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8359A -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8359A
KR20160048359A KR1020140144724A KR20140144724A KR20160048359A KR 20160048359 A KR20160048359 A KR 20160048359A KR 1020140144724 A KR1020140144724 A KR 1020140144724A KR 20140144724 A KR20140144724 A KR 20140144724A KR 20160048359 A KR20160048359 A KR 20160048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sette
drying
unit
conveyo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준
Original Assignee
안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준 filed Critical 안동준
Priority to KR1020140144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8359A/ko
Publication of KR20160048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 F26B15/1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 F26B15/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 F26B15/2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objects with progressive movement; Machines or apparatus with progressive movement for drying batches of material in compact form with movement in a path composed of one or more straight lines, e.g. compound, the movement being in alternat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lines being all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the objects or batches of material being carried by trays or holders supported by endless belt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F26B23/06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resistance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using specially adapted carriers or holders; Fixing the workpieces on such carriers or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대상물의 상, 하 다층 적재가 가능한 것은 물론, 건조작업이 수행될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장착구성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대상물의 규격에 대한 호환성을 갖추도록 한 카세트를 제안한다. 또한 이 카세트를 이용하여, 다수의 대상물이 컨베이어 상에서 고온건조와 냉각건조 등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함으로써 단위시간당 보다 많은 개수의 대상물이 우수한 건조결과로 생산될 수 있도록 한 건조 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인쇄 건조용 카세트 및 건조 시스템 {Cassette and System for print dry}
본 발명은 인쇄 건조용 카세트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인쇄 후 건조작업이 수행될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호환성을 갖추도록 한 인쇄 건조용 카세트 및 이를 이용하여 대상물이 효과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한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터치윈도우는 디스플레이부에서 키입력기능을 갖도록 하는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의 모바일 기기를 비롯한 여러 전기, 전자제품에 적용되며, 투명체의 글라스 패널에 통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TO 패턴 등의 도전성 패턴이 인쇄된다. 이와 같은 터치윈도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투명체의 글라스 패널이 공급되면 글라스 패널의 표면을 세정하고 건조과정을 수행한 후, 세정된 글라스 패널의 표면에 도전성 패턴을 인쇄하고 다시 건조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터치윈도우의 제작은 주로 자동화라인 상에서 대부분의 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자동화 라인은 글라스 패널의 공급에서 터치윈도우의 완성과정까지 컨베이어를 이송기기로 하는 이송라인에 각 작업기기가 배치되어 설치된다. 본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2014호 "글라스 패널 건조장치"에는 전술된 터치윈도우의 제작과정 중 글라스 패널의 건조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개시된 건조장치는 전기,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터치윈도우의 제작과정에서 글라스 패널이 일정 시간동안 건조되기 위해 이송되는 라인을 상, 하 방향으로 구현하여 작업공간 내에서 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도록 한 터치윈도우로 제작되는 글라스 패널 건조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상기 특허의 건조장치는:
내부에 글라스 패널이 건조될 수 있도록 한 작업공간이 형성되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각 구성이 작업공간에 설치되도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 내부로 공급된 글라스 패널을 상, 하측으로 이송하여 건조과정이 수행되도록 한 후 배출되도록 하는 이송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의 작업공간을 가열하여 글라스 패널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분위기를 형성하는 열원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건조장치는 단일의 챔버 내에서 글라스 패널을 상, 하로 이송하며 건조시키기 때문에 단일 종류의 건조, 주로, 근적외선(NIR)에 의한 건조만을 전용으로 하여 실시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건조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챔버와 건조장치를 더 추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 건조장치는 개개의 글라스 패널을 이송하며 건조를 실시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건조시키는 대상물(글라스 패널)의 개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선행기술 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78223호
대한민국 특허 제0257096호
대한민국 특허 제1092014호
