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704A -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 - Google Patents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704A
KR20160060704A KR1020167010557A KR20167010557A KR20160060704A KR 20160060704 A KR20160060704 A KR 20160060704A KR 1020167010557 A KR1020167010557 A KR 1020167010557A KR 20167010557 A KR20167010557 A KR 20167010557A KR 20160060704 A KR20160060704 A KR 20160060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team
generator
water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6754B1 (ko
Inventor
가즈시 구와하타
가즈요시 히라오카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2Driving of auxiliaries from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steam-driven
    • B63H21/06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steam-driven relating to steam turb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0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steam-driven
    • B63H21/1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steam-driven relating to condensers or engine-cooling fluid heat-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4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relating to internal-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powered by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02Adaptations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 F01D15/04Adaptations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the vehicles being waterborn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5/00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 F01K15/02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5/00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 F01K15/02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 F01K15/04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the vehicles being waterborne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prope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GHOT GAS OR COMBUSTION-PRODUCT POSITIVE-DISPLACEMENT ENGINE PLANTS; USE OF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0Profiting from waste heat of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G5/02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 F02G5/04Profiting from waste heat of exhaust gases in combination with other waste heat from combustion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4Combined heat and power generation [CH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02T70/5218Less carbon-intensive fuels, e.g. natural gas, biofuels
    • Y02T70/5236Renewable or hybrid-electric s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내열 기관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을 제공한다. 내열 기관(11, 61, 62)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증기 터빈(12, 41)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85)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WASTE HEAT RECOVERY SYSTEM, SHIP PROPULSION SYSTEM, SHIP, AND WASTE HEAT RECOVERY METHOD}
본 발명은,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선박용 추진 시스템으로서는, 디젤 기관에 의한 추진 동력에, 디젤 기관의 배기 가스를 이용하여 연소를 행하는 보일러를 구비한 보일러 발전 시스템의 전력으로 구동되는 모터에 의한 추진 동력을 조합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3 참조).
일본 특허공보 제459250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890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48399호
한편 여기에서, 보일러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는 증기 터빈에는, 디젤 기관과 비교하여 메인터넌스가 적어도 되고, 또한 신뢰성이 높다는 메리트가 있는 반면, 디젤 기관과 비교하여 열 효율이 낮다는 디메리트가 있다.
한편, 디젤 기관에는, 증기 터빈과 비교하여 열 효율이 높다는 메리트가 있는 반면, 대량의 폐열이 다 회수되지 못하고 대기에 버려지고 있다는 디메리트가 있다.
또한, 디젤 기관의 폐열은, 디젤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로 유도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데 이용되고 있지만, 그 이용처는 한정되어 있고, 현재, 대량의 폐열이 대기에 버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내열 기관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의 수단을 채용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은, 제1 구동 기관인 내열 기관과, 제2 구동 기관인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증기 터빈을 구비한 폐열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된 복수(復水)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와,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서 상기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발생한 제2 증기로부터 제3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생성기와, 상기 증기 발생기에서 생성한 상기 제3 증기와 상기 제1 저압 급수 가열기에서 가열된 상기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키고, 상기 제3 증기 중 적어도 일부는 물에 응축되는 고압 급수 가열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은,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내열 기관과,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증기 터빈과, 상기 증기 터빈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축 발전기 모터를 구비한 폐열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은,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증기 터빈과, 내열 기관에서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와는 상이한 다른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전기 추진 모터를 구비한 폐열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보일러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저압 급수 가열기에 있어서,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에 의하여,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보일러에 유도되는 복수가 가열되게 된다.
즉, 재킷 냉각수의 열이 복수에 의하여 회수되게 된다.
이로써, 내열 기관으로부터 재킷 냉각수의 냉각 매체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내열 기관의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는, 증기 생성기와의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공급되는 급수와, 상기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증기를 발생시켜도 된다. 즉, 배기 가스에 의하여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에 의하여, 선박 내에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킨다. 이로써, 선박 내에 필요한 증기 생성을 위하여 필요한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증기 생성기로부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공급되는 급수가 가열되게 된다. 또한, 증기 생성기는, 예를 들면, 증기 터빈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와는 다른 보일러, 혹은 증기 터빈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와는 다른 기수(氣水) 분리기이다.
