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0525A -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 Google Patents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0525A
KR20160060525A KR1020150009050A KR20150009050A KR20160060525A KR 20160060525 A KR20160060525 A KR 20160060525A KR 1020150009050 A KR1020150009050 A KR 1020150009050A KR 20150009050 A KR20150009050 A KR 20150009050A KR 20160060525 A KR20160060525 A KR 20160060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il
forced
composite material
oil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산프로인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산프로인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산프로인토
Publication of KR20160060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48Arrangements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6Large containers rigid cylind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하는 탱크를 이중각 구조로 하고, 또한 강제(steel) 탱크의 부식이나 공식을 조기에 검출하고, 토양오염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로서, 강제 탱크와, 상기 강제 탱크의 내주에 피복되고, 상기 강제 탱크로부터의 액 누설을 방지하는 섬유강화 복합재와,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배설된 극간 형성 부재와,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강제 탱크로부터의 액 누설을 검지하는 검지기와, 상기 검지기가 상기 강제 탱크로부터의 액 누설을 검지하면 상기 강제 탱크의 불량을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STEEL INNER TANK FRP DOUBLE SHELL STRUCTURE}
본 발명은 내면에 FRP를 시설한 이중 구조의 강제 탱크의 기름 누설 등을 방지하는 강제(鋼製) 탱크 내면 FRP 이중각(二重殼)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가솔린 스탠드(주유소) 등에서 기름 저장용의 강제의 지하 탱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하 탱크는,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경년 변화하고, 부식이나 공식(孔蝕)이 생기는 경우가 있고, 기름 누설 등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일단 강제 탱크를 매설한 경우, 지상에서 탱크의 부식이나 공식을 점검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은 탱크의 제조에서 고도의 가공 기술이 불필요하면서 제작의 수고가 걸리지 않고, 시공 수고가 적은 합성수지제의 매설 탱크의 제안이 행하여져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3-261195호 공보
그러나, 일단 가솔린 등의 기름 누설이 발생하면, 토양오염 등의 환경에의 영향이 크다. 특히 기름 누설이 장기간 계속된 경우, 토양오염뿐만 아니라 지하수 등에의 침투가 큰 사회 문제가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한 탱크를 이중 구조로 하고, 또한 강제 탱크의 부식이나 공식을 조기에 검출하여, 토양오염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제 탱크와, 그 강제 탱크의 내주에 피복되고, 그 강제 탱크로부터의 기름 누설을 방지하는 섬유강화 복합재와,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배설된 극간 형성 부재와,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강제 탱크의 부식이나 공식을 검지하는 검지기와, 그 검지기의 검지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강제 탱크의 불량을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갖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지기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재로부터의 기름 누설도 검지 가능하고, 섬유강화 복합재에 균열이나 오랜 연월의 사용에 의한 구멍이 형성된 경우, 당해 개소로부터의 기름 누설도 검지한다.
또한,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형성된 극간에는 도선이 배설되고, 그 도선은, 상기 강제 탱크의 측면 및 저면에 따라 배설되어 있고, 강제 탱크의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으로부터의 물이나 유기용액의 누설, 및 섬유강화 복합재의 구멍으로부터의 기름 누설을 검출하고, 검지기에 유도한다.
또한, 극간 형성 부재는, 허니컴 보드나, 메시형상의 금속망 부재 등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검지기는 좌우에 센서를 가지며,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액 누설, 기름 누설인지를 검출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극간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의 극간의 감압을 행하는 감압 장치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형성된 극간에는 배설된 검지기는, 상기 강제 탱크의 어느 위치로부터의 기름 누설도 검지하는 기름 누설 검지선이고, 상기 강제 탱크의 저면에 따라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름 누설 검지선은 흡유부와 검지부로 구성되고, 흡유부에 의해 가솔린 또는 가솔린 이외의 기름류의 유분을 흡인하고, 상기 검지부에 의해 기름 누설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검지부는 유분의 침투에 따라 변화하는 저항치에 의거하여 상기 기름 누설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와의 미소 공간에 배설된 검지기에 의해, 강제 탱크에 생긴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을 검지하고, 강제 탱크 또는 FRP에 생긴 부식이나 공식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기름 누설에 기인한 토양오염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 형태의 이중각 구조를 채용하는 지하 탱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지하 탱크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주유소(가솔린 스탠드)의 외관도.
