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573A -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573A
KR20180041573A KR1020170126813A KR20170126813A KR20180041573A KR 20180041573 A KR20180041573 A KR 20180041573A KR 1020170126813 A KR1020170126813 A KR 1020170126813A KR 20170126813 A KR20170126813 A KR 20170126813A KR 20180041573 A KR20180041573 A KR 20180041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diverter
air
sub
off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5967B1 (ko
Inventor
하웁트 에릭
버메트 데니스
놀타 짐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4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28Constructional lay-out of the devices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78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axis of rotation being in the door plane, e.g. butterfly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14Details of seals of damper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은 하우징 및 다이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도관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도관은 상기 제1 도관 및 상기 제1 서브 도관의 말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 도관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서브 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버터는 상기 제1 도관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부 엣지 및 오프셋 엣지를 갖는 제1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엣지는 상기 제1 부재의 제1 평면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버터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서브 도관의 벽에 실링되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프셋 엣지는 상기 제1 부재의 제2 평면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버터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2 서브 도관 부분에 실링되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MULTI-PLANAR AIR DIVERTER.}
본 개시는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 특히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air diverter)에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난방, 냉방 그리고 통기를 제공함으로써 자동차 객실 내부의 온도를 안락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온도조절 시스템을 포함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난방, 통기 및 공기 조화(HVAC)의 공기처리 시스템이라고 불려지는 통합 메커니즘에 의하여 객실에서의 안락함은 유지된다. 상기 공기처리 시스템은 이를 통해 공기의 흐름을 관리하고, 관리된 공기의 흐름을 객실을 통해 분배한다.
공기 처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차량 탑승자에 의해 선택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차량의 객실 내부의 다양한 벤트(vent)들로 흐르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도관 및 복수의 도어를 갖는 하우징을 이용한다. 각각의 동작 모드는 선택된 동작 모드와 관련되고 사전에 설정되는, 혼합 챔버로부터 발생하여 각각의 대응하는 벤트들로 전달되는 공기의 비율을 포함한다. 상기 벤트는, 예를 들어 패널 벤트, 콘솔 벤트, 전방 플로어 벤트, 후방 플로어 벤트,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도어들은 상기 전달 부 내부에 배치되는 다양한 도관들의 개폐를 통해 작동되어 원하는 벤트로의 공기의 분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패널 동작 모드’는 오직 상기 패널 벤트 및 상기 콘솔 벤트에 분배되는 공기만 포함하고, ‘성에 제거 동작 모드’는 오직 상기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및 상기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에 분배되는 공기만 포함하며, ‘플로어 동작 모드’는 각각의 전방 플로어 벤트, 후방 플로어 벤트,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에 분배되는 공기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각각의 벤트의 공기 분배와 연관된 하나의 문제는 각각의 동작 모드에서 각각의 벤트를 통해 요구되는 체적 유량에 차이가 있다는 것과 관계된다. 각각의 벤트가 하우징의 공통 혼합 챔버로부터 공기를 받기 때문에, 혼합 챔버를 대응하는 벤트에 결합시키는 도관은 벤트 각각을 통하여 소정의 유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공기 압력 강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압력 강하를 조절하는 하나의 방법은 선택된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관을 가변적으로 제한하거나 개방하는 것이다. 도관의 가변적 제한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도어를 작동시켜 상기 도관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독립적인 도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변적으로 제한 하는 것과 연관된 하나의 문제는 복수의 구분된 통로를 가지는 도관을 통한 공기의 압력을 조절하려고 할 때 특히 분명해진다. 예를 들어,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이어지는 통로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이어지는 통로는 이러한 벤트들이 흔히 동시에 사용되기 때문에 공통 성에 제거 도관으로부터 뻗어져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혼합 챔버로부터의 공기 흐름은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 중 하나 혹은 모두로 분리되기 전에 성에 제거 도관으로 흘러 들어간다.
각각의 벤트마다 요구되는 유량에 기초하여, 특정 동작 모드에서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이어지는 통로에서 요구되는 압력은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이어지는 통로에서 요구되는 압력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어 동작 모드일 때,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는 약 30-40 m3/h 의 체적 유량으로 공기를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밖으로 전달하기 위해 약 175PA의 압력을 요구하지만,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는 약 30-40 m3/h 의 동일한 체적 유량으로 공기를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밖으로 전달하기 위해 약 5PA의 덕트 압력을 요구할 것이다. 반면에 성에 제거 동작 모드일 때,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는 각각에 요구되는 약 250-325 m3/h, 35-45 m3/h의 체적 유량으로 공기를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 밖으로 전달하기 위해 대략적으로 동일한 덕트 압력인 약 225PA의 압력을 각각 요구할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통로에서 요구되는 압력의 차이는 성에 제거 챔버의 상향에 배치되는 도어를 작동시켜 각각의 통로 내부 압력을 동시에 조절하는 시도를 좌절시키고, 통로 하나의 압력을 조절하는 시도는 다른 통로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대응하는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객실의 다양한 벤트로 공기를 분배하는 데 있어 변화하는 성능 사양의 관점에서는, 그리고 특히 플로어 동작 모드, 성에 제거 동작 모드 및 플로어/성에 제거 혼합 동작 모드 동안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전달되는 상대적인 공기의 비율에 대한 변화하는 성능의 관점에서는 더욱 분명해진다.
