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6365B1 -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6365B1
KR102336365B1 KR1020200124409A KR20200124409A KR102336365B1 KR 102336365 B1 KR102336365 B1 KR 102336365B1 KR 1020200124409 A KR1020200124409 A KR 1020200124409A KR 20200124409 A KR20200124409 A KR 20200124409A KR 102336365 B1 KR102336365 B1 KR 102336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lets
air conditioner
outl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931A (ko
Inventor
제럴드 릭터
마이클 피에트
요하네스 스타우스베르크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17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6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6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이 경우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1)에 의해 온도 조절되어 객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공기 토출구들을 구비하며, 이때 상기 공기 토출구들은 상이한 공기 토출 평면들 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공기 토출구들은 서로 이격되어, 각각 공기 토출구(6.1, 6.2; 7.1, 7.2)들 사이에 위치하고 공기가 관류할 수 없는 중앙 하우징 벽 영역(9)의 양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 평면으로 분리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의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아래에서 공기 토출구들 사이에 있는 설치 공간이 설치 영역(10)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 영역 내에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 또는 기능 모듈(16, 20)이 내장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공기 흐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능성 모듈들의 장착이 허용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공기 조화 장치들은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다양한 공기 흐름들 간의 온도를 목표한 바대로 분포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쾌적함을 보장해야 한다. 이 경우 레그룸 영역의 공기 흐름들은 탑승자의 가슴 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 흐름보다 뚜렷하게 높은 온도를 가져야 한다. 이와 달리 앞유리로 토출되는 공기는 많은 경우 앞유리에 김이 서려 뿌옇게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그룸으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과 같거나 약간만 낮은 온도를 가져야 한다. 종래 방식의 공기 조화 장치 아키텍처들은 열교환기가 공기 조화 장치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배열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흐르는 부분 공기 흐름이 가열된다. 공기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열 교환기 뒤에 위치하는 소위 공기 혼합 챔버인 혼합 공간 내부로 안내된다. 온도 조절을 위해, 열교환기 위쪽에서 제2 부분 공기 흐름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쳐 공기 혼합 챔버 내부로 안내된다. 원하는 온도는 적합한 혼합비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나 공기 혼합 챔버들은 이용 가능한 설치 공간으로 인해, 완전한 혼합을 달성하기에는 너무 작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공기의 혼합 챔버로부터 유출되어 차량 실내로 이어지는 공기 토출구들은 상당한 상이하게 온도 조절되고, 그 결과 디프로스트 토출구와 같이 특히 상부 토출구들에 필요한 온도가 너무 낮아 탑승자의 쾌적함이 달성될 수 없다. 또한, 지금까지 알려진 대부분의 공기 조화 장치들은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폭에 걸쳐 y-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 토출구들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공기 토출구들에는 균형 잡힌 공기 흐름들이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공기 조화 장치들은 또한, 앞서 언급한 원하는 온도 층화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 혼합 부재들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온풍이 열교환기로부터 덕트들을 통해 예를 들면, 디프로스트 토출구와 같은 공기 조화 장치의 상부 영역으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은 해결책은, 예컨대 DE 10 2007 013 432 A1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경우 온풍 덕트는 열교환기 다음에서 온풍을 취하여 이를 목표한 바대로 공기 조화 장치의 상부 영역의 공기 토출구들로 안내하며, 이렇게 하여 상기 공기 토출구들에서 상응하게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덕트들은 대개 공기 흐름의 중앙에 위치하는데, 이 경우 상기 덕트들은 공기 경로 단면적을 줄이고 공기 흐름을 방해한다. 따라서 특히, 증발기로부터 공기 토출구들로 흐르는 공기의 공기 흐름이 방해를 받게 된다. 