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2503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2503A
KR20160052503A KR1020160050323A KR20160050323A KR20160052503A KR 20160052503 A KR20160052503 A KR 20160052503A KR 1020160050323 A KR1020160050323 A KR 1020160050323A KR 20160050323 A KR20160050323 A KR 20160050323A KR 20160052503 A KR20160052503 A KR 20160052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bstrate
contact
contact portio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유키 미키
미츠루 고바야시
다카토시 야기사와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2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2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전송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판에 실장되고, 평판 형상의 연결 대상물을 상기 기판에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삽입구로부터 상기 연결 대상물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연결 대상물의 한쪽 면 및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복수의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 대상물의 한쪽 면에 접촉하는 가동 접촉부와, 상기 연결 대상물과 상기 기판 사이의 신호 전송로에서 분기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고정 접촉부와, 상기 가동 접촉부와 상기 고정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등의 연결 대상물을 기판에 연결하는 커넥터에는, 연결 대상물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고정되어 연결 대상물과 기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컨택트를 구비하는 구성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상기 컨택트는, 연결 대상물과 기판에 각각 접촉하는 2개의 접촉부에 더하여, 예를 들어 2개의 접촉부의 사이에서 분기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가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 홀에 맞물림으로써 하우징에 고정된다. 컨택트가 이와 같이 형성되는 1개의 돌출부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돌출부에 일정한 길이가 필요하다.
일본국 특허 제4945006호 공보
그러나, 기판과 연결 대상물과의 사이에서 수십 Gbps 이상의 고속 전송을 하는 경우, 기판 및 연결 대상물과의 2개의 접촉부 사이의 신호 전송로에서 분기하도록 설치되는 돌출부의 영향으로, 커넥터의 전송 특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속 전송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기판에 실장되어 평판 형상의 연결 대상물을 상기 기판에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삽입구에서 상기 연결 대상물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연결 대상물의 한쪽면 및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복수의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 대상물의 한쪽면에 접촉하는 가동 접촉부와, 상기 연결 대상물과 상기 기판 사이의 신호 전송로에서 분기되어 돌출한 복수의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고정 접촉부와, 상기 가동 접촉부와 상기 고정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속 전송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예시하는 정면도, 상면도, 저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예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예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FPC가 연결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FPC가 연결된 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전송 특성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전송 특성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커넥터의 구성>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커넥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커넥터(1)의 (a) 상면도, (b) 정면도, (c) 저면도 및 (d) 측면도이고, 도 4는 하우징(10)에 제1 컨택트(20)가 고정되는 형태를 예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나타내는 X 방향은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이고, Y 방향은 커넥터(1)의 폭 방향이고, Z 방향은 커넥터(1)의 높이 방향이다.
커넥터(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0), 제1 컨택트(20), 제2 컨택트(30), 액츄에이터(40)를 가진다. 커넥터(1)는, 하우징(10)의 도 1에 있어서의 하면측이 납땜에 의해 기판에 고정된다. 또한, 커넥터(1)는, 삽입구(110)에서 삽입되는, 예를 들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 등, 평판 형상의 연결 대상물과 기판을 연결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Z 방향에 있어서 커넥터(1)의 기판측을, 기판과는 반대측을 위로 하여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하우징(10)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구(110), 제1 컨택트(20)이 고정되는 복수의 제1 컨택트 홀(102), 제2 컨택트(30)가 고정되는 복수의 제2 컨택트 홀(103)을 가진다.
복수의 제1 컨택트 홀(102)은, Y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삽입구(110)와는 반대측에,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컨택트 홀(102)에는, 각각 제1 컨택트(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복수의 제2 컨택트 홀(103)은, Y 방향에 있어서 하우징(10)의 삽입구(110)측에,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렬로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제2 컨택트 홀(103)에는, 각각 제2 컨택트(3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하우징(10)은, 가압 수단으로서의 액츄에이터(40)를 지지하는 지지 홈(104)을 가지고, 지지 홈(104)에 삽입되는 액츄에이터(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하우징(10)의 지지 홈(104)에는,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돌기부(401)에 맞물리는 맞물림 홈(105)이 설치되어 있다. 액츄에이터(40)는, 돌기부(401)가 하우징 지지홈(104)의 맞물림 홈(105)에 맞물림으로써, 하우징(10)에 지지된다. 또한, 액츄에이터(40)는, 돌기부(401)를 중심으로 도 3의 (d)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0)에 지지된다. 액츄에이터(40)는, 아랫쪽으로 넘어지듯이 회전됨으로써, 제1 컨택트(20)를 하우징(10)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물에 가압한다.
