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046A - 청정 작업 장치 - Google Patents

청정 작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046A
KR20160042046A KR1020167006115A KR20167006115A KR20160042046A KR 20160042046 A KR20160042046 A KR 20160042046A KR 1020167006115 A KR1020167006115 A KR 1020167006115A KR 20167006115 A KR20167006115 A KR 20167006115A KR 20160042046 A KR20160042046 A KR 20160042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area
area
conveyor
clean
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로 하타
마코토 스기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티슈 엔지니어링
Publication of KR20160042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04Dust-free rooms or en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3/00Cleaning or rinsing apparatus
    • B01L13/02Cleaning or rinsing apparatus for receptacle 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06Test-tube stands; Test-tube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4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ipettes and burettes
    • B01L9/543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ipettes and burettes for disposable pipette tips, e.g. racks or cass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9/00Means for cleaning the apparatus or avoiding unwanted deposits of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4Process control and prevention of errors
    • B01L2200/141Preventing contamination, tamp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청정 작업 장치 (10) 는, 작업 에어리어 (30) 와,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와, 정화 장치 (40) 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에어리어 (30) 는, 세포 (C) 의 반송 경로 (P) 에 형성되고, 반송 경로 (P) 의 상류측에 입구 (30a), 하류측에 출구 (30b) 를 갖고, 다운플로의 에어 커튼 (50) 이 적어도 입구 (30a) 와 출구 (30b) 에 형성되어 있다.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배양 용기 (V) 를 재치하는 재치면 (25S) 을 입구 (30a) 측으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 넣고, 그 후 출구 (30b) 측으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30) 외로 이동시킨 후 다시 입구 (30a) 측으로 되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정화 장치 (40) 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가 재치면 (25S) 을 작업 에어리어 (30) 외로 이동시킨 후 다시 작업 에어리어 (30) 의 입구 (30a) 측으로 되돌릴 때까지의 동안에 재치면 (25S) 을 정화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청정 작업 장치{CLEANING WORK DEVICE}
본 발명은, 청정 작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환자의 세포를 배양하고 결손부 등에 이식함으로써 치료를 행하는 재생 의료가 알려져 있다. 세포 배양 작업은, 통상, 안전 캐비넷, 클린 벤치, 아이솔레이터 등의 청정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청정 작업 장치를 사용하여 청정 환경하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청정 작업 장치 등의 청정 환경을 제공하는 설비에 대해 다양한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에서는, 2 개의 공기류가 충돌하도록 1 세트의 푸쉬 후드를 서로의 공기류 개구면을 대향시켜 설치한 국소 공기 청정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렇게 한 것에서는, 울타리가 없더라도 높은 청정도를 갖는 청정 공기 공간을 부여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서는, 해부대 등의 재치 (載置) 수단의 상방 공간을 정화 영역인 존으로 하고, 존의 바로 윗 부분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존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에어를 분사하고, 분사된 에어를 흡입구로부터 흡입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렇게 한 것에서는, 존 내의 청정도를 높임과 함께, 검체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이 존 내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시술자가 에어로졸에 의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7526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201488호
그런데, 재생 의료에 이용하는 세포를 배양하는 경우, 동일 작업 에어리어에서 타인끼리의 세포를 동시에 취급하면, 일방의 세포에서 기인하는 균 등에 의해 타방의 세포가 오염되는 교차 감염 등의 리스크가 있다. 이러한 교차 감염을 회피하는 방법으로서, 타인끼리의 세포를 동일 작업 에어리어에서 동시에 취급하지 않는 것이나, 취급하는 세포를 바꿀 때에 타인끼리의 세포의 영향이 남지 않도록 작업 에어리어를 소독, 제균, 살균, 멸균하는 것 등에 의해 정화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교차 감염의 리스크를 보다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세포를 작업 에어리어 내에 반입할 때에 통과하는 작업 에어리어 주변의 에어리어도, 취급하는 세포를 바꿀 때에 정화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것에서는, 2 개의 공기류가 충돌되어 청정 공기 공간 (작업 에어리어) 의 외측을 향해 방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세포 배양에 사용하면 작업 에어리어의 내측에서 발생한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그 주변 에어리어에 방출되어, 취급하는 세포에 따라서는 주변으로 오염을 확산시킬 리스크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취급하는 세포를 바꿀 때마다 작업 에어리어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에어리어를 정화할 필요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의 것에서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그 주변 에어리어에 방출될 가능성이 낮아 주변 에어리어의 정화를 생략할 수는 있지만, 취급하는 세포를 바꿀 때마다 작업 에어리어의 정화를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그러한 수고를 억제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세포 등의 대상물을 바꿀 때에, 소독, 제균, 살균, 멸균 등과 같은 정화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는 청정 작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는, 상기 서술한 주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는,
상이한 대상물에 대해 소정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청정 작업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의 반송 경로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 경로에 입구 및 출구를 가지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어 상기 분출구에 대향하는 흡입구에 흡입되는 다운플로의 에어 커튼이 적어도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형성된 작업 에어리어와,
상기 대상물을 재치하는 재치면을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작업 에어리어 내에 넣고, 그 후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작업 에어리어 외로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측으로 되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재치면을 상기 작업 에어리어 외로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측으로 되돌릴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재치면을 정화하는 정화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 청정 작업 장치에서는, 소정 작업 후의 재치면은 작업 에어리어의 출구측으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외로 이동한 후 다시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측으로 되돌아갈 때까지의 동안에 정화 수단에 의해 정화되어 다시 청정한 재치면으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재치면이 자동적으로 정화되기 때문에, 대상물을 바꿀 때마다 재치면을 개별적으로 정화할 필요가 없다. 또, 다운플로의 에어 커튼에 의해 구획된 작업 에어리어에서 배지 교환 등의 소정 작업이 실시되기 때문에, 소정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외의 반송 경로에 누출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전체적으로 정화의 수고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화란, 소독, 제균, 살균, 멸균 등을 나타내고, 세균 등을 사멸 혹은 제거하여 해가 없을 정도로까지 줄이거나, 감염력을 잃게 하는 등 하여 독성을 무력화시키거나 하는 것을 말하고, 그 정도는 목적으로 하는 레벨에 맞추어 설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는, 상기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상기 입구, 하류측에 상기 출구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가 동일한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는, 상기 작업 에어리어를 내포하는 청정 에어리어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소정 작업은 작업 에어리어 내에서 실시하고, 그 이외에 청정한 환경에서 실시할 필요가 있는 작업이나 기구의 보관 등은 작업 에어리어 외의 청정 에어리어에서 실시한다는 구분 사용이 가능하다. 