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1956A - 토너 용기용 분배-단 씰 - Google Patents

토너 용기용 분배-단 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1956A
KR20160031956A KR1020150120050A KR20150120050A KR20160031956A KR 20160031956 A KR20160031956 A KR 20160031956A KR 1020150120050 A KR1020150120050 A KR 1020150120050A KR 20150120050 A KR20150120050 A KR 20150120050A KR 20160031956 A KR20160031956 A KR 20160031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foam
opening
toner containe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836B1 (ko
Inventor
엠. 웨그만 폴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3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6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mechanical means, e.g. shutter, plu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4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sealing film to be ruptured or c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5/00Other apparatu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or incorporated in, ink-ribbon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3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03G15/087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15/0872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the developer cartridges being generally horizontally mounted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a peelable sealing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씰 조립체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 조립체. 씰 조립체는 비-접착 캐리어, 비-접착 캐리어 표면 상의 제1 접착층, 및 관통하는 제1 개구를 갖는 외측 리테이너 링을 포함한다. 씰 조립체는 관통하는 제2 개구를 가지고, 제1 접착제로 외측 리테이너 링에 부착되는 폼 링 및 폼 링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층을 더 포함한다. 씰 조립체는 관통하는 제1 슬릿 및 관통하는 제 2 슬릿을 가지며 제1 슬릿은 제2 슬릿에 수직이고, 양면 접착층에 의해 폼 링에 부착되는 솔리드 폼 디스크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토너 용기용 분배-단 씰{DISPENSE-END SEAL FOR TONER CONTAINERS}
본 발명은 인쇄 장치 분야,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 장치에 사용되는 토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인쇄 장치 예컨대 레이저 프린터는 분말화 토너를 사용하여 텍스트 또는 화상을 형성한다. 휴대용 토너 용기 (예를들면, 토너 통 또는 카트리지) 내부의 토너는 프린터 안에 놓이고, 토너는 용기에서 분배된다. 예를들면, 프린터의 분배 오거가 용기 개구로 삽입된 후, 통 및/또는 분배 오거가 회전되어 토너를 오거 내부로 제공한다. 이후 토너는 인쇄 엔진으로 이송된다.
용기 개구로 오거 삽입 또는 제거 과정에서 또는 프린터로 이송 과정에서, 고체 분말화 토너는 용기로부터 프린터로 누출될 수 있다. 이러한 토너가 인쇄 품질을 저하하고 프린터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전형적으로 주기적 유지관리가 수행되어 프린터 내부의 토너 오염을 제거한다.
토너 누출을 줄이기 위하여, 영구 씰이 용기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폼 (foam) 씰은 서로 교차하는 두 개의 슬릿들을 포함한다. 사용 과정에서, 분배 오거는 슬릿들을 관통하여 용기 내부로 연장된다. 그러나, 슬릿들 길이가 오거 직경보다 크므로 폼 씰은 오거 삽입 과정에서 손상되지 않고, 프린터 사용 과정, 오거 삽입 및 제거 과정, 및/또는 프린터 이송 과정에서 토너는 슬릿들 단부에서 누출된다.
