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557B1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557B1
KR101643557B1 KR1020150000192A KR20150000192A KR101643557B1 KR 101643557 B1 KR101643557 B1 KR 101643557B1 KR 1020150000192 A KR1020150000192 A KR 1020150000192A KR 20150000192 A KR20150000192 A KR 20150000192A KR 101643557 B1 KR101643557 B1 KR 101643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area
downward
upward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3722A (ko
Inventor
김동욱
박현진
윤성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557B1/ko
Priority to US14/941,522 priority patent/US10650787B2/en
Priority to CN201510921168.0A priority patent/CN105751994B/zh
Publication of KR2016008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60K37/0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2Distributing information between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은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분할된 영역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차량과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각종 엔터테인먼트, 예를 들어 음악 감상, TV 시청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차량 내에 설치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운전자의 주행 또는 정차 중에 음악이나 비디오나 지도 정보와 같은 미디어들을 표시하는 서비스가 발달하고 있다.
미디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음향 형태, 시각적 형태 또는 이들의 조합 형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미디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라디오, CD(Compact Disk), MP3, AOD 등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서비스와,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 비디오를 재생하는 비디오 서비스와, 목적지 안내 기능을 구비한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차량에서 재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차량 내에 구비된다.
분할된 화면의 각 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향 또는 하향에 따라 화면의 각 영역이 유동적으로 이동 또는 변경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분할된 영역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평으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고, 분할된 화면은 가상 기준점 영역을 기준으로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상단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향하는 경우, 상단 영역을 가상 기준점 영역의 상단부로 이동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향하는 경우, 상단 영역을 가상 기준점 영역의 하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속도 또는 하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단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향 또는 하향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분할된 영역을 변경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향하고, 차량이 정차한 경우 하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향하고,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하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의 주행 경로가 설정된 경우 상향하고, 차량의 주행 경로가 미설정된 경우 하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 장치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요구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하향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의 기어를 조작하는 기어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어조작 레버가 주행 기어로 설정된 경우 상향하고, 기어조작 레버가 중립 기어 또는 주차 기어로 설정된 경우 하향할 수 있다.
차량은, 차륜, 사용자로부터 차륜의 가속 조작을 입력 받는 액셀 페달, 및 사용자로부터 차륜의 제동 조작을 입력 받는 브레이크 페달을 더 포함하되,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속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향하고, 제동 조작이 입력된 경우 하향할 수 있다.
차량은,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도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할 수 있다.
차량은, 운전석 및 조수석을 더 포함하되,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센터페시아 상에 마련된 메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운전석과 조수석의 정면에 배치된 대시보드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메인 디스플레이 전면에 이격 형성된 모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드 영역에 장착된 모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은, 비상등을 더 포함하되, 모드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장치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비상등을 켜거나 끌 수 있다.
모드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모드 영역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는 하드키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단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하단 영역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향하는 경우, 상단 영역을 확장시키고 하단 영역을 축소시키되,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향하는 경우, 상단 영역을 축소시키고 하단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속도 또는 하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분할된 영역을 변경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개시된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화면의 영역을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컨텐츠를 자유롭게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개시된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컨텐츠를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현재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차량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 전면도이다.
도 3은 차량 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차량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은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도 8은 메인 디스플레이의 상향 또는 하향 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상향 도는 하향에 따라 변경되는 모드 디스플레이의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하향 시 표시되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상향한 상태에서 표시하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0은 제스처 감지부가 장착된 차량의 전면도이다.