도 4는 검지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강제 탱크에 허니컴 보드를 부착하는 시공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지하 탱크의 점검구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검출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지하 탱크의 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검출 회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제2의 실시 형태의 이중각 구조를 채용하는 지하 탱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제2의 실시 형태의 지하 탱크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감압 장치의 배설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제3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2의 단면도(C-C선 단면도)이고, 강제 탱크와 FRP의 극간에 배설된 기름 누설 검지선의 배선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누유 검지 장치에 사용되는 누유 검지 회로의 한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5는 누유 검지 장치에 사용되는 누유 검지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도 16은 누유 검지 장치에 사용되는 누유 검지 회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의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강제 탱크의 이중각 구조를 채용하는 지하 탱크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예의 강제 탱크는, 예를 들면 가솔린 등을 저장하는 지하 탱크의 예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지하 탱크(1)에는, 예를 들면 가솔린을 넣는 주유관(2), 지하 탱크(1)로부터 가솔린을 흡인하는 급유관(3), 지하 탱크(1)의 통기(通氣)를 행하는 통기관(4), 및 지하 탱크(1)에 저장된 가솔린의 액면고를 계측하는 액면계(5)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하 탱크(1)는 지표로부터 소정의 깊이에 매설되고, 지하 탱크(1) 상에는 콘크리트가 시설되어 있다.
주유관(2)에는 지표에 주유구(7)가 마련되고, 주유구(7)로부터 가솔린의 주유를 행한다. 또한, 급유관(3)에는 펌프가 접속되고, 이 펌프는 지표에 마련된 계량기, 펌프 등의 기기류를 수납하는 기계류 수납실(8)에 설치되고, 지하 탱크(1)로부터 가솔린을 흡인하고, 흡인한 가솔린의 계량을 행한다. 또한, 상기 주유관(2)에는 밸브(9)가 마련되고, 급유관(3)에는 밸브(10)가 마련되고, 지하 탱크(1)의 보수/개수 작업시, 이 밸브(9 및 10)를 폐쇄하고 행한다. 또한, 통기관(4)에는 통기구(12)가 마련되고, 지하 탱크(1) 내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한다.
또한 도 1에는, 후술하는 사무소(20)에 배설된 모니터(18)로 연장되는 신호선(25)이 기재되어 있고, 이 신호선은 후술하는 강제 탱크에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여, 모니터(18)에 통지한다.
도 2는, 지하 탱크(1)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에 도시하는 지하 탱크(1)의 D-D'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하 탱크(1)는 강판(14')(강제 탱크(14))과 FRP(섬유강화 복합재)(15)로 구성되고, 강판(14')과 FRP(15)와의 극간에는 허니컴 보드(16)가 배설되어 있다.
이 허니컴 보드(16)로는, 종이제, 수지제, 금속제 등의 각종 소재의 제품이 있지만, 강도 및 후술하는 액 누설 검지의 관점에서,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허니컴 보드(16)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본 예에서는 알루미늄제의 허니컴 보드(16)를 사용하고, 알루미늄제의 물결 형상 코어의 양면에 알루미늄 시트로 덮여진 구조이다. 또한, 본 예에서 사용하는 허니컴 보드(16)는 후술하는 도선의 배선을 피하여 배설한다.
즉, 본 예의 지하 탱크(1)의 구조는 강제 탱크(14)에 허니컴 보드(16)를 개장하고, 또한 FRP(15)를 첩착(貼着)한 구조이고, 허니컴 보드(16)의 개장에 의해, 강제 탱크(14)와 FRP(15) 사이에 소정의 극간이 형성되다. 또한, FRP(섬유강화 복합재)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금속, 고무 등을 고강도 섬유로 보강한 복합재이고, 유리 섬유 복합재(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나 탄소 섬유 복합재 등을 사용한다.
한편, 지하 탱크(1)의 저부에는 도선(17)이 배설되어 있다. 이 도선(17)은 지하 탱크(1)의 길이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배설되어 있다. 도 2에 지하 탱크(1)의 저부(A부)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선(17)은 강제 탱크(14)와 FRP(15) 사이의 극간에 배설되고, 강제 탱크(14)의 바닥에 고인 물이나 유기용액을 후술하는 검지기에 유도한다. 여기에, 유기용액은, 예를 들면 강제 탱크(14)를 오랜 기간 사용함에 의해 부식이나 공식이 발생하고,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으로부터 지하의 수분과 토양에 포함되는 식물이나 박테리아 등의 유기 성분이 맞 섞인 액체이다.