토너 누출이 덜 발생되는 토너 용기, 및 상기 토너 용기를 포함하는 프린터가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태양들의 일부 양태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하 간단한 요약이 제시된다. 본 요약은 포괄적인 개관이 아니고, 본 발명의 핵심 또는 중요 요소들을 식별할 의도도 아니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할 의도가 아니다. 오히려, 주요 목적은 단지 이하 상세한 설명의 도입부로서 하나 이상의 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프린터용 토너 용기 조립체를 포함하고, 토너 용기 조립체는 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씰 조립체는 비-접착 캐리어, 비-접착 캐리어 표면 상의 제1 접착층, 및 관통 제1 개구로 구성되는 외부 유지 링, 관통 제2 개구를 가지고, 제1 접착제로 외부 유지 링에 부착되는 발포 링, 발포 링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층, 및 관통 제1 슬릿 및 제1 슬릿과 교차하는 관통 제2 슬릿을 가지고, 양면 접착층으로 발포 링에 부착되는 고체 발포 디스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태양은 씰 조립체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 조립체를 가지는 프린터를 포함하고, 상기 씰 조립체는 비-접착 캐리어, 비-접착 캐리어 표면 상의 제1 접착층, 및 관통 제1 개구로 구성되는 외부 유지 링, 관통 제2 개구를 가지고, 제1 접착제로 외부 유지 링에 부착되는 발포 링, 발포 링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층, 및 관통 제1 슬릿 및 제1 슬릿과 교차하는 관통 제2 슬릿을 가지고, 양면 접착층으로 발포 링에 부착되는 고체 발포 디스크를 포함한다. 프린터는 토너 용기 조립체를 수용하는 프린터 하우징을 더욱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들을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의한 토너 용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의한 씰 조립체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씰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 (end view)이다;
도 4는 토너 용기 내부에 배치된 씰 조립체의 개략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씰 조립체를 관통하여 분배 오거가 삽입된 후의 도 4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의한 토너 용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엄밀한 구조적 정확성, 사양 및 척도를 유지하기 보다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도면의 일부 상세한 사항들은 단순하게 도시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태양들이 상세히 설명된다. 가능하다면, 동일 또는 유사 부분들을 참조하기 위하여 도면들에서 동일 도면부호들이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단어 “프린터”는 임의의 목적으로 인쇄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기구, 예컨대 디지털 복사기, 제본기, 팩시밀리, 복합기, 정전사진식 장치, 기타 등을 포함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단어 “고분자”는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열가소성 수지, 레진,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 및 업계에서 공지된 관련 화합물들을 포함한 장쇄 분자들에서 형성되는 광범위한 탄소계 화합물들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은 일부 선행 토너 용기보다 덜 토너가 누출되는 토너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토너 용기는 프린터 작동과 관련된 유지관리 비용을 줄이고 프린터 내부 부품들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감소시켜 인쇄 품질 및 프린터 수명을 늘린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의한 토너 용기 조립체 (10) 및 프린터 일부일 수 있는 분배 오거 조립체 (40)를 도시한 것이다.
토너 용기 조립체 (10)는, 분배 단부 (16)에 분배 개구 (14)를 가지는 용기 (12), 사용 과정에서 용기 (12)의 충전 단부 (22)에 있는 충전 개구 (20)에 배치되는 토너 충전 플러그 (18), 및 사용 과정에서 분배 개구 (14) 내부에 배치되는 씰 조립체 (24)를 포함한다. 용기 (12) 표면은 하나 이상의 표면 홈들 (26)을 포함한다.
분배 오거 조립체 (40)는 공지된 프린터 구조에 따른 분배 오거 (42) 및 용기 구동 커플링 (44)을 포함한다.