이러한 점은 멀티존 적용예들의 온도 모듈과 같이 다른 기능적 삽입체들에도 유사하게 적용되며, 이때 상기 삽입체들의 공기 안내 부재들은 공기 조화 장치의 공기 안내 부재들과 유사하며 마찬가지로 공기 조화 장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 경로 단면적을 줄이고 공기 흐름을 방해하는 모든 삽입체들은 압력 손실, 공기 유량 감소 그리고 공기 토출구들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의 유동 불균형을 야기한다. 공기 흐름의 감소 외에도, 삽입체들은 또한, 차량에서 듣고 감지할 수 있는 진동을 증가시켜 방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DE 101 47 114 A1호에는 온풍 가이드의 대안적인 배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 경우 추가 덕트가 공기 조화 장치를 둘러싸고 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채널이 공기 흐름 내에 있지 않다. 그러나 공기 조화 장치를 둘러싸고 이루어지는 상기와 같은 대안적인 배치가 불리한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작은 단면적과 필요한 편향부들로 인해 상기 덕트의 효율이 낮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적은 온풍 흐름만 상부 공기 토출구들로 안내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조화 장치 내에서의 공기 흐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도록 온도 혼합 또는 기능 확장을 위한 삽입체들이 허용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자동차들에 적합한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복수의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온도 조절되어 객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공기 토출구들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공기 토출구들은 상이한 공기 토출 평면들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경우 개별 공기 토출구들이 서로 이격되어, 각각 공기 토출구들 사이에 위치하고 공기가 관류할 수 없는 중앙 하우징 벽 영역의 양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개별 공기 토출구들은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 평면으로 각기 따로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의 중앙 하우징 벽 영역 아래에서 공기 토출구들 사이 설치 공간이 설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 영역 내에는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 또는 기능 모듈이 내장되어 있다.
상이한 토출구 평면들은 일반적으로 각각 하나 또는 다수의 디프로스트 토출구, 하나 또는 복수의 벤트 토출구 그리고 하나 또는 복수의 레그룸 토출구에 의해 점유되어 있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공기 토출구 평면, 예컨대 디프로스트 토출구 평면, 벤트 토출구 평면 또는 레그룸 토출구 평면의 개별 공기 토출구들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각각 외부를 향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중앙에 공기가 관류하지 않은 영역이 주어진다. 이 영역은 하우징 벽에 의해 토출구들 사이에 형성한다.
본 발명의 콘셉트는, 공기 토출구들로 유입되는 공기 흐름이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배치된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는 이 경우 별도의 공기 토출구들과 소위 설치 영역을 갖추고 있으며, 이때 상기 설치 영역은 공기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장착을 허용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공기 토출구들은 y-방향으로, 즉 공기 조화 장치의 폭을 따라 각각의 공기 토출구들 사이에 간격을 두고 분리된다. 이러한 간격을 형성하는 하우징 벽 영역 아래의 영역은 기능적 특징들을 위한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증발기 또는 열교환기로부터 오는 공기 흐름은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로 분할되기 때문에, 공기가 관류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한다. 따라서 공기 토출구들 사이에서 간격을 형성하는 하우징 벽 영역 아래에 위치한 상기와 같은 영역은 기능 부재 또는 기능 모듈을 장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며, 따라서 설치 영역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장점들은, 한편으로는 주요 모드들에서의 공기 가이드에 필요하지 않는 설치 공간을 공기 조화 장치 내부에 형성하는 것,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공기 흐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기능 부재/기능 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기능 모듈은 냉풍을 하나 또는 복수의 레그룸 공기 토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냉풍 덕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 형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부재/기능 모듈은 온풍을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상부 공기 토출구 중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로, 즉 하나 이상의 디프로스트 토출구 및/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벤트 토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온풍 덕트이다.
