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419B1 -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419B1
KR102218419B1 KR1020180155180A KR20180155180A KR102218419B1 KR 102218419 B1 KR102218419 B1 KR 102218419B1 KR 1020180155180 A KR1020180155180 A KR 1020180155180A KR 20180155180 A KR20180155180 A KR 20180155180A KR 102218419 B1 KR102218419 B1 KR 10221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guide device
conditioning system
ai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2417A (ko
Inventor
요하네스 스타우스베르크
토르스텐 클라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2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85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door being a rotating disc or cylinder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07Details of pivot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이송하고 공조하기 위한 수단들을 갖는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1)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조 시스템(1)은 공기 분배기(4)를 포함하는 하우징(2)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분배기는 공기 배출구(4a, 4b, 4c)들 그리고 동시에 관류 가능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유동 경로(7, 8)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4a, 4b, 4c)들과 유동 경로(7, 8)들은 각각 혼합 챔버(9)와 이어져 있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유동 경로(7)와 제2 유동 경로(8)를 통해 가이드 된 공기 질량 흐름들은 상이한 온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공조 시스템(1)은 상기 공기 배출구 중 하나의 공기 배출구(4a, 4b, 4c)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 장치(5a, 5b, 5c)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하우징(2) 내부에는 상기 제1 유동 경로(7)를 제한하는 벽(10)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 장치(5b)는 제1 단부 위치에서, 상기 혼합 챔버(9) 안까지 돌출하도록 상기 벽(10)을 연장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상기 혼합 챔버(9) 안까지 돌출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벽 내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단부 위치에서는 공기 배출구(4b)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는 중간 위치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4b)로 이어지는 제1 유동 경로(7)의 유동 단면을 릴리스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공기를 이송하고 공조하기 위한 수단들을 갖는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공조 시스템은 공기 분배기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 분배기는 공기 배출구들 및 동시에 관류 가능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유동 경로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공기 배출구들과 유동 경로들은 각각 혼합 챔버와 이어지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유동 경로와 제2 유동 경로를 통과한 공기 질량 흐름들은 상이한 온도를 갖는다.
자동차의 경우, 증가하는 기술 부품들의 수 때문에, 이러한 부품들의 배치 방법을 통해 원하는 기능의 다양성이 반드시 보장될 수 있도록 설치 체적과 관련한 최적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혼합 챔버, 유동 안내 장치 및 와류 장치 형태로 된 고정식 에어컨 장치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부피가 큰 공조 부품들은 적은 공간 비율 때문에 자동차에 삽입될 수 없다.
공급된 공기 질량 흐름을 공조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분할하며, 그리고 개별 공기 질량 흐름들을 차실의 상이한 영역들로 안내하는 자동차 에어컨 장치의 추가 요건은, 위치와 기능에 따라 공조 시스템의 여러 공기 배출구에 온도가 조절된 상이한 공기 질량 흐름을 공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공급된 공기 질량 흐름은 여러 열교환기를 통과함으로써, 공기가 냉각 및 제습되고, 그리고 필요한 경우 다시 가열된 다음 차실로 안내된다. 이때 공기는 예를 들면 레그룸으로 송풍되고, 대시보드 내 개구들을 통해 차실로 송풍되며, 그리고 앞유리의 흐림 현상을 방지하거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앞유리측 배출구들을 통해 곧바로 앞유리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공조 시스템들의 경우, 차실에 공급될 공기 질량 흐름이 2개의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 분할된다. 공기 흐름의 필요한 온도는 온도 플랩들 및 상이한 제어 메커니즘들을 통해 조절된다. 이 경우 하나의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이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안내된 다음 가열된다. 동시에 냉풍으로서 제2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가열 열교환기를 우회하여 흐른다. 상이하게 온도 조절된 2개의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그 다음 차실 내 공기의 충분한 쾌적함 및 안락함을 달성하고 목표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혼합된다. 공조 시스템의 여러 공기 배출구들은 공동 혼합 챔버로부터 공급이 이루어진다.
