A1 (ja) 2013-09-27 2014-09-22 防曇性多層フィルム、これを用いる積層体、及び包装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308A true KR20160061308A (ko) 2016-05-31
KR102161562B1 KR102161562B1 (ko) 2020-10-05

Family

ID=5274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042A KR102161562B1 (ko) 2013-09-27 2014-09-22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을 사용하는 적층체, 및 포장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62864B2 (ko)
KR (1) KR102161562B1 (ko)
CN (1) CN105579231B (ko)
TW (1) TWI639508B (ko)
WO (1) WO20150461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83277A (zh) * 2016-07-18 2016-12-07 镇江东方红纳米科技有限公司 一种防雾薄膜
JP6972545B2 (ja) * 2016-12-21 2021-11-24 Dic株式会社 防曇性多層フィルム、これを用いる積層体、及び包装材
JP7036100B2 (ja) * 2019-10-15 2022-03-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包装体
CN116580631B (zh) * 2023-05-18 2024-05-17 广东工业大学 一种应用于液滴展平的模内标签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7936A (ja) 1990-06-15 1992-02-18 Tonen Chem Corp 防曇性多層フィルム
JPH09248880A (ja) 1996-03-15 1997-09-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体
JPH11198323A (ja) * 1998-01-20 1999-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ラミネート用ポリエチレン系積層体
JP2001310431A (ja) * 2000-04-28 2001-11-06 Dainippon Ink & Chem Inc 易開封性複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01320986A (ja) * 2000-05-12 2001-11-20 Mitsui Chemicals Inc 防曇性フィルム
JP2001334617A (ja) * 2000-05-25 2001-12-04 Sekisui Chem Co Ltd 積層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複合フィルム及び複合包装袋
JP2003291282A (ja) * 2002-01-29 2003-10-14 Toyobo Co Ltd 青果物包装用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05028679A (ja) * 2003-07-10 2005-02-03 Tohcello Co Ltd 易開封性積層フイルム及びその用途
JP2007038605A (ja) * 2005-08-05 2007-02-15 Dainippon Ink & Chem Inc 共押出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07253349A (ja) 2006-03-20 2007-10-04 Gunze Ltd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WO2009148096A1 (ja) * 2008-06-06 2009-12-10 グンゼ株式会社 防曇性に優れた多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07972U1 (de) * 2010-07-02 2010-12-09 Kobusch-Sengewald Gmbh Klare transparente Antifog-Mehrschicht-Foli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7936A (ja) 1990-06-15 1992-02-18 Tonen Chem Corp 防曇性多層フィルム
JPH09248880A (ja) 1996-03-15 1997-09-22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体
JPH11198323A (ja) * 1998-01-20 1999-07-2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ラミネート用ポリエチレン系積層体
JP2001310431A (ja) * 2000-04-28 2001-11-06 Dainippon Ink & Chem Inc 易開封性複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01320986A (ja) * 2000-05-12 2001-11-20 Mitsui Chemicals Inc 防曇性フィルム
JP2001334617A (ja) * 2000-05-25 2001-12-04 Sekisui Chem Co Ltd 積層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複合フィルム及び複合包装袋
JP2003291282A (ja) * 2002-01-29 2003-10-14 Toyobo Co Ltd 青果物包装用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05028679A (ja) * 2003-07-10 2005-02-03 Tohcello Co Ltd 易開封性積層フイルム及びその用途
JP2007038605A (ja) * 2005-08-05 2007-02-15 Dainippon Ink & Chem Inc 共押出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2007253349A (ja) 2006-03-20 2007-10-04 Gunze Ltd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包装袋
WO2009148096A1 (ja) * 2008-06-06 2009-12-10 グンゼ株式会社 防曇性に優れた多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62864B2 (ja) 2016-08-03
TW201515836A (zh) 2015-05-01
JPWO2015046131A1 (ja) 2017-03-09
KR102161562B1 (ko) 2020-10-05
CN105579231A (zh) 2016-05-11
TWI639508B (zh) 2018-11-01
WO2015046131A1 (ja) 2015-04-02
CN105579231B (zh)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6411B1 (en) Composition comprising ethylene copolymers and polyolefins
US20060222796A1 (en) Structure comprising metallized film and ethylene copolymer
KR102161563B1 (ko)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을 사용하는 적층체, 및 포장재
KR102131124B1 (ko) 저흡착성 라미네이트용 다층 필름, 이를 사용한 복합 필름 및 포장재
JP6172398B2 (ja) 多層フィルム、包装材用積層フィルム、包装袋及び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US20210339925A1 (en) High-barrier recyclable film
EP3770213A1 (en) Composition for skin packaging, sealant for skin packaging, and packaging body for skin packaging
KR20160061308A (ko) 방담성 다층 필름, 이것을 사용하는 적층체, 및 포장재
EP2683772B1 (en) Sealable, antifog composition for heat sealable films and easy-open packages obtained therefrom
JP6972545B2 (ja) 防曇性多層フィルム、これを用いる積層体、及び包装材
JP6070916B1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4938213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およびラミネートフィルム
EP3636433A1 (en) Easily unsealable laminate film and packaging container
JP7419802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4692818B2 (ja) 共押出積層フィル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6839924B2 (ja) 蓋材
WO2023063091A1 (ja) 防曇性多層フィルム、これを用いる積層体、及び包装材
JP7342694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7276394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6590235B1 (ja) 易開封性積層フィルム、易開封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
JP7257777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EP4275888A1 (en) Sealant film and usage thereof
JP2016117515A (ja) ヒートシール用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2004025562A (ja) ポリオレフィン系重合体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体
EP3763522A1 (en) Multilayer reclosable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