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870A - 누설밀봉 연결부를 갖춘 전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누설밀봉 연결부를 갖춘 전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870A
KR20160046870A KR1020167007688A KR20167007688A KR20160046870A KR 20160046870 A KR20160046870 A KR 20160046870A KR 1020167007688 A KR1020167007688 A KR 1020167007688A KR 20167007688 A KR20167007688 A KR 20167007688A KR 20160046870 A KR20160046870 A KR 2016004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electrical
contact
thin film
bas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 홍 리엔 플라나르-루옹
Original Assignee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레알 filed Critical 로레알
Publication of KR2016004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8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Fuel Cell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전기 조립체로서, - 기저 부품(20), 및 - 기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가능한 부품(10)을 포함하며, 상기 기저 부품(20)은 - 누설밀봉 내부 영역(2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가요성 박막(22), - 박막(22)에 의해 지지되고 내부 영역(24)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 및 -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 아래의 내부 영역(24)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기 접점(28)을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기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조립과 관련한 박막의 변형 중에, 이들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내부 전기 접점(28)과 접촉하며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고정이 없을 때 내부 전기 접점으로부터 떨어진다.

Description

누설밀봉 연결부를 갖춘 전기 조립체 {ELECTRICAL ASSEMBLY WITH LEAKTIGHT CONNECTION}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함께 고정되도록 의도된 이동 가능한 부품 및 기저 부품을 포함하는 전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규격 IP67을 만족하는 누설밀봉(leaktight) 전기 연결부의 확립은 특히, 수형 부품(male part)을 암형 부품(female part)에 연결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달성되며, 하나 이상의 개스킷 시일의 제공에 의해 누설밀봉이 보장된다.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유휴 부품(idle part)에 대한 스토퍼의 누설밀봉 고정이 필요하다.
다른 공지된 해법은 수동 작동식 스위치의 제공을 통해서 유휴 부품을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의 필요성을 피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전기 연결의 확립은 이들 두 해법에서 두 단계로 수행되며, 서투른 조작은 불편함을 일으키거나 실제로 작동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장치 및 상보적 접점의 누설밀봉 연결부에 의해 장치와 협동하는 배터리 서포트(battery support)를 포함하는 기기들이 US 공보 5 822 808호 및 JP 공보 8 145 678호로부터 공지된다.
누설밀봉 접점을 통해서 전기 연결부를 갖춘 장치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누설밀봉 배터리 서포트가 미국 출원 US 2002/0018343호로부터 공지되며, 여기서 배터리 서포트는 자력에 의해 작동 가능한, 서포트가 장치와 함께 조립되지 않을 때 전력 공급장치를 차단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가능한 서투른 조작과 관련된 작동자의 위험뿐만 아니라, 전압이 흐르는 접점 표면에 대한 습기 또는 액체의 노출 경우에 접점 표면의 부식 위험을 제한하면서, 두 개의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에 의해서 누설밀봉 및 신뢰성 있는 전기 연결의 확립을 간단화하기 위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을 만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본 발명의 대상은 그의 양태들 중 하나에 따른 전기 조립체이며, 그 전기 조립체는
- 기저 부품, 및
-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가능한 부품을 포함하며, 상기 기저 부품은
- 누설밀봉 내부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가요성 박막,
- 박막에 의해 지지되고 내부 영역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 및
-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 아래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과 관련한 박막의 변형 중에, 이들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내부 전기 접점과 접촉하며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고정이 없을 때에는 내부 전기 접점으로부터 떨어진다.
조립 중,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 내부 전기 접점 사이의 접촉은 전류의 흐름을 허용한다.
조립 이전에는 전기 연결이 없으며 기저 부품의 외부 소자에는 전압이 흐르지 않는다. 조립 이후에는 전류의 흐름을 허용하며 조립체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안전한 전기 연결이 생성된다. 사용자는 전기 방전을 발생할 수 있는 소자와의 접촉 위험에 결코 노출되지 않는다.