도 21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차량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차량의 내부 전면도이고, 도 3은 차량 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 차량(1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 차량(1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72(도 3 참조)), 차량(1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1), 운전자에게 차량(1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 차량(10)의 비상상태 또는 경고를 표시하는 비상등(91, 92)을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 72)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31)는 본체(1)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비상등(91, 9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비상등(9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비상등(92)를 포함하며, 차량(10) 내부에서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이외에도 차량(10)은 후방 또는 측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석(21) 쪽의 대시보드(10)에는 스티어링 휠(12)이 마련되며, 대시보드(10)의 영역 중 스티어링 휠(12)이 마련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는 차량(10)의 현재 속도를 나타내는 속도 게이지와 차량(10)의 RPM을 나타내는 RPM 게이지를 표시하고, 이와 더불어 차량(10)에 관한 정보를 디지털 화면으로 표시하는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12)에는 클러스터 입력부(14)가 마련되어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정보에 관한 선택을 운전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센터 콘솔(40)에는 죠그 서틀(jog shuttle) 타입 또는 하드 키 타입의 센터 입력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센터 콘솔(40)은 운전석(21)과 조수석(22) 사이에 위치하여 기어조작 레버(41)와 트레이(42)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운전자는 기어조작 레버(41)를 조작하여, 기어를 주행 기어(Drive Gear, D)로 변속시키거나, 중립 기어(Neutral Gear, N)로 변속시키거나, 주차 기어(Parking Gear, P)로 변속시킬 수 있고, 그 외 기어로 변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어(71, 72)에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부(73)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운드부(73)는 후술할 제어부(200; 도 6 참조)의 제어에 따라 음향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차량(10)에 탑승한 운전자 및 동승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사운드부(73)는 스피커 또는 앰프로 구현될 수 있고, 도어(71, 71) 외에도 차량(10) 내 다양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운전석(21)에는 운전자로부터 차륜(51, 52)의 가속 조작을 입력 받는 액셀 페달(15)과 제동 조작을 입력 받는 브레이크 페달(16)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은 그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공조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00)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10) 내부의 난방 및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차량(1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차량(10)에 구비되는 공조 장치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0) 외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대시보드(10)의 중앙 영역인 센터페시아(33)에 장착된 메인 디스플레이(110), 전술한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0), 조수석(22) 방면 대시보드(10)에 장착된 조수석 디스플레이(130), 대시보드(10)의 중앙 영역에서 전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일부 영역을 가리는 모드 영역(34)에 마련된 모드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한다. 이 경우, 클러스터 디스플레이(120), 조수석 디스플레이(130), 또는 모드 디스플레이(140)는 각각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메인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차량의 내부 사시도이고, 도 6은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상향하거나(도 5 참조) 또는 하향한다(도 4 참조).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차량(10)이 주행 중인 경우 센터페시아(33)에서 상향하고, 정차 중인 경우 하향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운전자가 액셀 페달(15)을 밟는 경우 상향하고, 브레이크 페달(16)를 밟는 경우 하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기어조작 레버(41)가 주행 기어(D)에 놓인 경우 상향하고, 중립 기어(N) 또는 주차 기어(P)에 놓인 경우 하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내비게이션 화면 출력) 상향하고,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내비게이션 화면에서 벗어나는 경우) 하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차량(10)의 주행 경로가 이미 설정된 경우(예를 들어, 주행 경로가 저장부(400; 도 6 참조)에 저장된 경우) 상향하고, 주행 경로가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 하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터치 스크린 장치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요구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상향하고, 터치 조작이 요구되는 화면이 종료된 경우 하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차량(10)에 조도 센서(미도시)가 구비된 경우, 조도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하고, 상향 정도 또는 하향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40)는 운전자가 액셀 페달(15)을 밟는 경우 즉각 상향하고, 브레이크 페달(16)을 밟는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하향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상향 또는 하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300)를 통해 상향 또는 하향 시간을 설정할 수 있고, 상향 또는 하향 속도를 설정할 수도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향 또는 하향은 모터, 액츄에이터 등 별도의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또는 팝업되는 방식 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 또는 팝업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는 제어부(200; 도 6 참조)의 상향 제어 신호 또는 하향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메인 디스플레이(140)는 상향 또는 하향 여부가 결정되거나, 상향 속도 또는 하향 속도가 조절되거나, 상향 타이밍 또는 하향 타이밍이 설정되거나, 상향 정도 또는 하향 정도가 조절될 수 있는 바,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메인 디스플레이(1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10)의 운전석(21)과 조수석(22) 뒷면에는 뒷좌석 디스플레이(150)가 더 마련될 수 있고, 뒷좌석 디스플레이(150)는 운전석(21) 뒷면에 마련된 뒷좌석 디스플레이(L, 151)와 조수석(22) 뒷면에 마련된 뒷좌석 디스플레이(R, 152)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z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체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삼차원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것일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스크린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300)의 기능도 수행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 장치는 감압식 터치스크린 패널이나 정전식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장치는 초음파나 적외선을 이용한 터치 스크린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설정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의 각 영역을 이동 및 