한편, 지하 탱크(1)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점검구가 마련되고,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 검지 신호가 신호선(25)을 통하며, 이 점검구를 경유하여 사무소(20) 내의 모니터(18)에 보내진다. 또한, 도 3은 주유소(가솔린 스탠드)의 외관도이고, 상기 모니터(18)가 설치된 사무소(20)와 연료 공급 에어리어(21)로 구성되고, 연료 공급 에어리어(21)의 지하에는 상기 구성의 지하 탱크(1)가 매설되고, 복수의 지주에 의해 지지된 지붕의 아래에는, 전술한 계량기, 펌프 등의 기기류(8)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이중각 구조의 지하 탱크(1)의 시공 공정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오랜 기간 사용한 강제 탱크(14)(강판(14'))의 내면의 청소를 행한다. 이 청소 후, 강제 탱크(14)의 판두께 및 공식 측정을 행한다.
다음에, 도선(17)의 부착 작업을 행한다. 이 도선(17)의 배설은, 강제 탱크(14)에 생긴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으로부터의 물이나 유기용액의 침입을 도선을 통하여 검지기까지 유도하기 위해서이고, 강제 탱크(14)의 저부에 따라 배설한다. 또한, 도선(17)의 설치는 강제 탱크(14)의 저부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배설하고, 도선(17)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일정 간격마다 고정한다.
다음에, 검지기(22)의 부착을 행한다. 이 검지기(22)는, 예를 들면 강제 탱크(14)의 저부에 따라 배설된 도선(17)의 중앙부에 설치한다. 도 4는 검지기(2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지기(22)는 양측의 불소 폴리머 센서(23a, 23b)와, 불소 폴리머 센서(23a, 23b) 사이에 배설된 검출 회로(24)로 구성되고, 물이나 유기용액이 어느 하나의 센서(23a 또는 23b)에 접하면 광을 발생한다. 검출 회로(24)는 이 광을 검출하고, 전압 변화로 변환하고, 강제 탱크(14)의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의 존재를 검지한다.
도 5는 상기 도선(17) 및 검지기(22)를 배설한 후, 전술한 허니컴 보드(16)를 부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설명상, 강제 탱크(14)의 반분의 내면을 도시한다. 소정 사이즈의 허니컴 보드(16)를 일정 간격으로 강제 탱크(14)(강판(14'))의 내면에 첩착한다. 허니컴 보드(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이고, 첩착제를 사용하여 강제 탱크(14)의 내면에 첩착한다.
다음에, 전기배선 공사를 행한다. 이 공사는, 앞서 부착한 검지기(22)에 신호선(25)을 접속하고, 이 신호선(25)은 강제 탱크(14)와 FRP(15) 사이의 극간에 배선하는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허니컴 보드(16)가 부착되지 않은 스페이스를 사용하여 점검구의 위치까지 배선하고, 또한 사무소(20) 내의 모니터(18)까지 배선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허니컴 보드(16)가 부착되지 않은 스페이스(19)를 사용하여 배선한다.
다음에, 강제 탱크(14)의 내면에 배설된 허니컴 보드(16)의 내측에 FRP(15)를 배설한다. 본 예에서 사용한 FRP(15)는, 예를 들면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지를 베이스로 하고, 탄소 섬유로 강화한 시트이고, 일면은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이 플라스틱 필름을 벗기고, 허니컴 보드(16)에 첩착한다. 허니컴 보드(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고, 허니컴 보드(16)에 FRP(15)를 확실하게 부착할 수 있다. 또한, FRP(15)의 첩착은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단부(端部)를 겹쳐서 첩착한다.
다음에, 상기 극간(미소 공간)의 기밀 시험을 행한다. 이 시험은 FRP(15)에 기밀 시험용의 주입침(注入針)을 찔러넣고, 시험용의 가스를 상기 극간에 주입함에 의해 행한다. 또한, 상기 기밀 시험 후, 찔러넣은 주입침을 인발하고, 당해 부분에 FRP(15)를 겹쳐붙인다. 그 후, 자외선을 조사하고, FRP(15)를 경화시킨다.
