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9640A - 마찰재료 - Google Patents

마찰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9640A
KR20160039640A KR1020167004765A KR20167004765A KR20160039640A KR 20160039640 A KR20160039640 A KR 20160039640A KR 1020167004765 A KR1020167004765 A KR 1020167004765A KR 20167004765 A KR20167004765 A KR 20167004765A KR 20160039640 A KR20160039640 A KR 20160039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friction material
range
resin
diatomaceous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7054B1 (ko
Inventor
제이슨 베어즈
로버트 씨. 렘
Original Assignee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239102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03964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39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F16D69/025Compositions based on an organic binder
    • F16D69/026Compositions based on an organic binder containing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34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non-metallic
    • F16D2200/0052Carb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200/00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 F16D2200/006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containing fibres or particles
    • F16D2200/0069Materials; Production methods therefor containing fibres or particles being characterised by their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는, 섬유, 입자, 화학 바인더, 수지결합제로 구성되고, 입자는 응집하는 마찰재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찰재료{FRICTION MATERIAL}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7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출원 제 13/953,235호에 관련되어 청구된 출원이다.
본 발명은 마찰재료, 예를 들어 승용차, 모터바이크, RTV, 트럭 등에 사용되는 차량용 트랜스미션의 습식 마찰 클러치 모듈에 쓰이는 마찰재료에 관한 것이나, 단 마찰재료의 용도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 습식 클러치에 쓰이는 마찰재료의 대부분이, 함유 충전재가 재료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은 마찰재료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는, 섬유, 입자, 화학 바인더, 수지결합제를 포함하는 마찰재료를 가지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해당 입자는 마찰재료 전체에 걸쳐 입자군 영역(regions of groups of particles)을 이루며 응집해 있고, 입자군 영역의 수량 및 배치에 따라, 입자군 영역 대신 단일 입자를 가지는 조성물에 비교해 생성물의 평균 침투율은 2~10배까지 증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는,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흑연입자, 규조토 입자로 이루어지는 마찰재료를 포함하고, 아라미드 섬유의 중량백분율은 20%~60%, 탄소섬유의 중량백분율은 5%~20%, 흑연입자의 중량백분율은 5%~25%, 규조토 입자의 중량백분율은 5%~30%이고, 흑연입자와 규조토 입자 중 적어도 한쪽이 응집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형태는, 복수의 섬유, 결합제, 복수의 결합입자로 이루어진 복수의 결합군(bonded group)으로 이루어지는 마찰재료를 포함하고, 복수의 결합군은 각각 10~500νm 범위의 반경을 가지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예시적 실시형태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명세서와 특정 실시예가 개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오로지 설명만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결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중 엄선한 실시예에 관하여, 하기의 상세설명 및 첨부도면을 통해 명확히 해설하고자 한다.
도 1은 마찰재료의 한 실시형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기존의 침습(saturated) 마찰재료(A)와 본 발명에 따른 침습 마찰재료 2(B, C)의, z방향 평균 침투율을 비교한 비교용 막대 차트이다.
도 3은 기존 마찰재료(A)와 본 발명의 마찰재료 중 하나(C)의, 기공 반경(mm)과 log 미분기공체적(log differential intrusion)(mL/g)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비교용 산포도(distribution plot)이다.
도 4는 기존 마찰재료(A)와 본 발명의 마찰재료 2종(B, C)의, SAE J2490(mPVT) 마찰시험에서의 사이클과 초기마찰계수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비교용 선 그래프이다.
도 5는 기존 마찰재료(A)와 본 발명의 마찰재료 2종(B, C)의, SAE J2490(mPVT) 마찰시험에서의 사이클과 중간마찰계수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비교용 선 그래프이다.
