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6709A -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6709A
KR20160056709A KR1020140157363A KR20140157363A KR20160056709A KR 20160056709 A KR20160056709 A KR 20160056709A KR 1020140157363 A KR1020140157363 A KR 1020140157363A KR 20140157363 A KR20140157363 A KR 20140157363A KR 20160056709 A KR20160056709 A KR 20160056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ctuator
diagnosis
diagnosti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5570B1 (ko
Inventor
임덕현
이채홍
이영서
전재욱
김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570B1/ko
Priority to US14/856,331 priority patent/US9613471B2/en
Priority to DE102015217819.6A priority patent/DE102015217819A1/de
Publication of KR20160056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50/16Tactile feedback to the driver, e.g. vibration or force feedback to the driver on the steering wheel or the accelerator ped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07C5/0825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using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내 진단 제어장치 자체에서 전력 데이터를 측정하므로 고장진단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기존과 같은 측정장치의 탈거시간 및 진단시간을 줄여 빠른 진단이 가능한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ctuators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 내 진단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기존 보다 효율적으로 액추에이터를 진단할 수 있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추에이터 고장 진단 방법에서는, 배터리와 액추에이터 제어기 사이에 연결된 파워라인에 홀딩센서를 장착하고 액추에이터 제어기에 연결된 외부 진단단말기를 통해 진단을 진행한다. 검사자는 운전석에서 진단단말기의 지시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수동으로 조작하고, 그 순간 홀딩센서에 의해 간접적으로 소모 전류를 측정하고 단말기를 통해 수신하여 확인함으로써 정상/고장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다. 따라서 진단 후 홀딩센서의 탈거시간으로 인해 진단시간이 지연될 뿐만 아니라 소모 전류의 간접측정으로 인해 측정 오차가 발생하여 진단 시 오판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에서 검사자가 배터리 라인에 부착하는 홀딩센서의 부착 방식(센서의 위치, 각도, 근접성 등)에 따라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액추에이터 고장 진단 방법 중에서는, 액추에이터 탈거 시의 전력과 장착시의 전력을 측정하고, 이때의 전력 변화량을 검출하고 이를 기준전력치와 비교하여 액추에이터의 고장판단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측정결과가 정상 판단 범위가 아니면 액추에이터를 재장착하여 진단 후 탈거해야하므로 진단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한정된 출고 시간 동안 많은 수의 차량 테스트를 해야하는 차량 공정 라인에서 외부 검사장비 및 액추에이터의 탈부착으로 인한 지연은 생산성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내 진단 제어장치 자체에서 전력 데이터를 측정하므로 고장진단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기존과 같은 측정장치의 탈거시간 및 진단시간을 줄여 빠른 진단이 가능한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차량 내 진단 제어장치를 통해 특정된 값들이나 각 액추에이터의 진단결과를 단말기를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출고 후에도 각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에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진단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일면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는,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 진단 가능한 차량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진단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차량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의 차량 식별자의 일치 여부에 대한 응답을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일치의 응답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측정 수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진단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의 소모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단부는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구동은, 차량내 소정의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구동 신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진단부,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 만큼 진단 로직을 수행하되,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진단 로직에서의 해당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수신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진단부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일정 주기로 판단하여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를 유지하는 경우에, 정상 판정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진단부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없거나,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 판정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동안에, 해당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과 상기 기준전력치의 비교 결과, 또는 측정 전류나 전압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일정 주기로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차량 네트워크 또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에 접속된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무선 통신으로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내부 장치와 통신하여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는, 차량 