도 6은 지하 탱크(1)의 점검구 부근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점검구(26)의 상부에는 철제의 덮개(27)가 마련되고, 이 덮개(27) 내에 점검 박스(28)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섬유강화 플라스틱제의 통체(筒體)(29)와, 점검 덮개(30) 및 하수통(下受筒) 부재(31)는, 상기 점검 박스(28)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점검구에는 손잡이(3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신호선(25)은 이 점검 박스(28)를 통하여 사무소(20) 내의 모니터(18)에 배선된다.
또한, 신호선(25)은 신호 케이블(33)에 의해 보호되고, 모니터(18)까지 배선된다. 모니터(18)는 LED 표시부나 스피커 등을 구비하고, 예를 들면 검지기(22)가 물이나 유기용액을 검지하고, 강제 탱크(14)의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의 발생을 검지하면, LED를 발광하고, 또한 스피커로부터 미리 녹음된 경고음을 발생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케이블(33) 내에는 상기 신호선(25) 외에, 예를 들면 전술한 액면계(5)에 의해 검지한 액면 데이터를 송신하는 신호선(11) 등도 수납되고, 지하 탱크(1) 내의 가솔린의 액면 데이터 등도 상기 모니터(18)에 통지된다.
이상의 구성의 지하 탱크(1)에서, 이하에 강제 탱크(14)의 부식이나 공식에 의한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의 발생을 검지하는 검지 동작을 설명한다.
오랜 기간의 사용에 의해 강제 탱크(14)에 열화가 생기면, 강판(14')에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이 발생하고, 당해 개소로부터 물이나 유기용액이 침입한다. 그러나, 본 예의 이중각 구조에 의하면, 강제 탱크(14)는 내주면에 FRP(15)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서, 지하 탱크(1) 내로 물이나 유기용액이 침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지하 탱크(1) 내의 기름(가솔린)이 외부에 누출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기름(가솔린) 누설에 의한 토양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강제 탱크(14)의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으로부터 침입한 물이나 유기용액은 강제 탱크(14)와 FRP(15) 사이에 형성된 극간을 통하여 강제 탱크(14)의 하면에 고인다.
또한, 강제 탱크(14)의 저면에 고인 물이나 유기용액은, 전술한 도선(17)에 의해 검지기(22)에 유도된다. 예를 들면, 강제 탱크(14)의 좌측에 발생한 구멍으로부터 침입한 물이나 유기용액은 강제 탱크(14)의 좌측 저면에 달하고, 도선(17, 17a)을 통하여 불소 폴리머 센서(23a)에 도달한다. 불소 폴리머 센서(23a)는 물이나 유기용액을 검지하면 발광하고, 검출 회로(24)는 이 광을 검출하고, 전압 변화로 변환하고, 강제 탱크(14)의 불량을 검출한다.
예를 들면, 도 7은 검출 회로(24)의 한 예이고, 트랜지스터(Tr1, Tr2), 저항(R1, R2), 전원(E)으로 구성되고, 트랜지스터(Tr1)는 상기 불소 폴리머 센서(23a)로부터의 발광을 검출하고, 신호선(25)에 검출 신호(출력 1)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전술한 모니터에 출력되고, LED를 발광하고, 또한 스피커로부터 미리 녹음된 경고음을 발생한다.
한편, 강제 탱크(14) 의 우측에 발생한 구멍으로부터 침입한 물이나 유기용액은 강제 탱크(14)의 우측 저면에 달하고, 도선(17, 17b)을 통하여 불소 폴리머 센서(23b)에 도달한다. 불소 폴리머 센서(23b)는 물이나 유기용액을 검지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발광하고, 검출 회로(24)는 이 광을 검출하고, 전압 변화로 변환하고, 강제 탱크(14)로부터의 액 누설을 검출한다. 이 경우, 트랜지스터(Tr2)는 상기 불소 폴리머 센서(23b)로부터의 발광을 검출하고, 신호선(25)에 검출 신호(출력 2)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전술한 모니터(18)에 출력되고, LED를 발광하고, 또한 스피커로부터 미리 녹음된 경고음을 발생한다.