사용 전에, 토너 (90) (도 4)가 충전 개구 (20)를 통해 용기 (12)에 채워지고, 토너 충전 플러그 (18)로 충전 개구 (20)를 막아 토너 (90)를 용기 (12) 내부에 담는다. 오거관 (42)이 분배 개구 (14)를 통해 용기 (12) 내부로 진입하도록 토너 용기 조립체 (10)가 오거 조립체 (40)에 배치된다. 분배 오거 (42)가 씰 조립체 (24) 개구를 통해 용기 (12) 내로 연장되도록 오거 조립체 (40)가 배치된다. 사용 과정에서, 용기 및/또는 분배 오거 (42)가 회전되어 용기 (12) 내부의 토너는 분배 오거 (42)에 의해 파여 인쇄 엔진 (단순화를 위하여 개별 도시되지 않음)으로 이송된다. 사용 과정에서, 하나 이상의 표면 홈들 (26)은 용기 (12) 회전 과정에서 토너가 분배 단부 (16) 및 분배 오거 (42)를 향하여 이동되도록 조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의한 씰 조립체 (24)가 도 2의 개략 분해 사시도에 도시된다. 씰 조립체 (24)는 관통 홀 (62) 및 내측면 접착제 (78)를 가지는 외부 유지 링 (60), 관통 홀 (66)을 가지는 발포 링 (64), 관통 홀 (70)을 가지는 양면 접착 링 (68), 및 한 쌍의 교차 관통 슬릿들 (74) (예를들면, 십자-형 슬릿)을 가지는 고체 발포 디스크 (72)를 포함한다. 도 3은 고체 발포 디스크 (72) 측에서 관찰할 때의 조립된 씰 조립체 (24)를 도시한 것이다. 고체 발포 디스크 (72) 주면 (major surface)은 물리적으로 양면 접착 링 (68)과 접촉한다. 발포 링 (64) 주면은 물리적으로 외부 유지 링 (60) 내측면의 접착제 (78)와 접촉한다. 외부 유지 링 (60)은 단 일측에서만 접착제 (78)를 가지고, 따라서 접착제 (78)를 포함하는 단면 접착 링이다.
직경이 약 12 mm 내지 약 18 mm, 예를들면 약 15 mm인 분배 오거 (42)와 사용되는 예시적 씰 조립체 (24)가 이하 기술된다. 씰 조립체 (24)의 각각의 개별 요소 크기는 용기 (12) 및 오거 조립체 (40)의 특정 개별 구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외부 유지 링 (60)의 접착제 (78)는 발포 링 (64) 주면에 부착된다. 외부 유지 링 (60)의 접착제 (78)는 완전한 씰 조립체 (24)를 용기 (12), 더욱 상세하게는, 분배 개구 (14)를 형성하는 용기 립 (28)에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외부 유지 링 (60) 외경은 임의의 다른 씰 조립체 요소들 (64, 68, 72) 외경들 보다 크다. 예를들면, 외부 유지 링 (60)의 외경은 약 38 mm 내지 약 44 mm, 예를들면 약 41 mm이다. 링 (60) 관통 개구 (62) 직경은 양면 접착 링 (68) 직경보다 작지만, 발포 링 (64) 개구 (66) 직경보다 크다. 예를들면, 외부 유지 링 (60) 관통 개구 (62) 직경은 약 17 mm 내지 약 23 mm, 예를들면 약 20 mm이다. 외부 유지 링 (60)은 비-접착 캐리어 재료 (76) 및 캐리어 재료 (76) 일측 주면에 접착층 (78)을 포함한다. 예를들면, 비-접착 캐리어 재료 (76)는 고분자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예컨대 Mylar® 이다 (E. I. DuPont de Nemours, Inc. of Wilmington, DE에서 입수). 접착층 (78)은 아크릴 접착제 또는 또 다른 접착제 예컨대 가압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열가소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기타일 수 있다. 외부 유지 링 (60) 두께는 약 0.25 mm 내지 약 0.75 mm, 예를들면 약 0.5 mm이다.
발포 링 (64)은 발포 재료, 예를들면 고분자 폼 예컨대 폴리에틸렌 폼, 우레탄 폼, 기타 등으로 제조된다. 발포 링 (64)의 외경은 약 29 mm 내지 약 35 mm, 예를들면 약 32 mm이다. 발포 링 (64)의 두께는 약 4 mm 내지 약 8 mm, 예를들면 약 6 mm이다.
일반적으로, 발포 링 (64)의 관통 개구 (66)는 분배 오거 (42) 횡단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 및 분배 오거 (42) 폭 또는 직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폭 또는 직경을 가진다. 발포 링 (64)의 관통 개구 (66)는 약 5 mm 내지 약 11 mm, 예를들면 약 8 mm이다.