표현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in a removable manner)"는 이동 가능한 부품이 기저 부품으로부터 마음대로 조립되고 분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연결은 예를 들어, 특히 마찰에 의한 상호연결, 스냅-체결, 나사 고정, 베요넷(bayonet) 형태의 상호연결, 적어도 하나의 제3자 소자의 개재, 형상 협력(cooperation of shape), 자기 조립 또는 여전히 다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표현 "누설밀봉 내부 영역(leaktight internal volume)"은 조립체가 기저 부품 외부로부터 물의 투과를 허용하지 않는 표면에 의해 한정된 공동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은 아주 구체적으로, 내부 전기 접점이 특히 낮은 전압, 예를 들어 24 볼트보다 작거나 같은 전압의 발전기 또는 전기 수신기와 같은 전기 기기에 링크될 때의 적용을 발견했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 내부 전기 접점 사이의 접촉은 예를 들어, 내부 전기 접점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탄성 변형 및/또는 이러한 내부 전기 접점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바람직하게 수반된다. 이는 심지어 제조 공차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양호한 접촉 압력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내부 전기 접점은 나선형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특히 꺾어 접힌(folded back on itself) 가요성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 및 내부 전기 접점은 박막의 변형이 없을 때, 적어도 0.3 ㎜, 예를 들어 0.5 내지 2 ㎜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며, 그에 의해서 우연한 접촉의 위험 및 정전기 방전의 위험이 감소된다.
가요성 박막은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이는 바람직하게 탄성 중합체 또는 금속, 특히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금속, 특히 청동,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만들어지거나, 예를 들어 탄소 또는 흑연으로 충전된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규격 IP67 및/또는 ATEX 훈령 1999/92/CE(특히, 0, 1, 20 및 21 구역에서 사용) 및/또는 ATEX 훈령 94/9/EC(분류 1 및 분류 2)를 만족한다. 조립체의 보호 모드는 바람직하게 개선된 안전 "e" 모드이다.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박막을 통과한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박막에 누설밀봉 방식으로 고정되며, 이는 누설밀봉 내부 영역을 가요성 박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가 관통 소자일 때, 이동 가능한 부품은 이동 가능한 부품이 기저 부품에 고정될 때 이러한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 전기적으로 협동하도록 설계되는 외부 연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접촉은 키잉(keying) 없이 간단한 지탱(bearing)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내부 전기 접점은 제 1 전기 기기에, 특히 발전기 및 전기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에 링크(link)될 수 있으며, 외부 연결 소자는 적어도 이동 가능한 부품이 기저 부품에 고정될 때, 제 2 전기 기기에, 특히 발전기와 전기 수신기 중 다른 하나에 링크된다.
바람직하게, 외부 연결 소자와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은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 중에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 내부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적 접촉 이전에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한 부품과 기저 부품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가능한 부품과 기저 부품 중 다른 하나를 누설밀봉 방식으로 지탱하는 릴리프, 바람직하게 돌출 릴리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릴리프는 박막으로 몰딩될 수 있거나 정상부가 지탱되게 되는 돌출 환형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변형예로서, 이동 가능한 부품과 기저 부품은 그 중 하나가 박막으로 몰딩되는 릴리프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부품은 오직 릴리프를 통해서만 박막 위에 지탱될 수 있다. 릴리프는 특히 조립 중에, 박막을 변형시키도록 이동 가능한 부품이 기저 부품의 가요성 박막 위에 지탱되게 허용하며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 내부 전기 접점 사이의 전기 연결을 허용한다.
박막은 추가 개스킷 시일의 사용 없이 이동 가능한 부품과 기저 부품 사이의 지탱 높이에서 누설밀봉 전기 연결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박막은 한편으로 누설밀봉 연결을 확립하는 기능과 다른 한편으로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 또는 소자들을 지지하는 기능의 이중 기능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박막은 그의 변형 중에, 박막 주변부에 컵을 한정하는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릴리프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에 대한 누설밀봉은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 내부 전기 접점 사이의 접촉 이전에 달성된다.
외부 연결 소자는 제 2 전기 기기에 영구적인 또는 비-영구적인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링크될 수 있다.
연결이 비-영구적일 때, 외부 연결 소자는 이동 가능한 부품이 기저 부품에 고정될 때, 이들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추가의 전기 접점을 이동시키고 그와 접촉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가의 접점은 제 2 전기 기기에 영구적인 방식으로 링크된다.
특히, 이동 가능한 부품은 기저 부품과 유사한 구성일 수 있으며, 특히
- 누설밀봉 내부 영역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가요성 박막,
- 박막에 의해 지지되고 박막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 및
-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 아래의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기 접점을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과 관련한 박막의 변형 중에, 이들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내부 전기 접점과 접촉하며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고정이 없을 때 내부 전기 접점으로부터 떨어진다.
이동 가능한 부품의 가요성 박막은 변형됨으로써 컵을 한정하는 비드를 박막의 주변부에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 중에, 기저 부품과 이동 가능한 부품의 박막은 각각 비드를 형성하도록 변형하며, 기저 부품과 이동 가능한 부품의 비드는 기저 부품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 이동 가능한 부품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 사이에 접촉이 확립되는 중간 영역, 특히 누설밀봉 중간 영역을 한정하도록 서로 접촉하게 한다.
