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782A -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782A
KR20160038782A KR1020150135280A KR20150135280A KR20160038782A KR 20160038782 A KR20160038782 A KR 20160038782A KR 1020150135280 A KR1020150135280 A KR 1020150135280A KR 20150135280 A KR20150135280 A KR 20150135280A KR 20160038782 A KR20160038782 A KR 20160038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and
control
request
control plan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토 오마가리
히로시 무라타
아키히로 스즈야마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3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7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24F11/02
    • F24F11/0009
    • F24F11/001
    • F24F11/0034
    • F24F11/006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02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 G05D23/1904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variable reference value variable in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20Feedback from 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망 판별 실현을 위한 제약 조건을 완화하여, 신고자의 요망 신고 부하를 경감하면서,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는, 요망 판별부(5)와, 신고자로부터의 공조에 대한 요망에 따라 공조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대해서 기억하는 제어 플랜 기억부(4)와, 요망 판별부(5)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부(3)와,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조 기기(6)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부(2)를 구비한다. 요망 판별부(5)는, 신고자로부터의 공조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요망의 신고수에 따라,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APPARATUS OF DISCRIMINATING REQUEST,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METHOD OF DISCRIMINATING REQUEST, AND AIR CONDITION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신고자로부터의 공조에 대한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요망 판별 장치 및 요망 판별 방법과, 이 판별 결과를 공조 제어에 반영하는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조 제어 시스템이 도입되어 있는 건물에 있어서, 거주자가 공조에의 요망을 신고하는 것은, 통상, 거주자가 그곳에 있는 목적(예컨대, 사무실이면 거주자의 업무)과는 관계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번거로운 작업인 경우가 많다. 또한, 거주자가 열적 불쾌를 강하게 자각하지 않는 상태(쾌적하거나, 혹은 약간 덥거나, 약간 춥다고 하는 상태)에서의 요망(이하, 약요망이라고 함)에 대해서는, 그 감각을 강하게 자각하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요망 신고는 행해지기 어렵다. 결과로서, 요망 신고는, 「약요망」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강한 요망(이하, 강요망이라고 함)이 중심이 되기 쉽다.
이에 의해, 예컨대, 거주자의 「덥다」라고 하는 강요망에 공조 제어가 대응한 결과로서 실온 설정값이 과도하게 내려진 경우, 도중 경과로서 덥지도 춥지도 않은 적당한 상태로 실내 환경이 개선되어 가도, 「덥지도 춥지도 않다」 부근의 「약요망」은 신고되기 어렵다. 그리고, 적정 상태에 가까운 환경을 나타내는 「약요망」이 거주자로부터 신고되기 어렵기 때문에 실온 설정값이 유지되고, 이윽고 상반되는 「강요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덥다」라고 하는 요망 신고에 대응하여 실온 설정값이 과도하게 내려졌다고 해도, 「약간 덥다」, 「약간 춥다」라고 하는 요망 신고가 없으면, 실온 설정값은 그대로 유지된다. 그 결과, 상반되는 「강요망」인 「춥다」라고 하는 요망이 신고될 때까지 실온은 저하하게 된다.
그리고, 「춥다」라고 하는 요망이 신고되면, 실온 설정값이 과도하게 올려질 가능성이 있어, 상반되는 「강요망」인 「덥다」라고 하는 요망이 신고될 때까지 실온은 상승하게 된다. 이 상반되는 「강요망」의 반복에 의해, 최악의 경우, 거주자는 「덥다」, 「춥다」라고 하는 상반되는 감각을 주기적으로 느끼게 된다. 이러한 반복은, 거주자에게 불쾌하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제어가 안정되지 않는 것에 따른 헛된 에너지 소비의 발생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거주자 자신이 공조에의 요망을 직접 신고하고, 주기적으로 신고수를 집계하는 신고형 공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신고가 입력되었을 때부터 미리 정해진 유효 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신고를 소거하는 개별 신고 소거부와, 신고자가 유효 시간의 나머지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유효 시간의 나머지 시간을 표시하는 나머지 시간 표시부와, 신고가 소거된 것을 신고자에게 알림으로써, 신고자에 대하여 재차의 신고를 재촉하는 통지부를 마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거주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함으로써, 거주자의 요망 신고의 부담을 경감하면서, 공조 제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요망 판별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구체적으로는, 거주자의 대사량의 변화에 따른 일시적인 요망 신고에 의해, 공조 제어가 흐트러져 버리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60463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4508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신고형 공조 제어 시스템에서는, 「약요망」의 신고가 행해지기 어려운 것에는 변함이 없으며, 「강요망」을 집계하는 경향이 되기 쉽기 때문에, 제어가 불안정해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효 시간 설정은, 신고자의 체감이 시간 경과에 따라 쾌적한 방향으로 일률적으로 개선되는 경우에 유효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예컨대 「덥다」라고 하는 요망 신고에 대응하는 실온 설정값의 하락 폭이 부족한 경우 등 요망이 해소되지 않고 지속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에 유효 시간 설정을 채용하고 있으면, 요망이 해소되지 않은 신고자는, 신고가 소거될 때마다 동일한 요망을 다시 신고하지 않으면 안 된다. 최악의 경우에는, 번거로운 신고 작업을 정기적으로 실시할지, 불만인 환경 중에서 견딜지의 선택을 강요받게 되어, 공조 제어 시스템 자체에의 거주자의 불만감도 증대하기 쉽다. 따라서, 유효 시간 설정이 「약요망」의 신고가 행해지기 어려운 것에 의한 제어의 불안정화를 개선하는 것으로는 이어지지 않는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건물 스케줄, 개인의 시큐리티 이력, 공조 영역의 쾌적성을 나타내는 온냉 감지표인 PMV(Predicted Mean Vote) 등을 이용하여, 거주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한다. 그러나, 건물 스케줄이 부정확한 건물(쇼핑 센터 등)에서는, 건물 스케줄을 이용하여 요망 판별을 행할 수는 없으며, 또한 PMV값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PMV값 계측을 위한 센서가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제약이 있다. 