내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 정보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차량 식별자에 따라 구분되어 각각의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별로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진단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해당 응답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른 고장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진단부는 입력된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 성공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의 전송으로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는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 만큼 진단 로직을 수행하되, 상기 진단부가 전송하는 각각의 진단 로직에서의 해당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부 장치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일정 주기로 판단하여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를 유지하는 경우에, 정상 판정 결과를 회송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내부 장치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없거나,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 판정 결과를 회송할 수 있다.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부터 해당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과 상기 기준전력치의 비교 결과, 또는 측정 전류나 전압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차량 네트워크 또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에 접속된 상기 차량 내부 장치와 통신하거나, 무선 통신으로 상기 차량 내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은, 단말기에서 차량 내부 장치로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진단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저장하고 있는 차량 식별자와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차량 식별자의 일치에 대한 응답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의 소모 전력을 측정하며,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 성공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는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 만큼 진단 로직을 수행하되, 상기 진단부가 전송하는 각각의 진단 로직에서의 해당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일정 주기로 판단하여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를 유지하는 경우에, 정상 판정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회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없거나,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 판정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회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해당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과 상기 기준전력치의 비교 결과, 또는 측정 전류나 전압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일정 주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차량 내 진단 제어장치 자체에서 전력 데이터를 측정하므로 고장진단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기존과 같은 측정장치의 탈거시간 및 진단시간을 줄여 빠른 진단이 가능하고, 차량의 출고 후에도 각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에 활용하여 진단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진단 제어부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단 단말기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진단 단말기의 화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도 1의 진단 단말기(140)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 실시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 로직에 대한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1의 진단 단말기(140)와 진단 제어장치(110) 사이의 진단 과정 동안의 신호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100)는, 진단 단말기(140)나 입력부(20)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따라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는 해당 액추에이터(30)의 작동을 제어하고 액추에이터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을 수행하기 위해 차량 내 장착되는 진단 제어장치(110)와, 이외에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130), 진단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게이트웨이(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OBD 단자(130)는 차량 CAN(Controller Area Network)이나 기타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의 기기와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서, 진단 단말기(140)는 OBD 단자(130)에 연결되어 차량 네트워크에 연결된 진단 제어장치(110)와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다만, CAN 이나 차량 네트워크에 게이트웨이(120)가 구비되어 통신을 중계하는 경우에는, OBD 단자(130)에 연결된 진단 단말기(140)는 게이트웨이(120)를 통하여 진단 제어장치(110)와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120)는 진단 제어장치(110)와 진단 단말기(140) 간의 통신 중계 뿐만 아니라 같은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CAN 이나 차량 네트워크 상의 다른 전자장치들 간 통신을 중계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진단 단말기(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진단 제어장치(110)와 데이터를 교환하여 진단을 요청하고 해당 응답을 받을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이나 허용오차범위 등을 전송하거나, 액추에이터의 고장여부에 대한 진단 결과를 수신하는 등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에 필요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진단 제어장치(110)는 진단 단말기(140)로부터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0)에 대한 진단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액추에이터에 