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869A - 장약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장약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869A
KR20160049869A KR1020140147619A KR20140147619A KR20160049869A KR 20160049869 A KR20160049869 A KR 20160049869A KR 1020140147619 A KR1020140147619 A KR 1020140147619A KR 20140147619 A KR20140147619 A KR 20140147619A KR 20160049869 A KR20160049869 A KR 20160049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unit
loading
charges
accommod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079B1 (ko
Inventor
임진국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079B1/ko
Priority to US14/678,133 priority patent/US9383150B2/en
Publication of KR20160049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49Internally-powered drives, i.e. operated by propellant charge energy, e.g. couplings, clutches, energy 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4Magazines for unbelted ammunition
    • F41A9/76Magazines having an endless-chain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01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 F41A9/06Feeding of unbelted ammunition using cyclically moving conveyors, i.e. conveyors having ammunition pusher or carrier elements which are emptied or disengaged from the ammunition during the return stroke
    • F41A9/09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 F41A9/20Movable ammunition carriers or loading trays, e.g. for feeding from magazines sliding, e.g. reciproc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37Feeding two or more kinds of ammunition to the same gun; Feeding from two sides
    • F41A9/375Feeding propellant charges and projectiles as separat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약을 저장하는 수용부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수용부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수용부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회전하는 체인링크와, 상기 체인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수용부 중 어느 하나를 장약배출위치로 이송하는 체인구동부와, 상기 장약배출위치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장약을 배출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장약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장약배출위치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장약을 저장하고, 상기 장약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장약을 인출하는 인출부를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장약 공급 장치{Apparatus for feeding charg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장착형 자주포의 자동 사격을 지원하기 위하여 신속히 장약을 공급하는 장약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전에 있어서, 자주포는 필수적인 전투장비로 사용되며, 포탄을 적재한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진지를 이동하면서 목표물에 포탄을 발사한다. 이때, 포탄은 발사체의 후방에 장약이 결합된 것으로, 이러한 포탄은 포신 내에서 장약이 점화됨으로써 발생하는 폭발력에 의해 발사하게 된다. 따라서, 자주포의 자동 사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약 공급 또한 신속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장약을 적재하고 이송하는 과정이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력 소모가 불가피하고, 자주포에 장약을 공급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특히, 장약 적치대에 수직방향으로 적재되어 있는 장약을 이송함에 있어서 1회에 인출되지 않은 장약이 장약 적치대에 그대로 남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장약의 잔량을 인력에 의해 별도로 수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을 잔량 없이 신속하게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장약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예는, 장약을 저장하는 수용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수용부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수용부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회전하는 체인링크, 상기 체인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수용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장약배출위치로 이송하는 체인구동부, 상기 장약배출위치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장약을 배출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장약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장약배출위치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장약을 저장하고, 상기 장약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장약을 인출하는 인출부를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약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장약의 단면 형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양측 단부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장약은 서로 접촉하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인링크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인구동부는 상기 체인링크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체인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의 톱니 사이의 공간에 상기 수용부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체인링크와 상기 스프로킷이 서로 맞물리며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장약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장약부터 순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배출된 장약을 수직방향으로 적재하도록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가 상기 장약배출위치로 이송된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적재부의 일부가 만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는 복수 개의 상기 장약이 외부에 대하여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장약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장약을 복수 개 동시에 인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적재부에 지지된 상기 장약을 파지하는 그립퍼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약배출위치에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로드가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약의 개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약의 상기 개수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로드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장약의 개수를 검출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인출되는 인출 장약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적재부로 배출되는 목표 장약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장약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가 이동하면, 상기 목표 장약의 개수만큼 상기 장약이 배출되고, 배출된 상기 장약으로 상기 적재부 내부가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약배출위치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장약이 소진되면, 순차적으로 새로운 수용부가 상기 장약배출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을 잔량 없이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장약의 인출을 자동화함으로써 신속하게 장약을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장약을 수평방향으로 안전하게 보관함으로써, 장약의 폭발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를 X방향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비교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를 Y방향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에서 장약이 인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를 X방향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약 공급 장치(1000)는 장약(10)을 저장하는 수용부(100), 복수 개의 수용부(100)를 연결하는 체인링크(200), 체인링크(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체인구동부(210), 수용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약(10)을 이송하여 장약(10)을 배출시키는 이송부(300), 수용부(100)로부터 배출된 장약(10)을 저장하는 적재부(400), 적재부(400)의 개구부(410)로부터 장약(10)을 인출하는 인출부(500)를 포함한다.