미국특허 제4,058,90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작업이 수행될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장착구성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대상물의 규격에 대한 호환성을 갖추도록 하므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인쇄 건조용 카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대상물이 고온건조와 냉각건조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하므로써 단위시간당 보다 많은 개수의 대상물이 우수한 건조결과로 생산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좁은 공간에서 충분한 길이의 건조라인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용 카세트는:
내측에 대상물이 배치되기 위한 거치공간이 형성된 카세트 프레임과;
상기 카세트 프레임의 거치공간 좌, 우측에 세워져 배치되어 대상물의 좌, 우측단이 얹혀져 거치되도록 하며, 다수의 대상물이 상, 하로 다층 적재되도록 하기 위해 대상물이 얹혀져 지지되기 위한 다수의 지지편이 상, 하로 배열되어 결합된 거치대와;
상기 좌, 우측의 거치대를 관통하여 양단이 카세트 프레임의 측벽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거치대가 직선이동되며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가이드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용 카세트는: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를 관통하며 카세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양측 거치대 간의 간격을 조절 및 조절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조절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동부는:
거치대를 관통하여 카세트 프레임에 결합된 나사축과;
상기 나사축과 거치대의 사이에 개재되는데, 상기 나사축과는 나사결합되고, 거치대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거치대가 나사축 상에서 직선이동되도록 한 이송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축은:
양측이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단일체의 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카세트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나사축을 회전시킴에 의해 양측의 거치대가 동시에 직선이동되므로써,
상호 거치대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건조 시스템은:
각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 상에 설치되어 다수의 건조될 대상물이 장착된 카세트가 로딩되면 건조작업이 수행되는 구간을 진행시킨 후 언로딩 위치로 이송시키며, 고온건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작업라인과 냉각건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작업라인이 병렬로 배치된 컨베이어와;
상기 병렬배치된 컨베이어의 일측구간에 고온건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고온건조챔버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되어 고온건조분위기를 형성하는 고온건조부와;
상기 컨베이어의 타측구간에 냉각건조챔버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건조챔버의 내부에 에어쿨러가 설치되어 카세트와 대상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건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는 나란히 배치된 고온건조부의 말단과 냉각건조부의 초입단에 걸쳐 고온건조부를 통과한 카세트를 냉각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작업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이송부는:
고온건조부측 컨베이어에 설치되어 고온건조된 대상물이 장착된 카세트가 이송되면 상기 카세트가 안착되는 안착기구부와;
상기 안착기구부와 결합되고 병렬로 배치된 양측의 컨베이어에 걸쳐 설치되어 카세트를 고온건조부 측 컨베이어에서 냉각건조부 측 컨베이어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베이어의 카세트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과,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 카세트의 이송이 완료되는 지점에 각각 로딩부와 언로딩부가 배치되며,
상기 로딩부와 언로딩부는,
카세트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과 이송이 완료되는 지점에 걸쳐 설치되어 대상물이 취출된 카세트를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배치되어 카세트로 대상물을 이송하여 투입시키거나, 카세트 상에서 대상물을 취출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배치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배치프레임에 설치되어 장치 외부에서 공급된 대상물을 카세트에 투입시켜 장착하거나,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 카세트에 장착된 대상물을 취출하는 대상물 이송로봇;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건조챔버는 측벽면에 각 건조부 내에서의 작업상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투과창이 형성되며, 상기 투과창 중 적어도 고온건조부에 형성된 투과창에는 히터에서 방출된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가 설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의 크기에 대응하여 이를 장착하기 위한 길이가 조절되는 구성에 의해 다양한 대상물에 대한 호환성이 갖추어져 작업의 확장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세트에 다수의 대상물을 장착한 후 다수의 카세트에 의해 작업이 실시되어 단위시간당 보다 높은 생산성이 발현되며, 단일의 장치에서 고온건조와 냉각건조를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건조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일렬배치가 아닌 병렬배치로 단일의 건조라인을 형성하여 작업장 내에서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한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의 주요부 발췌 측면도.
이상 기재된 또는 기재되지 않은 본 발명 "인쇄 건조용 카세트 및 건조 시스템"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인쇄 건조용 카세트(100)는 카세트 프레임(110), 거치대(120), 가이드유닛(1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에 추가되어 조절구동부(140)를 더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카세트 프레임(110)은 내측에 대상물(P)이 배치되기 위한 거치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틀체의 구성이다. 이와 같은 카세트 프레임(110)은 틀체의 형태로 구성되기 위해 상, 하로 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이들 상, 하측 플레이트를 목적하는 높이의 지주바 등으로 간격유지시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120)는 카세트 프레임(110)의 거치공간(S) 좌, 우측에 세워져 배치된다. 특히, 상기 거치대(120)는 대상물(P)의 좌, 우측단이 얹혀져 거치되도록 하되, 다수의 대상물(P)이 상, 하로 다층 적재되도록 하기 위해 대상물(P)이 얹혀져 지지되기 위한 다수의 지지편(121)이 양측 거치대(120)의 대향면에 상,하로 배열되어 장착된다.
