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642B1 -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642B1
KR102136642B1 KR1020180107692A KR20180107692A KR102136642B1 KR 102136642 B1 KR102136642 B1 KR 102136642B1 KR 1020180107692 A KR1020180107692 A KR 1020180107692A KR 20180107692 A KR20180107692 A KR 20180107692A KR 102136642 B1 KR102136642 B1 KR 10213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
outlets
evaporator
das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207A (ko
Inventor
크리스토프 카펠만
에브지 두카
토마스 엘러스
스벤 드레이스바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3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1)는 증발기(11)를 가지며, 유입구에서 공기는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여 상기 냉난방 장치(1) 내로 안내된 다음 냉각 및 제습된다. 상기 증발기(11) 위에는 디프로스트 배출구(2)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는 설치 상태에서 비스듬히 전방으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에 인접하여, 즉 설치 상태에서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 아래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대시보드 배출구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시보드 배출구는 상기 증발기(11)와 디프로스트 배출구(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대시보드 배출구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시보드 배출구와 하나 이상의 추가 대시보드 배출구 사이에 놓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 사이에 분리 벽(7)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 벽(7)은 상기 온풍 채널의 배출구 내로 돌출하여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가 공간적으로 분리될 때까지 계속된다. 특히, 상기 냉난방 장치(1)는 상기 증발기(11) 위에 그리고 상기 온풍 채널의 양측에 배치된 공기 안내 부재(6)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안내 부재(6)는 상기 냉풍 경로(91) 상의 증발기(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곧바로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로 흐를 수 없게 한다. 상승하는 차가운 공기는 상기 공기 안내 부재(6)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 또는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추가 배출구 중 하나로 안내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HEATER/AIR CONDITIONING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들은 갈수록 모든 차량 탑승자에게 좌석의 개별적인 온도 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3 또는 4 구역을 갖추고 있다. 냉난방 장치 내에 배치된 팬에 의해, 공기 질량 흐름은 냉난방 장치 내로 그리고 냉난방 장치를 통해 운반된다. 냉매 회로 증발기의 열전달 표면 과류 시,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은 제습 및/또는 냉각된다. 이어서 공기 질량 흐름은 냉풍 경로와 온풍 경로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풍 경로를 통해 안내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가열 열교환기의 열전달 표면을 통해 안내되며, 이러한 가열 열교환기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종래의 공기 조화 시스템들에서는 내연 기관의 냉각제 회로에 연결된 열교환기로서 내연 기관 구동 드라이브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 열교환기로부터 유출되는 온풍 흐름과 증발기로부터 유출되어 냉풍 경로를 통해 안내되는 냉풍 흐름은 혼합 챔버에서 조절 가능한 특정 혼합비로 결합되어 객실용 유입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멀티 존 냉난방 장치(multi-zone-heater/air conditioning)로도 지칭되는 다구역을 갖는 냉난방 장치들의 경우, 각각 온풍 흐름과 냉풍 흐름의 개별화 가능한 혼합 비율을 보장하기 위해 모든 구역에 혼합 챔버가 제공되어 있다.
여러 구역을 공기 조화하기 위해, 냉난방 장치는 다수의 배출구를 갖는다. 소위 디프로스트 배출구는 냉난방 장치에서 전면에, 즉 설치 상태에서 전방 상부로 정렬되어 디프로스트 기능에 의해 냉난방 장치의 사용 가능한 전체 온풍을 앞 유리 쪽으로 안내한다. 배출구 노즐의 경우 추가 배출구들은 대시보드에서 측면과 중앙에 그리고 간접 환기를 위해 제공되어 있다. 공지된 냉난방 장치에서, 대시보드의 이러한 환기용 배출구들은 후면에, 즉 내부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어 있다. 대시보드용 모든 배출구에는 동일한 온도가 제공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배출구들의 배열은 기술적으로 쉽게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후방 구역들의 공기 조화를 위한 추가 배출구들은 냉난방 장치의 하부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출구들의 배열은, 예를 들면 US 7,013,967 B2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 차량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구성은 기술적으로 차량에 통합하기가 어렵다. 즉, 특정 차량들에서는, 측면 출구들을 위해 냉난방 장치의 배출구들을 대시보드 내에 위치 설정해야 하는 요건이 존재하고, 그 결과 디프로스트 배출구가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들과 대시보드 중앙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열 문제는 디프로스트 배출구의 온도 레벨이 대시보드 배출구의 온도 레벨보다 훨씬 높고, 그러나 이러한 배열의 경우 상기 배출구들 사이로 안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술한 배출구들의 배열을 갖는 냉난방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는 증발기를 가지며, 공기는 냉난방 장치의 유입구에서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여 냉각 및 제습된다. 상기 증발기 위에는 디프로스트 배출구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는 설치 상태에서 비스듬히 전방으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에 인접하여, 즉 설치 상태에서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 아래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대시보드 배출구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시보드 배출구는 상기 증발기와 디프로스트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 대시보드 배출구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대시보드 측 배출구와 하나 이상의 추가 대시보드 배출구 사이에 놓여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 배출구는 하나의 배출구일 수 있고,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상이한 구역의 인접한 2개의 배출구일 수 있다.
