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519A - 브리켓 머신 - Google Patents

브리켓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519A
KR20160044519A KR1020167006672A KR20167006672A KR20160044519A KR 20160044519 A KR20160044519 A KR 20160044519A KR 1020167006672 A KR1020167006672 A KR 1020167006672A KR 20167006672 A KR20167006672 A KR 20167006672A KR 20160044519 A KR20160044519 A KR 201600445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roll
powder
hopp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시미즈
슈이치 카모리
료 후지오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4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5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 B01J2/22Processes or devices for granulating materials, e.g. fertilisers in general; Rendering particulate materials free flowing in general, e.g. making them hydrophobic by pressing in moulds or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05Control arrangements
    • B30B11/006Control arrangements for roller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 B30B15/302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 B30B15/308Feeding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to moulding presses in a continuous manner, e.g. for roller presses, screw extrusion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24Binding; Briquetting ; Gran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lanulat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성(造粒性)의 변동이 있더라도, 양호하고 안정된 품질의 조립품(造粒品)을 생산할 수 있는 브리켓 머신(briquetting machine)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브리켓 머신은, 회전하는 한 쌍의 롤(1)과, 롤을 지지하는 베어링 블록(2)과, 베어링 블록(2)을 지지하는 프레스 프레임부(3)를 구비한 조립부(造粒部)와, 조립부의 상방(上方)에 위치하여 조립부에 분체(粉體)를 공급하는 호퍼(hopper; 4)와, 호퍼(4)의 내부에 설치되어, 롤 상에서 상하이동함으로써 분체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게이트(5)를 구비한 공급부와, 가동(可動)의 베어링 블록(2)을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8)와, 롤(1)의 운전 상태를 측정하는 운전 상태 측정기(9, 11)를 구비한 운전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브리켓 머신{BRIQUETTING MACHINE}
본 발명은, 브리켓 머신에 관한 것이다. 특히, 게이트(gate)를 이용한 분체(粉體) 피더(feeder)를 가지는 브리켓 머신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게이트를 이용한 분체 피더를 가지는 브리켓 머신은, 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9571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문헌에는, 게이트를 상하이동시키는 기구나 조건이 구체적으로 되어 있지 않다. 한편, 원료가 상이한 경우에는 게이트의 상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동일한 원료를 계속 유입시키고 있는 조건이라 하더라도, 분체의 물성(物性)에는 실제로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조립(造粒) 프로세스 중에 조립의 용이성, 즉 조립성(造粒性)이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조립 중의 조립성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여, 양호하고 안정된 품질의 조립품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9571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 중에 조립성의 변동이 있더라도, 양호하고 안정된 품질의 조립품을 생산할 수 있는 브리켓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브리켓 머신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1)(1)과, 상기 롤(1)(1)의 양단(兩端)을 지지하는 동시에 베어링을 유지(保持)하는 한 쌍의 베어링 블록(2)(2)이며, 적어도 하나는 가동(可動)인 베어링 블록(2)(2)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 블록(2)(2)을 지지하는 프레스 프레임부(3)를 구비하여, 분체를 압축 조립(造粒)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방(上方)에 위치하여 조립부에 분체(粉體)를 공급하는 호퍼(hopper; 4)와, 상기 호퍼(4)의 내부에 설치된 게이트(gate; 5)이며, 상기 롤(1)(1)의 접근부 상방에서 상하이동하는 게이트(5)를 구비하여, 분체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가동(可動)인 베어링 블록(2)을 상기 한 쌍의 롤(1)(1)이 서로 근접하고, 또한, 이격(離隔)되도록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8)와, 롤(1)(1)의 운전 상태를 측정하는 운전 상태 측정기(9, 11)를 구비하여, 운전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계측부에 의해 롤 부하를 알 수 있으므로, 공급부에 의해 분체의 공급량을 변화시키고, 조립부에 의해 분체를 적절히 압축 조립할 수 있다. 즉, 일정 범위의 롤 부하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계측부에서는, 운전 상태 측정기에 의해 롤의 운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자동으로 게이트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게이트(5)를 상하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6)를 구비하며, 상기 전동 실린더(6)는, 로드의 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인버터(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게이트(5)의 상하이동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이동에 의해 게이트(5) 등의 장치를 파손하는 일 없이, 그리고, 단시간에, 원료에 적합한 게이트 높이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조립성의 변동에 대해, 게이트(5)의 상하이동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양호한 품질의 조립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브리켓 머신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게이트(5)의 구동장치를 전동 실린더(6)로 하면, 게이트(5)의 높이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더욱이, 인버터(10)에 의해 전동 실린더(6)의 운동 속도를 변화시켜 게이트(5)의 상하이동 속도를 적절히 함으로써, 원료의 조립성 변동에 추종하는 동시에, 적절한 속도로 하여 게이트(5)의 상하이동의 헌팅(hunting)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5)의 하단은,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하방(下方)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게이트(5)와 롤(1)의 간극(間隙)을, 분체가 통과하기 쉬운 중앙부에서 작게 하고, 양단부에서 크게 함으로써,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5)는,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13·14)를 구비해도 된다. 측판(14)(14)이 T자 형상 판(1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므로,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적합한 길이, 즉,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조정하기가 용이하도록 중앙부와 양단부의 간극의 차(差)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체의 성상(性狀)이 변화하더라도,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일본에서 2013년 8월 20일에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3-170159호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본 출원의 내용으로서, 그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특정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며,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만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경이나 개변(改變)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기 때문이다.
