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600A -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600A
KR20160046600A KR1020140142738A KR20140142738A KR20160046600A KR 20160046600 A KR20160046600 A KR 20160046600A KR 1020140142738 A KR1020140142738 A KR 1020140142738A KR 20140142738 A KR20140142738 A KR 20140142738A KR 20160046600 A KR20160046600 A KR 20160046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ir
temperature
air condition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6600A/ko
Publication of KR2016004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의 일 양태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각 신호를 입력받는 다수개의 버튼; 상기 버튼 중 적어도 1개에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버튼 중 적어도 1개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부재; 및 상기 버튼 중 적어도 1개가 상기 버튼의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INPUT APPARATUS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그 내부 공간의 공조를 위한 공조 시스템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은, 증발기를 유동하는 냉매 또는 히터 코어를 유동하는 엔진 냉각수와 열교환된 공기를 차량의 내부로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차량용 공조 시스템는,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선행특허(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23014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특허를 참조하면, 공조 장치의 컨트롤러(1)에는 다수개의 스위치(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스위치(5)는 예를 들면, 냉방 온/오프나 공조 온도의 설정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조 시스템의 경우에는 운전자가 스위치(5)를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기억이나 경험에 의하여 인지된 위치를 기초로 스위치(5)를 조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 중에 스위치(5)의 위치를 확인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사고의 발생이 우려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23014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공조 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의 일 양태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각 신호를 입력받는 다수개의 버튼; 상기 버튼 중 적어도 1개에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버튼 중 적어도 1개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부재; 및 상기 버튼 중 적어도 1개가 상기 버튼의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버튼은, 공조 온도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온도 증가 버튼; 및 공조 온도를 감소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온도 저감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증가 버튼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온도 저감 버튼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버튼은, 에어컨을 온/오프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에어컨 온/오프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에어컨이 온된 경우에는 상기 에어컨 온/오프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고, 에어컨이 오프된 경우에는 상기 에어컨 온/오프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버튼은,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증가 버튼;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엽력받는 공조 오프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에어컨이 온된 경우에는 상기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 오프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고, 에어컨이 오프된 경우에는 상기 풍량 증가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 오프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버튼은,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증가 버튼;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엽력받는 공조 오프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공조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 오프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고, 공조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증가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 오프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버튼은,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증가 버튼;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엽력받는 공조 오프 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기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 오프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기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증가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 및 공조 오프 버튼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서는, 버튼이 각각이 입력받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온도를 띄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육안으로 버튼의 위치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하여 버튼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1)는, 다수개의 버튼(10), 적어도 1개의 발열 부재(21), 적어도 1개의 흡열 부재(22) 및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10)은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상기 제1 및 흡열 부재(22)는, 발열 또는 흡열하여 상기 버튼(10)에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버튼(10)으로부터 열을 흡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적어도 1개의 상기 버튼(10)의 온도가 각각이 입력받는 신호 또는 현재 공조 환경과 관련하여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제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버튼(10)은, 적어도 온도 증가 버튼(11), 온도 저감 버튼(12), 및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을 포함한다.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은 공조 온도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온도 저감 버튼(12)은 공조 온도를 저감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도 1에는,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 및 온도 저감 버튼(12)이 물리적으로 1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 및 온도 저감 버튼(12)은 별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은, 에어컨을 온/오프하는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버튼(10)은,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증가 버튼(14),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저감 버튼(15), 공조를 오프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공조 오프 버튼(16)을 더 포함한다. 물론, 상기 버튼(10)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 시스템에 구비되는 다른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발열 부재(21)는, 상기 버튼(10) 중 적어도 1개의 온도가 상기 버튼(10) 중 나머지의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도록 발열한다. 그리고 상기 흡열 부재(22)는, 상기 버튼(10) 중 적어도 1개의 온도가 상기 버튼(10) 중 나머지의 온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흡열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발열 부재(21)로는 열선이나 열전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흡열 부재(22)로는 열전소자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온도 저감 버튼(12)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열 부재(21)가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에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흡열 부재(22)가 상기 온도 저감 버튼(12)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상기 발열 부재(21)에 의한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으로의 열의 제공 및 상기 흡열 부재(22)에 의한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으로부터의 열의 흡수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뿐만 아니라,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공조 환경과 관련하여 설정된 조건, 예를 들면, 에어컨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서 상기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이 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에어컨이 오프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어부(30)가, 공조 환경과 관련하여 설정된 조건, 에어컨의 온/오프 여부에 따라서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컨이 온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반대로, 에어컨이 오프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제어부(30)가 설정된 공조 온도에 따라서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공조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반대로, 공조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제어부(30)가 외기 온도에 따라서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외기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반대로, 외기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 부재(21) 및 흡열 부재(2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가 상기 버튼(10), 특히,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 온도 저감 버튼(12), 및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의 상대 온도에 따라서 이를 인식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상기 버튼(10)을 식별하여 조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2)에서는, 버튼(10) 중 일부가 그 나머지와 상이한 질감의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온도 증가 버튼(11A)은 상대적으로 차가운 느낌의 재질, 예를 들면,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온도 저감 버튼(12A)은 상대적으로 따뜻한 느낌의 재질,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질이나 가죽 재질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에어컨 온/오프 버튼(13A)은 상대적으로 차가운 느낌의 재질로 성형되고, 공조 오프 버튼(16A)은 상대적으로 따뜻한 느낌의 재질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발열 부재(21)나 흡열 부재(22)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도 운전자가 상기 버튼(10)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식별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버튼 21: 발열 부재
22: 흡열 부재 30: 제어부

