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176A - 만두피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만두피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176A
KR20160044176A KR1020140138641A KR20140138641A KR20160044176A KR 20160044176 A KR20160044176 A KR 20160044176A KR 1020140138641 A KR1020140138641 A KR 1020140138641A KR 20140138641 A KR20140138641 A KR 20140138641A KR 20160044176 A KR20160044176 A KR 20160044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plate
punching
uni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8973B1 (ko
Inventor
윤상구
장봉진
정풍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대한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대한기계
Priority to KR102014013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973B1/ko
Priority to PCT/KR2015/009101 priority patent/WO2016060376A1/ko
Publication of KR20160044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만두피 성형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만두피 성형장치는 판상의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와,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를 펀칭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펀칭부 및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펀칭부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만두피 성형장치{BUN SKIN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만두피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만두피 제작을 위한 모재의 공급을 개선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만두피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는 밀가루 반죽으로 된 만두피의 내부에 만두소가 채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공정은 사람이 일일이 손으로 만들어야 했으므로 만두를 만드는데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만두를 자동으로 제조하는 장치들이 일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만두 성형기는 복수의 성형틀을 구비하는 성형장치에 만두피를 투입한 후 만두피에 만두소를 얹으면 성형틀이 작동하여 만두의 성형이 이루어지고, 성형이 완료된 만두는 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만두의 생산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통상의 만두 성형기는 만두를 성형해주기 위한 복수의 성형틀을 구비하는 만두 성형장치와 반죽을 얇은 판상으로 투입하여 절단하는 만두피 성형장치와, 성형틀 내로 투입된 만두피의 상면에 만두소를 공급하는 만두소 공급장치 및 성형장치에 의해 형성된 만두를 배출하는 배출장치로 구성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52115호(공개일:2012.05.23, 발명의 명칭 : 만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만두)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만두피 제작을 위한 모재의 공급을 개선하여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만두피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재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만두피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는 판상의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와, 상기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를 펀칭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펀칭부 및 상기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상기 펀칭부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재공급부는 상기 펀칭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를 상기 펀칭부의 전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재공급부는 상기 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펀칭부는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펀치 및 상기 펀치의 단부에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와 접촉되는 성형틀 및 상기 성형틀과 대응되고, 상기 성형틀에 의해 절개된 만두피가 배출되도록 배출홀을 갖는 다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틀은 판상의 모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된 판상의 모재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드부는 상기 펀칭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리드컨베이어 및 상기 모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상기 펀칭부를 경유하도록 판상의 모재 선단을 상기 리드컨베이어로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부는 투입플레이트 및 상기 투입플레이트가 상기 펀칭부 내부로 이동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펀칭부에는 상기 투입플레이트를 직선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입플레이트의 선단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는 만두피 제작을 위한 모재의 공급시 모재가 펀칭부에 정확하게 경유될 수 있어 펀칭시 만두피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모재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모재의 선단을 투입부에 의해 밀어 삽입시켜 리드컨베이어에 얹혀주는 단순한 방식으로 가능하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펀칭부에 의한 펀칭시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모재의 유동을 방지시킨 후 펀칭함으로써,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모재 투입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성형틀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 제조장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모재 투입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성형틀을 보인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은 만두 제조장치(10)를 보인 도면으로서, 만두 제조장치(10)는 턴테이블로 형성되는 이송부(12)와, 이송부(12)의 가장자리에 둘레에 구비되는 만두 성형장치(14)와, 이송부(12)의 가장자리 둘레에 만두피 성형장치(100), 만두소 공급장치(16) 및 만두 배출장치(18)가 구비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100)는 모재공급부(110), 펀칭부(120) 및 리드부(130)를 포함한다.
모재공급부(110)는 판상의 모재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모재를 형성하기 위한 교반기(미도시)로부터 반죽이 제공되며, 제공된 반죽은 롤러에 의해 판상으로 펼쳐지고, 판상의 모재는 모재공급부(110)에 의해 이송된다. 이러한 모재공급부(110)는 후술되는 펀칭부(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를 펀칭부(120)의 전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112)를 포함한다. 모재공급부(110)에 의해 이송되는 모재는 펀칭부(120)의 전측 상부에서 하부로 드리워진다.