양면 접착 링 (68)은 단층의 접착제 (80)이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양면 접착 링 (68)은 비-접착 캐리어 (80)를 포함하고 이는 캐리어 (80) 제1 측 (예를들면, 제1 주면)에 제1 접착층 (82) 및 캐리어 (80) 제2 측 (예를들면, 제2 주면)에 제2 접착층 (84)을 가진다. 양면 접착 링 (68)은 발포 링 (64)을 고체 발포 디스크 (72) 주면에 부착시킨다. 양면 접착 링 (68)의 외경은 약 29 mm 내지 약 35 mm, 예를들면 약 32 mm이다. 양면 접착 링 (68) 관통 개구 (70)는 외부 유지 링 (60) 관통 개구 (62)와 거의 같은 크기이고, 약 17 mm 내지 약 23 mm, 또는 약 20 mm이다. 양면 접착 링 (68)의 두께는 0.1 mm 내지 약 0.3 mm, 또는 약 0.2 mm이다. 캐리어 사용을 포함하는 실시태양에서, 비-접착 캐리어 재료 (80)는 고분자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이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예컨대 Mylar® 이다. 캐리어 실시태양, 또는 독립형 접착제 실시태양에서, 접착제는 아크릴 접착제 또는 또 다른 접착제 예컨대 가압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열가소성 접착제, 열-경화성 접착제, 기타 등일 수 있다.
고체 발포 디스크 (72)는 발포 재료, 예를들면 고분자 폼 예컨대 폴리에틸렌 폼, 우레탄 폼, 기타 등으로 제조된다. 고체 발포 디스크 (72)의 외경은 약 29 mm 내지 약 35 mm, 또는 약 32 mm이다. 고체 발포 디스크 (72)를 관통하는 각각의 슬릿 (74) 길이는 약 10 mm 내지 약 20 mm, 또는 약 13 mm 내지 약 18 mm, 또는 약 15.5 mm, 또는 사용 과정에서 분배 오거 (42) 삽입 및 제거에 의해 고체 발포 디스크 (72)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충분한 크기이다. 두 슬릿들 (74)은 서로 직교하고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슬릿 (74) 중심에서 교차한다. 고체 발포 디스크 (72)는 두 개의 슬릿들 (74), 또는 그 이상의 슬릿들 (74)을 가질 수 있다. 실시태양에서, 둘 이상의 슬릿들은 직선 또는 만곡일 수 있다. 고체 발포 디스크 (72)의 두께는 약 4 mm 내지 약 8 mm, 예를들면 약 6 mm이다.
따라서, 상기된 바와 같이, 각각의 발포 링 (64), 양면 접착 링 (68), 및 고체 발포 디스크 (72)은 거의 동일한 외경들을 가질 수 있고, 이때 각각의 외경은 분배 개구 (14)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사용 과정에서 양면 접착 링 (68)이 구조체 (68, 72)을 함께 부착시키는데 충분하다면 양면 접착 링 (68) 외경은 발포 링 (64) 및 고체 발포 디스크 (72)의 외경들보다 작을 수 있다.
용기 (12) 사용 과정에서, 씰 조립체 (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너 용기 (12)의 개구 (14) 내부에 배치된다. 씰 조립체 (24)는 용기 (12) 내부의 토너 (90)를 밀봉하고 수송 및 보관, 및 프린터에 설치, 정상적 사용, 및 교체할 때 프린터로부터 제거하는 동안 용기 (12)로부터 토너 (90)의 누출을 감소 또는 방지한다. 각각의 개구 (62, 66, 70), 및 각각의 슬릿 (74) 중심은, 씰 조립체 (24) 축 (92)을 따라 서로 정렬되고, 축은 외부 유지 링 (60) 주면, 발포 링 (64) 주면, 양면 접착 링 (68) 주면, 및 고체 발포 디스크 (disc) (72) 주면에 수직하다. 고체 발포 디스크 (72) 내부에서 슬릿들 (74)을 형성하는 고체 발포 디스크 (72)의 내부 에지들은 서로 접촉하여 용기 (12) 내의 토너 (90)를 밀봉한다. 발포 링 (64) 개구 (66)의 직경이 슬릿들 (74) 길이보다 작으므로, 발포 링 (64)은 각각의 슬릿 (74)의 외측 범위(예를들면, 각각의 단부)를 밀봉한다. 토너 (90) 분배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오거 (42)는 외부 유지 링 (60) 관통 개구 (62), 발포 링 (64) 관통 개구 (66), 양면 접착 링 (68) 관통 개구 (70), 및 고체 발포 디스크 (72) 관통 슬릿들 (74)로 삽입된다. 토너 용기 (12) 교체 과정에서, 분배 오거는 씰 조립체 (24)의 여러 개구들 및 슬릿들에서 빠진다.