그러므로, 이들 제약에 대해서, 추가적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요망 판별 실현을 위한 제약 조건을 완화하여, 신고자의 요망 신고 부하(횟수나 시간)를 경감하면서,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는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는, 신고자로부터의 공조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요망의 신고수에 따라,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판별 처리 수단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발생하였을 때에, 미리 정해진 신고 판정 시간 내에서 그 요망과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에는,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하고, 상기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판별 처리 수단은, 동일한 신고자가 상기 신고 판정 시간 내에 동종의 요망 신고를 복수회 행한 경우에는, 이들 요망을 하나의 요망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망 판별 장치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판별 처리 수단은, 상기 신고자에 관련된 스케줄 정보에서,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이라고 간주하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이 시간대에서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요망의 신고수와 무관하게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시스템은, 요망 판별 장치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공조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과, 이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상기 요망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에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 수단과, 이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이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고, 일정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 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이며, 상기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계속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시스템의 일 구성예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였을 때부터 상기 유지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지속적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유지 시간의 경과 후에 다음 일시적 요망 또는 지속적 요망이 발생할 때까지, 변경 중인 제어 설정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요망 판별 방법은, 신고자로부터의 공조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단계와, 요망의 신고수에 따라,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방법은, 상기 각 단계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공조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이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상기 판별 단계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에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 단계와, 이 제어 플랜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망의 신고수에 따라,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 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판별 결과를 공조 제어에 반영하면, 신고자의 부하를 경감하면서, 공조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요망의 지속 종류의 판별에 건물 스케줄, 개인의 시큐리티 이력, PMV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건물 용도나 계측 조건에 제약받는 일없이, 요망의 지속 종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요망 판별 실현을 위한 제약 조건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신고자가 신고 판정 시간 내에 동종의 요망 신고를 복수회 행한 경우에는, 이들 요망을 하나의 요망으로 간주함으로써, 특정한 사람으로부터의 과도한 요망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고자에 관련된 스케줄 정보에서,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이 시간대에서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요망의 신고수와 무관하게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함으로써, 공조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요망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에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조 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요망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를 공조 제어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에 따라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였을 때부터 유지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지속적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유지 시간의 경과 후에 다음 일시적 요망 또는 지속적 요망이 발생할 때까지, 변경 중인 제어 설정값을 유지함으로써, 제어 설정값의 과도한 변경을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공조 제어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거주자의 대사량과 PMV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요망 판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플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고 요망에 대한 제어 설정값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고 요망에 대한 제어 설정값의 다른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요망 판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신고 요망에 대한 제어 설정값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 및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원리]
본 발명은, 건물의 공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거주자의 공조에의 요망(예컨대 덥다, 춥다, 실온을 XX℃ 올려주길 바람, XX℃ 내려주길 바람 등)을 반영하여 제어하는 요망 대응형 공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대상으로 하며, 거주자가 요망을 공조 제어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신고형 공조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A) 거주자로부터의 요망을 받아, 설비 관리자가 BEMS(Build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 등을 이용하여 거주자 요망을 공조 제어에 반영하는 경우, (B) 거주자 자신이 공조에의 요망을 공조 제어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신고하는 경우[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서비스 등으로 원격으로 거주자 요망을 수신하여, 제어에 반영하는 경우도 포함함] 모두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거주자, 신고자, 요망 입력자를 이하와 같이 구별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대상이 되는 공조 환경에 재석해 있는 사람을, 거주자라고 부른다. 신고 행동을 일으킬지의 여부는 거주자에게 의존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조에의 변경 요망을 신고(전화 등에 의한 음성 통지를 포함함)한다고 하는 행동을 일으키는 거주자를, 신고자라고 부른다. 거주자가 공조 환경에 불만을 느끼고 있어도, 신고 행동을 일으키지 않으면 신고자로는 취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고자의 공조에의 변경 요망을 공조 제어에 반영할 목적으로 공조 제어 시스템에 입력하는 사람을, 요망 입력자라고 부른다. 거주자가 변경 요망을 공조 제어 시스템에 직접 입력하는 신고형 공조 제어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는 경우, 신고자와 요망 입력자는 동일해진다. 또한, 이외의 공조 제어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신고자가 요망 입력자인 설비 관리자에 대하여 변경 요망을 신고(전화나 메일 등으로 통지)하여, 설비 관리자가 이 요망을 공조 제어 시스템에 입력하는 방식이 있다.