기저 부품은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각각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이동 가능한 부품과 기저 부품이 조립될 때, 이들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서 각각의 내부 전기 접점과 접촉한다.
내부 전기 접점은 예를 들어, 발전기의 두 개의 터미널에 링크된다.
두 개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관통 소자일 수 있으며, 이동 가능한 부품은 이동 가능한 부품이 기저 부품에 고정될 때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 중의 하나와 각각 접촉되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외부 연결 소자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부품과 기저 부품 중 적어도 하나는 전원 또는 전기 수신기에 링크될 수 있으며, 이동 가능한 부품과 기저 부품 중 다른 하나는 전원과 전기 수신기 중 다른 하나에 링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부품과 기저 부품의 조립체는 전원에 의해 전기 수신기에 전기적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변형예에서, 기저 부품은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고정 중에, 폐쇄 전기 회로를 이들 사이에 형성하도록 두 개의 내부 전기 접점과 접촉한다. 따라서 조립체는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기저 부품은 전기 회로가 폐쇄될 때 내부 전기 접점과 직렬로 전기적으로 링크되는 외부 커넥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연결은 내부 전기 접점과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와의 접촉 중에 달성된다.
본 발명의 대상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기저 부품을 한정하고 있는 핸드 피스, 및 이동 가능한 부품을 한정하고 있는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치료 장치이다. 액세서리는 핸드 피스에 고정될 때, 상기 조립체를 통해서 핸드 피스 내측의 전원으로부터 전기 동력을 받는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위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립체의 기저 부품이며,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는 관통 소자이다.
본 발명의 대상은 추가로, 위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립체의 기저 부품이며, 고유한 탄성을 나타내는 내부 전기 접점은 특히 꺾어 접힌 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그리고 첨부된 도면을 살펴봄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 이전과 조립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 이전과 조립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변형예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7은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 이전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변형예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6은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 이후에 도 5에 대응하며,
도 8 및 도 9는 각각, 기저 부품에 이동 가능한 부품의 조립 이전과 조립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변형예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변형예의 분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의 상이한 변형예를 통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4 및 도 15는 피부 치료 장치와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 조립체의 부품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기저 부품(20) 및 기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가능한 부품(10)을 포함하는 전기 조립체(1)이다.
기저 부품(20)은 기저 부품(20)의 나머지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누설밀봉 내부 영역(24)을 한정하고 있는 가요성 박막(22)에 의해 폐쇄되는 개구(81)가 제공되어 있는 지지대(21)를 포함한다. 내부 전기 접점(28)은 박막(22) 아래에 존재한다. 박막은 누설밀봉 내부 영역(24)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빠져나오는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를 지지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부품(10) 및 기저 부품(20)은 조립되지 않았으며,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와 내부 전기 접점(28)은 거리(d)만큼 떨어져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부품(10)이 특히 릴리프(relief)(19)를 통해서 기저 부품과 접촉하게 될 때, 릴리프는 박막(22)에 압력을 가하여 박막을 변형시킨다. 이러한 변형은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가 내부 전기 접점(28)과 닿을 수 있게 한다.
릴리프(19)에 의해 한정되는 중간 영역(38)은 박막(22)과 이동 가능한 부품(10) 사이에 형성된다.
중간 영역(38)은 바람직하게, 누설밀봉되며, 박막(22) 위에 지탱된 릴리프(19)는 폐쇄된 형상이다.
박막(22)은 탄성중합체 또는 금속으로, 특히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박막(22)은 지지대(21) 상에 누설밀봉 방식으로 오버몰드(overmoulded)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박막(22)은 지지대(21)의 개구(81)의 에지에 지탱되는 테두리(26)를 그의 주변부에 제공할 수 있으며, 그 테두리는 특히, 이동 가능한 부품(10)이 박막(22)에 압력을 가할 때 박막(22)이 지지대(21)의 개구에 유지되는 것을 돕는다.
박막(22)의 경도는 바람직하게, 5 쇼어 A 내지 75 쇼어 A이다.