슬릿 씰 조립체만을 사용하는 선행 토너 용기용 씰 조립체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의한 씰 조립체는 양면 접착 링 (68)에 의해 관통 개구 (66)를 가지는 발포 링 (64)에 부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슬릿들 (74)을 가지는 고체 발포 디스크 (72)를 포함한다. 발포 링 (64) 개구 (66)의 폭 또는 직경은 분배 오거 (42)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작다. 발포 링 (64)은 슬릿들 (74) 단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토너 용기 조립체의 수송 및 보관, 분배 오거 (42)를 씰 조립체 (24)에 삽입, 토너 용기 조립체를 프린터 내부에서 사용, 및 분배 오거 (42)를 씰 조립체 (24)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슬릿들 (74) 단부에서 토너 (90)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발포 링 (64)은 분배 오거 (42) 주위로 원주 밀봉을 제공하여 고체 발포 디스크 (72) 및 분배 오거 (42)의 불완전한 기타 임의의 접촉 영역들 사이에서의 토너 (90) 누출을 감소 또는 방지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씰 조립체 (24)를 제조할 수 있다.
도면들은 포괄적으로 개략 도면을 제시하고 여기에서 기타 구조체들이 추가될 수 있고 현존 구조체는 제거 또는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양면 접착 링 (68)은 고체 발포 디스크 (72)가 발포 링 (64)에 충분히 부착될 수 있는 한 접착 링이 아닌 또 다른 접착층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을 포함하는 프린터 (100)를 도시한 것이다. 프린터 (100)는 프린터 하우징 (102)을 포함하고 여기에 씰 조립체 (24)를 포함한 적어도 하나의 토너 용기 (10) (도 1)가 장착되고 토너 용기 (10)를 수용한다. 작동 과정에서, 토너 (90) (도 5)는 토너 용기 (10)에서, 예를들면 분배 오거 조립체 (40) (도 1)를 이용하여, 인쇄 엔진 (104)으로 이송된다. 인쇄 엔진 (104)은 디지털 명령들 및 프린터 제어 패널 (106)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작동되어 토너 (90)로부터 텍스트 및/또는 화상 (108)을 인쇄 매체 (110) 예컨대 종이 용지, 플라스틱, 기타 등에 생성한다.