계속해서 냉난방 장치는 하측에 배치된 가열 열교환기를 갖는다. 이러한 가열 열교환기는 바람직하게는 공기가 증발기 다음에, 냉풍 경로를 거쳐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거나 온풍 경로를 거쳐 가열 목적으로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냉난방 장치는 온풍 채널을 갖고, 이러한 온풍 채널은 가열 열교환기로부터 온풍을 흡수하여 디프로스트 배출구 또는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의 유입구들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프로스트 배출구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 사이에 분리 벽이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 벽은 상기 온풍 채널의 배출구 내로 돌출하여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가 공간적 분리될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분리 벽은 디프로스트 배출구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 사이 온풍 채널로부터 오는 온풍 흐름을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분리 벽은, 제조 기술상 설계의 유리함 정도에 따라 냉난방 장치의 하우징 부분 또는 온풍 채널의 부분으로 역할을 한다.
특히, 냉난방 장치는 증발기 위에 그리고 온풍 채널의 양측에 배치된 공기 안내 부재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안내 부재는 냉풍 경로 상의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곧바로 디프로스트 배출구로 흐를 수 없게 한다. 상승하는 차가운 공기는 공기 안내 부재에 의해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 또는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추가 배출구로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배출구들의 바람직한 배열을 갖고, 상기 배출구들을 마찬가지로 원하는 대로 온도 조절할 수 있는 냉난방 장치가 제공되는데, 구체적 말하면 디프로스트 배출구에 최대 이용 가능한 온풍 흐름을 공급하고 대시보드 배출구들에 온도 조절된 공기 흐름을 공급하는 냉난방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안내 부재는 냉난방 장치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냉풍이, 특히 냉풍 플랩의 개방 각이 작을 때 디프로스트 배출구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로 오버플로잉 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는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2개의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이며, 그 이유는 대부분의 냉난방 장치들에서 앞쪽 좌석들에는 상이하게 온도 조절된 공기가 공급되기 때문에, 즉 상이한 구역들이 속하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추가 배출구는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 중앙 배출구 및/또는 대시보드의 간접 환기용 배출구이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특히 바람직하게 각각 2개의 배출구가 있으며, 그 이유는 대개 앞쪽 좌석들에는 상이하게 온도 조절된 공기가 제공되기 때문에, 즉 냉난방 장치의 상이한 구역들이 속하기 때문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기 안내 부재가 만곡되어 있다. 이 경우 만곡부는 유입되는 냉풍 방향으로, 냉난방 장치의 냉풍 경로의 냉풍 플랩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경로는 가열 열교환기를 따라서 안내된다. 상기 만곡부로 인해 냉풍이 특히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 안내 부재는 냉난방 장치의 하우징의 부분 또는 온풍 채널의 부분이다. 이러한 설계는 제조 기술상 특히, 간단하므로 비용이 적게 든다.
