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5803A -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의 조작 방법 및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의 조작 방법 및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5803A
KR20160045803A KR1020167007241A KR20167007241A KR20160045803A KR 20160045803 A KR20160045803 A KR 20160045803A KR 1020167007241 A KR1020167007241 A KR 1020167007241A KR 20167007241 A KR20167007241 A KR 20167007241A KR 20160045803 A KR20160045803 A KR 20160045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s
displayed
switch element
main menu
display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5177B1 (ko
Inventor
미-란 전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 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60045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K3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B60K2350/1004
    • B60K2350/1028
    • B60K2350/1032
    • B60K2350/105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3Touch sensitive instrument input devices
    • B60K2360/1438Touch screens
    • B60K2360/1442Emulation of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6Instrument input by ges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20) 내에서의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20) 내에 배치된 표시면(2) 위에 조작 구조의 메뉴(13, 14, 17)가 표시되고, 조작 구조는 주요 메뉴(13) 및 다수의 추가적 메뉴들(14, 17)을 포함하며, 표시된 메뉴(13, 14, 17)의 변경을 야기할 수 있고, 메뉴(13, 14, 17)의 스위치 요소들(13-1 내지 13-6, 14-1 내지 14-6, 17-1 내지 17-6)을 작동시킬 수 있는 입력들이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방법은, 조작 구조의 다수의 메뉴들(13, 14, 17)의 적어도 복수의 메뉴들(14, 17)에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표시면(2)의 가장자리에 표시되고, 특별 스위치 요소(16)에 지정된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되면, 주요 메뉴(13)가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조작 방법을 수행하는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의 조작 방법 및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OPERATING METHOD FOR AN OPERATING AND DISPLAY DEVICE IN A VEHICLE AND OPERATING AND DISPLAY DEVIC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내에서 조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에서 차량 내에 배치된 표시면 위에 조작 구조의 메뉴가 표시된다. 이때 조작 구조는 주요 메뉴 및 다수의 추가 메뉴들을 포함한다. 또한, 입력들이 감지될 수 있고, 이러한 입력들에 의해 표시된 메뉴의 변경이 야기될 수 있고, 이러한 입력들에 의해 메뉴들의 스위치 요소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면 및 메모리를 구비한, 차량 내의 조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모리에는 조작 구조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조작 구조는 주요 메뉴 및 다수의 추가적 메뉴들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 장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제어 장치는 메모리 및 표시면과 결합되어 있고,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표시면 위에 메뉴들을 표시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 장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고, 입력 장치에 의해 입력들이 감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입력들에 의해 표시된 메뉴들의 변경이 야기될 수 있고, 이러한 입력들에 의해 메뉴들의 스위치 요소들이 작동될 수 있다.
차량 내에는 다양한 정보- 및 통신 장치들이 구비되고, 이러한 장치들의 표시물 및 정보들은 표현되어야 한다. 차량 내에 부속할 수 있는 표시면들로서, 특히 차량의 운전자가 표시물을 판독할 수 있어야 하는 표시면들의 크기는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조작- 및 표시물을 개관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예컨대 계층적 조작 구조들이 사용된다. 계층적 조작 구조는 다수의 메뉴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메뉴들에는 각각 다양한 메뉴 항목들, 알파벳과 숫자로 표시된 정보 표현물들 및/또는 그래픽들이 지정되어 있다.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계층적 조작 구조에서 더 아래에 위치한 레벨의 메뉴, 소위 서브 메뉴가 열린다. 이러한 서브 메뉴는 다시 복수의 서브 메뉴 항목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 의해 계속될 수 있어서, 표시면 위의 표시물을 위한 복잡한 세분화가 이루어진다. 조작 구조의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차량 내의 조작 장치를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조작 장치의 다양한 정보를 유연하게 표시할 수 있으려면, 자유 프로그래밍 가능한 디스플레이들이 복수 개로 장착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들은 표시면 위에 조작 구조의 메뉴들을 표시한다. EP 2 246 214 A1에는 예컨대 조작 방법이 설명되어 있고, 이러한 방법에서 복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주요 메뉴는 표시면 위에 표시된다. 메뉴 항목들 중 하나의 메뉴 항목이 작동하면, 서브 메뉴가 표시되고, 서브 메뉴는 다시 복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한다.
