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678A -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678A
KR20160048678A KR1020150147683A KR20150147683A KR20160048678A KR 20160048678 A KR20160048678 A KR 20160048678A KR 1020150147683 A KR1020150147683 A KR 1020150147683A KR 20150147683 A KR20150147683 A KR 20150147683A KR 20160048678 A KR20160048678 A KR 20160048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flow path
air mass
mas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랄드 릭터
마크 그라프
줄리아 로브
토니 스피스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57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being heated and cooled simultaneously, e.g. using parallel heat excha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detection of humidity or fro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2Cooling devices using evaporation, i.e. not including a compressor, e.g. involving fuel or water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60H2001/00178Temperature regulation comprising an air passage from the HVAC box to the exterior of the ca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객실(9)의 공기를 조화하기 위한 공조 시스템(1', 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조 시스템(1', 1")은 객실(9)에 공급될 공기 냉각을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가열하기 위한 열 펌프 모드로의 작동 및 재열 모드로의 작동을 위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객실(9)로 통하는 토출구(33, 34, 35)들을 갖는 공기 분배 시스템(32', 32") 내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유동 채널(3)과 제 2 유동 채널(4)을 구비한 하우징(2)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열교환기를 구비한 냉매 순환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작동 모드에 상관없이 증발기(7)로 작동하는 제 1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유동 채널(3) 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작동 모드에 상관없이 응축기/가스 냉각기(8)로 작동하는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유동 채널(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조 시스템(1', 1")은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9)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동 경로(30, 36)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유동 경로(30, 36)는 상기 열교환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에서 토출구(34, 35)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상기 열교환기에서 조화된 후 곧바로 상기 토출구(34, 35)로 안내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공조 시스템의 작동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AIR-CONDITIONING SYSTEM FOR CONDITIONING THE AIR OF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객실의 공기를 조화하기 위한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조 시스템은 객실에 공급될 공기 냉각을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가열을 위한 열 펌프 모드로의 작동 그리고 재열 모드로의 작동을 위해 형성되어 있고, 객실로 통하는 토출구들을 갖는 공기 분배 시스템 내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유동 채널과 제 2 유동 채널을 구비한 하우징 및 적어도 2개의 열교환기를 구비한 냉매 순환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작동 모드에 상관없이 증발기로 작동하는 제 1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유동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작동 모드에 상관없이 응축기로 작동하는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유동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공조 시스템의 작동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선행 기술에는 객실에 공급되고 조화될 공기의 가열, 냉각 그리고 제습을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열 펌프 모드 겸용 작동을 위한 자동차의 공조 시스템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컨들은 냉매 순환계측 또는 공기측이 제어된다.
열 펌프 기능을 갖춘 종래의 소형 공기측 제어 공조 시스템들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가스 냉각기 및 팽창 부재를 갖는 구조상 단순한 냉매 순환계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증발기는 냉각 장치 모드와 열 펌프 모드 모두에서 증발기로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응축기 또한 냉각 장치 모드와 열 펌프 모드 모두에서 응축기로 작동된다. 이와 관련하여 열 흐름들 제어는 전적으로 공기측 유량 조절(flow control)을 통해 구현된다. 가열, 냉각 및 제습 기능은 공조 시스템의 공기측을 목적에 맞게 상호 연결함으로써 객실에 공급될 공기의 임의의 혼합 온도로 제공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온풍 흐름으로서 응축기를 과류하는 공기 흐름과 냉풍 흐름으로서 증발기를 과류하는 공기 흐름이 필요한 송풍 온도에 상응하게 혼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공기 흐름은 유동 채널을 통해 객실로 안내된다. 공기 흐름은 여러 토출 제어 부재들을 갖는, 차량 내에 배치된 공기 분배 시스템에 의해 앞유리측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 그리고 레그룸으로 송풍하는 토출구와 같이 상응하는 토출구들로 안내된다. 잉여 공기는 추가의 토출구들을 통해 소형 공조 시스템의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FR 2 743 027 A1호는 단지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 부재만 갖는, 종래의 냉매 순환계를 구비한 차량용 에어컨을 기술한다. 열교환기들은 적어도 유동 기술상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된 별도의 유동 채널들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동 채널들은 교차 연결부(cross connection) 또는 바이패스들을 구비한다. 송풍기(blower)들에 의해 흡인된 공기 질량 흐름들은 플랩들의 폐쇄 및 개방에 의해 그리고, 필요에 따라 그리고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바이패스들을 통과해서 상기 열교환기들의 표면들을 경유하여 안내된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질량 흐름들은 냉각 및/또는 제습 또는 가열되며, 후속해서 객실 및/또는 외부로 배출된다.
DE 10 2011 052 752 A1호에는 공기를 가열 및 냉각하기 위한 열 펌프 기능을 갖춘 모듈식 차량용 에어컨이 기술된다. 상기 차량용 에어컨은 송풍기 및 공기 유동 경로들을 조절하기 위한 플랩들을 갖는 하우징 그리고 응축기, 증발기, 압축기, 팽창 부재 및 관련된 연결 라인들을 갖는 냉매 순환계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 내에는 증발기가 집적된 증발기-공기 유동 경로 그리고 응축기가 집적된 응축기-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공기의 유동 경로 조절을 통해서만 객실의 가열 또는 냉각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두 공기 유동 경로는 제어 가능한 플랩들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DE 10 2012 108 891 A1호에는 객실의 공기를 조화하기 위한 공조 시스템이 기술된다. 상기 공조 시스템은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유동 채널을 갖는 하우징 그리고 증발기와 응축기를 갖는 냉매 순환계를 구비한다. 상기 증발기는 제 1 유동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응축기는 제 2 유동 채널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기들 중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 즉 증발기 또는 응축기는 각각 열 전달 표면의 일부분이 제 1 유동 채널과 제 2 유동 채널 모두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작동 모드에 필요한 열 전달 표면의 비율은 공기 안내 장치들에 의해 상기 열 전달 표면에 공기가 공급되는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공지된 공조 시스템들은 객실로 안내되는 공기가 여러 공기 흐름으로부터 혼합되어 혼합 온도를 갖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 결과 차량 내에 배치된 공기 분배 시스템에 온도가 동일한 공기가 공급되어 개방된 모든 토출구로부터 객실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들이 같은 온도로 배출된다. 그러나 자동차들에서는 공조 시스템들의 형성 및 작동에 대한 요건이 존재하며, 상기 공조 시스템들의 형성 및 작동 요건에 따르면, 객실 내 따뜻한 레그룸(하부 영역)과 차가운 헤드 영역(상부 영역)에 상응하게 쾌적한 공기의 온도 층화(temperature stratification)를 달성하기 위해,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해 대시보드의 토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레그룸의) 토출구로부터 레그룸으로 유입되는 공기보다 더 찬 공기여야 한다. 그러므로 개별 토출구들, 특히 대시보드 내에 있는 그리고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흐름들의 온도는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개별적인 온도 조절은 동일한 온도를 갖는 모든 토출구들로부터 배출되는 공기 유량에 의해서는 가능하지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자동차들에 적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용으로, 공기를 가열, 냉각 및/또는 제습하기 위한 열 펌프 기능을 갖춘 소형 공기측 제어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공조 시스템에 의해서는, 공기 분배 시스템 또는 객실 내 온도 층화를 달성하기 위해 상응하게 조정된 온도를 갖는 공기 흐름들을 객실 내 개별 토출구들에 제공하기 위해, 객실 내로 통하는 여러 토출구들을 관통하는 개별 공기 흐름들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공조 시스템, 특히 냉매 순환계는 최소 부품 수만 갖고, 그와 더불어 제조비용이 경제적이며 고장이 적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자동차 객실의 공기를 조화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공조 시스템은 객실에 공급될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가열하기 위한 열 펌프 모드로의 작동 및 객실에 공급될 공기를 재가열하기 위한 재열 모드로의 작동을 위해 형성되어 있고, 객실로 통하는 토출구들을 갖는 공기 분배 시스템 내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유동 채널과 제 2 유동 채널을 갖는 하우징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열교환기를 갖는 냉매 순환계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유동 채널 내에는 제 1 열교환기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유동 채널 내에는 제 2 열교환기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작동 모드에 상관없이 공기 질량 흐름을 냉각 및/또는 제습하기 위한 증발기로 형성되어 작동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작동 모드에 상관없이 공기 질량 흐름을 가열하기 위한 응축기/가스 냉각기로 형성되어 작동할 수 있다.
