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517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517A
KR20160040517A KR1020167000906A KR20167000906A KR20160040517A KR 20160040517 A KR20160040517 A KR 20160040517A KR 1020167000906 A KR1020167000906 A KR 1020167000906A KR 20167000906 A KR20167000906 A KR 20167000906A KR 20160040517 A KR20160040517 A KR 20160040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air
mother
head port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5230B1 (ko
Inventor
유카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8Bristle profile, the end of the bristle defining a surface other than a single plane or deviating from a simple geometric form, e.g. cylinder, sphere or c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부(12)의 식모면 (12a)의 중앙 영역에 임의의 모길이로 맞추어져서 심어진 제 1 모속군(16)과, 제 1 모속군(16)보다 모길이가 높게 맞추어지고, 제 1 모속군(16)을 사이에 두고 헤드부(12)의 선단(13)측과 후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이간된 한 쌍의 제 2 모속군(18)과, 제 2 모속군(18)보다 모길이가 높게 맞추어지고, 한 쌍의 제 2 모속군(18)을 사이에 두고 헤드부(12)의 선단(13)측과 후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이간된 한 쌍의 제 3 모속군(20)을 갖고, 한 쌍의 제 2 모속군(18) 및 한 쌍의 제 3 모속군(20)은 식모면 (12a)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제 1 모속군(16)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칫솔(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8월 2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허출원 2013-161454호에 의거해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칫솔에 있어서는 치구(齒坵)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칫솔에서는 헤드부의 식모면에 심어진 모속의 모선단을 모두 치아에 핏팅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브러싱 시에 일부의 모속이 국소적으로 크게 휘거나, 일부의 모속이 치아에 접촉하지 않거나 함으로써 특히 브러싱 테크닉이 부족한 사용자에서는 치간이나 치면의 모퉁이 등에 치구가 남기 쉬워서, 충치나 치주병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래서, 헤드부에 심은 칫솔모의 모선단을 전체적으로 치아에 핏팅시키는 칫솔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식모부의 상면이 식모부의 외주로부터 중심을 향해서 낮아지도록 절구 형상으로 우묵하게 한 칫솔(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 5-39329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칫솔을 사용했을 경우, 치면에 모선단이 핏팅되기 쉽기 때문에 치면에 있어서의 치구 제거 효과는 높지만,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으로부터 치구를 제거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은 모선단이 전체적으로 치아에 핏팅되기 쉬워서 사용감이 우수하고, 우수한 치구 제거 효과를 갖고, 치면이나 치간 또는 치경부 등의 틈으로부터 효율 좋게 치구를 제거할 수 있는 칫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칫솔은 이하의 형태를 갖는다.
[1] 헤드부와, 핸들부와, 복수의 칫솔모를 갖는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상기 복수의 칫솔모를 묶은 모속이 복수 심어져 있고,
상기 식모면의 중앙 영역에 임의의 모길이로 맞추어져서 심어진 제 1 모속군과,
상기 제 1 모속군보다 모길이가 높게 맞추어지고, 상기 제 1 모속군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이간된 한 쌍의 제 2 모속군과,
상기 제 2 모속군보다 모길이가 높게 맞추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 2 모속군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이간된 한 쌍의 제 3 모속군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2 모속군 및 상기 한 쌍의 제 3 모속군은 상기 식모면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상기 제 1 모속군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칫솔.
[2]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 및 상기 제 3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은 상기 제 1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보다 작은 칫솔.
[3]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속군은 평면에서 볼 때에 마름모꼴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름모꼴의 2개의 대각선이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과 각각 평행하게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칫솔.
[4]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속군은 평면에서 볼 때에 육각형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육각형의 1개의 대각선이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칫솔.
[5]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속군은 상기 제 1 모속군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V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칫솔.
[6] [1]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속군은 상기 제 1 모속군 및 상기 제 2 모속군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V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칫솔.
[7] 헤드부의 식모면에 복수의 칫솔모를 묶은 모속이 복수 심어진 칫솔에 있어서, 상기 식모면의 중앙 영역에 임의의 모길이로 맞추어져서 심어진 제 1 모속군과, 상기 제 1 모속군보다 모길이가 높게 맞추어지고, 상기 제 1 모속군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이간된 한 쌍의 제 2 모속군과, 상기 제 2 모속군보다 모길이가 높게 맞추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 2 모속군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이간된 한 쌍의 제 3 모속군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2 모속군 및 상기 한 쌍의 제 3 모속군은 상기 식모면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상기 제 1 모속군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 및 상기 제 3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은 상기 제 1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보다 작은 칫솔.
본 발명의 칫솔은 모선단이 전체적으로 치아에 핏팅되기 쉬워서 사용감이 우수하고, 우수한 치구 제거 효과를 갖고, 치면이나, 치간 또는 치경부 등의 틈으로부터 효율 좋게 치구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칫솔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칫솔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헤드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칫솔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속군의 모길이를 맞추다」란, 육안에 있어서 모길이가 맞추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각 모속의 모길이가 완전히 동일한 것에 추가해서, 모길이가 조금 다른 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모길이가 맞춰진 모속군에 있어서의 모길이의 오차는 동일한 모속군에 있어서의 모길이의 길이 평균에 대하여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헤드부에 있어서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는 방향을 길이방향,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칫솔에 대해서, 도 1 및 도 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장척상의 핸들부(10)와, 핸들부(10)의 선단에 설치된 헤드부(12)로 이루어지는 핸들체(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칫솔(1)은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 제 1 모속군(16), 제 2 모속군(18) 및 제 3 모속군(20)을 구비하고 있다.