WO 2013/053466 A2에는 차량 내에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방법이 설명되며, 이러한 방법에서 표시면 위에는 계층적 조작 구조의 주요 메뉴가 표시된다. 이 경우, 주요 메뉴는 더 많은 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여, 일부의 메뉴 항목들만 표시면 위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경우 조작 과정에 의해 표시된 일부 메뉴 항목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과제는, 서두에 언급한 종류의 조작 방법 및 조작 장치를 제공하되, 사용자를 위한 조작이 간단해지는 조작 방법 및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과제는 제1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조작 방법 및 제8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에 의하여 해결된다. 유리한 형성예들 및 발전예은 종속항들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방법은, 조작 구조의 다수의 메뉴들 중에 적어도 복수의 메뉴들에서 스와이프(swipe) 제스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특별 스위치 요소는 표시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다. 특별 스위치 요소에 지정된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되었을 때, 주요 메뉴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조작 구조가 매우 복잡할 때에도 사용자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주요 메뉴에 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 구조 내에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는 간단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특별 스위치 요소를 작동시켜, 신속하게 다시 주요 메뉴로 돌아갈 수 있다.
스위치 요소 또는 특별 스위치 요소란, 본 발명의 견지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어 요소를 의미한다. 스위치 요소는 순수한 정보 표시를 위한 요소 및 면적, 소위 표시 요소들과 구분되는데, 이러한 표시 요소들은 선택 가능하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스위치 요소를 선택하면, 이 스위치 요소에 지정된 기능이 실행된다. 기능은 오로지 정보 표시의 변경만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요소에 의해서, 정보 표시에 의해 그 조작이 지원되는 설비들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요소들은 종래의 기계적 스위치를 대체할 수 있다. 스위치 요소들은 자유 프로그래밍 가능한 표시면을 위해 임의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이러한 표시면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요소가 마킹될(marked) 수 있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정된 기능은 아직 실행되지 않는다. 한편, 마킹된 스위치 요소는 다른 스위치 요소들에 비해 강조 표시된다. 이 스위치 요소를 선택하면, 비로소, 스위치 요소에 지정된 기능이 실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발전예에 따르면, 조작 구조는 계층적 구조이고, 이러한 계층적 구조에서 주요 메뉴는 계층적으로 최고 레벨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주요 메뉴는 복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메뉴 항목들이 작동하면 계층적으로 더 아래에 배치된 레벨의 메뉴가 불러오기 된다. 이러한 계층적 조작 구조는 복수의 계층 레벨들에 걸쳐 이어질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조작 구조에서, 사용자에게는 상황에 따라 올바른 방향을 찾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차량 내에서 이러한 조작 구조를 사용할 때, 이러한 올바른 방향 찾기는, 차량의 운전자가 주행 상황으로부터 시야를 돌릴 수 없는 상황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설비들을 조작하게 됨에 따라 더 어려워진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특히 차량의 운전자는 특별 스위치 요소 및 스와이프 제스처를 이용하여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다시 주요 메뉴에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형성예에 따르면, 주요 메뉴를 제외한 조작 구조의 모든 메뉴들에서 특별 스위치 요소는 표시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메뉴들에서 특별 스위치 요소에 지정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하여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다시 주요 메뉴로 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발전예에 따르면, 주요 메뉴를 제외한 조작 구조의 모든 메뉴들에서 특별 스위치 요소는 동일한 위치에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어떤 메뉴에서도 특별 스위치 요소를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재인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별적 메뉴들에서 올바른 방향 찾기는 간단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방법의 다른 형성예에 따르면, 특별 스위치 요소는 주요 메뉴의 표현물을 제외한 모든 표현물들에서 표시면 위에 표시된다. 