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380B1 -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380B1
KR101760380B1 KR1020150044752A KR20150044752A KR101760380B1 KR 101760380 B1 KR101760380 B1 KR 101760380B1 KR 1020150044752 A KR1020150044752 A KR 1020150044752A KR 20150044752 A KR20150044752 A KR 20150044752A KR 101760380 B1 KR101760380 B1 KR 10176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oller
frame
bullet
conveyanc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7733A (ko
Inventor
정태진
박건태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044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3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3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 B65G15/42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 B65G15/44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made of rubber or plastics having ribs, ridges, or other surface projections for impell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하는 실탄의 낙하충격을 완화하면서 실탄을 수용하여 실탄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실탄수납슬라이드에 실탄을 보관하여 수량파악 및 실탄보급장치에 재보급하기 용이하고, 실탄보급장치의 동력을 이용해 실탄수납장치로 실탄을 이송할 수 있어 별도로 동력원을 구비할 필요없이 작업자의 노동을 덜을 수 있는 실탄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는 실탄보급장치에서 낙하배출되는 실탄을 수납하는 실탄수납대에 있어서, 구조체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브래킷에 삽입되는 기어축부;와 기어축부의 단부로 삽입되며, 실탄보급장치의 모터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맞물려 체인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기어부;와 기어부와 연결되어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롤러부;와 롤러부의 외면에 권취되며, 표면상에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분리벽이 형성되어 분리벽의 이격공간으로 실탄보급장치에서 낙하되는 실탄을 수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부;와 이송벨트부의 단부의 하측에서 이송벨트부가 이송한 실탄을 낙하시키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에서 낙하하는 실탄을 수납하는 실탄수납부; 및 내측면에 실탄을 끼우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실탄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An Ammunition Storage Apparatus having Conveyor Belt for Transferring Ammunition}
본 발명은 실탄보급장치에서 배출되는 실탄을 이송하여 수납하는 실탄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실탄을 대상무기에 보급 또는 배출하는 실탄보급장치에서 낙하배출되는 실탄을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해 실탄슬라이드로 이송하고, 실탄을 실탄슬라이드에 끼워 수납하도록 하는 실탄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투기나 장갑차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총포에는 실탄을 공급하기 위한 실탄보급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실탄보급장치는 실탄을 무기류에 보급하거나 보급된 실탄을 검사할 목적으로 실탄을 회수하기 위하여 모터 등의 동력원을 이용해 실탄의 보급 또는 배출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종래에는 보급된 실탄이 실탄보급장치에 의해 배출되는 경우에, 실탄보급장치의 배출구에서 낙하하는 실탄을 수납하기 위해 배출구의 하단에 실탄수납통을 배치하여 실탄을 수납하고, 추후에 다시 실탄보급장치에 재보급하였다.
그러나, 실탄보급장치에서 낙하하는 실탄이 실탄수납통에 수납되는 과정에서 낙하충격에 의해 실탄이 파손되어 재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배출된 실탄을 수납한 실탄수납통을 직접 작업자가 옮겨 계수검사 및 품질검사를 수행하고, 검사를 마친 후 다시 실탄수납통을 옮겨 실탄보급장치에 재보급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노동력 낭비와 작업의 불편함으로 인해 작업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탄보급장치로부터 낙하하는 실탄을 상면이 충격완화재질로 형성된 컨베이어벨트로 수용하고, 컨베이어벨트로 실탄을 이송하여 실탄수납슬라이드에 보관하도록 하는 실탄수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탄수납장치는, 실탄보급장치에서 낙하배출되는 실탄을 수납하는 실탄수납대에 있어서, 구조체를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브래킷에 삽입되는 기어축부;와 기어축부의 단부로 삽입되며, 실탄보급장치의 모터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맞물려 체인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기어부;와 기어부와 연결되어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며,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롤러부;와 롤러부의 외면에 권취되며, 표면상에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분리벽이 형성되어 분리벽의 이격공간으로 실탄보급장치에서 낙하되는 실탄을 수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부;와 이송벨트부의 단부의 하측에서 이송벨트부가 이송한 실탄을 