[핸들체]
핸들체(14)는 핸들부(10)와 헤드부(12)가 일체 성형된 것이다.
핸들체(14)의 핸들부(10)와 헤드부(12)의 형상 및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칫솔에 있어서 채용되는 일반적인 형상 및 크기를 적당하게 채용할 수 있다.
핸들체(14)는, 예를 들면 수지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핸들체(14)를 형성하는 수지는 칫솔(1)에 요구되는 강성이나 기계특성 등을 감안해서 결정된다. 예를 들면, 휨 탄성률(JIS K7203)이 500∼3000MPa의 범위에 있는 고경도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고경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CT), 폴리아세탈(POM), 폴리스티렌(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CP),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AS)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제 1 모속군]
제 1 모속군(16)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사용시에 주로 치면에 접하여 치면에 부착된 치구를 제거하는 역활을 담당한다.
제 1 모속군(16)은 헤드부(12)의 식모면(12a)의 중앙 영역에 임의의 모길이로 맞춰진 복수의 제 1 모속(16a)이 심어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헤드부(12)의 식모면(12a)의 중앙 영역에 복수의 제 1 모속(16a)이 심어짐으로써 제 1 모속군(16)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복수의 제 1 모속(16a)은 서로 모길이가 맞추어져 있다.
여기에서 「중앙 영역」이란, 각 모속군(16, 18 및 20)을 합쳐서 둘러싼 식모부를 구성하는 모속군의 외주를 둘러싼 영역(즉, 각 모속군(16, 18 및 20)을 구성하는 모속(16a, 18a 및 20a)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모속(16a, 18a 및 20a)의 외측에 접선을 그은 경우에,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영역이며, 상기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길이방향의 중심선과 폭방향의 중심선이 교차하는 점을 중심으로 하는 영역이다. 상기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헤드부의 길이방향에서 최장 영역의 길이에 대한 중앙 영역의 헤드부의 길이방향에서 최장 영역의 길이가 차지하는 비율은 30∼50%가 바람직하다.
이 예의 제 1 모속군(16)은 9개의 제 1 모속(16a)으로 이루어지고, 그들 제 1 모속(16a)이 평면에서 볼 때에 마름모꼴이 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모속군(16)의 평면에서 볼 때에 마름모꼴의 2개의 대각선이 헤드부(12)의 길이방향과 폭방향과 각각 평행해지도록 각각의 제 1 모속(16a)이 배열되어 있다. 여기에서, 「평면에서 볼 때」란, 식모면(12a)을 법선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를 의미한다. 「마름모꼴」이란, 4개의 변의 길이가 전부 동일한 사각형을 의미한다. 또한, 제 1 모속군(16)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제 1 모속군(16)을 구성하는 모속(16a)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모속(16a)의 외측으로 접선을 그었을 경우에,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의미한다. 또는, 제 1 모속군(16)을 구성하는 모속(16a)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모속(16a)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선을 그었을 경우에, 이 선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을 의미한다. 「지그재그 형상」이란, 2열의 모속의 관계에 있어서, 일방의 열의 모속 간 피치의 약 절반 정도의 위치에 타방의 열의 모속을 배치하는 것을 말한다.
제 1 모속군(16)을 형성하는 제 1 모속(16a)의 수는 9개에 한정되지 않고, 8개 이하이어도 좋고, 10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1 모속군(16)을 형성하는 제 1 모속(16a)의 수는 제 1 모속(16a)의 직경 등을 고려해서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고, 4∼16개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모속군(16)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은 마름모꼴에 한정되지 않고, 정방형, 육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이어도 좋다.
제 1 모속(16a)은 복수의 칫솔모가 묶여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모속(16a)을 형성하는 칫솔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모선단을 향해서 점차 축경해서 선단이 첨예화된 칫솔모(테이퍼 모), 모선단을 향해서 점차 축경하여 테이퍼 모보다 선단 직경이 굵은 칫솔모(세미테이퍼 모), 및 모선단의 둥그스름한 부를 제거해서 외경이 거의 동일한 칫솔모(스트레이트 모)를 들 수 있다. 세미테이퍼 모는, 예를 들면 테이퍼 모의 선단을 부분적으로 깎아내거나, 화학처리시의 처리 조건(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얻어진다.
제 1 모속(16a)은 테이퍼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세미테이퍼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스트레이트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테이퍼 모, 스트레이트 모, 세미테이퍼 모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모속(16a)은 치면에 부착되어 있는 치구의 제거 효과가 높이지는 점으로부터, 스트레이트 모 또는 세미테이퍼 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칫솔모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칫솔의 칫솔모에 보통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6-12 나일론 및 6-10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및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PP 등의 폴리올레핀 및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칫솔모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칫솔모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등) 또는 이형(예를 들면 별형상, 세잎클로버형, 또는 네잎클로버형 등) 등이어도 좋다.