이상과 같은 공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발명자는, 일시적(지속성이 상이함) 요망 신고에 대하여 통상의 요망 신고와는 상이한 제어를 적용하기 위한 판단 기준으로서, 항구적으로 설정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복수의 사람이 신고하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면, 최초의 요망 신고를 받은 시점에서는 모든 요망을 일시적인 요망으로 간주하고, 그 후, 다른 사람에 의한 동일한 요망 신고를 받은 시점에서 복수의 사람이 신고한 요망이 되는 것에 따라, 지속적인 요망으로 판단을 수정하면, 일시적 요망/지속적 요망의 판단을 건물 용도나 계측 조건에 제약받지 않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는 모든 요망은 일시적이라고 판단하고, 짧은 기간 내에 동종의 요망 신고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지속적 요망으로 판단함으로써, 용이하게 일시적 요망/지속적 요망의 판단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주자로부터의 요망 신고를 접수하였을 때에, 우선 모든 요망을 일시적이라고 판별한다. 동종의 요망 신고를 복수의 사람이 신고한 경우에, 그 요망을 지속적이라고 판별한다. 그리고, 이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공조의 제어 플랜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어 플랜이란, 요망에 따라 공조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거주자 자신이 자기의 요망을 공조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입력하는 거주자 신고형 공조 제어 시스템의 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고자의 공조에의 변경 요망을 그 지속 시간에 착안한 종류(이하, 지속 종류라고 기재)로 판별하여 공조 제어에 반영하는 점이 중요한 포인트이다. 본 발명은, 공조 방식(예컨대 개별 방식, 중앙식 등) 및 채용하고 있는 공조 기기 종류, 공조 제어 요소(온도, 습도, 방사나 그 복합 제어 등), 요망 입력 단말 종류(BEMS, PC, 휴대 전화, 스마트 폰, 전용 입력 단말 등) 등에 상관없이, 당업자의 통상의 기술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대상으로 하는 하나의 공조 영역에 복수의 거주자가 재석하는 거주자 신고형 공조 제어 시스템의 예로 설명한다(도 1).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00은 거주자, 101은 거주자의 재석 공간, 102는 변경 요망을 받는 공조 제어 장치(컨트롤러), 103은 재석 공간(101)의 실온을 계측하는 온도 센서, 104는 재석 공간(101)의 습도를 계측하는 습도 센서, 105는 실내기, 106은 실외기이다. 공조 제어 장치(102)는, 온도 센서(103)에 의해 계측되는 실온이 실온 설정값과 일치하고, 습도 센서(104)에 의해 계측되는 습도가 습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공조 기기[실내기(105) 및 실외기(106)]를 제어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계 냉방 시의 예로 설명하지만, 물론, 본 발명은 중간기나 동계 난방 시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에 거주자의 대사량과 공조 영역의 쾌적성을 나타내는 온냉 감지표인 PMV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의 예에서는, 거주자의 대사량 이외의 PMV의 영향 요인(온도, 습도, 방사, 풍속, 착의량)은 여름의 사무실을 상정한 고정값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온, 방사 온도를 27℃, 풍속을 0.1 m/s, 상대 습도를 50%, 착의량을 0.5[clo]로 하고 있다.
공조의 실온 설정값은 에너지 절약이나 절전 대책을 위해, 일본 환경성의 장려값(여름 28℃, 겨울 20℃)에 기초하여 실내 환경이 악화하는 방향으로 완화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쾌적성의 영향 요인은 실온뿐만이 아니기 때문에, 그 외의 영향 요인이 악화하면 PMV 쾌적 영역인 ±0.5의 범위를 일탈한다. 도 2의 예에서는, 실온이 일본 환경성 장려값보다 1℃ 쾌적측의 설정(27℃)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컨대 섭식에 의해 거주자의 대사량이 표준 대사량 1.0[met]보다 10% 증가하여 1.1[met]이 되면, PMV가 쾌적 영역 상한이라고 하는 0.5를 넘어 버려, 식후의 요망 신고의 발생 요인이 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식사(점심 등) 혹은 신체 활동(출근 후, 복귀 후, 회의실 이동 후 등)에 의해 발생하는 요망은, 일시적인 대사량 증가에 의한 것이며, 대사량이 시간 경과와 함께 감소·안정화되면, 실내 환경에 변화가 없어도 머지않아 해소 방향을 향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출장지로부터의 복귀 직후에는 덥다고 느꼈다고 해도, 복귀 직후로부터 시간이 경과하면, 온도·습도 등의 실내 환경에 변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덥다고 하는 감각이 해소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한편으로, 사무실에서 집무를 계속하고 있는 거주자는 대사량이 안정되어 있는 상태이며, 요망을 야기시키는 요인은 거주자측의 체내 환경 변화가 아니라, 실내 환경이 요인인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는, 거주자로부터의 요망 신고에 대응하여 실내 환경이 적절히 개선되지 않으면 요망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요망 신고에는, 「덥다」, 「약간 덥다」, 「덥지도 춥지도 않다」, 「약간 춥다」, 「춥다」, 「XX℃ 올려주길 바람」, 「XX℃ 내려주길 바람」 등과 같이, 공조 변경의 방향(따뜻하게, 서늘하게) 및 강도와 관련지어지는 변경 요망 종류(이하, 변경 종류라고 기재)에 더하여, 또한, 실내 환경에 변화가 없어도 머지않아 해소 방향을 향하는 요망(이하, 일시적 요망이라고 기재)과, 실내 환경에 변화가 없으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요망(이하, 지속적 요망이라고 기재)이라고 하는, 지속성에 착안한 종류(이하, 지속 종류라고 기재)가 있다.
특히, 섭식 등에 의한 급격한 대사량 증가에 의해 발생하는 요망은 일시적이며 또한 강요망이 되기 쉬워, 단시간에 복수회의 강요망의 신고가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요망을 느끼는 방법 자체가 시간과 함께 해소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지속적 요망과 구별없이 변경 종류에만 착안하여 동일한 제어를 적용한 경우, 일시적 요망 쪽이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의 불안정 상태를 야기하기 쉽다. 따라서, 제어가 불안정해지는 확률을 저감하기 위해, 일시적 요망을 판별하여, 지속적 요망과는 상이한 제어 플랜을 적용한다.
도 3는 본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는, 기기 제어부(2)와, 제어 플랜 결정부(3)와, 제어 플랜 기억부(4)와, 요망 판별부(5)를 구비한다.
기기 제어부(2)는, 제어 플랜 결정부(3)가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조 기기(6)를 제어한다.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요망의 처리 시점에서 실시되고 있는 제어 플랜과 제어 플랜 기억부(4)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정보와 요망 판별부(5)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을 결정한다.