적어도 하나의 기능 요소/ 기능 모듈은 열교환기로부터 상부 공기 출구들 중 적어도 하나, 즉 적어도 하나의 제상 출구 및/ 또는 하나 이상의 환기구로 열풍을 전달하기 위한 온풍 덕트이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되는 하우징 벽 영역 아래 기능 공간에 내장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기능 모듈은 차량의 리어존들의 개별 온도 제어를 위한 멀티존 모듈이다. 이 경우 특히 바람직하게 멀티존 모듈이 분리된, 또는 공통 축일 경우 분리 방식으로 제어 가능한 온도 플랩을 구비하는 일 실시 형태는 차량의 프런트존 및 리어존에 대한 상이한 온도 조절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흐름에 불리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기능성 모듈들의 장착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복수의 공기 토출 평면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1)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때 상기 공기 토출 평면들은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을 구비하며,
도 2는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 사이 하우징의 중앙에 있는 설치 영역 내부에서 y-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이 경우 상기 설치 영역 내에는 레그룸 토출구들로 이어지는 냉풍 덕트 형태의 기능 모듈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3은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 내부에 있는 냉풍 덕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c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토출 평면 내에서 각각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 그리고 하우징 중앙에서 차량의 리어존들의 분리된 온도 조절을 위한 기능 모듈로서 멀티존 모듈 형태의 기능 모듈을 갖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경우
도 4a는 온도 플랩들 없이, 내부 멀티존 모듈의 부분들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증발기 다음 부분에 위치하는 영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b는 내부 멀티존 모듈의 부분을 바라보고 y-축에 대해 횡 방향으로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4c는 4-존 변형예에 따라,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 설정된 차량의 프런트존 및 리어존을 위한 온도 플랩들의 배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공기 조화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때 상기 도면에서는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과 이어져 있는 팬의 팬 하우징(3)과 함께, 상기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을 볼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내에는 증발기 및 열교환기와 같은 공기 온도 조절 장치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장치는 도 1에서는 하우징 벽(4)에 의해 덮여 있어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내에는 공기 조화 장치에 의해 온도 조절되어 객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복수의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차량 실내의 상이한 영역들을 위한 공기 토출구(5; 6.1, 6.2; 7.1, 7.2; 8)들, 예컨대 앞유리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디프로스트 토출구(5) 및 탑승자의 가슴 영역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벤트 토출구(6.1, 6.2; 7.1, 7.2)들 그리고 레그룸 영역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위한 레그룸 토출구(8)들은 마찬가지로 상응하게 상이한 토출 평면들에서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트 토출구(6.1, 6.2; 7.1, 7.2)들의 2개의 상이한 토출 평면은 각각 2개의 분리된 벤트 토출구(6.1, 6.2 또는 7.1 7.2)를 포함하고, 이들 토출구는 공기 조화 장치의 횡 방향(y)을 기준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벤트 토출구(6.1, 6.2 또는 7.1, 7.2) 사이에 위치하고 하우징 벽(4)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양측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폭에 걸쳐 y-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별 디프로스트 토출구 대신, 상기 하우징 벽(4)의 일부분에 의해 형성된 중앙 영역의 양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2개의 분리된 디프로스트 토출구를 제공하는 가능성(도 1에 도시되지 않음)도 존재한다.
예컨대, 증발기 및 열교환기와 같은 공기 온도 조절 장치들로부터 오는 공기 흐름은 분리된 공기 토출구(6.1, 6.2 또는 7.1, 7.2)들로 분할되기 때문에 공기가 관류하지 않는 간극이 발생한다.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아래 벤트 토출구들 사이에 있는 상기와 같은 간극은 예컨대, 온풍 덕트와 같이 공기 가이드를 위한 기능 부재 또는 기능성 삽입체를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y-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공기 조화 장치(1)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 절단면은 설치 영역(10)으로서 이용되는 간극 내부에서, 하우징 벽(4)의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아래,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분리된 벤트 토출구들 사이에 놓여 있다.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들을 포함한다. 도 2의 개략도에 따르면, 공기 온도 조절 장치로는 증발기(11), 열교환기(12) 및 추가 가열 소자(13)가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동시에 y-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즉 공기 조화 장치(1)의 횡 방향에 평행하게 정렬되어 있다. 추가 공기 분배 장치로는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 플랩(14, 15)들, 즉 열교환기(12) 앞에 위치한 온풍 플랩(14) 그리고 공기 조화 장치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열교환기(12) 위쪽에 위치한 냉풍 플랩(15)이 제공되어 있다. 설치 영역(10) 내에는 냉풍 덕트(16) 형태의 기능 삽입체(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냉풍 덕트 내에는 냉풍 덕트 플랩(17)이 배치되어 있다. 냉풍 덕트(16)는 열교환기(12) 위쪽 영역의 온풍과의 사전 혼합 없이 냉풍 플랩(15) 바로 다음에서, 증발기(11)를 거친 냉풍을 취한 다음 이러한 냉풍을 레그룸 영역으로 안내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공기 조화 장치는,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폭에 걸쳐 y-방향으로 연장되는, 즉 서로 이격된 복수의 공기 토출구들로 분리되지 않는, 관련된 공기 플랩들을 갖는 공기 토출구들도 도시한다. 이는 디프로스트 플랩(18)을 구비한 디프로스트 토출구(5) 및 레그룸 토출 플랩(19)을 구비한 레그룸 토출구(8)와 관련이 있다.