KR 10 2005 0112279 A호에는, 특히 혼합 챔버 내에서 상이하게 온도 조절된 부분 공기 질량 흐름들의 혼합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들을 갖는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이 기술된다. 가열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가이드 벽을 따라서 혼합 챔버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가이드 벽은 혼합 챔버 내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자유 단부 섹션 상에, 냉풍과 가열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 온풍을 혼합하기 위한 공기 혼합 요소를 갖는다. 이러한 공기 혼합 요소는 공기 질량 흐름들의 와류 형성을 위해 다수의 유동 개구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종래의 공조 시스템들의 경우, 공기 배출구들의 유동 단면이 각각 에어 플랩들을 통해 2개의 단부 위치, 즉 "완전 개방"과 "폐쇄"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플랩 중 하나 이상의 에어 플랩은 레그룸측 공기 질량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에어 플랩은 상기 2개의 단부 위치 외에도 여러 중간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를 통해 레그룸으로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는 기본적으로 상기 공기 배출구의 유동 단면에 걸쳐 일정하다.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의 전체 유동 단면에 걸쳐서, 유출되는 공기의 일정한 온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기 배출구의 배치에 근거하여 에어 플랩 또는 공기 배출구의 개구가 차폐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는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의 개구를 차폐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러한 벽은 공조 시스템의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가열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 온풍이 상기 가열 열교환기를 우회하여 안내된 냉풍으로 가이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이하게 온도 조절된 2개의 부분 공기 질량 흐름은 혼합을 위해 혼합 챔버 내로 유입된 다음 상응하는 혼합 온도로 여러 공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벽 배치를 통한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의 개구 차폐 결과로서, 상기 레그룸의 공기 배출구로 흐르는 공기 질량 흐름은 혼합 챔버 영역 내에서 벽을 통과할 때 크게 편향된다. 이 경우 가열 열교환기를 통해 안내된 온풍의 자유 유동 단면이 크게 감소되며, 이는 재차 흐름 내에서 압력 손실을 크게 증가시킨다. 압력 손실 증가로 인해, 레그룸의 공기 배출구로 이송되는 공기량은 감소된다. 공조 시스템이 특히, 이러한 공조 시스템에서 공조되는 모든 공기가 가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가열 모드로 작동할 때, 공기 질량 흐름의 압력 손실은, 충분한 쾌적함 및 안락함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공기 질량 흐름을 제공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을 수 있다.
그 밖에 선행 기술에 공지된 시스템들은, 장치 측면에서 매우 복잡한 추가 요소들과 수단들을 갖고, 이들은 추가 공간을 필요로 하며, 비용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설치 복잡성 그리고 상응하는 유지 보수 복잡성을 초래한다. 또한, 추가 삽입체들은 공기 흐름에서 증가된 역압을 야기하고, 이는 재차 전력 수요와 소비 전력을 증가시키고, 더 나아가서는 자동차 전체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레그룸의 공기 배출구로 흐르는 그리고 레그룸의 공기 배출구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압력 손실 및 공조 시스템이 가열 모드로 작동할 때 압력 손실이 최소화되는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소음 배출도 감소시키기 위해, 최소한의 역압만 발생하도록 공기가 의도한 바대로 가이드 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부품들의 수뿐만 아니라 이들의 설치 공간 수요도 최소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공조 시스템이 냉풍과 온풍의 혼합이 필요한 모드로 작동할 때 공기, 특히 온풍은 공기 배출구의 전체 유동 단면에 걸쳐 유출되는 공기의 일정한 온도가 보장되도록 가이드 되어야 한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들을 갖는 대상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에 의해서 해결된다. 상기 공조 시스템은 공기를 이송 및 공조, 특히 냉각, 제습 및 가열하기 위한 수단들 그리고 공기 분배기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 분배기는 공기 배출구들 그리고 동시에 관류 가능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유동 경로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기 배출구들과 유동 경로들은 각각 혼합 챔버와 이어지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각 제1 유동 경로와 제2 유동 경로를 통과한 공기 질량 흐름은 상이한 온도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공조 시스템은 공기 배출구들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 장치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상에 따르면, 하우징 내부에는 제1 유동 경로를 제한하는 벽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배출구 중 하나의 공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 장치는 제1 단부 위치에서, 혼합 챔버 안까지 돌출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유동 경로를 제한하는 벽, 특히 제1 유동 경로를 연장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혼합 챔버 안까지 돌출하는 방식으로 배치된 벽 내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2 단부 위치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 장치는 각각 공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중간 위치에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는 각각 하나의 위치를 갖는데, 이러한 위치에서는 공기 배출구로 이어지는 제1 유동 경로의 유동 단면이 릴리스(release)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 안내 장치는 배치 및 형성을 통해 제1 단부 위치에서는 벽의 이동성 부분으로 간주될 수 있고, 중간 위치에서는 공기 배출구에 대해 큰 유동 단면을 릴리스한다.
벽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구와 제1 유동 경로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제1 유동 경로와 공기 배출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 따르면, 벽은 자유 단부에 그리고 이와 더불어 정면에 유동 안내 장치용 스톱 요소(stop element)를 갖는다. 상기 유동 안내 장치는 단부 위치들에서 각각 벽을 클로징(closing)하는 스톱 요소에 접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클로징'이라는 표현은 고정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과도 부동으로 연결된 벽이 스톱 요소에서 종료됨을 의미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스톱 요소는 정면에서 벽의 클로징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 안내 장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은 유동 안내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은 바람직하게는 유동 안내 장치에 대해 대칭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유동 안내 장치의 대칭면 내에 배치되어 유동 안내 장치에 대해 최단 거리를 갖는다.