모재공급부(110)는 공급컨베이어(112)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브라켓(114)을 포함한다. 유동방지브라켓(114)은 모재의 가장자리가 수용되도록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모재가 드리워지는 펀칭부(120)의 전면 양측에 구비된다.
이때, 펀칭부(120)의 전측에는 모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감지센서(115)가 구비된다.
펀칭부(120)는 모재공급부(110)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를 펀칭하여 만두피를 형성한다. 이러한 펀칭부(120)는 구동부(122)에 의해 승강되는 펀치(124) 및 펀치(124)의 단부에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와 접촉되는 성형틀(125) 및 성형틀(125)과 대응되고, 성형틀(125)에 의해 절개된 만두피가 배출되도록 배출홀(129)을 갖는 다이플레이트(128)를 포함한다. 펀치(124)를 승강시키는 구동부(122)는 캠구동 또는 실린더에 의한 구동 방식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성형틀(125)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의 모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126) 및 고정플레이트(126)에 의해 고정된 판상의 모재를 절단하는 커터(127)를 포함한다. 즉, 펀치(124)의 저면에는 복수개의 커터(127)가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를 절단함으로써, 복수개의 만두피를 한번에 형성할 수 있으며, 커터(127)의 가압에 의해 절단된 만두피는 다이플레이트(128)의 배출홀(129)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만두피는 턴테이블에 구비되는 만두형성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플레이트(126)는 커터(127)의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만두피를 절단하는 부위의 주변을 다이플레이트(128)에 가압함으로써, 펀칭시 모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리드부(130)는 모재공급부(110)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펀칭부(120)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한다. 즉, 모재에 펀칭이 가능하도록 모재를 펀칭부(120)의 하부로 안내하는 것으로서, 펀칭부(120)의 후단에 구비되는 리드컨베이어(132) 및 모재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펀칭부(120)를 경유하도록 판상의 모재 선단부를 리드컨베이어(132)로 투입하는 투입부(135)를 포함한다. 즉, 펀칭부(120)의 펀치(124)와 다이플레이트(128)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으로 모재를 투입부(135)에 의해 투입시키며, 투입부(135)에 의해 모재의 선단은 리드컨베이어(132)에 안착되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투입부(135)는 투입플레이트(136) 및 투입플레이트(136)가 펀칭부(120) 내부로 이동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137)를 포함한다. 여기서 투입플레이트(136)는 판상의 모재와 대응되도록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구동부재(137)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펀칭부(120)에는 투입플레이트(136)를 직선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부(140)가 형성된다. 안내가이드부(140)는 펀치(124)와 다이플레이트(128) 사이 공간 양측에 구비되며, 투입플레이트(136)는 안내가이드부(140)에 가장자리가 수용되어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는 판상의 모재를 투입플레이트(136)가 모재의 하중에 의한 쳐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입플레이트(136)의 선단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모재의 선단을 상부로 들어주어 모재의 선단이 리드컨베이어(132)에 안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리드컨베이어(132)는 선단이 높게 형성되어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모재의 자중에 의해 마찰력을 향상시켜 투입부(135)에 의해 안착된 모재의 선단이 리드컨베이어(1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교반기에 의해 반죽되고, 롤러에 의해 가압된 판상의 모재가 모재공급부(110)에 공급되고, 공급컨베이어(112)로 이루어진 모재공급부(110)는 모재를 펀칭부(120)로 이송한다.