제 1 모속(16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수는 칫솔모의 직경과 칫솔모의 굵기를 감안해서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이면, 20∼28개가 바람직하고, 22∼28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모속(16a)에서는 사용감이나, 쇄소감(刷掃感), 청소 효과, 또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 개의 칫솔모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제 1 모속군(16)에 있어서의 모속(16a) 간의 최단 거리, 즉 모속(16a)의 중심축으로부터 인접한 모속(16a)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는 군 내의 최단 개소에서 1.4∼2.8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7∼2.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모속군]
제 2 모속군(18)은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 있어서, 제 1 모속군(16)을 사이에 두고 헤드부(12)의 선단(13)측과 후단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모속군(18)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제 2 모속군(18)을 형성하는 제 2 모속(18a)은 제 1 모속군(16)의 폭방향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지 않고, 길이방향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제 1 모속군(16)의 폭방향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제 2 모속(18a)이 배치되지 않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한 쌍의 제 2 모속군(18) 중 각각의 제 2 모속(18a)의 모선단이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으로 들어가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 2 모속군(18)에 의해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에 존재하는 치구를 효율 좋게 긁어내어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모속군(18)을 형성하는 제 2 모속(18a)은 헤드부(12)의 식모면(12a)의 중앙 영역에 심어져 있어도 좋다.
제 2 모속군(18)은 복수의 제 2 모속(18a)이 심어짐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들 복수의 제 2 모속(18a)의 모길이가 제 1 모속군(16)의 모길이보다 높게 맞추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모속군(16)과 제 2 모속군(18)의 경계 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모속군(16)과 제 2 모속군(18)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에 존재하는 치구를 효율 좋게 긁어낼 수 있기 때문에, 치구 제거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제 2 모속군(18)은 식모면(12a)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각각의 제 2 모속(18a)이 배열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제 2 모속군(18)은 식모면(12a)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V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앙방향을 개방하는」이란, 제 2 모속군(18)이 폭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폭방향에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 2 모속군(18) 중 식모면의 폭방향의 양끝에 배치된 모속(18a)이 중앙에 배치된 모속(18a)보다 중앙 영역의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부(12)를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1 모속군(16)과 제 2 모속군(18)이 길이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과, 제 1 모속군(16)과 제 2 모속군(18)이 길이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헤드부(12)를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1 모속군(16)과 제 2 모속군(18)이 길이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의 폭은 상기 영역 1개당 0.0∼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예의 V자 형상의 제 2 모속군(18)의 각도(V자 형상의 내각)는 제 1 모속군(16)의 마름모꼴에 있어서의 제 2 모속군(18)측의 2변이 이루는 각도와 다르다.
또한, V자 형상의 제 2 모속군(18)의 각도는 제 1 모속군(16)의 마름모꼴에 있어서의 제 2 모속군(18)측의 2변이 이루는 각도와 같아도 좋다.
제 2 모속군(18)이 상기한 바와 같이 식모면(12a)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2 모속군(18)에 의해 긁어내어져 있는 치구 등의 오물이 제 2 모속군(18)의 폭방향의 중앙부분으로 모이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제 2 모속군(18)으로 긁어내고 있는 도중에 제 2 모속군(18)의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오물이 달아나서 치간 등의 틈에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 2 모속군(18)의 각각의 제 2 모속(18a)은 제 1 모속군(16)의 제 1 모속(16a)도 포함하여 지그재그 배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모속군(18)의 배열 형상은 V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호상 등이어도 좋다.
제 2 모속군(18)의 배열 형상은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으로부터 치구를 긁어내는 효과가 높은 점으로부터 V자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1개의 제 2 모속군(18)에 있어서, 5개씩의 제 2 모속(18a)이 길이방향으로 2중(2열)으로 합계 10개 배치되어 있다.
제 2 모속군(18)을 형성하는 제 2 모속(18a)의 수는 10개에 한정되지 않고, 9개 이하이어도 좋고, 11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2 모속군(18)을 형성하는 제 2 모속(18a)의 수는 제 2 모속(18a)의 직경 등을 고려해서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고, 3∼18개가 바람직하고, 5∼1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모속군(18)은 제 2 모속(18a)이 길이방향으로 1중(1열)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3중 이상(3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모속(18a)이 복수열 배치되어 있을 경우, 선단측 또는 후단측의 모속(18a)의 모길이가 중앙 영역측의 열의 모속(18a)의 모길이보다 길어지도록 형성 되어 있어도 좋다.
한 쌍의 제 2 모속군(18)의 형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이면, 대칭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선단측의 제 2 모속군(18)과 후단측의 제 2 모속군(18)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이면 형태가 달라도 좋다. 여기에서 「대칭」이란, 식모면(12a)의 중심을 지나고, 또한 폭방향으로 그은 선을 축으로 해서 좌우 대칭인 것(선대칭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선단측의 제 2 모속군(18)과 후단측의 제 2 모속군(18)은 제 2 모속(18a)의 개수가 달라도 좋고, 제 2 모속(18a)의 배열 형상이 달라도 좋다.
한 쌍의 제 2 모속군(18)은 제 2 모속(18a)의 개수, 배열 형상이 같고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모속(18a)은 복수의 칫솔모를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모속(18a)를 형성하는 칫솔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모속(16a)에서 열거한 것을 들 수 있다.