제어 플랜 기억부(4)에는, 요망 판별부(5)의 판별 결과에 대하여 적용하는 제어 플랜이 미리 설정되어, 기억되어 있다. 이들 제어 플랜은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다.
요망 판별부(5)에는, 요망의 신고수에 따라 요망을 판별하는 요망 판별 룰이 미리 설정되어, 기억되어 있다. 요망 판별 룰은,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에너지 관리자가 미리 설정한다. 요망 판별부(5)는, 요망 판별 룰에 기초하여, 신고된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하고, 그 요망 종류(덥다/춥다 등)와 함께 지속 종류를 유지한다.
요망 신고자가 공조에의 요망을 입력하는 요망 입력 단말(7)로서는, PC,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전용 리모콘 단말 등이 있다.
또한,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공조 제어 장치(102)의 내부에 마련되지만, 요망 판별부(5)를 별도의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요망 판별 장치로서 공조 제어 장치(102)의 외부에 마련하여도 좋다.
도 4는 요망 판별부(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요망 판별부(5)는,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인 요망 유지부(50)와, 판별 룰 기억부(51)와, 판별 처리부(52)로 구성된다.
요망 유지부(50)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입력된 요망 신고를 유지한다. 판별 룰 기억부(51)에는,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을 판별하기 위한 요망 판별 룰이 미리 설정되어, 기억되어 있다. 이 요망 판별 룰은,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에너지 관리자가 설정한다.
판별 처리부(52)는, 요망 유지부(50)에 유지되어 있는 과거의 요망과 최신의 요망으로부터, 요망의 신고수가 미리 정해진 수에 달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최신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공조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거주자의 요망 신고를 접수하였을 때의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요망 입력 단말(7)은, 요망 입력자가 입력한 요망의 변경 종류(DS)와 신고 시각(Stime)을 요망 판별부(5)에 송신하고, 요망 판별부(5)의 요망 유지부(50)는, 수신한 정보를 요망[V(DS, Stime)]으로서 유지한다(도 5 단계 S1-1). 본 실시형태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변경 종류(DS)를 「덥다」, 「춥다」의 2종류로 하고, 「덥다」를 값 「1」로 나타내며, 「춥다」를 값 「-1」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즉, 예컨대, 신고 시각 10시 10분에 거주자가 「덥다」라고 신고한 요망은 V(1, 10:10)로서 유지되고, 동일한 시각에 「춥다」라고 신고한 요망은 V(-1, 10:10)로서 유지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변경 종류(DS) 및 신고 시각(Stime)을 송신하지만, 신고 시각(Stime)을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송신하지 않고, 요망 신고를 접수한 시각을 신고 시각으로 하여, 요망 유지부(50)가 신고 시각(Stime)을 부가하여도 좋다.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최신의 요망[V(DS, Stime)]을 접수하면,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2)는, 판별 룰 기억부(51)에 미리 설정된 요망 판별 룰에 기초하여, 신고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한다(도 5 단계 S1-2).
본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 룰은, 요망(V)이 발생하였을 때에, 미리 정해진 동일 신고 판정 시간(tb) 내에서 요망(V)과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요망(V)도 신고수 1로서 포함됨]가 미리 정해진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 이상이 된 경우에는, 요망(V)을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하고,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미리 정해진 수 미만인 경우에는, 요망(V)을 일시적 요망으로 판별한다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요망(V)의 대부분은 일시적 요망으로 판별되지만, 요망(V)이 계속적으로 발생하면,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되게 된다.
판별 처리부(52)는, 요망[V(DS, Stime)]을 일시적 요망으로 판별한 경우, 요망[V(DS, Stime)]의 지속 종류를 나타내는 지속 종류 판별 플래그(Ftmp)(이하, 판별 플래그)를 Ftmp=1로 하고, 요망[V(DS, Stime)]을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한 경우, 판별 플래그(Ftmp)를 Ftmp=0으로 한다. 그리고, 판별 처리부(52)는, 요망 입력 단말(7)로부터 접수한 요망[V(DS, Stime)]에 대하여, 요망의 변경 종류(DS)와 판별 플래그(Ftmp)를 관련지어, 이들을 요망 상태[DC(DS, Ftmp)]로서 유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 판별을 위한 임계값인 미리 정해진 수를 2로 하여, 고정값으로 하고 있지만, 임계값은, 매일의 신고수에 따라 변경하여도 상관없다.
다음에,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처리 중인 최신의 요망[V(DS, Stime)]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결정한다(도 5 단계 S1-3). 제어 플랜 결정부(3)는, 현시점에서 공조 기기(6)에 적용되어 있는 제어 플랜[이하, 기(旣)제어 플랜이라고 기재]과, 제어 플랜 기억부(4)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 플랜과, 요망 판별부(5)에 유지되어 있는 요망 상태[DC(DS, Ftmp)]를 이용하여,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을 결정한다.
제어 플랜 기억부(4)에는, 일시적 요망 및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이 각각 미리 설정되어 있다.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Ftmp=0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으로서는, 종래의 범용적인 제어 플랜(지속 종류를 판별하지 않고 변경 종류에 따라 실시되고 있던 종래의 제어 플랜)을 설정하면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망[V(DS, Stime)]의 처리 시점에서의 제어 설정값(Tset=Tbef)을 요망[V(DS, Stime)]의 변경 종류(DS)에 따라 변경한다고 하는 제어 플랜을,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으로 한다. 이 제어 플랜에 의한 제어 설정값(Tset)의 변경은 다음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Tset=Tbef+Tdp(DS)···(1)
제어 설정값(Tset)의 예로서는, 실온 설정값이 있다. 식 (1)의 Tdp(DS)는 설정값 변경폭이다. 이 설정값 변경폭[Tdp(DS)]은 이하의 식으로 결정된다.