출원인은, 기재된 실시형태 중 어느 것도 공중(公衆)에게 헌상할 의도는 없으며, 개시된 개변이나 대체안 중, 특허청구범위 내에 문언상 포함되지 않을지도 모르는 것도, 균등론 하에서의 발명의 일부로 한다.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있어서, 명사 및 동일한 지시어의 사용은, 특별히 지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 명료하게 부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의 양쪽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제공된 어떠한 예시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컨대, 「등」)의 사용도,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쉽도록 하는 의도임에 지나지 않으며, 특별히 청구범위에 기재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을 가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브리켓 머신 전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브리켓 머신의 롤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개략도이며, 롤의 축에 평행한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의 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 개략도이며, 롤의 축에 평행한 수직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게이트 부근의 확대도이며, 게이트 하강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하는 게이트 부근의 확대도이며, 게이트 상승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브리켓 머신은, 분체를 압축 조립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방에 위치하여, 분체의 공급량을 변화시켜서 조립부에 공급하는 공급부와, 운전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가진다.
여기서, 조립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1)(1)과, 상기 롤(1)(1)의 양단을 지지하는 동시에 베어링을 유지하는 베어링 블록(2)(2)과, 베어링 블록(2)(2)을 지지하는 프레스 프레임부(3)를 구비하고 있으며, 분체를 압축 조립한다. 여기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는 것은, 한 쌍의 롤(1)(1)의 상부의 표면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을 의미한다.
또한, 공급부는, 조립부의 상방에 위치하여 조립부에 분체를 공급하는 호퍼(4)와, 상기 호퍼(4)의 내부에 설치된 게이트(5)이며, 상기 롤(1)(1)의 접근부 상방에서 상하이동하는 게이트(5)를 구비하고 있으며, 공급량이 가변적인 분체를 조립부에 공급한다. 호퍼(4) 하단의 분체를 조립부에 공급하는 공급구(供給口)는, 하나의 롤(1)측으로부터 한 쌍의 롤(1)(1)의 중심을 향해 분체를 공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5)의 위치는, 한 쌍의 롤(1)(1) 간의 중심이어도 되고, 분체가 공급되는 측(도 1에서는 좌측)으로 중심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여도 된다.