공급컨베이어(112)는 펀칭부(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모재를 이송하며, 모재는 펀칭부(120)의 전측 상부에서 하부로 자중에 의해 드리워진다. 이때, 모재의 가장자리는 유동방지브라켓(114)에 수용된 상태로 바람 등의 외부요인에 영향없이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펀칭부(120)의 전측에 구비되는 감지센서(115)에 의해 모재의 유무를 판단하고, 모재가 일정구간에 진입하게 되면, 구동부재(137)의 작동에 의해 투입플레이트(136)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투입플레이트(136)에는 모재의 선단부가 얹혀지게 되고, 투입플레이트(136)의 이동에 의해 모재는 펀칭부(120) 내부로 삽입되며, 모재의 선단부는 펀칭부(120)의 후측에 구비되는 리드컨베이어(132)에 얹혀진다. 이때, 투입플레이트(136)는 안내가이드부(14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되므로 모재의 자중에 의한 처짐을 방지할 수 있어 투입플레이트(136)는 정확하게 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투입플레이트(136)는 구동부재(137)의 작동으로 후퇴되고, 모재는 리드컨베이어(132)에 의해 이끌어질 수 있다.
따라서, 리드컨베이어(132)에 의해 선단이 이끌어지는 모재는 펀치(124)와 다이플레이트(128)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리드컨베이어(132)는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써, 모재의 하중에 의해 리드컨베이어(132)에서 마찰력이 증가하여 이탈되지 않고, 모재의 원활한 흐름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후, 펀칭부(120)의 작동에 의해 모재를 절단하여 만두피를 형성한다. 즉, 구동부(122)의 작동에 의해 펀치(124)가 하강하게 되고, 펀치(124)에 구비되는 성형틀(125)이 모재에 접촉되므로써, 모재를 절단하여 만두피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124)의 하강에 의해 고정플레이트(126)가 모재를 다이플레이트(128)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한 후, 커터(127)가 모재를 절단하게 된다. 커터(127)에 의해 절단된 만두피는 다이플레이트(128)의 배출홀(129)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이송부(12)에 구비되는 성형틀에 안착되게 된다.
이후, 펀치(124)가 상승하고, 리드컨베이어(132)에 의해 모재가 이송되며, 펀치(124)의 펀칭과 리드컨베이어(132)에 의한 모재의 이송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만두피를 형성한다. 만두피가 절단된 모재는 리드컨베이어(132)에 의해 일정공간에 회수되고, 다시 반죽되어 판상의 모재로 모재공급부(110)로 재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두피 성형장치에 의하면, 만두피 제작을 위한 모재의 공급시 모재가 펀칭부에 정확하게 경유될 수 있어 펀칭시 만두피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모재를 투입부에 의해 삽입하고, 리드컨베이어에 얹혀주는 단순한 방식으로 신뢰성있는 모재의 공급이 가능하여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만두피 성형장치 110 : 모재공급부
112 : 공급컨베이어 114 : 유동방지브라켓
115 : 감지센서 120 : 펀칭부
122 : 구동부 124 : 펀치
125 : 성형틀 126 : 고정플레이트
127 : 커터 128 : 다이플레이트
129 : 배출홀 130 : 리드부
132 : 리드컨베이어 135 : 투입부
136 : 투입플레이트 137 : 구동부재
140 : 안내가이드부

Claims (9)

  1. 판상의 모재를 공급하는 모재공급부;
    상기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를 펀칭하여 만두피를 형성하는 펀칭부; 및
    상기 모재공급부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상기 펀칭부를 경유하는 경로를 갖도록 하는 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공급부는 상기 펀칭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를 상기 펀칭부의 전측으로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공급부는 상기 공급컨베이어에서 공급된 판상의 모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는 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펀치; 및
    상기 펀치의 단부에 구비되어 판상의 모재와 접촉되는 성형틀; 및
    상기 성형틀과 대응되고, 상기 성형틀에 의해 절개된 만두피가 배출되도록 배출홀을 갖는 다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판상의 모재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의해 고정된 판상의 모재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펀칭부의 후단에 구비되는 리드컨베이어; 및
    상기 모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판상의 모재가 상기 펀칭부를 경유하도록 판상의 모재 선단을 상기 리드컨베이어로 투입하는 투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투입플레이트; 및
    상기 투입플레이트가 상기 펀칭부 내부로 이동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펀칭부에는 상기 투입플레이트를 직선으로 안내하는 안내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플레이트의 선단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피 성형장치.