도 6은 기존 마찰재료(A)와 본 발명의 마찰재료 2종(B, C)의, SAE J2490(mPVT) 마찰시험에서의 사이클과 최종마찰계수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비교용 선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다음의 설명은 단순히 이해를 돕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결코 본 발명의 범주, 용도 및 적용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마찰재료 2를 도시하고 있다. 마찰재료 2는 차량의 습식 클러치 라이닝(lining)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에 쓰일 수 있다. 마찰재료 2는 종이 계열(paper-based)이어도 좋고, 다른 계열이어도 좋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찰재료 2는 복수의 섬유 4를 가져도 좋다. 섬유 4는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유리섬유, 현무암섬유, 폴리머섬유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가진 섬유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섬유 4는 텍스타일(textile), 합성섬유, 천연섬유, 혹은 그 외의 타입이어도 좋다. 섬유 4는 아크릴, 아라미드, 탄소, 셀룰로오스, 유리, 광물(공학적 가공), 폴리이미드, 폴리비닐 알코올(PVA), 레이온 등을 포함하는 동물성, 식물성 또는 광물성 섬유거나, 그 이외의 타입이어도 좋다. 섬유 4는 개별 성분을 0~100% 범위의 중량백분율을 기준으로 하는 다양한 비율로 조합한 조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해당 개별 성분을 혼합(intermix)해도 좋다. 마찰재료 2 및 섬유 4는 양쪽 모두 직조(weaving), 편직(knitting), 브레이딩(braiding), 평직(plain weaving), 공단직(satin weaving), 스티칭(stitching) 또는 기타 방식으로 제조해도 좋으며, 반면에 어느 쪽에도 상기 방식을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섬유 4는 2차원 또는 3차원 정향성(dimensional orientation)을 가지도록 제조해도 좋다. 섬유 4는 단층 혹은 복층이어도 좋다. 마찰재료 2 및 섬유 4는 양쪽 모두 핸드 레이업(hand lay-up), 압출(extrusion), 스프레이 레이업(spray lay-up), 인발(pultrusion), 습식 레이업(wet lay-up), 쵸퍼 건(chopper gun), 개조 스트랜드매트(chopped strand mat), 압력 백 성형(pressure bag moluding), 오토클레이브 성형(autoclave moulding), 고분자액체 복합성형(polymeric liquid composite moluding), 수지함침성형(resin transfer moulding), 진공수지함침성형(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ulding), 블래더 성형(bladder moulding), 압축성형(compression moulding), 코울 플레이트(caul plate), 맨드릴 래핑(mandrel wrapping),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용융(melting), 단섬유(staple fiber), 연속 필라멘트(continuous filament) 또는 기타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반면에 어느 쪽에도 상기 방식을 적용하지 않아도 좋다. 마찰재료 2 및 섬유 4는 양쪽 모두 수지함침성형법(RTM) 또는 진공수지함침성형법(VARTM)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반면에 어느 쪽에도 상기 방식을 적용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아울러 도 1에 따르면, 마찰재료 2는 복수의 입자 6을 추가로 가져도 좋다. 입자 6은 흑연입자, 규조토 입자, 실리카 입자, 탄소입자, 탄화물 입자, 세라믹 입자, 캐슈 오일 입자, 고무 입자, 질화물 입자, 니트릴 입자, 페놀 입자, 제올라이트 입자, 아라미드 입자 또는 그 외의 타입일 수 있다. 규조토 입자의 입경은 1~40mm 범위여도 좋다. 흑연입자의 입경은 20~150mm 범위여도 좋다. 입자 6의 입경은 50~150mm 범위여도 좋고, 50~500mm 범위여도 좋다. 입자 6은 구체, 타원체, 정육면체, 다면체, 불규칙적인 형상, 또는 그 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입자 6은 마찰재료 2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거나 응집해 있어도 좋다. 입자 6의 응집은, 마찰재료에 가해지는 부담이 큰 고속 또는 고열에너지 설비, 혹은 저유속 오일(low oil flow rate) 하에서 사용되는 마찰재료 2의 오일 침투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규조토 입자 및/또는 흑연입자는 한쪽이 응집하고 다른 쪽은 균일하게 분포되어도 좋다. 마찰재료 2는 국소적인 극단적 온도(extreme temperature)에 대하여 보다 강한 내구성을 가져도 좋다. 입자 6의 응집체는 재료 전체에 걸쳐 입자 6을 격리하고, 마찰재료 2 내에 상호연결 기공(interconnected pore)을 보다 많이 형성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개방해도 좋다. 입자 6은 마찰재료 전체에 걸쳐 입자군 영역(regions of groups of particles)을 이루며 응집해 있어도 좋은데, 입자군 영역의 수량 및 배치에 따라 입자군 영역 대신 단일 입자를 가지는 조성물에 비교해 평균 침투율이 2~10배까지 증가하게 된다. 이들 영역은 마찰재료 2 내에 무작위로 퍼져 있어도 좋고,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입자군 영역의 반경은 10~150mm의 범위여도 좋다. 입자군 영역의 반경은 10~500mm의 범위여도 좋다. 입자 6의 입경은 입자군의 반경 크기 범위를 원하는 수준으로 맞추는 데 필요한 선에서 결정하여 조정해도 좋다. 입자 6은 또다른 입자 6, 섬유 4, 수지결합제 8, 또는 화학 바인더 10과 결합해 있어도 좋다. 입자군은 구체, 타원체, 정육면체, 다면체, 불규칙적인 형상, 또는 그 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도 1에 따르면, 마찰재료 2는 수지결합제 8을 추가로 포함해도 좋다. 결합제 8은 섬유 4 또는 입자 6, 혹은 이들의 조합과 접촉함으로써 지지되어도 좋다. 결합제 8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개질 페놀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혹은 여타 수지를 포함해도 좋다. 결합제 8은 반응성 결합제여도, 비반응성(non-reactive) 결합제여도 좋다.