제1 컨택트(20) 및 제2 컨택트(30)는, 예를 들어 박판 형상의 도전성 금속 재료를 펀칭 가공하여 형성되고, 하우징(10)의 삽입구(110)에서 삽입되는 연결 대상물과 기판을 연결한다. 또한, 복수의 제1 컨택트(20) 및 복수의 제2 컨택트(30)는, 각각 신호선(S)과 접지선(G)이 서로 인접하도록(예를 들어, GSGSG … 또는 GSSG … 등) 할당되어 있고, 서로 인접한 컨택트의 사이에서 원하는 임피던스에 정합되어 있다.
복수의 제1 컨택트(20)는, 각각 하우징(10)의 제1 컨택트 홀(102)에 고정되고, 연결 대상물의 한쪽면과 기판을 연결한다. 각각의 제1 컨택트(20)는,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의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과, 하우징(10)에 삽입된 연결 대상물의 상면단자에 접촉하는 부분을 가진다.
도 4는, 하우징(10)의 제1 컨택트 홀(102)에, 제1 컨택트(20)가 고정되는 형태를 예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컨택트(20)는 하우징(10)의 제1 컨택트 홀(10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복수의 제1 컨택트(20)가 제1 컨택트 홀(102)에 고정된 하우징(10)은, 또한 지지홈(104)에 삽입되는 액츄에이터(40)를 지지한다. 액츄에이터(40)는, 측면의 돌기부(401)가 하우징(10)의 지지홈(104)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 홈(105)에 맞물림으로써,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액츄에이터(40)는, X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삽입 홀(402)에 각각 제1 컨택트(2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우징(10)에 지지된다.
제2 컨택트(3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2 컨택트 홀(103)에 고정되어, 연결 대상물의 다른쪽 면과 기판을 연결한다. 제2 컨택트(30)는,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의 단자에 접촉하는 부분과, 하우징(10)에 삽입된 연결 대상물의 하면 단자면에 접촉하는 부분을 가진다. 제2 컨택트(30)는, 제1 컨택트(2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컨택트 홀(103)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가지고, 기판에 실장되어, 예를 들어 FPC 및 FFC 등의 연결 대상물과 기판을 연결한다.
<컨택트, 액츄에이터의 구성>
다음으로, 제1 컨택트(20), 제2 컨택트(30) 및 액츄에이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와 도 6은, 도 3의 (b)의 A-A' 단면도이고, 도 5는 커넥터(1)에 연결 대상물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도 6은 커넥터(1)에 연결 대상물로서 FPC(50)가 삽입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제1 컨택트)
제1 컨택트(20)는, 도 5 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부(201), 고정 접촉부(202), 연결부(203)를 가진다.
가동 접촉부(201)는, Y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하우징(10)의 삽입구(110)쪽의 선단부(201a)에서 연결 대상물의 상면에 접촉하는 접촉 돌기부(201b)를 가진다. 가동 접촉부(201)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203)에 의해 고정 접촉부(20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부(201)의 삽입구(110)와 반대쪽의 후단부(201c)는, 액츄에이터(40)의 삽입 홀(402)에 삽입되어, 액츄에이터(40)의 캠 부(403)를 고정 접촉부(202)와의 사이에서 끼우고 있다.
가동 접촉부(201)는, 액츄에이터(40)가 도 5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로 회전 되면, YZ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을 갖는 캠부(403)에 의해, 후단부(201c)가 상방으로 가압되고, 탄성 변형하는 연결부(20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가동 접촉부(201)는, 액츄에이터(40)가 회전되면, 선단부(201a)의 접촉 돌기부(201b)가 FPC(50)의 상면으로 가압된다.