낙하시키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되는 경사부;와 경사부에서 낙하하는 실탄을 수납하는 실탄수납부; 및 내측면에 실탄을 끼우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실탄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롤러부는 기어부와 롤러축이 연결되며, 이송벨트부를 외면에 권취하여 기어부의 회전동력으로 이송벨트부를 움직이는 제1롤러;와 제1롤러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이송벨트부를 외면에 권취하여 이송벨트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롤러; 및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이격공간에서 이송벨트부를 지지하여 이송벨트부의 움직임을 보조하도록 구비된 보조롤러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기어부는 체인과 맞물려 체인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제1롤러의 롤러축과 연결되며, 제1기어와 직교하도록 맞물려 제1기어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제2기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기어는 기어축부의 양 단부로 삽입되어 체인에서 제2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탄수납장치는 또한, 프레임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제2롤러의 롤러축을 지지하는 동작프레임; 및 고정프레임과 동작프레임의 이격공간에서 고정프레임과 동작프레임에 연결되며, 동작프레임을 고정프레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동작프레임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경사부는 프레임부와 연결되며, 실탄을 낙하시키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되는 제1경사판; 및 실탄수납부에 연결되며, 상면으로 제1경사판에서 낙하하는 실탄을 수용하여 실탄수납부로 낙하하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되는 제2경사판으로 구성되되,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이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탄수납부의 상면에 실탄슬라이드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프레임부의 일측을 상승시켜 이송벨트부가 실탄을 이송하는 방향으로 프레임부가 하향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 실탄수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구조체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송벨트부 및 경사부의 상면재질은 고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송벨트부의 양 측면에서 상호 이격형성되어 실탄이 이송벨트부의 움직임에 따라 이송벨트부의 양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하는 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낙하하는 실탄의 낙하충격을 완화하면서 실탄을 수용하여 실탄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며, 실탄수납슬라이드에 실탄을 보관하여 수량파악 및 실탄보급장치에 재보급하기 용이하다. 또한, 실탄보급장치의 동력을 이용해 실탄수납장치로 실탄을 이송할 수 있어 별도로 동력원을 구비할 필요없이 작업자의 노동을 덜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탄수납장치의 일부 구성품을 제외하고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의 다른 부분을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성품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슬라이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탄수납장치의 일부 구성품을 제외하고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실탄보급장치(10)는 대상무기에 실탄(30)을 공급하거나 필요시 공급된 실탄(30)을 회수하기 위해 동력을 제공하여 실탄(30)을 보급하거나 배출하는 장치이다. 실탄보급장치(10)의 모터에는 체인(20)이 연결되어, 실탄보급장치(10)의 동력을 다른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실탄수납장치의 구조체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프레임부(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은 단면이 사각형인 파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브래킷(150)은 프레임부(100)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되어, 기어축부(210)를 삽입하며, 삽입된 기어축부(210)를 지지한다. 브래킷(150)은 프레임부(100)의 일면에서 한 쌍으로 돌출형성되어 기어축부(2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래킷(150)은 프레임부(100)의 일면과 볼트-너트결합으로 결합되며, 돌출형성된 돌출부로 기어축부(210)를 삽입하여 기어축부(21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어부는 체인(20)과 맞물려 실탄보급장치(10)의 모터구동력을 전달받는 구성이며, 기어축부(210)의 단부로 삽입된다. 기어부는 제1기어(201) 및 제2기어(203)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기어(201)는 기어축부(210)로 삽입되며, 체인(20)과 맞물려 체인(2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한다. 제1기어(201)는 기어축부(210)의 양 단부로 한 쌍의 베벨기어가 삽입되어, 체인(20)의 동작으로 기어축부(210)를 회전시키는 일측 기어와, 후술할 제2기어(203)와 맞물려 기어축부(210)의 회전력을 제2기어(203)에 전달하는 타측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탄보급장치(10)의 모터구동력에 의해 체인(20)이 동작하며, 체인(20)과 맞물린 제1기어(201)의 일측 기어는 브래킷(150)에 삽입된 기어축부(210)를 회전시킨다. 기어축부(210)의 회전으로 인해 기어축부(210)로 삽입된 타측 기어가 회전하여, 타측 기어와 맞물린 제2기어(203)가 회전하게 된다.