Tdp(DS)=S(DS)×γdp(DS)···(2)
상기한 바와 같이, 거주자가 「덥다」라고 신고하였을 때, 요망의 변경 종류(DS)=1이 되고, 거주자가 「춥다」라고 신고하였을 때, 변경 종류(DS)=-1이 된다. 식 (2)에 있어서의 S(DS)는 변경 종류(DS)에 대응하는 제어 설정값(Tset)의 증감 방향을 나타내는 계수이다. 변경 종류(DS)=1일 때, 계수[S(1)]=-1이 되고, 변경 종류(DS)=-1일 때, 계수[S(-1)]=1이 된다. 즉, 거주자가 「덥다」라고 신고하였을 때는, 계수[S(DS)]를 -1로 하여 제어 설정값(Tset)을 내리고, 거주자가 「춥다」라고 신고하였을 때는, 계수[S(DS)]를 1로 하여 제어 설정값(Tset)을 올린다.
식 (2)에 있어서의 γdp(DS)는 변경 종류(DS)에 대응하는 설정값 변경폭이다. 이 설정값 변경폭[γdp(DS)]은, 변경 종류(DS)에 따라 미리 제어 프로바이더나 설비 관리자 등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는, 설정값 변경폭[γdp(DS)]은, 변경 종류(DS)의 값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0.5℃로 하지만, 변경 종류(DS)의 값에 따라 상이한 값으로 하여도 상관없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Ftmp=1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으로서는, 예컨대,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과 마찬가지로 제어 설정값(Tset)을 변경하지만, 설정값 변경을 유지 시간(ta)만큼 유지한 후, 제어 설정값(Tset)을 상기 신고 요망에 대응하기 전의 Tset=Tbef로 되돌린다고 하는 제어 플랜을 설정하면 좋다[도 6의 (B)]. 제어 설정값(Tset)의 변경은 식 (1), 식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유지 시간(ta)은, 거주자의 대사량의 급격한 변화가 안정을 향하는 시간이며, 대응하는 거주자 행동에 따라, 예컨대 20분 등으로 설정하면 좋다. 이 유지 시간(ta)은, 운용 실태에 따라 설비 관리자 등이 적절하게 수정하면 좋다. 또한 이 예에서, Tset의 Tbef로의 복귀는 미리 정한 복귀 시간에 서서히 Tbef에 근접시키도록 하여도 물론 상관없다.
마지막으로, 기기 제어부(2)는, 제어 플랜 결정부(3)가 결정한 새로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조 기기(6)를 제어한다(도 5 단계 S1-4). 즉, 기기 제어부(2)는, 최신의 요망[V(DS, Stime)]의 처리 시점에 공조 기기(6)에 적용되어 있는 현재의 제어 설정값(Tset=Tbef)과, 요망[V(DS, Stime)]의 변경 종류(DS)와, 제어 플랜 결정부(3)가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설정값(Tset)을 결정한다. 또한, 기기 제어부(2)는, 공조의 제어량(예컨대 실온)과 제어 설정값(Tset)(예컨대 실온 설정값)이 일치하도록 공조 기기(6)를 제어한다. 제어 알고리즘으로서는 예컨대 PID가 알려져 있다.
거주자로부터의 새로운 요망 신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 요망에 대하여 단계 S1-1∼S1-4의 처리가 반복된다.
도 7에 요망 신고에 대하여 제어 설정값(Tset)이 어떻게 변경될지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의 h'1, h'2, h'3은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 h4는 「덥다」라고 하는 지속적 요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시각(t1)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h'1)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식 (1), 식 (2)에 의해 제어 설정값(Tset)을 Tbef2로 내려, 유지 시간(ta)(본 실시형태에서는 30분) 후에 시각(t1) 이전의 제어 설정값(Tset=Tbef1)으로 복귀시킨다.
마찬가지로, 시각(t2)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h'2)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Tset)을 Tbef2로 내려, 유지 시간(ta) 후에 시각(t2) 이전의 제어 설정값(Tset=Tbef1)으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시각(t3)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h'3)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Tset)을 Tbef2로 내린다. 여기서, 시각(t4)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요망(h4)이 발생한 경우, 시각(t4)으로부터 동일 신고 판정 시간(tb) 이내의 과거의 시각(t3)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요망(h'3)이 이미 발생해 있기 때문에,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2)는, 요망(h4)을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본적으로 모든 요망을 일시적 요망이라고 판별하지만, 미리 정해진 동일 신고 판정 시간(tb) 내에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미리 정해진 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 이상이 된 경우, 지속적 요망이라고 판별한다.
또한, 유지 시간(ta)과 동일 신고 판단 시간(tb)의 대소 관계는 불문한다. 상기 설명에 따르면, 「덥다」라고 하는 지속적 요망(h4)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 설정값(Tset)을 Tbef2로부터 더욱 내려야 하는 것이지만, 도 7의 예에서는 Tset=Tbef2를 유지하고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일시적 요망(h'3)에 따라 제어 설정값(Tset)을 Tbef2로 내렸을 때부터 유지 시간(ta)이 경과하기 전에 지속적 요망(h4)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Tset=Tbef2를 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기 제어부(2)는, 유지 시간(ta)이 경과하기 전에 지속적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변경 중인 제어 설정값(Tset)을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제어 설정값(Tset)의 과도한 변경을 피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 시간(ta)의 경과 후에 일시적 요망 또는 지속적 요망이 발생하면, 이 요망에 따라 제어 설정값(Tset)을 변경하게 된다.