제 2 모속(18a)은 테이퍼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세미테이퍼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스트레이트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테이퍼 모, 스트레이트 모, 세미테이퍼 모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모속(18a)은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에 존재하는 치구의 제거 효과가 높아지는 점으로부터, 테이퍼 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모속(18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횡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제 1 모속(16a)에서 열거한 것을 들 수 있고, 원형이 바람직하다.
제 2 모속(18a)에서는 사용감이나, 쇄소감, 청소 효과, 또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고, 굵기가 다른 복수 개의 칫솔모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제 2 모속(18a)은 제 1 모속(16a)보다 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2 모속(18a)의 모선단이 치간이나 치경부의 틈으로 들어가기 쉬워져서 치구 제거 효과가 높아진다.
제 2 모속(18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수는 제 2 모속(18a)의 직경을 소망의 값으로 하도록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10∼15개가 바람직하고, 11∼14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모속군(18)에 있어서의 모속(18a) 간의 최단 거리, 즉 모속(18a)의 중심축으로부터 인접한 모속(18a)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는 최단 개소에서 1.4∼2.8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8∼2.2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모속(18a)과 제 1 모속(16a)의 거리, 즉 제 2 모속(18a)의 중심축으로부터 인접한 제 1 모속(16a)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는 1.5∼4.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2.5∼3.2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모속군]
제 3 모속군(20)은 헤드부(12)의 식모면(12a)에 있어서 제 1 모속군(16) 및 이것을 사이에 둔 한 쌍의 제 2 모속군(18)을 선단측과 후단측으로 끼움으로써, 헤드부(12)의 선단(13)측과 후단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3 모속군(20)은 서로 이간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제 3 모속군(20)을 형성하는 제 3 모속(20a)은 제 1 모속군(16)의 폭방향의 양측 및 제 2 모속군(18)의 폭방향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렇게, 제 1 모속군(16)의 폭방향의 양측 및 제 2 모속군(18)의 폭방향의 양측을 둘러싸도록 제 3 모속(20a)이 배치되지 않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제 2 모속군(18)과 마찬가지로 각각의 제 3 모속(20a)의 모선단이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으로 들어가기 쉬워지고, 그 결과 치구의 제거 효율이 높아진다.
제 3 모속군(20)을 형성하는 제 3 모속(20a)은 헤드부(12)의 식모면(12a)의 중앙 영역에 심어져 있어도 좋다.
제 3 모속군(20)은 복수의 제 3 모속(20a)이 심어짐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그들 복수의 제 3 모속(20a)의 모길이가 제 2 모속군(18)의 모길이보다 높게 맞추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모속군(18)과 제 3 모속군(20)의 경계 부분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모속군(18)과 제 3 모속군(20)에 단차가 형성되어 있음 으로써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에 존재하는 치구를 효율 좋게 긁어낼 수 있기 때문에, 치구 제거 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제 3 모속군(20)은 식모면(12a)의 중앙방향을 개방하여 제 2 모속군(18)의 외측(선단측 및 후단측)에 의해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각각의 제 3 모속(20a)이 배열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제 3 모속군(20)은 제 1 모속군(16) 및 제 2 모속군(18)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중앙방향을 개방하는」이란, 제 3 모속군(20)이 폭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폭방향에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제 3 모속군(20) 중 폭방향의 양끝에 배치된 모속(20a)이 중앙에 배치된 모속(20a)보다 중앙 영역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헤드부(12)를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 2 모속군(18)과 제 3 모속군(20)이 길이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과, 제 2 모속군(18)과 제 3 모속군(20)이 길이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모속군(18)과 제 3 모속군(20)이 길이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의 폭은 상기 영역 1개당 0.0∼3.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이 예에서는 제 3 모속군(20)은 식모면(12a)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제 2 모속군(18)의 외측(선단측 및 후단측)으로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V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예의 V자 형상의 제 3 모속군(20)의 각도는 제 2 모속군(18)의 각도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V자 형상의 제 3 모속군(20)의 각도는 제 2 모속군(18)의 각도와 달라도 좋다.
이와 같이, 제 3 모속군(20)이 식모면(12a)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제 2 모속군(18)과 마찬가지로 제 3 모속군(20)의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오물이 달아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치구 제거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이 예에서는 제 3 모속군(20)의 각각의 제 3 모속(20a)은 제 1 모속군(16)의 제 1 모속(16a) 및 제 2 모속군(18)의 제 2 모속(18a)도 포함하여 지그재그 배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배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3 모속군(20)의 배열 형상은 V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호상이어도 좋다.