도 1에 따르면, 마찰재료 2는 화학 바인더 10을 추가로 포함해도 좋다. 화학 바인더 10은 섬유 4, 입자 6 또는 결합제 8, 혹은 이들의 조합과 접촉함으로써 지지되어도 좋다. 화학 바인더 10은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염,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스티렌-부타디엔, 또는 여타 바인더여도 좋다. 화학 바인더 10은 반응성 바인더여도 비반응성 바인더여도 좋다. 화학 바인더는 라텍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마찰재료 2는 중량백분율 20%~60% 범위의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해도 좋다. 마찰재료 2는 중량백분율 5%~20% 범위의 탄소섬유를 포함해도 좋다. 마찰재료 2는 중량백분율 5%~25% 범위의 흑연입자를 포함해도 좋다. 마찰재료 2는 중량백분율 5%~30% 범위의 규조토 입자를 포함해도 좋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자 6의 중량백분율은 마찰재료 2의 총중량에 대해서 10%~60% 범위여도 좋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자 6의 중량백분율은 마찰재료 2의 총중량에 대해서 15%~50% 범위여도 좋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자 6의 중량백분율은 마찰재료 2의 총중량에 대해서 20%~50% 범위여도 좋다. 마찰재료 2는 탄소퇴적물을 포함해도 좋다. 마찰재료 2는 응집입자 6을 포함해도 좋다. 입자 6은 마찰재료 전체에 걸쳐 입자군 영역을 이루며 응집해 있어도 좋은데, 입자군 영역의 수량 및 배치에 따라 입자군 영역 대신 단일 입자를 가지는 조성물에 비교해 평균 침투율이 2~10배까지 증가하게 된다. 이들 영역은 마찰재료 2 내에 무작위로 퍼져 있어도 좋고,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어도 좋다. 입자군 영역의 반경은 10~150mm의 범위여도 좋다. 입자군 영역의 반경은 10~500mm의 범위여도 좋다. 입자 6의 입경은 입자군의 반경 크기 범위를 원하는 수준으로 맞추는 데 필요한 선에서 결정하여 조정해도 좋다. 입자 6은 또다른 입자 6, 섬유 4, 수지결합제 8, 또는 화학 바인더 10과 결합해 있어도 좋다. 입자군은 구체, 타원체, 정육면체, 다면체, 불규칙적인 형상, 또는 그 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도 2는 기존의 침습(saturated) 마찰재료(A)와, 마찰재료 2에 해당하는 실시형태 2종(B, C)의, z방향 평균 침투율을 비교한 비교용 막대 차트이다. 마찰재료 2의 평균 침투율은 1.3E-13 kz m2 또는 1.4E-13 kz m2여도 좋다. 비교를 위해, TAPPI 테스트법 T460을 이용하여 기존의 마찰재료 (A)와 본 발명의 마찰재료 2종(B, C)의 침습 전 공기저항(침투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덴소미터(densometer)를 사용해 일정한 체적의 공기(400cc)가 1.22 kPa의 균일한 압력 하에 재료의 표준영역(6.45 cm2)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마찰재료 2(B, C)의 경우, 두께가 0.57mm일 때 5~8초/400cc의 덴소미터 수치를 기록하게 된다. 응집체가 없는 기존의 마찰재료(A)는, 두께가 0.57mm일 경우, 18~20초/400cc의 덴소미터 수치를 기록한다.