한편, 도 3은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비교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1000)의 비교예(1000´)는 장약 적치대(400´) 및 장약 적치대(400´)로부터 장약을 인출하는 인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예(1000´)의 장약 적치대(400´)에는 6개의 장약이 칸막이(101´)에 의해 하나씩 분리되어 저장되는 수용부(100´)가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 세워져 있다. 이때, 장약(10´)을 발포 위치로 이송하는 경우, 3 ~ 6개의 장약(10´)이 상기의 수용부(100´)로부터 동시에 인출된다. 만일 1회에 일 수용부(100´)로부터 3개의 장약(10´)이 인출된 경우, 해당 수용부(100´)에는 인출되지 않은 3개의 장약(10´)이 남게 된다. 이후 6개의 장약(10´)이 인출되어야 한다면, 인출부(500´)는 전술한 장약(10´)의 잔량 3개를 인출하지 못하고, 다른 수용부(100´)로 이동하여 6개의 장약(10´)을 한꺼번에 인출하는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다 보면 각각의 수용부(100´)마다 장약(10´)의 잔량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잔량은 추후 인력에 의해 별도로 수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약 적치대(400´)에 남아 있는 장약(10´)을 별도로 처리하게 되면, 장약(10´)을 발포 위치로 이송하는 데에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이 투입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자주포 사격의 자동화 및 신속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의 비교예(1000´)와 대비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공급 장치(100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수용부(100)는 장약을 저장한다. 이때, 수용부(100)는 복수 개의 장약(10)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수용부(100)는 전술한 도 3의 수용부(100´)와 마찬가지로 6개의 장약(10)을 저장하도록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용부(1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장약(10)은 후술할 이송부(300)에 의하여 수용부(100)의 길이방향, 즉 X방향을 따라 이송된다. 수용부(100)의 단면 형상은 장약(10)의 운동을 안내하기 용이하도록 장약(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장약(10)의 단면 형상에 그대로 대응될 필요는 없고, 반원형 등과 같이 장약(10)의 단면 형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이면 족하다. 즉, 수용부(100)의 형상은 원통형 또는 부분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수용부(100) 내의 복수 개의 장약(10)이 서로 접촉하면서 수용부(100)의 길이방향, 즉 X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장약(10)이 수용부(100)에 일렬로 배치된다. 이때, 이웃하는 장약들 간의 접촉을 유도하기 위해서 수용부(100)는 도 3의 수용부(100´)와는 다르게 개개의 장약(10´)을 구분하는 칸막이(101´)를 구비하지 않는다.
한편, 수용부(100)의 양측 단부는 외부에 대하여 개방될 수 있다. 즉, 수용부(100)의 일측 단부는 후술할 이송부(300)의 로드(320)가 수용부(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부에 대하여 개방된다. 또한, 수용부(100)의 반대측 단부도 마찬가지로 후술할 장약배출위치(D)에서 장약(10)을 배출하기 위하여 외부에 대하여 개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용부(100)는 도 3의 수용부(100´)가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것과는 다르게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복수 개의 수용부(100)가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X방향에 대응하고, 수직방향은 Z방향에 대응한다.
체인링크(200)는 상기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용부(100)를 각각 연결한다. 수평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각각의 수용부(100)가 체인링크(20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수용부(100) 내의 복수 개의 장약(10) 또한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체인링크(200)를 매개로 하여 장약(10)의 배치 방식이 수직모드에서 수평모드로 전환된다.