제 3 모속군(20)의 배열 형상은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으로부터 치구를 긁어내는 효과가 높은 점으로부터, V자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 예에서는, 1개의 제 3 모속군(20)에 있어서 5개의 제 3 모속(20a)이 길이방향으로 1중(1열)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3 모속군(20)을 형성하는 제 3 모속(20a)의 수는 5개에 한정되지 않고, 4개 이하이어도 좋고, 6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3 모속군(20)을 형성하는 제 3 모속(20a)의 수는 제 3 모속(20a)의 직경 등을 고려해서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고, 3∼18개가 바람직하고, 5∼10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3 모속군(20)은 제 3 모속(20a)이 길이방향으로 2중 이상(2열 이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모속(20a)이 복수 열 배치되어 있을 경우, 선단측 또는 후단측의 모속(20a)의 모길이가 중앙 영역측의 열의 모속(20a)의 모길이보다 길어지도록 형성 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모속군(20)은 제 2 모속군(18)보다 열의 수가 적은 편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 3 모속군(20)의 형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이면 대칭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선단측의 제 3 모속군(20)과 후단측의 제 3 모속군(20)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이면 형태가 달라도 좋다.
예를 들면, 선단측의 제 3 모속군(20)과 후단측의 제 3 모속군(20)은 제 3 모속(20a)의 개수가 달라도 좋고, 제 3 모속(20a)의 배열 형상이 달라도 좋다.
한 쌍의 제 3 모속군(20)은 제 3 모속(20a)의 개수, 배열 형상이 같고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모속(20a)은 복수의 칫솔모를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
제 3 모속(20a)을 형성하는 칫솔모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3 모속(20a)에서 열거한 것을 들 수 있다.
제 3 모속(20a)은 테이퍼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세미테이퍼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스트레이트 모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테이퍼 모, 스트레이트 모 및 세미테이퍼 모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모속(20a)은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에 존재하는 치구의 제거 효과가 높아지는 점으로부터, 테이퍼 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모속(20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횡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제 1 모속(16a)에서 열거한 것을 들 수 있고, 원형이 바람직하다.
제 3 모속(20a)에서는 사용감이나, 쇄소감, 청소 효과, 또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굵기가 다른 복수 개의 칫솔모를 임의로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제 3 모속(20a)은 제 1 모속(16a)보다 휘기 쉬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3 모속(20a)의 모선단이 치간이나 치경부의 틈으로 들어가기 쉬워져서 치구 제거 효과가 높아진다.
제 3 모속(20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수는 칫솔모 직경과 칫솔모의 굵기를 감안해서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이면, 10∼15개가 바람직하고, 11∼14개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모속군(20)에 있어서의 모속(20a) 간의 최단 거리, 즉 모속(20a)의 중심축으로부터 인접한 모속(20a)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는 최단 개소에서 1.4∼2.8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8∼2.2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모속(20a)과 제 2 모속(18a)의 거리, 즉 제 3 모속(20a)의 중심축으로부터 인접한 제 2 모속(18a)의 중심축까지의 거리는 1.2∼4.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1.7∼3.2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칫솔(1)에서는 제 1 모속군(16)을 사이에 두도록 제 1 모속군(16)보다 모길이가 높은 한 쌍의 제 2 모속군(18)이 설치되고, 또한 제 2 모속군(18)을 사이에 두도록 제 2 모속군(18)보다 모길이가 높은 한 쌍의 제 3 모속군(20)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칫솔(1)에서는 식모면(12a)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헤드부(12)의 선단(13)측 및 후단측을 향해서 단계적으로 모길이가 높아지고 있다.
[모속군의 치수]
제 1 모속군(16)의 모길이(d1)(도 2)는 적당하게 설정할 수 있고, 7∼12mm가 바람직하고, 8∼11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모속군(16)의 모길이(d1)가 하한치 미만이 되면, 모가 너무 휘지 않기 때문에 잇몸에 닿았을 때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닦는 느낌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제 1 모속군(16)의 모길이(d1)가 상한치를 초과하면, 구강내 조작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제 2 모속군(18)의 모길이(d2)(도 2)는 제 1 모속군(16)의 모길이(d1)보다 높아지도록 맞추어져 있다.
제 1 모속군(16)의 모길이(d1)에 대한 제 2 모속군(18)의 모길이(d2)의 차(d2-d1)는 0.5∼3.0mm가 바람직하고, 0.5∼2.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차(d2-d1)가 하한치 미만이 되면, 제 2 모속이 치간이나 치경부로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차(d2-d1)가 상한치를 초과하면, 제 1 모속이 치면에 닫지 않거나, 제 2 모속이 잇몸에 닿아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제 3 모속군(20)의 모길이(d3)(도 2)는 제 2 모속군(18)의 모길이(d2)보다 높아지도록 맞추어져 있다.
제 2 모속군(18)의 모길이(d2)에 대한 제 3 모속군(20)의 모길이(d3)의 차(d3-d2)는 0.5∼3.0mm가 바람직하고, 0.5∼2.0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d3-d2)가 하한치 미만이 되면, 제 3 모속이 치간이나 치경부로 진입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차(d3-d2)가 상한치를 초과하면, 제 1 모속이 치면에 닫지 않거나, 제 3 모속이 잇몸에 닿아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모길이」란, 각 모속군에 있어서의 모속의 길이의 평균치를 의미한다.