따라서 본예에 의하면, 검지기(22)에 의해 강제 탱크(14)의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강제 탱크(14)에 발생한 구멍이 강제 탱크(14)의 우측인지, 또는 좌측인지의 검출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강제 탱크(14)와 FRP(15)의 사이에 허니컴 보드(16)를 개장하는 구성이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제 탱크(14)에 FRP(37)를 첩착하고, 이 FRP(37)와 상기 FRP(15)의 사이에 메시 구조의 금속망 부재(38)를 개장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즉, 전술한 구성과 달리, 우선 강제 탱크(14)에 FRP(37)를 첩착하고, 그 후 허니컴 보드(16)에 대신하여 금속망 부재(38)를 개장하고, 이 금속망 부재(38)를 덮고서 FRP(15)를 배설하는 구성이다. 이 경우, 금속망 부재(38)와 FRP(15)와의 접합은 곤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허니컴 보드(16)의 일부를 남기고, 이 남긴 허니컴 보드(16)에 FRP(15)를 부착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다른 부재를 개장하여 FRP(15)를 FRP(37)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FRP(15)와 FRP(37) 사이에 극간을 형성하고, 이 극간에 전술한 도선(17)은 배설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강제 탱크(14)에 직접 첩착하는 FRP(37)는, 예를 들면 1.0㎜ 정도의 두께이고, 금속망 부재(38)는, FRP(15와 37) 사이에 0.5 내지 1.0㎜ 정도의 극간이 형성되는 정도로 배설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검지기(22)로서 물이나 유기용액을 검출하는 불소 폴리머 센서를 사용하였지만, 불소 폴리머 센서로 한정하지 않고, 물이나 유기용액을 검출하는 센서라면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회로의 분압 저항(R3, R4)의 저항(R3)에 병행하게 단자(P1, P2)를 마련하고, 또한 분압 저항(R5, R6)의 저항(R5)에 병행하게 단자(P3, P4)를 마련하고, 단자(P1, P2)를 전술한 불소 폴리머 센서(23a)에 대신하여 사용하고, 단자(P3, P4)를 전술한 불소 폴리머 센서(23b)에 대신하여 사용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다른 회로는, 전술한 도 7과 마찬가지이고, 트랜지스터(Tr1, Tr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예를 들면 단자(P1과 P2) 사이에 물 등이 침입하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B) 전위가 변화하고, 출력(1)으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고,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의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단자(P3과 P4) 사이에 물 등이 침입하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B) 전위가 변화하고, 출력(2)으로부터 검지 신호가 출력되고,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의 발생을 통보할 수 있다. 이 경우도, 강제 탱크(14)에 발생한 구멍이 강제 탱크(14)의 우측인지, 또는 좌측인지의 검출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강제 탱크(14)의 부식이나 공식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내측에 부착한 FRP(15)에 대해서도, 오랜 기간의 사용에 의해 구멍이 뚫린 경우, 마찬가지로 검지기(22)에 의해 기름 누설을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기름 누설을 검지하는 센서나, 휘발성의 기름(가솔린 등)의 경우, 가스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상기 강제 탱크(14)와 FRP(15) 사이에 형성된 극간을 감압하는 감압 장치를 또한 구비하는 강제 탱크의 이중각 구조의 발명이다. 또한, 강제 탱크의 이중각 구조의 기본 구성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감압 장치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제 탱크(14)와 FRP(15) 사이에 형성된 극간을 감압하는 것이고, 감압 밸브(40)와 감압 펌프(41)로 구성되어 있다. 감압 밸브(40)는 강제 탱크(14)와 FRP(15) 사이에 형성된 극간(39)에 관로(42)를 통하여 접속되고, 감압 밸브(40)와 감압 펌프(41)는 관로(43)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 10에 도시하는 감압 밸브(40)나 감압 펌프(41)의 배설 구성은 본 예의 기본 구성이고, 땅 속에 매몰된 강제 탱크(14)의 주위에 상기 감압 밸브(40)나 감압 펌프(41)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비용 등을 고려하여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제 탱크(14)로부터 사무소(20)에 연장되는 신호선(25)의 배관에 감압 밸브(40) 및 감압 펌프(41)를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다.
