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2206A -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2206A
KR20190032206A KR1020180107678A KR20180107678A KR20190032206A KR 20190032206 A KR20190032206 A KR 20190032206A KR 1020180107678 A KR1020180107678 A KR 1020180107678A KR 20180107678 A KR20180107678 A KR 20180107678A KR 20190032206 A KR20190032206 A KR 20190032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ap
heat exchanger
heating heat
maxdefr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254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카펠만
에브지 두카
토마스 엘러스
스벤 드레이스바흐
마틴 파울 노박
마이클 피에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2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being firstly cooled and subsequently heated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B60H2001/00164Temperature regulation with more than one by-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구역을 공기 조화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 2개의 구역이 가열 열교환기(2)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온풍 경로(5, 51)를 구비하고, - 2개의 구역이 상기 가열 열교환기(2) 옆을 지나 안내되는 냉풍 경로(4, 41)를 구비하며, -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가열 열교환기(2)의 하류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공기 층화용 플랩(142)이 배치되어 있으며,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가열 열교환기(2) 다음으로, 가열 열교환기(2) 가까이에 제1 공기 안내 장치(21)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기 안내 장치는 상기 가열 열교환기(2)로부터 유출되는 온풍을 상기 공기 층화 플랩(142)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구역을 공기 조화하기 위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들은, 최대한 많은 차량 탑승자에게 좌석의 개별 온도 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구역을 갖는다. 공기 질량 흐름은 공기 조화 장치 내에 배치된 송풍기에 의해 공기 조화 장치 내로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를 통해 이송된다. 냉매 회로의 증발기의 열전달 표면 과류 시, 공기 질량 흐름은 제습 및/또는 냉각된다. 이어서 공기 질량 흐름은 냉기 경로와 온풍 경로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온풍 경로를 통해 안내된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가열 열교환기의 열전달 표면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가열 열교환기는 예를 들어, 내연 기관 구동식 드라이브를 구비한 자동차들의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들에서 내연 기관의 냉각제 회로와 연결된 열교환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기 구동식 드라이브를 구비한 차량들의 경우에는 냉각제가 전기식으로 가열될 수 있거나 가열 열교환기도 전기 히터로 형성될 수 있다. 가열 열교환기로부터 유출되는 온풍 흐름 및 증발기로부터 유출되어 냉풍 경로를 통해 안내된 냉풍 흐름은 조절 가능한 특정 혼합비로 혼합 챔버에서 결합되고, 따라서 객실용 유입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 경우 공기 조화 장치들은 예를 들면, 레그룸 및 대시보드의 출구 노즐(outlet nozzle)들을 위한 다수의 공기 토출구를 갖는다. 레그룸 토출구들과 대시보드 토출구들의 동일한 온도는 특히, 외부 온도가 따뜻한 경우에는 빈번히 부적합한 것으로 느껴짐으로써, 대시보드로부터는 최대한 냉풍이 바람직한데, 그러나 레그룸에서는 이러한 냉풍이 너무 차가운 것으로 느껴진다.
따라서 레그룸으로 향하는 공기 흐름과 대시 보드의 출구 노즐들을 위한 공기 사이에서는 온도 층화 옵션이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 조화 장치의 온풍 경로 내에 공기 층화 플랩이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공기 층화 플랩은 가열 열교환기로부터 오는 온풍을 곧바로 레그룸 토출구로 흐르게 하여 온도 층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온도 조절이 거의 완전히 저온인 경우에는 적은 공기만 가열 열교환기를 통해 흐른다. 이와 같은 적은 공기 유동으로 인해 단점적으로 공기 층화 플랩에 매우 적은 비율만 도달하고, 그 결과 공기 층화 플랩이 완전히 개방된 경우에도 온도 층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거의 완전히 냉풍으로 설정할 경우에도 온도 층화가 발생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특허 출원의 목적에서 '하류에 배치된' 그리고 이와 유사한 개념들은 공기 유동 방향과 관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부' 및 '하부' 그리고 '병렬로'라는 표현은 공기 조화 장치의 설치 상태와 관련되며, 이 경우 '상부'는 양의 y-방향으로, 그리고 '병렬로'는 x-방향으로 놓이도록 x-y 좌표계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는 적어도 2개의 구역을 공기 조화하는 데 적합하다. 대개 공기 조화 장치들은 공기 유입구 측에 유입 공기를 냉각하고 제습하는 증발기를 갖는다. 가열 열교환기는 상기 증발기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공기는 공기 조화될 각각의 구역을 위해 온풍 경로와 냉풍 경로로 분할된다. 이 경우 온풍 경로는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한다. 냉풍 경로들은 가열 열교환기 옆을 지나서 안내된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냉풍 경로가 가열 열교환기 위로 안내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냉풍 경로가 가열 열교환기 아래로 지난다. 2개의 온풍 경로는 가열 열교환기를 상부 영역과 하부 영역으로 분할한다. 가열 열교환기의 상부 영역을 통과하는 온풍 경로는 이어서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한 냉풍 흐름과 혼합되고, 그리고 가열 열교환기의 하부 영역을 통과한 온풍 흐름은 가열 열교환기 옆을 지나는 냉풍 흐름과 혼합된다.