이 경우 주요 메뉴는 메뉴들의 표시뿐만 아니라 간단한 정보의 표현에서도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특별 스위치 요소는 무엇보다도 표시면 위에 표현되는 바(bar)를 가리킨다. 이때 이러한 바의 종방향 에지는 표시면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특별 스위치 요소는 특히 표시면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형성예에 따르면, 특별 스위치 요소의 작동이 감지된 후에 주요 메뉴는 표시면 위에 표시될 때 특별 스위치 요소가 표시된 가장자리로부터 표시면 안쪽으로 제1 시간 주기 내에 이동함으로써, 주요 메뉴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표시면 영역을 점점 더 크게 차지하고, 이와 동시에 이제까지 표시된 메뉴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소실된다. 제1 시간 주기의 경과 후, 아직 주요 메뉴만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메뉴 변경을 매우 간단하게 감지할 수 있어서, 다시 조작 구조 내에서 올바른 방향 찾기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형성예에서 제2 시간 주기 내에 주요 메뉴의 스위치 요소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았을 때, 주요 메뉴 앞에 표시되는 메뉴는 다시 표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용자가 주요 메뉴의 스위치 요소를 작동시키고 싶지 않을 때, 추가적 조장 과정 없이 자동으로 다시 직전 메뉴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스와이프 제스처는 예컨대 표시면의 접촉 감지 표면 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 또는 부가적으로, 스와이프 제스처는 표시면 앞의 검출 영역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조작 구조의 메뉴들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생성될 수 있어서, 조작 구조의 적어도 복수의 메뉴들에서 특별 스위치 요소는 표시면의 가장자리에 표시되고, 이러한 특별 스위치 요소는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특별 스위치 요소에 지정된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되었을 때,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조작 구조의 메뉴들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생성될 수 있어서, 주요 메뉴가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는 특히, 이러한 조작 장치가 전술한 방법 단계들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조작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의 다양한 설비들이 조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동일한 전술한 이점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의 일 형성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는 접촉 감지 표면을 포함하고, 이러한 접촉 감지 표면은 표시면 위에 배치되고, 이 접촉 감지 표면 위에서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될 수 있다. 대안적 또는 부가적으로, 입력 장치는 감지 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 영역 내에서 수행된 제스처가 감지될 수 있으며, 이때 검출 영역은 특히 표시면 앞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특히 자동차에 관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작 방법 및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면에 대한 참조 번호와 함께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의 일 실시예 및 이러한 조작 장치와 차량의 다른 설비들의 연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의 실시예의 표시 장치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의 표시면 위의 표시물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이러한 표시물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생성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장치(6) 및 차량(20) 내에서의 그 배치에 대한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조작 장치(6)는 표시면(2)을 구비한 표시 장치(1)를 포함하고, 표시 장치는 차량(20)의 실내에 배치되되, 적어도 1명의 차량 승객, 특히 운전자가 이러한 표시 장치를 잘 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표시면(2)은 임의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특히 액정 디스플레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조작 장치(6)는 제어 장치(3) 및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한다. 제어 장치(3)는 표시 장치(1)와 연결되어 있다. 제어 장치(3)를 이용하여 표시면(2) 위에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생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표시면(2) 위의 접촉 감지 표면(4)을 포함한다. 따라서 소위 터치스크린이 제공된다.