KR1020140138641A 2014-10-14 2014-10-14 만두피 성형장치 KR101718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641A KR101718973B1 (ko) 2014-10-14 2014-10-14 만두피 성형장치
PCT/KR2015/009101 WO2016060376A1 (ko) 2014-10-14 2015-08-28 만두피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641A KR101718973B1 (ko) 2014-10-14 2014-10-14 만두피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176A true KR20160044176A (ko) 2016-04-25
KR101718973B1 KR101718973B1 (ko) 2017-03-24

Family

ID=5574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641A KR101718973B1 (ko) 2014-10-14 2014-10-14 만두피 성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8973B1 (ko)
WO (1) WO201606037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24A (ko)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KR20180105009A (ko) *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73613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102499568B1 (ko) * 2022-07-04 2023-02-16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자동화 공급유닛에 기인한 반죽물 안전 공급형 만두피 성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506A (ja) * 2001-01-19 2002-07-30 Tosei Kogyo Kk 麺皮打ち抜き装置
JP2009038993A (ja) * 2007-08-07 2009-02-26 Toa Kogyo Kk 餃子の皮の製造装置
KR101111549B1 (ko) * 2011-08-12 2012-02-15 김상수 커팅벨트를 제거한 방식의 만두피 커팅기
KR20120113639A (ko)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만두 성형기의 만두피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1303B2 (ja) * 1997-03-19 2002-10-07 トーセー工業株式会社 麺皮打ち抜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9506A (ja) * 2001-01-19 2002-07-30 Tosei Kogyo Kk 麺皮打ち抜き装置
JP2009038993A (ja) * 2007-08-07 2009-02-26 Toa Kogyo Kk 餃子の皮の製造装置
KR20120113639A (ko)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만두 성형기의 만두피 이송장치
KR101111549B1 (ko) * 2011-08-12 2012-02-15 김상수 커팅벨트를 제거한 방식의 만두피 커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24A (ko) 2016-10-17 2018-04-25 주식회사 대현종합상사 양면 볼록형 만두 성형장치
KR20180105009A (ko) * 2017-03-14 2018-09-27 주식회사대한기계 만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073613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102499568B1 (ko) * 2022-07-04 2023-02-16 주식회사 에프시이엔지 자동화 공급유닛에 기인한 반죽물 안전 공급형 만두피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973B1 (ko) 2017-03-24
WO2016060376A1 (ko) 201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973B1 (ko) 만두피 성형장치
KR101770801B1 (ko) 만두제조장치
KR102073611B1 (ko) 만두 제조 장치
CN205033256U (zh) 一种阿胶切割装置
KR20160099799A (ko) 만두제조장치
CN110935776A (zh) 一种冲压设备的输送装置
KR101042639B1 (ko) 포자 만두의 성형장치 및 자동정렬 공급시스템
CN107993632A (zh) 钢琴轴架自动粘绳设备
JP5628628B2 (ja) ブランキングプレス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694110B1 (ko) 파이 또는 타르트용 크러스트 스마트 위생 자동 성형기
EP3235741A1 (en) Device for packaging trays
KR101799279B1 (ko) 식용피 제조 장치
KR101854400B1 (ko) 연속 타공장치 및 연속 타공방법
US1587687A (en) Biscuit, bread, and the like machinery
JP2003089098A (ja) カス取り装置
CN211430814U (zh) 面皮制作设备
JP3149390U (ja) 食品成形装置
CN110193709B (zh) 一种五金铆压件铆钉送料压合系统
KR102499568B1 (ko) 자동화 공급유닛에 기인한 반죽물 안전 공급형 만두피 성형장치
US20220105649A1 (en) Method for cutting bale rubber and bale rubber cutting device
JP2009219464A (ja) 餃子などの具の供給装置
CN108480463A (zh) 自动管件冲孔设备的上料机构
KR20160099800A (ko) 만두제조장치
KR20160099797A (ko) 만두제조장치
CN219055209U (zh) 注塑自动分穴冲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