예컨대 냉매 R134a가 사용되는 경우와 같이 냉매 순환계의 임계 이하의 작동 또는 이산화탄소가 사용되는 특정 주변 환경에서 냉매가 액화되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표기된다. 일부 열 전달은 일정한 온도에서 행해진다. 초임계 작동 시 또는 열교환기 내에서 초임계적인 열 방출 시에는 냉매의 온도가 일정하게 감소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열교환기가 가스 냉각기로도 표기된다. 초임계적인 작동은 예컨대 이산화탄소가 냉매로 사용되는 냉매 순환계의 특정 주변 환경 또는 작동 모드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하기에서 응축기라는 표기는 가스 냉각기를 의미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컨셉에 따르면,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동 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동 경로는 열교환기들 중 하나의 열교환기에서 객실로 통하는 공기 질량 흐름의 일 토출구까지 연장되며, 그 결과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열교환기에서 조화 후 곧바로 상기 토출구로 안내된 다음, 객실로 안내된다.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로 직접 유입시킨다는 표현은 개별 유동 채널로부터 유동 경로 내로 유도된 다음 토출구로 통하는 유동 경로를 관통하는 공기 질량 흐름이 조화된 다른 공기 질량 흐름들과 혼합되지 않고, 오히려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토출구로부터 객실로 유입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동 경로를 통해 토출구로 안내되는 공기 질량 흐름은 일반적으로 다른 토출구들로 안내되는 공기 질량 흐름들과 다른 온도를 갖는다. 공조 시스템은 또한 바람직하게 상이한 작동 모드들이 공기 안내 장치들의 제어를 통해서만 조절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유동 경로가 냉풍-유동 경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냉풍-유동 경로는 제 1 유동 채널의 부분으로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 다음에 형성된 영역에서 객실 내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까지 연장되며, 그 결과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증발기에서 조화된 후 곧바로 대시보드 내 토출구로 안내되고, 앞유리측 토출구와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로 안내되는 공기 질량 흐름들과 다른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냉풍-유동 경로는 이러한 냉풍-유동 경로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안내 장치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안내 장치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2개의 끝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상기 공기 안내 장치의 위치들은 바람직하게 제어 부재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유동 경로가 온풍-유동 경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온풍-유동 경로는 제 2 유동 채널의 부분으로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 다음에 형성된 영역에서 객실로 통하는 토출구까지 연장되며, 그 결과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응축기에서 조화된 후 곧바로 레그룸으로 통하는 배출기로 안내되고, 앞유리측 토출구와 객실 내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로 안내되는 공기 질량 흐름들과 다른 온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상기 온풍-유동 경로는 이러한 온풍-유동 경로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안내 장치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안내 장치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2개의 끝 위치 사이에서 연속으로 조절 가능하다. 상기 공기 안내 장치의 위치들은 바람직하게 제어 부재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서, 응축기는 열 전달 표면의 일부분이 제 1 유동 채널과 제 2 유동 채널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별 동작 모드, 특히 재열 모드에 필요한, 제 2 유동 채널 내에 배치된 열 전달 표면의 비율은 공기 안내 장치들에 의해 상기 열 전달 표면에 공기가 공급되는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이한 공기 안내 장치들은 바람직하게 이동식 또는 정지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유동 채널 그리고 증발기 및/또는 응축기 관류 시 응축된 공기 질량 흐름들은 각각 바람직하게 유동 경로들을 통해 곧바로 객실 내로 그리고/또는 공기 분배 시스템 내로 그리고/또는 자동차 외부로 유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유동 채널은 각각 공기 안내 장치에 의해 바람직하게 공기 분배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냉풍-유동 경로, 공기 질량 흐름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냉풍-유동 경로 그리고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냉풍-유동 경로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 다음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1 유동 채널을 관통하여 조화된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공기 안내 장치들의 위치에서 부분 공기 질량 흐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공기 분배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냉풍-유동 경로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하우징 외부로 연결되는 냉풍-유동 경로를 통해 안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3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곧바로 대시보드 내 토출구로 안내된 다음, 상기 토출구를 통해 객실로 안내될 수 있다. 제 2 유동 채널은 각각 공기 안내 장치에 의해 바람직하게 공기 분배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온풍-유동 경로, 공기 질량 흐름을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온풍-유동 경로 그리고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 내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온풍-유동 경로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 다음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 2 유동 채널을 관통하여 조화된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공기 안내 장치들의 위치에서 부분 공기 질량 흐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공기 분배 시스템으로 연결되는 온풍-유동 경로를 통해 안내될 수 있고,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하우징 외부로 연결되는 온풍-유동 경로를 통해 안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3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곧바로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로 안내된 다음, 상기 토출구를 통해 객실로 안내될 수 있다.