이 때, 소정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외의 청정 에어리어에 누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청정 에어리어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는, 상기 에어 커튼에 의해 전체 둘레가 덮여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에어 커튼이 벽의 역할을 하여 작업 에어리어에는 벽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벽면의 정화가 불필요하여, 정화의 수고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작업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상측 수평 레인을 따라 상기 재치면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상측 수평 레인과 대향하는 하측 수평 레인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하측 수평 레인을 따라 상기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상측 수평 레인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수평 방향으로 필요한 스페이스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청정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상류측에는,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에 형성된 상기 에어 커튼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상류측 이동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상류측 이동 수단의 벨트가 작업 에어리어 내를 통과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소정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외의 반송 경로에 누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이동 수단의 하류측에는,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출구에 형성된 상기 에어 커튼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하류측 이동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하류측 이동 수단의 벨트가 작업 에어리어 내를 통과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소정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외의 반송 경로에 누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작업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제 1 수평 레인을 따라 상기 재치면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수평 레인과 동일 평면에 나란히 형성된 제 2 수평 레인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제 2 수평 레인을 따라 상기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수평 레인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높이 방향으로 필요한 스페이스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벨트를 이용한 컨베이어이며, 상기 벨트는, 소정의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에 상기 대향하는 분출구와 흡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에 통기로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벨트가 소정의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 즉 소정 작업을 하고 있을 때에는, 대향하는 분출구와 흡입구 사이의 재치면에 방해받지 않고 통기로를 지나 다운플로의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청정 작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 내에는, 상기 에어 커튼보다 약한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소정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의 비산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청정 작업 장치 (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청정 작업 장치 (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작업 에어리어 (30) 주변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작업 에어리어 (30) 주변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청정 작업 장치 (1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 은,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125) 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청정 작업 장치 (2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팁 (T)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청정 작업 장치 (3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청정 작업 장치 (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 는 청정 작업 장치 (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3, 4 는 작업 에어리어 (30) 주변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청정 작업 장치 (10) 는, 상이한 세포 (C) (본 발명의 대상물에 상당) 의 배양 작업 (본 발명의 소정 작업에 상당) 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배양 설비이다. 이 청정 작업 장치 (10) 는, 세포 (C) 의 반송 경로 (P) 도중에 형성된 작업 에어리어 (30) 와, 반송 경로 (P) 를 형성하는 컨베이어군 (20) 과, 작업 에어리어 (30) 의 하방에 형성된 정화 장치 (40) 를 구비하고 있다. 세포 (C) 는 배양 용기 (V) 에 넣어져 있고, 배양 용기 (V) 와 함께 세포 (C) 가 반송된다.
작업 에어리어 (30) 는, 세포 (C) 의 반송 경로 (P) 에 형성되고, 반송 경로 (P) 의 상류측에 입구 (30a), 하류측에 출구 (30b) 를 갖고 있다. 이 작업 에어리어 (30) 에는, 입구 (30a) 와 출구 (30b) 를 포함하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은, 작업 에어리어 (30) 의 상방에 형성된 분출구 (50a) 로부터 분출되어 분출구 (50a) 에 대향하는 흡입구 (50b) 에 흡입되는 다운플로의 에어에 의해 형성되는 푸쉬·풀식이다. 분출구 (50a) 로부터는, HEPA 필터나 ULPA 필터 등을 통과한 청정한 에어가 분출된다. 또, 작업 에어리어 (30) 는, 배양 용기 (V) 의 배지 교환 등의 배양 작업이 실시되고, 예를 들어 클래스 100 등의 청정도가 요구되는 에어리어이다. 이 작업 에어리어 (30) 의 천정에는, 전체 면에 HEPA 필터나 ULPA 필터 등을 통과한 청정한 에어를 분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분출구로부터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보다 약한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다. 또, 작업 에어리어 (30) 의 천정에는, 배양 용기 (V) 의 덮개의 개폐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로봇 아암 (90) 이나, 배지 등의 액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거나 하는 액체 급배 장치 (9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액체 급배 장치 (92) 의 선단은, 피펫 조작을 실시하기 위한 팁 (T) (여기서는 1 개 구멍) 을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고, 적어도 세포 (C) 를 바꿀 때마다 팁 (T) 을 교환하여 사용된다. 이 작업 에어리어 (30) 는 청정 에어리어 (32) 에 포함되어 있다.
청정 에어리어 (32) 는, 예를 들어 작업 에어리어 (30) 와 동일한 정도의 청정도가 요구되는 에어리어로, 주위가 벽 (33) 에 둘러싸여 있고, 그 벽 (33) 에는 상류측에 입구 (32a), 하류측에 출구 (32b) 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 (32a) 및 출구 (32b) 에는, 청정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2, 54) 이 형성되어 있다. 청정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2, 54) 은, 상기 서술한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과 마찬가지로, 분출구 (52a, 54a) 로부터 분출되어, 분출구 (52a, 54a) 에 대향하는 흡입구 (52b, 54b) 에 흡입되는 다운플로의 에어에 의해 형성된다. 또, 분출구 (52a, 54a) 로부터는, HEPA 필터나 ULPA 필터 등을 통과한 청정한 에어가 분출된다. 이 청정 에어리어 (32) 의 천정에는, 작업 에어리어 (30) 와 마찬가지로, 전체 면에 HEPA 필터나 ULPA 필터 등을 통과한 청정한 에어를 분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분출구로부터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보다 약한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다. 이 청정 에어리어 (32) 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각각 완충 에어리어 (34, 36) 가 형성되어 있다.
완충 에어리어 (34, 36) 는, 작업 에어리어 (30) 나 청정 에어리어 (32) 보다 청정도가 낮으며 또한 외부보다 청정도가 높은 환경으로, 예를 들어 클래스 10000 등의 청정도가 요구되는 에어리어이다. 완충 에어리어 (34) 는 주위가 벽 (35) 에 둘러싸여 있고, 그 벽 (35) 에는, 상류측에 도시되지 않은 문을 구비하는 입구 (34a), 하류측에 청정 에어리어 (32) 의 입구 (32a) 를 겸하는 출구 (34b)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완충 에어리어 (36) 는 주위가 벽 (37) 에 둘러싸여 있고, 그 벽 (37) 에는, 상류측에 청정 에어리어 (32) 의 출구 (32b) 를 겸하는 입구 (36a), 하류측에 도시되지 않은 문을 구비하는 출구 (36b) 가 형성되어 있다.