대부분 하부 영역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은 객실의 후방 영역에, 즉 승용차의 하나 또는 다수의 뒷좌석에 할당되어 있고, 상부 공기 흐름은 적어도 하나의 앞좌석에 할당되어 있다. 상부 공기 흐름(가열 열교환기의 상부 영역을 통과하는 온풍 경로 및 상기 가열 열교환기 위로 안내되는 냉풍 경로) 및 하부 공기 흐름(가열 열교환기의 하부 영역을 통과하는 온풍 경로 및 상기 가열 열교환기 아래로 안내되는 냉풍 경로)은 이 경우 여러 번 병렬로도 설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 구역에서는 병렬로 상부/하부로 분할함으로써 4-구역 공기 조화 장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는 2개의 전방 구역(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부 좌측 및 우측 온풍 경로) 및 2개의 후방 구역(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하부 좌측 및 우측 온풍 경로)을 갖는다.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층화용 플랩을 갖는다. 이러한 플랩은, 가열 열교환기로부터의 온풍 유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가열 열교환기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가열 열교환기 다음으로 이러한 가열 열교환기 가까이에 제1 공기 안내 장치를 갖는다. 상기 제1 공기 안내 장치는 가열 열교환기로부터 나오는 공기 흐름을 공기 층화용 플랩 방향으로 안내한다. 바람직하게 온풍 흐름을 공기 층화 플랩 방향으로 안내함으로써, 온풍 흐름이 매우 적은 경우에도 이러한 온풍 흐름이 공기 층화 플랩에 도달하여 온도 층화가 가능하도록 보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조화 시스템은 유동 방향으로 가열 열교환기 하류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MaxDefrost 플랩을 갖는다. 상기 MaxDefrost 플랩은 가열 열교환기로부터 유출 시 상부 온풍 경로와 하부 온풍 경로 사이 분리 벽을 의미한다. 앞유리의 김서림을 제거하거나 앞유리 결빙을 제거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모든 온풍이 앞유리로 안내되는 Defrost 기능에서는 MaxDefrost 플랩이 개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열 열교환기의 하부 영역으로부터 오는 온풍도 앞유리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MaxDefrost 플랩 상에는 제2 공기 안내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공기 안내 장치는 제1 공기 안내 장치와 공기 층화 플랩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온풍 흐름이 추가 구간에 걸쳐 안내되고, 그 결과 훨씬 더 많은 양의 온풍 흐름이 공기 층화 플랩에 도달하고 훨씬 더 큰 온도 층화가 가능하다. 제2 공기 안내 장치를 MaxDefrost 플랩 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플랩이 Defrost 기능에서 온풍의 유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보장되는데, 그 이유는 MaxDefrost 플랩 개방 시 제2 공기 안내 장치가 온풍 유동 경로로부터 함께 제거되기 때문이다.
특히 바람직하게 제2 공기 안내 장치는 MaxDefrost 플랩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측면 웨브에 의해 상기 MaxDefrost 플랩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공기 안내 장치를 갖는 MaxDefrost 플랩이 채널을 형성하고, 이러한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안내를 더욱 용이하게 한다.