도 3은 기존 마찰재료(A)와 마찰재료 2에 해당하는 한 실시형태(C)의, 기공 반경(mm)과 log 미분기공체적(mL/g)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비교용 산포도이다. 기공 반경은 수은 침투를 이용한 기공 침투원리(mercury prosimetry)를 통해 특정할 수 있다. 마찰재료 2의 기공은 5~50mm 범위의 반경을 가져도 좋다. 응집입자 6을 가지는 마찰재료 2에 있어서, 4mm보다 큰 기공의 비율은 마찰재료의 전체 기공 용적에 대하여 0%~50%여도 좋다. 응집입자가 없는 마찰재료 2의 경우, 4mm보다 큰 기공의 비율은 마찰재료의 전체 기공 용적에 대하여 0%~30%여도 좋다
도 4는 기존 마찰재료(A)와 본 발명의 마찰재료 2종(B, C)의, SAE J2490(mPVT) 마찰시험에서의 사이클과 초기마찰계수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비교용 선 그래프이다. 저온영역은 약 50도C의 온도로 정의된다. 고온영역은 약 110도C의 온도로 정의된다. 아울러 저에너지영역은 운동 에너지의 범위가 약 2160J~8650J이 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고에너지영역은 운동 에너지의 범위가 약 28020J~47090J이 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5는 기존 마찰재료(A)와 본 발명의 마찰재료 2종(B, C)의, J2490(mPVT) 마찰시험에서의 사이클과 중간마찰계수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비교용 선 그래프이다. 저온영역은 약 50도C의 온도로 정의된다. 고온영역은 약 110도C의 온도로 정의된다. 아울러 저에너지영역은 운동 에너지의 범위가 약 2160J~8650J이 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고에너지영역은 운동 에너지의 범위가 약 28020J~47090J이 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6은 기존 마찰재료(A)와 본 발명의 마찰재료 2종(B, C)의, J2490(mPVT) 마찰시험에서의 사이클과 최종마찰계수간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비교용 선 그래프이다. 저온영역은 약 50도C의 온도로 정의된다. 고온영역은 약 110도C의 온도로 정의된다. 아울러 저에너지영역은 운동 에너지의 범위가 약 2160J~8650J이 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고에너지영역은 운동 에너지의 범위가 약 28020J~47090J이 되는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다음의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구성요소, 성분, 행위, 생성물 및 방법을 상세히 해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결코 본 발명의 범주를 하기에 특별히 개시 또는 명시되는 범위로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가 설명하는 구성요소, 성분, 행위, 생성물 및 방법을, 명세서에 명시된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조합 또는 재배치할 수 있으며,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실시형태 1은 섬유, 입자, 수지결합제를 포함하는 마찰재료를 함유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여기서 입자는 마찰재료 전체에 걸쳐 입자군 영역을 이루며 응집해 있으며, 입자군 영역의 수량 및 배치에 따라 입자군 영역 대신 단일 입자를 가지는 조성물에 비교해 평균 침투율이 2~10배까지 증가하게 된다.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입자가 흑연입자, 규조토 입자, 실리카 입자, 탄소입자, 탄화물 입자, 세라믹 입자, 캐슈 오일 입자, 고무 입자, 질화물 입자, 니트릴 입자, 페놀 입자, 제올라이트 입자 또는 아라미드 입자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3은 실시형태 1 또는 2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입자의 입경이 10~500mm의 범위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4는 실시형태 1~3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입자의 입경이 10~150mm의 범위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5는 실시형태 1~4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수지결합제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개질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6은 실시형태 1~5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섬유가 아크릴, 아라미드, 탄소, 셀룰로오스, 유리, 광물(공학적 가공), 폴리이미드, 폴리비닐 알코올(PVA), 레이온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7은 실시형태 1~6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마찰재료가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염,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스티렌-부타디엔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화학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8은 실시형태 1~7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입자가 입경 범위 20~150mm의 흑연입자로 이루어지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9는 실시형태 1~8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입자가 입경 범위 1~40mm의 규조토 입자로 이루어지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0은 실시형태 1~9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마찰재료가 5~50mm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기공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1은 실시형태 1~10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4mm보다 큰 기공의 비율이 마찰재료의 전체 기공 용적에 대하여 0%~50%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2는,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흑연입자, 규조토 입자로 이루어지는 마찰재료를 포함하고, 아라미드 섬유의 중량백분율은 20%~60%, 탄소섬유의 중량백분율은 5%~20%, 흑연입자의 중량백분율은 5%~25%, 규조토 입자의 중량백분율은 5%~30%이고, 흑연입자와 규조토 입자 중 적어도 한쪽이 응집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3은 실시형태 12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규조토 입자의 입경이 1~40mm의 범위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4는 실시형태 12 또는 13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흑연입자의 입경이 20~150mm의 범위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5는 실시형태 12~14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마찰재료가 5~50mm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기공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6은 실시형태 12~15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4mm보다 큰 기공의 비율이 마찰재료의 전체 기공 용적에 대하여 적어도 50%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7은 실시형태 12~16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흑연입자와 규조토 입자 중 적어도 한쪽이 마찰재료 전체에 걸쳐 입자군 영역을 이루며 응집해 있고, 입자군 영역의 수량 및 배치에 따라 입자군 영역 대신 단일 입자를 가지는 조성물에 비교해 평균 침투율이 2~10배까지 증가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8은 실시형태 