도 8에 요망 신고에 대하여 제어 설정값(Tset)이 어떻게 변경될지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h'1, h'3은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 h2는 「덥다」라고 하는 지속적 요망, c'1은 「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 c2는 「춥다」라고 하는 지속적 요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예는 ta<tb의 예이다.
도 8의 시각(t1)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h'1)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Tset)을 Tbef2로 내려, 유지 시간(ta) 후에 시각(t1) 이전의 제어 설정값(Tset=Tbef1)으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시각(t1)으로부터 동일 신고 판정 시간(tb) 이내의 시각(t2)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요망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2)는, 이 요망을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한다.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식 (1), 식 (2)에 따라 제어 설정값(Tset)을 Tbef2로 내린다.
다음에, 시각(t3)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h'3)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Tset)을 Tbef3으로 내려, 유지 시간(tα) 후에 시각(t3) 이전의 제어 설정값(Tset=Tbef2)으로 복귀시킨다.
다음에, 시각(t4)에 있어서 「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c'1)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Tset)을 Tbef1로 올린다. 여기서, 시각(t5)에 있어서 「춥다」라고 하는 요망(c2)이 발생한 경우, 시각(t5)으로부터 동일 신고 판정 시간(tb) 이내의 과거의 시각(t4)에 있어서 「춥다」라고 하는 요망(c'1)이 이미 발생해 있기 때문에,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2)는, 요망(c2)을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한다.
도 7의 예와 마찬가지로, 일시적 요망(c'1)에 따라 제어 설정값(Tset)을 Tbef1로 올렸을 때부터 유지 시간(ta)이 경과하기 전에 지속적 요망(c2)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Tset=Tbef1을 유지하고 있다. 이 경우, 유지 시간(ta)의 경과 후에 일시적 요망 또는 지속적 요망이 발생하면, 이 요망에 따라 제어 설정값(Tset)을 변경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의 지속 종류를 판별하고, 지속 종류의 판별 결과에 기초한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적용함으로써, 거주자의 신고 횟수나 신고 작업의 시간을 경감하면서,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의 지속 종류의 판별에 건물 스케줄, 개인의 시큐리티 이력, PMV 등을 이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건물 용도나 계측 조건에 제약받는 일없이, 요망의 지속 종류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조 제어 시스템 및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1, 도 3의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부(5)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부(5)는, 요망 유지부(50)와, 판별 룰 기억부(51)와, 판별 처리부(52a)로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무실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공조에의 신고 요망은, 신체 활동(출근 후, 복귀 후, 회의실 이동 후 등)이나 식사(점심 등)에 의한 대사량 증가가 원인인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러한 요망은, 실내 환경이 변화하지 않아도 시간의 경과와 함께 해소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주위 환경에 의해 발생하는 요망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의 불안정 상태를 야기하기 쉽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망을 판별할 때에, 일반적인 사무실에서 통상 관리되고 있는 스케줄 정보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2a)는, 스케줄 정보를 조회하고, 이 스케줄 정보에 정의되어 있는,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에서, 동일 신고 판정 시간(tb) 내에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미리 정해진 수 이상이 된 경우에는, 요망을 지속적 요망이라고 하지 않고,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0의 (A)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망 신고에 대하여 제어 설정값(Tset)이 어떻게 변경될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A)의 h'1, h'2, h'3, h'4는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B)의 예에서는,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3개의 시간대(T1∼T3)가 있고, 시간대(T1)는 8시부터 9시 30분 사이, 시간대(T2)는 12시부터 13시 30분 사이, 시간대(T3)는 15시부터 15시 30분 사이이다.
시각(t1, t2)의 동작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에, 시각(t3)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일시적 요망(h'3)이 발생하였을 때, 제어 플랜 결정부(3)는,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6)에 새롭게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한다. 기기 제어부(2)는, 이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제어 설정값(Tset)을 Tbef2로 내린다.
여기서, 시각(t4)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요망(h'4)이 발생한 경우, 시각(t4)으로부터 동일 신고 판정 시간(tb) 이내의 과거의 시각(t3)에 있어서 「덥다」라고 하는 요망(h'3)이 이미 발생해 있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요망(h'4)을 지속적 요망이라고 판별한다. 그러나, 시각(t4)은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T2)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2a)는, 요망(h'4)을 지속적 요망으로 하지 않고,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한다.
이상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케줄 정보를 필요로 하지만,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제어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신고자를 구별하고 있지 않지만, 요망 입력 단말(7)은, 신고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신고자의 ID(Identification) 등]를 요망(V)에 부가하여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신고자 특정 정보에 의해, 신고자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요망 판별부(5)의 판별 처리부(52, 52a)는, 동일 인물이 동일 신고 판정 시간(tb) 내에 동종의 요망 신고를 복수회 행한 경우에는, 이들을 하나의 요망으로 간주한다. 이에 의해, 특정한 사람으로부터의 과도한 요망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실시형태에서는, 요망의 변경 종류를 「덥다」, 「춥다」의 2종류로 하였지만, 변경 종류를 「덥다」, 「약간 덥다」, 「덥지도 춥지도 않다」, 「약간 춥다」, 「춥다」의 5종류 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덥다」는 DS=1, 「약간 덥다」는 DS=2, 「덥지도 춥지도 않다」는 DS=3, 「약간 춥다」는 DS=4, 「춥다」는 DS=5로 한다. 변경 종류(DS)=1, 2, 3, 4, 5에 대응하는 계수[S(DS)]를 각각 -1, -1, 0, 1, 1로 한다. 또한, 변경 종류(DS)=1, 2, 3, 4, 5에 대응하는 설정값 변경폭[γdp(DS)]을 각각 1.0[℃], 0.5[℃], 0[℃], 0.3[℃], 0.6[℃]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변경 종류(DS)에 따라 설정값 변경폭[γdp(DS)]이 상이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1,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종의 요망"이란, 요망의 변경 종류(변경의 방향과 요망의 강도)가 완전 동일한 요망인 것을 말하는 경우와, 요망의 변경 종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망인 것을 말하는 경우가 있다. 실질적으로 동일이란, 변경의 방향(덥다, 춥다)이 동일하며, 요망의 강도가 상이한 것을 말한다. 동종의 요망을, 완전 동일한 요망으로 할지,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망으로 할지는 미리 정의해 둘 수 있다. 예컨대, 완전 동일한 요망을 동종의 요망이라고 하면, 「덥다」와 「약간 덥다」는 별종의 요망이 되고, 「춥다」와 「약간 춥다」도 별종의 요망이 된다.