제 2 모속(18a) 및 제 3 모속(20a)의 직경은 제 1 모속(16a)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모속(16a)에 의해 치면의 치구를 충분히 제거함과 아울러, 제 2 모속(18a) 및 제 3 모속(20a)의 모선단을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으로 삽입해서 상기 틈의 치구를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제 1 모속(16a)의 직경은 1.0∼2.0mm가 바람직하고, 1.4∼1.8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모속(16a)의 직경이 하한치 미만이 되면, 치면의 치구 제거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제 1 모속(16a)의 직경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너무 휘지 않아서 사용감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제 2 모속(18a)의 직경은 1.0∼1.6mm가 바람직하고, 1.1∼1.3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모속(18a)의 직경이 하한치 미만이 되면, 청소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제 2 모속(18a)의 직경이 상한치를 초과하면, 너무 휘지 않아서 사용감을 손상시킨다.
제 3 모속(20a)의 직경의 바람직한 범위는 제 2 모속(18a)의 직경의 바람직한 범위와 같다. 제 3 모속(20a)의 직경은 제 2 모속(18a)의 직경보다 작아도 좋다.
제 1 모속(16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은 0.12∼0.26mm가 바람직하고, 0.15∼0.23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모속(16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이 0.12mm 미만이면, 칫솔모가 지나치게 부드러워서 치면의 청소력이 저하된다. 제 1 모속(16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이 0.26mm을 초과하면, 사용감을 손상시킨다.
제 2 모속(18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은 0.12∼0.26mm가 바람직하고, 0.15∼0.23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모속(18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이 0.12mm 미만이면, 모속이 지나치게 휘어서 청소력이 저하된다. 제 2 모속(18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이 0.26mm를 초과하면, 잇몸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감을 손상시킨다.
제 3 모속(20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은 0.12∼0.26mm가 바람직하고, 0.15∼0.23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3 모속(20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이 0.12mm 미만이면, 모속이 지나치게 휘어서 청소력이 저하된다. 제 3 모속(20a)을 형성하는 칫솔모의 직경이 0.26mm를 초과하고, 또한 제 3 모속(20a)을 심는 구멍의 직경이 지나치게 크면, 잇몸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감을 손상시킨다.
각 모속군(16, 18 및 20)을 합쳐서 둘러싼 식모부를 구성하는 모속군의 외주를 둘러싼 영역(즉, 각 모속군(16, 18 및 20)을 구성하는 모속(16a, 18a 및 20a) 중 가장 외측에 배치된 모속(16a, 18a 및 20a)의 외측으로 접선을 그었을 경우에 접선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의 면적에 대한 제 1 모속군(16)이 차지하는 면적은 10∼50면적%가 바람직하고, 20∼30면적%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 모속군(16, 18 및 20)을 합쳐서 둘러싼 식모부를 구성하는 모속군의 외주를 둘러싼 영역의 면적에 대한 제 2 모속군(18)이 차지하는 면적은 10∼50면적%가 바람직하고, 30∼45면적%가 보다 바람직하다.
각 모속군(16, 18 및 20)을 합쳐서 둘러싼 식모부를 구성하는 모속군의 외주를 둘러싼 영역의 면적에 대한, 제 3 모속군(20)이 차지하는 면적은 10∼50면적%가 바람직하고, 12∼30면적%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조방법]
칫솔(1)의 제조방법은 각각 소정의 치수의 제 1 모속(16a), 제 2 모속(18a) 및 제 3 모속(20a)을 소정의 위치에 심어서 제 1 모속군(16), 제 2 모속군(18) 및 제 3 모속군(20)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속의 심기 방법으로서는 평선을 박아넣는 방법 또는 열 용착하는 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모속을 심을 때의 구멍의 직경은 심는 모속의 직경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하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칫솔(1)에서는 제 1 모속군(16), 제 2 모속군(18) 및 제 3 모속군(20)에 의해 식모면(12a)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헤드부(12)의 선단(13)측 및 후단측을 향해서 단계적으로 모길이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브러싱 시에 모선단이 전체적으로 치아에 핏팅된다. 이것에 의해, 사용감이 우수하고, 치면의 치구를 제 1 모속군(16)에 의해 제거하면서, 한 쌍의 제 2 모속군(18)과 한 쌍의 제 3 모속군(20)에 의해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의 치구를 긁어내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모속군(18)과 제 3 모속군(20)이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치간이나 치경부 등의 틈으로부터 치구를 긁어낼 때에 제 2 모속군(18)과 제 3 모속군(20)으로부터 치구를 놓치기 어렵게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치구 제거 효과가 얻어진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의 칫솔은 상기한 칫솔(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칫솔은 도 3 및 도 4에 예시한 칫솔(2)이어도 좋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의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칫솔(2)은 14개의 제 1 모속(16b)이 평면에서 볼 때에 육각형상이 되도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제 1 모속군(16A)이 형성되고, 또한 제 1 모속(16b)의 직경이 제 2 모속(18a) 및 제 3 모속(20a)의 직경과 같은 것 이외에는, 칫솔(1)과 같다. 「육각형」은 6개의 변의 길이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칫솔(2)에 있어서도 칫솔(1)과 마찬가지로 브러싱 시에 모선단이 전체적으로 치아에 핏팅되어 사용감이 우수하고, 치면이나, 치간 또는 치경부 등의 틈의 치구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다.