본 발명의 광폭 범위에 제시된 수치적 범위 및 변수는 근사치이지만,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시된 수치는 가능한 정확하게 제시된다. 그러나, 임의의 수치는 본질적으로 각각의 시험 측정에서 유발되는 표준편차로 인한 소정의 오차를 가진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모든 범위들은 이에 포함되는 임의 및 모든 부-범위들을 포괄한다. 예를들면, "10 이하"라는 범위는 최소값 0 내지 최대값 10 사이에 (이들을 포함하고) 임의 및 모든 부-범위를 포괄하고, 즉 최소값이 0 이상이고 최대값이 10 이하인 임의 및 모든 부-범위, 예를들면, 1 내지 5를 포함한다. 소정의 경우에는, 변수로서 수치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10 이하”로 표기되는 예시적 값들은 음수, 예를들면 -1, -2, -3, -10, -20, -30, 등을 가정한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에서 일탈되지 않는 예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변형 및/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방법은 일련의 작용 또는 단계로 기술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작용 또는 단계의 순서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부 작용은 본원에 기재된 것과는 달리 상이한 순서 및/또는 다른 작용 또는 단계와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모든 공정 단계들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양태들 또는 실시태양들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아니다. 구조적 요소들 및/또는 공정 단계들이 추가되거나, 또는 존재하는 구조적 요소들 및/또는 공정 단계들이 제거되거나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작용은 하나 이상의 별도의 작용 및/또는 상들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포함하는”, “포함한다”, "가지는", "가진다", "와 함께" 또는 이의 변형어들이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한, 이러한 용어들은 용어 “구성하는”과 유사한 의미의 개방적인 의도이다. 용어 “적어도 하나”란 나열된 목록들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두 물질 중 하나 상에 다른 하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에”이란, 물질들의 적어도 일부 접촉을 의미하고, “상부에”란 물질들이 인접하지만 하나 이상의 추가 개재 물질로 접촉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에” 또는 “상부에” 모두 임의의 방향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용어 “등각의”란 하부 재료의 각도가 등각의 재료에 의해 보존되는 코팅재를 기술한다. 용어 “약”은 변경 결과가 설명된 실시태양의 방법 또는 구조에 부적합하지 않는 한 나열된 값이 일부 변경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예시적”이란 이상적인 것이 아닌 실시예로서 설명된 것을 의미한다. 본원의 명세서 및 실시예들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명세서 및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하기 청구범위에 기재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상대 위치 용어는 방향성과는 무관하게 통상의 평면 또는 공작물의 가공 표면과 평행한 평면에 대하여 정의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수평” 또는 “측방”이란 통상의 평면 또는 방향성과는 무관하게 공작물의 가공 표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정의된다. 용어 “수직”이란 수평에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용어들 예컨대 “상에”, “측에” (“측벽”에서), “더 높은”, “더 낮은”, “상부에”, “최상부” 및 “하부”는 통상의 평면 또는 방향성과는 무관하게 공작물의 최상부 표면에 대하여 정의된다.

Claims (10)

  1. 프린터용 토너 용기 조립체로서, 상기 토너 용기 조립체는 씰 조립체(seal 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씰 조립체는,
    외부 리테이너 링으로서, 비-접착 캐리어, 상기 비-접착 캐리어 표면 상의 제1 접착층, 및 상기 외부 리테이너 링을 관통하는 제 1 개구를 포함하는,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outer retainer ring);
    관통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폼 링으로서, 상기 폼 링은 상기 제1 접착제로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에 부착되는, 상기 폼 링(foam ring);
    상기 폼 링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층; 및
    관통하는 제1 슬릿 및 관통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솔리드 폼 디스크로서, 상기 제 1 슬릿은 상기 제 2 슬릿에 수직이고,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는 상기 양면 접착층에 의해 상기 폼 링에 부착되는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solid foam disc)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의 분배 단부(dispense end)에 개구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씰 조립체는 상기 토너 용기의 상기 개구내에 배치되고; 및
    상기 씰 조립체는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 및 상기 제1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토너 용기에 부착되는, 토너 용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착층은 관통하는 제3 개구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링이고;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의 메인 표면 (major surface)은 물리적으로 상기 양면 접착 링과 접촉하고; 및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개구, 상기 제3 개구, 상기 제1 슬릿의 중심 및 상기 제2 슬릿의 중심은 전체로서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 메인 표면과 수직한 축을 따라 정렬되는, 토너 용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의 외경은 38 mm 내지 44 mm이고;
    상기 양면 접착 링의 외경은 29 mm 내지 35 mm이고;
    상기 폼 링의 외경은 29 mm 내지 35 mm이고;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의 외경은 29 mm 내지 35 mm인, 토너 용기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의 두께는 0.25 mm 내지 0.75 mm이고;
    상기 양면 접착층의 두께는 0.1 mm 내지 0.3 mm이고;
    상기 폼 링의 두께는 4 mm 내지 8 mm이고;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의 두께는 4 mm 내지 8 mm이고;
    각각의 슬릿은 10 mm 내지 20 mm의 길이를 갖는, 토너 용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을 관통하는 상기 제1 개구는 17 mm 내지 23 mm이고;
    상기 폼 링을 관통하는 상기 제2 개구는 5 mm 내지 11 mm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양면 접착 링을 관통하는 상기 제3 개구는 17 mm 내지 23 mm의 직경을 갖는, 토너 용기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폼 링 및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는 폴리에틸렌 폼 및 우레탄 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 조립체.