한편,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망을 동종의 요망이라고 하면, 「덥다」와 「약간 덥다」는 동종의 요망이 되고, 「춥다」와 「약간 춥다」도 동종의 요망이 된다. 또한, 「약간 덥다」, 「덥지도 춥지도 않다」, 「약간 춥다」를 동종의 요망으로서 정의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덥다」와 「약간 덥다」는 별종의 요망이 된다. 동종의 요망의 범위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변경 종류(DS)를 사용하면 좋다. 상기 예로 말하면, 「덥다」와 「약간 덥다」를 동종의 요망으로 정의하는 경우, DS=1과 DS=2의 요망을 동종의 요망으로 정의하는 것이 된다. 또한, 「약간 덥다」, 「덥지도 춥지도 않다」, 「약간 춥다」를 동종의 요망으로 정의하는 경우, DS=2와 DS=3과 DS=4의 요망을 동종의 요망으로 정의하는 것이 된다.
또한, 하나의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가 복수의 공조 기기(6)를 제어하고 있는 경우, 요망 입력 단말(7)은, 제어 대상이 되는 공조 기기(6)를 특정할 수 있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공조 기기의 ID, 공조 영역의 ID, 요망 신고자의 ID, 요망 신고자의 위치 정보 등 제어 대상이 되는 공조 기기(6)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요망(V)에 부가하여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에 송신한다.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의 제어 플랜 결정부(3)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에 따라 제어 대상이 되는 공조 기기(6)의 제어 플랜을 결정하고, 또한 기기 제어부(2)는, 대상 기기 특정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이 되는 공조 기기(6)를 특정하여 제어하면 좋다. 또한, 이 경우, 제어 플랜은, 공조 기기(6)마다 제어 플랜 기억부(4)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억 장치 및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와, 이들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CPU는, 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1,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은 신고자로부터의 공조에 대한 요망을 공조 제어에 반영하는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1…요망 판별형 공조 제어 장치, 2…기기 제어부, 3…제어 플랜 결정부, 4…제어 플랜 기억부, 5…요망 판별부, 6…공조 기기, 7…요망 입력 단말, 50…요망 유지부, 51…판별 룰 기억부, 52, 52a…판별 처리부.

Claims (14)

  1. 신고자로부터의 공조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수단과,
    요망의 신고수에 따라,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처리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처리 수단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발생하였을 때에, 미리 정해진 신고 판정 시간 내에서 그 요망과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에는,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하고, 상기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처리 수단은, 동일한 신고자가 미리 정해진 신고 판정 시간 내에 동종의 요망 신고를 복수회 행한 경우에는, 이들 요망을 하나의 요망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처리 수단은, 상기 신고자에 관련된 스케줄 정보에서,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이 시간대에서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요망의 신고수와 무관하게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요망 판별 장치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공조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과,
    이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상기 요망 판별 장치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에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 수단과,
    이 제어 플랜 결정 수단이 결정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고, 일정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 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이며,
    상기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계속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였을 때부터 상기 유지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지속적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유지 시간의 경과 후에 다음 일시적 요망 또는 지속적 요망이 발생할 때까지, 변경 중인 제어 설정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시스템.
  8. 신고자로부터의 공조에 대한 요망을 접수하는 입력 단계와,
    요망의 신고수에 따라,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일시적 요망인지 지속적 요망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이 발생하였을 때에, 미리 정해진 신고 판정 시간 내에서 그 요망과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임계값 이상이 된 경우에는,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지속적 요망으로 판별하고, 상기 동종의 요망의 신고수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동일한 신고자가 미리 정해진 신고 판정 시간 내에 동종의 요망 신고를 복수회 행한 경우에는, 이들 요망을 하나의 요망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단계는, 상기 신고자에 관련된 스케줄 정보에서, 신고 요망을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시간대가 설정되어 있을 때에, 이 시간대에서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새롭게 발생한 요망을, 요망의 신고수와 무관하게 일시적 요망으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망 판별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 단계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공조의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는 룰을 정한 제어 플랜을, 일시적 요망과 지속적 요망의 각각에 대해서 미리 기억하고 있는 제어 플랜 기억 수단을 참조하여, 이 제어 플랜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플랜 중, 상기 판별 단계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을 공조 기기에 적용하는 제어 플랜으로서 결정하는 제어 플랜 결정 단계와,
    이 제어 플랜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제어 플랜에 기초하여 상기 공조 기기를 제어하는 기기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고, 일정한 유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 전의 값으로 되돌리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이며,
    상기 지속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은, 상기 신고자로부터의 요망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계속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정한 제어 플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제어 단계는, 상기 일시적 요망에 대응하는 제어 플랜에 따라 상기 제어 설정값을 변경하였을 때부터 상기 유지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지속적 요망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유지 시간의 경과 후에 다음 일시적 요망 또는 지속적 요망이 발생할 때까지, 변경 중인 제어 설정값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방법.