즉,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의 출구의 배기 가스는, 증기 터빈 추진 시스템의 복수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는 열량을 가지고 있고,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의 출구측에 증기 터빈 추진 시스템의 복수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마련하여, 추가로 내열 기관으로부터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마련된 제2 급수 가열기에서 상기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복수와, 증기 생성기에서 발생된 증기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증기 발생기에서 발생된 증기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고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급수 가열기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저압 급수 가열기로부터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상기 복수와, 상기 고압 급수 가열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를 가열한 상기 증기 또는 열수(熱水)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이들 증기 또는 열수의 열로, 상기 제1 저압 급수 가열기로부터 상기 고압 급수 가열기에 유도되는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2 저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저압 급수 가열기에 있어서, 배기 가스의 열로 가열된 복수를 가열한 증기 또는 열수에 의하여, 제1 저압 급수 가열기로부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복수가 가열되게 된다.
이로써,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의 연료 소비량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선박용 추진 시스템은, 상기 어느 하나의 폐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 기관에서, 제1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제2 구동 기관에서, 제2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 구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열 기관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증기 터빈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프로펠러 샤프트 및 제2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는 축 발전기 모터를 구비해도 된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기관에서 발생시킨 회전 동력과, 상기 제2 구동 기관에서 발생시킨 회전 동력 중 적어도 일방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축 발전기 모터를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관한 선박은, 상기 선박용 추진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관한 선박에 의하면,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박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관한 폐열 회수 방법은,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내열 기관과,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와는 상이한 다른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증기 터빈을 구비한 폐열 회수 방법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관한 폐열 회수 방법은,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내열 기관과,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증기 터빈과, 상기 증기 터빈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축 발전기 모터를 구비한 폐열 회수 방법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관한 폐열 회수 방법은,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증기 터빈과, 내열 기관에서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와는 상이한 다른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전기 추진 모터를 구비한 폐열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보일러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양태에 의하면,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에 의하여,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복수가 가열되게 된다.
즉, 재킷 냉각수의 열이 복수에 의하여 회수되게 된다.
이로써, 내열 기관으로부터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양태에 있어서, 내열 기관의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서, 증기 생성기와의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공급되는 급수와, 상기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증기를 발생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증기 생성기로부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공급되는 급수가 가열되게 된다.
즉,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의 출구의 배기 가스는, 증기 터빈 추진 시스템의 복수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는 열량을 갖고 있고,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의 출구측에 증기 터빈 추진 시스템의 복수를 가열하는 가열기를 마련하여, 추가로 내열 기관으로부터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열 기관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 및 폐열 회수 방법에 대하여,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70)(도 4 참조)은,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10)이나 도 2에 나타내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60)이나 도 3에 나타내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80)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선박용 추진 시스템(10)은, (주기용)디젤 기관(11)과, (주기용)증기 터빈(12)과, 보일러(13)와, (발전기용)증기 터빈(41)과, 발전기(42)와, 감속기(43)를 구비하고 있다. 선박용 추진 시스템(60)은, (주기용)디젤 기관(61, 62)과, 축 발전기 모터(Shaft Generator Motor: SGM)(63, 64)와, 보일러(13)와, (발전기용)증기 터빈(41)과, 발전기(42)와, 감속기(43)와, 인버터(53)를 구비하고 있다. 선박용 추진 시스템(80)은, (주기용)증기 터빈(12)과, 보일러(13)와, (4사이클의 (발전기용))디젤 기관(44)과, 발전기(45)와, 인버터(53)와, 전기 추진 모터(67)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젤 기관(11)은, 연료유 및/또는 연료 가스(천연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2사이클 또는 4사이클의)디젤 기관이다. 디젤 기관(11)에는, (제1)프로펠러 샤프트(21)를 통하여 (제1)스크루 프로펠러(22)가 장착되어 있다. 스크루 프로펠러(22)는, 디젤 기관(11)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디젤 기관(11)을 구성하는 크랭크 샤프트(도시하지 않음) 및 프로펠러 샤프트(21)와 함께 전진 방향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된다.