또한, 계측부에서는, 가동(可動)인 베어링 블록(2)(2)을 한 쌍의 롤(1)(1)이 서로 접근하고, 또한, 이격되도록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8)와, 롤(1)(1)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로드 셀(9)과, 롤(1)(1)의 구동 모터(12)의 전류치를 측정하는 전류계(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운전 상태를 계측한다. 즉, 롤(1)(1) 간의 가압력 또는 롤(1)(1)의 회전 부하에 의해 롤의 운전 상태를 측정한다. 로드 셀(9) 및 전류계(11)는, 롤(1)(1)의 운전 상태를 측정하는 운전 상태 측정기의 대표적인 예이나, 다른 운전 상태 측정기에 의해 운전 상태를 측정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분체는 그 종류를 불문하나, 본 발명의 브리켓 머신은, 분체의 성질이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게 이용된다. 예컨대, 환원철, 석탄, 제강 더스트(dust), 니켈 광석가루, 아연 더스트 등이며, 입도(粒度)나 물성이 안정되지 않은 분체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브리켓 머신은, 대직경(大徑) 롤의 브리켓 머신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된다. 대직경 롤의 경우에는, 분체의 자중(自重)에 의해 롤 간에 분체가 끼어 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분체가 롤 간에 끼어 들어가지 않도록, 롤 간에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게이트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1]
이하에서는, 도면에 근거하여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용하는 브리켓 머신 전체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브리켓 머신의 롤의 축에 평행한 수직면에 있어서의 롤 부근의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롤(1)(1)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분체를 압축 조립하는 롤이며, 쌍으로 되어 있다. 베어링 블록(2)은, 롤(1)(1)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베어링 블록(2)은, 프레스 프레임부(3)에 지지된다. 여기서 프레스 프레임부(3)는, 조립부의 외측 프레임(outer frame)이다. 가동인 베어링 블록(2)은 하측이 프레스 프레임부(3)와 슬라이딩한다. 유압 실린더(8)나 고정측의 베어링 블록(2)의 수평 방향 변위는, 프레스 프레임부(3)에 의해 구속된다.
한편, 공급부는, 호퍼(4)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설치되며, 조립부에 분체를 공급한다. 호퍼(4)의 내부에는, 게이트(5)가 설치되어 있으며, 롤(1)의 상부에서, 분체의 공급량을 규제할 수 있다. 즉, 게이트(5)가 상하이동하여 롤(1)과의 간극을 넓히거나 좁히거나 함으로써, 호퍼(4)로부터 조립부에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조정한다.
또한, 게이트(5)를 상하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6)는, 게이트 승강 장치 프레임(7) 및 플랜지에 의해, 로드를 하향으로 하여 유지되고 있다. 게이트의 상하이동의 액츄에이터로서, 전동 실린더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게이트의 구조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왜냐하면, 유압 실린더의 경우는, 배관이나 유압 펌프 등이 불가결하기 때문이다. 또한, 게이트의 구동장치가 전동 실린더이기 때문에, 게이트의 높이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참고로, 전동 실린더(6)는, 분체 중의 게이트(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게이트(5)와 분체 간의 마찰, 분체에 의해 게이트(5)에 작용하는 면압(面壓), 분체를 밀어내며 이동하기 위한 힘 등도 고려하여 충분한 동력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브리켓 머신은, 전동 실린더(6)의 상하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인버터(10)를 구비할 수 있다. 게이트의 상하이동 속도를 조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분체의 성상에 따라 게이트를 상하이동시키기 위한 힘이 달라져, 조립하는 분체에 따라 게이트의 상하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또한, 게이트의 상하이동 속도가 너무 느리면 원료의 조립성의 변동에 추종할 수 없게 되고, 또한 너무 빠르면 헌팅과 같이 상하이동 동작을 반복하게 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이동 속도가 너무 빠르면, 게이트 등의 장치를 파손하는 일도 있다. 이 때문에, 너무 빠르지 않고 너무 느리지 않은 적절한 속도로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컨대 내릴 때는 빠르게 하고, 올릴 때는 느리게 하는 등, 움직이는 방향에 따라 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장치의 파손을 막을 수도 있다.
그런데, 계측부는, 베어링 블록(2)의 가동측에 유압 실린더(8)를 구비한다. 또한, 롤(1)(1)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로드 셀(9)과, 롤(1)(1)의 구동 모터(12)의 전류치를 측정하는 전류계(11)를 구비하여, 운전 상태를 계측한다. 참고로, 한 쌍의 베어링 블록(2)(2)의 양방(兩方)을 가동(可動) 상태로 하고, 각각의 베어링 블록(2)(2)에 유압 실린더(8)를 구비해도 된다. 유압 실린더(8)는 로드 셀(9)과 연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롤(1)(1)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치보다 커졌을 때에는 유압 실린더(8)로 누르는 힘을 약하게 하고, 롤(1)(1)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치보다 작아졌을 때에는 유압 실린더(8)로 누르는 힘을 강하게 하여, 롤(1)(1) 간에 작용하는 압력을 적절히 유지한다.