예를 들어, 종래의 공기처리 시스템에서 플로어 동작 모드는 플로어 벤트로 약 75%의 공기,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약 17%의 공기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약 8%의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플로어/성에 제거 혼합 동작 모드는 플로어 벤트로 약 56%의 공기,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약 34%의 공기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약 10%의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성에 제거 동작 모드는 플로어 벤트로는 공기를 제공하지 않고,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약 80%의 공기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약 20%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제공되는 공기의 상대적인 비율은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공기의 약8%에서 20%를 차지한다.
반면에, 최신 공기 분배 시스템의 성능 사양은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제공되는 공기의 체적 유량이 증가될 것과, 플로어 동작 모드, 플로어/성에 제거 혼합 동작 모드 및 성에 제거 모드를 통해 상대적으로 일정할 것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플로어 동작 모드 동안의 공기 분배에 대한 새로운 사양은 플로어 벤트로 전달되는 약 72%의 공기와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전달되는 약 10%의 공기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전달되는 약 18%의 공기를 요구할 수 있다. 플로어/성에 제거 혼합 동작 모드의 새로운 사양은 플로어 벤트로 전달되는 약 56%의 공기,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전달되는 약 30%의 공기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전달되는 약 14%의 공기를 요구할 수 있다. 성에 제거 동작 모드의 새로운 사양은 플로어 벤트로는 공기를 전달하지 않고,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전달되는 약 80%의 공기 및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전달되는 약 20%의 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제공되는 공기의 상대적인 비율은 동작 모드에 따라 전체 공기의 약14%에서 20%를 차지한다.
따라서,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분배되는 공기의 비율 및/또는 부피가 플로어 동작 모드 및 성에 제거 모드 사이에 두 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종래의 요구와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사양은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로 분배되는 공기의 비율 및/또는 부피가 성에 제거 기능을 포함한 세 가지의 모든 동작 모드 동안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계는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의 출구 압력이 선택된 동작 모드에 따라 크게 변화하여야 하는 반면에, 세 가지의 모든 동작 모드에서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의 출구 압력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전면 유리 성에 제거 벤트와 옆 유리 성에 제거 벤트 사이의 다른 압력 요구에 대한 하나의 해결 방법은 성에 제거 챔버로부터 뻗어져 나오는 각각의 통로로의 유입을 조절하는 분리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해결 방법은 도어, 엑츄에이터, 링크 또는 제어 요소와 같은 여러 부품의 추가를 요구하여 결국 가격과 공기처리 시스템의 제조 복잡성을 증가하게 만든다.
따라서, 단일 흐름-제어 메커니즘(a single flow-control mechanism)을 이용하여 도관의 제1 통로로 공기의 제1 가변 흐름(a first variable flow of air)을 제공하고, 상기 도관의 제2 통로로 공기의 제2 가변 흐름(a second variable flow of air)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공기의 제1 가변 흐름은 상기 공기의 제2 가변 흐름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단에 관한 종래 기술의 요구가 존재한다.
조화된, 그리고 일관된 본 발명에 따르면, 단일 흐름-제어 메커니즘(a single flow-control mechanism)을 이용하여 도관의 제1 통로로 공기의 제1 가변 흐름(a first variable flow of air)을 제공하고, 상기 도관의 제2 통로로 공기의 제2 가변 흐름(a second variable flow of air)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공기의 제1 가변 흐름은 상기 공기의 제2 가변 흐름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단이 놀랍도록 발견되어 왔다.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은 하우징 및 다이버터(diverter)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제1 도관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도관은 상기 제1 도관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서브 도관 및 상기 제1 서브 도관의 말단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서브 도관을 포함한다. 상기 다이버터는 상기 제1 도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외부 엣지(outer edge) 및 오프셋 엣지(offset edge)를 구비하는 제1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엣지는 상기 제1 부재의 제1 평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버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서브 도관의 벽에 실링되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오프셋 엣지는 상기 제1 부재의 제2 평면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버터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서브 도관의 벽에 실링되어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점 및 다른 이점은, 특히 앞으로 설명될 도면에 비추어 고려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사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시스템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선2-2에 의해 잘려진 도 1의 공기 처리 시스템의 우측 단면도다.