증기 터빈(12)은, (제2)스크루 프로펠러(31)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고압 터빈(32) 및 저압 터빈(33)과, 스크루 프로펠러(31)를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후진 터빈(34)을 구비하고 있다. 스크루 프로펠러(31)를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보일러(13)에서 발생한 증기는, 고압 터빈(32), 저압 터빈(33)을 통과하여 주복수기(主復水器)(14)에 이르고, 스크루 프로펠러(31)를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보일러(13)에서 발생한 증기는, 후진 터빈(34)을 통과하여 주복수기(14)에 이른다.
여기에서, 증기 터빈(12)은, 중압 터빈(도시하지 않음) 및 재열 보일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재열 플랜트로 해도 지장없다.
또한, 도 1 중의 부호 35, 36은 각각, 증기 터빈(12)의 회전을 스크루 프로펠러(31)에 전달하는 감속기 및 (제2)프로펠러 샤프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중의 부호 41, 42, 43은 각각, 보일러(13)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용)증기 터빈, 선박 내에서 필요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증기 터빈(41)의 회전을 발전기(42)에 전달하는 감속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중의 부호 44, 45, 46은 각각, 연료유 및/또는 연료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4사이클의 (발전기용))디젤 기관, 디젤 기관(4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선박 내에서 필요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발전기(42, 45)에서 발생한 전체 전류를 받아, 개폐기(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각 외선에 전류를 분배하는 모선을 나타내고 있다.
보일러(13)는, 연료유 및/또는 연료 가스(천연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보일러이다.
또한, 보일러(13)에 있어서 연료유를 연소시키는 것 자체는, 엔진으로부터의 NOx 배출 규제의 대상으로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엔진으로부터의 NOx 배출 규제 해역 내에 있어서도 보일러(13)에서 연료유를 연소시킨 에너지를, 프로펠러 샤프트(36) 및 스크루 프로펠러(31)의 회전 구동에 이용함으로써 항행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축 발전기 모터(63, 64)는, 프로펠러 샤프트(65, 66)가 회전됨으로써 발전하는 발전기로서의 기능과, 모선(46)으로부터 인버터(53)를 통하여 보내져 온 전류에 의하여 프로펠러 샤프트(65, 66)를 회전 구동하는 전동기(가세(加勢) 모터)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장치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60)에서는, (제1)프로펠러 샤프트(65)의 선단부에 스크루 프로펠러(22)가 장착되고, (제2)프로펠러 샤프트(66)의 선단부에 스크루 프로펠러(31)가 장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전기 추진 모터(67)는, 발전기(45)에서 발생한 전기로 회전 구동되어, 프로펠러 샤프트(68) 및 스크루 프로펠러(69)를 회전시킨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80)에서는, (제1)프로펠러 샤프트(36)의 선단부에 스크루 프로펠러(31)가 장착되고, (제2)프로펠러 샤프트(68)의 선단부에 스크루 프로펠러(69)가 장착되어 있다.
도 3 중의 부호 44, 45, 46은 각각, 연료유 및/또는 연료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4사이클의 (발전기용))디젤 기관, 디젤 기관(44)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전기 추진 모터(67)에서 필요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발전기(42, 45)에서 발생한 전체 전류를 받아, 개폐기(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각 외선에 전류를 분배하는 모선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70)은, 재킷 냉각수 순환 유로(71)와, 제1 폐열 회수 유로(72)와, 제2 폐열 회수 유로(73)를 구비하고 있다.
재킷 냉각수 순환 유로(71)는, 주유로(主流路)(81)와, 제1 바이패스 유로(82)와, 제2 바이패스 유로(83)와, 조수(造水) 장치(84)와, 저압 급수 가열기(85)와, 제1 삼방 밸브(86)와, 제2 삼방 밸브(87)와, 쿨러(88)와, 재킷 냉각수 순환 펌프(8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 중의 부호 T1은, 디젤 엔진(11) 혹은 디젤 엔진(61, 62)에 유입되는 재킷 냉각수의 입구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나타내고, 부호 T2는, 디젤 엔진(11) 혹은 디젤 엔진(61, 62)으로부터 유출되는 재킷 냉각수의 출구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를 나타내고 있다.