도 3의 칫솔(2)에서는 육각형의 1개의 대각선이 헤드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열되어 있지만, 육각형의 1개의 대각선이 헤드부의 폭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2 모속군(18)은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육각형의 3변의 형상에 맞춰서 각괄호 형상이어도 좋고, V자 형상이어도 좋고, 원호상이어도 좋다. 제 3 모속군(20)도 마찬가지로 각괄호 형상이어도 좋고, V자 형상이어도 좋고, 원호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모속(16b)의 직경은 칫솔(1)과 동일해도 좋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제 1 모속(16b)이 평면에서 볼 때에 정방형이고, 또한 정방형의 2개의 대각선이 헤드부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2 모속군(18)은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정방형의 2변의 형상에 맞춰서 V자 형상(바람직하게는 L자 형상)이어도 좋고, 원호상이어도 좋다. 제 3 모속군(20)도 마찬가지로 V자 형상(바람직하게는 L자 형상)이어도 좋고, 반달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모속(16b)이 평면에서 볼 때에 원형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제 2 모속군(18)은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원호상이어도 좋고, V자 형상이어도 좋다. 제 3 모속군(20)도 마찬가지로 원호상이어도 좋고, V자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모속(16b)이 평면에서 볼 때에 타원형이고, 또한 타원형의 단경이 헤드부의 폭방향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좋고, 길이방향이 되도록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2 모속군(18)은 제 1 모속군(16)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원호상이어도 좋고, V자 형상이어도 좋다. 제 3 모속군(20)도 마찬가지로 원호상이어도 좋고, V자 형상이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에 의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감의 평가]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 내를 청소하고, 그때의 치경부, 치면 및 치간의 청소 실감, 및 칫솔이 닿는 느낌(핏팅감)을 하기의 평가 기준에 의해 평가했다.
(치경부, 치면, 치간의 청소 실감)
5점: 매우 느껴진다.
4점: 약간 느껴진다.
3점: 느껴진다.
2점: 그다지 느껴지지 않는다.
1점: 느껴지지 않는다.
모니터 10명의 평균점이 4.0 이상을 ◎, 평균점 3.0 이상 4.0 미만을 ○, 평균점 2.0 이상 3.0 미만을 △, 평균점 2.0 미만을 ×라고 했다.
(핏팅감)
5점: 매우 느껴진다.
4점: 약간 느껴진다.
3점: 느껴진다.
2점: 그다지 느껴지지 않는다.
1점: 느껴지지 않는다.
모니터 10명의 평균점이 4.0 이상을 ◎, 평균점 3.0 이상 4.0 미만을 ○, 평균점 2.0 이상 3.0 미만을 △, 평균점 2.0 미만을 ×라고 했다.
(종합 평가)
◎: 모두 ◎.
○: ○이 제일 낮은 평가.
△: △가 제일 낮은 평가.
×: ×가 1개라도 있을 경우.
[칫솔모]
본 실시예에 사용한 칫솔모는 이하와 같다.
테이퍼 모(ST): PBT제.
세미테이퍼 모(SST): PBT제.
[실시예 1]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서 PP제의 핸들체에 모속을 심어서, 도 1 및 도 2의 칫솔(1)을 얻었다.
[실시예 2]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서 PP제의 핸들체에 모속을 심어서, 도 3 및 도 4의 칫솔(2)을 얻었다.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내는 사양에 따라서 PP제의 핸들체에 모속을 심어서, 도 5의 칫솔(101)을 얻었다.
칫솔(101)은 제 1 모속군(116)과, 제 1 모속군(116)을 사이에 두고 헤드부(12)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 제 2 모속군(118)과, 제 2 모속군(118)을 사이에 두고 헤드부(12)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한 쌍으로 설치된 제 3 모속군(120)을 갖는다.
제 1 모속군(116)은 제 1 모속(116a)이 폭방향으로 5개, 길이방향으로 3개의 5열×3행으로 심어져 형성되어 있다. 제 2 모속군(118)은 제 2 모속(118a)이 폭방향으로 5개, 길이방향으로 2개의 5열×2행으로 심어져 형성되어 있다. 제 3 모속군(120)은 제 3 모속(120a)이 폭방향으로 4개, 길이방향으로 1개의 4열×1행으로 심어져 형성되어 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식모면의 중앙 영역으로부터 선단측 및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모길이를 높게 하고, 제 2 모속군 및 제 3 모속군을 식모면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제 1 모속군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한 실시예 1 및 2에서는 핏팅감이 우수하고, 또한 청소 실감도 높아서 치구 제거 효과가 높았다.
한편, 제 2 모속군 및 제 3 모속군을 식모면의 중앙방향을 개방하는 배열로 하지 않고, 폭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배치한 비교예 1에서는 핏팅감이 열화되어 있고, 또한 청소 실감도 낮아서 치구 제거 효과가 열화하여 있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칫솔은 모선단이 전체적으로 치아에 핏팅되기 쉬워서 사용감이 우수하고, 우수한 치구 제거 효과를 가져서, 치면이나, 치간 또는 치경부 등의 틈으로부터 효율 좋게 치구를 제거할 수 있다.