도 3은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내부에 있는 냉풍 덕트(16)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 경우 상기 냉풍 덕트의 상부 입구는 디프로스트 토출구(5) 아래에 그리고 온풍 풀랩(14) 위에 위치한다.
도 4a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공기 토출 평면 내에서 각각 분리된 공기 토출구들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 경우에는 온도 플랩들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설치 영역(10)으로서 이용되는 설치 공간이 명확히 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설치 공간은 중앙 하우징 벽 영역(9) 아래 분리된 벤트 토출구들 사이에 위치하고, 도 4a에서는 공기 토출 평면마다 단 하나의 벤트 토출구(6.1; 7.1)를 볼 수 있다. 설치 영역(10) 내에는 차량의 리어존들을 개별 온도 조절하기 위한 내부 멀티존 모듈(20)의 형태의 기능 삽입체(20)가 내장되어 있다. 도 4a는 - 공기의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 증발기 다음에 위치한 공기 조화 장치(10)의 영역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이때 상기 공기 조화 장치 내에는 멀티존 모듈(20)이 삽입되어 있다. 즉, 도 4a에는 증발기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제로 공기 조화 장치(1)의 전체 연장부에 걸쳐 y-방향으로 연장되는 열교환기(12)가 도시되어 있다. 멀티존 모듈(20)의 각 부분(21.1, 21.2)과 하우징 중간 벽(22)의 연장부는 x-방향 및 z-방향에서, y-방향의 각각의 연장부보다 훨씬 더 크며, 이때 상기 하우징 중간 벽 상에는 바람직하게 U자형 볼 형태(bowl-shaped)로 형성된 멀티존 모듈(20)의 부분(21.1, 21.2)들이 양측에 고정되어 있다. 멀티존 모듈(20)의 부분(21.1, 21.2)들과 하우징 중간 벽(22)은 그들의 하부면에 열교환기(12)의 높이 및 두께 상응하는 리세스를 갖는다. 이 경우 상기 부분(21.1, 21.2)들과 하우징의 중앙 벽(22)의 리세스들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12)가 상기 리세스들 내에 배치됨으로써, 멀티존 모듈(20)을 횡 방향(y)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상호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멀티존 모듈(20)은 마찬가지로 도 4b의 상응하는 단면도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증발기(11)까지 그리고 이에 따라 증발기(11)와 열교환기(12) 사이의 영역까지 도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 4b는, 분리 벽으로서 작용하는 볼 형상의 멀티존 모듈(20)의 부분(21.1)의 수직 영역을 외부로부터 바라보고 y-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공기 조화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이때 상기 멀티존 모듈은 4-존 변형예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면적은 제1 또는 제2 존으로 흐르는 공기 유동을 위한 제어 부재들 및 공기 유동 경로들을 나타낸다. 공기 조화 장치(1)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들을 포함한다. 공기 분배 장치로는 팬(23) 및 공기 플랩들이 제공되어 있고, 공기 온도 조절 장치로는 증발기(11), 열교환기(12) 및 추가 가열 소자(13)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팬(23), 증발기(11), 열교환기(12) 및 추가 가열 소자(13)는 잇달아 배치되어 있고, 동시에 y-방향에 평행하게, 즉 공기 조화 장치(1)의 횡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추가 공기 분배 장치로는 냉풍 및 온풍 공기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해 온도 플랩(14, 15)들, 즉 열교환기(12) 앞에 위치한 온풍 플랩(14)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2) 상부에 위치한 냉풍 플랩(15)이 제공되어 있다. 더 나아가 도 4b는 상이한 공기 토출구들 또는 공기 토출 덕트들 그리고 프런트존들을 위한 관련된 공기 토출구들을 도시하는데, 즉 디프로스트 플랩(18)을 구비한 디프로스트 토출구(5), 상응하는 벤트 플랩(24, 25)들을 구비한 벤트 토출구(6.2, 7.2)들 그리고 프런트존 중 하나의 프런트 존을 위한 레그룸 토출구 플랩(19)을 구비한 레그룸 토출구(8)를 도시한다. 도 4b는 각각 토출 평면 내에서 분리된 벤트 토출구(6.1, 6.2; 7.1, 7.2) 중 하나의 벤트 토출구(6.2; 7.2)만 도시한다(도 1 참조).
