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607A -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607A
KR20160042607A KR1020140136745A KR20140136745A KR20160042607A KR 20160042607 A KR20160042607 A KR 20160042607A KR 1020140136745 A KR1020140136745 A KR 1020140136745A KR 20140136745 A KR20140136745 A KR 20140136745A KR 20160042607 A KR20160042607 A KR 20160042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terminal
sensor
seating
cu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4542B1 (ko
Inventor
이승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4013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5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42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42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02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는, 기둥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내장되고, 케이블을 통해 전원부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홀더의 전방에 장착되는 센서부와; 상기 터미널과 센서부를 상호 연결하는 저항부와; 상기 홀더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 및 저항부를 감싸는 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SENSOR ASSEMBLY FOR MEASURING ROTATING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휠과 같이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의 센서조립체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조립체에는 터미널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터미널은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위와 같이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크기가 커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특히 터미널과 케이블 간의 연결부위가 자주 단선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3831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고, 크기가 작아 설치가 용이하며, 터미널과 케이블 간의 연결이 견고하여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는, 기둥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내장되고, 케이블을 통해 전원부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홀더의 전방에 장착되는 센서부와; 상기 터미널과 센서부를 상호 연결하는 저항부와; 상기 홀더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 및 저항부를 감싸는 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의 전방에는 상기 센서부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전방에는 상기 센서부의 전방이 걸려 상기 센서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홀더의 전방 상면에서 상기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안착돌기와; 상기 홀더의 전방 하면에서 상기 제1안착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안착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돌기와 제2안착돌기 사이에 상기 센서부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안착돌기 또는 제2안착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돌기와 제2안착돌기의 양측 사이에는 제1탄성변형홈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컵부재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컵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삽입시 벌어지는 제2탄성변형홈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의 일부와 상기 컵부재의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사출에 의해 형성되어 결합된다.
상기 홀더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터미널을 감싸도록 성형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형성된 관통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의 일단에는 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케이블을 감싸면서 압착 결합된다.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상기 압착부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터미널의 일단은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센서부에는 상기 홀더의 상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연결되는 센서단자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은, 케이블과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을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상호 이격시켜 배치하는 터미널배치단계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터미널을 감싸는 기둥형상의 홀더를 형성하는 홀더형성단계와; 상기 홀더의 전방에 센서부를 장착하는 센서부장착단계와; 상기 홀더에 저항부를 장착하고 상기 저항부를 상기 터미널과 센서부에 연결하는 저항부연결단계와; 상기 홀더의 전방에 컵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컵부재가 상기 센서부와 저항부를 감싸도록 하는 컵부재결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배치단계에서, 인서트 사출을 위한 상기 금형에는 관통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관통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상호 이격되게 고정시킨다.
상기 터미널배치단계에서 다수개의 상기 터미널 사이에 이격코어를 배치하되, 상기 홀더형성단계에서의 사출압 작용시 상기 이격코어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터미널은 상호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홀더형성단계에서 상기 홀더의 상면에는 상기 저항부가 안착되는 저항안착홈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센서조립체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그에 따라 크기가 작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터미널에 형성된 압착부를 이용하여 터미널과 케이블 간의 연결이 견고하여 이루어져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센서조립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브라켓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컵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센서부 및 저항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배치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브라켓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컵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센서부 및 저항부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는, 홀더(10)와, 터미널(20)과, 센서부(30)와, 저항부(40)와, 컵부재(50)와, 브라켓(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10)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플라스틱을 사출하여 성형된다.
상기 홀더(10)의 전방에는 상기 센서부(30)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의 전방에는 상기 센서부(30)의 전방에 걸려 상기 센서부(30)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안착부(11)는, 제1안착돌기(12)와, 제2안착돌기(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안착돌기(12)는 상기 홀더(10)의 전방 상면에서 상기 터미널(20)의 길이방향 즉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안착돌기(13)는 상기 홀더(10)의 전방 하면에서 상기 터미널(20)의 길이방향 즉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안착돌기(12)와 제2안착돌기(13)는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제1안착돌기(12)와 제2안착돌기(13) 사이에 삽입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5)은 상기 제1안착돌기(12) 및/또는 상기 제2안착돌기(13)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안착돌기(12)와 제2안착돌기(13)의 양측 사이에는 제1탄성변형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변형홈(14)에 의해 상기 제1안착돌기(12)와 제2안착돌기(13) 사이에 상기 센서부(30)를 삽입할 때, 상기 제1안착돌기(12) 및 제2안착돌기(13)가 보다 용이하게 탄성변형되어 그 사이에 상기 센서부(30)가 삽입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0)은 상기 홀더(10)에 내장되고, 케이블(25)을 통해 전원부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20)은 3개로 이루어지고, 일단이 상기 케이블(25)에 연결되며, 타단은 절곡되어 상기 홀더(10)의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터미널(20)의 일단과 상기 케이블(25)의 연결부위는 상기 홀더(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20)과 케이블(25)이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20)의 일단에는 압착부(22)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22)는 상기 케이블(25)을 감싸면서 압착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20)과 상기 케이블(25)이 보다 쉽고 강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안착부(11)는 인서트 사출되는 상기 홀더(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홀더(10)는 상기 터미널(20)을 금형(70)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을 통해 성형되도록 하여, 상기 터미널(20)을 감싸도록 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20)에는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70)에 형성된 관통돌기(71)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인서트 사출시 상기 터미널(20)이 사출압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0)는 회전체의 회전속도 등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홀더(1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안착부(11)에 삽입 장착된다.