1, 2: 칫솔 10: 핸들부
12: 헤드부 13: 선단
14: 핸들체 16, 16A: 제 1 모속군
16a, 16b: 제 1 모속 18: 제 2 모속군
18a: 제 2 모속 20: 제 3 모속군
20a: 제 3 모속

Claims (6)

  1. 헤드부와, 핸들부와, 복수의 칫솔모를 갖는 칫솔로서,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 상기 복수의 칫솔모를 묶은 모속이 복수 심어져 있고,
    상기 식모면의 중앙 영역에 임의의 모길이로 맞추어져서 심어진 제 1 모속군과,
    상기 제 1 모속군보다 모길이가 높게 맞추어지고, 상기 제 1 모속군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이간된 한 쌍의 제 2 모속군과,
    상기 제 2 모속군보다 모길이가 높게 맞추어지고, 상기 한 쌍의 제 2 모속군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의 선단측과 후단측에 형성되어 서로 이간된 한 쌍의 제 3 모속군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2 모속군 및 상기 한 쌍의 제 3 모속군은 상기 식모면의 중앙방향을 개방해서 상기 제 1 모속군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 및 상기 제 3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은 상기 제 1 모속군의 모속의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속군은 평면에서 볼 때에 마름모꼴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름모꼴의 2개의 대각선이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과 각각 평행해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속군은 평면에서 볼 때에 육각형이 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육각형의 1개의 대각선이 상기 헤드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모속군은 상기 제 1 모속군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V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모속군은 상기 제 1 모속군 및 상기 제 2 모속군을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볼 때에 V자 형상 또는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167000906A 2013-08-02 2014-07-31 칫솔 KR102235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1454A JP6226618B2 (ja) 2013-08-02 2013-08-02 歯ブラシ
JPJP-P-2013-161454 2013-08-02
PCT/JP2014/070199 WO2015016306A1 (ja) 2013-08-02 2014-07-31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517A true KR20160040517A (ko) 2016-04-14
KR102235230B1 KR102235230B1 (ko) 2021-04-02

Family

ID=5243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906A KR102235230B1 (ko) 2013-08-02 2014-07-31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26618B2 (ko)
KR (1) KR102235230B1 (ko)
CN (1) CN105451602B (ko)
WO (1) WO20150163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680U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1443B1 (ko) 2015-11-02 2017-05-31 주식회사 케이앤케이 칫솔 헤드
DE102017220748A1 (de) 2017-11-21 2019-05-23 M+C Schiffer Gmbh Zahnbürste
CN109588849B (zh) * 2018-12-04 2023-08-18 四川大学 巴氏刷牙法辅助牙刷
USD1024573S1 (en) 2022-03-08 2024-04-30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D1026470S1 (en) 2022-03-08 2024-05-14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CN115007518A (zh) * 2022-06-01 2022-09-06 刘航 一种rfid电子设备制造用生产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329A (ja) 1991-08-05 1993-02-19 Tonen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WO2001087115A2 (en) * 2000-05-18 2001-11-2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KR20060069495A (ko) * 2003-09-19 2006-06-21 더 지렛트 캄파니 칫솔
JP2008154808A (ja) * 2006-12-25 2008-07-10 Lion Corp 歯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332U (ja) * 1984-07-11 1986-02-04 政信 高島 歯みがき粉落下防止歯ブラシ
US8042217B2 (en) * 2004-11-02 2011-10-2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5557591B2 (ja) * 2010-05-07 2014-07-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2231968A (ja) * 2011-05-02 2012-11-29 In Clover:Kk ペット用歯ブラシ
US9095205B2 (en) * 2011-06-21 2015-08-04 Joseph A. Stofko Orthodontic toothbrus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329A (ja) 1991-08-05 1993-02-19 Tonen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WO2001087115A2 (en) * 2000-05-18 2001-11-2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having an efficacious bristle pattern
KR20060069495A (ko) * 2003-09-19 2006-06-21 더 지렛트 캄파니 칫솔
JP2008154808A (ja) * 2006-12-25 2008-07-10 Lion Corp 歯ブラ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680U (ko) * 2016-04-15 2017-10-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230B1 (ko) 2021-04-02
JP6226618B2 (ja) 2017-11-08
JP2015029698A (ja) 2015-02-16
CN105451602B (zh) 2018-04-03
CN105451602A (zh) 2016-03-30
WO2015016306A1 (ja)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0517A (ko) 칫솔
JP5806922B2 (ja) 歯ブラシ
CN211242090U (zh) 牙刷
US9095205B2 (en) Orthodontic toothbrush
CA2881438C (en) Interdental cleaner
RU2228129C2 (ru) Зубная щетка (варианты)
JP2010246756A (ja) 歯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JP5779413B2 (ja) 歯ブラシ
JP3124246U (ja) 歯間清掃具
JP2017000570A (ja) 歯間清掃具
JP2021104237A (ja) 歯ブラシ
JP2012075725A (ja) 歯ブラシ
JP2016158643A (ja) 歯ブラシ
JP5690525B2 (ja) 歯ブラシ
US20210153636A1 (en) Toothbrush
JP6858123B2 (ja) 歯ブラシ
JP2003339444A (ja) 歯ブラシ
KR200467406Y1 (ko) 칫솔
JP3138318U (ja) 歯ブラシ
JP3242767U (ja) 歯間ブラシ
JP2019051033A (ja) 口腔洗浄装置
CN206227929U (zh) 牙刷
KR102622532B1 (ko) 칫솔
KR200467404Y1 (ko) 칫솔
JP5409002B2 (ja) 歯間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