주유로(81)의 도중에는, 상류측(디젤 엔진(11) 혹은 디젤 엔진(61, 62)측)으로부터 조수 장치(84), 저압 급수 가열기(85), 제1 삼방 밸브(86), 제2 삼방 밸브(87), 재킷 냉각수 순환 펌프(89)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바이패스 유로(82)는, 조수 장치(84)와 저압 급수 가열기(85)를 연결하는 주유로(81)의 도중과, 제1 삼방 밸브(86)를 연결하는 배관이다.
제2 바이패스 유로(83)는, 제1 삼방 밸브(86)와 제2 삼방 밸브(87)를 연결하는 주유로(81)의 도중과, 제2 삼방 밸브(87)를 연결하는 배관이며, 그 도중에는, 쿨러(88)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삼방 밸브(86) 및 제2 삼방 밸브(87)는 각각, 온도 센서(T1)에서 계측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60℃)로 일정하게 되거나, 또는 온도 센서(T2)에서 계측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85℃)로 일정하게 되도록, 도시하지 않은 제어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그 개방도가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삼방 밸브(87)는, 조수 장치(84) 및 저압 급수 가열기(85)에서 폐열을 다 회수할 수 없게 되고, 온도 센서(T1)에서 계측된 온도 및/또는 온도 센서(T2)에서 계측된 온도가 소정의 온도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 제2 바이패스 유로(83)를 유통하도록 전환되며, 조수 장치(84) 및 저압 급수 가열기(85)에서 다 회수할 수 없었던 폐열은, 쿨러(88)에서 해수로 버려지게 된다.
제1 폐열 회수 유로(72)는, 주유로(91)와, 증기 터빈(12) 혹은 증기 터빈(41)과, 복수기(92)와, 복수 펌프(93)와, 저압 급수 가열기(85)와, 디에이어레이터(탈기기)(95)와, 급수 펌프(96)와, 고압 급수 가열기(97)와, 절탄기(節炭器)(이코노마이저)(98)와, 보일러(13)를 구비하고 있다.
주유로(91)의 도중에는, 증기 터빈(12) 혹은 증기 터빈(41), 복수기(92), 복수 펌프(93), 저압 급수 가열기(85), 디에이어레이터(95), 급수 펌프(96), 고압 급수 가열기(97), 절탄기(98), 보일러(13)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제2 폐열 회수 유로(73)는, 주유로(101)와, 부유로(102)와, 증기 생성기(103)와, 급수 펌프(104)와,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와, 고압 급수 가열기(97)와, 드레인 탱크(105)와, 드레인 펌프(106)를 구비하고 있다.
부유로(102)의 도중에는, 증기 생성기(103), 급수 펌프(104),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고, 증기 생성기(103)로부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에 급수 펌프(104)에서 공급되는 급수가 가열되어 (제2)증기를 발생하게 된다. 즉, 배기 가스의 열이 급수에 의하여 회수된다.
증기 생성기(103)는 (제2)증기를 기수 분리하여 (제3)증기 성분을 주유로(101)에 공급함과 함께, (제3)증기 열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보일러로서 조연(助燃)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주유로(101)의 도중에는, 증기 생성기(103), 고압 급수 가열기(97), 드레인 탱크(105), 드레인 펌프(106)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압 급수 가열기(97)에서는, 증기 생성기(103)로부터 공급된 (제3)증기 중 적어도 일부는 물에 응축되고, 응축된 수분은 드레인 탱크(105)로 회수되어, 드레인 펌프(106)에 의하여 증기 생성기(103)로 공급된다.
고압 급수 가열기(97)에서 증기 생성기(103)로부터 공급된 (제3)증기 중 적어도 일부가 물에 응축됨으로써, (제3)증기의 열량은, 잠열까지 보일러(13)에 공급하는 복수에 회수된다.