도 12는 감압 장치 설치의 구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점검구(26)를 통하여 사무소(20)로 연장되는 신호선(25)은, 예를 들면 강관(44)에 수납하고, 전술한 극간(39)과 강관(44)을 연통시키고, 강관(44)을 통하여 극간(39) 내를 감압한다. 따라서 전술한 도 6의 구성과 달리, 본 예에서는, 예를 들면 강관(44) 내에 다른 신호선(11)은 수납하지 않는다.
또한, 감압 밸브(40)와 감압 펌프(41)는 전술한 기계류 수납실(8)에 설치된다. 따라서 강관(44)으로부터 기계류 수납실(8)에 설치된 감압 밸브(40)까지 관로(42)가 배설되고, 기계류 수납실(8) 내에서 감압 밸브(40)와 감압 펌프(41)가 관로(43)를 이용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서, 감압 밸브(40)와 감압 펌프(41)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기계류 수납실(8)에는 다른 기기도 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에 의해, 감압 밸브(40)와 감압 펌프(41)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항상 극간(39) 내를 감압함에 의해, 강제 탱크(14)에 부식이나 공식이 발생한 경우, 조기에 부식이나 공식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극간(39) 내의 감압에 의해 부식구멍이나 공식구멍에 조기에 성장하고, 당해 구멍으로부터 누설되는 물이나 유기용액을 검지하고, 결과적으로 부식이나 공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제3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고, 도선(17)에 대신하여 라인형상의 센서인 기름 누설 검지선을 사용하고, 기름 누설 검지선이 설치된 어느 위치의 기름 누설의 검지를 가능하게 하는 발명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전술한 도 2의 단면도(C-C선 단면도)이고, 전술한 강제 탱크(14)(강판(14'))와 FRP(15)의 극간에 배설된 기름 누설 검지선(45)의 배선 구성을 도시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름 누설 검지선(45)은 FRP(15)의 하부 하면(강제 탱크(14)(강판(14')))의 하부 상면)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배설되고, FRP(15)의 결함부로부터 누출된 가솔린(기름류)을 확실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도시하는 둥근표시(B)부를 확대하여 기름 누설 검지선(45)의 구성을 설명하면, 기름 누설 검지선(45)은 흡유부(46)와 검지부(47)로 구성되어 있다. 흡유부(46)는 가솔린 등의 유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갖다, 예를 들면 불소 수지막으로 구성되고, 검지부(47)는 흡유부(46)에서 흡인한 기름류의 검지를 행한다. 이 구성은, 또한 동 도면의 둥근표시(E)부를 확대한 모식도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유부(46)를 통하여 기름류가 검지부(47)에 접하면, 검지부(47)의 소자(48)에 유분이 침투하고, 검지부(47)의 저항치를 변화시킨다. 이 저항치 변화는 전술한 신호선(25)을 통하여 전술한 모니터(18)에 통지되다. 또한, 기름 누설 검지선(45)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불소 수지제이고, 내후성이나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기름 누설 검지선(45)은 지하 탱크(1)의 하면에 따라 직선형상으로 배선함에 의해, FRP(15)(지하 탱크(1))의 결함부로부터의 기름 누설이 발생하여도 기름 누설 검지선(45)이 기름 누설을 확실하게 검지하고, 신호선(25)을 통하여 모니터(18)에 통지할 수 있다. 즉, 도 13의 모식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유부(46)를 통하여 기름이 검지부(47)에 접촉하면, 검지부(47)의 소자(48)에 유분이 침투하고, 검지부(47)의 저항치를 변화시킨다. 이 저항치 변화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18)에 통지된다.