유동 채널들은 바람직하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객실의 재순환 공기 또는 신선한 공기와 재순환 공기 혼합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 채널들은 바람직하게, 이러한 유동 채널들 내부에서 공기의 주요 유동 방향들이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하나의 공동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적어도 객실 방향으로 향하는 공기 질량 흐름들의 유동 방향들은 실제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송풍기는 공조 시스템을 통해 공기 질량 흐름을 이송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한 2개의 송풍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 1 송풍기는 공기 질량 흐름을 제 1 유동 채널 내로 이송하고, 그리고 제 2 송풍기는 공기 질량 흐름을 제 2 유동 채널 내로 이송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냉각 및 가열을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열 펌프 모드 겸용 작동 및 재열 모드를 위한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상기 공조 시스템의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2개의 공기 질량 흐름이 이송되는 단계,
- 냉매 순환계의 증발기 과류 시 제 1 공기 질량 흐름이 냉각 및/또는 제습되는 단계,
- 냉각 및/또는 제습된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적어도 2개의 부분 냉풍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단계, 이 경우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은 각각 0% 내지 100%의 비율로 분할되며, 이때 일 부분 냉풍 질량 흐름은 객실 내 공기 분배 시스템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일 부분 냉풍 질량 흐름은 냉풍-유동 경로를 통해 곧바로 대시보드 내 토출구로 안내된 다음 객실로 안내되며,
- 제 2 공기 질량 흐름이 냉매 순환계의 응축기 과류 시 가열되고,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객실 내 공기 분배 시스템으로 안내되는 단계,
- 냉각 및/또는 제습된 부분 냉풍 질량 흐름이 객실 내 공기 분배 시스템에서 가열된 공기 질량 흐름과 혼합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공기 질량 흐름들이 객실로 유입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발기 과류 시 냉각 및/또는 제습된 제 1 공기 질량 흐름은 0% 내지 100% 비율로, 외부로 유도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과 적어도 2개의 추가 부분 냉풍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공기 질량 흐름으로 분할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또한 냉각 및 가열을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열 펌프 모드 겸용 작동 및 재열 모드를 위한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의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방법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상기 공조 시스템의 하우징 내에서 적어도 2개의 공기 질량 흐름이 이송되는 단계,
- 냉매 순환계의 증발기 과류 시 제 1 공기 질량 흐름이 냉각 및/또는 제습되고, 객실 내 공기 분배 시스템으로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안내되는 단계,
- 냉매 순환계의 응축기 과류 시 제 2 공기 질량 흐름이 가열되는 단계,
- 가열된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적어도 2개의 부분 온풍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단계, 이 경우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은 각각 0% 내지 100%의 비율로 분할되며, 이때 일 부분 온풍 질량 흐름은 객실 내 공기 분배 시스템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일 부분 온풍 질량 흐름은 온풍-유동 경로를 통해 곧바로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로 안내된 다음 객실로 안내되며,
- 가열된 상기 부분 온풍 질량 흐름이 객실 내 공기 분배 시스템에서 냉각 및/또는 제습된 공기 질량 흐름과 혼합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공기 질량 흐름들이 객실로 유입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추가 실시예에서, 응축기 과류 시 가열된 제 2 부분 질량 흐름은 0% 내지 100% 비율로, 외부로 유도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과 적어도 2개의 추가 부분 온풍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공기 질량 흐름으로 분할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다음과 같은 추가 장점들을 갖는다:
- 자동차 객실 내에서의 원하는 온도 층화를 위해 여러 토출구들에 맞게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온도 그리고 그와 더불어 증가되고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승객의 쾌적함,
- 공조 시스템 작동 시 효율 상승, 이러한 효율 상승은 또한 다음에 의해 가능,
- 특정 토출구, 특히 승객에게 직접 송풍하기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의 공기 흐름이 목적에 맞게 냉각되고, 이와 동시에 특정한 다른 토출구, 특히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를 통해, 특히 열 펌프 모드로 작동 시 따뜻한 공기 흐름에 필요한 온도가 제공됨, 그리고/또는
- 특정 토출구, 특히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의 공기 흐름이 목적에 맞게 가열되고, 이와 동시에 특정한 다른 토출구, 특히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를 통해 차가운 공기 흐름에 필요한 온도가 제공됨, 그리고
- 유동 채널들 내부에서 목적에 맞은 공기 유량 조절을 통해 객실 승온에 필요한 출력 감소.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에는 소형 공조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상이한 작동 모드로 작동 시 2개의 유동 경로, 공기 안내 장치들 그리고 증발기와 응축기를 갖는 공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냉각 및/또는 제습된 공기를 객실로 직접 유입 및 안내하기 위한 추가 냉풍-유동 경로를 갖는 도 1a 내지 도 1c의 공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b는 증발기와 대시보드 내 토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직접 유입을 위한 추가 냉풍-유동 경로 및 객실 내 공기 분배 시스템을 갖는 도 2a의 공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3은 응축기와 객실로 통하는 토출구 사이에서 연장되는, 가열된 공기를 객실로 직접 유입 및 안내하기 위한 추가 온풍-유동 경로 및 객실 내 공기 분배 시스템을 갖는 도 1a 내지 도 1c의 공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제 1 유동 채널(3) 및 제 2 유동 채널(4)을 구비한 하우징(2)을 포함하는 선행 기술에 따른 공조 시스템(1)을 도시하며, 이 경우 각각의 유동 채널(3, 4)에는 송풍기(5, 6)가 할당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신선한 공기, 객실(9)의 재순환 공기 또는 이 두 공기의 혼합물이 공급될 수 있다. 도 1a에는 냉각 장치 모드로 작동 시 공조 시스템(1), 도 1b에는 재열 모드로 작동 시 공조 시스템(1), 그리고 도 1c에는 열 펌프 모드로 작동 시 공조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유동 채널(3) 내에는 증발기(7)가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제 2 유동 채널(4) 내에는 응축기(8a, 8b)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두 부품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공조 시스템(1)의 냉매 순환계의 부품으로서 그리고 공기가 공급되는 열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응축기는 1개의 부분으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기(7)는 제 1 유동 채널(3)의 유동 횡단면을 차지한다. 응축기(8a, 8b)는 유동 채널과 오버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2개의 영역을 갖는다. 제 1 영역은 전체 유동 횡단면을 덮는 방식으로 제 2 유동 채널(4)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영역에 비해 더 큰 열 전달 표면을 갖는다. 응축기(8a, 8b)의 제 2 영역은 필요에 따라 그리고 공조 시스템(1)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 1 유동 채널(3) 내부에 또는 제 2 유동 채널(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응축기(8a, 8b)의 제 2 영역이 제 1 유동 채널(3)의 유동 경로(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이는 특히 도 1b에 나타남), 그리고 그 크기가 가변적인, 유동 경로(13)의 전체 유동 횡단면을 차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유동 채널(3, 4)은 분리 벽(10) 및 이동식 플랩으로 형성된 2개의 추가 공기 안내 장치(21, 22) 그리고 공기 조절 덮개(air baffle)로 형성된 정지식 공기 안내 장치(23, 24)들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서로 매칭된 형태를 갖는 공기 안내 장치(21, 22)들 그리고 도 1a에 따른 냉각 장치 모드 및 도 1c에 따른 열 펌프 모드에서 상기 분리 벽(10)에 대해 평행하게 정렬 배치된 공기 조절 덮개(23, 24)는 응축기(8a, 8b)용 공기 안내 장치를 형성하고, 증발기(7) 관류 시 냉각 및 조화된, 제 1 유동 채널(3) 내 공기 질량 흐름과 제 2 유동 채널(4) 내 공기 질량 흐름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제 2 유동 채널(4) 내부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그와 더불어 분리 벽(10)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공기 조절 덮개(23, 24)는 증가되는 길이를 갖는다. 공기 조절 덮개(23, 24)가 분리 벽(10)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면 될수록, 상기 공기 조절 덮개(23, 24)의 길이는 더 길어지며, 이 경우 서로 나란히 배치된 공기 조절 덮개(23, 24)들의 길이는 상기 공기 조절 덮개(23, 24)들의 전체 배치 단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2개의 표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증가한다. 상기 표면들은 각각 이러한 표면들에 평행하게 정렬된 축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리는 방식으로 동일하게 만곡되어 있다. 상기 원호들의 중점은 각각 축을 나타내고, 직사각형 표면은 이러한 축을 중심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축들은 이동식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의 회전축에 상응한다. 원호 모양으로 만곡된 표면들의 반지름은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의 길이 방향 연장부에 상응하는데, 즉 유동 채널(3, 4)들을 통과하는 공기 질량 흐름들의 유동 방향으로 이동식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의 연장부에 상응한다.