컨베이어군 (20) 은,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본 발명의 이동 수단에 상당) 를 중심으로 하여 상류측과 하류측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상류측에,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상류측 컨베이어 (23) 가 형성되고, 상류측 컨베이어 (23) 의 더욱 상류측에, 청정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2) 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반입 컨베이어 (2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하류측에,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하류측 컨베이어 (27) 가 형성되고, 하류측 컨베이어 (27) 의 더욱 하류측에, 청정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4) 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반출 컨베이어 (29)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 컨베이어 (23) 와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사이 및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와 하류측 컨베이어 (27) 사이에는, 재치면 (25S) 보다 낮은 위치에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의 흡입구 (50b) 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반입 컨베이어 (21) 와 상류측 컨베이어 (23) 사이나, 하류측 컨베이어 (27) 와 반출 컨베이어 (29) 사이에는, 재치면 (25S) 보다 낮은 위치에 에어 커튼 (52, 54) 의 흡입구 (52b, 54b) 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세포 (C) (여기서는 배양 용기 (V) 에 넣어져 있다) 를 재치하는 재치면 (25S) 을 작업 에어리어 (30) 의 입구 (30a) 측으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 넣고 정지시키고, 그 후 재치면 (25S) 을 작업 에어리어 (30) 의 출구 (30b) 측으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30) 외로 이동시킨 후 다시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 (30a) 측으로 되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도 3,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의 수평 롤러 (60) 와 하류측의 수평 롤러 (62) 에 벨트 (64) 를 엔드리스하게 치고, 도시되지 않은 모터로 각 롤러 (60, 62) 를 회전시킴으로써 벨트 (64) 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상측 수평 레인 (61) 을 따라 벨트 (64) 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측 수평 레인 (61) 과 대향하는 하측 수평 레인 (63) 으로 반전시키고, 하측 수평 레인 (63) 을 따라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측 수평 레인 (61) 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모터에는 도시되지 않은 컨베이어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어, 재치면 (25S) 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 속도, 시동 위치, 정지 위치 등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에 있어서, 재치면 (25S) 은, 벨트 (64) 에 형성되고, 작업 에어리어 내에 있어서 배양 용기 (V) 가 재치되어 배양 작업 등이 실시되는 작업대가 되는 부분이다. 이 재치면 (25S) 에는, 취출공 (66) 및 폐기공 (68) 이 형성되어 있다. 취출공 (66) 은, 재치면 (25S) 아래에 배치 형성된 후술하는 팁 케이스 (70) 로부터 팁을 꺼내기 위한 구멍이다. 또, 폐기공 (68) 은, 재치면 (25S) 아래에 배치 형성된 후술하는 폐기 케이스 (80) 에 사용 완료된 팁을 폐기하기 위한 구멍이다.
반입 컨베이어 (21), 상류측 컨베이어 (23), 하류측 컨베이어 (27), 반출 컨베이어 (29) 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와 마찬가지로, 상류측의 수평 롤러와 하류측의 수평 롤러에 벨트를 엔드리스하게 치고, 모터로 각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벨트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이다.
팁 케이스 (70) 에는, 복수의 세트공 (74) 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팁이 세트되어 있다. 또, 팁 케이스 (70) 는, 팁 케이스 (70) 를 이동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이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 이동 장치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는, 상기 서술한 컨베이어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컨베이어 제어 장치로부터 취득한 재치면 (25S) 의 위치 정보 등에 따라 팁 케이스 (70) 를 이동시키도록 이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재치면 (25S) 이 소정의 배양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소정의 취출 타이밍이 될 때까지는, 팁 케이스 (70) 가 덮개 (72) 아래에 수납되도록 (도 3) 이동 장치를 제어한다. 한편, 취출 타이밍이 되면 재치면 (25S) 의 취출공 (66) 아래에 원하는 세트공 (74) 에 세트된 팁이 배치되고 (도 4), 소정의 취출 종료 타이밍이 되면 팁 케이스 (70) 가 다시 덮개 (72) 아래에 수납되도록 이동 장치를 제어한다.
폐기 케이스 (80) 에는, 복수의 폐기공 (84)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폐기 케이스 (80) 는, 폐기 케이스 (80) 를 이동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이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이 이동 장치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 장치는, 상기 서술한 컨베이어 제어 장치에 접속되어 있고, 컨베이어 제어 장치로부터 취득한 재치면 (25S) 의 위치 정보 등에 따라 폐기 케이스 (80) 를 이동시키도록 이동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재치면 (25S) 이 소정의 배양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상기 서술한 취출 종료 타이밍이 경과한 후의 소정의 폐기 타이밍이 될 때까지는, 폐기 케이스 (80) 가 덮개 (82) 아래에 수납되도록 이동 장치를 제어한다. 한편, 폐기 타이밍이 되면, 재치면 (25S) 의 폐기공 (68) 아래에 원하는 폐기공 (84) 이 배치되고, 소정의 폐기 종료 타이밍이 되면, 폐기 케이스 (80) 가 다시 덮개 (82) 아래에 수납되도록 이동 장치를 제어한다.
정화 장치 (40) (본 발명의 정화 수단에 상당) 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가 재치면 (25S) 을 작업 에어리어 (30) 외로 이동시킨 후 다시 작업 에어리어 (30) 의 입구 (30a) 측으로 되돌릴 때까지의 동안에 재치면 (25S) 을 정화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정화 장치 (40) 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하측 수평 레인 (63) 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정화 장치 (40) 는, 정화액 처리실 (42) 및 자외선 처리실 (44) 을 구비하고 있다. 정화액 처리실 (42) 에는, 예를 들어 농도 36 % 의 과산화수소수나 6 % 의 과아세트산 용액이 주입되어 있고, 이 정화액 중에 재치면 (25S) 을 통과시킴으로써,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서 배양 작업을 실시한 후의 재치면 (25S) 을 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외선 처리실 (44) 에는, 청정한 건조 공기를 분사하는 도시되지 않은 건조 장치와, 자외선을 조사하는 도시되지 않은 자외선 조사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재치면 (25S) 에 건조 공기를 분사하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재치면 (25S) 의 건조, 정화를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정화액 처리실 (42) 에서 부착된 정화액은, 자외선 처리실 (44) 내에서의 건조 등에 의해 분해된다.
다음으로, 청정 작업 장치 (10) 를 사용하여 세포 (C) 를 배양하는 경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오퍼레이터는, 청정 작업 장치 (10) 의 전원을 온으로 하고, 컨베이어 제어 장치나 팁 케이스 제어 장치, 폐기 케이스 제어 장치 등의 각종 제어 장치에 대해 가동 조건을 설정한다. 이로써, 청정 작업 장치 (10) 내에는, 각 에어 커튼 (50, 52, 54) 등을 형성하는 다운플로의 에어가 흘러 가동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미리 대상물인 세포 (C) 나 배지 등을 투입하여 밀폐시킨 배양 용기 (V) 를 복수 준비하고, 적당한 타이밍에 순차적으로 입구 (34a) 로부터 완충 에어리어 (34) 내의 반입 컨베이어 (21) 에 싣는다. 또한, 반입 컨베이어 (21) 에 대한 재치에 있어서는, 사전에 배양 용기 (V) 의 표면을 정화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입 컨베이어 (21) 에 실린 배양 용기 (V) 는, 반송 경로 (P) 의 하류측으로 진행되고, 상류측 컨베이어 (23) 로 옮겨지고, 다시 반송 경로 (P) 의 하류측으로 진행되고,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재치면 (25S) 으로 옮겨진다. 이 때, 배양 용기 (V) 는, 재치면 (25S) 의 취출공 (66) 근방에 재치된다. 그 후,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벨트 (64) 의 이동에 수반하여 재치면 (25S) 의 전체 면이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 들어간 후, 벨트 (64) 의 이동을 정지한다 (도 3 참조, 배양 작업 위치). 계속해서, 액체 급배 장치 (92) 는, 취출 타이밍부터 취출 종료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팁 케이스 (70) 로부터 사용 전의 팁 (T) 을 취출하고, 이 팁 (T) 을 선단에 장착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취출 종료 타이밍이 경과하면, 로봇 아암 (90) 이 배양 용기 (V) 의 덮개를 열고, 액체 급배 장치 (92) 가 배양 용기 (V) 내의 배지의 교환을 실시한다. 배지의 교환이 끝나면, 로봇 아암 (90) 이 배양 용기 (V) 에 덮개를 덮어 밀폐한다. 그 후 소정의 폐기 타이밍이 되면, 액체 급배 장치 (92) 는, 폐기 종료 타이밍까지의 동안에, 폐기 케이스 (80) 에 사용 완료된 팁을 폐기하고, 에어로졸이나 비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배양 작업을 종료한다.