이들 로드 셀(9) 및 전류계(11)는, 운전 상태 계측기로서, 롤(1)(1)에 작용하는 부하에 기초하여, 공급부로부터 조립부에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조정하는 데 사용된다. 롤(1)(1)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치보다 높아지면, 게이트(5)를 내려, 게이트(5)와 롤(1) 간의 간극을 좁힘으로써, 조립부에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줄인다. 반대로, 롤(1)(1)에 작용하는 압력이 소정치보다 낮아지면, 게이트(5)를 올려, 게이트(5)와 롤(1) 간의 간극을 넓힘으로써, 조립부에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늘린다. 또한, 구동 모터(12)의 전류치가 소정치보다 높아지면, 게이트(5)를 내려, 게이트(5)와 롤(1) 간의 간극을 좁힘으로써, 조립부에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줄인다. 반대로, 구동 모터(12)의 전류치가 소정치보다 낮아지면, 게이트(5)를 올려, 게이트(5)와 롤(1) 간의 간극을 넓힘으로써, 조립부에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늘린다. 로드 셀(9) 혹은 전류계(11)만을 구비해도 된다. 한편, 양방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롤 가압력과 롤을 구동하는 부하를 소정의 범위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보다 안정된 품질의 조립품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로드 셀(9)과 전류계(11)가 상반된 데이터를 나타낸 경우에는, 알람을 발생시켜 오퍼레이터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등, 계측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이용한 브리켓 머신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유압 실린더(8)로 가동측의 베어링 블록(2)을 눌러, 롤(1)(1)을 적절한 압력으로 밀착시킨다. 이어서, 구동 모터(12)로 롤(1)(1)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호퍼(4)로부터 분체가 회전하는 롤(1)(1) 사이로 들어가고, 롤(1)(1) 간의 압력에 의해 분체가 눌려 굳어진다. 여기서, 롤(1)(1)에 의한 가압력을 로드 셀(9)에 의해 측정하고 있다. 한편, 롤(1)(1)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12)의 전류치도 전류계(11)에 의해 측정하고 있다. 그리고, 가압력 또는 전류치가 소정 범위를 넘으면, 게이트(5)를 상하이동시켜, 롤(1)(1) 사이로의 분체의 공급량을 조정한다.
게이트(5)에 의한 원료(분체) 공급량의 조정에 대해, 게이트 높이와 롤 가압력(즉, 로드 셀(9)의 측정치)의 관계를 조사하여, 원료 공급량을 조정 가능한 게이트 높이의 범위를 조사하였다.
[테스트 결과 1]
Figure pct00001
표 1의 결과로부터, 게이트 공급의 경우, 게이트 높이를 변경함으로써, 롤 가압력을 600KN까지 낮출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게이트 높이를 낮춤으로써 환원철을 낮은 롤 가압력으로 조립할 수 있음을 알았다(게이트 높이의 상하 위치에 대한 상세는, 도 4 및 도 5를 참조).
참고로, 비교예로서, 호퍼 내에 스크류를 설치하여 스크류의 회전수로 공급부로부터 조립부에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조정하는 스크류 공급의 경우에 있어서의, 스크류의 회전수와 롤 가압력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테스트 결과 2]
Figure pct00002
테스트 결과 2로부터, 스크류의 회전수를 낮추더라도 반드시 낮은 롤 가압력으로 조립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브리켓 머신에서는, 롤 가압력을 측정하고, 롤 가압력에 근거하여 게이트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일정 범위의 롤 가압력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 품질이 안정된다.
또한, 롤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의 전류치를 측정하여, 구동 모터의 전류치에 의해 게이트 높이를 제어함으로써, 일정 범위의 롤 부하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립 품질이 안정된다.