도 3A는 도 1B의 공기 처리 시스템에서 도 2의 영역 3을 부분 확대한 우측 단면도로서, 공기 처리 시스템의 다이버터가 블리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3B는 도 1B의 공기 처리 시스템에서 도 2의 영역 3을 부분 확대한 우측 단면도로서, 공기 처리 시스템의 다이버터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B에 도시된 선 4-4에 의해 잘려진 도 1B의 공기 처리 시스템의 우측 단면도다.
도 5A는 도 4의 영역 5를 확대한, 도 1B의 공기 처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부분 확대된 우측 단면도다.
도 5B는 도 4의 영역 5를 확대한, 도 1B의 공기 처리 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의 부분 확대된 우측 단면도다.
도 6은 도 1A의 공기 처리 시스템의 도 1A의 영역 6을 부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즉각적인 본 개시에 따른 도 1B의 공기 처리 시스템을 위한 다이버터의 일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즉각적인 본 개시에 따른 도 1B의 공기 처리 시스템을 위한 다이버터의 다른 일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상기 다이버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상기 다이버터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즉각적인 본 개시에 따른 도 1B의 공기 처리 시스템을 위한 다이버터의 다른 일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기 다이버터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1의 상기 다이버터의 정면도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시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생산 및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개시된 방법에 관한 논의에서, 제시된 단계들은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며, 따라서, 각 단계들의 순서가 반드시 필요하거나 중요한 것은 아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 통기, 공기 조화(HVAC) 시스템의 공기 처리 시스템(10) 또는 차량의 실내 공기 조절 시스템 (미도시)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공기’는 기체 상태, 액체 상태 또는 이들의 어떠한 조합에 의한 유체를 의미한다. 상기 공기 처리 시스템(10)은 일반적으로 차량 객실(미도시)의 난방, 통기, 공기 조화를 제공한다.
상기 공기 처리 시스템(10)은 중공 메인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은 한 쌍의 하우징 쉘(14)의 협력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쉘(14)은 그것의 주변 영역을 따라 서로 접하여 상기 중공 메인 하우징(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12)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원하는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 하우징(12)은 셋 또는 그 이상의 분리되어 형성된 부품 또는 하우징 부분의 협력에 의해 원하는 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12)은 유입 부(16), 관리 부(18), 혼합 챔버(20) 및 전달 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 부(16)는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공급받은 공기를 상기 관리 부(18)로 흐르게 하기 위하여 블로어 또는 펜(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공급은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외부, 상기 차량의 객실로부터 재순환 또는 이 둘의 혼합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원한다면, 공기의 공급에 의해 운반된 이물질 또는 오염 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필터(미도시)가 상기 유입 부(16)의 상향 또는 하향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리부(18)는 그곳에 배치되는 증발기 코어(24), 히터 코어(26) 및 템프 도어(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코어(24) 및 상기 히터 코어(26)는 냉각 유체(미도시)의 공급원 및 가열 유체(미도시)의 공급원과 각각 연통이다. 상기 증발기 코어(24)는 상기 공기 처리 시스템(10)과 관련된 공기 처리 시스템의 주 냉매 회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증발기 코어(24)는 공기를 냉각 및/또는 제습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2)을 통한 공기의 흐름과 상기 증발기 코어(24)를 통한 상기 냉각 유체의 흐름 사이에서 열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 증발기 코어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공기 처리 시스템(10) 사용을 위한 자동차의 어떠한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열 교환 관계인 어떠한 형태의 냉각 장치도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히터 코어(26)는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냉각 회로와 연관된 라디에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코어(26)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2)을 통한 공기의 흐름 및 상기 냉각 회로를 통한 순환 냉각제 사이에서 열 에너지를 교환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히터 코어(26)는 베터리 또는 자동차와 연관된 다른 열 발생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체와 열 교환 관계에 있을 수 있고, 또는 상기 히터 코어(26)는 전기 공급원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공기의 흐름을 가열하는데 적합한 어떠한 형태의 발열 장치도 상기 히터 코어(26) 대신에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증발기 코어(24)는 상기 유입 부(16)의 바로 하향인 상기 관리 부(18)의 입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 코어(24)는 상기 관리 부(18)로의 공기 흐름의 전체가 상기 증발기 코어(24)를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관리 부(18)로 유입되었을 때, 상기 유입 부(16)로부터의 공기 전체를 냉각 및/또는 제습시키기 위해 상기 관리 부(18)의 입구 영역에서 유로의 전체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증발기 코어(24)를 통해 흐른 후에, 공기의 흐름은 방음벽(28)에 도달한다. 냉각 공기 통로(30)가 상기 방음벽(28)의 일 면에 형성되고, 가열 공기 통로(32)가 상기 방음벽(28)의 다른 일 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열 공기 통로(32)는 거기에 배치되는 상기 히터 코어(26)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 코어(26)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 공기 통로(32)의 유로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열 공기 통로(32)의 유로의 오직 일부만이 상기 히터 코어(26)에 의하여 덮일 수 있다.