도 4c는 증발기와 열교환기 사이에 위치 설정된, 4-존 변형에 상응하는 멀티존 모듈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1)의 온도 플랩들의 배치를 정면도로 도시한다. 이 경우 프런트존들을 위한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로서 온도 플랩(14.1, 14.2; 15.1, 15.2)들은 중앙에 배치된 리어존들을 위한 냉풍 및 온풍 흐름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부재로서 상대적으로 더 작은 온도 플랩(14.3, 14.4; 15.3, 15.4)들과 동일한 축(26, 27)들 상에서 상기 멀티존 모듈(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러나 이때 상기 온도 플랩(14.1, 14.2; 15.1, 15.2)들은 상기 온도 플랩(14.3, 14.4; 15.3, 15.4)들과 무관하게 그리고 상호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리어존들을 위한 온풍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중간 온풍 플랩(14.3, 14.4)은 각각 외부에서 인접한, 프런트존들을 위한 온풍을 제어하기 위한 온풍 플랩(14.1, 14.2)들과 동일한 축(26) 상에 배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리어존들을 위한 냉풍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중간 냉풍 플랩(15.3, 15.4)은 각각 외부에서 인접한, 프런트존들을 위한 냉풍을 제어하기 위한 2개의 냉풍 플랩(15.1, 15.2)과 동일한 축(27) 상에 배치되어 있다.
1: 공기 조화 장치
2: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
3: 팬 하우징
4: 하우징 벽
5: 공기 토출구, 디프로스트 토출구
6.1: 공기 토출구, 벤트 토출구
6.2: 공기 토출구, 벤트 토출구
7.1: 공기 토출구, 벤트 토출구
7.2: 공기 토출구, 벤트 토출구
8: 공기 토출구, 레그룸 토출구
9: 중앙 하우징 벽 영역
10: 설치 영역
11: 증발기
12: 열교환기
13: 전기 가열 소자
14: 온도 플랩, 온풍 플랩
14.1: 멀티존 모듈의 측면에 위치 설정된 프런트존용 온풍 플랩
14.2: 멀티존 모듈의 측면에 위치 설정된 프런트존용 온풍 플랩
14.3: 멀티존 모듈 내에 위치 설정된 리어존용 온풍 플랩
14.4: 멀티존 모듈 내에 위치 설정된 리어존용 온풍 플랩
15: 온도 플랩, 냉풍 플랩
15.1: 멀티존 모듈의 측면에 위치 설정된 프런트존용 냉풍 플랩
15.2: 멀티존 모듈의 측면에 위치 설정된 프런트존용 냉풍 플랩
15.3: 멀티존 모듈 내에 위치 설정된 리어존용 냉풍 플랩
15.4: 멀티존 모듈 내에 위치 설정된 리어존용 냉풍 플랩
16: 기능 모듈, 레그룸 토출구로의 냉풍 덕트
17: 냉풍 덕트의 공기 플랩
18: 디프로스트 플랩
19: 레그룸 토출구 플랩
20: 기능 모듈, 멀티존 모듈
21.1: 멀티존 모듈의 부분
21.2: 멀티존 모듈의 부분
22: 하우징 중간 벽
23: 팬
24: 벤트 플랩
25: 벤트 플랩
26: 온풍 플랩용 축
27: 냉풍 플랩용 축

Claims (6)

  1.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1)로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하나 이상의 공기 조화 장치 하우징(2)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증발기(11), 열교환기(12), 복수의 공기 온도 조절 및 공기 분배 장치 그리고 상기 공기 조화 장치(1)에 의해 온도 조절되어 객실로 토출되는 공기를 위한 공기 토출구들을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공기 토출구들은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상이한 토출 평면 상에 배치되어, 각각 공기 토출구(6.1, 6.2; 7.1, 7.2)들 사이에 기능 모듈이 설치되는 설치 영역(10)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토출구들은 차량의 횡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들 중 일부는 자동차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능 모듈은 상기 설치 영역(10)에 삽입되는 삽입체로서, 상기 삽입체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11)를 통과한 공기를 차량의 후석측으로 공급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기능 모듈이 차량의 리어존들을 개별적으로 온도 조절하기 위한 멀티존 모듈(20)로서, 차량의 프런트존 및 리어존의 상이한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멀티존 모듈(20)이 전석 측 온도 플램과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온도 플랩(14.1, 14.2, 14.3; 15.1, 15.2, 15.3, 15.4)들을 구비하고,
    상기 상이한 토출 평면들이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디프로스트 토출구(5), 하나 또는 복수의 벤트 토출구(6.1, 6.2; 7.1, 7.2) 그리고 하나 또는 복수의 레그룸 토출구(8)에 의해 점유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토출구(5), 벤트 토출구((6.1, 6.2; 7.1, 7.2) 보다 상기 레그룸 토출구(8)가 상대적으로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능 모듈이 상기 레그룸 토출구(8)로 공기를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냉풍을 하나 또는 복수의 레그룸 공기 토출구(8)로 안내하기 위한 냉풍 덕트(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모듈이 온풍을 상기 열교환기(12)로부터 상기 공기 토출구 중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구로 안내하기 위한 온풍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200124409A 2017-07-28 2020-09-25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2336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7178.9 2017-07-28