박막(22)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박막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고/하거나 이동 가능한 부품(10)과의 양호한 접촉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릴리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 특히 금속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 예를 들어 탄소로 충전된, 바람직하게 청동,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충전된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누설밀봉 방식으로 박막(22)을 통과하며 가요성 박막(22)과 협동하여 내부 영역(24)을 한정한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0이 아닌 거리(e)만큼 가요성 박막(22)으로부터 돌출, 또는 바람직하게 박막으로부터 후퇴될 수 있다. 소자(25)는 예시된 바와 같이, 중실형이며 그의 외부 접촉 표면은 평평하거나 외향으로 오목 또는 볼록하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박막(22)이 결합되는 환형 목부(throat)(41)를 제공할 수 있다. 목부(41)에 박막(22)의 고정은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 상의 박막(22)의 오버몰딩에 의해서 또는 이러한 효과를 위해 제공된 박막(22)의 구멍에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의 강제-끼워맞춤(force-fitting) 및 스냅-체결(snap-fastening)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특히, 나사 고정, 스냅-체결, 또는 리벳 고정에 의해 박막(22)의 양쪽에 함께 조립되는 두 개의 부품(25a,25b)일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3 개의 부품(25a,25b 및 25c)이며, 이중 두 개의 부품(25a,25b)이 외부 접촉 표면을 형성하며 이중 제3 부품이 다른 두 개의 부품(25a,25b) 사이에 전기 연결을 보장한다.
변형예로서,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박막(22)의 한쪽에 지탱되는 넓어진 단부(45) 및 박막(22)의 다른 쪽에서 밀어내어져 있는 대향 단부를 제공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전기 접점(28)은 기저 부품(20) 상의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 중에,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에 의해 밀림으로써 탄성 변형을 겪을 수 있다.
내부 전기 접점(28)은 꺾어 접힌 가요성 판 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은 기저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 중에, 특히 제조 공차와 관련된 유격의 보상, 및 전기 지속성을 보장하는 접촉 압력을 허용한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내부 전기 접점(28)은 지지대(32)에 의해 지지된다.
내부 전기 접점(28)은 예를 들어, 인쇄 회로의 형태이다. 지지대(32)는 내부 연결 소자(28) 및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의 접촉 중에 굴곡될 수 있다.
내부 전기 접점(28)은 바람직하게, 전기 장치(30), 특히 발전기 또는 전기 수신기에 영구적인 방식으로 이어진다.
이동 가능한 부품(10)은 기저부(11)에 고정되고 기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 중에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와 협동하도록 의도된 외부 연결 소자(15)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연결 소자(15)는 예를 들어, 릴리프(19)에 대해 후퇴되게 위치되는 동시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외부 연결 소자(15)는 바람직하게, 금속 또는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예를 들어 탄소로 충전된, 바람직하게 청동,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충전된 전도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외부 연결 소자는 예시된 바와 같이, 중실형이며 그의 외부 접촉 표면은 평평하거나 외향으로 볼록하다.
외부 연결 소자(15)는 바람직하게, 내부 전기 접점(28)이 전기 수신기에 링크되는 경우에 전기 기기(35), 특히 발전기에 링크되거나, 내부 전기 접점(28)이 발전기에 링크되는 경우에 전기 수신기에 링크된다.
외부 연결 소자(15)는 전기 기기(35)에 영구적인 또는 비-영구적인 방식으로 링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 중에, 외부 연결 소자(5)는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와 접촉하게 되며, 그 후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기저부(11)의 릴리프 또는 릴리프(19)들이 가요성 박막(22)과 누설밀봉 접촉하게 되며, 그 후에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가 내부 전기 접점(28)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중간 영역(38)의 누설밀봉은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와 내부 전기 접점(28) 사이의 접촉 이전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기저부(11)의 릴리프 또는 릴리프들과 가요성 박막(22) 사이의 접촉을 통해서 보장되어서 외부 환경에 대해 조립체를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외부 연결 소자(15)와 내부 전기 접점(28) 사이의 전기 연결이 존재하며, 이는 발전기로부터 전기 수신기로 수밀 환경 하에서 전류가 통행할 수 있게 허용한다.
역으로, 이동 가능한 부품(10)과 기저 부품(20)의 분리 중에, 내부 전기 접점(28)과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의 물리적인 분리는 가요성 박막에 대한 릴리프 또는 릴리프들의 분리 및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에 대한 외부 연결 소자(15)의 분리 이전에 달성된다.
따라서, 발전기로부터 전기 수신기로 흐르는 전류는, 단지 조립체가 전체적으로 누설밀봉 상태이며 따라서 절대로 외부 환경과 접촉하지 않을 때에만 흐를 수 있다. 정전기 방전은 외부 매체에 대해 누설밀봉 상태인 내부 영역에서만 나타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어떠한 위험, 특히 외부 환경의 가능한 폭발 성질과 관련한 폭발 위험을 발생시킬 수 없다.
바람직하게, 가요성 박막(22)은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작용 하에서 특히 지지대(21)의 개구(81)의 에지에 지탱되는 테두리(26) 근처에 형성되는 비드(27)에 의해 측면이 한정되는 컵(23)을 형성하도록 변형된다.