또한, 입력 장치는 선택적으로 감지 장치(7)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장치(7)를 이용하여 검출 영역(8) 내에서 작동 객체(12)의 체류 및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또한, 검출 영역(8) 내에서 작동 객체(12)의 시간상 위치 변동 및 경우에 따라서 시간상 형태 변동은 감지될 수 있어서, 입력을 위한 다양한 제스처들이 감지될 수 있다. 검출 영역(8)은 도 2에서 세부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검출 영역(8)은, 표시면(2) 앞에서 수행된 제스처가 감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작동 객체(12)는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 끝단 또는 사용자의 손을 가리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될 수 있다. 스와이프 제스처를 할 때, 사용자는 그의 손가락 끝단을 빠르게 한 방향으로 움직인다. 스와이프 제스처의 이러한 방향도 감지 장치(7)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 장치(3)에 전달된다. 제어 장치(3)는 접촉 감지 표면(4) 위의 다양한 입력들에 따라 또는 감지 장치(7)를 이용하여 감지된 입력들에 따라 표시면(2) 위의 표시물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3)는 메모리(11)와 연결되어 있다. 메모리(11) 내에는 다양한 레벨들에서 메뉴들을 포함하는 계층적 조작 구조에 관한 데이터들이 저장되어 있다. 계층적 조작 구조는 주요 메뉴를 포함하고, 주요 메뉴는 조작 장치(6)의 스위치온(switch-on)일 때 또는 차량(20)의 스위치온 일 때 표시된다. 이러한 주요 메뉴는 복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한다. 메뉴 항목들은 표시면(2) 위의 스위치 요소들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스위치 요소가 작동되면, 이후 서브 메뉴, 즉 계층적으로 더 낮은 레벨에 있는 메뉴가 표시되고, 이러한 서브 메뉴는 각각 다시 복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뉴들에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거나, 또는 일 메뉴 항목의 작동 후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차량(20)의 설비들의 조작을 위해 기능하거나 차량(20)의 설비들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표시물들을 계층적 조작 구조 내에서 생성하기 위해, 제어 장치(3)는 또한 차량(20)의 데이터버스(5)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버스(5)를 통해 제어 장치(3)는 차량(20)의 추가적 설비들(9, 10)과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추가적 설비들에 대해 정보들이 표시면(2) 위에 표시되어야 하거나 추가적 설비들은 조작 장치(6)를 이용하여 조작되어야 한다. 설비들(9, 10)은 예컨대 차량(20)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차량(20)의 라디오를 가리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가 설명되며, 이러한 방법은 앞서 설명한 조작 장치(6)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차량(20)이 스위치온되면, 즉 예컨대 점화(ignition)가 작동되면, 표시면(2) 위에 주요 메뉴(13)가 표시되고,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주요 메뉴(13)는 복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메뉴 항목들에 대해 스위치 요소들(13-1 내지 13-6)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스위치 요소들(13-1 내지 13-6)을 작동시키되, 사용자가 그의 손가락 끝단(12)으로 각각의 스위치 요소의 영역 내에서 접촉 감지 표면(4)을 만짐으로써 작동시킬 수 있다. 스위치 요소의 작동은, 제어 장치(3)가 표시면(2) 위의 표시물을 변경하여, 작동된 스위치 요소가 강조 표현되도록, 예컨대 확대되거나 전면에 사시도로 표현되는 것으로 시각화되고, 이는 도 4에서 "네비게이션" 스위치 요소(13-4)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다.
주요 메뉴(13)의 스위치 요소가 작동한 후, 제어 장치(3)는 표시면(2) 위에 애니메이션을 생성한다. 그러한 애니메이션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주요 메뉴(13)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위쪽으로 슬라이드된다. 즉, 표시면(2) 위에서 주요 메뉴(13)가 차지하는 영역은 제1 시간 주기 내에서 점점 더 축소되어, 제1 시간 주기의 경과 후 주요 메뉴(13)는 더 이상 표현되지 않는다. 이와 동시에, 작동하는 스위치 요소(13-4)에 지정된 메뉴(14)가 나타난다. 본원에 설명된 경우에서,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비게이션 메뉴(14)이다.