12~17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마찰재료가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염,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스티렌-부타디엔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화학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19는 실시형태 12~18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마찰재료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개질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수지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0은 실시형태 12~18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아라미드 섬유와 탄소섬유 중 적어도 한쪽이 직조(weaving), 편직(knitting), 브레이딩(braiding), 평직(plain weaving), 또는 공단직(satin weaving)에 의해 제조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1은, 복수의 섬유, 수지결합제, 복수의 결합입자로 이루어진 복수의 결합군(bonded group)을 포함하고, 복수의 결합군이 각각 10~500mm 범위의 반경을 가지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2는 실시형태 21에 개시된 생성물로, 복수의 결합군이 각각 10~150mm 범위의 반경을 가지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3은 실시형태 21 또는 22에 개시된 생성물로, 복수의 결합군이 각각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4는, 실시형태 1~23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섬유가 2차원 또는 3차원 정향성을 가지도록 제조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5는 실시형태 1~24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섬유가 핸드 레이업(hand lay-up), 압출(extrusion), 스프레이 레이업(spray lay-up), 인발(pultrusion), 습식 레이업(wet lay-up), 쵸퍼 건(chopper gun), 개조 스트랜드매트(chopped strand mat), 압력 백 성형(pressure bag moluding), 오토클레이브 성형(autoclave moulding), 고분자액체 복합성형(polymeric liquid composite moluding), 블래더 성형(bladder moulding), 압축성형(compression moulding), 코울 플레이트(caul plate), 맨드릴 래핑(mandrel wrapping),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winding), 용융(melting), 단섬유(staple fiber), 연속 필라멘트(continuous filament), 수지함침성형법(RTM) 또는 진공수지함침성형법(VARTM)을 통해 제조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6은 실시형태 1~25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마찰재료가 공기 400cc당 5~8초의 공기저항성을 가지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7은 실시형태 1~26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입자가 구체, 타원체, 정육면체, 다면체 또는 불규칙적인 형상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8은 실시형태 1~27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화학 바인더가 반응성 바인더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29는 실시형태 1~28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섬유가 복층 구조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30은 실시형태 1~29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상기한 마찰 재료가 차량의 습식 클러치에 사용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31은 실시형태 12~30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규조토 입자 및/또는 흑연입자 중 한쪽이 응집하고 다른 쪽은 균일하게 분포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32는 실시형태 1~31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입자의 중량백분율이 마찰재료의 총중량에 대해서 15%~50% 범위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33은 실시형태 1~32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입자의 중량백분율이 마찰재료의 총중량에 대해서 20%~50% 범위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34는 실시형태 12~33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입자의 중량백분율이 마찰재료의 총중량에 대해서 10%~60% 범위인 생성물을 개시한다.
실시형태 35는 실시형태 12~34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생성물로, 화학 바인더가 라텍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엄선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한 실시예의 변형 내지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 및 정신에서 일탈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

Claims (22)

  1. 복수의 섬유, 복수의 입자, 화학 바인더(binder), 수지결합제(bonding agent)로 이루어진 마찰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입자는 상기 마찰재료 전체에 걸쳐 입자군 영역(regions of groups of particles)을 이루며 응집해 있고, 상기 입자군 영역의 수량 및 배치에 따라 입자군 영역 대신 단일 입자를 가지는 조성물에 비교해 평균 침투율이 2~10배까지 증가하는, 생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흑연(graphite) 입자, 규조토(diatomaceous earth) 입자, 실리카 입자, 탄소입자, 탄화물 입자, 세라믹 입자, 캐슈 오일(cashew oil) 입자, 고무 입자, 질화물 입자, 니트릴 입자, 페놀 입자, 제올라이트(zeolite) 입자, 아라미드(aramid) 입자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생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입경은 10~500mm의 범위인, 생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의 입경은 10~150mm의 범위인, 생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료는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염,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스티렌-부타디엔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화학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아크릴, 아라미드, 탄소, 셀룰로오스, 유리, 광물(공학적 가공), 폴리이미드, 폴리비닐 알코올(PVA), 레이온(Rayon)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생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입경의 범위가 20~150mm인 흑연입자로 이루어지는, 생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는, 입경의 범위가 1~40mm인 규조토 입자로 이루어지는, 생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료는 5~50mm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기공(pore)을 포함하는, 생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4mm보다 큰 기공의 비율은 상기 마찰재료의 전체 기공 용적에 대하여 0%~50%인, 생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결합제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개질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생성물.