바람직하게, 조립체(1)의 소자들의 치수 및 공간, 특히 릴리프(19)의 높이(h),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와 내부 전기 접점(28) 사이의 거리(d),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가 가요성 박막(22)으로부터 돌출하는 또는 그로부터 후퇴되는 거리(e) 및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기저부(11)로부터 돌출하는 내부 연결 소자(15)의 높이(k)는 소자들 사이의 접촉이 이동 가능한 부품(10)과 기저 부품(20)의 조립 중에 위에서 말한 순서로 발생하는 그런 정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외부 연결 소자(15)는 기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 중에 이들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추가의 전기 접점(18)과 접촉하며, 추가의 전기 접점(18)은 전기 기기(35)에 링크된다.
이동 가능한 부품(10)은 특히 기저 부품(20)과 유사할 수 있으며, 추가의 전기 접점(18)은 내부 전기 접점이며, 외부 연결 소자(15)는 가요성 박막(12)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이다.
이동 가능한 부품(10)은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기저 부품(20)과 동일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박막(12)은 기저 부품(20)의 가요성 박막(22)과 동일한 특징을 가진다. 변형예로서,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박막(12)은 기저 부품(20)의 가요성 박막(22)과 상이할 수 있다.
기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 중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15)는 기저 부품(20)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와 접촉한다.
부품(10,20)을 합치는 것은 두 개의 가요성 박막(12,22)의 동시 변형을 일으켜서, 각각의 내부 전기 접점(18,28)에 대한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15,25)의 접촉을 허용한다.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15)(또는 25)의 외부 표면과 지지대(11)(또는 21)의 외부 부품 사이의 거리(l)는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15)(또는 25)와 각각의 내부 전기 접점(18)(또는 28) 사이의 거리(d)보다 더 크다.
가요성 박막(12,22)의 변형 중에, 가요성 박막 각각은 테두리(16,26)에 의해 형성되는 비드(17,27)에 의해 측면이 한정되는 컵(13,23)을 형성한다. 비드(17,27)는 이들 사이에 중간 영역(38)을 한정하기 위해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비드(17,27)는 접촉하게 됨으로써, 중간 영역(38)의 누설밀봉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전기 접촉시에 중간 영역(38)이 전체적으로 누설밀봉 상태가 된다.
변형예로서, 두 개의 박막(12,22) 중 적어도 하나는 두 개의 박막(12,22)이 동시에 변형되게 하도록 기저 부품(20) 상에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 중에, 박막(12,22) 중의 다른 하나의 위에 지탱되는 바람직하게는 돌출하는 릴리프를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기저 부품(20)은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 및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내부 전기 접점(28)을 포함하며, 각각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이들 사이에 전기 접촉을 확립하기 위해서 내부 전기 접점(28) 중의 하나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관통 소자이며 이들은 각각 외부 연결 소자(15)와 접촉한다.
본 발명은 특별한 수의 전기 연결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7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조립체는 3개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 3개의 전기 접점(28) 및 3개의 외부 연결 소자(15)를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예시된 변형예에서, 기저 부품(20)은 두 개의 별개의 내부 전기 접점(28), 및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를 포함하며,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이동 가능한 부품(10)과 기저 부품(20)이 조립될 때, 폐쇄 회로를 형성하도록 두 개의 내부 전기 접점(28)과 접촉한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조립 이후에, 제 1 내부 전기 접점(28)으로부터 제 2 내부 전기 접점(28)으로 전류가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기저 부품(20)은 이동 가능한 부품(10)이 기저 부품(20)에 고정될 때 이동 가능한 부품(10)이 가요성 박막(22)을 변형시키도록 작동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바람직하게, 누설밀봉 내부 영역(24) 내에 전체적으로 포함된다.
부품(10,20)이 합쳐질 때 협동하는 수형 및 암형 커넥터 소자(61,62)를 부품(10,20)이 지지할 수 있다는 것을 도 8 및 도 9에서 볼 수 있다.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 덕분에 회로의 폐쇄 또는 개방은 커넥터 소자(61)를 켜거나 끄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커넥터 소자는 예시된 바와 같이, 트랙(63)에 의해서 접점(28) 중의 하나에 링크된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가 없어서 회로가 개방될 때, 커넥터 소자(61)는 회로의 나머지 부분에 전기적으로 링크되지 않으며, 회로가 폐쇄될 때 커넥터 소자는 링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수많은 부분에의 용례가 발견되었다.