의한 배터리(30)의 소모 전력을 측정하고 진단 결과를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단 제어장치(110)에 의해 진단이 실시되기 위한 해당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10)의 작동(턴온)을 위한 구동 신호는 입력부(20) 또는 진단 단말기(140)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입력부(20)는 MFSW(Multi-Function Steering Wheel, 다기능 스티어링휠) 스위치일 수도 있고, 기타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차량 내의 다른 스위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MFSW 스위치에 의해 방향 지시등, 미등, 상향등, 와이퍼 등의 작동을 위한 액추에이터가 동작될 수 있으며, 기타 차량 내의 다른 스위치에 의해 도어 개폐, 창문 개폐, 히터, 에어컨 등의 작동을 위한 액추에이터가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출고전에는 진단 단말기(140)에서 전송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해당 액추에이터(30)가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며, 이에 따라 진단 제어장치(110)는 진단 단말기(140)로부터 해당 액추에이터(10)에 대한 진단 요청에 따라 해당 액추에이터에 의한 배터리(30)의 소모 전력을 측정하고 진단 결과를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출고 후에는 입력부(20)의 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구동 신호에 따라 해당 액추에이터(30)가 배터리(2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며, 이에 따라 진단 제어장치(110)는 진단 단말기(140)로부터 해당 액추에이터(10)에 대한 진단 요청에 따라 해당 액추에이터에 의한 배터리(30)의 소모 전력을 측정하고 진단 결과를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진단 제어장치(11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진단 제어장치(110)는 진단부(111), 저장부(112), 측정부(113), 및 통신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4)는 시리얼 데이터 통신 등 유선으로 OBD 단자(130)에 연결된 진단 단말기(140)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OBD 단자(130) 없이 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인터넷, 또는 WiFi, WCDMA 등 이동 통신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진단 제어장치(110)와 진단 단말기(140)의 통신부에는 해당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진단부(111)는 통신부(114)를 통해 진단 단말기(140)가 전송하는 진단요청,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나 허용오차범위 통보 등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저장부(112)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저장부(112)에는 옵션 사양에 따라 부여된 진단 가능한 차량 ID(VID, 차량 식별자), 인증 정보 등이 미리 저장 관리될 수 있다. 다만,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각 액추에이터가 진단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진단부(111)는 진단 단말기(140)로부터 인증을 위한 인증 식별자, 비밀 번호 등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저장부(112)의 인증 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 성공 또는 인증 실패 등에 대한 응답을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성공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는 경우에 진단 단말기(140)와 통신으로 진단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측정부(113)는 진단요청 메시지에 따른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소모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소모 전력을 측정한다. 전류와 전압의 측정은 구비된 회로나 장착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으며, 전압은 차량 네트워크 상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나 ECU(Engine Control Unit) 등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진단부(111)는 측정부(113)에 의해 측정된 소모 전력에 기초하여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구동 전후의 전력 변화량과 저장부(112)에 저장된 기준전력치를 비교하여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이면 정상판정, 그 범위를 벗어나면 고장판정하며, 최종적으로 해당 측정 전류(측정 전압 포함 가능), 판정 결과 등을 포함한 진단결과를 통신부(114)를 통해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1의 진단 단말기(140)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진단 단말기(140)는 진단부(141), 저장부(14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 및 통신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2)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나 허용오차범위 등이 저장 관리된다. 이와 같은 저장부(142)의 정보는 차량의 종류 및 옵션 사양에 따라 부여된 차량 ID(VID)에 따라 구분되어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이름이나 종류별로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142)에 저장되는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입력부(예, 터치스크린, 키패드, 키보드 등)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하며,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출력부인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입력 등 편집될 수 있다.
통신부(144)는 시리얼 데이터 통신 등 유선으로 진단 제어장치(110)와 통신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OBD 단자(130) 없이 블루투스, 지그비, NFC 등 근거리 무선 통신이나 WiFi, WCDMA 등 이동 통신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진단 제어장치(110)와 진단 단말기(140)의 통신부에는 해당 무선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진단부(14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를 통한 사용자의 진단시작 등의 입력에 따라 진단요청 요청 메시지나, 저장부(142)의 해당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나 허용오차범위 등의 통보를 위한 메시지가 통신부(144)를 통해 진단 제어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하기하는 바와 같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각 액추에이터가 진단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진단부(141)는 필요에 따라 보안인증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GUI 등을 통하여 진단요청 메시지 등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부(111)가 수행하는 해당 액추에이터(들)에 대한 진단결과가 통신부(144)를 통해 수신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출력부인 GUI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진단부(141)는 통신부(144)를 통해 위와 같이 수신되는 진단결과를 저장부(142)에 저장할 수도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 상의 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서버에서 각 액추에이터의 진단 결과를 수집하여 관리하고 필요시 사용자의 단말 등을 이용한 조회 요청 등에 따라 해당 조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진단 단말기(140)의 화면의 일례이다. 