선회식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은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측면 에지가 오목하게 만곡된, 그리고 공기 조절 덮개(23, 24)들의 단부로부터 펼쳐져 있는 표면 쪽으로 정렬된다.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의 자유 이동성을 위해, 상기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의 측면 에지와 표면 사이에는 최소 폭을 갖는 간극이 남아 있으며, 상기 간극은 공기 질량 흐름의 유동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단지 경미한 정도로만 영향을 미친다.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이 개별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 회전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제 1 유동 채널(3)과 제 2 유동 채널(4) 내에서 응축기(8a, 8b)의 영역들 비율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응축기(8a, 8b)의 영역들 분할은 기본적으로 연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 질량 흐름이 연속하는 유동 표면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은 회전된 후, 회전축에 평행하게 그리고 상기 회전축과 떨어져서 마주보도록 배치된 측면 에지들이 공기 조절 덮개(23, 24)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정렬된다. 공기 조절 덮개(23, 24)들과 관련해서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의 중간 위치에서 발생하는 누출 흐름은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중간 위치는,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의 측면 에지가 공기 조절 덮개(23, 24)의 에지와 정확히 마주보지 않고, 오히려 2개의 공기 조절 덮개(23, 24)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의 위치를 의미한다.
증발기(7)를 갖는 제 1 유동 채널(3)과 응축기(8a, 8b)를 갖는 제 2 유동 채널(4)에 상이한 속도의 공기 질량 흐름들이 공급되고, 그와 더불어 상기 제 1 유동 채널과 제 2 유동 채널은 변경된 작동 상태에 대한 빠른 반응을 가능하게 하므로, 각기 따로 조정 가능한 송풍기(5, 6)들은 공조 시스템(1)의 바람직한 동력학을 야기한다. 제 1 유동 채널(3)의 송풍기(5)는 공기 질량 흐름으로서 유동 방향(25a)으로 흡인된 공기를 증발기(7)로 안내한다.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은 증발기(7) 과류 시 냉각 및/또는 제습된다. 증발기(7)로부터 배출되는 냉풍 질량 흐름은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서 유동 방향(26b)으로 배기 채널(11)로도 표기되는 냉풍-유동 경로(11)를 통해 외부로 그리고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 유동 방향(26a)으로 냉풍-유동 경로(12)를 통해 객실로(9)로 필요한 비율로 분할되거나 상기 냉풍-유동 경로들 중 하나의 냉풍 유동 경로(11, 12)에 전적으로 할당된다. 상기 냉풍 질량 흐름은 플랩으로 형성된 공기 안내 장치(17, 18)들에 의해 분할된다.
송풍기(5)와 유사하게 송풍기(6)는 유동 방향(25b)으로 공기를 흡인한 다음, 공기 질량 흐름으로서 상기 흡인된 공기를 응축기(8a, 8b)로 안내한다.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은 응축기(8a, 8b) 과류 시 가열된다. 응축기(8a, 8b)로부터 배출되는 온풍 질량 흐름은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서 유동 방향(27b)으로 온풍-유동 경로(15)를 통해 외부로 그리고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 유동 방향(27a)으로 온풍-유동 경로(16)를 통해 객실(9)로 필요한 비율로 분할되거나 상기 온풍-유동 경로들 중 하나의 온풍-유동 경로(15, 16)에 전적으로 할당된다. 상기 온풍 질량 흐름은 플랩으로 형성된 공기 안내 장치(19, 20)들에 의해 분할된다.
공조 시스템(1)이 냉각 장치 모드로 작동 시, 즉 도 1a에 따라 객실(9)에 공급될 공기를 냉각할 때에는 공기 안내 장치(18)가 개방된다.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은 응축기(8a, 8b)의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유동 경로(13)가 폐쇄되도록 분리 벽(10)과 동일 평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그 결과 냉풍-유동 경로(11)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공기 질량 흐름이 전적으로 유동 방향(26a)으로 응축기(8a, 8b) 옆을 지나서 흐른 다음, 냉풍-유동 경로(12)를 통해 객실(9)로 안내된다. 제 1 유동 채널(3)을 관통한 공기 질량 흐름은 바이패스 흐름으로서 응축기(8a, 8b)의 둘레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채널(14)을 통해 안내된다. 공기 안내 장치(19, 20)들은, 객실(9)로 통하는 온풍-유동 경로(16)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공기 질량 흐름이 유동 방향(27b)으로 온풍-유동 경로(15)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도록 정렬되어 있다. 송풍기(5)는 공기를 유동 방향(25a)으로 제 1 유동 채널(3)을 통해 증발기(7)로 이송한다. 상기 공기는 냉각 및 제습된 다음, 유동 방향(26a)으로 냉풍-유동 경로(12)를 통해 객실(9)로 흐른다. 송풍기(6)는 공기를 유동 방향(25b)으로 제 2 유동 채널(4) 내에서 응축기(8a, 8b)로 이송한다. 상기 공기는 가열된 다음, 유동 방향(27b)으로 온풍-유동 경로(15)를 통해 외부로 흐른다.