제2기어(203)는 제1기어(201)의 타측 기어와 직교하도록 맞물려, 제1기어(201)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후술할 제1롤러(301)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제2기어(203)는 제1롤러(301)의 롤러축(307)을 제2기어(203)의 중심부에 삽입하여 제1롤러(301)에 제1기어(201)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롤러부는 제1롤러(301), 제2롤러(303) 및 보조롤러(305)로 구성되며, 기어부와 연결되어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동작하는 구성이다. 롤러축(307)은 제1롤러(301), 제2롤러(303)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1롤러(301)와 제2롤러(303)로 삽입되는 축을 모두 롤러축(307)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제1롤러(301)는 제2기어(203)의 중심부로 제1롤러(301)의 롤러축(307)이 삽입되어 제2기어(203)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며, 외면에 후술할 이송벨트부(400)를 권취하여 제2기어(203)의 회전으로 이송벨트부(400)를 움직이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2롤러(303)는 제1롤러(301)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이송벨트부(400)를 외면에 권취하여, 제1롤러(301)로 인해 동작하는 이송벨트부(400)의 움직임에 의해 회전한다. 제2롤러(303)의 롤러축(307)은 후술할 동작프레임(103)에 의해 지지된다.
제1롤러(301)의 롤러축(307)은 일단부가 제2기어(203)의 중심부로 삽입되며, 타단부가 프레임부(100)와 연결되어 제1롤러(301)가 프레임부(100)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조롤러(305)는 제1롤러(301)와 제2롤러(303)의 이격공간에서 이송벨트부(400)를 지지하여, 이송벨트부(400)가 제1롤러(301)와 제2롤러(303)의 이격공간에서 하측으로 쳐지지 않고 움직이도록 보조하는 구성이다.
이송벨트부(400)는 제1롤러(301)와 제2롤러(303)에 권취되어 상면으로 실탄(30)을 제1롤러(301)로부터 제2롤러(303)까지 이송하는 구성이다. 이송벨트부(400)의 표면에는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분리벽(401)이 형성된다. 이송벨트부(400)의 표면에 이격형성되는 분리벽(401)으로 인해 이송벨트부(400)는 표면공간을 구획하여 실탄(30)을 수납할 수 있어, 이송과정에 따른 실탄(30)의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송벨트부(400)의 상면은 낙하하는 실탄(30)의 낙하충격을 방지하고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송벨트부(400)는 제1롤러(301)와 제2롤러(303)의 이격공간이 확장되더라도, 보조롤러(305)가 이격공간에서 이송벨트부(400)를 지지하여 이송벨트부(400)가 제1롤러(301)와 제2롤러(303)의 사이에서 쳐지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판(140)은 이송벨트부(400)의 양 측면에서 이격형성되어, 실탄(30)이 이송벨트부(400)의 양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이탈방지판(140)이 구비되면 실탄(30)의 이탈로 인한 실탄(30)의 파손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고정프레임(101)은 프레임부(100)의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고정프레임(101)은 프레임부(100)에서 연장된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프레임부(100)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동작프레임(103)은 고정프레임(101)으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제2롤러(303)의 롤러축(307)을 지지한다. 동작프레임(103)은 프레임부(100)의 일부분으로 슬라이드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동작프레임(103)이 제2롤러(303)의 롤러축(307)을 지지하고 있어, 동작프레임(103)의 움직임에 따라 제2롤러(303)가 이동할 수 있다.