KR1020150135280A 2014-09-30 2015-09-24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KR20160038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9875 2014-09-30
JP2014199875A JP6339916B2 (ja) 2014-09-30 2014-09-30 要望判別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別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782A true KR20160038782A (ko) 2016-04-07

Family

ID=5558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280A KR20160038782A (ko) 2014-09-30 2015-09-24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091218A1 (ko)
JP (1) JP6339916B2 (ko)
KR (1) KR20160038782A (ko)
CN (1) CN1054659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69537A1 (en) 2012-04-16 2013-10-17 Eugenio Minvielle Conditioning system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20130269538A1 (en) 2012-04-16 2013-10-17 Eugenio Minvielle Transformation system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9460633B2 (en) 2012-04-16 2016-10-04 Eugenio Minvielle Conditioner with sensors for nutritional substances
US9702858B1 (en) 2012-04-16 2017-07-11 Iceberg Luxembourg S.A.R.L. Dynamic recipe control
US20140069838A1 (en) 2012-04-16 2014-03-13 Eugenio Minvielle Nutritional Substance Label System For Adaptive Conditioning
US9429920B2 (en) 2012-04-16 2016-08-30 Eugenio Minvielle Instructions for conditioning nutritional substances
JP6649847B2 (ja) * 2016-06-08 2020-02-19 アズビル株式会社 要望判定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定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CN107120782B (zh) * 2017-02-28 2019-11-05 上海交通大学 一种基于多用户热舒适度数据的暖通系统控制方法
WO2018179238A1 (ja) * 2017-03-30 2018-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874268B2 (ja) * 2017-05-30 2021-05-19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7560062B (zh) * 2017-07-26 2020-06-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控制装置、方法及空调
US11098921B2 (en) * 2019-07-18 2021-08-24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ic comfort constraint adjustment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0482A (en) * 1991-12-20 1993-07-27 Honeywell Inc. Electronic time thermostat with a temporary next period adjustment means
US5675503A (en) * 1994-04-19 1997-10-07 Denver Energy Cost Controls, Inc. Adaptive load cycler for controlled reduction of energy use
US5762265A (en) * 1995-10-06 1998-06-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ir-conditioning control unit
US6318639B1 (en) * 1999-10-15 2001-11-20 Emerson Electric Co. Thermostat with temporary fan on function
JP4487550B2 (ja) * 2002-12-10 2010-06-23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環境設備制御システム
JP4604630B2 (ja) * 2004-09-27 2011-01-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温熱環境制御システムおよび温熱環境制御方法
JP4697854B2 (ja) * 2005-02-02 2011-06-0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環境設備制御システム
JP4611920B2 (ja) * 2006-03-24 2011-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調制御装置
JP5178820B2 (ja) * 2008-03-27 2013-04-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調管理装置、空調管理方法、空調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10006887A1 (en) * 2009-07-13 2011-01-13 Kmc Controls, Inc. Programmable Communicating Thermostat And System
US20110046805A1 (en) * 2009-08-18 2011-02-2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ntext-aware smart home energy manager
JP5208082B2 (ja) * 2009-09-29 2013-06-12 三菱電機株式会社 環境制御システム、携帯端末、環境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042653B (zh) * 2009-10-15 2013-0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空调控制方法
WO2011062080A1 (ja) * 2009-11-17 2011-05-26 株式会社環境マネジメント研究所 省エネルギ管理装置
JP5543792B2 (ja) * 2010-01-26 2014-07-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空調システム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5667483B2 (ja) * 2011-03-17 2015-02-12 アズビル株式会社 建物設備運用状態評価方法および装置
JP5798386B2 (ja) * 2011-06-17 2015-10-21 アズビル株式会社 空調機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20110257795A1 (en) * 2011-06-24 2011-10-20 Pvt Solar, Inc. Thermostat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solar energy utilization for efficient energy usage and conservation of energy resources
JP6042068B2 (ja) * 2012-01-16 2016-12-14 アズビル株式会社 要望判別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別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5993621B2 (ja) * 2012-06-04 2016-09-14 アズビル株式会社 要望判別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別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39916B2 (ja) 2018-06-06
US20160091218A1 (en) 2016-03-31
JP2016070585A (ja) 2016-05-09
CN105465945A (zh)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8782A (ko)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KR101492316B1 (ko) 요망 판별 장치, 공기 조화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기 조화 제어 방법
KR101490596B1 (ko) 요망 판별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별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JP6071728B2 (ja) 快適環境選択支援装置および快適環境選択支援方法
US20140088782A1 (en) Energy-saving apparatus and energy-saving system
US2014027776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Building Services Based on Occupant
CN108431515A (zh) 自动温度控制方法和设备
CN107631406B (zh)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5004480A (ja) 要望判別装置、空調制御システム、要望判別方法および空調制御方法
JP6800804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204799A (ja) 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84011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空調制御装置、空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108003B (zh) 基于智能家居的空调温度智能控制方法、装置及空调
JP4835382B2 (ja) 環境制御システム
JP6310324B2 (ja) 空調制御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7144215B2 (ja) 設備制御システム
JP6592369B2 (ja)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20230272934A1 (en) Heating control system
JP4816536B2 (ja) 空調制御システム
KR101940908B1 (ko) 요망 판정 장치, 공조 제어 시스템, 요망 판정 방법 및 공조 제어 방법
JP5912681B2 (ja) 空調制御装置および制御設定値決定方法
GB2610112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ulti-occupancy buildings
GB2579336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GB2612738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ulti-occupancy buildings
GB2612740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multi-occupancy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