디젤 엔진(11) 혹은 디젤 엔진(61, 62)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배기관(111)을 통하여 연돌로부터 선박 외로 배출된다.
배기관(111)의 도중에는, 상류측(디젤 엔진(11) 혹은 디젤 엔진(61, 62)측)으로부터 터보차저(112),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70) 및 폐열 회수 방법에 의하면, 제1 저압 급수 가열기(85)에 있어서, 디젤 기관(11, 61, 62)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에 의하여, 증기 터빈(12, 41)의 하류측, 복수기(92)에서 응축되고, 고압 급수 가열기(97)에 유도되는 복수가 가열되게 된다.
즉, 재킷 냉각수의 열이 복수에 의하여 회수되게 된다.
이로써, 디젤 기관(11, 61, 62)으로부터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12, 41)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13)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70) 및 폐열 회수 방법에 의하면, 제1 급수 가열기(113)에 있어서, 디젤 기관(11, 61, 62)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증기 생성기(103)로부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에 공급되는 급수가 가열되게 된다.
즉, 배기 가스의 열이 급수에 의하여 회수되게 된다.
이로써, 디젤 기관(11, 61, 62)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생성기(103)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에 의하면, 디젤 기관(11, 61, 62)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12, 41)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13)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7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에 의하면,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박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70)은, 제2 급수 가열기(114)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하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여기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는, 제2 급수 가열기(11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1 폐열 회수 유로(72)는, 주유로(91)와, 증기 터빈(12) 혹은 증기 터빈(41)과, 복수기(92)와, 복수 펌프(93)와, 저압 급수 가열기(85)와, 제2 급수 가열기(114)와, 디에이어레이터(탈기기)(95)와, 급수 펌프(96)와, 고압 급수 가열기(97)와, 절탄기(이코노마이저)(98)와, 보일러(13)를 구비하고 있다.
주유로(91)의 도중에는, 증기 터빈(12) 혹은 증기 터빈(41), 복수기(92), 복수 펌프(93), 저압 급수 가열기(85), 제2 급수 가열기(114), 디에이어레이터(95), 급수 펌프(96), 고압 급수 가열기(97), 절탄기(98), 보일러(13)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70) 및 폐열 회수 방법에 의하면, 고압 급수 가열기(97)는, 제2 급수 가열기(114)에서 디젤 기관(11)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가열된 복수와, 증기 생성기(103)에서 발생된 증기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증기 발생기(103)에서 발생된 증기의 열로 복수를 가열한다. 제2 급수 가열기(114)에서 가열되는 복수는, 증기 터빈(12, 41)의 하류측, 복수기(92)에서 응축된 후, 제1 저압 급수 가열기(85)에 있어서, 디젤 기관(11, 61, 62)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에 의하여, 가열된 것이다.
〔제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120)은, 저압 급수 가열기(121)를 더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것과 상이하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여기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120)은, 재킷 냉각수 순환 유로(71)와, 제1 폐열 회수 유로(122)와, 제2 폐열 회수 유로(12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폐열 회수 유로(122)는, 주유로(131)와, 증기 터빈(12) 혹은 증기 터빈(41)과, 복수기(92)와, 복수 펌프(93)와, 제1 저압 급수 가열기(85)와, 제2 저압 급수 가열기(121)와,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와, 디에이어레이터(탈기기)(95)와, 급수 펌프(96)와, 고압 급수 가열기(97)와, 절탄기(이코노마이저)(98)와, 보일러(13)를 구비하고 있다.
주유로(131)의 도중에는, 증기 터빈(12) 혹은 증기 터빈(41), 복수기(92), 복수 펌프(93), 제1 저압 급수 가열기(85), 제2 저압 급수 가열기(121),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 디에이어레이터(95), 급수 펌프(96), 고압 급수 가열기(97), 절탄기(98), 보일러(13)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제2 폐열 회수 유로(123)는, 주유로(131)와, 부유로(102)와, 증기 생성기(103)와, 급수 펌프(104)와,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와, 고압 급수 가열기(97)와, 제2 저압 급수 가열기(121)와, 드레인 탱크(105)와, 드레인 펌프(106)를 구비하고 있다.