또한, 회전축은 바람직하게 한편으로는, 공기 배출구 영역에서 이러한 공기 배출구를 제한하는 벽과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회전축은 바람직하게 스톱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톱 요소와 혼합 챔버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 안내 장치는 4개의 측면 에지와 2개의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유동 안내 장치는 바람직하게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으로 구부러지고,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 특히 중공 원통 재킷의 컷아웃(cut out)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유동 안내 장치가 서로 평행하게 직선으로 정렬된 2개의 에지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두 에지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로서 유동 안내 장치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중공 원통 재킷의 컷아웃으로 형성된 유동 안내 장치의 제1 표면은 볼록하고, 이러한 제1 표면에 마주 놓이는 방식으로 형성된 제2 표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단부 위치에서, 유동 안내 장치는 제1 단부가 벽의 스톱 요소에 접하고, 상기 벽이 상기 혼합 챔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상기 공기 배출구를 개방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유동 안내 장치의 제2 단부는 혼합 챔버 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단부 위치에서, 유동 안내 장치는 바람직하게 제2 단부가 벽의 스톱 요소에 접하고, 제1 단부는 상기 하우징에 접하는 방식으로 상기 공기 배출구를 폐쇄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장점은, 유동 안내 장치가 2개의 단부 위치의 중간 위치에서는 두 단부가 벽의 스톱 요소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는 것이며, 이 경우 제2 단부는 가열 열교환기 방향으로 가열 열교환기의 한 단부에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유동 안내 장치의 제1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구로 가이드 되는 공기 질량 흐름이 유동 안내 장치로부터 유출된 다음 벽과 하우징에 평행하게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해 안내되도록 정렬되어 있다.
또한, 유동 안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공기 배출구로 안내되는 공기 질량 흐름의 편향 요소로서, 상기 공기 질량 흐름을 벽의 스톱 요소와 오목한 형상의 제2 표면 사이로 그리고/또는 볼록한 형상의 제1 표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정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분배기는 하나 이상의 앞유리측 공기 배출구,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 및 대시 보드 내 공기 배출구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공기 배출구'는 공기 배출구들의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으며, 결과적으로 혼합 챔버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질량 흐름은,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 그룹, 앞유리측 공기 배출구 그룹 및 대시보드 내 공기 배출구 그룹과 같은 특정한 공기 배출구 그룹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 안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의 에어 플랩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개선예에 따르면,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송풍기가 형성되어 있고, 공기를 냉각 및/또는 제습하기 위한 수단으로 냉매 순환계의 증발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가열 열교환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단들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가열 열교환기는 바람직하게는 제1 유동 경로 내부에서 상기 유동 경로의 단면적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가열 열교환기와 유동 경로 벽의 접촉면은 바람직하게는 기술상 기밀 방식으로 밀폐되어 있으며, 그 결과 제1 유동 경로를 통해 가이드 된 공기 질량 흐름이 완전히 상기 가열 열교환기의 열 교환 표면을 통해 안내된다.
제2 유동 경로는 바람직하게는 가열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바이패스(bypass)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를 통해 안내된 공기 질량 흐름은 가열 열교환기의 열 교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공기 분배기 내부에 형성된 유동 경로들은, 제1 유동 경로 내에서는 온풍 공기 질량 흐름 또는 높은 온도를 갖는 공기 질량 흐름이 이송되고, 제2 유동 경로 내에서는 냉풍 공기 질량 흐름 또는 낮은 온도를 갖는 공기 질량 흐름이 이송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유동 경로들을 통해 안내된 공기 질량 흐름은 혼합 챔버 내에서 서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 안내 장치들을 갖는 유동 경로들은, 이러한 유동 경로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개방 및 폐쇄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공기 분배기를 지나는 공기 질량 흐름은 상기 유동 경로들을 통과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 분배될 수 있다.
유동 경로들의 유동 안내 장치들 및/또는 공기 배출구들의 유동 안내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유동 안내 장치가 배치된 개별 유동 단면이 0% 내지 100% 사이에서 연속으로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 시스템은 또 다른 다양한 장점들을 있다:
- 특히, 공조 시스템이 가열 모드로 작동할 때 압력 손실이 최소화됨으로써 온풍, 무엇보다도 레그룸의 공기 배출구에 대한 최대 유동 단면 및 최대 공기 질량 흐름이 달성되는 동시에, 특히 공조 시스템이 가열 모드와 다른 작동 모드로 작동할 때 요구되는 온풍과 냉풍의 혼합이 보장되며,
- 부품 수가 최소화됨으로써 설치 공간이 감소하고,
- 하우징 관류 시 역압이 최소화되며, 이와 더불어 특히 차실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와 같이 제어가 어려운 공기 배출구와 관련하여 공조 시스템의 소음 배출이 감소하고,
- 공조 시스템의 작동 효율이 상승하며, 그리고
- 차실 승객을 위한 최적의 쾌적함 및 안락함이 실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세부 사항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관련 도면들을 참조해서 이루어지는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하나의 공기 유입구와 여러 공기 배출구 그리고 하나의 공동 혼합 챔버와 이어져 있는 유동 경로들을 갖는 자동차 공조 시스템이 각각 횡단면으로 도시된 도면부에서:
도 1은 선행 기술에 따른 형태이고,
이때 상기 공조 시스템과 관련하여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의 유동 안내 장치가
도 2a에서는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온풍과 냉풍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위치로 도시되고,
도 2b에서는 개방된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를 통해 온풍을 안내하기 위한 위치로 도시되며, 그리고
도 2c에서는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가 폐쇄된 위치로 도시된다.