상기 가이드유닛(130)은 카세트 프레임(110)의 상, 하부에 배치되며, 좌, 우측의 거치대(120)를 관통하여 양단이 카세트 프레임(110)의 측벽에 고정지지되도록 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유닛(130)은 상기 거치대(120)가 직선이동되며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는 상기 가이드유닛(130)이 카세트 프레임(110)의 상, 하부에 배치된 봉체 또는 관체로 예시되며, 이외에도 보다 정밀한 가이드 구동을 위해 LM 가이드 또는 더브테일 형상을 갖는 바 등으로 적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절구동부(140)는 거치대(120)를 관통하며 카세트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조절구동부(1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양측 거치대(120) 간의 간격을 조절 및 조절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절구동부(140)는 나사축(141), 이송부재(142)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축(141)은 거치대(120)를 관통하여 카세트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나사축(141)은 카세트 프레임(110)을 관통하여 결합될 때 상기 이송부재(142)를 매개로 하여 결합된다. 상기 이송부재(142)는 전술된 것과 같이 나사축(141)과 거치대(120)의 사이에 개재되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송부재(142)는 나사축(141)과 나사결합되고 거치대(120)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부재(142)를 거치대(120) 상에서 회전시킴에 의해 거치대(120)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양측의 나사축(141)에 결합된 각 이송부재(142)를 회전시키면, 상기 이송부재(142)가 회전되며 나사축(141) 상에서 직선이동되어 거치대(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양측 거치대(120)의 간격설정은 다양한 대상물(P)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나사축(141)을 양측으로 각각 설치한 구성이며, 이와 다르게 상기 나사축(141)을 단일체로 형성하게 되면 양측의 거치대(120)를 동시에 간격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일체의 나사축(141)은 양측이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카세트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나사축(141)을 회전시킴에 의해 양측의 거치대(120)가 동시에 직선이동되록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시스템은 테이블(210), 컨베이어(220), 고온건조부(230), 냉각건조부(240)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성에 추가되어 대상물(P)을 장치내로 투입 및 작업완료된 대상물(P)을 외부로 취출하기 위한 로딩부(250)와 언로딩부(260)가 더 갖추어져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210)은 각 구성이 목적하는 높이로 설치되어 작업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같은 테이블(210)은 하부에 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캐스터(211)와 고정지지하기 위한 지지유닛(212)이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220)는 테이블(210) 상에 설치되어 다수의 건조될 대상물(P)이 장착된 카세트(100)가 로딩되면 건조작업이 수행되는 구간을 진행시킨 후 언로딩 위치로 이송시키도록 한 이송라인(L)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특히, 상기 컨베이어(220)는 고온건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이송라인(L)과 냉각건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이송라인(L)이 병렬로 배치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220)는 전체적으로 "ㄷ"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에는 상기 고온건조부(23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냉각건조부(2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220)는 상호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된 설치프레임(221)에 다수의 롤러(222)를 배치한 롤러컨베이어의 구성으로 각각의 롤러(222)는 설치프레임(221)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 등의 구동기구에 의해 동력전달가능하게 결합되어 동시회전되므로써 카세트(100)를 이송라인(L) 상에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20)는 병렬로 배치된 고온건조부(230)와 냉각건조부(240)에 걸쳐 카세트(100)를 이송시키기 위한 작업이송부(270)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작업이송부(270)는 병렬 배치된 고온건조부(230)의 말단과 냉각건조부(240)의 초입단에 걸쳐 고온건조부(230)를 통과한 카세트(100)를 냉각건조부(240)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작업이송부(270)는 안착기구부(271), 이송기구부(272)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기구부(271)는 고온건조된 대상물(P)이 장착된 카세트(100)가 이송되면 상기 카세트(100)가 안착되기 위해 고온건조부(230) 측 컨베이어(220)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기구부(271)는 컨베이어(220) 상에 얹혀져 이송되는 카세트(100)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실린더(273) 등의 승강기구를 갖추어 후술될 이송기구부(272)에 의해 카세트(100)를 이송시킬 때 카세트(100)를 상승시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기구부(272)는 안착기구부(271)와 결합되고 병렬로 배치된 양측의 컨베이어(220)에 걸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이송기구부(272)는 카세트(100)를 고온건조부(230) 측 컨베이어(220)에서 냉각건조부(240) 측 컨베이어(220)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안착기구부(271)와 나사결합된 볼스크류유닛(27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이송기구부(272)는 볼스크류유닛(274)의 모터 등에 의해 나사축이 회전되면 카세트(100)가 안착된 안착기구부(27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220)는 롤러(222) 상에 일정한 중량 이상의 운반물(본 실시예의 카세트)이 얹혀져야 운반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아큠(Accum)롤러가 적용된 컨베이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온건조부(230)는 병렬배치된 컨베이어(220)의 일측구간에 고온건조챔버(231)가 설치되고, 상기 고온건조챔버(231)의 내부에 히터(23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온건조부(230)는 상기 히터(232)에 의해 고온건조챔버(231)의 내부를 고온건조 분위기로 형성하여 카세트(100)에 적재된 대상물(P)을 고온건조시키게 된다. 상기 히터(232)는 전열히터로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효율이 우수한 근적외선(Nir) 히터로 선택된다.