또한, 게이트 높이를 전동 실린더로 자동 제어함으로써, 조립성이 변동되더라도, 양호한 조립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전동 실린더의 동작 속도를 인버터 제어함으로써, 게이트의 상하이동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조립 중에 조립성이 변화하는 원료에 적합한 높이 조절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의 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 부근의 롤의 축에 평행한 수직면에서의 단면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는, 게이트(5)로서 작용하는 판 형상 구조이다. 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는, T자 형상 판(13)과 측판(14)(14)을 구비한다. T자 형상 판(13)은, 전동 실린더(6)의 로드 혹은 로드에 연접(連接)하는 구동축에 의해, 상하이동한다. T자 형상 판(13)의 하단 변(邊)(롤(1)에 가까운 끝단(端))은,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T자 형상이다. 여기서, 중앙부와 양단부의 폭의 관계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각각을 게이트(5)의 폭의 3분의 1로 해도 되고, 중앙부에 대해 양단부를 3분의 1씩으로 해도 되고, 중앙부에 대해 양단부를 2분의 1씩으로 해도 되고, 중앙부에 대해 양단부를 2배씩으로 해도 되고, 이들 사이의 비(比)여도 된다. T자 형상 판(13)의 양단부에는, 각각에 측판(14)(14)이 겹쳐지며, 볼트 등의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대부분의 경우, 측판(14)(14)의 하단은, T자 형상 판(13)의 양단부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T자 형상 판(13) 또는, 측판(14)(14)의 볼트구멍을 상하 방향으로 긴 장공(長孔)으로 하고, 겹친 측판(14)(14)이 T자 형상 판(1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 때문에, 측판(14)(14)의 하단이 T자 형상 판(13)의 양단부의 하단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 즉, 게이트(5)와 롤(1)의 중앙부의 간극과 양단부의 간극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단, T자 형상 판(13)의 중앙부의 하단보다는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좋다. 참고로, T자 형상 판(13)과 측판(14)(14)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것은, 볼트와 장공의 조합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그 밖의 주지의 구성이어도 된다.
게이트(5)로서 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 즉 T자 형상 판(13)과 측판(14)(14)으로 하면, 게이트(5)와 롤(1)의 간극을, 분체가 통과하기 쉬운 중앙부에서 작게 하고, 양단부에서 크게 함으로써,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조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측판(14)(14)이 T자 형상 판(1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적합한 길이, 즉,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조정하기 쉬운 중앙부와 양단부의 간극의 차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급되는 분체의 양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게이트(5)를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T자 형상으로 하는 데, 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를 이용하고 있으나, 게이트(5)는 1장의 판으로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1∼5에서는, 게이트(5)는 연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동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게이트(5)는 연직축으로부터 예컨대 15° 정도까지 경사지게 배치되어 이동해도 된다. 단, 연직 방향으로 배치하여 이동하는 편이, 게이트 승강 장치 프레임(7) 등으로부터 매달기 쉽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이용한 주요 부호를 이하에 정리하여 기재한다.
1 : 롤
2 : 베어링 블록
3 : 프레스 프레임부
4 : 호퍼
5 : 게이트
6 : 전동 실린더
7 : 게이트 승강 장치 프레임
8 : 유압 실린더
9 : 로드 셀(운전 상태 측정기)
10 : 인버터
11 : 전류계(운전 상태 측정기)
12 : 구동 모터
13 : T자 형상 판(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
14 : 측판(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

Claims (4)

  1.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롤(1)(1)과, 상기 롤(1)(1)의 양단(兩端)을 지지하는 동시에 베어링을 유지(保持)하는 한 쌍의 베어링 블록(2)(2)이며, 적어도 하나는 가동(可動)인 베어링 블록(2)(2)과, 상기 한 쌍의 베어링 블록(2)(2)을 지지하는 프레스 프레임부(3)를 구비하여, 분체를 압축 조립(造粒)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방(上方)에 위치하여 조립부에 분체(粉體)를 공급하는 호퍼(hopper; 4)와, 상기 호퍼(4)의 내부에 설치된 게이트(gate; 5)이며, 상기 롤(1)(1)의 접근부 상방에서 상하이동하는 게이트(5)를 구비하여, 분체의 공급량을 변화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가동(可動)인 베어링 블록(2)을 상기 한 쌍의 롤(1)(1)이 서로 근접하고, 또한, 이격(離隔)되도록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8)와, 롤(1)(1)의 운전 상태를 측정하는 운전 상태 측정기(9, 11)를 구비하여, 운전 상태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가지는 브리켓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게이트(5)를 상하이동시키는 전동 실린더(6)를 구비하며, 상기 전동 실린더(6)는, 로드의 운동 속도를 변화시키는 인버터(10)를 더 구비한 브리켓 머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5)의 하단은,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하방(下方)으로 돌출되어 있는 브리켓 머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5)는,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게이트 선단 조정 기구를 구비한 브리켓 머신.