변경시키고, 화면에 표시될 컨텐츠를 판단하는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한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제어부(200)는 프로세서(Processor), 차량(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및 차량(1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차량(1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별개인 회로 기판에 프로세서, 램 또는 롬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보드(graphic processing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램 및 롬은 내부 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프로세서, 램 및 롬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프로세서, 램, 롬, 및 프로세싱 보드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은 입력부(300)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설정은 저장부(4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입력부(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하드키, 터치스크린 장치, 조그 다이얼, 및 제스처 인식부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입력부(300)를 가압하거나, 회전시키거나, 터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차량(1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3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보면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차량(10)의 각 구성요소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아이콘에 대한 그래픽 정보, 차량(10)의 제어와 관련된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400)는 차량(10)의 각 구성요소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로 제공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에서 다운받은 범용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00)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c), 메모리 카드,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카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차량(10) 내 구비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동작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디스플레이(11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반드시 메인 디스플레이(110)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7a 내지 도 8은 메인 디스플레이의 상향 또는 하향 시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10)는 분할된 각 영역에 컨텐츠를 표시한다.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최대 상향한 상태를 기준으로,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을 상단 영역(110-1) 및 하단 영역(110-2)으로 분할하고, 상단 영역(110-1)과 하단 영역(110-2)을 구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구분선 또는 구분영역을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이라 칭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은 절대적인 기준 위치를 유지한다. 여기서, 메인 디스플레이가 표시하는 컨텐츠 화면은 반드시 상단 영역(110-1)과 하단 영역(110-2)으로 구분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단 영역(110-1)과 하단 영역(110-2)으로 구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은 절대적인 기준 위치를 유지하나,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은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로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향 시, 상단 영역(110-1)은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하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로 이동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팝업 방식으로 하향 시, 상단 영역(110-1)은 즉각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로 이동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하단부로 이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이 절대적인 기준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은 다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상단부로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향 시, 상단 영역(110-1)은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상단부로 이동할 수 있고, 점진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팝업 방식으로 상향 시, 상단 영역(110-1)은 즉각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상단부로 이동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상단부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은 절대적인 기준 위치를 유지하나,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은 사라지고, 하단 영역(110-2)은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까지 확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향 시, 상단 영역(110-1)은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하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축소될 수 있고, 하단 영역(110-2)도 동일한 속도로 확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팝업 방식으로 하향 시, 상단 영역(110-1)은 즉각 제거될 수 있고, 하단 영역(110-2)은 즉각적으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까지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제거 또는 확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이 절대적인 기준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은 다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상단부에서 생성될 수 있고, 하단 영역(110-2)은 축소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향 시, 상단 영역(110-1)은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상단부에서 생성 및 확장될 수 있고, 하단 영역(110-2)도 동일한 속도로 축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팝업 방식으로 상향 시, 상단 영역(110-1)은 즉각 생성될 수 있고, 하단 영역(110-2)은 즉각 축소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생성 또는 축소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는 사용자에게 항상 표시되는 비상등(91, 92), 또는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 시계 등 빈번하게 이용 기능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차량(10)에는 운전석(21) 및 조수석(22) 정면에 배치된 대시보드(1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전면에 이격 형성된 대시보드(10)의 모드 영역(34)이 존재할 수 있다. 즉,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은 모드 영역(34)이 가리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화면 영역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도 8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은 절대적인 기준 위치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은 절대적인 기준 위치를 유지하나,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은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로 이동하거나 사라진다. 그러나,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이 절대적인 기준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은 다시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상단부로 이동하거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상단부에서 생성될 수 있다.