공조 시스템(1)이 열 펌프 모드로 작동 시, 즉 도 1c에 따라 객실(9)에 공급될 공기를 가열할 때에는 공기 안내 장치(17, 20)들이 개방되며, 그 결과 바이패스 채널(14)이 공기 안내 장치(18)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동안, 제 1 유동 채널(3)을 통해 이송된 공기 질량 흐름이 유동 방향(26b)으로 냉풍-유동 경로(11)를 통해 외부로 안내된다.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은 분리 벽(10)과 동일 평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그 결과 마찬가지로 유동 경로(13)도 폐쇄된다. 온풍-유동 경로(15)가 공기 안내 장치(19)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동안, 제 2 유동 채널(4)을 통해 이송된 공기 질량 흐름은 유동 방향(27a)으로 온풍-유동 경로(16)를 통해 객실(9)로 안내된다. 송풍기(5)는 공기를 유동 방향(25a)으로 제 1 유동 채널(3)을 통해 증발기(7)로 이송한다. 상기 공기는 냉각된 다음, 유동 방향(26b)으로 냉풍-유동 경로(11)를 통해 외부로 흐른다. 송풍기(6)는 공기를 유동 방향(25b)으로 제 2 유동 채널(4)을 통해 응축기(8a, 8b)로 이송한다. 상기 공기는 가열된 다음, 유동 방향(27a)으로 온풍-유동 경로(16)를 통해 객실(9)로 흐른다.
공조 시스템(1)이 재열 모드로 작동 시, 즉 도 1b에 따라 객실(9)에 공급될 공기를 냉각 및/또는 제습 그리고 재가열할 때에는 공기 안내 장치(17, 18, 19, 20, 21, 22)들이 필요에 따라 완전히 개방된 상태와 완전히 폐쇄된 상태의 여러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 안내 장치(17, 18, 21, 22)들의 위치들 및 송풍기(5)의 회전 속도에 의해 가열될 공기 질량 흐름이 변동된다. 유동 경로(13) 내에 배치된, 응축기(8a, 8b)의 영역은 재열 모드로 작동 시 우선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공기 안내 장치(21, 22)들은 응축기(8a, 8b)의 영역을 통해 연장되는 유동 경로(13)가 개방되도록 정렬되어 있으며, 그 결과 유동 경로(13) 내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이 응축기(8a, 8b) 영역 과류 시 다시 가열되는 동안, 제 1 유동 채널(3)을 통해 흐르는 공기 질량 흐름이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 유동 방향(26a)으로 응축기(8a, 8b) 옆을 지난 다음 바이패스 채널(14)을 통해 냉풍-유동 경로(12)로 안내된다. 냉풍-유동 경로(11)는 폐쇄되어 있지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체 작동 모드에서는 개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유동 채널(3)을 통해 안내된 공기 질량 흐름은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 및 바이패스 흐름으로서 응축기(8a, 8b) 둘레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채널(14)을 통해 안내되고,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서 유동 방향(28)으로 유동 경로(13)를 통해 안내된 다음, 다시 가열된다. 공기 안내 장치(18, 21, 22)들이 개방된 경우, 응축기(8a, 8b) 과류 시 다시 가열된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바이패스 채널(14)을 통해 흐르는 냉풍 질량 흐름의 부분 공기 질량 흐름과 냉풍-유동 경로(12) 내에서 혼합된다. 제 1 유동 채널(3)을 통과하는 상기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공기 안내 장치(17)의 조절, 송풍기(5)의 전압 공급, 송풍기(5)의 회전 속도를 통해서 조절될 수 있다. 공기 안내 장치(17)가 개방된 경우, 제 1 유동 채널(3)을 통과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공기 안내 장치(17)의 위치에 따라 감소된다. 냉풍 질량 흐름 온도를 갖는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과 가열된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냉풍-유동 경로(12)내에서 혼합되어 동일한 온도를 갖는 공기 질량 흐름으로서 유동 방향(29)으로 객실(9)로 공급된다.
공기 안내 장치(18)가 폐쇄된 경우, 응축기(8a, 8b) 과류 시 다시 가열된 공기 질량 흐름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객실(9)로 안내된다. 뿐만 아나라 증발기(7) 과류 시 조화된 일부 냉풍 질량 흐름이 각각 개방된 공기 안내 장치(17)와 냉풍-유동 경로(11)를 통해 공조 시스템(1)의 외부로 유도될 수 있다.
객실(9)로 통하는 온풍-유동 경로(16)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 공기 안내 장치(19, 20)들은 공기 질량 흐름이 유동 방향(27b)으로 온풍-유동 경로(15)를 통해 외부로 안내되도록 정렬되어 있다. 송풍기(5)는 공기를 유동 방향(25a)으로 제 1 유동 채널(3)을 통해 증발기(7)로 이송한다. 상기 공기는 냉각 및 제습된 다음, 2개의 부분 질량 흐름으로 유동 방향(26a)으로 바이패스 채널(14)과 유동 경로(13)를 통해 냉풍-유동 경로(12)로 흐른 다음, 혼합되어 객실(9)로 흐른다. 송풍기(6)는 공기를 유동 방향(25b)으로 제 2 유동 채널(4) 내에서 응축기(8a, 8b)로 이송한다. 상기 공기는 가열된 다음, 유동 방향(27b)으로 온풍-유동 경로(15)를 통해 외부로 흐른다.
각각 2개의 플랩(17, 18 및 19, 20)들은 각 하나의 동역학 장치에 의해 연결되고, 단일 구동 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랩들로 형성된 공기 안내 장치(17, 18 및 19, 20)들은 각각 하나의 플랩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2a에는 2개의 유동 채널(3, 4), 공기 안내 장치(17, 18, 19, 20, 21, 22, 23, 24)들 그리고 증발기(7)와 응축기(8)를 구비한 소형 공조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조 시스템(1')은 기능 및 구성과 관점에서 기본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의 공조 시스템(1)에 상응한다. 도 2a의 공조 시스템(1')과 도 1a 내지 도 1c의 공조 시스템(1)의 차이점은, 제 1 유동 채널(3)의 부분으로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7) 다음에 형성된 영역에서 객실(9)까지 연장되는 추가적인 냉풍-유동 경로(30)의 형성이다. 그러므로 증발기(7) 과류 시 냉각 및/또는 제습된 공기 질량 흐름의 적어도 일부분이, 객실(9)로 통하는 유동 경로 상에서 다른 온도를 갖는 공기 질량 흐름과 혼합됨 없이 곧바로 객실(9)로 안내될 수 있다.