계속해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온풍 경로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가열 열교환기 앞에 플랩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풍 경로의 플랩과 가열 열교환기 사이에는 제3 공기 안내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흐름은 공급 시에도 가열 열교환기로 배향되어 온도 층화 가능성이 추가로 개선된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 제3 공기 안내 장치는 공기가 가열 열교환기를 통해 그 뒤에 있는 제1 공기 안내 장치로 "전달되도록" 배향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3 공기 안내 장치는, 제1 공기 안내 장치가 그 사이에 있는 가열 열교환기와 동일 평면에 놓이도록 배향되어 있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 예에서, 온풍 흐름의 플랩은 수평 x-방향으로 놓인 중앙 회전축을 갖는다. 상기 회전축의 이러한 위치에 의해 플랩 개방 시 상부 및 하부 개구가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4 공기 안내 장치는 상기 온풍 경로의 플랩의 개방 각도가 작은 경우에 회전축 위에서, 즉 상기 플랩의 상부 개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수 없도록 배치 및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공기 안내 장치의 일부분이 호상으로 형성되어 플랩 에지의 온풍 경로의 플랩 개방 시 제4 공기 안내 장치와 플랩 사이에 매우 작은 갭만 남음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매우 적은) 온풍 흐름의 방향 설정이 더욱 용이하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 제3 공기 안내 장치도 마찬가지로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플랩의 하부 개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제3 공기 안내 장치에 의해 "인용"되어 가열 열교환기로 안내된다.
이 경우 제4 공기 안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온풍 경로의 플랩의 약 15°의 개방 각도까지 또는 온풍 경로 플랩의 최대 개방 각도의 30%까지 상기 플랩의 회전축 위에서 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계속해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공기 안내 장치와 제3 공기 안내 장치가 수평 x-방향으로 가열 열교환기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기 안내 장치들 주위로 흐르는 것이 불가능하다.
바람직한 추가 실시예에서, MaxDefrost 플랩과 공기 층화 플랩은 공통 운동학(kinematics)에 의해 구동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메커니즘이 가열 열교환기 옆을 항상 복잡하게 지나는 MaxDefrost 플랩과 온도 플랩의 공지된 연결에 비해, MaxDefrost 플랩과 공기 층화 플랩은 서로 가까이 놓이기 때문에 이러한 두 플랩의 연결은 바람직하게 간단히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 MaxDefrost 플랩과 공기 층화 플랩은, 상기 MaxDefrost 플랩이 개방되기 전에 공기 층화 플랩이 폐쇄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Defrost 기능에서, 공기 층화 플랩에 의해 온풍이 소실되지 않도록 보장된다. 또한, 예를 들면, 오작동으로 인해 인접한 플랩들의 발생 가능한 충돌도 배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바람직하게 연결은 MaxDefrost 플랩이 폐쇄된 후에야 비로소 공기 층화 플랩이 다시 개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정상 작동(normal operation) 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정상 작동 시 온풍 경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정상 작동 시 온풍 경로를 도시한 3D 도면이고,
도 4는 Defrost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Defrost 작동 시 온풍 경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그리고
도 6은 Defrost 작동 시 온풍 경로를 도시한 3D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는 승용차의 앞좌석을 위한 2개의 공기 조화 구역과 뒷좌석을 위한 2개의 공기 조화 구역을 갖는 4-구역 공기 조화 장치이다. 도 1의 단면도는 절단 부분을 도시하고, 이 경우 절단면은 법선 벡터(normal vector)로서 x-축을 기준으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1)는 유입되는 공기를 먼저 증발기(3)를 통해 안내하고, 이러한 증발기는 공기를 냉각시키고 제습한다. 상기 증발기(3)를 통과한 후, 공기 흐름은 공기 조화 장치(1)의 전방 구역들을 위한 냉풍 경로(4), 전방 구역들을 위한 온풍 경로(5) 그리고 후방 구역들을 위한 공기 경로로 분할되며, 이때 상기 공기 경로는 온도 플랩(15)에 의해 조절되고 후방 구역을 위한 온풍 경로(51)와 후방 구역을 위한 냉풍 경로(41)로 분할된다.
증발기(3)의 하류에는 가열 열교환기(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온풍 경로(5)는 상기 열교환기(2)를 통해 안내된다. 상기 가열 열교환기(2) 앞에서 온풍 경로(5)는 플랩(162) 갖는다. 가열 열교환기(2)를 통해 안내되는 상기 냉풍 경로(4)도 마찬가지로 플랩(161)을 갖는다. 상기 후방 구역을 위한 공기 경로는 온도 플랩(15)에 의해 가열 열교환기(2)의 하부 부분을 통해 안내되는 온풍 경로(51)와 상기 가열 열교환기(2) 아래에서 이러한 가열 열교환기 옆을 지나 안내되는 냉풍 경로(41)로 분할된다. 온풍 경로(51)는 가열 열교환기(2)를 벗어난 후 상기 가열 열교환기 아래로 안내되며, 그곳에서 냉풍 경로(41)와 혼합된 다음 후방 구역을 위한 공기 토출구(18)를 통해 유출된다. 가열 열교환기(2)의 하류에 배치된 MaxDefrost 플랩(17)은 가열 열교환기(2) 내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가열 열교환기(2)를 통해 유입되는 온풍 흐름을 전방 온풍 경로(5)와 후방 온풍 경로(51)로의 분할에 상응하게 분할한다.