도 3에서의 장약(1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장약(10´)이 낙하하여 폭발할 위험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장약(10)은 상대적으로 낙하의 위험이 적어 보다 더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체인링크(200)를 구성하는 링크 요소가 이웃하는 수용부들 사이에 개재됨에 따라 각각의 수용부(100)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장약 보관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더욱 더 높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체인링크(200)는 수용부(100)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X방향을 가로지르는 Y-Z평면 상에 체인링크(200)의 회전궤도가 형성된다. 체인링크(200)가 회전함에 따라 수용부(100)의 위치 또한 그 회전궤도를 따라 변경된다.
체인구동부(210)는 체인링크(20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의 하나로 체인-스프로킷 구동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체인구동부(210)는 체인링크(200)와 맞물림으로써 체인링크(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24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스프로킷(240)이 체인링크(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로킷(240)은 구동 모터(220)에 의해 구동된다. 구동 모터(220)는 벨트(230)를 매개로 하여 스프로킷(24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데, 이는 반드시 벨트(230)에 의한 전동 방식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스프로킷(240) 축에 유압식 모터 등을 직접 연결하는 전동 방식도 가능하다.
스프로킷(240)의 톱니 사이의 공간에는 수용부(100)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로킷(240)이 구동 모터(22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면, 체인링크(200) 또한 스프로킷(240)과 맞물려 회전하게 된다. 체인링크(200) 중 스프로킷(240)에 이격되어 있는 부분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종동 스프로킷 휠(241)이 배치되어 체인링크(200)와 맞물려 체인링크(20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게 된다. 여기서, 종동 스프로킷 휠(241) 대신에 피니언이나 원통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체인링크(200)가 회전함에 따라 수용부(100)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장약배출위치(D)로 이송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장약배출위치(D)는 수직방향, 즉 Z방향의 최상부에 위치하는데, 이 장약배출위치(D)에서 수용부(100)가 후술할 적재부(400)와 연결된다.
도 4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를 Y방향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부(300)는 장약배출위치(D)에 위치한 수용부(100)로부터 장약(10)을 배출한다. 장약(10)을 배출하기 위해서 이송부(300)는 가압 수단인 로드(320)를 구비한다.
로드(320)는 수용부(100)의 일측 단부에서 수용부(100) 내부로 삽입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드(320)가 수용부(1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100)의 일측 단부는 외부에 대하여 개방된다.
로드(320)는 수용부(100) 내에 저장된 장약(10)을 가압하면서 수용부(100)의 길이방향, 즉 X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로드(320)와 함께 장약(10) 또한 X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장약(1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수용부(100)의 단면 형상이 장약(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됨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로드(320)의 단면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 어떠한 형상도 무방하나, 장약(10)과 접촉하는 로드(320)의 단부는 평평한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320)가 수용부(100)의 일측 단부에서 장약(10)을 가압함에 따라 그 반대측 단부의 장약(10)이 수용부(100) 밖으로 배출된다. 즉, 이송부(300)는 로드(320)가 장약(10)과 접촉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하는 장약(10)부터 순차적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로드 이동거리(d) 및 배출되는 장약(10)의 개수는 후술할 제어부(600)에 의하여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장약배출위치(D)에 위치한 수용부(100)로부터 배출된 장약(10)은 적재부(400)에 저장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적재부(400)는 수용부(100)로부터 배출된 장약(10)을 수직방향, 즉 Z방향으로 적재하도록 Z방향으로 연장된다.
적재부(400)가 장약배출위치(D)로 이송된 수용부(100)에 연결되도록 적재부(400)의 일부는 만곡될 수 있다. 즉, 적재부(400)는 후술할 인출부(500)가 장약(10)을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수용부(10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장약(10)을 수직방향으로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적재부(400)는 장약(10)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410)를 구비한다. 개구부(410)는 복수 개의 장약(10)이 외부에 대하여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다. 여기서, 외부에 대하여 노출되는 장약(10)의 개수는 적어도 후술할 그립퍼(510) 개수와 같을 수 있다.