주유로(131)의 도중에는, 증기 생성기(103), 고압 급수 가열기(97), 제2 저압 급수 가열기(121), 드레인 탱크(105), 드레인 펌프(106)가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120) 및 폐열 회수 방법에 의하면, 제1 저압 급수 가열기(85)에 있어서, 디젤 기관(11, 61, 62)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에 의하여, 증기 터빈(12, 41)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에 유도되는 복수가 가열되게 된다.
즉, 재킷 냉각수의 열이 복수에 의하여 회수되게 된다.
이로써, 디젤 기관(11, 61, 62)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12, 41)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13)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120)은, 제2 급수 가열기(114)와, 저압 급수 가열기(121)를 더 구비하고 있고, 제2 실시형태와 제3 실시형태를 조합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7에서는, 상술한 제1부터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여기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70) 및 폐열 회수 방법에 의하면, 제1 급수 가열기(113)에 있어서, 디젤 기관(11, 61, 62)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증기 생성기(103)로부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에 공급되는 급수가 가열되게 된다.
즉, 배기 가스의 열이 급수에 의하여 회수되게 된다.
이로써, 디젤 기관(11, 61, 62)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생성기(103)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폐열 회수 시스템(70) 및 폐열 회수 방법에 의하면, 제2 저압 급수 가열기(121)에 있어서, 고압 급수 가열기(97)에서 배기 가스의 열로 가열된 복수의 가열을 행한 주유로(131)로부터 유통된 증기 또는 열수에 의하여, 제1 저압 급수 가열기(85)로부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94)에 유도되는 복수가 가열되게 된다.
이로써,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12, 41)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13)의 연료 소비량을 더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에 의하면, 디젤 기관(11, 61, 62)으로부터 대기에 버려지는 폐열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복수를 증기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 즉, 증기 터빈(12, 41)에 증기를 공급하는 보일러(13)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7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선박에 의하면,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10, 60)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선박 전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선박 전체의 연료 소비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필요에 따라서 변형·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기 2축의 선박을 일 구체예로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기 3축, 4기 4축의 선박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연료유 및/또는 연료 가스(천연 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 (2사이클 또는 4사이클의)디젤 기관을 내열 기관의 일 구체예로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워터 재킷을 갖는 내열 기관이면 어떠한 형식의 것이어도 된다.
10 선박용 추진 시스템
11 디젤 기관(내열 기관)
12 증기 터빈
13 보일러
21 프로펠러 샤프트
22 스크루 프로펠러
31 스크루 프로펠러
36 프로펠러 샤프트
41 증기 터빈
42 발전기
60 선박용 추진 시스템
61 디젤 기관(내열 기관)
62 디젤 기관(내열 기관)
63 축 발전기 모터
64 축 발전기 모터
65 프로펠러 샤프트
66 프로펠러 샤프트
70 폐열 회수 시스템
85 제1 저압 급수 가열기
94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
97 고압 급수 가열기
103 증기 생성기
113 제1 급수 가열기
114 제2 급수 가열기
120 폐열 회수 시스템
121 제2 저압 급수 가열기

Claims (14)

  1. 제1 구동 기관인 내열 기관과,
    제2 구동 기관인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증기 터빈을 구비한 폐열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된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와,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서 상기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발생한 제2 증기로부터 제3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 생성기와,
    상기 증기 발생기에서 생성한 상기 제3 증기와 상기 제1 저압 급수 가열기에서 가열된 상기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제3 증기 중 적어도 일부는 물에 응축되는 고압 급수 가열기
    를 구비하는 폐열 회수 시스템.