상기 템프 도어(34)는 상기 냉각 공기 통로(30) 및 상기 가열 공기 통로(32)의 하향 종단에서 상기 메인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템프 도어(34)는 상기 템프 도어(34)가 회전하여 상기 가열 공기 통로(32)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1 위치(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템프 도어(34)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유입부(16)로부터의 공기 흐름 전체는 상기 증발기 코어(24)를 통과한 즉시 상기 개방된 냉각 공기 통로(30)를 직접 통과한다. 상기 템프 도어(34)는 이와 달리 상기 템프 도어(34)가 회전하여 상기 냉각 공기 통로(30)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제2 위치(미도시)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템프 도어(34)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공기 흐름 전체는 상기 히터 코어(26)를 통과한 즉시 상기 개방된 가열 공기 통로(32)를 직접 통과한다. 도 2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템프 도어(34)는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의 중간에서 회전할 수도 있다. 중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유입부(16)로부터의 공기의 제1 부분 흐름은 상기 템프 도어(34)를 지나 상기 냉각 공기 통로(30)를 통해 흐르고, 상기 유입부(16)로부터의 공기의 제2 부분 흐름은 상기 템프 도어(34)를 지나 상기 히터 코어(26)를 통과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가열 공기 통로(32)를 통해 흐를 수 있다. 상기 관리부(18)를 통한 상기 유입부(16)로부터의 공기의 제1 부분 흐름 및 제2 부분 흐름은 상기 혼합 챔버(20)에서 재결합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템프 도어(34)는 다양한 중간 위치에서 상기 냉각 공기 통로(30) 및 상기 가열 공기 통로(32)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비율을 제어하고, 자동차의 객실 내부에 있는 승객이 원하는 온도 설정에 따라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12)의 상기 전달부(22)는 복수의 도관(36,38,40)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전달부(22)는 성에 제거 도관(36), 패널 도관(38), 및 플로어 도관(40)을 포함한다.
제1 모드 도어(42)는 상기 혼합 챔버(20)에 인접한 상기 전달부(22) 내의 상기 메인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모드 도어(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드 도어(42)가 회전하여 상기 패널 도관(38)으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위치인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관리부(18)로부터의 상기 전달부(2)의 공기 흐름은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 또는 상기 플로어 도관(40)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분배된다.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한 상기 제1 모드 도어(42)는 플로어 동작 모드, 성에 제거 동작 모드 및 플로어/성에 제거 혼합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 도어(42)는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모드 도어(42)가 회전하여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으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제2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혼합 챔버(20)로부터의 상기 전달부(22)를 통한 공기 흐름은 상기 패널 도관(38) 또는 상기 플로어 도관(40) 중 하나 또는 모두에 분배된다.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한 상기 제1 모드 도어(42)는 패널 동작 모드 또는 패널/플로어 혼합 동작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모드 도어(42)는 다양한 중간 위치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 상기 패널 도관(38) 및 상기 플로어 도관(40) 각각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의 비율을 제어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제2 모드 도어(44)는 상기 전달부(22)의 상기 플로어 도관(40) 내의 상기 메인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모드 도어(44)는 상기 제2 모드 도어(44)가 회전하여 상기 혼합 챔버(20)로부터 상기 플로어 도관(40)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위치인 제1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로 회전한 상기 제2 모드 도어(44)는 예를 들어, 성에 제거 동작 모드 또는 패널 동작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드 도어(44)는 이와 다르게, 상기 제2 모드 도어(44)가 회전하여 상기 혼합 챔버(20)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플로어 도관(40)으로 직접 흐르게 하는 위치인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한 상기 제2 모드 도어(44)는 상기 플로어 동작 모드, 상기 패널/플로어 혼합 동작 모드 및 상기 플로어/성에 제거 혼합 동작 모드 중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모드 도어(44)는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중간 위치들에서 속도, 압력 또는 상기 플로어 도관(40)을 통한 공기 흐름의 비율 등을 제어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은 상기 혼합 챔버(20)를 자동차의 창문 쪽에 직접 연결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성에 제거 벤트(미도시)에 유동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면 유리 도관(46)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옆 유리 도관(48)을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도관으로 분리된다. 아래에서 설명되겠지만, 다이버터(50)는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 내의 상기 메인 하우징(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 및 상기 옆 유리 도관(48)을 통한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은 일반적으로 횡 방향으로 배치되는 측벽(sidewalls, 52a, 52b) 및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단부벽(end walls, 54)의 마주보는 한 쌍에 의하여, 상기 측벽(52a, 52b) 사이의 거리에 걸쳐 정의된다. 종 방향으로 배치되는 분배기(divider, 56)의 각 쌍은 또한 상기 측벽(52a, 52b) 사이에 걸쳐 위치하고, 상기 단부벽(54)으로부터 안쪽으로 위치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옆 유리 도관(48)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면 유리 도관(46)을 분리시킨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은 상기 측벽(52a, 52b) 및 상기 분배기(56)에 의해 정의되고 주요 부분(primary portion, 58)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의 상기 주요 부분(58)은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다이버터(50)가 개방 위치(미도시)인 경우에, 자동차의 전면 유리에 최대화된 공기 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의 상기 주요 부분(58)은,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제1 측벽(52a), 상기 분배기(56), 및 내벽(inner wall, 60)에 의하여 정의된다.