  12. 아라미드 섬유, 탄소섬유, 흑연입자, 규조토 입자로 이루어지는 마찰재료를 포함하고,
    아라미드 섬유의 중량백분율은 20%~60%, 탄소섬유의 중량백분율은 5%~20%, 상기 흑연입자의 중량백분율은 5%~25%, 상기 규조토 입자의 중량백분율은 5%~30%이고, 상기 흑연입자와 상기 규조토 입자 중 적어도 한쪽이 응집하는, 생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규조토 입자의 입경은 1~40mm의 범위인, 생성물.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입자의 입경은 20~150mm의 범위인, 생성물.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료는 5~50mm 범위의 크기를 가지는 기공(pore)을 포함하는, 생성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4mm보다 큰 기공의 비율은 상기 마찰재료의 전체 기공 용적에 대하여 0%~50%인, 생성물.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흑연입자와 상기 규조토 입자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마찰재료 전체에 걸쳐 입자군 영역(regions of groups of particles)을 이루며 응집해 있고, 상기 입자군 영역의 수량 및 배치에 따라 입자군 영역 대신 단일 입자를 가지는 조성물에 비교해 평균 침투율이 2~10배까지 증가하는, 생성물.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료는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염,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 스티렌-부타디엔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화학 바인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성물.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료는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개질 페놀 수지, 실리콘 수지 중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는 수지결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생성물.
  20. 복수의 섬유, 화학 바인더, 복수의 결합입자로 이루어진 복수의 결합군(bonded group)으로 이루어지는 마찰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결합군은 각각 10~500mm 범위의 반경을 가지는, 생성물.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군은 각각 10~150mm 범위의 반경을 가지는, 생성물.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군은 각각 불규칙한 형상을 가지는, 생성물.
KR1020167004765A 2013-07-29 2014-07-18 마찰재료 KR102287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53,235 2013-07-29
US13/953,235 US9677635B2 (en) 2013-07-29 2013-07-29 Friction material
PCT/US2014/047117 WO2015017141A1 (en) 2013-07-29 2014-07-18 Friction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640A true KR20160039640A (ko) 2016-04-11
KR102287054B1 KR102287054B1 (ko) 2021-08-06

Family

ID=5239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765A KR102287054B1 (ko) 2013-07-29 2014-07-18 마찰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77635B2 (ko)
EP (1) EP3027931B1 (ko)
JP (2) JP6979272B2 (ko)
KR (1) KR102287054B1 (ko)
CN (1) CN105556159B (ko)
WO (1) WO20150171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7707B1 (de) 2013-07-30 2019-12-11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102318974B1 (ko) 2013-10-08 2021-10-28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재료
CN108368416A (zh) * 2015-12-30 2018-08-03 博格华纳公司 摩擦材料
CN107620773B (zh) * 2016-07-15 2021-03-19 博格华纳公司 摩擦材料
CN106085042A (zh) * 2016-07-18 2016-11-09 张和庆 一种环保型离合器面片料用浸制涂料
JP6867783B2 (ja) 2016-11-02 2021-05-12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摩擦材組成物及び摩擦材
WO2018093353A1 (en) 2016-11-15 2018-05-24 Borgwarner Inc. Friction material
CN107418192A (zh) * 2017-04-28 2017-12-01 青岛高智高新科技有限公司 一种尼龙导热新材料的制作工艺
US10955009B2 (en) 2018-04-03 2021-03-23 Borgwarner Inc. Clutch pack having different clutch plate materials
DE102019113375A1 (de) 2018-05-31 2019-12-05 Borgwarner Inc. Reibmaterial
CN112555308A (zh) * 2020-11-13 2021-03-26 安徽清水湖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降低惯性的摩擦材料及摩擦衬片
CN113816652A (zh) * 2021-10-13 2021-12-21 西安长峰机电研究所 一种纤维增强热固性聚酰亚胺基复合摩擦材料及制备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634A (en) * 1986-01-22 1988-05-10 Raymark Industries, Inc. Molded non-asbestos friction member containing diatomaceous earth
US5866636A (en) * 1994-09-12 1999-02-0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Non-asbestos friction material
US20040247847A1 (en) * 2001-12-14 2004-12-09 Teruyuki Nagayoshi Friction naterial composition and friction material using the composition
US20050075413A1 (en) * 2003-10-03 2005-04-07 Lam Robert C. Mixed deposit friction material
KR20050033447A (ko) * 2003-10-03 2005-04-12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고효율 내구성 마찰재
KR20050033468A (ko) * 2003-10-03 2005-04-12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진 직조 마찰재
US20080160260A1 (en) * 2006-12-28 2008-07-03 Norio Wada Friction material for brakes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9123A (en) 1957-03-15 1959-08-26 Borg Warner Improvements relating to paper friction lining materials
US3270846A (en) 1961-04-10 1966-09-06 Borg Warner Friction member with friction material
US3326822A (en) 1963-09-24 1967-06-20 Borg Warner Friction elements and methods of their manufacture
US3390750A (en) 1966-10-25 1968-07-02 Borg Warner Friction element having a layer of porous sintered metal fibers
GB1408568A (en) * 1971-11-04 1975-10-01 Bba Group Ltd Friction materials
NL7907748A (nl) 1978-10-23 1980-04-25 Kuraray Co Polyvinylalcoholveze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hiervan.