적재부(400)는 개구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장약(10)을 지지한다. 따라서 노출된 장약(10) 중 일부가 인출부(500)에 의해 인출될 때 개구부(410)로부터 인출되지 않은 장약(10)의 잔량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인출부(500)는 적재부(400)의 개구부(410)로부터 장약(10)을 인출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인출부(500)는 적재부(400)의 개구부(410)로부터 장약(10)을 복수 개 동시에 인출할 수 있다.
인출부(500)는 적재부(400)에 지지된 장약을 파지하는 그립퍼(510)를 구비한다. 그립퍼(510)는 적재부(400)의 개구부(410)로부터 3 ~ 6개의 장약을 독립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약 공급 장치(1000)는 장약배출위치(D)에서 수용부(100)의 길이방향, 즉 X방향으로 로드(320)가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제어 신호부(610) 및 로드구동부(310)를 구비한다.
제어 신호부(610)는 장약(10)의 개수 정보를 수신하고 이러한 장약(10)의 개수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로드구동부(310)는 상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로드(320)를 이동시킨다. 로드구동부(310)는 장약배출위치(D)에서 로드(320)를 수용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로드구동부(310)는 로드(320)의 직선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리니어 모터나 리드스크류를 구비한 회전 모터 등에 의해 로드를 직선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제어 구성도에 따르면, 장약 공급 장치(1000)는 적재부(400)의 개구부(410)로부터 인출되는 장약(10)의 개수를 검출하는 감지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600)가 로드 이동거리(d)를 조절함으로써 적재부(400)로 배출되는 장약(10) 개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장약 공급 장치에서 장약이 인출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a 내지 도 6c을 참조하면, 제어 신호부(610)는 감지부(700)로부터 검출된 인출 장약의 개수를 기초로 적재부(400)로 배출되는 목표 장약(20)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장약(20)의 개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단순한 예로, 상기의 인출 장약의 개수와 목표 장약(20)의 개수는 같을 수 있다. .
제어 신호부(610)는 상기의 제어 신호를 로드구동부(310)에 제공함으로써 로드(320)에 인가되는 구동력을 조절한다. 일례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로드(320)를 구동하는 모터의 전류값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절된 구동력에 의해 로드(320)가 수용부(100)의 길이방향, 즉 X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용부(100)로부터 목표 장약(20)의 개수만큼 장약(10)이 배출되고, 이 배출된 장약(10)이 적재부(400) 내부를 채우게 된다.
이때, 장약배출위치(D)에 위치한 수용부(100) 내의 장약(10)이 소진되면, 순차적으로 새로운 수용부(100)가 장약배출위치(D)로 이송된다. 이로써 로드(320)는 새로운 수용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목표 장약(20)의 개수를 만족시킬 때까지 장약(10)을 배출하기 위해 이동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을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를 토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용부(100)에 저장된 장약의 개수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6개로 가정한다.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약배출위치(D)에 위치한 수용부(100)로부터 배출된 6개의 장약(10)이 적재부(400)의 개구부(410)의 전장을 채우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후 도 6b에서와 같이, 4개의 장약(10)이 인출된 경우, 2개의 잔량이 발생하게 되고, 위 2개의 잔량은 개구부(410)의 맨 아래쪽으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 외에 도 4에서와 같이 인출부(500)의 상부 그립퍼(510)가 개구부(410)의 맨 위쪽에 있는 장약(10)부터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의 2개의 잔량은 아무런 이동 없이 개구부(410) 맨 아래쪽에 그대로 남게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인출된 4개의 장약(10)과 동일한 개수만큼의 목표 장약(20)이 개구부(410)의 맨 위쪽으로부터 적재된다. 이로써 개구부(410)가 형성된 적재부(400)의 공간은 항상 장약(10)으로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이후에 3 ~ 6개 중 어떠한 개수의 장약(10)을 인출하게 되더라도, 도 3의 비교예(1000´)에서와 같이 장약(10)의 잔량이 방치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나아가 장약(10)의 잔량을 인력에 의해 별도로 수거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게 되어 자주포로의 장약(10) 공급에 있어서 전반적인 자동화를 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장약을 잔량 없이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장약의 인출을 자동화함으로써 신속하게 장약을 발포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장약을 수평방향으로 안전하게 보관함으로써, 장약의 폭발 위험을 저감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0: 장약 공급 장치 1000´: 비교예
10: 장약 20: 목표 장약
100: 수용부 200: 체인링크
210: 체인구동부 300: 이송부
400: 적재부 500: 인출부
600: 제어부

Claims (20)

  1. 장약을 저장하는 수용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상기 수용부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수용부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회전하는 체인링크;
    상기 체인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수용부 중에서 어느 하나를 장약배출위치로 이송하는 체인구동부;