네비게이션 메뉴(14)는 다시 복수의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메뉴 항목들에 대해 스위치 요소들(14-1 내지 14-6)이 표시된다. 본원 경우에, 이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위한 목적지들의 범주들이다. 또한, 특별 스위치 요소(16)가 표시되고, 이러한 특별 스위치 요소에 의해 사용자는 항상 다시 주요 메뉴(13)로 되돌아갈 수 있다. 특별 스위치 요소(16)의 기능 및 작동은 이후 더 상세히 설명된다.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자신이 알고 있는 방식으로 작동시켜, 사용자가 지리학적 지도를 보길 원할 시에, 제어 장치(3)는 표시 장치(1)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가 더 위쪽으로 나타나게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표시 장치(1)의 디스플레이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지리학적 지도는 표시면(2) 위에 표시된다. 또한, 다시 특별 스위치 요소(16)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새로운 목적지를 입력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이에 상응하는 입력을 통해 도 8에 도시된 표시물을 표시면(2) 위에 불러올 수 있다. 새로운 목적지 입력을 위한 키보드가 나타난다. 또한, 다시 특별 스위치 요소(16)가 표현된다.
주요 메뉴(13)로부터 시작하여 사용자는 또한 차량(20)의 다른 설비들을 조작할 수 있다. 도 9에는 사용자가 차량(20)의 라디오를 위한 스위치 요소(13-1)를 작동시킨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 요소(13-1)의 작동 후, 도 10에 도시된 라디오를 위한 메뉴(17)의 표현물이 나타난다. 다시 복수의 스위치 요소들(17-1 내지 17-6)이 표현되고, 이러한 스위치 요소들은 이 경우 라디오의 다양한 방송 사업자들에 지정되어 있다. 또한, 특별 스위치 요소(16)가 표시된다.
이하, 특별 스위치 요소(16)의 기능, 배치 및 작동이 더 상세히 설명된다: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길쭉한 바의 형태를 가지고, 이러한 바는 그 종측면이 가장자리에, 특히 표시면(2)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주요 메뉴(13)를 제외한 다른 모든 메뉴들 및 정보 표현물들에서 표시면(2) 위의 상기 위치에서 표시된다.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스와이프 제스처는 접촉 감지 표면(4) 위에 또는 검출 영역(8)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접촉 감지 표면(4) 위에서 특별 스위치 요소가 표현된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아래쪽으로 쓸어내리거나 또는 사용자는 검출 영역(8) 내에서 손의 손가락 끝단을 빠르게 위로부터 아래로 움직이는 스와이프 제스처를 수행한다. 입력 장치 및 제어 장치(3)를 이용하여 그러한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되었을 때, 제어 장치(3)는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이러한 애니메이션에서 주요 메뉴(13)는 특별 스위치 요소(16)가 표시된 표시면(2)의 가장자리로부터, 즉 본원 경우에 표시면(2)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시작하여 제1 시간 주기 내에서 표시면 안쪽으로 이동하여, 주요 메뉴(13)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표시면(2)의 영역을 점점 더 크게 차지한다. 이와 동시에 이제까지 표시된 메뉴, 예컨대 메뉴(17)는 시간이 경과할 수록 소실된다. 시각적으로 말해서, 주요 메뉴(13)는 이제까지 표시된 메뉴 위에서 이러한 이제까지 표시된 메뉴가 더 이상 표시되지 않을 때까지 슬라이드된다. 제1 시간 주기의 경과 후, 아직 주요 메뉴(13)만이 표시된다.
제2 시간 주기 내에서 특별 스위치 요소(16)의 그러한 작동 후 주요 메뉴(13)의 스위치 요소들(13-1 내지 13-6)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을 때, 주요 메뉴(13)는 다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소실되고, 특별 스위치 요소(16)의 작동 전에 표시된 메뉴, 즉 예컨대 메뉴(17)는 다시 표시된다.