도 14는 모니터(18)에 사용되는 누유 검지 회로의 한 예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기름 누설 검지 회로(49)는 트랜지스터(Tr), 분압 저항(R), 저항(r), 및 기름 누설 검지선(45)으로 구성되고, 기름 누설 검지선(45)의 저항치와 분압 저항(R)의 저항치에 의해 전원(E)의 전압치를 분할하고, 기름 누설 검지선(45)의 저항치가 미리 설정된 소정치 이상에 달하면 트랜지스터(Tr)의 컬렉터로부터 기름 누설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모니터(18)는 이 신호에 의해, 예를 들면 LED를 점등 또는 점멸하고 기름 누설을 외부에 통보한다. 또한, 스피커를 사용하여 기름 누설을 외부에 통지한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단일한 기름 누설 검지선(45)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FRP(15)(지하 탱크(1))의 위치에 의해 각각 다른 기름 누설 검지선(45), 즉 복수의 기름 누설 검지선(45)(45a, 45b, 45c, …)을 사용하고, 신호선(25)을 통하여 모니터(18)에 인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FRP(15)(지하 탱크)의 기름 누설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누유 검지 회로(50)를 사용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즉, 각 기름 누설 검지선(45a, 45b, 45c, …)에 대응하여, 트랜지스터(Tr1, Tr2, Tr3, …) 분압 저항(R1, R2, R3, …), 저항(R1, R2, R3, …)의 회로를 작성하고, 각각의 회로에서 기름 누설 검지선(45a, 45b, 45c, …)의 저항치와 분압 저항(R1)의 저항치에 의해 전원(E)의 전압치를 분할하고, 기름 누설 검지선(45)의 저항치가 미리 설정된 소정치 이상에 달한 트랜지스터(Tr)의 컬렉터로부터 기름 누설 검지 신호를 출력함에 의해, 배관상의 기름 누설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단일한 기름 누설 검지선(45)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예를 들면 기름 누설 검지선(45)의 설치 위치에 의해 검지부(47)의 저항치가 다른 소자(48)를 사용함에 의해, 1개의 길다란 기름 누설 검지선(45)을 사용한 경우에도 기름 누설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은 이 경우의 회로 구성(기름 누설 검지 회로(5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경우, 기름 누설 검지선(45)에는 1개의 같은 기름 누설 검지선(45)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하고, 분압 저항(R1, R2, R3, …)의 저항치를 배관의 위치에 대응하여 다르게 함에 의해, 기름 누설 위치에 대응한 트랜지스터(Tr)의 위치에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압 저항(R1)의 저항치를 배관의 어느 위치의 기름 누설 검지선(45)의 검지부(47)(소자(48))의 저항 변화에 일치시킴에 의해, 트랜지스터(Tr1)의 출력(1)으로부터의 검지 출력이 있으면, 배관의 대응하는 위치로부터의 기름 누설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에 의해, 기름 누설의 발생 부분을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고, 지하 탱크(1)의 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1 : 지하 탱크 2 : 주유관
3 : 급유관 4 : 통기관
5 : 액면계 7 : 주유구
8 : 기계류 수납실 9, 10 : 밸브
11 : 신호선 12 : 통기구
14 : 강제 탱크 14' : 강판
15 : FRP 16 : 허니컴 보드
17, 17a, 17b : 도선 18 : 모니터
19 : 스페이스 20 : 사무소
21 : 연료 공급 에어리어 22 : 검지기
23a, 23b : 불소 폴리머 센서 24 : 검지 회로
25 : 신호선 26 : 점검구
27 : 덮개 28 : 점검 박스
29 : 통체 30 : 점검 덮개
31 : 하수통 부재 32 : 손잡이
33 : 신호 케이블 37 : FRP
38 : 금속망 부재 39 : 극간
40 : 감압 밸브 41 : 감압 펌프
42, 43 : 관로 44 : 강관
45 : 기름 누설 검지선 46 : 흡유부
47 : 검지부 48 : 소자
49 : 기름 누설 검지 회로

Claims (7)

  1. 강제(鋼製) 탱크와,
    상기 강제 탱크의 내주에 피복되고, 상기 강제 탱크로부터의 기름 누설을 방지하는 섬유강화 복합재와,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배설된 극간 형성 부재와,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배설되고, 상기 강제 탱크의 부식이나 공식으로부터 누설된 물 및 유기용액를 검지하는 검지기와,
    상기 검지기의 검지 출력에 의거하여 상기 강제 탱크의 불량을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기는 상기 섬유강화 복합재로부터의 기름 누설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형성된 극간에는 도선이 배설되고, 상기 도선은, 상기 강제 탱크의 저면에 따라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간 형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의 극간의 감압을 행하는 감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탱크와 섬유강화 복합재 사이에 형성된 극간에는 배설된 검지기는, 상기 강제 탱크의 어느 위치로부터의 기름 누설도 검지하는 기름 누설 검지선이고, 상기 강제 탱크의 저면에 따라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누설 검지선은 흡유부와 검지부로 구성되고, 흡유부에 의해 가솔린 또는 가솔린 이외의 기름류의 유분을 흡인하고, 상기 검지부에 의해 기름 누설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기름분의 침투에 따라 변화하는 저항치에 의거하여 상기 기름 누설을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KR1020150009050A 2014-11-20 2015-01-20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KR201600605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35598 2014-11-20