    상기 장약배출위치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장약을 배출하도록 상기 수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장약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장약배출위치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로부터 배출된 상기 장약을 저장하고, 상기 장약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적재부; 및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장약을 인출하는 인출부;를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장약의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장약의 단면 형상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양측 단부가 외부에 대하여 개방된 장약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장약은 서로 접촉하면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수용부에 일렬로 배치된 장약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링크는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장약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구동부는 상기 체인링크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체인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프로킷을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의 톱니 사이의 공간에 상기 수용부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체인링크와 상기 스프로킷이 서로 맞물리며 회전하는 장약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장약을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로드를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위치하는 상기 장약부터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는 장약 공급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수용부로부터 배출된 장약을 수직방향으로 적재하도록 상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장약 공급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가 상기 장약배출위치로 이송된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적재부의 일부가 만곡된 장약 공급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는 복수 개의 상기 장약이 외부에 대하여 노출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 장약 공급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장약을 지지하는 장약 공급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장약을 복수 개 동시에 인출하는 장약 공급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적재부에 지지된 상기 장약을 파지하는 그립퍼를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약배출위치에서 상기 수용부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기 로드가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약의 개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약의 상기 개수 정보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신호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를 이동시키는 로드구동부;를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장약의 개수를 검출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는 장약 공급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부는 상기 적재부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인출되는 인출 장약의 개수를 기초로 상기 적재부로 배출되는 목표 장약의 개수를 산출하고, 상기 목표 장약의 개수에 따라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장약 공급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가 이동하면, 상기 목표 장약의 개수만큼 상기 장약이 배출되고, 배출된 상기 장약으로 상기 적재부 내부가 채워지는 장약 공급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약배출위치에 위치한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장약이 소진되면, 순차적으로 새로운 수용부가 상기 장약배출위치로 이송되는 장약 공급 장치.
KR1020140147619A 2014-10-28 2014-10-28 장약 공급 장치 KR101974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619A KR101974079B1 (ko) 2014-10-28 2014-10-28 장약 공급 장치
US14/678,133 US9383150B2 (en) 2014-10-28 2015-04-03 Charge fee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619A KR101974079B1 (ko) 2014-10-28 2014-10-28 장약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869A true KR20160049869A (ko) 2016-05-10
KR101974079B1 KR101974079B1 (ko) 2019-04-30

Family

ID=5579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619A KR101974079B1 (ko) 2014-10-28 2014-10-28 장약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83150B2 (ko)
KR (1) KR1019740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258B1 (ko) * 2018-12-10 2020-05-11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탄약 보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6708A (en) * 1986-01-24 1987-06-30 Fleetwood Systems, Inc. Stack developing and vertical elevating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JPH07174489A (ja) * 1990-12-23 1995-07-14 General Electric Co <Ge> 野戦砲用発射薬弾倉
US6048159A (en) * 1997-05-29 2000-04-11 Giat Industries Automatic pick-up system for propellant charge modules stored in a magazi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7209A (en) * 1980-08-27 1984-07-03 Fmc Corporation Automated large caliber ammunition handling system
DE3931059A1 (de) * 1989-09-18 1991-03-28 Rheinmetall Gmbh Treibladungs-portionierer fuer eine mengenvariabel beladbare ladeschale
ATE101260T1 (de) 1990-04-04 1994-02-15 Kuka Wehrtechnik Gmbh Vorrichtung zum laden von rohrwaffen, insbesondere von panzerhaubitzen.