  8. 프린터에 있어서,
    토너 용기 조립체 및 상기 토너 용기 조립체를 둘러싸는 프린터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토너 용기 조립체는 씰 조립체(seal 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씰 조립체는,
    외측 리테이너 링으로서, 비-접착 캐리어, 상기 비-접착 캐리어 표면 상의 제1 접착층, 및 상기 외부 리테이너 링을 관통하는 제1 개구를 포함하는,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
    관통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폼 링으로서, 상기 폼 링은 상기 제1 접착제로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에 부착되는, 상기 폼 링;
    상기 폼 링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층; 및
    관통하는 제1 슬릿 및 관통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는 솔리드 폼 디스크로서, 상기 제 1 슬릿은 상기 제 2 슬릿에 수직이고,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는 상기 양면 접착층에 의해 상기 폼 링에 부착되는,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를 포함하는, 프린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용기의 분배 단부에 개구를 포함하는 토너 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씰 조립체는 상기 토너 용기의 상기 개구내에 배치되고; 및
    상기 씰 조립체는 상기 외측 리테이너 링 및 상기 제1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토너 용기에 부착되는, 프린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 접착층은 관통하는 제3 개구를 포함하는 양면 접착 링이고;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의 메인 표면 (major surface)은 물리적으로 상기 양면 접착 링과 접촉하고; 및
    상기 제1 개구, 상기 제2 개구, 상기 제3 개구, 상기 제1 슬릿의 중심 및 상기 제2 슬릿의 중심은 전체로서 상기 솔리드 폼 디스크 메인 표면과 수직한 축을 따라 정렬되는, 프린터.
KR1020150120050A 2014-09-15 2015-08-26 토너 용기용 분배-단 씰 KR102201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86,036 2014-09-15
US14/486,036 US9217956B1 (en) 2014-09-15 2014-09-15 Dispense-end seal for toner contain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956A true KR20160031956A (ko) 2016-03-23
KR102201836B1 KR102201836B1 (ko) 2021-01-11

Family

ID=5484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0050A KR102201836B1 (ko) 2014-09-15 2015-08-26 토너 용기용 분배-단 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17956B1 (ko)
JP (1) JP6550303B2 (ko)
KR (1) KR102201836B1 (ko)
CN (1) CN105425561B (ko)
DE (1) DE102015216644B4 (ko)
RU (1) RU2671104C2 (ko)
TW (1) TWI6619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92516B2 (ja) * 2017-03-23 2020-05-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トナー搬送装置及び該トナー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4235308A1 (en) * 2021-12-07 2023-08-30 General Plastic Industrial Co., Ltd. Power cartridge coupling mechanis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859A (ko) * 1995-09-11 1997-04-28 미따라이 후지오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된 인열 가이드를 갖는 밀봉 필름, 및 이를 사용한 토너 용기
JP2002108081A (ja) * 2000-09-28 2002-04-10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20067983A (ko) * 2001-02-19 2002-08-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밀봉 부재, 토너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30095858A (ko) * 2010-03-17 2013-08-2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말 용기, 토너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4123064A (ja) * 2012-12-21 2014-07-0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感光体ドラ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防振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9851A (en) * 1984-10-04 1986-07-15 Marpac Industries, Inc. Dry toner cartridge system and method of filling same
JPH0658569B2 (ja) * 1987-07-13 1994-08-03 コニカ株式会社 現像剤容器
SG93854A1 (en) * 1998-12-22 2003-01-21 Ricoh Kk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6137972A (en) * 1999-08-30 2000-10-24 Xerox Corporation Imaging material dispensing system
JP2001072100A (ja) * 1999-09-06 2001-03-21 Ricoh Co Ltd 粉体補給容器及び粉体補給装置