모드 영역(34)에는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되는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장착될 수 있고, 하드키, 조그 다이얼, 및 제스처 인식부 등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입력부(300)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드 영역(34)에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 가능한 하드키 등이 마련되거나, 모드 디스플레이(140)에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이용 기능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모드 영역(34) 중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을 가리는 일부분에 홈이 형성된 경우, 모드 영역(34)의 홈은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이 표시하는 컨텐츠를 그대로 투과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모드 영역(34)에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장착된 경우, 모드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컨텐츠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향 또는 하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상향 도는 하향에 따라 변경되는 모드 디스플레이의 예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모드 디스플레이(14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 비상등 조작 아이콘(140-1)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한 경우, 사용자는 모드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된 비상등 조작 아이콘(140-1)을 터치 입력함으로써, 차량(10)의 비상등(91, 92)을 켜고 끌 수 있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모드 디스플레이(14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시 차량(10)의 주행 시 필요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한 경우, 모드 디스플레이(140)는 차량(10)의 주행 시간(Driving Time, 140-2), 안전 벨트 착용 여부, 주유 상태, 브레이크 페달(16)의 조작 여부, 도어(71, 72)의 개폐 여부 등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주행 시 필요한 정보들을 알릴 수 있다.
또한, 도 9c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한 경우, 모드 디스플레이(140)는 도 9b에 도시된 정보(140-2), 현재 시간(140-3), 음악 재생 화면과 및 공조 장치 제어 화면(140-3) 등을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모드 디스플레이(14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하는 경우 또는 하향하는 경우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바, 반드시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장착되는 모드 영역(34)의 일부분이 홈을 형성하고,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상기 홈에서 투명 디스플레이로 마련된 경우, 모드 디스플레이(140)는 가려진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컨텐츠를 그대로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컨텐츠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향 또는 하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과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 각각 표시하는 컨텐츠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디스플레이(11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예로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메인 디스플레이(110)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0)이 도 8에 도시된 모드 영역(34)을 포함하고, 모드 영역(34)에는 도 9a에 도시된 비상등 조작 아이콘(140-1)을 표시하는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장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모드 영역(34) 후면에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이 존재한다.
도 10 내지 도 15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하향 시 표시되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한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5는 표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의 예를 도시할 뿐이며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 외에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표시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 표시된 아이콘 중 내비게이션 아이콘(Navigation)이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화면에는 현재 차량(10)의 위치, 목적지, 목적지까지의 잔여 거리, 목적지까지의 잔여 시간, 차량(10)의 진행 방향,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등이 표시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 표시된 아이콘 중 전화 아이콘(Phone)이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전화 화면에는 다이얼 버튼, 최근 통화 목록, 통화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 표시된 아이콘 중 지역 갤러리 아이콘(Geo Gallery)이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지도 정보와 지도 정보에 포함된 각 지점에서 획득한 사진을 볼 수 있는 사진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사용자가 사진 아이콘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가 각 지점에서 촬영한 사진을 볼 수 있도록 사진이 표시될 수 있다.
사진은 차량(10)이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통해 직접 촬영한 영상일 수 있고, 휴대용 단말(미도시)로부터 획득한 영상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 표시된 아이콘 중 음악 아이콘(Music)이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음악 화면에는 곡 타이틀 정보, 아티스트 정보, 반복 재생 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 표시된 아이콘 중 공조 장치 아이콘(Air Conditioner)이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차량(10)에 구비된 공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공조장치 제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공조장치 제어화면에는 공조장치의 통풍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 내기 순환 아이콘, 냉각 구동 아이콘, 온도 조절 버튼 등이 마련될 수 있고, 공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은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한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는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표시될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서비스 제공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어플리케이션 목록과 서비스 제공화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이외에도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 및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 자동으로 또는 수동 조작에 의해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은 축소되고, 하단 영역(110-2)이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까지 확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 내지 도 19는 메인 디스플레이가 상향한 상태에서 표시하는 컨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한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는 차량(10) 주행 시 사용자에게 상시 필요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는 내비게이션 화면, 주행 정보, 외부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차량(10)에 장착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한 차량(10)의 전방, 후방, 및 좌우 영상을 제공하는 어라운드뷰 등 주행과 안전에 연관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는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 내비게이션 화면이 표시된 예를 도시할 뿐이며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는 내비게이션 화면 외 안전운전 정보(예를 들어, 측면사각감지 정보, 차간 거리 정보 등) 등 다양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한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터치 조작 가능한 컨텐츠로서,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표시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목록의 예를 도시할 뿐이며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내비게이션 아이콘(Navigation)이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이 제공하는 정보 외에 사용자에게 필요한 내비게이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현재까지 주행 거리, 주행 시간, 출발지와 목적지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음악 아이콘(Music)이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악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음악 화면에는 곡 타이틀 정보, 아티스트 정보, 반복 재생 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고,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역 갤러리 아이콘(Geo Gallery)이 선택되면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지도 정보와 지도 정보에 포함된 각 지점에서 획득한 사진을 볼 수 있는 사진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는 사용자가 사진 아이콘을 클릭한 경우, 사용자가 각 지점에서 촬영한 사진을 볼 수 있도록 사진이 표시될 수 있다.