배양 작업이 종료되면,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벨트 (64) 의 이동을 재개한다. 벨트 (64) 의 이동에 수반하여, 배양 용기 (V) 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재치면 (25S) 으로부터 하류측 컨베이어 (27) 로 옮겨지고, 반송 경로 (P) 의 하류측으로 진행되고, 반출 컨베이어 (29) 에 옮겨지고, 다시 반송 경로 (P) 의 하류측으로 진행되고, 완충 에어리어 (36) 의 출구 (36b) 에 도달하면, 오퍼레이터에 의해 취출된다. 한편, 배양 작업 종료 후의 재치면 (25S) 은, 작업 에어리어 (30) 의 출구 (30b) 측으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30) 외로 이동하여, 정화 장치 (40) 를 통과하여 정화되고, 다시 작업 에어리어 (30) 의 입구 (30a) 측으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다시, 정화된 재치면 (25S) 으로서 사용된다. 이렇게 하여 재치면 (25S) 이 정화되고 있는 동안에, 다음의 배양 용기 (V) 가, 각 컨베이어 (21, 23) 에 의해 작업 에어리어 (30) 의 입구 (30a) 에 도달하고, 또한, 정화된 재치면 (25S) 으로 옮겨져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앞서와 마찬가지로 배양 작업 등이 실시된다. 청정 작업 장치 (10) 에서는,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이한 대상물의 배양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의 청정 작업 장치 (10) 에 의하면, 배양 작업 후의 재치면 (25S) 은 작업 에어리어 (30) 외로 이동한 후 다시 작업 에어리어 (30) 의 입구 (30a) 측으로 되돌아갈 때까지의 동안에 정화 장치 (40) 에 의해 정화되어 다시 청정한 재치면 (25S) 으로서 이용된다. 이와 같이, 재치면 (25S) 이 자동적으로 정화되기 때문에, 대상물을 바꿀 때마다 재치면 (25S) 을 개별적으로 정화할 필요가 없어, 교차 감염의 리스크가 낮다. 또, 다운플로의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에 의해 구획된 작업 에어리어 (30) 에서 배지 교환 등의 배양 작업이 실시되기 때문에,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외의 반송 경로 (P) 로 누출되기 어려워, 오염이 퍼지는 바이오해저드의 리스크가 낮다.
또, 작업 에어리어 (30) 를 내포하는 청정 에어리어 (32)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배양 작업은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서 실시하고, 배양 작업 이외에 청정한 환경에서 실시할 필요가 있는 작업이나 기구의 보관 등은 작업 에어리어 (30) 외의 청정 에어리어 (32) 에서 실시한다는 구분 사용이 가능하다. 이 때,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외의 청정 에어리어로 누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청정 에어리어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청정 에어리어 (32) 가 작업 에어리어 (30) 와 외부 환경 사이에 개재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서 기인하는 오염 물질이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 침입하기 어려워, 작업 에어리어 (30) 를 보다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청정 에어리어 (32) 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완충 에어리어 (34, 36)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정 에어리어 (32) 가 직접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가 없어, 작업 에어리어 (30) 나 청정 에어리어 (32) 를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다.
또한, 작업 에어리어 (30) 는,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에 의해 전체 둘레가 덮여 있다. 이 때문에,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이 벽의 역할을 하고 작업 에어리어 (30) 에는 벽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벽면의 정화가 불필요하여, 정화의 수고를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작업 에어리어 (30) 를 포함하는 상측 수평 레인 (61) 을 따라 재치면 (25S) 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측 수평 레인 (61) 과 대향하는 하측 수평 레인 (63) 으로 반전시키고, 하측 수평 레인 (63) 을 따라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측 수평 레인 (61) 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필요한 스페이스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상류측에는, 상류측 컨베이어 (23) 가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하류측에는, 하류측 컨베이어 (27) 가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류측 컨베이어 (23) 및 하류측 컨베이어 (27) 는, 그 벨트면이 작업 에어리어 (30) 내를 통과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30) 외의 반송 경로 (P) 에 누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 흡입구 (50b) 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재치면 (25S) 의 하방 외주에 형성되고, 분출구 (50a) 는 흡입구 (50b) 와 대향하는 천정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향하는 분출구 (50a) 와 흡입구 (50b) 사이에 벨트 (64) 가 개재되는 경우가 없어, 벨트 (64) 에 통기로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 흡입구 (52b) 는 반입 컨베이어 (21) 와 상류측 컨베이어 (23) 사이에 형성되고, 분출구 (52a) 는 흡입구 (52b) 와 대향하는 천정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향하는 분출구 (52a) 와 흡입구 (52b) 사이에 벨트가 개재되는 경우가 없어, 반입 컨베이어 (21) 나 상류측 컨베이어 (23) 의 벨트에 통기로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 흡입구 (54b) 는 하류측 컨베이어 (27) 와 반출 컨베이어 (29) 사이에 형성되고, 분출구 (54a) 는 흡입구 (54b) 와 대향하는 천정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향하는 분출구 (54a) 와 흡입구 (54b) 사이에 벨트가 개재되는 경우가 없어, 하류측 컨베이어 (27) 나 반출 컨베이어 (29) 의 벨트에 통기로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또,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는,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보다 약한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다. 이 때문에,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의 비산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청정 에어리어 (32) 내에는,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보다 약한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다. 이 때문에, 청정 에어리어 (32) 내에 있어서 부유물 등을 저감시킬 수 있어, 청정 에어리어 (32) 내를 보다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배양 용기 (V) 의 덮개의 개폐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로봇 아암 (90) 이나, 배지 등의 액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하거나 하는 액체 급배 장치 (92) 등이, 작업 에어리어 (30) 의 천정으로부터 매달려 있다. 그리고, 재치면 (25S) 에는 취출공 (66) 및 폐기공 (68) 이 형성되고, 취출공 (66) 으로부터 팁을 취출하고, 폐기공 (68) 에 팁을 폐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액체 급배 장치 (52) 의 팁 교환이나 배지 교환 등의 작업을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서 완결할 수 있어,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30) 외의 반송 경로 (P) 에 누출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전혀 한정되는 경우는 없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한 다양한 양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상류측에는, 상류측 컨베이어 (23) 및 반입 컨베이어 (21) 가 형성되고,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하류측에는, 하류측 컨베이어 (27) 및 반출 컨베이어 (29) 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들 컨베이어 중 일부가 연속된 컨베이어인 것으로 해도 되고, 이들 컨베이어 전부가 1 개의 연속된 컨베이어인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의 청정 작업 장치 (110) 를 도 5 에 나타낸다. 