도 4와 같이, 진단 단말기(140)의 GUI 형태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차종 및 VID 선택 버튼, 액추에이터 정보편집 버튼, 진단시작 버튼, 진단결과 저장 버튼 등을 포함하여, 모든 차량의 액추에이터 진단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종 및 VID 선택 버튼을 선택하여 차량의 종류 및 옵션 사양에 따라 부여된 차량 ID(VID)를 입력할 수 있고, 액추에이터 정보편집 버튼을 선택하여 액추에이터의 이름이나 종류별로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나 허용오차범위 등을 저장부(142)에 저장 관리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진단시작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진단요청 메시지나,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나 허용오차범위 등의 통보를 위한 메시지 등이 진단 제어장치(110)로 전송되며, 이에 따라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부(111)가 수행하는 해당 액추에이터(들)에 대한 진단결과가 통신부(144)를 통해 수신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출력부인 GUI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이 수행되는 과정 동안에, 진단 제어장치(110)는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측정부(113)에 의해 측정된 전력 변화량, 저장부(112)에 저장된 기준전력치와 비교 결과, 측정 전류(측정 전압 포함 가능)의 변화 추이 등 진단의 과정, 진단결과 등 모니터링 정보를 진단 단말기(140)로 통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디스플레이의 별도의 메시지 창 등을 통해 사용자가 진단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진단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진단결과 저장 버튼을 선택하여, 누적된 액추에이터들에 대한 진단결과(진단 과정의 정보 포함 가능)를 저장부(142)(내장 또는 외장 메모리 가능)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거나, 통신부(144)를 통하여 인터넷 상의 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서버에서 각 액추에이터의 진단 결과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고 필요시 네트워크 의 사용자의 단말 등을 이용한 조회 요청 등에 따라 해당 조회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진단 제어장치(110)와 진단 단말기(140)의 동작을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진단 단말기(140)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를 통한 사용자의 진단시작 등의 입력에 따라 진단부(141)는 저장부(142)의 해당 진단요청 메시지가 통신부(144)를 통해 진단 제어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S510). 진단요청 메시지에는 차량의 종류, 옵션 사양에 따라 부여된 차량 ID(VID), 액추에이터 개수정보(N)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이외에도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이름이나 종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각 액추에이터가 진단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보안인증절차를 마친 후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GUI 등을 통하여 진단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식별자, 비밀 번호 등 인증 정보가 저장부(142)에 미리 등록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초기 인증 화면에서 해당 인증정보를 입력함으로써, 도 4와 같이 진단을 위해 필요한 GUI 화면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진단부(141)는 해당 인증 정보를 진단 제어장치(110)로 전송하고 진단 제어장치(110)로부터 인증 성공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도 4와 같이 진단을 위해 필요한 GUI 화면이 제공되어 진단요청 메시지 등 후속 과정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진단 제어장치(110)로부터 해당 응답이 수신되면(S511), 진단부(141)는 해당 응답이 소정의 정상적인 Positive(적합) 응답인 경우(S520) 진단을 위한 후속 과정이 진행하며, 해당 응답이 소정의 Negative(부적합) 응답인 경우(S520) 소정의 에러 메시지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521).
진단부(141)는 진단 제어장치(110)로부터 정상적인 Positive(적합) 응답을 수신하면, 액추에이터의 진단을 위하여 저장부(142)의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P)와 허용오차범위(E)가 포함된 메시지를 통신부(144)를 통해 진단 제어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S530). 이와 같은 메시지의 전송은 도 6과 같이 진단 로직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진단부(141)는 액추에이터(3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출고전에는 진단부(141)에서 액추에이터(30)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차량의 출고 후에는 차량내 입력부(20)의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3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액추에이터(30) 구동 신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의 출력부에 GUI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부(111)가 수행하는 해당 액추에이터(들)에 대한 진단 과정 등이 통신부(144)를 통해 수신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에서 GUI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S531).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이 수행되는 과정 동안에, 진단 제어장치(110)는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측정부(113)에 의해 측정된 전력 변화량, 저장부(112)에 저장된 기준전력치와 비교 결과, 측정 전류(측정 전압 포함 가능)의 변화 추이 등 진단의 과정, 진단결과 등이 포함된 정보를 진단 단말기(140)로 통보할 수 있다.