연결부(203)는, 가동 접촉부(201)와 고정 접촉부(202)를 연결한다. 또한, 연결부(203)는, 액츄에이터(4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가동 접촉부(201)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지지한다.
고정 접촉부(202)는, 제1 고정부(202a), 손톱부(爪部)(202b), 제2 고정부(202c), 캠 홈(202d), 기판 접촉부(202e), 본체부(202f)를 가지고, 하우징(10)에 고정되어 기판에 접촉한다.
제1 고정부(202a)는, 연결부(203)에 연결하는 부분으로부터 하우징(10)의 삽입구(110)쪽으로 돌출하고,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 홀(106)에 맞물림으로써, 고정 접촉부(202)를 하우징(10)에 고정한다. 제1 고정부(202a)에는,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손톱부(202b)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고정부(202a)의 손톱부(202b)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Z 방향 두께는, 하우징(10)의 맞물림 홀(106)의 Z 방향 높이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고정부(202a)는, 하우징(10)의 맞물림 홀(106)에 압입되도록 삽입되고, 손톱부(202b)가 맞물림 홀(106)에 걸림으로써, 하우징(10)에 고정되어 맞물림 홀(106)로부터의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제1 고정부(202a)는, Y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돌출하도록 구비되나,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비되어도 좋다. 또한, 제1 고정부(202a)가 연결부(203)로부터 돌출하는 부분의 길이는, 제1 컨택트(20)가 하우징(10)에 고정되어, 탈락 등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짧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컨택트(20)를 통해 기판과 FPC(50) 사이에서 고속 전송을 행하는 경우에, 제1 고정부(202a)의 영향으로 커넥터(1)의 전송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고정부(202c)는, 하우징(10)을 따라 Y 방향으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본체부(202f)로부터 하방의 기판 쪽으로 돌출하여, 하우징(10)의 삽입구(110)와는 반대쪽의 제1 컨택트쪽 단부(120)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제2 고정부(202c)는, 본체부(202f)와의 사이에 제1 컨택트쪽 단부(120)을 끼움으로써,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다.
캠 홈(202d)은, 고정 접촉부(202)의 상부에 구비되고, 액츄에이터(40)의 캠부(403)를 가동 접촉부(201c)와의 사이에 끼우고 있다. 캠 홈(202d)은 액츄에이터(40)의 캠부(403)에 맞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판 접촉부(202e)는, 하우징(10)의 삽입구(110)와 반대쪽에 구비되고, 하면이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에 구비된 단자에 접촉한다.
제1 컨택트(20)는 이상에서 설명한 형상을 가지며, 제1 고정부(202a) 및 제2 고정부(202c)의 복수의 고정부에 의해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컨택트를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고정부는, 기판에서 연결 대상물까지의 신호 전송로로부터 분기하여 돌출하는 오픈 스텁으로서 거동하고, 특정 주파수에서의 전송 특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 예를 들어, 컨택트를 하나의 고정부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부를 충분한 길이로 구비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전송 특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컨택트(20)는 복수의 고정부를 가지고, 1개의 고정부로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고정부로서 각각의 돌출하는 길이를 짧게 하여도 하우징(10)에의 고정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컨택트(20)는, 신호 전송로로부터 돌출하는 고정부의 길이가 짧아짐으로써, 고정부의 전송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전송 특성 시뮬레이션 결과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 의하면, 넓은 주파수 대역에서 양호한 투과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고속 전송에 대응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8은, 기판과 연결 대상물을 연결하는 컨택트가, 돌출하는 하나의 고정부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의 전송 특성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택트의 고정부의 영향으로, 30 GHz 이상에서 투과 특성이 저하하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가 하나의 고정부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로는, 고속 전송에 대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1 컨택트(20)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부는, 2개의 제1 고정부(202a) 및 제2 고정부(202c)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2개 이상의 복수이면 되고, 본 실시예에서의 제1 고정부(202a) 및 제2 고정부(202c)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제2 컨택트)
제2 컨택트(3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대상 접촉부(301), 기판 접촉부(302)를 가진다.