계속해서 바람직하게 분리 벽은 냉난방 장치의 하우징의 측면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디프로스트 배출구 또는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로 흐르는 공기 흐름들의 분리가 특히 용이하고, 공기가 가장자리 영역들에서 오버플로잉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냉난방 장치의 냉풍 경로의 일부는 온풍 채널을 관통한다. 이 경우 공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개구부가 관통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온풍 흐름은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노즐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노즐의 측벽들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들, 바람직하게는 슬롯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냉풍은 이러한 개구들을 통해 온풍 흐름에 유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형상에서는 온도 플랩들의 모든 위치에서 온도 제어에 대한 반응이 우수하다. 냉풍 경로의 다른 부분은 냉풍 채널들을 통해 그리고 노즐들 사이 온풍 흐름을 따라 안내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조 기술상 간단하므로 비용이 적게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온풍 채널의 사시 단면도이며,
도 3은 온풍 채널의 더 큰 사시 단면도이고,
도 4는 공기 안내 부재를 갖는 온풍 채널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냉난방 장치의 공기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고, 그리고
도 6은 냉풍 및 온풍 경로의 관통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공기 유입구 측에서 상기 냉난방 장치(1)는 증발기(11)를 가지며, 유입되는 공기는 이러한 증발기 내에서 냉각되고 제습된다. 상기 증발기(11) 다음에는 가열 열교환기(12)가 배치되어 있으며, 프런트 영역용 온풍 경로(8)는 상부 영역에서 상기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상기 프런트 영역의 온풍 경로의 유입구에는 프런트 영역용 온풍 경로(15)가 배치되어 있다. 가열 열교환기(12) 위쪽에는 프런트 영역용 냉풍 플랩(14)이 위치하고, 냉풍은 이러한 프런트 영역용 냉풍 플랩에 의해 가열 열교환기(12)를 관통한다. 온풍 플랩(15) 아래에는 리어 구역용 온도 도어(52)가 위치한다. 상기 온도 도어(52)는 유입되는 공기 흐름을 가열 열교환기(12)를 관통하는 온풍 흐름과 상기 가열 열교환기(12) 아래에서 안내되는 냉풍 흐름으로 분할한다. 두 공기 흐름은 경로 분리 벽(53)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가열 열교환기(12) 아래에는 리어 구역들용 배출구(5)가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리어 구역들용 배출구(5)는 4개의 배출구 도어를 갖는데, 모든 측에 각 하나의 레그룸 및 환기 배출구를 갖는다. 가열 열교환기(12)를 지난 후 180° 편향되어 다시 상기 가열 열교환기(12) 아래로 안내되는 온풍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부터 오는 냉풍 흐름을 잘 혼합하여 온풍과 냉풍의 층화를 방지하기 위해, 배출구(5) 위 온풍과 냉풍의 충돌 영역에 혼합 벽(51)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혼합 벽(51)은 두 공기 흐름을 배출구(5)로 흐르게 한다.
가열 열교환기(12) 다음에 있는 영역은 셧오프 도어(13)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영역으로 분리되고, 이 경우 상기 하부 영역은 후방 배출구(5)를 이용할 수 있다. 디프로스트 기능을 위해, 셧오프 도어(13)가 개방되고 이용 가능한 전체 온풍이 디프로스트 배출구 도어(21)를 갖는 디프로스트 배출구(2)를 통해 앞 유리 쪽으로 안내된다. 또한, 냉난방 장치(1)는 프런트 레그룸들용 배출구(4)들을 갖는다. 상기 프런트 레그룸들용 배출구(42)들은 배출구 도어(42) 그리고 추가로 온풍 흐름(8) 내에 공기 층화 플랩(41)을 가지며, 이러한 공기 층화 플랩을 통해 추가 온풍은, 프런트 레그룸 배출구(4)들과 대시보드 내 배출구(33, 32, 31)들 사이에서 온도 층화를 달성하기 위해 프런트 레그룸들용 배출구(4)들로 안내될 수 있다.