특히, 진단부(141)는 진단 제어장치(110)로부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판정 결과를 수신 받으면(S532), 정상 판정 결과(positive) (진단 과정의 정보 포함 가능)를(S533)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고 저장부(142) 또는 인터넷 상의 서버 등에 저장한다(S534). 고장 판정 결과(positive) (진단 과정의 정보 포함 가능)(S535) 역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고 저장부(142) 또는 인터넷 상의 서버 등에 저장한다(S534).
위와 같은 S530 ~ S534의 진단 과정의 횟수는 소정의 카운터를 통해 카운팅될 수 있으며, 그 카운팅 수(CNT)가 액추에이터 개수(N)가 될 때까지 액추에이터들 보에 대하여 하나씩 차례로 위와 같은 진단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540).
도 6은 도 1의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 실시의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부(111)는 진단 단말기(140)로부터 차량의 종류, 옵션 사양에 따라 부여된 차량 ID(VID), 액추에이터 개수정보(N) 등이 포함된 진단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S610), 수신된 VID와 저장부(112)에 저장된 진단 가능한 차량 ID(VID)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S620), 일치 시 소정의 정상적인 Positive(적합) 응답을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회송)하고(S621), 그렇지 않으면 소정의 Negative(부적합) 응답을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회송)한다(S622).
수신한 VID가 저장부(112)에 저장된 진단 가능한 차량 ID(VID)와 일치하면, 진단부(111)는 진단 로직을 수행하되(S630)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개수(N)만큼 진단 로직을 호출하여 대상 액추에이터들을 하나씩 차례로 진단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S640).
도 7은 도 6의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 로직(S630)에 대한 동작 설명을 위한 흐름도이다.
진단 제어장치(110)의 진단부(111)는 현재의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진단 단말기(140)로부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P)와 허용오차범위(E)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측정부(113)가 진단을 위한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S631).
먼저, 측정부(113)는 진단요청 메시지에 따른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구동 전의 배터리(30)의 현재 소모 전력(P1)을 측정하고 저장부(112)에 저장한다(S632).
이후 측정부(113)는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가 구동되도록하고 소정의 타이머를 기동하여(S633) 소정의 시간까지 소모 전력을 측정하기 시작한다(S634). 차량의 출고전에는 진단 단말기(140)에서 전송하는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구동 시작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측정부(113)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출고 후에는 입력부(20)의 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구동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측정부(113)는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구동 후의 배터리(30)의 소모 전력(P2)을 측정하고(S635), 진단부(111)는 액추에이터 구동 전 소모 전력(P1)과의 (절대값) 차이가 기준전력치의 허용오차범위이내(P±E)이면(S636), 상기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S634) 일정 주기로 반복 판단하여 해당 차이가 기준전력치의 허용오차범위이내(P±E)인 경우에 정상판정 결과를 해당 측정 전류(측정 전압 포함 가능) 등과 함께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S637).
또한, 진단부(111)는 상기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액추에이터 구동 전 소모 전력(P1)과의 (절대값) 차이가 없거나(예, 액추에이터 미구동시 P2-P1=0), 상기 타이머의 해당 시간 이전이라도 그 차이가 기준전력치의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면(S636), 고장판정 결과를 해당 측정 전류(측정 전압 포함 가능) 등과 함께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S637).