장력조절기(110)는 고정프레임(101)과 동작프레임(103)의 이격공간에 구비되어 고정프레임(101)과 동작프레임(103)을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장력조절기(110)는 장력조절기(1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체를 동작하여 장력조절기(110)가 수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길이조절체는 사용자가 외력을 제공하여 회전시키면 장력조절기(110)가 수축 또는 신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장력조절기(110)는 수축으로 인해 고정프레임(101)과 동작프레임(103)에 수축에 따른 장력의 형태로 외력을 제공하나, 고정프레임(101)은 프레임부(100)에서 연장하여 고정되므로 이동하지 않고, 동작프레임(103)만이 고정프레임(10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장력조절기(110)가 동작프레임(103)에 외력을 제공하여 동작프레임(103)을 고정프레임(101)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동작프레임(103)에 의해 지지되는 제2롤러(303)가 고정프레임(101)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롤러(301) 및 제2롤러(303)의 외면에 권취된 이송벨트부(400)를 타이트(Tight)하게 당길 수 있다. 따라서, 이송벨트부(400)가 사용에 따라 느슨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프레임스탠드(120)는 프레임부(100)의 일측을 상승시켜 이송벨트부(400)가 실탄(30)을 이송하는 방향으로 프레임부(100)를 하향경사지도록 프레임부(100)의 단부에 구비된다. 프레임스탠드(120)는 실탄보급장치(10)의 모터과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20)과 기어부를 연결하기 위해, 프레임부(100)의 일측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동바퀴(130)는 프레임부(100) 및 후술할 실탄수납부(600)의 하측에 형성되어, 구조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프레임부(100)와 실탄수납부(600)는 이동바퀴(130)에 의해 실탄보급장치(10)의 주변부로 이동하여 실탄(30)의 배출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경사부(500)는 이송벨트부(400)에 의해 이송되어 이송벨트부(400)의 단부에서 수직낙하하는 실탄(30)을 상면으로 수용한다. 경사부(500)는 프레임부(100)의 단부와 연결되며, 수직낙하하는 실탄(30)을 상면으로 수용하고, 수용한 실탄(30)의 각도를 변경하여 후술할 실탄수납부(600)로 낙하시키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된다.
경사부(500)는 프레임부(100)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1경사판과 실탄수납부(600)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경사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에는 두 부재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이 분리되면, 제1경사판은 프레임부(100)와 연결되어 프레임부(100)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제2경사판은 실탄수납부(600)와 연결되어 실탄수납부(60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결합부는 핀결합 또는 형상결합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두 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500)의 상면은 낙하하는 실탄(30)의 낙하충격을 방지하고자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고무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수납장치의 다른 부분을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구성품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탄슬라이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실탄수납부(600)는 경사부(500)에서 낙하하는 실탄(30)을 내측공간에 수납하는 구성이다. 실탄수납부(600)는 실탄(3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실탄슬라이드(601)는 실탄(30)을 끼우는 삽입홈(603)을 구비하여 실탄(30)을 끼워 보관하는 구성으로, 실탄수납부(6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실탄슬라이드(601)의 삽입홈(603)은 실탄(30)의 외면에 형성된 홈에 끼움결합하여 실탄(30)을 보관할 수 있도록 실탄슬라이드(601)의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탄슬라이드(601)의 삽입홈(603)에는 수량눈금이 표기되어, 실탄슬라이드(601)에 삽입된 실탄(30)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실탄슬라이드(601)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되어, 낙하배출되는 다량의 실탄(30)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실탄슬라이드(601)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에, 실탄수납부(600)의 일부분이 연장형성되어, 연장된 상면이 복수 개의 실탄슬라이드(601)를 받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실탄보급장치 20 : 체인
30 : 실탄 100 : 프레임부
101 : 고정프레임 103 : 동작프레임
110 : 장력조절기 120 : 프레임스탠드
130 : 이동바퀴 140 : 이탈방지판
150 : 브래킷 201 : 제1기어
203 : 제2기어 210 : 기어축부
301 : 제1롤러 303 : 제2롤러
305 : 보조롤러 307 : 롤러축
400 : 이송벨트부 401 : 분리벽
500 : 경사부 600 : 실탄수납부
601 : 실탄슬라이드 603 : 삽입홈

Claims (11)

  1. 실탄보급장치에서 낙하배출되는 실탄을 수납하는 실탄수납대에 있어서,
    구조체를 지지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일면에서 돌출형성된 브래킷에 삽입되는 기어축부;
    상기 기어축부의 단부로 삽입되며, 상기 실탄보급장치의 모터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과 맞물려 상기 체인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기어부;
    표면상에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복수 개의 분리벽이 형성되어 상기 분리벽의 이격공간 사이에 상기 실탄보급장치에서 낙하되는 실탄을 수납하여 이송하는 이송벨트부;