도 1에는 하나의 공기 유입구(3)를 갖는 하우징(2') 및 여러 공기 배출구(4a, 4b, 4c)를 갖는 공기 분배기(4')를 구비한 선행 기술의 자동차 공조 시스템(1'), 특히 에어컨 장치가 횡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조 시스템(1')은 상기 공기 유입구(3)를 통과하는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하우징(2')을 통해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송풍기를 구비한다. 기본적으로 수평 방향(x)으로 흡입된 공기는 이어서 증발기 영역을 통해 공기 분배기(4')로 안내되며, 이때 상기 공기 분배기는 앞유리측 공기 배출구(4a),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 및 대시보드 내 공기 배출구(4c)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발기 영역을 관류할 때, 공기 질량 흐름은 냉매 순환계의 증발기로 작동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1 열교환기의 열 교환 표면을 통해서 안내된다. 상기 증발기의 열 교환 표면 과류 시, 공기는 냉각 및/또는 제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증발기의 열전달 영역 과류 시에는 공기가 냉각 및/또는 제습될 수 있다. 증발기는 공기의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공기 분배기(4') 이전에 배치되어 있다.
후속해서 상기 증발기 과류 시 공조된 공기 질량 흐름은 제1 유동 경로(7), 특히 온풍 경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 질량 흐름과 제2 유동 경로(8), 특히 냉풍 경로를 통해 흐르는 공기 질량 흐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각각의 공기 질량 흐름은 전부 상기 유동 경로 중 하나의 유동 경로(7, 8)로 안내되거나 비례하여 두 유동 경로(7, 8)로 분할될 수 있다. 온풍 경로(7)를 관류할 때, 공기 질량 흐름은 수평 방향(x)에서 수직 방향(z)으로 편향된다.
온풍 경로(7)를 통해 가이드 된 공기 질량 흐름은 제2 열교환기(6), 특히 가열 열교환기 과류 시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 질량 흐름은 이어서 혼합 챔버(9) 내로 유입된 다음, 마찬가지로 상기 혼합 챔버(9) 내로 유입된, 냉풍 공기 질량 흐름과 혼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냉풍 공기 질량 흐름은 냉풍 경로(8)를 통해서 안내된다.
가열된 공기 질량 흐름은 가열 열교환기(6)에서 유출된 다음 하우징(2') 내부에서 중앙에 형성된 벽(10')을 따라서 가이드 된다.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z)과 깊이 방향(y)으로 확장된 평면 내에서 연장되는 벽(10')은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로부터 온풍 경로(7)를 분리한다.
한편으로는 수직 방향(z)으로 정렬된 벽(10')의 자유 단부와 더불어 벽(10')의 정면에는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의 에어 플랩(5b')용 스톱 요소(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 플랩(5b')은 공기 배출구(4b)가 폐쇄된 상태에서, 벽(10') 상에 형성된 스톱 요소(11')에 닿는다. 수직 방향(z)으로 스톱 요소(11')를 지나는 벽(10')의 연장부에서, 다른 한편으로 상기 벽(10')은 고정형 확장부(10-1')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움직이지 않는 고정형 확장부(10-1')는 벽(10')을 혼합 챔버(9) 안까지 연장한다. 수직 방향(z)으로 정렬된 고정형 확장부(10-1')의 자유 단부는 혼합 챔버(9)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확장부(10-1')에 의해 온풍 채널(7)은 혼합 챔버(9) 안까지 연장되며, 그 결과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의 전체 유동 단면에 걸쳐, 유출되는 공기의 일정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사전에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로의 유입 없이 온풍 경로(7) 내 온풍이 상기 혼합 챔버(9)까지 가이드 된다. 결과적으로 확장부(10-1')는 에어 플랩(5b') 또는 공기 배출구(4b)의 개구를 차폐하는 데 사용된다.
혼합 챔버(9) 안까지 돌출하는, 벽(10')의 확장부(10-1')는 온풍이 레그룸의 공기 배출구(4b)를 우회하여 상기 혼합 챔버(9) 내로 안내되도록 한다. 온풍 경로(7)로부터 온풍이 유출된 다음, 이러한 온풍은 혼합 챔버(9) 영역에서 확장부(10-1')를 통과할 때 상당히 크게 편향된다.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온풍의 유동 방향(12)은 최대 180° 변경된다. 이러한 경우에 온풍의 자유 유동 단면은, 흐름 내에서 압력 손실이 현저히 상승할 정도로 크게 감소된다. 압력 손실 상승은 레그룸의 공기 배출구(4b)로 이송되는 공기 질량 흐름을 감소시킨다.
특히, 도 1에 따라 공조 시스템(1')이 가열 모드로 작동할 때(이 경우 공조 시스템(1')에서 공조될 공기는 가열 열교환기(6)를 포함하는 온풍 경로(7)를 통해 안내됨), 공기 질량 흐름의 압력 손실은,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에서 충분한 쾌적함과 안락함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공기 질량 흐름을 이용할 수 없을 정도로 상승할 수 있다.