또한, 청정 작업 장치 (110) 에 대해, 청정 작업 장치 (10) 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청정 작업 장치 (110) 는, 컨베이어군 (20) 대신에, 1 개의 연속된 컨베이어 (125) (본 발명의 이동 수단에 상당)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컨베이어 (125) 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와 마찬가지로, 상류측의 수평 롤러와 하류측의 수평 롤러에 벨트 (164) 를 엔드리스하게 치고, 모터로 각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벨트 (164) 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 이 청정 작업 장치 (110) 는, 작업 에어리어 (30) 나 청정 에어리어 (32), 완충 에어리어 (34, 36) 의 하방에 형성된 정화 장치 (140)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정화 장치 (140) 는, 정화액 처리실 (142) 나 자외선 처리실 (144)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정화 장치 (140) 나 정화액 처리실 (142), 자외선 처리실 (144) 은, 청정 에어리어 (32) 나 완충 에어리어 (34, 36) 의 하방에까지 펼쳐져 있는 점 이외에는 청정 작업 장치 (10) 의 정화 장치 (40) 나 정화액 처리실 (42), 자외선 처리실 (44) 과 동일한 구성이다. 이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청정 작업 장치 (110) 에서는, 분출구 (50a) 와 대향하는 흡입구 (50b) 사이에 벨트 (164) 가 개재된다. 이 때문에, 대향하는 분출구 (50a) 와 흡입구 (50b) 사이에 개재되는 벨트 (164) 가 통기성을 갖지 않는 경우, 에어 커튼의 다운플로는 벨트 (164) 에 방해받아 작업 에어리어 (30) 내외를 향해 흘러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벨트 (164) 는, 소정의 배양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에 대향하는 분출구 (50a) 와 흡입구 (50b)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에 통기로를 구비하고 있다. 청정 작업 장치 (110) 에서는, 이러한 통기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재치면 (125S) 이 소정의 배양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 즉 배양 작업 중에는, 대향하는 분출구 (50a) 와 흡입구 (50b) 사이의 재치면 (125S) 에 방해받지 않고 통기로를 지나 다운플로의 에어 커튼이 형성된다. 통기로를 구비하고 있는 벨트 (164) 로는, 메시상의 것이나, 슬릿 등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청정 작업 장치 (110) 에 있어서, 슬릿 등의 관통공이 형성된 벨트 (164) 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배양 작업 중, 재치면 (125S) 이 소정의 배양 작업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컨베이어 제어 장치가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재치면 (25S) 이 폭이 넓은 벨트 (64) 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도 3, 4),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 (64) 대신에 폭이 좁은 2 개의 벨트 (64a, 64b) 를 이간하여 배치하고, 이 벨트 (64a, 64b) 에 건너지르도록 고정된 팔레트 (65) 를 재치면 (25S) 대신으로 해도 된다. 또한, 이렇게 한 것에서는, 이웃하는 팔레트 (65) 사이의 간격이, 상기 서술한 통기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벨트 컨베이어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재치면 (25S) 은, 취출공 (66) 이나 폐기공 (68) 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들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취출공 (66) 과 폐기공 (68) 을 겸하는 취출·폐기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이 재치면 (25S) 은, 예를 들어, 배양 용기 (V) 를 재치하기 위한 재치용 오목부나 재치용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 때, 재치용 오목부나 재치용 볼록부는, 배양 작업 중 등에 배양 용기 (V) 가 이동하거나 회전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구비해도 된다. 고정 기구로는, 미끄럼 방지 가공이 되어 있어도 되고, 배양 용기 (V) 에 형성된 돌기나 패임에 대응하는 패임이나 돌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대신에, 도 7 에 나타내는 컨베이어 (225) (본 발명의 이동 수단에 상당) 를 사용해도 된다. 도 7 은, 변형예의 청정 작업 장치 (2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청정 작업 장치 (210) 에 대해, 청정 작업 장치 (10) 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청정 작업 장치 (210) 는 컨베이어 (225)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컨베이어 (225)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주 레일 (260) 과 외주 레일 (262) 을 구비하고, 내주 레일 (260) 및 외주 레일 (262) 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구동륜 상에 재치면 (225S) 이 되는 팔레트 (265) 를 재치하고, 도시되지 않은 모터로 각 구동륜을 회전시킴으로써, 팔레트 (265) 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225) 는, 제 1 수평 레인 (261) 을 따라 팔레트 (265) 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 1 수평 레인 (261) 과 동일 평면에 나란히 형성된 제 2 수평 레인 (263) 으로 반전시키고, 제 2 수평 레인 (263) 을 따라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 1 수평 레인 (261) 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청정 작업 장치 (210) 는, 청정 에어리어 (32) 의 하류측과 상류측을 잇는 연속된 완충 에어리어 (234) 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완충 에어리어 (234) 의 도중에, 정화액 처리실 (242) 및 자외선 처리실 (244) 을 구비한 정화 장치 (240)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청정 작업 장치 (210) 에서는, 완충 에어리어 (234) 의 소정의 재치 위치 (예를 들어 도 7 의 A 의 위치) 에서 팔레트 (265) 에 재치된 배양 용기 (V) 는, 컨베이어 (225) 의 동작에 의해, 청정 에어리어 (32) 를 통과하여 작업 에어리어 (30) 로 이동한다. 팔레트 (265) 가 작업 에어리어 (30) 내의 소정의 배양 작업 위치 (예를 들어 도 7 의 B 의 위치) 에 들어가면, 컨베이어 (225) 는 동작을 정지하고, 배양 작업이 실시된다. 배양 작업이 종료되면, 컨베이어 (225) 는 다시 동작을 개시하고, 팔레트 (265) 에 재치된 배양 용기 (V) 는, 작업 에어리어 (30) 로부터 청정 에어리어 (32) 로 이동하고, 더욱 완충 에어리어 (234) 로 이동하고, 완충 에어리어 (234) 의 소정의 취출 위치 (예를 들어 도 7 의 C 의 위치) 에서 취출된다. 그리고, 배양 용기 (V) 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팔레트 (265) 는, 그대로 정화 장치 (240) 로 이동하고, 소정의 정화 위치 (예를 들어 도 7 의 D 의 위치) 에서 정화되어 다시 재치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다시, 정화된 재치면 (225S) 으로서 다음의 배양 용기 (V) 가 재치된다. 청정 작업 장치 (210) 에서는, 이러한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상이한 대상물의 배양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에어리어 (234) 의 도중에는, 상기 서술한 청정 에어리어 (32), 작업 에어리어 (34), 정화 장치 (240) 등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부분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 컨베이어 (225) 로는, 상기 서술한 양태 이외의 것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청정 작업 장치 (10) 는, 로봇 아암 (90) 과 액체 급배 장치 (92) 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들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청정 작업 장치 (10) 는, 벽 (33) 에 기밀하게 글로브를 접속 가능한 구멍을 갖고, 그 구멍에 접속된 글로브를 통하여 오퍼레이터가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한 글로브 박스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청정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2, 54) 을 형성하였지만, 이것 대신에 물리적인 셔터 기구 등을 형성해도 된다. 