도 1B에 도시된 상기 공기 처리 시스템(1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은 상기 주요 부분(58)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블리드 통로(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리드 통로(62)는 상기 내벽(60)과,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의 상기 측벽들(52a, 52b) 중 어느 하나의 중간에 형성되고,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이 상기 플로어 동작 모드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전면유리 도관(46)을 통해 최소화된, 연속적인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리드 통로(62)는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유로 단면적보다 작은 유로 단면적을 갖는 통로로 정의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비율의 상기 혼합 챔버(20)로부터의 공기 흐름이 상기 블리드 통로(62)를 통해 ‘블리드’하도록 야기한다.
상기 옆 유리 도관(48)의 각 쌍은, 각각의 옆 유리 도관(48)이 상기 분배기(56)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과 분리되도록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의 양 끝에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옆 유리 도관(48)은 서로에 대하여 거울 쌍이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옆 유리 도관(48)의 특징만이 설명될 것이다. 상기 옆 유리 도관(48)은, 상기 도관의 상기 제1 측벽(52a)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벽(54)과 각각의 분배기(56) 사이를 가로지르는 배플(baffle, 64)을 포함한다. 아래에서 설명되겠지만,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배플(64)은 아치형이고, 상기 배플(64)의 반경은 상기 다이버터(50)의 외부 반경에 대하여 동심(concentric)이고, 이에 대응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배플(64)은 평면 또는 다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이 될 수 있고, 상기 다이버터(50)의 외부 반경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상기 배플(64)의 선단부(distal end)는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제1 측벽(52a) 및 제2 측벽(52b)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측벽(52b) 및 상기 배플(64)의 상기 선단부의 중간에 통로(66)가 형성된다.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립(lip, 68)이 상기 배플(64)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2)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단부벽(54) 및 분배기(56) 사이에 걸쳐 위치하고, 상기 통로(66)의 유효 개구부(effective opening)의 폭이 상기 립(68) 및 상기 제2 측벽(52b) 사이의 최소 거리로 정의된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립(68)은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종 방향에 대하여 상기 내벽(60)으로부터 오프셋(offset)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립(68) 및 상기 내벽(60)은 각각 상기 분배기(56)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상대 반경(opposing radii)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벽(60)으로부터 상기 립(68)까지 연속적인 서펜틴(serpentine)-형상의 전환 영역(70)이 분배기(56)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연속적인 곡면인(continuously radiused) 전환 영역(70)을 가지는 상기 립(68) 및 상기 내벽(6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2)에서의 날카로운 모서리 및 누출 경로를 최소화하여 시스템(10)의 효율성을 최대화한다.
이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상기 다이버터(50)는 상기 다이버터(50)를 상기 하우징(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양끝에 배치되는 한 쌍의 원통형 트러니언(74)을 갖는 본체(7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러니언(74)은 원통형 본체이고, 상기 다이버터(50)의 공통 회전 축 A를 따라 배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이버터(50)의 상기 본체(72)는 상기 회전축(A)으로부터 바깥 쪽으로 방사상(radially) 연장되는 제1 부재(76) 및 제2 부재(78)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76) 및 상기 제2 부재(78)는 각각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상기 회전축(A)에 대하여 서로에게 각각 비스듬한 각도로 배치되어, 상기 제1 부재(76) 및 상기 제2 부재(78)는 상기 본체(72)에서 2개의 별개인 평면을 형성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76) 및 상기 제2 부재(78)는 동일 평면이거나, 서로 평행이거나 및/또는 상기 회전축(A)으로부터 오프셋(offset)일 수도 있다.