이와 같은 진단이 수행되는 과정 동안에, 진단부(111)는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측정부(113)에 의해 측정된 전력 변화량, 저장부(112)에 저장된 기준전력치와 비교 결과, 측정 전류(측정 전압 포함 가능)의 변화 추이 등 진단의 과정, 진단결과 등이 포함된 정보를 일정 주기로 진단 단말기(140)로 통보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의 진단 단말기(140)와 진단 제어장치(110) 사이의 진단 과정 동안의 신호 시퀀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과 같이, 진단 단말기(140)로부터 차량의 종류, 옵션 사양에 따라 부여된 차량 ID(VID), 액추에이터 개수정보(N) 등이 포함된 진단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진단 제어장치(110)는, 수신된 VID와 저장부(112)에 저장된 진단 가능한 차량 ID(VID)와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Positive(적합) 응답 또는 Negative(부적합) 응답을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함으로써, 현재 차종의 액추에이터 구성 상태에 맞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진단 단말기(140)가 현재 차종의 액추에이터 구성 상태에 맞게 VID, 액추에이터 개수정보(N) 등을 전송한 후에는, 진단을 시작하기 위하여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P)와 허용오차범위(E)가 포함된 메시지를 진단 제어장치(110)로 전송하며, 진단 제어장치(110)가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 구동에 따른 소모 전력 변화량을 측정하기 시작하여 도 7과 같이 진단을 통하여 판정 결과를 해당 측정 전류(측정 전압 포함 가능) 등과 함께 진단 단말기(14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단 제어장치(110)는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개수(N)만큼 진단 로직을 호출하여 대상 액추에이터들을 하나씩 차례로 진단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 각 진단 로직에서, 차량의 출고전에는 진단 단말기(140)에서 전송하는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구동 시작을 제어하는 구동 신호에 따라 진단 제어장치(110)가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출고 후에는 입력부(20)의 스위치의 작동에 의한 구동 신호에 따라 액추에이터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진단 단말기(140)는 진단이 수행되는 과정 동안에, 진단 제어장치(110)로부터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측정부(113)에 의해 측정된 전력 변화량, 저장부(112)에 저장된 기준전력치와 비교 결과, 측정 전류(측정 전압 포함 가능)의 변화 추이 등 진단의 과정, 진단결과 등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GUI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저장부(142) 또는 인터넷 상의 서버 등에 저장하여 추후 언제든지 조회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100)에서는, 차량 내 진단 제어장치(110) 자체에서 전력 데이터를 측정하므로 고장진단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며 기존과 같은 홀딩 센서 등 측정장치의 탈거시간 및 진단시간을 줄여 빠른 진단이 가능하고, 차량의 출고 후에도 각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에 활용하여 진단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진단 제어장치(110)
진단부(111)
저장부(112)
측정부(113)
통신부(114)
게이트웨이(120)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130)
진단 단말기(140)
진단부(141)
저장부(14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3)
통신부(144)

Claims (20)

  1.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
    진단 가능한 차량 식별자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진단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차량 식별자와 상기 저장부의 차량 식별자의 일치 여부에 대한 응답을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일치에 대한 응답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고장 여부 판단을 위한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측정 수행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진단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의 소모 전력을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구동은, 차량내 소정의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구동 신호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고장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 만큼 진단 로직을 수행하되,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각의 진단 로직에서의 해당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수신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일정 주기로 판단하여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를 유지하는 경우에, 정상 판정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없거나,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 판정 결과를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동안에, 해당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과 상기 기준전력치의 비교 결과, 또는 측정 전류나 전압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일정 주기로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차량 네트워크 또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에 접속된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거나, 무선 통신으로 상기 외부 단말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8.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내부 장치와 통신하여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 내부 장치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
    정보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차량 식별자에 따라 구분되어 각각의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별로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상기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진단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해당 응답에 따라,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구동에 따른 배터리의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른 고장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진단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입력된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 성공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의 전송으로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의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는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 만큼 진단 로직을 수행하되, 상기 진단부가 전송하는 각각의 진단 로직에서의 해당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 장치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일정 주기로 판단하여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를 유지하는 경우에, 정상 판정 결과를 회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부 장치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없거나,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 판정 결과를 회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부는,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부터 해당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과 상기 기준전력치의 비교 결과, 또는 측정 전류나 전압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일정 주기로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차량 네트워크 또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에 접속된 상기 차량 내부 장치와 통신하거나, 무선 통신으로 상기 차량 내부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의 고장진단을 위한 단말기.