US5170006A (en) * 1990-12-24 1992-12-08 General Electric Co. Propellant magazine for field artillery piece
FR2702551B1 (fr) * 1993-03-12 1995-05-12 Giat Ind Sa Système de stockage et d'alimentation de charges propulsives destinées à être introduites dans la chambre du canon d'une arme de moyen ou de gros calibre d'un véhicule blindé.
SE503841C2 (sv) * 1994-09-07 1996-09-16 Bofors Ab Laddsystem
SE503489C2 (sv) * 1994-10-13 1996-06-24 Bofors Ab Ansättningssystem
FR2743411B1 (fr) * 1996-01-05 1998-02-27 Giat Ind Sa Dispositif de transfert de modules constituant des charges propulsives, entre un magasin de stockage et un systeme de chargement de ces modules dans la chambre d'un canon d'artillerie
US5773747A (en) 1996-05-07 1998-06-30 United Defense, Lp Two-piece ammunition flick ram
US6065385A (en) * 1998-01-14 2000-05-23 General Dynamics Armament Systems, Inc. Bucket carrier for molded solid propellant storage magazine
FR2778235B1 (fr) * 1998-04-30 2000-06-02 Giat Ind Sa Dispositif d'alimentation d'un canon d'artillerie en elements de munition
US6481328B1 (en) * 2000-01-05 2002-11-19 Bofors Defense Ab Method and device for handling propellant charges
DE10258263B4 (de) 2002-12-13 2006-01-19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Schießmodul
DE102004025742A1 (de) * 2004-05-26 2005-12-22 Krauss-Maffei Wegmann Gmbh & Co. Kg Einrichtung zur Zuführung von Treibladungen zu einer schweren Waffe
SE534616C2 (sv) 2009-10-21 2011-10-25 Bae Systems Bofors Ab Automatiserat laddningsmagas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6708A (en) * 1986-01-24 1987-06-30 Fleetwood Systems, Inc. Stack developing and vertical elevating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JPH07174489A (ja) * 1990-12-23 1995-07-14 General Electric Co <Ge> 野戦砲用発射薬弾倉
US6048159A (en) * 1997-05-29 2000-04-11 Giat Industries Automatic pick-up system for propellant charge modules stored in a magaz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258B1 (ko) * 2018-12-10 2020-05-11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탄약 보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83150B2 (en) 2016-07-05
KR101974079B1 (ko) 2019-04-30
US20160116238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456936U (zh) 自动货物存储系统的货物转移装置以及货物存储系统
US7565963B2 (en) Device allowing for the individual distribution of small stick-shaped objects
CA2567774C (en) Device for feeding propellant charges to a heavy weapon
KR20160071234A (ko) 장약 공급 장치
US5111730A (en) Apportioning apparatus for loading a loading tray with a variable number of propelling charge modules
US5458044A (en) System for storing and feeding propellant charges
KR101974079B1 (ko) 장약 공급 장치
SA517381336B1 (ar) نظام تخزين ذخيرة
CN105899328A (zh) 棒材送料机
MY160055A (en) Automatic charge magazine
KR102332658B1 (ko) 오더에 따른 약제 팩의 군을 각각의 운반용기에 충진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한 오더-선별 기계
US20230074465A1 (en) Retaining apparatus for ammunition bodies
US4966064A (en) Armoured car
GB2200731A (en) Ammunition loading system
US8448775B2 (en) Rotatory slug loader
KR102630302B1 (ko) 회전 플레이트를 구비한 중형 구경 탄약을 공급하기 위한 디바이스
US5263805A (en) System for supplying rod-shap items, such as cigarettes, to a production machine
EP3120156B1 (en) Apparatus for moving and testing biological samples
US93341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vehicle balancing weights
US4281583A (en) Ammunition supply system
JPH09323833A (ja) テーパ状物品の供給装着装置
NO890645L (no) Uleddet matesystem for ammunisjon.
US11976897B2 (en) Projectile lift
US20230065927A1 (en) Magazine
KR101760380B1 (ko)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