제1 실링 부재(80)는 상기 제1 부재(76)의 외주(outer perimeter)를 둘러싸고, 상기 제2 실링 부재(82)는 상기 제2 부재(78)의 외주를 둘러싼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링 부재(80) 및 상기 제2 실링 부재(82) 각각은 상기 제1 부재(76) 및 상기 제2 부재(78)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플랜지(flang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부재들은 상기 본체(72)로부터 분리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링 부재들은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벽에 실링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고, 접착 수단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상기 본체(72)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부재들(80,82)은 상기 각각의 트러니언(74) 둘레를 실링하도록 구성되며 하나로 통제되는(monolithically) 한 쌍의 링 실(ring seal, 84)로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표면 각각은 상기 다이버터(50)의 평면 부분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실링 표면은 상기 평면 부분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링 부재(80)는 외부 엣지(86) 및 상기 외부 엣지(86)로부터 내측으로 방사상(radially)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프셋 엣지(88)를 포함한다. 상기 오프셋 엣지(88)는 상기 립(68)의 내측 표면에 실링되어 접촉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축(A)으로부터 상기 오프셋 엣지(88)까지의 반경 거리가 상기 회전축(A)으로부터 상기 립(68)의 내측 표면까지의 반경 거리보다는 크지만, 상기 회전축(A)으로부터 상기 배플(64)의 내측 표면까지의 반경 거리보다는 작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엣지(86) 및 상기 오프셋 엣지(88)는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회전축(A)에 대하여 평행하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엣지(86) 및 상기 오프셋 엣지(88)는 서로에 대하여, 및/또는 상기 회전축(A)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엣지(86)로부터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제1 부재(76)는 상기 외부 엣지(86), 그리고 상기 오프셋 엣지(88)를 포함하는 제2 평면 부분(92)을 포함하는 제1 평면 부분(90)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평면 부분(92)는 상기 제1 평면 부분(90)으로부터 이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평면 부분(92)은 상기 제1 평면 부분(9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이격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평면 부분(92)는 상기 제1 평면 부분(90)과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72)는 또한 상기 외부 엣지(86)와 상기 오프셋 엣지(88)의 중간에 형성되는 전환 영역(94)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전환 영역(94)은 상기 외부 엣지(86) 및 상기 오프셋 엣지(88)와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전환 영역(70)의 윤곽(profile)에 대응한다. 특히,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프셋 엣지(88)가 방사상 내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2 평면 부분(92)상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본체(72)의 상기 전환 영역(94)은 복합(compound) 전환 영역(94)일 수 있고, 반경의 첫 번째 셋트는 상기 외부 엣지(86) 및 상기 오프셋 엣지(88) 사이에 반경 방향으로 형성되고, 반경의 두 번째 셋트는 상기 제1 평면 부분(90) 및 상기 제2 평면 부분(92) 사이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링 부재(80)는 상기 각각의 옆 유리 도관(48)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72)의 각 말단에 형성되는 상기 오프셋 엣지(88) 중 하나를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링 부재(80)는 단일(single) 옆 유리 도관(48)을 수용하기 위해 단일 오프셋 엣지(8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실링 부재(80)는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양 말단의 중간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옆 유리 도관(48)을 수용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양 말단의 중간에 형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오프셋 엣지(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72)는 상기 다이버터(50)가 상기 하우징(12)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우징(12)의 대응하는 특징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특징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72)는 그 안에 상기 하우징(12)의 립(rib)을 받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9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72)는 상기 하우징(12)의 채널(미도시)에서 받아지도록 구성되는 돌출부(protuberance, 9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상기 돌출부(98) 및 채널의 결합은 상기 회전축(A)에 대한 상기 다이버터(50)의 축 방향 정렬을 유지하게 하고, 상기 다이버터(50) 주변의 공기 흐름을 막는다.
도 2, 도 3A,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버터(50)는 블리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블리드 위치에서, 상기 다이버터(50)는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의 제1 부분을 통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옆 유리 도관(48) 및 상기 블리드 통로(62)를 통한 공기 흐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블리드 위치에서, 상기 다이버터(50)의 상기 제1 실링 부재(80)의 상기 외부 엣지(86)는 상기 내벽(60)과 맞물리고, 상기 제2 실링 부재(82)는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측벽(52a)과 맞물리는데, 도 3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주요 부분(58)은 실링되도록 폐쇄되고, 상기 블리드 부분 및 상기 옆 유리 도관(48)은 개방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리드 위치에서 상기 제1 실링 부재(80)의 상기 오프셋 엣지(88)는 통로(66)를 실링함으로써 상기 옆 유리 도관(48)으로부터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으로의 공기의 우회(bypass)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립(68)에 실링되도록 접촉하고, 실링 부재(82)는 상기 제1 측벽(52a)에 실링되도록 접촉한다. 그러므로 상기 다이버터(50)가 상기 블리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옆 유리 도관(48)은 개방되어 상기 옆 유리 벤트로 공기 흐름을 제공한다. 상기 블리드 위치로 회전한 상기 다이버터(50)는 상기 플로어 동작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버터(50)는 또한 상기 다이버터(50)가 회전되어 상기 혼합 챔버(20)로부터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을 통한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위치인 폐쇄(closed)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기 다이버터(50)의 상기 제1 실링 부재(80)는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제1 측벽(52a)과 맞물리고, 상기 다이버터(50)의 상기 제2 실링 부재(82)는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제2 측벽(52b)에 맞물린다. 상기 제1 측벽(52a)의 윤곽이 상기 제1 실링 부재(80)의 윤곽에 대응하고, 상기 다이버터(5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부 엣지(86), 상기 오프셋 엣지(88) 및 상기 전환 영역 각각이 상기 제1 측벽(52a)에 실링되도록 접촉됨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다이버터(50)가 상기 폐쇄 위치 및 상기 블리드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미도시)에 위치되어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제1 부분 및 상기 블리드 통로(62) 모두를 통해 공기가 흐르게 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중간 위치는 상기 성에 제거 동작 모드 또는 상기 플로어/성에 제거 혼합 동작 모드에 대응할 것이다.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본 출원의 본 개시는 도 2, 3A 및 도 4 내지 도 5B에 도시된 상기 플로어 동작 모드로 구성되는 공기 처리 시스템(10)을 설명하고, 상기 제1 모드 도어(42)는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패널 도관(38)으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고, 상기 제2 모드 도어(44)는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플로어 도관(40)으로 공기가 직접 흐르게 하고, 상기 다이버터(50)는 상기 블리드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제1 부분을 통한 공기 흐름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블리드 통로(62)를 통해 공기가 직접 흐르게 한다. 그러나, 상기 공기 처리 시스템(10)이 다른 구성, 부, 도관, 도어, 도어 위치 그리고 분배, 체적 유량 및 상기 하우징(12)을 통해 흐르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대안적인 구성을 구비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대안적인 구성들은 바람직하게는 공기 처리 시스템(10)의 응용에 따라 대안적인 동작 모드에 대응할 수 있다.