제2 유동 경로(8)는 제1 유동 경로(7) 내부에 배치된 가열 열교환기(6)를 우회하는 바이패스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유동 경로(8)는 증발기에서 냉각 및/또는 제습된, 냉풍 및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서 공기를 가열 열교환기(6)를 돌아서 가이드 한다. 가열 열교환기(6)를 우회하는 바이패스로서 형성된 제2 유동 경로(8)를 관통하는 공기 질량 흐름은 온도 변화를 겪지 않는다. 제1 유동 경로(7)를 관통하는 공기 질량 흐름은 전부 가열 열교환기(6)의 열 교환 표면을 경유하여 안내되어 가열된다. 따라서 공기 분배기(4') 내부에서는, 경우에 따라 증발기에서 사전 공조된 공기 질량 흐름이 가열 열교환기(6)의 열 교환 표면 과류 시 적어도 부분 질량 흐름으로서 가열될 수 있다.
공기 배출구(4a, 4b, 4c)들은 유동 경로로서, 온풍 및 냉풍을 안내하기 위한 유동 경로(7, 8)들과 같이, 각각 공동 혼합 챔버(9)와 이어져 있다. 이미 사전 공조된 온풍을 특정 공기 배출구(4a, 4c)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혼합 챔버(9) 내부에는 온풍 공기 질량 흐름을 안내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온풍 채널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하나 이상의 온풍 부분 질량 흐름은 앞유리의 공기 배출구(4a) 또는 대시보드 내 공기 배출구(4c)들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에는, 제1 유동 경로(7)를 통해 안내된 온풍과 제2 유동 경로(8)를 통해 안내된 냉풍이 혼합된 공기 질량 흐름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온풍과 냉풍은 공기 배출구(4b)를 통해 배출되기 전에, 혼합 챔버(9) 내부에서 혼합된다.
공기 분배기(4')는 유동 경로(7, 8)들과 공기 배출구(4a, 4b, 4c)들 외에, 이러한 공기 배출구(4a, 4b, 4c)들을 폐쇄하고 개방하기 위한 에어 플랩 형태로 된 상이한 유동 안내 장치(5a, 5b', 5c)들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공기 배출구들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수평 방향(x)과 수직 방향(z)으로 확장된 평면에 의해 주어지는 횡단면으로 볼 때 대개 직선형 표면(straight surface)으로 형성된 유동 안내 장치(5a, 5b', 5c)들은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연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깊이 방향(y)으로 연장된다. 공기 배출구(4a, 4b, 4c)들은 각각 0% 내지 100% 사이에서 연속으로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다.
온풍 경로(7)와 냉풍 경로(8)를 통과하는 공기 질량 흐름들은, 유동 경로(7, 8)들을 폐쇄 또는 개방하는 유동 안내 장치(13, 14)의 도움으로 제어되며, 이 경우 온도 플랩으로 형성된 상기 유동 안내 장치(13, 14)들은 각각 단부 위치에서 온풍 경로(7) 또는 냉풍 경로(8)를 완전히 폐쇄하거나 개방하고, 그리고 중간 위치들에서는 각각 상기 온풍 경로(7)와 냉풍 경로(8)의 유동 단면의 부분을 릴리스한다. 유동 안내 장치(13, 14)들을 조절함으로써, 공기 질량 흐름은 온풍 경로(7)를 통과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과 냉풍 경로(8)를 통과하는 부분 공기 질량 흐름으로 분할된다. 유동 경로(7, 8)들은 유동 안내 장치(13, 14)들에 의해 0% 내지 100% 사이에서 연속으로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다.
도 1에 따라 공조 시스템(1')이 가열 모드로 작동할 때(이 경우 공조 시스템(1')에서 공조될 전체 공기는 가열 열교환기(6)를 포함하는 온풍 경로(7)를 통해 안내됨), 온도 플랩(13)과 더불어 온풍 경로(7)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며, 반면에 온도 플랩(14)과 더불어 냉풍 경로(8)는 폐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조 시스템이 온풍 경로(7)와 냉풍 경로(8)를 폐쇄하고 개방하기 위해 서로 분리되어 형성된 2개의 유동 안내 장치(13, 14) 대신 단일 온도 플랩을 구비하며, 이러한 온도 플랩은 분리되어 형성된 온도 플랩(13, 14)들의 기능을 충족한다. 이러한 경우 온풍 경로(7)와 냉풍 경로(8)를 통해 안내될 공기 질량 흐름들은 유동 경로(7, 8)들을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단일 온도 플랩의 도움으로 제어된다.
도 2a 내지 도 2c에는 각각, 하나의 공기 유입구(3)와 여러 공기 배출구(4a, 4b, 4c), 온풍 경로(7)와 냉풍 경로(8) 그리고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의 유동 안내 장치(5b)를 구비한 자동차 공조 시스템(1)이 상이한 위치로 나타난다.
도 1에 따른 공조 시스템(1')과 도 2a 내지 2c에 따른 공조 시스템(1)의 주요 차이점은, 벽(10, 10'), 특히 벽(10')의 확장부(10-1') 그리고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의 유동 안내 장치(5b, 5b')의 형성에 있다. 공조 시스템(1, 1')들에서 동일한 특징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상기 동일한 특징들의 형성과 관련하여서는 도 1의 실시예가 참조된다.