냉풍-유동 경로(30)를 객실(9)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해 형성된 공기 채널은, 공기를 하우징(2)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냉풍-유동 경로(11) 및 공기를 냉풍-유동 경로(12)로 안내하기 위한 바이패스 채널(14)과 동일한 방식으로,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7) 뒤에 있는 제 1 유동 채널(3)의 영역으로 이어진다. 상기 냉풍-유동 경로(30)를 통해 안내된 공기 질량 흐름은 바람직하게 플랩으로 형성된 공기 안내 장치(31)의 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 공기 안내 장치 "완전히 폐쇄된 상태"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2개의 끝 위치 사이에서 연속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b는 객실(9) 내에 배치된 공기 분배 시스템(32')을 갖는, 도 2a의 공조 시스템(1')을 도시한다. 상기 공기 분배 시스템(32')은 앞유리측 토출구(33),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 및 객실(9) 내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35)와 같은 다수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한다. 이 경우 객실(9) 내로 직접 유입을 위한 냉풍-유동 경로(30)는 객실(9) 내 공기 분배 시스템(32')과 연결되어 있고, 제 1 유동 채널(3)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7)의 영역에서 대시보드 내 토출구(35)까지 연장되며, 그 결과 냉각 및/또는 제습된 공기가 곧바로 그리고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객실(9) 내 승객에게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대시보드 내 토출구(35)에는 목적에 맞게, 다른 토출구(33, 34)들보다 차가운 공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토출구(35)의 공기 온도는 요구에 따라 특수하게 조절될 수 있다.
대시보드 내 토출구(35)를 통해 객실(9)로 유입시키기 위한 냉풍 질량 흐름의 유입과 평행하게, 작동 모드에 따라 유동 경로(12) 및/또는 유동 경로(16)를 통해 조화된 공기 질량 흐름은 냉풍 질량 흐름보다 높은 온도로 예를 들면 앞유리측 또는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3, 34)들을 통해 안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객실(9) 내부에서 원하는 온도 층화가 생성된다. 이 경우 특히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에서보다 대시보드 내 토출구(35)의 공기 온도가 더 낮게 설정된다. 온도 층화가 추가로 배치된 냉풍-유동 경로(30)에 의해 보장되므로, 상기 냉풍-유동 경로(30)는 층화 경로로도 표기된다.
제 1 유동 채널(3)을 관통하여 조화된 공기 질량 흐름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7) 다음, 냉풍-유동 경로(11)의 공기 안내 장치(17), 바이패스 채널(14)의 공기 안내 장치(18) 및 냉풍-유동 경로(30)의 공기 안내 장치(31)의 위치들에서 부분 공기 질량 흐름들로 각각 0% 내지 100%의 비율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냉풍-유동 경로(11)를 통해 하우징(2)의 외부로 안내될 수 있고,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바이패스 채널(14) 및/또는 유동 경로(13)를 통해 냉풍-유동 경로(12)로 안내된 다음, 후속해서 객실(9)로 안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3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냉풍-유동 경로(30)를 통과한 다음 곧바로 객실(9)로, 특히 대시보드 내 토출구(35)로 안내될 수 있다.
도 3에는 2개의 유동 채널(3, 4), 공기 안내 장치(17, 18, 19, 20, 21, 22, 23, 24)들 그리고 증발기(7)와 응축기(8)를 갖는 소형 공조 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공조 시스템(1")은 기능 및 구성과 관점에서 기본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의 공조 시스템(1)에 상응한다. 도 3의 공조 시스템(1")과 도 1a 내지 도 1c의 공조 시스템(1)의 차이점은, 제 2 유동 채널(4)의 부분으로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8) 다음에 형성된 영역에서 객실(9)까지 연장되는 추가적인 냉풍-유동 경로(36)의 형성이다. 그러므로 응축기(8) 과류 시 가열된 공기 질량 흐름의 적어도 일부분이, 객실(9)로 통하는 유동 경로 상에서 다른 온도를 갖는 공기 질량 흐름과 혼합됨 없이 곧바로 객실(9)로 안내될 수 있다.
온풍-유동 경로(36)를 객실(9)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해 형성된 공기 채널은, 공기를 하우징(2)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온풍-유동 경로(15) 및 공기를 공기 분배 시스템(32")으로 안내하기 위한 온풍-유동 경로(16)와 동일한 방식으로,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8) 뒤에 있는 제 2 유동 채널(4)의 영역으로 이어진다. 상기 온풍-유동 경로(36)를 통해 안내된 공기 질량 흐름은 바람직하게 플랩으로 형성된 공기 안내 장치(37)의 위치에 의해 제어된다. 이 경우 공기 안내 장치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2개의 끝 위치 사이에서 연속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분배 시스템(32") 또한 앞유리측 토출구(33),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 및 객실(9) 내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35)와 같은 다수의 공기 토출구를 구비한다. 이 경우 객실(9) 내로 직접 유입을 위한 온풍-유동 경로(36)는 객실(9) 내 공기 분배 시스템(32")과 연결되어 있고, 제 2 유동 채널(3) 내부에 배치된 응축기(8)의 영역에서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까지 연장되며, 그 결과 가열된 공기가 곧바로 그리고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객실(9)의 레그룸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에는 목적에 맞게, 다른 토출구(33, 35)들보다 따뜻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토출구(34)의 공기 온도가 요구에 따라 특수하게 조절될 수 있다.
레그룸을 통한 토출구(34)를 통해 객실(9)로 유입시키기 위한 온풍 질량 흐름의 유입과 평행하게, 작동 모드에 따라 유동 경로(12) 및/또는 유동 경로(16)를 통해 조화된 공기 질량 흐름은 예를 들면 앞유리측 또는 대시보드 내 토출구(33, 35)들을 통해 흐르는 온풍 질량 흐름보다 낮은 온도로 안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객실(9) 내부에서 원하는 온도 층화가 생성된다. 이 경우 특히 대시보드 내 토출구(34)에서보다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에서 공기 온도가 더 높게 설정된다. 온도 층화가 추가로 배치된 온풍-유동 경로(36)에 의해 보장되므로, 상기 온풍-유동 경로(36)는 층화 경로로도 표기된다.
제 2 유동 채널(4)을 관통하여 조화된 공기 질량 흐름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응축기(8) 다음, 온풍-유동 경로(15)의 공기 안내 장치(19), 온풍-유동 경로(16)의 공기 안내 장치(20) 및 온풍-유동 경로(36)의 공기 안내 장치(37)의 위치들에서 부분 공기 질량 흐름들로 각각 0% 내지 100%의 비율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온풍-유동 경로(15)를 통해 하우징(2)의 외부로 안내될 수 있고,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온풍-유동 경로(16)를 통과한 다음 후속해서 객실(9)로 안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3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온풍-유동 경로(36)를 통과한 다음 곧바로 객실(9)로, 특히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로 안내될 수 있다.