Claims (6)

  1.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에 있어서:
    각각 신호를 입력받는 다수개의 버튼(10);
    상기 버튼(10) 중 적어도 1개에 열을 제공하거나 상기 버튼(10) 중 적어도 1개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부재(21)(22); 및
    상기 버튼(10) 중 적어도 1개가 상기 버튼(10)의 나머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0); 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은,
    공조 온도를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온도 증가 버튼(11); 및
    공조 온도를 감소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온도 저감 버튼(12);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온도 증가 버튼(11)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온도 저감 버튼(12)의 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은,
    에어컨을 온/오프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에어컨이 온된 경우에는 상기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고,
    에어컨이 오프된 경우에는 상기 에어컨 온/오프 버튼(13)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은,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증가 버튼(14);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엽력받는 공조 오프 버튼(16);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에어컨이 온된 경우에는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고,
    에어컨이 오프된 경우에는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은,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증가 버튼(14);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엽력받는 공조 오프 버튼(16);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공조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고,
    공조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10)은,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증가 버튼(14);
    공조된 공기의 풍량을 저감시키는 신호를 입력받는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를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엽력받는 공조 오프 버튼(16);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외기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기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풍량 증가 버튼(14)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상기 풍량 저감 버튼(15) 및 공조 오프 버튼(16)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부재(21)(22)의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KR1020140142738A 2014-10-21 2014-10-21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KR20160046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38A KR20160046600A (ko) 2014-10-21 2014-10-21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738A KR20160046600A (ko) 2014-10-21 2014-10-21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600A true KR20160046600A (ko) 2016-04-29

Family

ID=5591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738A KR20160046600A (ko) 2014-10-21 2014-10-21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60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014A (ko) 2011-08-23 2013-03-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3014A (ko) 2011-08-23 2013-03-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0252B1 (en) Vehicle air-conditioning method and 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US201101667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In An Automotive Vehicle
US20130167556A1 (en)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for vehicle sea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6552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vehicular seat
KR101200157B1 (ko) 차량의 시트 냉난방장치의 온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112219A (ko) 차량용 에어컨 예약시스템
KR20160046600A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의 입력 장치
US20140216704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hvac system
KR101755950B1 (ko) 시트 냉난방 자동변환 제어 방법 및 장치
JP618708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03219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80040418A (ko) 차량용 자동 온도조절 장치의 제어방법
JP200806879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6824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20040495A5 (ko)
KR20160120463A (ko) 차량용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배출 풍량비 보정 장치 및 보정 방법
JP2018162006A (ja) 制御装置
JP2008183922A (ja) 車輌用操舵手元空調装置
KR20140109069A (ko) 차량 공조 장치용 컨트롤러
KR10236050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621895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3879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30071573A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JP6137891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60010675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