1 표시 장치 2 표시면
3 제어 장치 4 접촉 감지 표면, 입력 장치
5 데이터버스 6 조작 장치
7 감지 장치 8 검출 영역
9 차량의 설비 10 차량의 설비
11 메모리 12 작동 객체, 손가락 끝단, 사용자의 손
13 주요 메뉴 13-1 내지 13-6 스위치 요소
14 메뉴 14-1 내지 14-6 스위치 요소
16 특별 스위치 요소 17 메뉴
17-1 내지 17-6 스위치 요소 20 차량

Claims (10)

  1. 차량(20) 내에서의 조작 방법으로, 상기 차량(20) 내에 배치된 표시면(2) 위에 조작 구조의 메뉴(13, 14, 17)가 표시되고, 상기 조작 구조는 주요 메뉴(13) 및 다수의 추가적 메뉴들(14, 17)을 포함하고, 그리고 입력들이 감지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들에 의하여 상기 표시된 메뉴들(13, 14, 17)의 변경이 야기될 수 있고, 상기 입력들에 의해 상기 메뉴들(13, 14, 17)의 스위치 요소들(13-1 내지 13-6, 14-1 내지 14-6, 17-1 내지 17-6)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인, 조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 구조의 상기 다수의 메뉴들(13, 14, 17)의 적어도 복수의 메뉴들(14, 17)에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상기 표시면(2)의 가장자리에 표시되고, 그리고
    상기 특별 스위치 요소(16)에 지정된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주요 메뉴(13)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구조는 계층적 구조이고, 상기 계층적 구조에서 상기 주요 메뉴(13)는 계층적으로 최고 레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요 메뉴(13)를 제외한 상기 조작 구조의 모든 메뉴들(14, 17)에서 상기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상기 표시면(2)의 가장자리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상기 주요 메뉴(13)를 제외한 모든 메뉴들(14, 17)에서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상기 표시면(2)의 상부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스위치 요소(16)의 작동이 감지된 후에 상기 주요 메뉴(13)는 상기 표시면(2) 위에 표시될 때 상기 특별 스위치 요소(16)가 표시된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표시면 안쪽으로 제1 시간 주기 내에 이동함으로써, 상기 주요 메뉴(13)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상기 표시면(2)의 영역을 점점 더 크게 차지하고, 이와 동시에 이제까지 표시된 메뉴(14, 17)는 시간이 경과 할수록 소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메뉴(13) 앞에 표시되는 메뉴(14, 17)는, 제2 시간 주기 내에 상기 주요 메뉴(13)의 스위치 요소(13-1 내지 13-6)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을 때 다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방법.
  8. 표시면(2), 주요 메뉴(13) 및 다수의 추가적 메뉴들(14, 17)을 포함하는 조작 구조에 대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메모리(11), 상기 메모리(11) 및 상기 표시면(2)과 결합되는 제어 장치(3)로서, 상기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들(13, 14, 17)의 표시를 위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상기 표시면(2) 위에 생성될 수 있는 것인, 제어 장치(3), 및 입력들을 감지할 수 있는 입력 장치(4, 7)로서,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상기 표시된 메뉴(13, 14, 17)의 변경이 야기될 수 있고, 상기 입력 장치에 의해 상기 메뉴들(13, 14, 17)의 스위치 요소들(13-1 내지 13-6, 14-1 내지 14-6, 17-1 내지 17-6)이 작동될 수 있는 것인, 입력 장치(4, 7)를 포함하는 차량(20) 내의 조작 장치(6)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3)를 이용하여 상기 조작 구조의 메뉴들(13, 14, 17)의 표현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생성될 수 있어서, 상기 조작 구조의 다수의 메뉴들(13, 14, 17)의 적어도 복수의 메뉴들(14, 17)에서 스와이프 제스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특별 스위치 요소(16)는 상기 표시면(2)의 가장자리에 표시되고, 그리고
    상기 입력 장치(4, 7)를 이용하여 상기 특별 스위치 요소(16)에 지정된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되었을 때, 상기 제어 장치(3)를 이용하여 상기 메뉴들(13, 14, 17)의 표현을 위한 그래픽 데이터들이 생성될 수 있어서, 상기 주요 메뉴(13)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6).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4, 7)는 상기 표시면(2) 위에 배치되는 접촉 감지 표면(4)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감지 표면 위에서 상기 스와이프 제스처가 감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6).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입력 장치(4, 7)는 감지 장치(7)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검출 영역(8) 내에서 수행된 제스처가 감지될 수 있고, 상기 검출 영역(8)은 상기 표시면(2) 앞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장치(6).