사진은 차량(10)이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통해 직접 촬영한 영상일 수 있고, 휴대용 단말(미도시)로부터 획득한 영상일 수도 있다.
한편,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한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과 하단 영역(110-2)이 제공하는 컨텐츠는 도 16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또는 하향하는 경우, 즉각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과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변경되고, 즉각적으로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이 이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미리 설정된 컨텐츠 표출 타이밍에 컨텐츠가 변경되고 상단 영역(110-1)이 이동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300)를 통해 컨텐츠 표출 타이밍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또는 하향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스처를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과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킬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11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키는 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제스처 감지부가 장착된 차량의 전면도이고, 도 21은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예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한 제스처 감지부(310)는 사용자의 손 동작을 감지하기 용이한 메인 디스플레이(110) 하단부에 장착될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하단부뿐만 아니라, 전면 유리(31)의 전면 또는 기어조작 레버(41) 주변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한 바, 장착 위치가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21을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한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에 어플리케이션 목록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손 동작(예를 들어, 좌우 움직임)에 따라 어느 한 아이콘이 선택될 수 있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될 수 있다.
제스처 감지부(310)는 립 모션(Leap motion) 센서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음성 인식, 하드키 조작, 터치 조작 등을 이용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과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킬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을 상향 또는 하향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바, 그 입력 수단이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서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장착된 차량(10)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2는 차량의 제어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우선, 차량(10)의 제어부(200)는 현재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이동 중인지 또는 상향 이동 중인지 판단한다(S1100).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 저장부(400)에 저장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향 제어 신호, 기어조작 레버(41)의 상태, 또는 액셀 페달(15) 또는 브레이크 페달(16)의 조작 유무 등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S1100의 "하향 이동")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을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로 이동시키거나,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될 컨텐츠가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하단부까지 표시되도록,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을 확장시킨다(S1200).
이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 또는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될 컨텐츠를 변경시킬 수 있다(S1520).
메인 디스플레이 하단 영역(110-2)이 확장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상단 영역(110-1)은 축소 또는 제거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도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하향 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영역(34)이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전면에 이격 형성되고, 모드 영역(34)에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장착된 경우, 제어부(200)는 하향 시 모드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시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표시하는 컨텐츠에 관하여는 도 9a 내지 도 9c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 이하 생략한다.
이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변경을 위한 조작이 입력된 경우(S1300의 "컨텐츠 변경"),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 또는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킨다(S1400).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도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영역(34)이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전면에 이격 형성되고, 모드 영역(34)에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장착된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모드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컨텐츠 또한 변경시킬 수도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하향 시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표시하는 컨텐츠에 관하여는 도 9a 내지 도 9c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 이하 생략한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상향 이동을 위한 조작이 입력된 경우(S1300의 "상향 이동"),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를 상향 이동시킨다(S1500).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향 이동은 모터, 액츄에이터 등 별도의 구동부에 상향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시(S1100의 "상향 이동" 또는 S1500 이후),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을 상단부로 이동시키거나, 하단 영역(110-2)을 축소시킨다(S1600).
이 경우,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 또는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될 컨텐츠를 변경시킬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하단 영역(110-2)이 축소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상단 영역(110-1)을 가상 기준점 영역(110-3)의 상단부에서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도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제어부(200)는 상향 시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영역(34)이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전면에 이격 형성되고, 모드 영역(34)에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장착된 경우, 제어부(200)는 상향 시 모드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110)가 상향 시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표시하는 컨텐츠에 관하여는 도 9a 내지 도 9c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 이하 생략한다.
이어서,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변경을 위한 조작이 입력된 경우(S1300의 "컨텐츠 변경"),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상단 영역(110-1) 또는 하단 영역(110-2)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킨다(S1400).