공조 시스템(1)은 하우징(2) 내부에서 중앙에 형성된 벽(10)을 포함하며, 이 벽은 기본적으로 수직 방향(z)과 깊이 방향(y)으로 확장된 평면 내에서 연장되며,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로부터 온풍 경로(7)를 분리한다. 온풍 경로(7)를 통해 안내된 공기 질량 흐름은 가열 열교환기(6)로부터 유출된 다음, 벽(10)을 따라서 혼합 챔버(9) 방향으로 가이드 된다.
수직 방향(z)으로 정렬된 벽(10)의 자유 단부에는, 즉 벽(10)의 정면에는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의 유동 안내 장치(5b)용 스톱 요소(11)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 위치들에서 에어 플랩으로 형성된 유동 안내 장치(5b)는 벽(10)을 수직 방향(z)으로 차단하는 상기 스톱 요소(11)에 접한다. 도 1의 공조 시스템(1')의 경우와 같이, 스톱 요소(11)를 지나 벽(10)을 수직 방향(z)으로 연장하는 확장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에어 플랩(5b)은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회전축은 도 1의 공조 시스템(1')의 에어 플랩(5b')과 비교하면, 에어 플랩(5b)을 통해 진행되지 않고, 에어 플랩(5b)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5)은 깊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에어 플랩(5b)에 대칭적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플랩(5b)의 대칭면 내에서 에어 플랩(5b)에 대해 최단 거리를 갖는다. 이 경우 회전축(15)은 수평 방향(x)으로 공기 배출구(4b) 영역 안까지 오프셋(offset) 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5)은 수직 방향(z)으로는 스톱 요소(1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스톱 요소(11)와 혼합 챔버(9)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유동 안내 장치(5b)는 깊이 방향(y)으로 진행되는 2개의 직선 에지를 가지며, 이들 에지는 단부(16, 17)로서 유동 안내 장치(5b)를 제한한다.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1 표면(18)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직 방향(z)과 수평 방향(x)으로 확장된 평면을 통해 진행되는 횡단면으로 볼 때 원형 유동 안내 장치(5b)는 일정한 벽 두께를 갖기 때문에, 제1 표면(18)에 마주 놓이는 방식으로 형성된,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2 표면(19)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동 안내 장치(5b)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으로 구부러진, 일정한 두께의 플레이트로서, 특히 중공 원통 재킷의 컷아웃으로서 4개의 측면 에지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는 특정한 각도 범위에 걸쳐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동 안내 장치로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직선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안내 장치는 몰딩된 형태와 더불어 일정한 두께의 플레이트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a에 따라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가 개방된 상태에서, 온풍 경로(7)를 통해 흐르는 온풍과 냉풍 경로(8)를 통해 흐르는 냉풍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 위치로 도시된 유동 안내 장치(5b)의 배치에서, 이러한 유동 안내 장치(5b)는, 벽(10)이 수직 방향(z)으로 그리고 혼합 챔버(9)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제1 단부(16)가 스톱 요소(11)에 접한다. 유동 안내 장치(5b)는 제1 단부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온풍 경로(7)와 냉풍 경로(8)의 온도 플랩(10, 11)들은 개방되어 있다.
도 2a에 따른 배치에서 수직 방향(z)으로 정렬된 유동 안내 장치(5b)의 자유 단부로서 제2 단부(17)는 혼합 챔버(9)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유동 안내 장치(5b)는, 도 1에 도시된 공조 시스템(1')의 벽(10')의 확장부(10-1')와 유사하게 벽(10)이 혼합 챔버(9) 안까지 연장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혼합 위치로 정렬되어 있다.
유동 안내 장치(5b)가 혼합 위치로 배치되면, 온풍 채널(7)은 혼합 챔버(9) 안까지 확장되고, 그 결과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의 전체 유동 단면에 걸쳐, 유출되는 공기의 일정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사전에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로의 유입 없이, 온풍 경로(7) 내 온풍이 혼합 챔버(9) 내로 가이드 된다. 결과적으로 유동 안내 장치(5b)는 공기 배출구(4b)의 개구를 차폐하기 위해 형성되었다.
도 2b에 따라 유동 안내 장치(5b)가 온풍 경로(7)를 통해 흐르는 온풍을 레그룸의 개방된 공기 배출구(4b)로 안내하기 위한 위치로 도시된 배치에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는 2개의 단부(16, 17)가 스톱 요소(11)와 더불어 벽(10)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벽(10), 특히 스톱 요소(11)와 유동 안내 장치(5b) 사이에는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간극 형태로 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공조 시스템(1)은 예를 들면 가열 모드로 작동되고, 이러한 작동 모드에서 온풍 경로(7)의 온도 플랩(13)은 개방되어 있고, 냉풍 경로(8)의 온도 플랩(14)은 폐쇄되어 있다. 유동 안내 장치(5b)는 중간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2 자유 단부(17)는 기본적으로 수평 방향(x)과 가열 열교환기(6) 방향으로, 특히 수직 방향(z)으로 정렬된 가열 열교환기(6)의 단부에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가열 열교환기(6)로부터 유출되는 온풍의 제1 부분이 온풍 채널(7) 내에서 벽(10)의 스톱 요소(11)로 그리고 상기 스톱 요소(11)를 돌아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로 안내되며, 반면에 가열 열교환기(6)로부터 유출되는 온풍의 제2 부분은 곧바로 공기 배출구(4b)로 가이드 된다. 이러한 경우 온풍 공기 질량 흐름은 스톱 요소(11)와 오목하게 형성된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2 표면(19) 사이에서 공기 배출구(4b)로 가는 가장 짧은 유동 경로로 안내된다.