1: 공조 시스템
1', 1": 객실 내 온도 층화를 위한 공조 시스템
2: 하우징
3: 제 1 유동 채널
4: 제 2 유동 채널
5, 6: 송풍기
7: 증발기
8, 8a, 8b: 응축기/가스 냉각기
9: 객실
10: 분리 벽
11: 냉풍-유동 경로, 배기 채널
12: 냉풍-유동 경로
13: 제 1 유동 채널(3) 내 유동 경로
14: 제 1 유동 채널(3) 내 바이패스 채널
15: 온풍-유동 경로, 배기 채널
16: 온풍-유동 경로
17: 냉풍-유동 경로(11)의 공기 안내 장치/플랩
18: 바이패스 채널(14)의 공기 안내 장치/플랩
19: 온풍-유동 경로(15)의 공기 안내 장치/플랩
20: 온풍-유동 경로(16)의 공기 안내 장치/플랩
21, 22: 응축기(8a, 8b) 유입 및 유출을 위한 유동 채널(3, 4)들 사이 공기 안내 장치/플랩 - 유동 경로(13)의 유입구/유출구
23, 24: 정지식 공기 안내 장치, 공기 조절 덮개
25a, 25b: 흡입된 공기 유동 방향
26a, 26b: 냉풍 유동 방향
27a, 27b: 온풍 유동 방향
28: 제습된 온풍 유동 방향
29: 제습된 온풍 - 냉풍 혼합 유동 방향
30: 객실(9)로 직접 유입을 위한 냉풍-유동 경로
31: 냉풍-유동 경로(30)의 공기 안내 장치/플랩
32', 32": 공기 분배 시스템
33: 앞유리 토출구
34: 레그룸 토출구
35: 대시보드 토출구
36: 객실(9)로 직접 유입을 위한 온풍-유동 경로
37: 온풍-유동 경로(36)의 공기 안내 장치/플랩

Claims (11)

  1. 자동차 객실(9)의 공기 조화를 위한 공조 시스템(1', 1")으로서,
    상기 공조 시스템은 객실(9)에 공급될 공기 냉각을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가열하기 위한 열 펌프 모드로의 작동 및 재열 모드로의 작동을 위해 형성되어 있고,
    - 객실(9)로 통하는 토출구(33, 34, 35)들을 갖는 공기 분배 시스템(32', 32")으로 공기를 안내하기 위한 제 1 유동 채널(3)과 제 2 유동 채널(4)을 구비한 하우징(2) 그리고
    - 적어도 2개의 열교환기를 구비한 냉매 순환계를 포함하며, 이 경우 제 1 열교환기는 상기 제 1 유동 채널(3) 내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제 2 유동 채널(4)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작동 모드에 상관없이 증발기(7)로 형성되어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작동 모드에 상관없이 응축기/가스 냉각기(8)로 형성되어 작동할 수 있는, 공조 시스템(1', 1")에 있어서,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9)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유동 경로(30, 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유동 경로(30, 36)는 상기 열교환기들 중 하나의 열교환기에서 토출구(34, 35)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상기 열교환기에서 조화된 후 곧바로 상기 토출구(34, 35)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2. 제 1 항에 따른 공조 시스템(1')으로서,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9)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상기 유동 경로(30)가 냉풍-유동 경로(30)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냉풍-유동 경로(30)는 상기 제 1 유동 채널(3)의 부분으로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증발기(7) 다음에 형성된 영역에서 객실(9) 내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35)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상기 증발기(7)에서 조화된 후 곧바로 상기 토출구(35)로 안내되고, 그리고 앞유리측 토출구(33)와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로 안내되는 공기 질량 흐름들과 상이한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3. 제 2 항에 따른 공조 시스템(1')으로서,
    상기 냉풍-유동 경로(30)가 이러한 냉풍-유동 경로(30)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안내 장치(31)를 갖고, 이 경우 상기 공기 안내 장치(31)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2개의 끝 위치 사이에서 연속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조 시스템(1")으로서,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9)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상기 유동 경로(36)가 온풍-유동 경로(36)로 형성되어 있고, 이 경우 상기 온풍-유동 경로(36)는 상기 제 2 유동 채널(4)의 부분으로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응축기(8) 다음에 형성된 영역에서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까지 연장됨으로써, 공기 질량 흐름이 상기 응축기(8)에서 조화된 후 곧바로 상기 토출구(34)로 안내되고, 그리고 앞유리측 토출구(33)와 객실(9) 내 승객에게 직접 송풍을 위한 대시보드 내 토출구(35)로 안내되는 공기 질량 흐름들과 상이한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5. 제 4 항에 따른 공조 시스템(1")으로서,
    상기 온풍-유동 경로(36)가 이러한 온풍-유동 경로(36)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공기 안내 장치(37)를 갖고, 이 경우 상기 공기 안내 장치(37)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2개의 끝 위치 사이에서 연속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다른 공조 시스템(1')으로서,
    상기 제 1 유동 채널(3)이 공기 안내 장치(18)를 갖는 냉풍-유동 경로(11), 공기 안내 장치(17)를 갖는 냉풍-유동 경로(12) 그리고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9)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안내 장치(31)를 갖는 유동 경로(30)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증발기(7) 다음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1 유동 채널(3)을 통과하여 조화된 공기 질량 흐름이 상기 공기 안내 장치(17, 18, 31)들의 위치에서 부분 공기 질량 흐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냉풍-유동 경로(12)를 통해 공기 분배 시스템(32')으로,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냉풍-유동 경로(11)를 통해 하우징(2)의 외부로, 그리고 제 3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냉풍-유동 경로(30)를 통해 곧바로 대시보드 내 토출구(35)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공조 시스템(1, 1")으로서,
    상기 제 2 유동 채널(4)이 공기 안내 장치(20)를 갖는 온풍-유동 경로(16), 공기 안내 장치(19)를 갖는 온풍-유동 경로(15) 그리고 공기 질량 흐름을 객실(9)로 직접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 안내 장치(37)를 갖는 유동 경로(36)로 분할되는 방식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상기 응축기(8) 다음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 2 유동 채널(4)을 통과하여 조화된 공기 질량 흐름이 상기 공기 안내 장치(19, 20, 37)들의 위치에서 부분 공기 질량 흐름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1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온풍-유동 경로(16)를 통해 공기 분배 시스템(32")으로, 제 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온풍-유동 경로(15)를 통해 하우징(2)의 외부로, 그리고 제 3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온풍-유동 경로(36)를 통해 곧바로 레그룸 내로 통하는 토출구(34)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
  8. 자동차 객실(9) 공기 냉각 및 가열을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열 펌프 모드로의 겸용 작동 및 재열 모드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조 시스템(1')의 작동 방법으로서,
    - 상기 공조 시스템(1")의 하우징(2) 내에서 적어도 2개의 공기 질량 흐름이 이송되는 단계,
    - 냉매 순환계의 증발기(7) 과류 시 제 1 공기 질량 흐름이 냉각 및/또는 제습되는 단계,
    - 냉각 및/또는 제습된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적어도 2개의 부분 냉풍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단계, 이 경우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은 각각 0% 내지 100%의 비율로 분할되며, 이때 일 부분 냉풍 질량 흐름은 객실(9) 내 공기 분배 시스템(32')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일 부분 냉풍 질량 흐름은 냉풍-유동 경로(30)를 통해 곧바로 대시보드 내 토출구(35)로 안내된 다음 객실(9)로 안내되며,
    - 제 2 공기 질량 흐름이 냉매 순환계의 응축기(8) 과류 시 가열되고,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객실(9) 내 상기 공기 분배 시스템(32')으로 안내되는 단계,
    - 냉각 및/또는 제습된 부분 냉풍 질량 흐름이 객실(9) 내 상기 공기 분배 시스템(32')에서 가열된 공기 질량 흐름과 혼합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공기 질량 흐름들이 객실(9)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의 작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7) 과류 시 냉각 및/또는 제습된 상기 제 1 공기 질량 흐름이 0% 내지 100% 비율로, 외부로 유도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과 적어도 2개의 추가 부분 냉풍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공기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0. 자동차 객실(9) 공기 냉각 및 가열을 위한 냉각 장치 모드와 열 펌프 모드로의 겸용 작동 및 재열 모드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조 시스템(1")의 작동 방법으로서,