DE102017117178 2017-07-28
DE102018117956.1A DE102018117956A1 (de) 2017-07-28 2018-07-25 Klimagerä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117956.1 2018-07-25
KR1020180087380A KR20190013587A (ko) 2017-07-28 2018-07-26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80A Division KR20190013587A (ko) 2017-07-28 2018-07-26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931A KR20200117931A (ko) 2020-10-14
KR102336365B1 true KR102336365B1 (ko) 2021-12-09

Family

ID=650039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80A KR20190013587A (ko) 2017-07-28 2018-07-26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20200124409A KR102336365B1 (ko) 2017-07-28 2020-09-25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80A KR20190013587A (ko) 2017-07-28 2018-07-26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90013587A (ko)
DE (1) DE1020181179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2946A (ja) * 2009-01-13 2010-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47114B4 (de) 2001-09-25 2005-11-0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earbor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Temperieren und Belüften von Kraftfahrzeugen
DE102007013432B4 (de) 2007-03-15 2014-09-04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Warmluftkanal für ein Klimagerät eines Kraftfahrzeuges
KR101578095B1 (ko) * 2009-08-31 2015-12-1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2946A (ja) * 2009-01-13 2010-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17956A1 (de) 2019-01-31
KR20190013587A (ko) 2019-02-11
KR20200117931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67635A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3523874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H11115460A (ja) 自動車の暖房または空調装置
KR101928334B1 (ko) 3 또는 4 구역 자동차 공기 조절 설비의 제3 구역 및/또는 제4 구역을 위한 공기 분배 시스템
US20180194192A1 (en) Motor vehicle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rresponding additional module and method of assembly
KR101156302B1 (ko) 자동차용 좌우독립 공조장치
KR101663884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용 공기 안내 장치
KR102208702B1 (ko) 차량 내부 다구역 공조를 위한 공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56123B1 (ko) 자동차 공조 시스템용 공기 분배 어셈블리
US20020104330A1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336365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1986290B1 (ko) 자동차의 통기를 분배하는 방법
KR102136606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136642B1 (ko)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KR102379897B1 (ko)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KR20220001331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4051462A (zh) 用于三或四hvac系统中的独立后区的独特空气流输送路径
KR1018993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1841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US11117443B2 (en) Multi-zone HVAC module
US20220305875A1 (en) Control device, and associated heating and/or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motor vehicle and temperature management method
US11524549B2 (en) Off set tri-zone sliding temperature door strategy
KR20100006970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2087821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