도시된 모든 도면은 단면도이며, 그 결과 항상 2개의 구역만, 즉 하나의 전방 구역과 하나의 후방 구역이 개시되어 있다.
열교환기(2)의 하류에 배치된 영역에는, 온풍 흐름(5)과 냉풍 흐름(4)이 만나서 혼합되는 전방 구역을 위한 혼합 챔버(6)가 위치한다. 상기 혼합 챔버(6)로부터는 공기가 공기 조화 장치(1)의 토출구들로 분할되는데, 즉 다음으로 분할된다:
- 공기가 앞유리로 안내되는 관련된 플랩(111)을 갖는 MaxDefrost 토출구(11),
- 관련된 플랩(121)을 갖는 대시보드 간접 토출구(12),
- 관련된 플랩(131)을 갖는 대시보드 토출구(13), 및
- 관련된 플랩(141)과 추가 공기 층화 플랩(142)을 갖는 전방 레그룸 토출구(14).
상기 레그룸 토출구(14) 앞쪽에는 혼합 영역(143)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혼합 영역에서는 공기 층화용 플랩(142)과 레그룸 토출구용 플랩(141)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혼합된다.
MaxDefrost 플랩(17) 상에는 공기 안내 장치(171)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 열교환기(2)의 출구에도 마찬가지로 공기 안내 장치(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안내 장치(171, 21)들은, 가열 열교환기(2)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 공기 층화용 플랩(142)으로 안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방 온풍용 플랩(162)이 중앙에 배치된 회전축(165)을 가짐으로써, 개방 시 일부 공기 흐름이 상기 회전축(165) 위에서 흐르고, 그리고 일부 공기 흐름이 회전축(165) 아래에서 상기 플랩(162)을 통해 흐른다. 플랩(162)은 공기 안내 장치(163)를 구비하고, 이러한 공기 안내 장치는 상기 플랩(162)의 개방 각도가 작을 때, 공기가 회전축(165) 위에서 개구를 통해 유입될 수 없도록 한다. 추가 공기 안내 장치(164)는, 플랩(162)의 회전축(165) 아래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곧바로 가열 열교환기(2)로 안내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열 열교환기(2)를 관류한 다음, 이러한 공기 흐름은 공기 안내 장치(21 및 171)로부터 공기 층화 플랩(142)으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온풍을 곧바로 공기 층화 플랩(142)으로 공급함으로써, 온풍 비율이 낮고, 이와 관련하여 전방 온풍 경로용 플랩(162)의 개방 각도가 작을 때에도 온풍 흐름이 공기 층화 플랩(142)으로 안내될 수 있고, 따라서 전방 레그룸 토출구(14)와 대시보드 토출구(12, 13)들 사이에서 관련된 온도 층화가 달성될 수 있다.
도 2는 온풍 경로(5)의 상세도를 보여준다. 전방 온풍 플랩(162)의 개방 위치는, 공기 안내 장치(163)에 의해 전방 온풍 플랩(162)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이 거의 완전히 방지될 정도로 작고, 그리고 온풍 경로가 완전히 전방 온풍 플랩의 하부 영역 내에 유입된다. 상기 위치에서 상기 공기 흐름은 공기 안내 장치(164)를 통해 곧바로 가열 열교환기(2)로 안내되며, 상기 가열 열교환기(2)를 거친 후 공기 안내 장치(21 및 171)들을 통해 공기 층화 플랩(142)으로 안내된다. 공기 층화 플랩(142) 내로 유입되지 않는 온풍의 일부는 혼합 챔버(6) 내로 흐르고, 그곳에서 대시보드 토출구(13 및 12)들과 레그룸 토출구 플랩(141)용 공기의 혼합에 이용된다.