  2.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내열 기관과,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증기 터빈과,
    상기 증기 터빈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축 발전기 모터를 구비한 폐열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
  3.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증기 터빈과,
    내열 기관에서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와는 상이한 다른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전기 추진 모터를 구비한 폐열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보일러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열 기관의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는, 증기 생성기와의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공급되는 급수와, 상기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 회수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마련된 제2 급수 가열기에서 상기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에 의하여 가열된 상기 복수와, 증기 생성기에서 발생된 증기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증기 생성기에서 발생된 증기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고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 급수 가열기의 하류측에서, 상기 제1 저압 급수 가열기로부터 상기 고압 급수 가열기에 유도되는 상기 복수와, 상기 고압 급수 가열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를 가열한 상기 증기 또는 열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이들 증기 또는 열수의 열로, 상기 제1 저압 급수 가열기로부터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2 저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 있는 폐열 회수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폐열 회수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 기관에서, 제1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며, 상기 제2 구동 기관에서, 제2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증기 터빈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제1 프로펠러 샤프트 및 제2 프로펠러 샤프트를 회전 구동하는 축 발전기 모터
    를 구비하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기관에서 발생시킨 회전 동력과, 상기 제2 구동 기관에서 발생시킨 회전 동력 중 적어도 일방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복수의 프로펠러 샤프트를 각각 회전 구동하는 축 발전기 모터
    를 구비하는 선박용 추진 시스템.
  10. 청구항 7에 따른 선박용 추진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선박.
  11.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내열 기관과,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와는 상이한 다른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증기 터빈을 구비한 폐열 회수 방법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도록 한 폐열 회수 방법.
  12.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내열 기관과,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증기 터빈과,
    상기 증기 터빈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축 발전기 모터를 구비한 폐열 회수 방법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도록 한 폐열 회수 방법.
  13.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어,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 구동하는 증기 터빈과,
    내열 기관에서 회전 구동되는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한 전기로 회전 구동되어,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 및 상기 스크루 프로펠러와는 상이한 다른 프로펠러 샤프트 및, 스크루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전기 추진 모터를 구비한 폐열 회수 시스템으로서,
    상기 내열 기관의 워터 재킷을 통과한 재킷 냉각수와, 상기 증기 터빈의 하류측에서 응축되어 보일러에 유도되는 복수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상기 재킷 냉각수의 열로 상기 복수를 가열하는 제1 저압 급수 가열기가 마련되어 있는 폐열 회수 방법.
  14.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 기관의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서, 증기 생성기와의 사이에서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배기 가스 이코노마이저에 공급되는 급수와, 상기 내열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사이에서 열 교환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폐열 회수 방법.
KR1020167010557A 2013-11-27 2014-08-18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 KR101846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45223A JP6125415B2 (ja) 2013-11-27 2013-11-27 廃熱回収システム、舶用推進システム、船舶及び廃熱回収方法
JPJP-P-2013-245223 2013-11-27
PCT/JP2014/071529 WO2015079748A1 (ja) 2013-11-27 2014-08-18 廃熱回収システム、舶用推進システム、船舶及び廃熱回収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704A true KR20160060704A (ko) 2016-05-30
KR101846754B1 KR101846754B1 (ko) 2018-04-06

Family

ID=53198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557A KR101846754B1 (ko) 2013-11-27 2014-08-18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051111B1 (ko)
JP (1) JP6125415B2 (ko)
KR (1) KR101846754B1 (ko)
CN (1) CN105683551B (ko)
NO (1) NO3051111T3 (ko)
WO (1) WO2015079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2608B (zh) * 2015-06-22 2017-04-12 沈阳航空航天大学 基于再热式有机朗肯循环技术的车用发动机热电联供系统
JP6311043B1 (ja) * 2017-02-09 2018-04-11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コンバイン一体型主機熱交換器及び船舶主機冷却システム
JP7014518B2 (ja) * 2017-03-03 2022-02-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ディーゼルエンジン
KR101957318B1 (ko) * 2017-04-18 2019-06-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발전 시스템 및 방법
JP6620843B2 (ja) * 2018-06-13 2019-12-18 三菱造船株式会社 排熱回収システム、船舶
CN111547219B (zh) * 2020-05-20 2021-03-12 江南造船(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凝水和余热的再利用装置及其使用方法
IT202000016090A1 (it) * 2020-07-03 2022-01-03 Nuovo Pignone Tecnologie Srl Sistema di recupero del calore residuo come sistema di emergenza per un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energia.