이 경우에도,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도 컨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가상 기준점 영역(110-3)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드 영역(34)이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전면에 이격 형성되고, 모드 영역(34)에 모드 디스플레이(140)가 장착된 경우,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모드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컨텐츠 또한 변경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하향 이동을 위한 조작이 입력된 경우(S1300의 "하향 이동"), 제어부(200)는 메인 디스플레이(110)를 하향 이동시킨다(S1700). 메인 디스플레이(110)의 하향 이동은 모터, 액츄에이터 등 별도의 구동부에 하향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 차량(1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module)'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내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차량(10)의 제어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메인 디스플레이
120: 클러스터 디스플레이
130: 조수석 디스플레이
140: 모드 디스플레이
150: 뒷좌석 디스플레이
151: 운전석 뒷좌석 디스플레이
152: 조수석 뒷좌석 디스플레이
200: 제어부
300: 입력부
400: 저장부

Claims (26)

  1.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표시하는 화면의 분할된 영역을 변경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이격 형성된 모드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평으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화면은 가상 기준점 영역을 기준으로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향하는 경우, 상기 상단 영역을 상기 가상 기준점 영역의 상단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향하는 경우, 상기 상단 영역을 상기 가상 기준점 영역의 하단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가상 기준점 영역은 상기 모드 영역이 가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인 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속도 또는 하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상단 영역을 이동시키는 차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향 또는 하향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상기 분할된 영역을 변경시키는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량이 주행 중인 경우 상향하고, 상기 차량이 정차한 경우 하향하는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향하고, 상기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하향하는 차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가 설정된 경우 상향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경로가 미설정된 경우 하향하는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스크린 장치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요구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하향하는 차량.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기어를 조작하는 기어조작 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기어조작 레버가 주행 기어로 설정된 경우 상향하고, 상기 기어조작 레버가 중립 기어 또는 주차 기어로 설정된 경우 하향하는 차량.
  12. 제 1 항에 있어서,
    차륜;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륜의 가속 조작을 입력 받는 액셀 페달;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차륜의 제동 조작을 입력 받는 브레이크 페달을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가속 조작이 입력된 경우 상향하고, 상기 제동 조작이 입력된 경우 하향하는 차량.
  13. 제 1 항에 있어서,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조도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향 또는 하향하는 차량.
  14. 제 1 항에 있어서,
    운전석 및 조수석을 더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운전석과 상기 조수석 사이의 센터페시아 상에 마련된 메인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차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영역은 상기 운전석과 상기 조수석의 정면에 배치된 대시보드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전면에 이격 형성된 차량.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드 영역에 장착된 모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비상등을 더 포함하되,
    상기 모드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 장치로 구현되고,
    사용자의 상기 터치 스크린 장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비상등을 켜거나 끄는 차량.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차량.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영역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는 하드키가 마련된 차량.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차량.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차량.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표시하는 차량.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에 따라 상기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을 각각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차량.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향하는 경우, 상기 상단 영역을 확장시키고 상기 하단 영역을 축소시키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향하는 경우, 상기 상단 영역을 축소시키고 상기 하단 영역을 확장시키는 차량.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속도 또는 하향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상기 상단 영역 및 상기 하단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차량.