상기 냉각건조부(240)는 병렬배치된 컨베이어(220)의 타측구간에 냉각건조챔버(241)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건조챔버(241)의 내부에 에어쿨러(24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각건조부(240)는 에어쿨러(242)에 의해 건조풍이 분사되는 구간을 카세트(100)가 통과하면, 상기 카세트(100)와 대상물(P)을 냉각시키게 되는 구성이다.
도면에서, 상기 냉각건조챔버(241)는 테이블(210) 상에서 장치를 전체적으로 은폐시키는 하우징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온건조챔버(231)는 냉각건조챔버(241)의 내부에서 별도의 챔버를 더 설치하여서 구성된 것을 예시한다.
상기와 같은 고온건조부(230)와 냉각건조부(240)의 고온건조챔버(231)와 냉각건조챔버(241)의 벽면에는 카세트(100)가 각 작업구간을 진행하며 냉각되는 작업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확인하기 위한 투과창(28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투과창(280) 중 고온건조챔버(231)의 투과창(280)에는 근적외선이 방출되는 히터(232)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281)가 부설된다.
상기 차단부재(281)는 투과창(280)을 통해 방출되는 히터(232)의 빛을 완전차단하기 위한 불투명의 부재를 커튼형태로 형성하거나, 일정정도의 빛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반투명 재질의 부재를 장착하여 히터(232)의 구동 중에도 작업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추가되는 구성으로, 본 발명은 컨베이어(220)의 카세트(100)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과,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 카세트(100)의 이송이 완료되는 지점에는 각각 로딩부(250)와 언로딩부(260)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딩부(250)와 언로딩부(260)는 복귀컨베이어(290), 배치프레임(291), 대상물 이송로봇(29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딩부(250)와 언로딩부(260)에 의해 카세트(100)는 테이블(210) 상에서 컨베이어(220)에 의해 형성된 이송라인(L)을 따라 카세트(100)가 순환하며 진행되고, 상기 로딩지점과 언로딩지점에서 대상물(P)이 카세트(100)에 장착되고 취출되도록 하여 건조작업의 연속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복귀컨베이어(290)는 카세트(100)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과 이송이 완료되는 지점에 걸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복귀컨베이어(290)는 대상물(P)이 취출된 카세트(100)를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배치프레임(291)은 컨베이어(220)의 작업이 시작되는 일측과 작업이 완료되는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프레임(291)은 카세트(100)로 대상물(P)을 이송하여 투입시키거나, 카세트(100) 상에서 대상물을 취출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틀체로 구성된다.
상기 대상물 이송로봇(292)은 각각의 배치프레임(291)에 설치되어 장치 외부에서 공급된 대상물(P)을 카세트(100)에 투입시켜 장착하거나,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 카세트(100)에 장착된 대상물을 취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로봇(292)은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외측(대상물의 선행작업라인)에서 이송되어진 글라스 패널 등의 대상물(P)을 카세트(100)에 투입하거나 취출하기 위한 X축 구동과, 상기 카세트(100) 상에 다층으로 거치된 대상물(P)을 투입하거나 취출하기 위한 Y축 구동구성을 기본으로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건조 시스템은 작업의 시작지점 컨베이어(220) 상에 위치된 카세트(100)에 로딩부(250)가 대상물(P)을 다층으로 거치시키면, 대상물(P)이 거치된 카세트(100)가 컨베이어(220)에 의해 고온건조부(230)를 통과하며 근적외선을 방출하는 히터(232)에 의해 고온건조가 실시된다.