예로서, 도 14 및 도 15는 전원을 수용하고 있는 핸드 피스(hand piece)를 포함하고 브러쉬(90)와 같은 치료 부재를 갖고 있는, 머리를 포함한 신체 또는 얼굴 치료를 위한 장치에의 전형적인 용례를 예시한다.
액세서리(100)가 핸드 피스에 끼워질 수 있으며, 핸드 피스는 예를 들어, 핸드 피스의 액세서리로부터 다양한 치료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전기 공급 장치를 요구한다.
핸드 피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립체의 기저 부품(20)이 한정되며 두 개의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를 지지하는 박막(22)을 제공한다.
두 개의 보이지 않는 전기 접점은 핸드 피스 내에 수용된 전원의 터미널에 각각 링크된다.
액세서리에는 이동 가능한 부품(10)이 형성되며 액세서리(100)가 예를 들어, 스냅-체결 또는 마찰에 의한 상호결합에 의해 핸드 피스(90)에 고정될 때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에 각각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액세서리(100)의 끼워 맞춤은 박막(22)의 변형을 일으키며 소자(25)와 접점(18)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한다. 따라서, 액세서리(100)에 의해 휴대되는 외부 접점(15)은 핸드 피스의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박막(22)은 전기 연결부의 누설밀봉을 보장한다.
액세서리(100)가 없을 때에,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25)는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며 심지어 사용자가 우연히 소자(25)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전원의 전압에 노출될 위험이 없다. 게다가, 핸드 피스가 수중에서 사용된다면, 전원을 소모하고 접점을 산화시킬 수 있는 전기 분해가 소자(25)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조립체(1)는 또한, 폭발의 위험에 노출된 매체에, 특히 ATEX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가능한 부품(10)은 스파크 위험이 내부 공간(24)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임의의 특별한 주의 없이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설명된 전형적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특징은 예시되지 않은 변형예에서 조합될 수 있다.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복수의 박막 및 이동 가능한 전도성 소자를 지닐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동일한 전기 기기에 링크될 수 있다.
표현 "포함하는"은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과 같은 의미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이에 있는"은 반대로 특정하지 않는 한 그 한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된다.

Claims (22)

  1. 전기 조립체로서,
    - 기저 부품(20), 및
    - 상기 기저 부품(20)에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이동 가능한 부품(10)을 포함하며, 상기 기저 부품(20)은
    - 누설밀봉 내부 영역(2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가요성 박막(22),
    - 상기 박막(2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내부 영역(24)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 및
    -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 아래의 상기 내부 영역(24)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기 접점(28)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는, 상기 기저 부품(20)에의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조립과 관련한 상기 박막의 변형 중에는,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와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기저 부품에의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의 고정이 없을 때에는, 상기 내부 전기 접점으로부터 떨어지는 전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은 전기 기기(30), 특히 발전기 또는 전기 수신기에 링크되는 전기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과 상기 기저 부품(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과 상기 기저 부품(20) 중 다른 하나에 누설밀봉 방식으로 지탱되는 릴리프(19), 바람직하게는 돌출 릴리프를 포함하는 전기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은 오직 상기 릴리프(19)만을 통해서 상기 박막(22)에 지탱되는 전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19)는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와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 사이의 전기 접촉 이전에 상기 박막에 누설밀봉 방식으로 적용되는 전기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박막은, 상기 박막의 변형 중에, 상기 박막의 주변부에서, 컵(23)을 한정하는 비드(27)를 형성하는 전기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와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 사이의 접촉은 탄성 변형을 수반하는 전기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은 꺾어 접힌(folded back on itself) 가요성 판으로 구성되는 전기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와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은, 상기 박막(22)의 변형이 없을 때, 0.3 ㎜ 이상의 거리(d)만큼 떨어져 있는 전기 조립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는 상기 박막(22)을 통과하는 전기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은,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이 상기 기저 부품(20)에 고정될 때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와 전기적으로 협동하도록 설계되는 외부 연결 소자(15)를 포함하는 전기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소자(15)와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 사이의 전기적 협동은 접촉에 의해 실시되며, 이러한 접촉은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과 상기 기저 부품(20)의 조립 중에,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와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 사이의 전기적 접촉 이전에 발생하는 전기 조립체.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은 제 1 전기 기기(30)에, 특히 발전기와 전기 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에 링크되며, 상기 외부 연결 소자(15)는 적어도 이동 가능한 부품(10)이 상기 기저 부품(20)에 고정될 때, 제 2 전기 기기(35)에, 특히 상기 발전기와 상기 전기 수신기 중 다른 하나에 링크되는 전기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결 소자(15)는 상기 제 2 전기 기기(35)에 영구적인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링크되는 전기 조립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은, 상기 기저 부품(20)과 유사하며,
    - 누설밀봉 내부 영역(1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한정하는 가요성 박막(12),
    - 상기 박막(1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박막(12)을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15), 및
    -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15) 아래의 상기 내부 영역(14)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전기 접점(18)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15)는, 상기 기저 부품(20)에의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조립과 관련한 상기 박막(12)의 변형 중에는, 상기 내부 전기 접점(18)과 접촉하여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15)와 상기 내부 전기 접점(18)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기저 부품(20)에의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이 없을 때에는, 상기 내부 전기 접점(18)으로부터 떨어지는 전기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의 상기 가요성 박막(12)은 변형됨으로써 상기 박막의 주변부에서 컵(23)을 한정하는 비드(17)를 형성하는 전기 조립체.