JPJP-P-2014-235598 2014-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525A true KR20160060525A (ko) 2016-05-30

Family

ID=56036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050A KR20160060525A (ko) 2014-11-20 2015-01-20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80523B2 (ko)
KR (1) KR20160060525A (ko)
CN (1) CN1056209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92129A1 (en) * 2019-03-14 2020-09-17 R. Keith Barker CNG Storage Tank System with Secondary Containment and Monito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51396A (ja) * 2018-03-03 2019-09-12 株式会社サンフロイント 二重殻構造の新設埋設タンク及び二重配管構造を備えたmchステーション
CN110243552B (zh) * 2018-03-09 2022-04-22 深圳光峰科技股份有限公司 防漏液系统及散热系统
CN113028287A (zh) * 2019-12-24 2021-06-25 圣弗氏股份有限公司 双层配管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65278A (en) * 1920-04-28 1921-06-30 Waldo Ros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etrol tanks
JPS58221143A (ja) * 1982-06-16 1983-12-22 Kubota Ltd 断熱管路の漏洩検知装置
US5172730A (en) * 1989-07-03 1992-12-22 Insituform Of North American, Inc. Two-wall leakage detection system for a pipe
JP3100132B1 (ja) * 1999-09-09 2000-10-16 昭和機器工業株式会社 漏洩検知装置
JP4421711B2 (ja) * 1999-10-08 2010-02-24 株式会社サンフロイント 二重配管構造
JP4124689B2 (ja) * 2003-04-16 2008-07-23 プロドライト工業株式会社 液体貯留容器
CN2771619Y (zh) * 2004-07-15 2006-04-12 邹松林 “隔膜式”加油站汽油油气控制装置
JP5499395B2 (ja) * 2009-03-09 2014-05-21 学校法人日本大学 漏洩検知用パイプ及び漏洩検知装置
JP3183085U (ja) * 2013-02-12 2013-04-25 株式会社サンフロイント 二重配管構造
JP2014163458A (ja) * 2013-02-26 2014-09-08 Sanfurointo:Kk 油類の配管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292129A1 (en) * 2019-03-14 2020-09-17 R. Keith Barker CNG Storage Tank System with Secondary Containment and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20955A (zh) 2016-06-01
JP6280523B2 (ja) 2018-02-14
JP2016105069A (ja)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0525A (ko) 강제 탱크 내면 frp 이중각 구조
JP6134128B2 (ja) 鋼製タンク内面frp二重殻構造
JP3196696U (ja) 鋼製タンク内面frp二重殻構造
KR100908137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0927464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JP2014163458A (ja) 油類の配管構造
KR20100124224A (ko) 지하수 심정 대수층 조사용 팩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사방법
KR20140073110A (ko) 방폭지역의 누유감지센서
AU2016100193A4 (en) Double pipe structure
CN103213779A (zh) 一种双层地埋油罐
TWI642607B (zh) FRP double-layer shell structure inside steel oil tank
CN105857978B (zh) 钢制油槽内面frp双层壳
CN205240394U (zh) 具有监控功能的中空储油罐
JP3216167U (ja) 二重殻構造の新設埋設タンク及び二重配管構造を備えたmchステーション
JP3242830U (ja) 新規及び既設の埋設タンクのcfrp二重殻構造
TW201730065A (zh) 附有洩漏檢測之地下埋設雙層殼配管及地下油槽雙層殼構造
AU2012101365A4 (en) Steel tank inside FRP double shell structure
JP3183085U (ja) 二重配管構造
JP3242722U (ja) 新規及び既設の埋設タンクのcfrp二重殻構造
JP2016216047A (ja) 二重殻構造の新設埋設タンク
JP3199105U (ja) 二重殻構造の新設埋設タンク
JP2011137652A (ja) 地中埋設物の破損検査法
KR101615364B1 (ko) 지중의 토양오염 검출 장치
JP3243459U (ja) フッ素樹脂を使用した既設鋼製埋設タンクの内面ライニング。
JP2019151396A (ja) 二重殻構造の新設埋設タンク及び二重配管構造を備えたmchステー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