단지 소량의 온풍만 벽(10) 쪽으로 그리고 벽(10)을 따라서 흐르고, 대부분의 온풍은, 특히 오목하게 만곡된 제2 표면(19)의 유입면의 형성과 유동 안내 장치(5b)의 위치로 인해 공기 배출구(4b)로 원활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유동 단면의 최대 면적이 릴리스되고, 그 결과 공기 흐름 내에서 압력 손실이 최소화된다. 온풍 안내 시 적은 압력 손실은 레그룸의 공기 배출구(4b)로 흐르는 최대 공기 질량 흐름을 실현한다.
또한,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1 자유 단부(16)는, 공기 질량 흐름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의 벽들에 평행하게 공기 배출구(4b)를 통해 안내되도록 수직 방향(z) 그리고 이와 더불어 공기 배출구(4b)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유동 안내 장치(5b)는 다른 모든 중간 위치로도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c에 따라 유동 안내 장치(5b)가 온풍 경로(7)를 통해 흐르는 온풍을 혼합 챔버(9) 내로 안내하기 위해, 레그룸측 공기 배출구(4b)가 폐쇄된 상태로 도시된 배치에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는 제2 단부(17)가 스톱 요소(11)에 접하고, 반면에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1 단부(16)는 공기 배출구 (4b)의 영역에서 하우징(2)에 접한다. 유동 안내 장치(5b)는 제2 단부 위치로 배치되어 있다.
공기 배출구(4b)가 폐쇄된 상태에서, 유동 안내 장치(5b)는 기본적으로 수평 방향(x, y)들로 확장된 평면 내에서 배치되어 있고, 벽(10)이 혼합 챔버(9)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혼합 챔버(9) 안까지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혼합 챔버(9)의 영역은 유동 안내 장치(5b)가 제1 단부 위치로 도시된 배치에 비해 더 크다.
공기 배출구(4b)의 유동 안내 장치(5b)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회전축(15)을 중심으로 2개의 단부 위치 사이에서 회전 방향(20)으로 연속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배출구(4b)는 0%와 100% 사이에서 연속으로 폐쇄 및 개방될 수 있다.
1, 1': 공조 시스템
2, 2': 하우징
3: 공기 유입구
4, 4': 공기 분배기
4a: 앞유리 공기 배출구
4b: 레그룸 공기 배출구
4c: 대시보드 공기 배출구
5a: 유동 안내 장치, 앞유리 공기 배출구(4a)의 에어 플랩
5b, 5b': 유동 안내 장치, 레그룸 공기 배출구(4b)의 에어 플랩
5c: 유동 안내 장치, 대시보드 공기 배출구(4c)의 에어 플랩
6: 열교환기, 가열 열교환기
7: 제1 유동 경로, 온풍 경로
8: 제2 유동 경로, 냉풍 경로
9: 혼합 챔버
10, 10': 벽
10-1': 벽(10')의 확장부
11, 11': 유동 안내 장치(5b, 5b')의 스톱 요소
12: 온풍의 유동 방향
13: 유동 안내 장치, 냉풍 경로(7)의 온도 플랩
14: 유동 안내 장치, 온풍 경로(8)의 온도 플랩
15: 유동 안내 장치(5b)의 회전축
16: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1 단부
17: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2 단부
18: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1 표면
19: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2 표면
20: 유동 안내 장치(5b)의 회전 방향
x: 수평 방향
y: 깊이 방향, 수평 방향
z: 수직 방향

Claims (18)

  1. 공기 분배기(4)를 포함하는 하우징(2)을 구비하고, 이때 상기 공기 분배기 (4)는, 각각 혼합 챔버(9)와 이어지는 방식으로 배치된 공기 배출구(4a, 4b, 4c)들 및 병렬로 배치되어 공기가 동시에 흐를 수 있는 2개 이상의 유동 경로(7, 8)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제1 유동 경로(7)와 제2 유동 경로(8)를 통해 가이드 된 공기 질량 흐름들이 상이한 온도를 갖고, 그리고 상기 공기 배출구 중 하나의 공기 배출구(4a, 4b, 4c)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 장치(5a, 5b, 5c)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를 이송하고 공조하기 위한 수단들을 갖는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1)으로서,
    상기 하우징(2) 내부에 상기 제1 유동 경로(7)를 제한하는 벽(10)이 제공되어 있고, 제1 및 제2 단부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유동 안내 장치(5b)는 제1 단부 위치에서, 일부분은 상기 혼합 챔버(9) 안까지 돌출하며 다른 일부분은 상기 벽(10)과 접촉한 상태로 배치되고, 제2 단부 위치에서는 상기 공기 배출구(4b)를 폐쇄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는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공기 배출구(4b)로 이어지는 제1 유동 경로(7)의 유동 단면을 개방하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벽(10)이 자유 단부에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용 스톱 요소(stop element)(11)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동 안내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스톱 요소(11)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10)이, 공기 배출구(4b)와 제1 유동 경로(7)를 분리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유동 경로(7)와 공기 배출구(4b)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가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때 상기 회전축(15)은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5)에 대해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가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5)이 상기 공기 배출구(4b) 영역에서 이러한 공기 배출구(4b)를 제한하는 벽(10)과 하우징(2)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15)이 상기 스톱 요소(11)로부터 이격되어, 이러한 스톱 요소(11)와 혼합 챔버(9)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가 4개의 측면 에지와 2개의 표면(18, 19)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반경으로 구부러진, 일정한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가 서로 평행하게 직선으로 정렬된 2개의 에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의 제1 