  17. 제 6 항 및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부품에의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조립 중에, 상기 비드(17,27)는 상기 기저 부품(20)의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와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15) 사이에 접촉이 확립되는 중간 영역(38)을 한정하도록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전기 조립체.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부품(20)은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들(25)과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전기 접점들(28)을 포함하며, 각각의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는,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과 상기 기저 부품(20)이 조립될 때, 각각의 내부 전기 접점(28)과 접촉하여 각각의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와 각각의 내부 전기 접점(28) 사이에 전기 연결을 확립하는 전기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는 관통 소자이며,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은,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이 상기 기저 부품(20)에 고정될 때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들(25) 중의 하나와 각각 접촉하도록 의도되는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연결 소자들(15)을 포함하는 전기 조립체.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부품(20)은 적어도 두 개의 내부 전기 접점들(28)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능한 전기 전도성 소자(25)는, 상기 기저 부품(20)에의 상기 이동 가능한 부품(10)의 고정 중에, 두 개의 내부 전기 접점들(28)과 접촉하여 폐쇄 전기 회로를 이들 사이에 형성하는 전기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부품(20)은 상기 전기 회로가 폐쇄될 때 상기 내부 전기 접점(28)과 직렬로 전기적으로 링크되는 외부 커넥터 소자(61)를 포함하는 전기 조립체.
  22. 치료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조립체의 기저 부품(20)을 한정하고 있는 핸드 피스, 및 이동 가능한 부품(10)을 한정하고 있는 액세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액세서리는 상기 핸드 피스에 고정될 때 상기 전기 조립체를 통해서 상기 핸드 피스 내측의 전원으로부터 전기 동력을 받는 치료 장치.
KR1020167007688A 2013-08-28 2014-08-27 누설밀봉 연결부를 갖춘 전기 조립체 KR201600468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358233 2013-08-28
FR1358233A FR3010245B1 (fr) 2013-08-28 2013-08-28 Assemblage electrique a connexion etanche
PCT/IB2014/064095 WO2015028953A1 (en) 2013-08-28 2014-08-27 Electrical assembly with leaktight conn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870A true KR20160046870A (ko) 2016-04-29

Family

ID=4951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688A KR20160046870A (ko) 2013-08-28 2014-08-27 누설밀봉 연결부를 갖춘 전기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47609B2 (ko)
EP (1) EP3039751B1 (ko)
JP (1) JP6488308B2 (ko)
KR (1) KR20160046870A (ko)
CN (1) CN105684235B (ko)
ES (1) ES2690360T3 (ko)
FR (1) FR3010245B1 (ko)
WO (1) WO2015028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9477A (zh) * 2015-04-20 2015-07-15 张建 一种水下插拔隔爆型电连接端子结构
CN104779454A (zh) * 2015-04-20 2015-07-15 张建 电器设备防水触点
AU2016347360B2 (en) * 2015-10-27 2021-04-01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Multipolar connector
JP6693795B2 (ja) * 2016-04-11 2020-05-13 ホシデン株式会社 防水型電子部品
US9843121B1 (en) * 2016-08-23 2017-12-12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ommunication connector having contact pads contacted by movable contact members
JP6321760B1 (ja) * 2016-11-16 2018-05-0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接続部材およびそれを具備するモータ駆動装置
WO2019161033A1 (en) * 2018-02-16 2019-08-22 Carefusion 303, Inc. Module connectors for infusion pump systems
EP3756248A1 (fr) 2018-04-06 2020-12-30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Connecteur multipolaire
WO2019193567A1 (fr) 2018-04-06 2019-10-10 Fischer Connectors Holding S.A. Connecteur multipolaire
CN108598784A (zh) * 2018-04-11 2018-09-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产品接口用防护结构及电子产品