JP2002072650A (ja) * 2000-09-01 2002-03-12 Ricoh Co Ltd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363232B1 (en) * 2000-10-10 2002-03-26 Xerox Corporation Developer material cartridge having a robust multiple function seal
CN100437373C (zh) * 2002-09-20 2008-11-26 株式会社理光 成像装置,墨粉供给部件,调色剂容器,墨粉容器及回收方法
JP2004191851A (ja) * 2002-12-13 2004-07-08 Ricoh Co Ltd トナー攪拌装置、トナー搬送装置、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3948400B2 (ja) * 2002-12-19 2007-07-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トナー回収ボトル
JP4241172B2 (ja) * 2003-05-06 2009-03-1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145873A (ja) * 2004-11-19 2006-06-08 Ricoh Co Ltd 現像剤容器のシール構造、現像剤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35360A (ja) * 2005-02-25 2006-09-07 Kyocera Mita Corp 現像ユニット
JP4698694B2 (ja) * 2008-03-17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5565714B2 (ja) * 2013-07-26 2014-08-06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6859A (ko) * 1995-09-11 1997-04-28 미따라이 후지오 레이저 가공에 의해 형성된 인열 가이드를 갖는 밀봉 필름, 및 이를 사용한 토너 용기
JP2002108081A (ja) * 2000-09-28 2002-04-10 Ricoh Co Ltd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20067983A (ko) * 2001-02-19 2002-08-2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밀봉 부재, 토너 수용 용기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130095858A (ko) * 2010-03-17 2013-08-28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분말 용기, 토너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4123064A (ja) * 2012-12-21 2014-07-0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感光体ドラ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防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5216644A1 (de) 2016-03-17
KR102201836B1 (ko) 2021-01-11
CN105425561B (zh) 2018-06-05
JP2016062098A (ja) 2016-04-25
TWI661948B (zh) 2019-06-11
RU2015137940A3 (ko) 2018-09-24
TW201609446A (zh) 2016-03-16
RU2671104C2 (ru) 2018-10-29
JP6550303B2 (ja) 2019-07-24
US9217956B1 (en) 2015-12-22
CN105425561A (zh) 2016-03-23
DE102015216644B4 (de) 2021-06-17
RU2015137940A (ru)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6127B2 (en) Ton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oner container
US9405224B2 (en) Developer accommodating container with flexible members forming injection opening
US8965250B2 (en) Cap, powder container, develop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549359A (zh) 显影剂容纳单元的再造方法
JP5327577B2 (ja) トナー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AU2015200942A1 (en) Powder contain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60031956A (ko) 토너 용기용 분배-단 씰
EP2520982A4 (en) PRUNER SUPPORT AND DEVELOPMENT DEVICE
US7890030B2 (en) Magnetic roller, developer carrier,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031440B2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member including a clearance closing member with grooves
JP5565714B2 (ja)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US10379461B2 (en) Toner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US9158235B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2221810A (zh) 处理盒
JP2016062098A5 (ko)
US20160342111A1 (en) Powder containe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port member disposed therein
JP2002072650A (ja) 現像剤収納容器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7648B2 (ja) トナー収容器、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器製造方法、及びトナー収容器再生方法。
US9829822B2 (en) Roller member, image carri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68561B2 (ja) シール装置および現像装置
JP2015219403A (ja) 現像剤収容体、画像形成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6447483B2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
KR101745790B1 (ko) 토너 누출 방지 실링 테이프의 회전식 제거 장치
JP6452034B2 (ja) 攪拌部材及び現像剤容器
JP5573613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