이후, 상기 카세트(100)가 고온건조부(230)를 통과하면, 작업이송부(270)가 카세트(100)를 냉각건조부(240)가 설치된 컨베이어(220)로 이송하고, 상기 컨베이어(220)에 의해 카세트(100)가 냉각건조부(240)로 진입되어 대상물(P)과 카세트(100)가 냉각건조된다.
상기 카세트(100)가 냉각건조부(240)를 통과하여 언로딩 지점에 도착되면, 상기 언로딩부(260)에서는 카세트(100)에 거치된 대상물(P)을 모두 취출하고, 대상물(P)이 취출된 카세트(100)는 복귀컨베이어(290)에 의해 대상물(P)의 로딩위치로 이송되어 작업이 완료된다.
100: 카세트 110: 카세트 프레임
120: 거치대 130: 가이드유닛
140: 조절구동부 210: 테이블
220: 컨베이어 230: 고온건조부
240: 냉각건조부 250: 로딩부
260: 언로딩부

Claims (8)

  1. 내측에 대상물(P)이 배치되기 위한 거치공간(S)이 형성된 카세트 프레임(110)과;
    상기 카세트 프레임(110)의 거치공간(S) 좌, 우측에 세워져 배치되어 대상물(P)의 좌, 우측단이 얹혀져 거치되도록 하며, 다수의 대상물(P)이 상, 하로 다층 적재되도록 하기 위해 대상물(P)이 얹혀져 지지되기 위한 다수의 지지편(121)이 상, 하로 배열되어 결합된 거치대(120)와;
    상기 좌, 우측의 거치대(120)를 관통하여 양단이 카세트 프레임(110)의 측벽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거치대(120)가 직선이동되며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가이드유닛(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건조용 카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건조용 카세트는 거치대(120)를 관통하며 카세트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양측 거치대(120) 간의 간격을 조절 및 조절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조절구동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동부(140)는,
    거치대(120)를 관통하여 카세트 프레임(110)에 결합된 나사축(141)과;
    상기 나사축(141)과 거치대(120)의 사이에 개재되는데, 상기 나사축(141)과는 나사결합되고, 거치대(120)에는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거치대(120)가 나사축(141) 상에서 직선이동되도록 한 이송부재(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건조용 카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축(141)은:
    양측이 상호 반대방향의 나선을 갖는 단일체의 축으로 형성되고,
    양단이 각각 카세트 프레임(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나사축(141)을 회전시킴에 의해 양측의 거치대(120)가 동시에 직선이동되므로써,
    상호 거치대 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건조용 카세트.
  4. 각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테이블(210)과;
    상기 테이블(210) 상에 설치되어 다수의 건조될 대상물(P)이 장착된 카세트(100)가 로딩되면 건조작업이 수행되는 구간을 진행시킨 후 언로딩 위치로 이송시키며, 고온건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이송라인(L)과 냉각건조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이송라인(L)이 병렬로 배치된 컨베이어(220)와;
    상기 병렬배치된 컨베이어(220)의 일측구간에 고온건조챔버(231)가 설치되고, 상기 고온건조챔버(231)의 내부에 히터(232)가 설치되어 고온건조분위기를 형성하는 고온건조부(230)와;
    상기 병렬배치된 컨베이어(220)의 타측구간에 냉각건조챔버(241)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건조챔버(241)의 내부에 에어쿨러(242)가 설치되어 카세트(100)와 대상물(P)을 냉각시키는 냉각건조부(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220)는 나란히 배치된 고온건조부(230)의 말단과 냉각건조부(240)의 초입단에 걸쳐 고온건조부(230)를 통과한 카세트(100)를 냉각건조부(240)로 이송시키기 위한 작업이송부(270)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이송부(270)는:
    상기 고온건조부(230) 측 컨베이어(220)에 설치되어 고온건조된 대상물(P)이 장착된 카세트(100)가 이송되면 상기 카세트(100)가 안착되는 안착기구부(271)와;
    상기 안착기구부(271)와 결합되고 병렬로 배치된 양측의 컨베이어(220)에 걸쳐 설치되어 카세트(100)를 고온건조부(230) 측 컨베이어(220)에서 냉각건조부(240) 측 컨베이어(220)로 이송시키는 이송기구부(27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220)의 카세트(100)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과,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 카세트(100)의 이송이 완료되는 지점에는 각각 로딩부(250)와 언로딩부(260)가 배치되며, 상기 로딩부(250)와 언로딩부(260)는:
    카세트(100)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과 이송이 완료되는 지점에 걸쳐 설치되어 대상물(P)이 취출된 카세트(100)를 이송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컨베이어(290)와;
    상기 컨베이어(220)의 작업이 시작되는 일측과 작업이 완료되는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카세트(100)로 대상물(P)을 이송하여 투입시키거나, 카세트(100) 상에서 대상물을 취출하기 위한 구성이 설치될 공간을 제공하는 배치프레임(291)과;
    상기 각각의 배치프레임(291)에 설치되어 장치 외부에서 공급된 대상물(P)을 카세트(100)에 투입시켜 장착하거나, 건조작업이 완료된 후 카세트(100)에 장착된 대상물을 취출하는 대상물 이송로봇(29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건조챔버(231)와 냉각건조챔버(241)는:
    측벽면에 각 건조부(230, 240) 내에서의 작업상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투과창(280)이 형성되며,
    상기 투과창(280) 중 적어도 고온건조부(230)에 형성된 투과창(280)에는 히터(232)에서 방출된 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재(281)가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시스템.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100)는:
    내측에 대상물(P)이 배치되기 위한 거치공간(S)이 형성된 카세트 프레임(110)과;
    상기 카세트 프레임(110)의 거치공간(S) 좌, 우측에 세워져 배치되어 대상물(P)의 좌, 우측단이 얹혀져 거치되도록 하며, 다수의 대상물(P)이 상, 하로 다층 적재되도록 하기 위해 대상물(P)이 얹혀져 지지되기 위한 다수의 지지편(121)이 상, 하로 배열되어 결합된 거치대(120)와;
    상기 좌, 우측의 거치대(120)를 관통하여 양단이 카세트 프레임(110)의 측벽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거치대(120)가 직선이동되며 상호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 가이드유닛(1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시스템.
KR1020140144724A 2014-10-24 2014-10-24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건조 시스템 KR20160048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724A KR20160048359A (ko) 2014-10-24 2014-10-24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724A KR20160048359A (ko) 2014-10-24 2014-10-24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359A true KR20160048359A (ko) 2016-05-04

Family

ID=56021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724A KR20160048359A (ko) 2014-10-24 2014-10-24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83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1335B2 (ja) 基板の搬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基板の加工装置
JP5060769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07298270A (ja) 鋼プレートを加熱するための炉
CN1623872A (zh) 玻璃基板用输送设备
KR101092014B1 (ko) 글라스 패널 건조장치
JP2012059798A (ja) 部品実装装置
JP6646104B2 (ja) 加熱乾燥装置
CN108699692B (zh) 成膜装置
TWI538774B (zh) 設備加工系統
KR101361854B1 (ko) 유리성형용 금형수단, 유리성형시스템 및 그의 유리성형방법
KR101620393B1 (ko) 세라믹 전자부품 소성로용 투입 및 배출장치
JP2020155627A (ja) トレイ搬送装置およびパネル搬送システム
JP2006093084A (ja) 平板型蛍光ランプのランプ上板成形システム
KR20160048359A (ko) 인쇄 건조용 카세트의 건조 시스템
KR20120066113A (ko) 기판처리장치 및 기판처리방법
JP4776441B2 (ja)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板材搬入構造及び板材搬出構造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横型多段プレス装置
KR101438757B1 (ko) 시트 반입 및 반출용 셀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인조네일 인쇄시스템 장치
KR101977100B1 (ko) 렌즈 어셈블리 어닐링 시스템
CN215158723U (zh) 输送翻转夹持系统
JP4105420B2 (ja) ガラス熱処理システム
KR101581913B1 (ko) 세라믹 도포 성형시스템
JP2009121732A (ja) ワーク加熱冷却装置
WO2015170427A1 (ja) 多段式加熱装置、および多段式加熱炉に対するワーク搬入搬出方法
KR101064485B1 (ko) 프레스 가공 라인 및 이에 적용되는 리프트 및 트레이 셔틀 어셈블리
KR101596925B1 (ko) 기판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