US10931058B2 (en) * 2018-09-24 2021-02-23 Apple Inc. Gaskets for sealing spring-loaded contacts
CN112290319A (zh) * 2019-07-10 2021-01-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组件和电器设备
JP7139072B2 (ja) * 2019-09-03 2022-09-2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接続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8347A1 (de) * 1976-04-27 1977-11-17 Albert Blum Kabeleinfuehrung bei elektrotechnischen geraeten, insbesondere elektromotorisch angetriebenen tauchpumpen
US4146286A (en) * 1978-04-17 1979-03-27 Ford Motor Company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DE3305185C2 (de) * 1983-02-15 1985-07-18 Schulze, Wolfgang, 1000 Berlin Steckverbinder für elektrische Geräte, insbesondere Handfunkgeräte
JPS62157026U (ko) * 1986-03-27 1987-10-06
JPH0614348Y2 (ja) * 1987-05-19 1994-04-13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薄形多重式押釦スイッチ
JPH0521794Y2 (ko) * 1987-05-28 1993-06-04
JPH01134366U (ko) * 1988-03-07 1989-09-13
FR2650921A1 (fr) * 1989-08-10 1991-02-15 Michelin & Cie Connecteur electrique et ensemble comportant un connecteur electrique et un contact associe
DE4319034C1 (de) * 1993-06-08 1995-02-23 Alexander Paulke Schutzkontaktsteckdose mit Kindersicherung
US5378165A (en) * 1993-11-12 1995-01-03 Molex Incorporated Plug detection electrical receptacle
US5562467A (en) * 1993-11-26 1996-10-08 Motorola, Inc. Electrical interface seal
JPH09503425A (ja) 1994-08-05 1997-04-08 ヘッシュ・メタル・ウント・クンストシュトッフヴェルク・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 浴槽に使用する水マッサージ装置
JP3428182B2 (ja) 1994-11-18 2003-07-22 株式会社ニコン 測量機
US5743757A (en) * 1995-10-23 1998-04-28 Chen; Ming-Hsiung Lamp socket with water sealing means
CN100436933C (zh) 2000-08-11 2008-11-26 维尔弗里德·施特格 聚光防水手电筒
JP4821705B2 (ja) * 2007-05-21 2011-11-24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端末装置
CN201270325Y (zh) * 2008-07-10 2009-07-08 周刚 防水绝缘性连接器
US8215975B2 (en) * 2008-07-10 2012-07-10 Gang Zhou Waterproof insulate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88308B2 (ja) 2019-03-20
FR3010245B1 (fr) 2016-10-21
ES2690360T3 (es) 2018-11-20
EP3039751A1 (en) 2016-07-06
WO2015028953A1 (en) 2015-03-05
JP2016530687A (ja) 2016-09-29
CN105684235A (zh) 2016-06-15
EP3039751B1 (en) 2018-08-08
US20160211627A1 (en) 2016-07-21
US9847609B2 (en) 2017-12-19
FR3010245A1 (fr) 2015-03-06
CN105684235B (zh)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6870A (ko) 누설밀봉 연결부를 갖춘 전기 조립체
NZ574004A (en) Sexual stimulation device with vibrator unit comprising a switch with actuating means pushable in one direction
TWI626936B (zh) massager
US10702691B2 (en) Low-frequency treatment device, main body portion for low-frequency treatment device, pad for low-frequency treatment device, combination of pad and holder for low-frequency treatment device
TWI803560B (zh) 美容器
TW201808249A (zh) 美容器
US20240157129A1 (en) Skin stimulation brush
KR101912849B1 (ko) 배터리교체가 용이한 스킨케어용 휴대형 진동 마사지 장치
KR101571397B1 (ko)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CN205657246U (zh) 漏电保护插头的防水密封结构
US20180212357A1 (en) Power connector module and power connector thereof
JP2013254659A (ja) 防水用押釦スイッチ部材
CN211270113U (zh) 液体加热组件
CN110794593A (zh) 一种可拆卸清洗座的隐形眼镜还原仪
CN219071830U (zh) 一种按摩罐可拆的微电流按摩器
CN215069731U (zh) 防水按键组件及电子设备
CN204274177U (zh) 一种带电源插的可拆卸上盖装置及具有其的电饭煲
CN216902619U (zh) 环绕灯按键组件及电子设备
JP6971373B2 (ja) 美容器
CN220237570U (zh) 一种等离子梳齿结构及等离子体梳
JPH0339870Y2 (ko)
CN219231209U (zh) 美容仪
CN212229193U (zh) 水浸传感器
JPS6215020Y2 (ko)
JP2007087831A (ja) スイッチ装置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