또, 완충 에어리어 (34) 에 대한 배양 용기 (V) 의 재치나, 완충 에어리어 (36) 로부터의 배양 용기 (V) 의 취출을 오퍼레이터가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 대신에, 로봇 아암 등에 의해 배양 용기 (V) 의 재치나 취출을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청정 작업 장치 (10) 와 청정 작업 장치 (10) 에 접속된 인큐베이터 등 사이에서의 입출고를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로봇 아암 (90) 이나 액체 급배 장치 (92) 는 작업 에어리어 (30)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작업 에어리어 (30) 외의 청정 에어리어 (32)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팁 케이스 (70) 는, 재치면 (25S) 아래에 배치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작업 에어리어 (32) 의 상방의 공간이나, 청정 에어리어 (32) 에 배치 형성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작업 에어리어 (30) 나 청정 에어리어 (32) 에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는 경우, 상방의 공간은 에어로졸이나 비말이 거의 없어, 보다 청정하기 때문에, 로봇 아암 (90) 이나 액체 급배 장치 (92), 팁 케이스 (70) 등은 가능한 한 상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팁 (T) 은, 1 개 구멍의 것으로 하였지만, 도 8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2 개 구멍의 것으로 해도 되고, 다수 구멍의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한 것에서는, 배양 용기 (V) 에 대한 액체의 공급과 배출을 1 개의 팁으로 실시하거나, 복수 종의 액체의 공급을 1 개의 팁으로 실시하거나 할 수 있기 때문에, 팁 교환의 횟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등, 배양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에어리어 (30) 는,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에 의해 외주가 덮여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은, 적어도 입구 (30a) 와 출구 (30b) 에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작업 에어리어 (30) 는,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에 의해 반송 경로 (P) 의 상류측과 하류측으로부터 구획되고, 양단은 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해도, 다운플로의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에 의해 구획된 작업 에어리어 (30) 에서 배지 교환 등의 배양 작업이 실시되기 때문에,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외의 반송 경로 (P) 에 누출되기 어렵다. 이 경우,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의 폭 (반송 경로 (P) 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 은,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벽에 도달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을 전후 방향 (컨베이어군 (20) 을 수직으로 횡단하는 방향) 의 에어플로로 구성해도 된다. 또, 작업 에어리어 (30) 에는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보다 약한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과 동일한 강도여도 되고,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청정 에어리어 (32) 를 구비하고, 작업 에어리어 (30) 는 청정 에어리어 (32) 내에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청정 에어리어 (32) 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해도,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 에 의해, 작업 에어리어 (30) 는 작업 에어리어 외의 영역과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하는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이 작업 에어리어 (30) 내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30) 외로 누출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대상물을 바꿀 때마다 작업 에어리어 (30) 외를 정화하지 않아도, 작업 에어리어 (30) 외에 배양 작업 중에 발생한 에어로졸이나 비말 등의 영향이 남기 어렵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입구 (50b, 52b, 54b) 는, 재치면 (25S)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재치면 (25S) 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정화 장치 (40) 는, 정화액 처리실 (42) 및 자외선 처리실 (44) 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목적으로 하는 레벨의 정화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면, 이렇게 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의 하방에만 정화 장치 (140) 가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반입 컨베이어 (21) 의 하방이나, 상류측 컨베이어 (23) 의 하방, 하류측 컨베이어 (27) 의 하방, 반출 컨베이어 (29) 의 하방 등에 개별적으로 또는 공통적으로 정화 장치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 는 재치면 (25S) 을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항상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어도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1 개의 재치면 (25S) 에는 복수의 배양 용기 (V) 가 재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렇게 해도, 예를 들어, 대상물이 동일 검체로부터 채취한 것인 경우 등에는 교차 감염의 우려가 없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대상물을 세포로 하였지만, 대상물은, 예를 들어, 바이러스나 균이어도 된다. 또, 청정 작업 장치 (10) 는 배양 설비로, 소정 작업으로서 배양 작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소정 작업은, 세포 등의 배양에 관련된 작업에 한정되지 않고, 청정도 유지와 오염 확대 방지의 양립이 요구되는 작업이면 된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에어리어는,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입구, 하류측에 출구를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반송 경로의 도중에 출구겸 입구가 되는 출입구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 즉, 작업 에어리어에서는, 입구와 출구가 동일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측은 보다 청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관점에서는, 입구와 출구를 별개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출구겸 입구가 되는 출입구를 갖는 변형예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출구겸 입구가 되는 출입구를 갖는 변형예로는, 예를 들어, 청정 작업 장치 (210) (도 7 참조) 에 있어서, 입구 (30a) 를 제 1 출입구 (30a) 로 하고, 출구 (30b) 를 제 2 출입구 (30b) 로 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하에서는, 제 1 출입구 (30a) 를 통과하는 배양 용기 (V) 를 배양 용기 (V1), 제 2 출입구를 통과하는 배양 용기 (V) 를 배양 용기 (V2) 로 하고, 청정 작업 장치 (210) 를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하는 경우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청정 작업 장치 (210) 에서는, 예를 들어, 소정의 재치 위치 (A) 에서 팔레트 (265) 에 재치된 배양 용기 (V1) 는, 컨베이어 (225) 의 동작에 의해, 청정 에어리어 (32) 를 지나 제 1 출입구 (30a) 를 통과하여 작업 에어리어 (30) 로 이동한다. 팔레트 (265) 가 작업 에어리어 (30) 내의 소정의 배양 위치 (B) 에 들어가면, 컨베이어 (225) 는 동작을 정지하고, 배양 작업이 실시된다. 배양 작업이 종료되면, 컨베이어 (225) 는 앞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동작을 개시하여, 팔레트 (265) 에 재치된 배양 용기 (V1) 는 작업 에어리어 (30) 로부터 제 1 출입구 (30a) 를 통과하고, 청정 에어리어 (32) 로부터 더욱 완충 에어리어 (234) 로 이동하고, 앞서의 재치 위치와 공통된 취출 위치 (A) 에서 취출된다. 그리고, 배양 용기 (V1) 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팔레트 (265) 는, 그대로 정화 장치 (240) 로 이동하고, 소정의 정화 위치 (D) 에서 정화된다. 정화가 종료되면, 컨베이어 (225) 는 앞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동작을 개시하여, 다시 재치 위치 (A) 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다시, 정화된 재치면 (225S) 으로서 다음의 배양 용기 (V1) 가 재치된다. 한편, 배양 용기 (V1) 가 취출 위치 (A) 에서 취출될 때, 배양 용기 (V2) 가 소정의 재치 위치 (C) 의 팔레트 (265) 에 재치된다. 재치된 배양 용기 (V2) 는, 컨베이어 (225) 의 동작에 의해, 청정 에어리어 (32) 를 지나 제 2 출입구 (30b) 를 통과하여 작업 에어리어 (30) 로 이동한다. 팔레트 (265) 가 작업 에어리어 (30) 내의 소정의 배양 위치 (B) 에 들어가면, 컨베이어 (225) 는 동작을 정지하고, 배양 작업이 실시된다. 배양 작업이 종료되면, 컨베이어 (225) 는 앞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동작을 개시하여, 팔레트 (265) 에 재치된 배양 용기 (V2) 는 작업 에어리어 (30) 로부터 제 2 출입구 (30b) 를 통과하고, 청정 에어리어 (32) 로부터 더욱 완충 에어리어 (234) 로 이동하고, 앞서의 재치 위치와 공통된 취출 위치 (C) 에서 취출된다. 그리고, 배양 용기 (V2) 가 재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팔레트 (265) 는, 그대로 정화 장치 (240) 로 이동하고, 소정의 정화 위치에서 정화된다. 정화가 종료되면, 컨베이어 (225) 는 앞서와는 반대 방향으로 동작을 개시하여, 다시 재치 위치 (C) 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다시, 정화된 재치면 (225S) 으로서 다음의 배양 용기 (V2) 가 재치된다. 이 때, 배양 용기 (V1, V2) 에서의 작업은, 이하와 같이 병행하여 실시되게 된다.