US4373037A (en) 1981-05-29 1983-02-08 Engelhard Corporation Asbestos-free friction material incorporating attapulgite clay
US5110678A (en) 1989-04-27 1992-05-05 Kuraray Company Limited Synthetic polyvinyl alcohol fiber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5268398A (en) 1989-09-01 1993-12-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Friction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material
US5474842A (en) * 1991-08-20 1995-12-12 Hoiness; David E. Aramid particles as wear additives
US5516816A (en) * 1993-02-12 1996-05-14 Alliedsignal Inc. Friction composition and friction element fabricated therefrom
US6130176A (en) 1993-08-04 2000-10-10 Borg-Warner Inc. Fibrous base material for a friction lining material comprising less fibrillated aramid fibers and carbon fibers
US5753356A (en) 1993-08-04 1998-05-19 Borg-Warner Automotive, Inc. Friction lining material comprising less fibrillated aramid fibers and synthetic graphite
US5998307A (en) 1993-08-04 1999-12-07 Borg-Warner Autotive, Inc. Fibrous lining material comprising a primary layer having less fibrillated aramid fibers and synthetic graphite and a secondary layer comprising carbon particles
US5707905A (en) 1993-08-04 1998-01-13 Borg-Warner Automotive, Inc. Fibrous base material for a friction lining material comprising less fibrillated aramid fibers and synthetic graphite
US5856244A (en) 1993-08-04 1999-01-05 Borg-Warner Automotive, Inc. Carbon deposit friction lining material
US5573579A (en) * 1994-03-17 1996-11-12 Osaka Gas Company, Ltd. Method for producing friction material
EP0695887B2 (en) 1994-08-02 2005-03-23 BorgWarner, Inc. Friction lining materials
US6060536A (en) 1995-01-05 2000-05-09 Nsk-Warner Kabushiki Kaisha Method of producing wet friction material and wet frictional material
US5576358A (en) * 1995-02-03 1996-11-19 Alliedsignal Inc. Composition for use in friction materials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US6630416B1 (en) 2000-11-06 2003-10-07 Borgwarner Inc. Friction material formed by deposition of friction modifiers on high, wet energy carbonaceous friction materials
JP2003013043A (ja) * 2001-04-24 2003-01-15 Hitachi Chem Co Ltd 摩擦材組成物及び摩擦材組成物を用いた摩擦材
JP4911334B2 (ja) 2001-08-03 2012-04-04 日本エクスラン工業株式会社 湿式摩擦材用繊維基材
JP2004067884A (ja) * 2002-08-07 2004-03-04 Nisshinbo Ind Inc 非石綿系摩擦材
US7294388B2 (en) 2002-08-13 2007-11-13 Borgwarner Inc. Friction material with nanoparticles of friction modifying layer
US20040043193A1 (en) 2002-08-30 2004-03-04 Yih-Fang Chen Friction material with friction modifying layer
US6875711B2 (en) 2002-09-04 2005-04-05 Borgwarner Inc. Friction material with friction modifying layer having symmetrical geometric shapes
US7537824B2 (en) 2002-10-24 2009-05-26 Borgwarner, Inc. Wet friction material with pitch carbon fiber
FR2852014B1 (fr) 2003-03-05 2008-07-11 Centre Nat Rech Scient Peptide antimicrobien, gene codant ledit peptide, vecteur, organisme transforme et composition le contenant
US7214153B2 (en) 2003-07-18 2007-05-08 Borgwarner Inc. Method of changing the duty cycle frequency of a PWM solenoid on a CAM phaser to increase compliance in a timing drive
US20050064778A1 (en) 2003-09-19 2005-03-24 Lam Robert C. High coefficient friction material with symmetrical friction modifying particles
US20050075021A1 (en) 2003-10-03 2005-04-07 Lam Robert C. High performance, durable, deposit friction material
US20050074595A1 (en) 2003-10-03 2005-04-07 Lam Robert C. Friction material containing partially carbonized carbon fibers
US20050075022A1 (en) 2003-10-03 2005-04-07 Lam Robert C. Elastic and porous friction material with high amount of fibers
US8021744B2 (en) * 2004-06-18 2011-09-20 Borgwarner Inc. Fully fibrous structure friction material
US20060009541A1 (en) 2004-07-09 2006-01-12 Yih-Fang Chen Saturant for friction material containing friction modifying layer
US20060008635A1 (en) 2004-07-09 2006-01-12 Feng Dong Porous friction material with friction modifying layer
US7429418B2 (en) 2004-07-26 2008-09-30 Borgwarner, Inc. Porous friction material comprising nanoparticles of friction modifying material