가열 열교환기(12) 위에서는 온풍 채널(85)이 연결되고, 이러한 온풍 채널 내에는 냉풍 플랩(14)으로부터 오는 냉풍이 유입구 영역(9)에서 측면으로 유입된다. 유입구 영역(9)은 도 1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디프로스트 배출구(2) 아래에는,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 도어(311)를 갖는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에서 유출되는 공기는 대시보드 내 측면 배출구들로 안내된다. 또한, 냉난방 장치(1)는 대시보드의 중앙 배출구 도어(331)를 갖는 대시보드의 중앙 배출구(33)를 갖는다. 대시보드의 중앙 배출구(33)와 디프로스트 배출구(2) 사이에는 대시보드의 간접 환기용 배출구 도어(321)를 갖는 대시보드의 간접 환기용 배출구(32)가 하나 더 배치되어 있다.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가 직접 인접하기 때문에, 상기 배출구(2, 31)들 상이 영역으로부터 냉난방 장치(1) 내 위치까지 계속되는 분리 벽(7)이 제공되며, 이러한 위치에서는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가 공간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는 증발기 바로 위에 위치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온풍 채널(85)의 양측에 공기 안내 부재(6)가 제공되어 있고, 이러한 공기 안내 부재는 냉풍이 곧바로 디프로스트 배출구(2) 및/또는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 내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1)의 사시 단면도이다. 가열 열교환기(12)로부터 오는 온풍 흐름(8)은 온풍 채널(85) 내로 안내된다. 냉풍의 유입구 영역(9) 지나면 분리 벽(7)이 시작되는데, 이러한 분리 벽은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를 분리한다.
도 3은 마찬가지로 다른 절단 평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1)의 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온풍 채널(85)의 양 측면에 배치된 공기 안내 부재(6)는 냉난방 장치(1)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장된다.
도 4는 다른 절단 평면으로 도 3의 도면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공기 안내 부재(6)를 매우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5는 냉난방 장치(1)의 공기 경로들을 한 번 더 보다 정확하게 도시한다. 냉풍용 유입구 영역(9)을 갖는, 하부로부터 연결되는 온풍 채널(85)은 상측에서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 내로 안내된다. 분리 벽(7)은 두 배출구를 분리한다. 공기 안내 부재(6)는 디플로스트 배출구(2)와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로 흐르는 냉풍의 직접 경로를 차단한다. 아래쪽 측면에는 프런트 레그룸들로 연결되는 냉풍 채널(94)들이 전방 배치된다.
도 6은 온풍 채널(85) 내로 흐르는 냉풍의 유입구 영역(9)의 도면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도 6에서 온풍 채널(85)은 아래쪽으로부터 유입구 영역(9) 내로 안내되며, 이때 상기 영역에서 온풍 흐름(8)은 다수의 노즐(86)을 통해 안내된다. 냉풍 경로(91)는 측면으로, (도 6에서는 후방으로부터 이어져) 노즐들과 만난다. 냉풍은 온풍 경로(85)의 측벽(81) 내 개구(82)들을 통해 유입되어 온풍 흐름(8)과 함께 혼합 공기(87)로 혼합된다. 그러나 상기 개구들은 모든 노즐(86)들에 제공되어 있지는 않다.
1: 냉난방 장치
11: 증발기
12: 가열 열교환기
13: 셧오프 도어
14: 프런트 영역용 냉풍 플랩
15: 프런트 영역용 온풍 플랩
2: 디프로스트 배출구
21: 디프로스트 배출구 도어
31: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
311: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 도어
32: 대시보드의 간접 환기용 배출구
321: 대시보드의 간접 환기용 배출구 도어
33: 대시보드의 중앙 배출구
331: 대시보드의 중앙 배출구 도어
4: 프런트 레그룸용 배출구
41: 공기층화 플랩
42: 프런트 레그룸용 배출구 도어
5: 리어 구역용 배출구
51: 혼합 벽
52: 리어 구역용 온도 도어
53: 경로 분리 벽
6: 공기 안내 부재
7: 분리 벽
8: 온풍 경로, 온풍 흐름
81: 온풍 채널의 측벽
82: 온풍 채널의 개구
85: 온풍 채널
86: 온풍 채널의 노즐
87: 혼합 공기
9: 냉풍 공기의 유입 영역
91: 냉풍 경로
94: 프런트 레그룸의 냉풍 채널

Claims (9)

  1. 냉난방 장치(1)로서,
    - 증발기(11),
    - 상기 증발기(11)의 상측에 배치된 디프로스트 배출구(2),
    - 상기 증발기(11)와 디프로스트 배출구(2)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
    -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추가 배출구 - 상기 추가 배출구는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가 상기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추가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
    - 상기 증발기(11)의 후단에 증발기(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가열 열교환기(12),
    - 상기 가열 열교환기(12)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영역의 상측과 디프로스트 배출구(2) 또는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의 입구들을 연결하는 온풍 채널(85),
    -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 사이에 배치된 분리 벽(7) - 상기 분리 벽은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를 공간적으로 분리할 때까지 온풍 채널(85)의 배출구 안으로 돌출하며 - 그리고,
    - 상기 증발기(11) 위에 그리고 상기 온풍 채널(85)의 양측에 배치된 공기 안내 부재(6)를 포함하며,