배양 용기 (V1) : 재치 (A) → 배양 (B) → 취출 (A) → 정화 (D) → 재치 (A) → ···
배양 용기 (V2) : 취출 (C) → 정화 (D) → 재치 (C) → 배양 (B) → 취출 (C) → ···
또한, 컨베이어 (225) 에서는, 제 1 수평 레인 (261) 을 따라 팔레트 (265) 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 2 수평 레인 (263) 으로 반전시키고, 제 2 수평 레인 (263) 을 따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 1 수평 레인 (261) 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이 청정 작업 장치 (210) 에서는, 제 1 출입구 (30a) 또는 제 2 출입구 (30b) 의 일방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출구겸 입구가 되는 출입구를 갖는 변형예로는,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9 는, 변형예의 청정 작업 장치 (310) 의 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청정 작업 장치 (310) 에 대해, 청정 작업 장치 (210) 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청정 작업 장치 (310) 에서는, 작업 에어리어 (330) 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구겸 입구가 되는 1 개의 출입구 (330c) 를 갖고, 이 출입구 (330c) 에 에어 커튼 (350)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청정 작업 장치 (310) 에서는, 컨베이어 (325) 는, 재치면 (225S) 을 갖는 팔레트 (265) 를 청정 에어리어 (332) 와 작업 에어리어 (330)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컨베이어 (325) 에서는, 제 1 수평 레인 (261) 을 따라 팔레트 (265) 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 2 수평 레인 (263) 으로 반전시키고, 제 2 수평 레인 (263) 을 따라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 1 수평 레인 (261) 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제 1 수평 레인 (261) 을 따라 팔레트 (265) 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중에, 도면 중의 화살표 X 와 같이 청정 에어리어 (332) 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330) 내로 출입구 (330c) 를 지나 팔레트 (265) 를 반입하고, 그 후, 도면 중의 화살표 Y 를 따라 작업 에어리어 (330) 로부터 청정 에어리어 (332) 내로 출입구 (330c) 를 지나 팔레트 (265) 를 반출한다는 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청정 작업 장치 (310) 에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 X 를 왕복하도록 팔레트 (265) 의 반입 및 반출을 실시해도 되고, 도면 중의 화살표 Y 를 왕복하도록 팔레트 (265) 의 반입 및 반출을 실시해도 된다. 이 경우, 컨베이어 (325) 에서는, 제 1 수평 레인 (261) 을 따라 팔레트 (265) 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 2 수평 레인 (263) 으로 반전시키고, 제 2 수평 레인 (263) 을 따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 1 수평 레인 (261) 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제 1 수평 레인 (261) 을 따라 팔레트 (265) 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화살표 X 와 같이 팔레트 (265) 를 청정 에어리어 (332) 로부터 작업 에어리어 (330) 내로 반입하고, 그 후, 화살표 X 의 반대 방향으로 팔레트 (265) 를 작업 에어리어 (330) 로부터 청정 에어리어 (332) 내로 반출한다는 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출구겸 입구가 되는 출입구를 갖는 변형예로는, 상기 서술한 것 외에, 예를 들어, 청정 작업 장치 (10) 나 청정 작업 장치 (110) 등에 적용한 것으로 해도 된다.