KR1020167007241A 2013-08-20 2013-08-20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의 조작 방법 및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 KR101845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3/067289 WO2015024589A1 (de) 2013-08-20 2013-08-20 Bedienverfahren für eine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und bedien- und anzeige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803A true KR20160045803A (ko) 2016-04-27
KR101845177B1 KR101845177B1 (ko) 2018-05-18

Family

ID=4903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241A KR101845177B1 (ko) 2013-08-20 2013-08-20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의 조작 방법 및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66366B2 (ko)
EP (1) EP3036126B1 (ko)
KR (1) KR101845177B1 (ko)
CN (1) CN105473369B (ko)
ES (1) ES2820653T3 (ko)
WO (1) WO2015024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13799B2 (en) 2011-06-05 2016-12-0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control of a touch-based user interface absent physical touch capabilities
US9116611B2 (en) 2011-12-29 2015-08-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multitouch inputs and hardware-based features using a single touch input
EP3007050A1 (de) * 2014-10-08 2016-04-1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Anpassung einer Menüleiste auf einer Anwenderschnittstelle
KR101643557B1 (ko) * 2015-01-02 2016-07-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640053B1 (ko) * 2015-01-02 201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314109B1 (ko) 2015-01-05 2021-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9961239B2 (en) 2015-06-07 2018-05-01 Apple Inc. Touch accommodation options
US10296168B2 (en) * 2015-06-25 2019-05-21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ulti-step selection interface
JP6824047B2 (ja) * 2017-01-20 2021-02-0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CN109933391B (zh) * 2017-12-15 2023-08-22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车载终端设备、显示控制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记录介质
JP7269930B2 (ja) * 2018-01-04 2023-05-09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テキスト認識ボタンフリーのスクリーン関節動作
JP7144721B2 (ja) * 2018-05-25 2022-09-3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表示制御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N111824179A (zh) * 2019-04-10 2020-10-27 重庆金康新能源汽车有限公司 汽车功能的显示控制方法、中控设备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14438C1 (de) * 1985-04-20 1986-09-18 Porsche Ag Zentrale Bedienungsein- und Informationsausgabe fuer Zusatzgeraete von Fahrzeugen
EP1121274A1 (de) * 1998-10-15 2001-08-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multifunktionalen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sowie multifunktionale anzeige- und bedieneinrichtung
US20050195173A1 (en) * 2001-08-30 2005-09-08 Mckay Brent User Interface for Large-Format Interactive Display Systems
NL1019129C2 (nl) * 2001-10-08 2003-06-04 Thales Nederland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heren van schermruimte.
US7656393B2 (en) * 2005-03-04 2010-02-0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display and surrounding touch sensitive bezel for user interface and control
JP4098054B2 (ja) * 2002-10-04 2008-06-11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
WO2005008444A2 (en) * 2003-07-14 2005-01-27 Matt Pallakoff System and method for a portbale multimedia client
US7643917B2 (en) * 2004-08-26 2010-01-0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Vehicle multimedia system
US7643912B2 (en) * 2004-11-01 2010-01-05 Hypertech, Inc. Programmable automotive computer method and apparatus with accelerometer input
JP4134008B2 (ja) * 2004-11-19 2008-08-13 任天堂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6195768A (ja) * 2005-01-14 2006-07-2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付き表示装置
US8683362B2 (en) *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8014760B2 (en) * 2006-09-06 2011-09-06 Apple Inc. Missed telephone call management for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KR100774927B1 (ko) 2006-09-27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US8612877B2 (en) * 2006-12-18 2013-12-17 Blackberry Limited Method for providing options associated with computer applications in a mobile device and a menu and application therefor
DE102006061778A1 (de) * 2006-12-21 2008-06-26 Volkswagen Ag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mit von einer Position einer Bedienhand abhängig eingeblendeten Menüs
US8351989B2 (en) * 2007-02-23 2013-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isplaying menu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391602B1 (ko) * 2007-05-2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렉션 방법 및 멀티 미디어 단말 기기