본 개시가 상기 전면 유리 도관(46) 및 상기 옆 유리 도관(48)을 통한 가변적인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개시의 원리가 HVAC 하우징의 어떠한 도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단일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구분된 통로들(distinct passageways)을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예(미도시)에서 상기 패널 도관(38) 및/또는 상기 플로어 도관(40)은 상기 객실의 제1 영역의 제1 벤트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1 통로와 상기 객실의 제2 영역의 제2 벤트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2 통로로 분리될 수 있는데, 본 개시의 가르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벤트로의 공기 흐름을 광범위하게 제어하는 동안에, 상기 제1 벤트에는 연속적이고 상대적으로 일정한 공기의 흐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다이버터(50) 및 상기 성애 제거 도관(36)의 구성은 상기 패널 도관(38) 및 상기 플로어 도관(40)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유사하게 통합될 수 있다.
상기 방사상 내측 방향의 오프셋 엣지(88)를 포함하기 위해 상기 제1 실링 부재(80)를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직선(straight)인 실링 표면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설계와 비교하여, 상기 배플(64)의 상기 립(68)은 상기 회전축(A)에 대하여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립(68)은 상기 성에 제거 도관(36)의 상기 제2 측벽(52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유효 개구부의 폭은 종래 기술의 유효 개구부에 비교하여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오프셋 엣지(88)를 방사상 내측 방향으로, 상기 제1 평면 부분(90)으로부터 이격된 제2 평면 부분(92) 상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립(68)은 상기 배플(64)의 호를 따라 상부(upward)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통로(66)의 상기 유효 개구부의 폭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오직 방사상 내측 방향의 오프셋 엣지(88)만 포함하는 설계보다 더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것으로부터,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용법 및 조건에 적용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Claims (20)

  1. 본체의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radially)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구비하는 본체로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제2 부재에 비스듬한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부재는 외부 엣지(outer edge) 및 오프셋 엣지(offset edge)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셋 엣지는 상기 본체의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외부 엣지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구비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제1 평면 부분 및 제2 평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평면 부분은 상기 제1 평면 부분으로부터 오프셋(offset)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엣지 및 상기 오프셋 엣지는 서로 평행한,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 말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오프셋 엣지를 포함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 말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러니언(trunnion)을 더 포함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엣지 및 상기 오프셋 엣지 사이의 곡면인(radiused) 전환 영역(transition area)을 더 포함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영역은 복합(compound) 전환 영역인,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는 제1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서로 비스듬한 각도로 배치되는, 온도조절 시스템의 다이버터 도어.
  10. 하우징 내에 제1 도관을 구비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1 도관은 상기 제1 도관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서브 도관 및 상기 제1 서브 도관의 말단에 인접한 제2 서브 도관을 포함하는, 제1 도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도관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이버터로서, 상기 다이버터는 외부 엣지 및 오프셋 엣지를 구비하는 제1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버터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외부 엣지는 상기 제1 서브 도관의 벽에 실링되어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프셋 엣지는 상기 제2 서브 도관의 일 부분에 실링되어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제1 도관 내에 배치되는 다이버터;를 포함하는
    온도조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도관은 횡 방향 내벽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서브 도관은 립(lip)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되고, 상기 립은 상기 내벽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상기 다이버터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다이버터의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외부 엣지는 상기 내벽에 실링되어 접촉하고, 상기 다이버터의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오프셋 엣지는 상기 립에 실링되어 접촉하는, 온도조절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엣지는 상기 다이버터의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외부 엣지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배치되는, 온도조절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엣지는 상기 제1 부재의 제1 평면 부분상에 형성되고, 상기 오프셋 엣지는 상기 제1 부재의 제2 평면 부분상에 형성되는, 온도조절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 및 상기 립은 상기 제1 도관의 전환 영역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온도조절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버터의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외부 엣지 및 상기 다이버터의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오프셋 엣지는 상기 다이버터의 전환 영역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온도조절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관의 상기 전환 영역의 윤곽은 상기 다이버터의 상기 전환 영역의 윤곽에 대응하는, 온도조절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도관은 상기 내벽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블리드 통로를 포함하는, 온도조절 시스템.