  15. 차량에 장착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에서 차량 내부 장치로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는 진단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저장하고 있는 차량 식별자와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차량 식별자의 일치에 대한 응답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고장 여부 판단을 위한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의 소모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인증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 장치로 전송하여 인증 성공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요청 메시지는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인지 여부에 따라 고장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액추에이터 개수 정보 만큼 진단 로직을 수행하고, 상기 단말기가 전송하는 각각의 진단 로직에서의 해당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의 기준전력치와 허용오차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일정 주기로 판단하여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 이내를 유지하는 경우에, 정상 판정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회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타이머에 정해진 시간이 만기될 때까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없거나,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이 상기 기준전력치의 상기 허용오차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 판정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회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대상 액추에이터에 대한 진단이 수행되는 동안에, 상기 차량 내부 장치에서 해당 액추에이터 구동 지시 여부,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 상기 소모 전력의 변화량과 상기 기준전력치의 비교 결과, 또는 측정 전류나 전압을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일정 주기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방법.
KR1020140157363A 2014-11-12 2014-11-12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655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363A KR101655570B1 (ko) 2014-11-12 2014-11-12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US14/856,331 US9613471B2 (en) 2014-11-12 2015-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diagnosing actuators in vehicle
DE102015217819.6A DE102015217819A1 (de) 2014-11-12 2015-09-17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iagnostizieren von Aktuatoren in einem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7363A KR101655570B1 (ko) 2014-11-12 2014-11-12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709A true KR20160056709A (ko) 2016-05-20
KR101655570B1 KR101655570B1 (ko) 2016-09-07

Family

ID=55803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7363A KR101655570B1 (ko) 2014-11-12 2014-11-12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13471B2 (ko)
KR (1) KR101655570B1 (ko)
DE (1) DE1020152178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007A (ko) * 2016-12-29 201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용 부품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00079076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전장품 자가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장품 자가 진단 방법
KR20200134426A (ko) * 2019-05-22 2020-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20002362A2 (pt) * 2017-08-04 2020-09-08 Global Battery Solutions Llc sistema e método do monitor de bateria
KR101897181B1 (ko) 2017-08-18 2018-09-13 주식회사 크레스프리 액츄에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JP7095240B2 (ja) 2017-08-23 2022-07-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制御装置
US10912135B2 (en) * 2018-07-30 2021-02-02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Device and vehicle pairing using a network connection
KR102047935B1 (ko) * 2019-05-30 2019-12-0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액추에이터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20220068239A (ko) 2019-09-20 2022-05-25 소나투스, 인코포레이티드 추가 차량 통신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장치
US11538287B2 (en) * 2019-09-20 2022-12-27 Sonatu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data collection
US11772583B2 (en) 2020-03-06 2023-10-03 Sonatu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automation
KR20240034425A (ko) * 2022-09-07 2024-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관리를 위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478A (ja) * 2005-11-16 2007-06-07 Fujitsu Ten Ltd 車両診断装置及び車両診断システム
KR20090132288A (ko) * 2008-06-20 2009-12-3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장치 및 그의 서비스방법
KR20110065215A (ko) * 2009-12-09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모듈의 진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804B1 (ko) * 1987-02-27 1991-05-04 미쓰비시지도오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자기진단용 다기능테스터