EP3967594A1 (de) 2020-09-09 2022-03-16 SDC Ship Design & Consult GmbH Abwärmenutzung von schiffsverbrennungsmotoren durch speicherung und abgabe an land
WO2023040191A1 (zh) * 2021-09-18 2023-03-23 成都佳灵绿色能源有限责任公司 零碳船舶动力系统及驱动船舶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9945A (en) * 1949-09-15 1952-04-09 Vickers Electrical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arine propulsion power plant
JPH1089015A (ja) 1996-09-13 1998-04-07 Mitsubishi Heavy Ind Ltd 舶用コンバインド推進機関
JP4592508B2 (ja) * 2005-06-21 2010-12-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の内燃機関廃熱回収プラン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船舶
JP4801465B2 (ja) * 2006-02-21 2011-10-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舶用推進プラ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ならびに舶用推進プラントの制御方法
JP2010264867A (ja) * 2009-05-14 2010-11-25 Mitsubishi Heavy Ind Ltd 推進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船舶
JP2011106302A (ja) * 2009-11-13 2011-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エンジン廃熱回収発電ターボ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往復動エンジンシステム
JP2011148399A (ja) * 2010-01-21 2011-08-04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および船舶の運用方法
JP5717998B2 (ja) * 2010-08-04 2015-05-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熱回収ユニット、排ガスエコノマイザ及び廃熱回収システム
JP5829814B2 (ja) * 2011-02-09 2015-12-0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発電システム
JP5683359B2 (ja) * 2011-03-31 2015-03-1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熱回収発電装置
JP2013180625A (ja) * 2012-02-29 2013-09-12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熱回収型船舶推進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DK177460B1 (en) * 2012-04-26 2013-06-17 Man Diesel & Turbo Deutschland Propulsion system for ships with a large turbocharged two-stroke piston engine with waste heat recovery and operation of the opera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25415B2 (ja) 2017-05-10
JP2015102067A (ja) 2015-06-04
EP3051111A1 (en) 2016-08-03
EP3051111B1 (en) 2018-05-02
CN105683551B (zh) 2018-05-04
EP3051111A4 (en) 2017-04-19
NO3051111T3 (ko) 2018-09-29
CN105683551A (zh) 2016-06-15
KR101846754B1 (ko) 2018-04-06
WO2015079748A1 (ja)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754B1 (ko) 폐열 회수 시스템, 선박용 추진 시스템, 선박 및 폐열 회수 방법
US85053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WO2011136118A1 (ja) 排熱回収発電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船舶
EP2662536A2 (en) Gas Turbine Compressor Water Wash System
KR101521037B1 (ko) 배열 회수 발전 장치
JP2013160132A (ja) 排熱回収利用システム
JP2012149541A (ja) 排熱回収発電装置および船舶
EP2503111A1 (en) Modular heat rejection system, direct organic rankine cycle system, and biomass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ng system
JP2013180625A (ja) 排熱回収型船舶推進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EP2503113B1 (en) Direct organic rankine cycle system, biomass combined cycle power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direct organic rankine cycle
KR101496716B1 (ko) 폐열 회수 가능한 선박용 동력 장치
EP2513477B1 (en) Solar power plant with integrated gas turbine
WO2011065304A1 (ja) 蒸気タービン発電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る船舶
KR20130040320A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청수 생산 설비
JP5951593B2 (ja) 排熱回収装置、排熱回収型船舶推進装置および排熱回収方法
KR20140042323A (ko) 선박의 폐열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CN209340011U (zh) 组合阀式余热利用装置
KR20140115734A (ko) 선박
KR102153769B1 (ko) 선박의 폐열회수 시스템
KR101519542B1 (ko) 유기냉매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의 에너지 절감 장치
EP4050200A1 (en) Diesel-steam power plant
JPS627905A (ja) スチ−ムタ−ビン付内燃機関
KR101367032B1 (ko) 단일 이코노마이저를 구비한 선박용 동력 장치
KR20150088516A (ko) 유기냉매의 폐열을 이용한 선박의 에너지 절감 장치
CN115234400A (zh) 应用于船舶及海洋工程领域的余热发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