    - 상기 공조 시스템(1")의 하우징(2) 내에서 적어도 2개의 공기 질량 흐름이 이송되는 단계,
    - 냉매 순환계의 증발기(7) 과류 시 제 1 공기 질량 흐름이 냉각 및/또는 제습되고, 객실(9) 내 공기 분배 시스템(32")으로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안내되는 단계,
    - 냉매 순환계의 응축기(8) 과류 시 제 2 공기 질량 흐름이 가열되는 단계,
    - 가열된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이 적어도 2개의 부분 온풍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단계, 이 경우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은 각각 0% 내지 100%의 비율로 분할되며, 이때 일 부분 온풍 질량 흐름은 객실(9) 내 상기 공기 분배 시스템(32")으로 안내되고, 그리고 일 부분 온풍 질량 흐름은 온풍-유동 경로(36)를 통해 곧바로 레그룸으로 통하는 토출구(34)를 안내된 다음 객실(9)로 안내되며,
    - 가열된 상기 부분 온풍 질량 흐름이 객실(9) 내 공기 분배 시스템(32")에서 냉각 및/또는 제습된 공기 질량 흐름과 혼합되는 단계, 그리고
    - 상기 공기 질량 흐름들이 객실(9)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의 작동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8) 과류 시 가열된 상기 제 2 공기 질량 흐름이 0% 내지 100% 비율로, 외부로 유도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과 적어도 2개의 추가 부분 온풍 질량 흐름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작동 방법.
KR1020150147683A 2014-10-24 2015-10-23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KR201600486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115498 2014-10-24
DE102014115498.3 2014-10-24
DE102015117964.4 2015-10-21
DE102015117964.4A DE102015117964B4 (de) 2014-10-24 2015-10-21 Klimatisierungssystem zur Konditionierung der Luft eines Fahrgastraumes eines Kraftfahrzeu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678A true KR20160048678A (ko) 2016-05-04

Family

ID=5569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683A KR20160048678A (ko) 2014-10-24 2015-10-23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63792B2 (ko)
KR (1) KR20160048678A (ko)
CN (1) CN106715170A (ko)
DE (1) DE102015117964B4 (ko)
WO (1) WO20160642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5379B2 (en) * 2018-05-31 2020-12-29 Hanon Systems HVAC extended condensing capacity
JP2020019352A (ja) * 2018-07-31 2020-02-06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10789290B (zh) * 2018-08-01 2023-04-0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用热泵系统的空调箱及其通风策略
KR102661622B1 (ko) * 2018-11-12 202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7120152B2 (ja) 2019-05-17 2022-08-17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CN112046234A (zh) * 2019-06-07 2020-12-08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出口集中的暖空气通道
US11867424B1 (en) * 2020-03-05 2024-01-09 Apple Inc. Thermal control system
KR20230020284A (ko) * 2021-08-03 2023-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열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26537C3 (de) * 1975-06-13 1978-08-3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uenchen Luftmisch- und Luftverteilgerät in einer Belüftungs- und Heiz- oder Klimaanla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5782102A (en) * 1992-04-24 1998-07-21 Nippondenso Co., Ltd. Automotive air conditioner having condenser and evaporator provided within air duct
FR2743027B1 (fr) 1995-12-29 1998-01-23 Renault Dispositif de climatis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JPH1058950A (ja) * 1996-08-20 1998-03-03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812083B2 (ja) * 1997-09-25 2006-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50104114A (ko) * 2004-04-28 2005-11-02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KR101207062B1 (ko) * 2005-12-06 2012-11-3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20070081274A (ko) * 2006-02-10 2007-08-16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US8419512B2 (en) * 2006-10-10 2013-04-16 Hdt Tactical Systems, Inc. Vehicle cabin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on system
US8408980B2 (en) * 2009-07-10 2013-04-02 Keihin Corporatio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8376037B2 (en) * 2009-07-10 2013-02-19 Keihin Corporatio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performed thereby
DE102009028522B4 (de) * 2009-08-13 2017-05-11 Hanon Systems Kompakte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CN103402795B (zh) * 2011-02-24 2016-01-2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车辆用空调装置
DE102011052752A1 (de) * 2011-08-16 2013-02-2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odulare Fahrzeugklimaanlage mit Wärmepumpenfunktionalität
KR101416357B1 (ko) * 2012-09-07 2014-07-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E102012108891B4 (de) 2012-09-20 2022-01-27 Hanon Systems Klimatisierungssystem eines Kraftfahrzeuges und Luftleitvorrichtung für einen Wärmeübertra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99232A1 (en) 2017-10-19
DE102015117964A1 (de) 2016-04-28
WO2016064238A1 (ko) 2016-04-28
DE102015117964B4 (de) 2020-07-23
CN106715170A (zh) 2017-05-24
US10363792B2 (en) 2019-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118B1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KR102005418B1 (ko) 자동차의 객실 공기를 조화하기 위한 공조 시스템 및 상기 공조 시스템 내로 공기 질량 흐름을 목적에 맞게 공급하기 위한 공기 안내 장치
KR20160048678A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KR101618978B1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
CN107089111B (zh) 机动车辆的空气调节系统
US10449834B2 (en) Refrigerant circuit for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heat pump
KR2011009047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56122B1 (ko) 자동차 공조 시스템용 공기 분배 어셈블리
US20160361969A1 (en) Assembly for air distribution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n automobile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136606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221841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20200058887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90032207A (ko)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KR20190038306A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20230021911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5605362A (zh) Hvac模块和包括这样的模块的hvac系统
KR20180131405A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20190032206A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JP2008056168A (ja) バス用暖房装置
JP2004262408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