    상기 기어부와 롤러축이 연결되며, 상기 이송벨트부를 외면에 권취하여 상기 기어부의 회전동력으로 상기 이송벨트부를 움직이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상기 이송벨트부를 외면에 권취하여 상기 이송벨트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의 이격공간에서 상기 이송벨트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송벨트부의 움직임을 보조하도록 구비된 보조롤러;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으로부터 이격형성되며, 상기 제2롤러의 롤러축을 지지하는 동작프레임;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길이를 수축 또는 신장시키는 길이조절체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상기 동작프레임의 이격공간에서 길이를 갖는 바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동작프레임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조절기;
    상기 이송벨트부의 단부의 하측에서 상기 이송벨트부가 이송한 상기 실탄을 낙하시키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서 낙하하는 상기 실탄을 수납하는 실탄수납부; 및
    상기 실탄수납부의 상면에 마련되며 내측면에 상기 실탄을 끼우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실탄슬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체인과 맞물려 상기 체인의 동작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롤러의 롤러축과 연결되며, 상기 제1기어와 직교하도록 맞물려 상기 제1기어의 회전에 따라 동작하는 제2기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기어축부의 양 단부로 삽입되어 상기 체인에서 상기 제2기어로 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베벨기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프레임부와 연결되며, 상기 실탄을 낙하시키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되는 제1경사판; 및
    상기 실탄수납부에 연결되며, 상면으로 상기 제1경사판에서 낙하하는 상기 실탄을 수용하여 상기 실탄수납부로 낙하하도록 하향경사로 구비되는 제2경사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경사판과 상기 제2경사판이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7.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탄수납부의 상면에 상기 실탄슬라이드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을 상승시켜 상기 이송벨트부가 상기 실탄을 이송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부가 하향경사지도록 구비되는 프레임스탠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 상기 실탄수납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구조체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면재질은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부의 양 측면에서 상호 이격형성되어 상기 실탄이 상기 이송벨트부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부의 양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하는 이탈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탄수납장치.
KR1020150044752A 2015-03-31 2015-03-31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 KR10176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52A KR101760380B1 (ko) 2015-03-31 2015-03-31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52A KR101760380B1 (ko) 2015-03-31 2015-03-31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33A KR20160117733A (ko) 2016-10-11
KR101760380B1 true KR101760380B1 (ko) 2017-07-25

Family

ID=5716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752A KR101760380B1 (ko) 2015-03-31 2015-03-31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3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590B1 (ko) 2017-12-08 2018-03-12 (주)테스 실탄 수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590B1 (ko) 2017-12-08 2018-03-12 (주)테스 실탄 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7733A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8917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загрузки ракет в самоходную пусковую установку
CN103787013A (zh) 片材自动上下料匣
KR101760380B1 (ko) 실탄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를 구비한 실탄수납장치
CN104743367A (zh) 一种货物装卸机
CN108792026B (zh) 一种电池壳排列装箱机
RU2730650C2 (ru) Разгрузочно-за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морозильных камер и мороз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разгрузочно-загруз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горизонтальных морозильных камер
KR101276267B1 (ko) 트레이 순환장치
CN109484835A (zh) 卸料机构
US4662264A (en) Assembly for feeding ammunition in armored vehicle
CN112758330A (zh) 一种高派件的无人机物流货物悬挂装置
KR101837590B1 (ko) 실탄 수납장치
CN108603736A (zh) 带有转盘的中口径弹药供应装置
KR100651795B1 (ko) 포탄 운반 차량
CN109823750A (zh) 用于龙骨自动上料的装置及相应的方法
CN212221551U (zh) 一种管装料自动上料设备
CN109399192A (zh) 素子分极自动上下料结构
CN207631934U (zh) 一种瓶盖送料装置
US4281583A (en) Ammunition supply system
CN108391218A (zh) 一种扬声器振膜旋转式点胶质量智能检测设备
KR20190032362A (ko) 기관포에서 1차 매거진과 2차 매거진 사이에서의 가역적인 탄약 이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2897074A (zh) 一种运输蛋的装置
JPH07174489A (ja) 野戦砲用発射薬弾倉
CN109399131A (zh) 一种物料自动运输机构
CN109998322A (zh) 一种试管载条立体储存输送装置
KR101974079B1 (ko) 장약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