상기 안착부(11)에 삽입 배치된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걸림턱(15)에 의해 상기 안착부(11)에서 임의로 분리 이탈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30)에는 상기 홀더(1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터미널(20)의 타단에 연결되는 센서단자부(31)가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항부(40)는 상기 홀더(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터미널(20)과 센서부(30)를 상호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부(30)에 연결된 3개의 단자 중 2개는 3개로 이루어진 상기 터미널(20) 중 2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센서부(30)의 1개의 단자와 상기 터미널(20) 중 1개가 상기 저항부(40)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컵부재(50)는 일단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10)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30) 및 저항부(40)를 감싸 보호한다.
상기 컵부재(50)를 상기 홀더(10)에 고정하는 구조로써, 상기 홀더(10)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17)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컵부재(50)에는 상기 고정돌기(17)가 삽입되는 고정홈(5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컵부재(50)에는 상기 고정홈(57)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7)의 삽입시 벌어지는 제2탄성변형홈(5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컵부재(50)를 상기 홀더(10)에 장착할 때, 상기 제2탄성변형홈(54)에 의해 상기 컵부재(50)의 일단이 벌어짐으로써 상기 컵부재(50)의 일단의 직경이 커져 상기 고정돌기(17)가 상기 고정홈(57)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60)은 상기 홀더(10)의 일부와 상기 컵부재(50)의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라켓(60)은 상기 홀더(10)를 감싸는 상기 컵부재(50)의 일단과 상기 컵부재(50)의 일단이 배치되는 상기 홀더(10)의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브라켓(60)의 플랜지에는 볼트구멍(61)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60)은 사출에 의해 형성되어 결합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배치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배치단계(S1)와, 홀더형성단계(S2)와, 센서부장착단계(S3)와, 저항부연결단계(S4)와, 컵부재결합단계(S5)와, 브라켓결합단계(S6)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터미널배치단계(S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5)과 연결된 다수개의 상기 터미널(20)을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70)에 상호 이격시켜 배치하는 단계이다.
도 8(a)에서는 하부금형만 도시하였고, 도 8(b)에서는 하부금형 및 상부금형을 모두 도시하였다.
인서트 사출을 위한 상기 금형(70)에는 관통돌기(7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20)에는 상기 관통돌기(71)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20)을 상호 이격되게 고정시킨다.
이를 통해 사출압의 작용시 상기 터미널(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터미널(20)이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터미널(20) 사이에 이격코어(72)를 배치한다.
이격한 상기 이격코어(72)는 사출압에 의해 상기 터미널(20)들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홀더형성단계(S2)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70)을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을 함으로써, 상기 터미널(20)을 감싸는 기둥형상의 상기 홀더(1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상기 홀더형성단계(S2)에서는 상기 홀더(10)의 상면에 상기 저항부(40)가 안착되는 저항안착홈(16)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저항부(40)가 상기 홀더(10)에 용이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형성단계(S2)에서의 사출압 작용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격코어(72)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터미널(20)은 상호간의 간섭이 방지된다.
상기 홀더(10)가 성형되면, 상기 이격코어(72)를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장착단계(S3)는 상기 홀더(1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안착부(11)에 상기 센서부(30)를 강제 삽입하여 장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저항부연결단계(S4)는 상기 홀더(10)에 상기 저항부(40)를 장착하고 상기 저항부(40)를 상기 터미널(20)과 상기 센서부(30)의 센서단자부(31)에 용접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이다.
상기 저항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0)의 상부에 형성된 저항안착홈(16)에 안착한 후, 상기 터미널(20)과 상기 센서단자부(31)에 각각 연결한다.
상기 컵부재결합단계(S5)는 상기 홀더(10)의 전방에 상기 컵부재(50)를 장착하여 상기 컵부재(50)가 상기 센서부(30)와 저항부(40)를 감싸도록 하는 단계이다.
상기 브라켓결합단계(S6)는 상기 홀더(10)의 일부와 상기 컵부재(50)의 일단을 감싸는 상기 브라켓(60)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성형하여 결합하는 단계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공정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고, 크기가 작아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인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홀더, 11 : 안착부, 12 : 제1안착돌기, 13 : 제2안착돌기, 14 : 제1탄성변형홈, 15 : 걸림턱, 16 : 저항안착홈, 17 : 고정돌기,
20 : 터미널, 21 : 관통공, 22 : 압착부, 25 : 케이블,
30 : 센서부, 31 : 센서단자부,
40 : 저항부,
50 : 컵부재, 54 : 제2탄성변형홈, 57 : 고정홈,
60 : 브라켓, 61 : 볼트구멍,
70 : 금형, 71 : 관통돌기, 72 : 이격코어,
S1 : 터미널배치단계, S2 : 홀더형성단계, S3 : 센서부장착단계, S4 : 저항부연결단계, S5 : 컵부재결합단계, S6 : 브라켓결합단계.