  18. 도관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는 제1 서브 도관으로서, 상기 제1 서브 도관은 주요 부분(primary portion) 및 블리드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블리드 통로의 내벽은 상기 주요 부분을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제1 서브 도관; 및
    상기 도관의 외부 부분에 형성되는 제2 서브 도관으로서, 상기 제2 서브 도관은 상기 제2 서브 도관 내에 형성되는 립(lip)을 포함하고, 상기 립은 상기 제2 서브 도관을 통하는 통로를 부분적으로 정의하고, 상기 립은 상기 블리드 통로의 내벽으로부터 오프셋되고, 상기 블리드 통로의 내벽과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2 서브 도관;을 포함하는, 온도조절 시스템 하우징의 도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상기 립 및 상기 블리드 통로의 상기 내벽의 중간에 전환 영역을 포함하는, 온도도절 시스템 하우징의 도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영역은 서펜틴(serpentine) 형상인, 온도조절 시스템 하우징의 도관.
KR1020170126813A 2016-10-14 2017-09-29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 KR102065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293,861 US10525790B2 (en) 2016-10-14 2016-10-14 Multi-planar air diverter
US15/293,861 2016-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573A true KR20180041573A (ko) 2018-04-24
KR102065967B1 KR102065967B1 (ko) 2020-02-11

Family

ID=61765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13A KR102065967B1 (ko) 2016-10-14 2017-09-29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25790B2 (ko)
KR (1) KR102065967B1 (ko)
DE (1) DE102017218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7369A1 (de) * 2018-05-11 2019-11-14 Mahle International Gmbh Klimaanlage mit mehreren stromab einer Heizeinrichtung angeordneten Temperaturregelungsklappen
USD984255S1 (en) * 2020-06-18 2023-04-25 Pexco Aerospace, Inc. Air redirector mou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535A (en) * 1995-02-17 1998-07-14 Behr Gmbh & Co. Heating and/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140055246A (ko) * 2012-10-31 2014-05-0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112684A (ko) * 2013-03-14 2014-09-2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2016159851A (ja) * 2015-03-04 2016-09-05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開閉ドア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89390B2 (ja) * 2002-11-05 2008-05-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25448A (ja) * 2004-02-16 2005-08-25 Calsonic Kansei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US8926413B2 (en) * 2008-02-20 2015-01-06 Automotive Components Holdings, Llc Automotive HVAC alternative bleed path for a vehicle window defrost
JP4444347B2 (ja) * 2008-05-29 2010-03-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KR101342942B1 (ko) 2011-01-10 2013-12-1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535A (en) * 1995-02-17 1998-07-14 Behr Gmbh & Co. Heating and/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140055246A (ko) * 2012-10-31 2014-05-0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40112684A (ko) * 2013-03-14 2014-09-24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2016159851A (ja) * 2015-03-04 2016-09-05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開閉ドア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967B1 (ko) 2020-02-11
US10525790B2 (en) 2020-01-07
US20180105015A1 (en) 2018-04-19
DE102017218344A1 (de)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563B2 (en) Multi-zone control module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10532628B2 (en) HVAC module having a reconfigurable bi-level duct system
US7575511B2 (en) Temperature door for a vehicle an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6261172B1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rotary door
CN108081902B (zh) 用于车辆的空气处理系统
KR20140116157A (ko)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809981B1 (ko) 차량용 hvac 모듈의 공기 혼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hvac 모듈
US11390142B2 (en) Method of distributing air ventilation in a vehicle
EP3363665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KR102065967B1 (ko) 자동차의 온도조절 시스템을 위한 에어 다이버터
KR101986290B1 (ko) 자동차의 통기를 분배하는 방법
KR20160146486A (ko) 자동차의 공기 조절 시스템을 위해 공기를 분배하기 위한 어셈블리
JP4346388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11654742B2 (en) Unique airflow delivery path for independent rear zone in tri or quad HVAC system
JP2023521459A (ja) 自動車用の暖房、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
CN110871662A (zh) 车辆用空调装置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4114889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H10315747A (ja) 車輛の車室の換気装置
KR101450634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JPH09263120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WO2018008449A1 (ja)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208665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6101017A (zh) 流体分配门和hvac空气处理系统
CN114616113A (zh) 车辆用空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