제2 컨택트(30)는, 연결 대상 접촉부(301)와 기판 접촉부(302)의 사이에서, 하우징(10)의 삽입구(110)쪽 제2 컨택트측 단부(130)를 끼움으로써, 하우징(10)에 고정된다.
연결 대상 접촉부(301)는, 제1 컨택트(20)의 가동 접촉부(201)의 삽입구(110)쪽 선단부(201a)에 대향하는 부분이 상방으로 휘어져 형성되고, 선단부로부터 더욱 상방으로 돌출하는 접촉 돌기부(301a)가, 연결 대상물의 하면 단자에 접촉한다.
기판 접촉부(302)는, 하면(302a)이 하우징(10)으로부터 노출되어, 기판의 단자에 접촉한다.
제2 컨택트(30)는 하우징(10)의 제2 컨택트측 단부(130)에 고정되어, 삽입구(110)로부터 삽입되는 연결 대상물의 하면 단자와 기판을 연결한다.
(액츄에이터)
액츄에이터(4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홀(402)에 제1 컨택트(20)의 가동 접촉부(201)의 후단부(201c)가 삽입되고, 캠부(403)가, 제1 컨택트(20)의 가동 접촉부(201)의 후단부(201c)와, 고정 접촉부(202)의 캠 홈(202d)과의 사이에 끼워져 있다.
캠부(403)는, YZ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을 가지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40)가 아랫쪽으로 넘어지듯이 회전되면, 제1 컨택트(20)의 가동 접촉부(201)의 후단부(201c)를 밀어 올린다. 제1 컨택트(20)의 가동 접촉부(201)는, 후단부(201c)가 캠부(403)에 의해 밀어 올려짐으로써, 탄성 변형하는 연결부(203)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선단부(201a)의 접촉 돌기부(201b)가 연결 대상물의 상면 단자로 가압된다.
커넥터(1)에 삽입되는 연결 대상물은, 액츄에이터(40)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 회전되면, 제1 컨택트(20)의 접촉 돌기부(201b)와 제2 컨택트(30)의 접촉 돌기부(301a)의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컨택트(20)의 고정 접촉부(202)에 복수의 고정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 컨택트(20)의 하우징(10)으로의 고정력을 유지함과 동시에, 전송 특성이 양호하고 고속 전송이 가능한 커넥터(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개량이 가능하다.
1 커넥터
10 하우징
20 제1 컨택트
30 제2 컨택트
40 액츄에이터(가압 수단)
50 FPC(연결 대상물)
106 맞물림 홀
110 삽입구
201 가동 접촉부
202 고정 접촉부
203 연결부
202a 제1 고정부
202c 제2 고정부

Claims (9)

  1. 기판에 실장되고, 평판 형상의 연결 대상물을 상기 기판에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삽입구로부터 상기 연결 대상물이 삽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연결 대상물의 한쪽 면 및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복수의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컨택트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 대상물의 한쪽 면에 접촉하는 가동 접촉부와,
    상기 연결 대상물과 상기 기판 사이의 신호 전송로에서 분기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고정 접촉부와,
    상기 가동 접촉부와 상기 고정 접촉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접촉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구 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는 맞물림 홀에 맞물리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고정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기판 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삽입구와는 반대쪽 단부에 걸려 고정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고정 접촉부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가동 접촉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수단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캠 홈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을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기판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의 반대쪽에 인접한 상기 가동 접촉부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홀을 구비하는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가압수단으로서, 상기 가동 접촉부의 상기 후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가동 접촉부를 회전시키는 캠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접촉부의 캠 홈은 상기 가동 접촉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캠부를 끼우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촉부의 캠 홈은 상기 고정 접촉부의 본체부 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촉부는,
    상기 기판 쪽으로 돌출하고, 하면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기판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와 상기 기판 접촉부는, 상기 제1 고정부,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기판 접촉부의 순서대로 상기 하우징의 삽입구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기판 접촉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 및 상기 기판 접촉부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 대상물의 다른쪽 면 및 상기 기판에 접촉하는 제2 컨택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택트는 신호선과 접지선이 서로 인접하도록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60050323A 2013-02-22 2016-04-25 커넥터 KR201600525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3612A JP2014164883A (ja) 2013-02-22 2013-02-22 コネクタ
JPJP-P-2013-033612 2013-02-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381A Division KR20140105383A (ko) 2013-02-22 2014-02-18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2503A true KR20160052503A (ko) 2016-05-12

Family

ID=513698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381A KR20140105383A (ko) 2013-02-22 2014-02-18 커넥터