Claims (14)

  1. 기둥형상의 홀더와;
    상기 홀더에 내장되고, 케이블을 통해 전원부와 연결되는 터미널과;
    상기 홀더의 전방에 장착되는 센서부와;
    상기 터미널과 센서부를 상호 연결하는 저항부와;
    상기 홀더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센서부 및 저항부를 감싸는 컵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전방에는 상기 센서부가 삽입 배치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의 전방에는 상기 센서부의 전방이 걸려 상기 센서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홀더의 전방 상면에서 상기 터미널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안착돌기와;
    상기 홀더의 전방 하면에서 상기 제1안착돌기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제2안착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안착돌기와 제2안착돌기 사이에 상기 센서부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안착돌기 또는 제2안착돌기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돌기와 제2안착돌기의 양측 사이에는 제1탄성변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컵부재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컵부재에는 상기 고정홈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삽입시 벌어지는 제2탄성변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부와 상기 컵부재의 일부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에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사출에 의해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7.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터미널을 감싸도록 성형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형성된 관통돌기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8.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일단에는 압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압착부는 상기 케이블을 감싸면서 압착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9. 청구항8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상기 압착부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10.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일단은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홀더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센서부에는 상기 홀더의 상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타단에 연결되는 센서단자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11. 케이블과 연결된 다수개의 터미널을 인서트 사출을 위한 금형에 상호 이격시켜 배치하는 터미널배치단계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상기 터미널을 감싸는 기둥형상의 홀더를 형성하는 홀더형성단계와;
    상기 홀더의 전방에 센서부를 장착하는 센서부장착단계와;
    상기 홀더에 저항부를 장착하고 상기 저항부를 상기 터미널과 센서부에 연결하는 저항부연결단계와;
    상기 홀더의 전방에 컵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컵부재가 상기 센서부와 저항부를 감싸도록 하는 컵부재결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12.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배치단계에서,
    인서트 사출을 위한 상기 금형에는 관통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에는 상기 관통돌기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상호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13.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배치단계에서 다수개의 상기 터미널 사이에 이격코어를 배치하되,
    상기 홀더형성단계에서의 사출압 작용시 상기 이격코어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터미널은 상호간의 간섭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14.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홀더형성단계에서 상기 홀더의 상면에는 상기 저항부가 안착되는 저항안착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의 제조방법.
KR1020140136745A 2014-10-10 2014-10-10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63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745A KR101634542B1 (ko) 2014-10-10 2014-10-10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745A KR101634542B1 (ko) 2014-10-10 2014-10-10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607A true KR20160042607A (ko) 2016-04-20
KR101634542B1 KR101634542B1 (ko) 2016-06-29

Family

ID=5591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745A KR101634542B1 (ko) 2014-10-10 2014-10-10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5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840A (ja) * 2001-03-01 2002-09-11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検出センサ
KR20030038314A (ko) 2001-11-05 2003-05-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센서
KR20130010929A (ko) * 2011-07-20 2013-01-30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459B1 (ko) * 2011-09-02 2013-02-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840A (ja) * 2001-03-01 2002-09-11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検出センサ
KR20030038314A (ko) 2001-11-05 2003-05-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센서
KR20130010929A (ko) * 2011-07-20 2013-01-30 주식회사 일진글로벌 센서 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29459B1 (ko) * 2011-09-02 2013-02-04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542B1 (ko) 201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9472B2 (ja) 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035685B2 (ja) 車輪速センサおよび車輪速センサの製造方法
JP5490308B2 (ja) 減じられた構成部分点数を有する燃料噴射弁
US20090078043A1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179524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9539964B2 (en) Earthing element
JP6951669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US8529278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nd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method
EP3436789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ultraschallsensors und ultraschallsensor
TW201330419A (zh) 汽車用具插頭殼體的控制裝置
JP6108292B2 (ja) 車輪速センサ
JP2019522190A (ja) センサ装置
CA2688505C (en) Electric power plu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229459B1 (ko) 차량용 센서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085228A (ja) コネクタ
US9306314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installed convenient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1634542B1 (ko) 회전체 측정용 센서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6895822B2 (ja) 流体状の媒体の圧力を検出する装置
US20140102225A1 (en) Sensor device
EP2916632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printed circuit board
KR20120058815A (ko) 후크 터미널
JP2015065039A (ja) コネクタ
US20200288595A1 (en) Assembled body
JP2015512116A (ja) 制御機器ケーシングの製造のための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制御機器ケーシング
JP201715219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