JP3463334B2 (ja) 1994-01-18 2003-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負荷制御装置
JPH09257859A (ja) 1996-03-18 1997-10-03 Yazaki Corp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の異常電流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DE69733156T2 (de) * 1996-10-25 2005-09-29 Calsonic Kansei Corp. Fahrzeugklimaanlage
JPH10149493A (ja) 1996-11-18 1998-06-02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異常機器検出装置
JP3897135B2 (ja) * 1997-03-10 2007-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診断方法および装置
JPH10253505A (ja) * 1997-03-10 1998-09-25 Honda Motor Co Ltd 車両診断方法および装置
JP2000113400A (ja) * 1998-09-30 2000-04-21 Honda Motor Co Ltd 自動追従走行システム
US6958611B1 (en) * 1999-10-01 2005-10-25 Meritor Heavy Vehicle Systems, Llc Diagnostic remote control for electrical components on vehicle
JP4308408B2 (ja) * 2000-04-28 2009-08-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入出力制御装置
US7245995B2 (en) * 2003-02-19 2007-07-17 Robert Bosch Gmbh Fault-tolerant vehicle stability control
US20070050105A1 (en) * 2005-08-31 2007-03-01 Spx Corporation Remote diagnostic data collections for automotive scan tools
JP4831824B2 (ja) * 2006-09-11 2011-1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式フォークリフト
KR20090049492A (ko) 2007-11-13 2009-05-18 유빅테크주식회사 차량 고장진단기기
DE102007061729A1 (de) 2007-12-20 2009-06-2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s elektrischen Fehlers in einem elektrischen Netzwerk eines Kraftfahrzeugs
JP5291132B2 (ja) * 2011-03-07 2013-09-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始動可否判定装置および始動可否判定方法
US9308822B2 (en) * 2011-12-26 2016-04-12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electric vehicle
US9589455B2 (en) * 2012-02-22 2017-03-0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server, and remote control terminal
US8977417B2 (en) * 2012-10-19 2015-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having a single-wire actuator
JP5391348B1 (ja) * 2013-03-27 2014-01-15 富士重工業株式会社 油圧制御アクチュエータの診断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9478A (ja) * 2005-11-16 2007-06-07 Fujitsu Ten Ltd 車両診断装置及び車両診断システム
KR20090132288A (ko) * 2008-06-20 2009-12-30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게이트웨이 전자제어장치 및 그의 서비스방법
KR20110065215A (ko) * 2009-12-09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전자 모듈의 진단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8007A (ko) * 2016-12-29 2018-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용 부품 진단 장치 및 방법
KR20200079076A (ko) * 2018-12-24 2020-07-0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차량의 전장품 자가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장품 자가 진단 방법
KR20200134426A (ko) * 2019-05-22 2020-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570B1 (ko) 2016-09-07
US9613471B2 (en) 2017-04-04
DE102015217819A1 (de) 2016-05-12
US20160133063A1 (en)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570B1 (ko) 차량 액추에이터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CN106843190B (zh) 分布式车辆健康管理系统
JP7276908B2 (ja) 車両診断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アダプタ、診断用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並びに車両診断方法
US85601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communication range and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vehicle diagnostic equipment
CN106325231B (zh) 一种对生产线上车辆进行远程故障检测的方法及系统
US9283827B2 (en) Air conditioning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server, and portable terminal
JP6455313B2 (ja) バッテリ異常診断装置および異常診断方法
TWI580153B (zh) 電池監控系統
JP4244962B2 (ja) 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2010148246A (ja) 電気自動車の充電システム
JP2011185727A (ja) 車両診断システム、車両診断装置および車両診断方法
KR20150146025A (ko) 융합 테크놀러지와 광대역 무선통신을 이용한 고도의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CN108227677A (zh) 车辆状态监测系统及方法
KR20190056553A (ko) 전기차 충전기 자가진단 시스템, 서버 및 자가진단 방법
CN103425124A (zh) 基于电流检测的汽车电器连接性检测装置及方法
CN103085613B (zh) 胎压检测方法
CN105095972A (zh) 车辆的售后维修监控系统和方法
KR101459939B1 (ko) 게이트웨이 탑재 차량의 전장품 동작전류 자동 검사 방법
JP2016109639A (ja) 鉛バッテリの劣化診断装置
KR101869512B1 (ko) 저전력 광대역 통신망을 이용한 운행 중 차량사고 알림 기능을 구비한 서비스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CN114167846A (zh) 一种新能源汽车的远程故障诊断系统和方法
KR102187072B1 (ko) 차량의 전장품 자가 진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장품 자가 진단 방법
US10397669B2 (en) Wireless checking system of switch and operating unit provided in vehicle and wireless checking method using the same
JP4466554B2 (ja) 車載無線通信装置および車載端末装置
JP2007003468A (ja) 時間積算装置、管理装置及び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