표면(18)이 볼록하게 그리고 이러한 제1 표면(18)에 마주 놓이는 방식으로 형성된 제2 표면(19)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는 제1 단부 위치에서 제1 단부(16)가 상기 스톱 요소(11)에 접하고, 상기 제2 단부(17)는 상기 혼합 챔버(9)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4b)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는 제2 단부 위치에서 제2 단부(17)가 상기 스톱 요소(11)에 접하고, 제1 단부(16)는 상기 하우징(2)에 접하는 방식으로 상기 공기 배출구(4b)를 폐쇄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는 중간 위치에서 2개의 단부(16, 17)가 상기 벽(10)의 스톱 요소(11)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이때 상기 제2 단부(17)는 가열 열교환기(6)의 방향으로 상기 가열 열교환기(6)의 단부에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로부터 유출된 다음 공기 질량 흐름이 상기 벽(10)과 하우징(2)에 평행하게 상기 공기 배출구(4b)를 통해 안내되도록 상기 제1 단부(16)가 상기 공기 배출구(4b)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4b)로 흐르는 공기 질량 흐름의 편향 부재로서 상기 유동 안내 장치(5b)는 공기 질량 흐름이 상기 스톱 요소(11)와 오목하게 형성된 제2 표면(19) 사이로 그리고 볼록하게 형성된 제1 표면(18)을 따라서 안내되도록 정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기(4)가 하나 이상의 앞유리 공기 배출구(4a), 레그룸 공기 배출구(4b) 및 대시보드 내 공기 배출구(4c)를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열교환기(6)가 유동 경로(7)의 단면적을 차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 유동 경로(7) 내부에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제1 유동 경로(7)를 통해 가이드 된 공기 질량 흐름이 완전히 상기 가열 열교환기(6)의 열 교환 표면을 통해 안내되고, 제2 유동 경로(8)가 상기 가열 열교환기(6)를 우회하는 바이패스(bypass)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시스템(1).
KR1020180155180A 2017-12-15 2018-12-05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2218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30129.1 2017-12-15
DE102017130129.1A DE102017130129A1 (de) 2017-12-15 2017-12-15 Klimatisierung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417A KR20190072417A (ko) 2019-06-25
KR102218419B1 true KR102218419B1 (ko) 2021-02-22

Family

ID=66674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180A KR102218419B1 (ko) 2017-12-15 2018-12-05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18419B1 (ko)
DE (1) DE10201713012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8746A (ja) * 2005-08-01 2007-02-15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8143237A (ja) 2006-12-06 2008-06-2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279A (ko) 2004-05-25 2005-11-3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DE102017114993A1 (de) * 2016-07-27 2018-02-01 Hanon Systems Vorrichtung zur Wärmeübertrag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8746A (ja) * 2005-08-01 2007-02-15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8143237A (ja) 2006-12-06 2008-06-2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417A (ko) 2019-06-25
DE102017130129A1 (de)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023B1 (ko)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US3661069A (en) Ventilation device for automotive vehicles
US10363792B2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cooling and drying air in passenger compartment of vehicle
US20220297502A1 (en)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1663884B1 (ko) 자동차 공기 조화 시스템용 공기 안내 장치
KR102056123B1 (ko) 자동차 공조 시스템용 공기 분배 어셈블리
JPS6312005B2 (ko)
KR20150117590A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의 공기 디플렉터 장치
US10350962B2 (en) Assembly for air distribution for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n automobile
KR10221841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101986290B1 (ko) 자동차의 통기를 분배하는 방법
KR102136606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US11040592B2 (en) Climate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JP6215456B2 (ja) 二元流れ構造及び冷気の分配器を有する自動車のための空気調和装置
KR101647253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시스템의 공기 안내 장치
KR102136642B1 (ko)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KR20180041573A (ko)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
KR102379897B1 (ko) 차량용 모듈식 공기 조화 시스템
KR102087821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2336365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CN111225809A (zh) 车辆hvac模块的空气混合装置及包括该空气混合装置的hvac模块
KR20190038306A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20190032206A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