KR1020160050323A KR20160052503A (ko) 2013-02-22 2016-04-25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381A KR20140105383A (ko) 2013-02-22 2014-02-1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99822B2 (ko)
JP (1) JP2014164883A (ko)
KR (2) KR20140105383A (ko)
CN (1) CN104009306A (ko)
DE (1) DE1020142031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86A (ko) 2017-12-01 2019-06-1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0341B2 (ja) * 2015-01-09 2017-03-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570387B2 (ja) * 2015-09-18 2019-09-0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43154B2 (ja) * 2016-03-10 2020-0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540674B2 (ja) * 2016-12-09 2019-07-10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2264610B1 (ko) * 2019-09-10 2021-06-1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282093B1 (ko) * 2019-09-10 2021-07-27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N114665306B (zh) * 2022-03-25 2024-02-20 鹤山市得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电子设备
JP2023144822A (ja) * 2022-03-28 2023-10-1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360A (ja) * 2000-12-20 2002-07-05 Smk Corp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04071160A (ja) * 2002-08-01 2004-03-04 D D K Ltd コネクタ
WO2005038992A1 (en) * 2003-10-16 2005-04-28 Molex Incorporated Flat circuit connector
JP4830785B2 (ja) * 2006-10-23 2011-12-0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123802A (ja) * 2006-11-10 2008-05-29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5029151B2 (ja) * 2007-06-06 2012-09-19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1429B2 (ja) * 2007-07-13 2012-06-1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6339B2 (ja) 2007-09-07 2012-06-2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7828570B2 (en) * 2007-11-20 2010-11-09 Ddk Ltd. Connector having improved pivoting member design
JP4192203B1 (ja) * 2007-12-26 2008-12-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9176427A (ja) * 2008-01-21 2009-08-06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5110298B2 (ja) * 2008-06-18 2012-12-2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5016127B1 (ja) * 2011-07-05 2012-09-0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45006B1 (ja) 2011-09-26 2012-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24685B2 (ja) * 2012-06-29 2013-10-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986A (ko) 2017-12-01 2019-06-1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03155A1 (de) 2014-09-11
KR20140105383A (ko) 2014-09-01
US9099822B2 (en) 2015-08-04
CN104009306A (zh) 2014-08-27
JP2014164883A (ja) 2014-09-08
US20140242846A1 (en)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2503A (ko) 커넥터
CN106921060B (zh) 刚性-柔性电路连接器
US7850488B2 (en)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with ground terminals between pair of transmission terminals on a common flat surface and a plurality of ground plates on another common flat surface
US20090269968A1 (en) Connector
US10763609B2 (en) Electrically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CN109644557B (zh) 电连接器
US9060454B2 (en) Printed board arrangement
US2013010924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O2005094249B1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or use with elevator load bearing members
US7413451B2 (en) Connector having self-adjusting surface-mount attachment structures
US9368892B2 (en) Connector and contact
KR20200008840A (ko) 리셉터클 커넥터
US776669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306321B2 (en) Electric connector
US8317523B2 (en) Plug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KR20120112201A (ko) 소켓
US7866989B1 (en) Electrical connector seated in printed circuit board
US8371864B2 (en) Grounding unit for high-frequency connector and high-frequency connector module having the same
US400362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data display
US672989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istortion-resistant cover
JP2019149230A (ja) 電気コネクタ
KR102571708B1 (ko)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JP2006196356A (ja) コネクタ
US20100029101A1 (en) Low-profile cable assembly and its complementary connector
KR101415905B1 (ko) 구조가 개선된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