    상기 디프로스트 배출구(2)와 상기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는, 상기 가열 열교환기(12)보다 상기 증발기(11)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부재(6)가 상기 냉난방 장치(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제1 배출구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의 측면 배출구(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용 추가 배출구가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 배출구(33) 및/또는 하나 이상의 대시보드의 간접 환기용 배출구(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부재(6)가 만곡되어 있고, 이러한 만곡부가 상기 냉난방 장치의 상기 가열 열교환기(12) 상측에 배치된 냉풍 플랩(14)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 부재(6)가 상기 냉난방 장치(1)의 하우징의 부분 또는 온풍 채널(85)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벽(7)이 상기 냉난방 장치(1)의 하우징의 측면들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장치(1)가 프런트 레그룸들용 2개의 배출구(4)를 갖고, 상기 프런트 레그룸들용 배출구(4)들이 상기 가열 열교환기(12)를 통과한 온풍 흐름(8)으로 연결될 수 있는 공기 층화 플랩(4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장치(1)가 온풍 채널(85)을 관통하는 냉풍 경로(91)를 갖고, 상기 온풍 채널(85)은 관통 영역에서 다수의 노즐(86)을 통해 안내되며, 상기 냉풍 경로(91)와 마주보는 노즐의 측벽(81)들에 공기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개구(8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KR1020180107692A 2017-09-19 2018-09-10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KR102136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21672 2017-09-19
DE102017121672.3 2017-09-19
DE102018121528.2A DE102018121528A1 (de) 2017-09-19 2018-09-04 Heiz-/Klimagerä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121528.2 2018-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207A KR20190032207A (ko) 2019-03-27
KR102136642B1 true KR102136642B1 (ko) 2020-07-23

Family

ID=6552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692A KR102136642B1 (ko) 2017-09-19 2018-09-10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6642B1 (ko)
DE (1) DE102018121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82674A1 (en) * 2022-05-24 2023-11-29 Valeo Systemes Thermiques Heating, ventilating and/o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995A (ja) * 2009-02-17 2010-09-02 Honda Motor Co Ltd 独立型デフロスタ吹出口空気温度および空気流量制御システム
WO2016185779A1 (ja) * 2015-05-20 2016-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
JP7000450B2 (ja) * 2017-03-24 2022-01-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送信のための複製パケット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0020B2 (ja) 2001-11-22 2007-08-1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DE102014107664A1 (de) * 2014-05-30 2015-12-03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Heiz-/klimagerät für kraftfahrzeu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8995A (ja) * 2009-02-17 2010-09-02 Honda Motor Co Ltd 独立型デフロスタ吹出口空気温度および空気流量制御システム
WO2016185779A1 (ja) * 2015-05-20 2016-1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
JP7000450B2 (ja) * 2017-03-24 2022-01-1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送信のための複製パケットを除去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207A (ko) 2019-03-27
DE102018121528A1 (de)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334B1 (ko) 3 또는 4 구역 자동차 공기 조절 설비의 제3 구역 및/또는 제4 구역을 위한 공기 분배 시스템
US7503383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US8460073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EP2634022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KR101445658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US10144267B2 (en) Mode door with integrated stratification features
KR20060094142A (ko)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KR20190071982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9879870B2 (en) HVAC module with anti-backflow control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056123B1 (ko) 자동차 공조 시스템용 공기 분배 어셈블리
KR102136642B1 (ko)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KR1016481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136606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103254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20080076216A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2379897B1 (ko)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336365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18993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1841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2162835B1 (ko)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
KR20120018840A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KR101126829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22014787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112279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