본 출원은, 2013년 10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3-222187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고 있고, 인용에 의해 그 내용 전부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재생 의료나 제약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 : 청정 작업 장치
20 : 컨베이어군
21 : 반입 컨베이어
23 : 상류측 컨베이어
25 : 작업 에어리어 내 컨베이어
25S : 재치면
27 : 하류측 컨베이어
29 : 반출 컨베이어
30 : 작업 에어리어
30a : 입구 (제 1 출입구)
30b : 출구 (제 2 출입구)
32 : 청정 에어리어
32a : 입구
32b : 출구
33 : 벽
34 : 완충 에어리어
34a : 입구
34b : 출구
35 : 벽
36 : 완충 에어리어
36a : 입구
36b : 출구
37 : 벽
40 : 정화 장치
42 : 정화액 처리실
44 : 자외선 처리실
50 : 작업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0a : 분출구
50b : 흡입구
52, 54 : 청정 에어리어용 에어 커튼
52a, 54a : 분출구
52b, 54b : 흡입구
60, 62 : 롤러
61 : 상측 수평 레인
63 : 하측 수평 레인
64, 64a, 64b : 벨트
65 : 팔레트
66 : 취출공
68 : 폐기공
70 : 팁 케이스
72 : 덮개
74 : 세트공
80 : 폐기 케이스
82 : 덮개
84 : 폐기공
90 : 로봇 아암
92 : 액체 급배 장치
110 : 청정 작업 장치
125 : 컨베이어
125S : 재치면
140 : 정화 장치
142 : 정화액 처리실
144 : 자외선 처리실
210 : 청정 작업 장치
225 : 컨베이어
225S : 재치면
234 : 완충 에어리어
240 : 정화 장치
242 : 정화액 처리실
244 : 자외선 처리실
260 : 내주 레일
261 : 제 1 수평 레인
262 : 외주 레일
263 : 제 2 수평 레인
265 : 팔레트
310 : 청정 작업 장치
325 : 컨베이어
330 : 작업 에어리어
330c : 출입구
332 : 청정 에어리어
350 : 에어 커튼
V : 배양 용기
T : 팁
C : 세포
P : 반송 경로

Claims (11)

  1. 상이한 대상물에 대해 소정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데에 사용되는 청정 작업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의 반송 경로에 형성되고, 상기 반송 경로에 입구 및 출구를 가지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어 상기 분출구에 대향하는 흡입구에 흡입되는 다운플로의 에어 커튼이 적어도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형성된 작업 에어리어와,
    상기 대상물을 재치하는 재치면을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측으로부터 상기 작업 에어리어 내에 넣고, 그 후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출구측으로부터 상기 작업 에어리어 외로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측으로 되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재치면을 상기 작업 에어리어 외로 이동시킨 후 다시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측으로 되돌릴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재치면을 정화하는 정화 수단을 구비한 청정 작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는, 상기 반송 경로의 상류측에 상기 입구, 하류측에 상기 출구를 갖는 청정 작업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는,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가 동일한 청정 작업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를 내포하는 청정 에어리어를 구비하고 있는 청정 작업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는, 상기 에어 커튼에 의해 전체 둘레가 덮여 있는 청정 작업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작업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상측 수평 레인을 따라 상기 재치면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상측 수평 레인과 대향하는 하측 수평 레인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하측 수평 레인을 따라 상기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상측 수평 레인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인 청정 작업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상류측에는,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입구에 형성된 상기 에어 커튼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상류측 이동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청정 작업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하류측에는, 상기 작업 에어리어의 출구에 형성된 상기 에어 커튼을 개재하여 인접하여 하류측 이동 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청정 작업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작업 에어리어를 포함하는 제 1 수평 레인을 따라 상기 재치면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수평 레인과 동일 평면에 나란히 형성된 제 2 수평 레인으로 반전시키고, 상기 제 2 수평 레인을 따라 상기 소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 1 수평 레인으로 반전시킨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인 청정 작업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벨트를 이용한 컨베이어이며, 상기 벨트는, 소정의 작업 위치에 위치 결정되었을 때에 상기 대향하는 분출구와 흡입구 사이에 개재되는 부분에 통기로를 구비하고 있는 청정 작업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에어리어 내에는, 상기 에어 커튼보다 약한 다운플로의 에어가 흐르고 있는 청정 작업 장치.
KR1020167006115A 2013-10-25 2014-10-23 청정 작업 장치 KR201600420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2187 2013-10-25
JP2013222187 2013-10-25
PCT/JP2014/078213 WO2015060383A1 (ja) 2013-10-25 2014-10-23 清浄作業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046A true KR20160042046A (ko) 2016-04-18

Family

ID=5299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115A KR20160042046A (ko) 2013-10-25 2014-10-23 청정 작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72861B2 (ko)
EP (1) EP3062030B1 (ko)
JP (1) JP6463272B2 (ko)
KR (1) KR20160042046A (ko)
CN (1) CN105531548B (ko)
WO (1) WO20150603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84371B (zh) * 2017-06-13 2022-04-22 中国农业科学院郑州果树研究所 一种适合于污染区使用的pe手套支架
CN112484219B (zh) * 2020-11-25 2022-05-03 木林森股份有限公司 一种保证杀菌效果的空气净化器
TWI799326B (zh) * 2022-03-17 2023-04-11 盟立自動化股份有限公司 廠房跨區系統及其過渡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5932A (en) * 1938-04-26 1939-04-25 Howard C Davis Process of deposition
US3106927A (en) * 1962-01-15 1963-10-15 Madwed Albert Vapor chamber-tank unit
US3352627A (en) * 1962-03-30 1967-11-14 Atlas Coverall & Uniform Suppl Lint free laundry system
DE3064754D1 (en) * 1979-07-09 1983-10-13 Electrovert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apour phase soldering
FR2621849B1 (fr) 1987-09-24 1994-11-25 Calhene Sne Installation pour travaux hors poussiere
JPH0185317U (ko) * 1987-11-27 1989-06-06
JP3309416B2 (ja) * 1992-02-13 2002-07-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連結式クリーン空間装置
KR0137826Y1 (ko) 1995-12-18 1999-04-01 김태구 컨베이어 벨트 물청소장치
JP3495223B2 (ja) 1997-04-24 2004-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ーコード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ている分析装置
JP2000085963A (ja) 1998-09-16 2000-03-28 Shin Meiwa Ind Co Ltd クリーン作業装置
GB9919477D0 (en) * 1999-08-17 1999-10-20 Newman Paul B D Substrate conveyors
KR100767967B1 (ko) * 1999-12-31 2007-10-1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자외선 세정장치 및 방법
JP3788296B2 (ja) * 2001-09-10 2006-06-21 株式会社ダイフク 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JP2003083579A (ja) * 2001-09-11 2003-03-19 Seiko Epson Corp クリーンスペースユニットとクリーンエア吹き出しユニット
JP2005201488A (ja) 2004-01-14 2005-07-28 Soda Kogyo:Kk ゾーン浄化システム
JP4656296B2 (ja) * 2004-12-02 2011-03-23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局所清浄化装置及びクリーンルーム
JP2006292201A (ja) * 2005-04-06 2006-10-26 Japan Air Curtain Corp クリーンルーム内の清浄空気流出遮断装置
JP5127292B2 (ja) 2007-05-01 2013-01-23 興研株式会社 局所空気清浄化装置
US8322518B2 (en) 2010-04-15 2012-12-04 Laitram, L.L.C. Carousel conveyor and method
JP2012089645A (ja) * 2010-10-19 2012-05-10 Muratec Automation Co Ltd 物品搬送車
US20120190180A1 (en) * 2011-01-24 2012-07-26 Lobue Joseph D Thin film crystalliz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a polycrystalline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2030B1 (en) 2019-06-12
JP6463272B2 (ja) 2019-01-30
US10072861B2 (en) 2018-09-11
US20160298867A1 (en) 2016-10-13
CN105531548A (zh) 2016-04-27
JPWO2015060383A1 (ja) 2017-03-09
EP3062030A4 (en) 2017-06-14
EP3062030A1 (en) 2016-08-31
CN105531548B (zh) 2019-02-19
WO2015060383A1 (ja) 2015-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2185B2 (en) Active sterilization zone for container filling
EP2246265B1 (en) Vessel filling system
JP6434248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KR20160042046A (ko) 청정 작업 장치
JP5617440B2 (ja) 無菌作業装置
WO2017203755A1 (ja) 安全キャビネットおよびアイソレータ
WO2015111544A1 (ja) インキュベー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細胞培養システム、加湿水の供給方法
US20090249744A1 (en) Packing machine
JP2011050386A (ja) バイオハザード対策用安全キャビネット
CN112623809A (zh) 口罩输送装置
JPH07137719A (ja) 軽量容器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