도 3은 도 1의 도면을 3차원으로 도시한다. 공기 안내 장치(164, 163, 21 및 171)들이 잘 나타나 있다. 상기 공기 안내 장치(171)는 가급적 플랩(17)에 평행하게 배향된 공기 안내 표면을 갖고, 이러한 공기 안내 표면은 측면 웨브에 의해 플랩(17)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공기 안내 장치(164 및 21)들은 챔버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평면 플레이트형 구조물이므로, 결과적으로 공기가 상기 공기 안내 장치들 옆으로 지나갈 수 없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공기 조화 장치(1)가 정상 작동 상태로 있다. 즉, MaxDefrost 플랩(111)이 폐쇄되어 있거나 약간만 개방되어 있고, 대시보드 토출구용 플랩(121, 131)들은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온도 층화용 플랩(142)은 개방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대시보드 토출구(13, 12)들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공기가 전방 레그룸 토출구(14)로 공급될 수 있다. 전방 온풍 플랩(162)이 약간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플랩(162) 아래에 있는 공기 흐름만 유입될 수 있고, 공기 안내 장치(164)로부터 곧바로 가열 열교환기(2)로 안내된다. 가열 열교환기(2)를 거친 후, 가열된 공기는 MaxDefrost 플랩(17)과 함께 공기 층화용 플랩(142) 방향으로 채널을 형성하는 공기 안내 장치(2)를 통해 그리고 이어서 공기 안내 장치(171)를 통해 마찬가지로 MaxDefrost 플랩(17)과 함께 공기 층화용 플랩(142) 방향으로 채널을 형성하는 공기 층화용 플랩(142)으로 공급된다. 나머지 온풍은 y-방향으로 상부로 혼합 챔버(6)로 상승한다.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도 플랩(15)은, 공기가 원하는 온도로 혼합되어 후방용 토출구(18)를 통해 배출되도록 회전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도면을 Defrost 작동에서 도시한다. 이 경우 MaxDefrost 플랩(17)이 아래로 접혀 있고, 그 결과 가열 열교환기(2)를 통해 흐르는 전체 공기가 혼합 챔버(6) 방향으로 아래로 흐른다. 전방 온풍 플랩(162)이 완전히 개방되어 있고, 그 결과 공기가 상기 플랩(162)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상기 플랩(162) 아래에서도 가열 열교환기(2)로 흐를 수 있다. 전방 냉풍 플랩은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유사하게 후방 구역들을 위한 온도 플랩 역시, 온풍 경로(51)가 완전히 개방되고, 냉풍 경로(41)가 완전히 폐쇄되도록 배향되어 있다. MaxDefrost 플랩(17) 상에 배치된 공기 안내 장치(171)는 이 MaxDefrost 플랩(17)에 의해 아래로 이동되며, 그 결과 상부로, y-방향으로 방향 설정된 공기 흐름이 방지된다. 전방 냉풍 플랩(161)은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대시보드 내 토출구들용 플랩(121, 131)들 및 전방 레그룸 토출구 플랩(141) 그리고 공기 층화 플랩(142)도 완전히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 공기 흐름이 증발기(3)로부터 가열 열교환기(2)를 통해 흐른 다음, Defrost 토출구(11)로 흐르고, 공기 조화 장치(1)에 의해 이용 가능한 온풍이 김이 서리거나 결빙된 앞유리에 이용된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및 도 3과 유사한 도면을 Defrost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다.