KR1020167006672A 2013-08-20 2014-07-17 브리켓 머신 KR201600445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0159 2013-08-20
JP2013170159 2013-08-20
PCT/JP2014/068990 WO2015025645A1 (ja) 2013-08-20 2014-07-17 ブリケットマシ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519A true KR20160044519A (ko) 2016-04-25

Family

ID=52483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672A KR20160044519A (ko) 2013-08-20 2014-07-17 브리켓 머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256473B2 (ko)
KR (1) KR20160044519A (ko)
CN (1) CN204365239U (ko)
AU (1) AU2014310051B2 (ko)
GB (1) GB2537229B (ko)
WO (1) WO2015025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6330B2 (en) * 2018-01-26 2022-02-15 Chris Deakin System and method for flaki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28176C3 (de) * 1969-06-03 1974-05-16 Maschinenfabrik Koeppern & Co Kg, 4320 Hattingen Walzenbrikettpresse zum Heißverpressen von Kohle, Erzen und ähnlichen Stoffen
JPS51107572A (ja) * 1975-03-17 1976-09-24 Shinto Baauindo Kk Katamochishikidabururoorugataburiketsutomashin
JPS5398301A (en) * 1977-02-08 1978-08-28 Nippon Steel Corp Molding of highly viscous material with rolls
JPS61136431A (ja) * 1984-12-07 1986-06-24 Hitachi Ltd 造粒機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8318B2 (ja) * 1986-04-25 1996-01-10 三菱化学株式会社 粉粒体圧縮装置の定負荷運転方法
JP3097883B2 (ja) * 1992-08-07 2000-10-10 新東工業株式会社 ブリケットマシン
JPH09192896A (ja) * 1996-01-19 1997-07-29 Sintokogio Ltd ブリケットマシン
JP2000063911A (ja) * 1998-08-14 2000-02-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粉末圧延機
JP2000063910A (ja) * 1998-08-14 2000-02-2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粉末圧延機
JP4174872B2 (ja) * 1998-09-28 2008-11-05 株式会社Ihi 粉末圧延機
JP2009095712A (ja) * 2007-10-15 2009-05-07 Furukawa Industrial Machinery Systems Co Ltd 粉体造粒装置およびフィードホッパ
JP2009095714A (ja) * 2007-10-15 2009-05-07 Furukawa Industrial Machinery Systems Co Ltd 粉体造粒装置およびフィードホッパ
JP2014050844A (ja) * 2011-02-28 2014-03-20 Sintokogio Ltd ブリケットマシン
JP2014050845A (ja) * 2011-02-28 2014-03-20 Sintokogio Ltd ブリケットマシン
JP5929787B2 (ja) * 2013-03-07 2016-06-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塊成体の製造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310051A1 (en) 2016-03-10
GB2537229A (en) 2016-10-12
GB201604358D0 (en) 2016-04-27
GB2537229B (en) 2018-09-26
WO2015025645A1 (ja) 2015-02-26
JP6256473B2 (ja) 2018-01-10
CN204365239U (zh) 2015-06-03
AU2014310051B2 (en) 2017-08-31
JPWO2015025645A1 (ja)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45125U (zh) 组合式输送带张紧调节装置
CN105682804A (zh) 控制颚式破碎机的方法和系统
FI127030B (fi) Leukamurskain, murskauslaitos ja menetelmä leukamurskaimen käyttämiseksi
CN113015580B (zh) 辊式破碎机的启动顺序
CN102596413A (zh) 用于辊压机的侧壁
CN110193396A (zh) 高效智能颚式破碎机
KR20160044519A (ko) 브리켓 머신
AU2011361270B2 (en) Briquette machine
CN203316493U (zh) 辊缝调节装置及辊压机
JP3330552B2 (ja) 竪型ミル及びその間隙調整方法
CN204449007U (zh) 一种冲头快换装置
CN209334458U (zh) 一种侧导装置
CN202951505U (zh) 一种对辊破碎机
CN209554240U (zh) 一种变距机构
CN103285991A (zh) 一种双侧自动调节高压辊磨机进料的机构
CN103706870A (zh) 一种金属板带精整用切边圆盘剪
KR102515396B1 (ko) 미세 간극 조절 기능을 가지는 라미네이팅 장치
CN101362110B (zh) 一种辊压机进料装置
CN201125072Y (zh) 悬臂皮带机的张紧装置
CN109500101B (zh) 一种侧导装置
CN211564679U (zh) 一种辊压成型机
CN203621596U (zh) 一种金属板带精整用切边圆盘剪
KR101862575B1 (ko) 원료 공급 장치
CN201067698Y (zh) 辊式破碎机辊距调节机构
CN210675332U (zh) 一种液压复合辊式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