  26.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 이격 형성된 모드 영역을 포함하는 차량에 있어서,
    수평으로 분할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향 또는 하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분할된 화면은 가상 기준점 영역을 기준으로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으로 구분되고;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향하는 경우, 상기 상단 영역을 상기 가상 기준점 영역의 상단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하향하는 경우, 상기 상단 영역을 상기 가상 기준점 영역의 하단부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상 기준점 영역은 상기 모드 영역이 가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 영역인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50000192A 2015-01-02 2015-01-02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643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192A KR101643557B1 (ko) 2015-01-02 2015-01-02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4/941,522 US10650787B2 (en) 2015-01-02 2015-11-13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510921168.0A CN105751994B (zh) 2015-01-02 2015-12-11 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192A KR101643557B1 (ko) 2015-01-02 2015-01-02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722A KR20160083722A (ko) 2016-07-12
KR101643557B1 true KR101643557B1 (ko) 2016-07-29

Family

ID=5628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192A KR101643557B1 (ko) 2015-01-02 2015-01-02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50787B2 (ko)
KR (1) KR101643557B1 (ko)
CN (1) CN1057519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053B1 (ko) * 2015-01-02 201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806892B1 (ko) * 2016-05-09 2018-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제어장치
EP3293717B1 (en) * 2016-09-08 2021-11-10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ing system
US10787074B2 (en) * 2016-12-15 2020-09-29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Vehicle
CN109144356B (zh) * 2017-12-15 2022-05-03 蔚来(安徽)控股有限公司 用于控制车辆部件的装置及方法
KR102479540B1 (ko) * 2017-12-21 2022-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행 컨텍스트에 기반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JP7269930B2 (ja) * 2018-01-04 2023-05-09 ハーマ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テキスト認識ボタンフリーのスクリーン関節動作
EP3756949A1 (en) * 2019-06-24 2020-12-30 Ficosa Adas, S.L.U. Camera monito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EP4232312A1 (en) * 2021-02-19 2023-08-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Vehicle infotainment system
DE102021121077B3 (de) 2021-08-13 2022-12-01 Audi Aktiengesellschaft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IT202200005174A1 (it) 2022-03-16 2023-09-16 Fca Italy Spa Dispositivo video provvisto di monitor scorrevole per un autoveicolo, ed autoveicolo provvisto di tale dispositivo vide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080B1 (ko) * 2004-11-23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20736A (ja) * 2012-04-17 2013-10-28 Calsonic Kansei Corp 車載用操作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3823B2 (ja) * 2002-08-20 2008-06-04 富士通株式会社 視野移動操作方法
JP3553563B1 (ja) * 2003-01-10 2004-08-11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ゲーム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090128307A1 (en) * 2004-09-16 2009-05-21 Daimlerchrysler Ag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for a vehicle
KR100827228B1 (ko) * 2006-05-0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능을 갖는 영역 분할 수단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방법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5216306B2 (ja) * 2007-11-15 2013-06-19 現代自動車株式会社 可動式表示装置
US20090256813A1 (en) * 2008-04-09 2009-10-15 Amici Alan J Vehicle moving-image interface
JP5696872B2 (ja) * 2010-03-26 2015-04-0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周辺監視装置
JP5884421B2 (ja) 2011-11-14 2016-03-1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15456B2 (ja) * 2013-05-21 2018-04-2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式の車両用情報表示装置
CN103273894A (zh) 2013-06-14 2013-09-04 苏州旭宇升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触控显示系统
JP5876013B2 (ja) * 2013-08-09 2016-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入力装置
ES2820653T3 (es) * 2013-08-20 2021-04-21 Volkswagen Ag Método de mando para un dispositivo de mando y visualización en un vehículo y dispositivo de mando y visualización en un vehículo
US9327645B2 (en) * 2013-08-28 2016-05-0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Providing alerts for objects left in a vehicle
JP6138634B2 (ja) * 2013-08-29 2017-05-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080B1 (ko) * 2004-11-23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220736A (ja) * 2012-04-17 2013-10-28 Calsonic Kansei Corp 車載用操作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51994B (zh) 2020-12-25
CN105751994A (zh) 2016-07-13
US20160196800A1 (en) 2016-07-07
US10650787B2 (en) 2020-05-12
KR20160083722A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557B1 (ko)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CN107351763B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
US10606378B2 (en) Dynamic reconfigurable display knobs
US8078359B2 (en) User configurable vehicle user interface
KR101575648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9119445A (ja) 車両キャビン内での拡張されたメディア体験のためのムードルーフ
JP52807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648029B1 (ko) 터치스크린 표시 장치, 터치스크린 표시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터치스크린 표시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US10289217B2 (en) Multi-function control knobs for multimedia systems of vehicles
KR102288698B1 (ko) 차량 탑재 기기 조작 시스템
US10983691B2 (en) Terminal, vehicle having th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JP2007237919A (ja) 車両用入力操作装置
WO2018110482A1 (ja) 車両用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20160089619A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WO2016084360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
KR20120049372A (ko)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2010067139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10052955B2 (en) Method for providing an operating device in a vehicle and operating device
CN115848138A (zh) 座舱视角切换方法、装置、设备及车辆
CN114801735A (zh) 用于使用多个显示器进行搜索的系统
KR101804767B1 (ko)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2020050000A (ja) 表示装置
KR101882202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638543B1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17209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