US8603614B2 (en) 2004-07-26 2013-12-10 Borgwarner Inc. Porous friction material with nanoparticles of friction modifying material
US7806975B2 (en) 2005-04-26 2010-10-05 Borgwarner Inc. Friction material
JP5057260B2 (ja) * 2005-10-07 2012-10-24 東海カーボン株式会社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材の製造方法
EP1943300B1 (en) 2005-11-02 2016-07-06 BorgWarner, Inc. Carbon friction materials
US7294188B2 (en) 2005-12-20 2007-11-13 Akebono Corporation (North America) Mixing method for friction material with a pre-mix in a single mixer
US20090048369A1 (en) 2006-03-29 2009-02-19 Newcomb Timothy P Friction Materials Made With Resins Containing Polar Functional Groups
JP5105509B2 (ja) * 2007-02-02 2012-12-26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摩擦材用造粒物の製造方法、摩擦材用造粒物、摩擦材の製造方法および摩擦材
DE102009030506A1 (de) 2008-06-30 2009-12-31 Borgwarner Inc., Auburn Hills Reibungsmaterialien
US8367767B1 (en) 2009-02-27 2013-0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Friction lining for wet clutch
US8563448B2 (en) 2010-01-29 2013-10-22 Eaton Corporation Friction member and friction material thereof
JP5748600B2 (ja) * 2011-08-01 2015-07-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湿式摩擦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451778A (zh) 2013-08-15 2013-12-18 苏州龙杰特种纤维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平整横截面的聚乙烯醇纤维及包含该纤维的无纺布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634A (en) * 1986-01-22 1988-05-10 Raymark Industries, Inc. Molded non-asbestos friction member containing diatomaceous earth
US5866636A (en) * 1994-09-12 1999-02-0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Non-asbestos friction material
US20040247847A1 (en) * 2001-12-14 2004-12-09 Teruyuki Nagayoshi Friction naterial composition and friction material using the composition
US20050075413A1 (en) * 2003-10-03 2005-04-07 Lam Robert C. Mixed deposit friction material
KR20050033447A (ko) * 2003-10-03 2005-04-12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고효율 내구성 마찰재
KR20050033468A (ko) * 2003-10-03 2005-04-12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높은 마찰 계수를 가진 직조 마찰재
US20080160260A1 (en) * 2006-12-28 2008-07-03 Norio Wada Friction material for brak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9272B2 (ja) 2021-12-08
US20150031787A1 (en) 2015-01-29
CN105556159B (zh) 2019-04-12
EP3027931B1 (en) 2021-10-20
CN105556159A (zh) 2016-05-04
EP3027931A4 (en) 2017-07-19
JP2020143286A (ja) 2020-09-10
EP3027931A1 (en) 2016-06-08
JP2016530366A (ja) 2016-09-29
WO2015017141A1 (en) 2015-02-05
KR102287054B1 (ko) 2021-08-06
US9677635B2 (en) 201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9640A (ko) 마찰재료
JP5194453B2 (ja) 繊維強化樹脂
TW200528600A (en) Sheet of flame retardant porous material, molded article thereof and flame retardant sound-insulating material for car
WO2013080975A1 (ja) 耐衝撃部材
JP2012533503A5 (ko)
US20060182947A1 (e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 including mineral fillers
US8492466B2 (en) Friction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of friction material
CN101300297A (zh) 碳摩擦材料
KR102419947B1 (ko) 섬유 재료, 다단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US10406776B2 (en) Thermoplastic bonded preforms and thermoset matrices formed therewith
US20170276200A1 (en) Friction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friction material
KR101323618B1 (ko) 에어로겔 코팅액, 이로 코팅된 에어로겔 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에어로겔 시트
CN102510801A (zh) 用于汽车面板的模制产品
US20200224345A1 (en) Liquid permeable body
JP7084322B2 (ja) プリフォー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US11065833B2 (en) Flexible core for machine processing or production of composite parts or materials
KR20040111349A (ko) 복합 마찰 요소 및 인발 제조 방법
KR101156938B1 (ko) 싱크로나이저 링 습식 마찰재의 제조방법
KR102200957B1 (ko) 다공성 섬유강화 복합재
WO2014144161A1 (en) Composite friction materials
JP2004238408A (ja) ブレーキパッド
CN105713559A (zh) 一种增加摩擦片气孔率的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522018A (zh) 一种抗菌碳纳米管改性碳纤维增强纸基摩擦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