KR101387527B1 (ko) * 2007-12-06 201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메뉴 아이콘 디스플레이 방법
DE102008052485A1 (de) 2008-10-21 2010-04-22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 Listen geordneter Information
US8175653B2 (en) * 2009-03-30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Chromeless user interface
DE102009019560A1 (de) 2009-04-30 2010-11-04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zeigen von in Listen geordneter Information
JP2011084197A (ja) 2009-10-16 2011-04-28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装置
DE102009059866A1 (de) 2009-12-21 2011-06-22 Volkswagen AG, 38440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und Bedienvorrichtung dafür, insbesondere in einem Fahrzeug
US9367205B2 (en) *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8972903B2 (en) * 2010-07-08 2015-03-03 Apple Inc. Using gesture to navigate hierarchically ordered user interface screens
KR101785323B1 (ko) * 2011-01-05 2017-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318478A1 (en) * 2011-02-17 2013-11-28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Electronic device,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US10222974B2 (en) * 2011-05-03 2019-03-0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quick access to device functionality
US9026944B2 (en) * 2011-07-14 2015-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content through actions on context based menus
US20130019175A1 (en) * 2011-07-14 2013-01-17 Microsoft Corporation Submenus for context based menu system
US20140304636A1 (en) * 2011-08-31 2014-10-09 Qoros Automotive Co., Ltd. Vehicle's interactive system
DE102011116120A1 (de) 2011-10-15 2013-04-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Bedienvorrichtung in einem Fahrzeug und Bedien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JP2012059296A (ja) * 2011-12-19 2012-03-22 Kyocera Corp 入力表示装置
CN104011637A (zh) * 2012-01-09 2014-08-27 爱尔比奎特公司 用于移动设备的用户界面
JP2014069600A (ja) * 2012-09-27 2014-04-21 Mitsubishi Motors Corp 車載機器制御装置
JP6136627B2 (ja) * 2013-06-24 2017-05-31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WO2015005146A1 (ja) * 2013-07-12 2017-03-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699496B2 (en) * 2013-07-15 2017-07-0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dia servic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0195A1 (en) 2016-07-14
CN105473369A (zh) 2016-04-06
EP3036126A1 (de) 2016-06-29
KR101845177B1 (ko) 2018-05-18
US10766366B2 (en) 2020-09-08
ES2820653T3 (es) 2021-04-21
WO2015024589A1 (de) 2015-02-26
CN105473369B (zh) 2018-04-24
EP3036126B1 (de)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177B1 (ko)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의 조작 방법 및 차량의 조작 및 표시 장치
US10061508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adapting a view on a display unit
CN105051670B (zh) 用于车辆的信息反映系统和为车辆的用户提供信息的方法
US9477381B2 (en) User interface for toolbar navigation
KR101770087B1 (ko) 최적화된 그래픽 오퍼레이팅 디스플레이를 갖춘 다기능 디스플레이 및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이러한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US2017024338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ignalling a successful gesture input
KR101803222B1 (ko) 제스처 감지 중에 입력 수단의 3d 위치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방법
CN106415469B (zh) 用于使显示单元上的视图适配的方法和用户界面
CN107735761A (zh) 用于工业车辆的具有图形用户界面的处理设备
KR102355683B1 (ko) 차량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립체 및 차량에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US11119576B2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actlessly operating a hardware operating element in a 3-D gesture mode
JP6144501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20160004306A (ko) 목록에서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16957A (ko) 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방법 및 조작 장치
US1023501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surface of an operator control device and operator control device in a vehicle
JP2018195134A (ja) 車載用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422060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그 정보 입력 모듈
KR101777406B1 (ko) 차량용 사이드미러 및 윈도우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US10168858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vehicle,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splay
JP201221231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076235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90061053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와 조작을 조정하기 위한 방법
CN104871124A (zh) 用于运行车辆中的操作装置的方法
JP2014137774A (ja) 表示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