1: 공기 조화 장치
2: 가열 열교환기
21: 공기 안내 장치
3: 증발기
4: 제1 및 제2 구역의 냉풍 경로
41: 제3 및 제4 구역의 냉풍 경로
5: 제1 및 제2 구역의 온풍 경로
51: 제3 및 제4 구역의 온풍 경로
6: 제1 및 제2 구역의 혼합 챔버
11: Defrost 토출구
111: Defrost 플랩
12: 대시보드 간접 토출구
121 대시보드 간접 토출구 플랩
13: 대시보드 토출구
131: 대시보드 토출구 플랩
14: 전방 레그룸 토출구
141: 전방 레그룸 토출구 플랩
142: 공기 층화 플랩
143: 전방 레그룸 토출구 혼합 영역
15: 후방 온도 플랩
161: 전방 냉풍 플랩
162: 전방 온풍 플랩
163: 온풍 경로의 공기 안내 장치
164: 온풍 경로 플랩의 공기 안내 장치
165: 온풍 경로 플랩의 회전축
17: MaxDefrost 플랩
171: MaxDefrost 플랩의 공기 안내 장치
18: 후방 공기 토출구

Claims (11)

  1. - 2개의 구역이 가열 열교환기(2)를 통과하여 안내되는 온풍 경로(5, 51)를 구비하고,
    - 2개의 구역이 상기 가열 열교환기(2) 옆을 지나 안내되는 냉풍 경로(4, 41)를 구비하며,
    -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가열 열교환기(2)의 하류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공기 층화(air stratification)용 플랩(142)이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구역을 공기 조화하기 위한 공기 조화 장치(1)로서,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가열 열교환기(2) 다음으로, 이 가열 열교환기(2) 가까이에 제1 공기 안내 장치(21)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제1 공기 안내 장치는 상기 가열 열교환기(2)로부터 유출되는 온풍을 상기 공기 층화 플랩(142)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유동 방향으로 상기 가열 열교환기(2)의 하류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MaxDefrost 플랩(17)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MaxDefrost 플랩은 상기 가열 열교환기(2)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를 2개 구역으로 분할하며, 이때 상기 MaxDefrost 플랩(17)은 제2 공기 안내 장치(171)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공기 안내 장치는 상기 제1 공기 안내 장치(21)와 공기 층화 플랩(1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 안내 장치(171)가 상기 MaxDefrost 플랩(17)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측면 웨브에 의해 상기 MaxDefrost 플랩(17)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공기 조화 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경로(5)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가열 열교환기(2) 앞에 플랩(162)을 구비하고, 이때 상기 온풍 경로의 플랩(162)과 가열 열교환기(2) 사이에 제3 공기 안내 장치(16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경로의 플랩(162)이 수평 x-방향으로 중앙 회전축(165)을 갖고, 제4 공기 안내 장치(163)는, 상기 온풍 경로의 플랩(162)의 개방 각도가 작을 때 공기가 상기 회전축(165) 위에서 상기 온풍 경로(5) 내로 유입될 수 없도록 배치 및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회전축(165) 아래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3 공기 안내 장치(164)로부터 상기 가열 열교환기(2)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공기 안내 장치(163)가 상기 온풍 경로의 플랩(162)의 15°의 개방 각도까지 상기 플랩의 회전축(165) 위에서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안내 장치(21) 및 제3 공기 안내 장치(164)가 상기 가열 열교환기(2)의 전체 폭에 걸쳐 수평 x-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공기 안내 장치(164)와 제1 공기 안내 장치(21)가 상기 가열 열교환기(2)의 동일한 높이(y-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9. 제1항에 있어서,
    MaxDefrost 플랩(17)과 공기 층화 플랩(142)이 공통 운동학(kinematics)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10. 제9항에 있어서,
    MaxDefrost 플랩(17) 및 상기 공기 층화 플랩(142)은, 상기 MaxDefrost 플랩(17)이 개방되기 전에 상기 공기 층화 플랩(142)이 폐쇄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axDefrost 플랩(17)이 폐쇄된 후에야 비로소 상기 공기 층화 플랩(142)이 다시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1).
KR1020180107678A 2017-09-19 2018-09-10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2103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1666 2017-09-19
DE102017121666.9 2017-09-19
DE102018121512.6A DE102018121512A1 (de) 2017-09-19 2018-09-04 Klimagerä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121512.6 2018-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206A true KR20190032206A (ko) 2019-03-27
KR102103254B1 KR102103254B1 (ko) 2020-04-23

Family

ID=65527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678A KR102103254B1 (ko) 2017-09-19 2018-09-10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03254B1 (ko)
DE (1) DE10201812151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29A (ko) * 2001-03-27 2002-10-0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30019702A (ko) * 2001-08-30 2003-03-07 한라공조주식회사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6029A (ko) * 2001-03-27 2002-10-09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20030019702A (ko) * 2001-08-30 2003-03-07 한라공조주식회사 2층 공기유동구조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254B1 (ko) 2020-04-23
DE102018121512A1 (de)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023B1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CN108367654B (zh) 车用空调
US6595276B2 (en) Vehicular heating and air conditioning unit including plural air-mixing spaces
KR1014847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10155497A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170299232A1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cooling and drying air in passenger compartment of vehicle
US9956843B2 (en) Climate control system
KR2019007198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01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S6312005B2 (ko)
KR102056123B1 (ko) 자동차 공조 시스템용 공기 분배 어셈블리
KR20110090478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136606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2136642B1 (ko)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KR20190032206A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JP705275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411488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CN111731064B (zh) 具有空调器的车辆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524549B2 (en) Off set tri-zone sliding temperature door strategy
KR20160135033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