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9958A -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9958A
KR20160029958A KR1020140119081A KR20140119081A KR20160029958A KR 20160029958 A KR20160029958 A KR 20160029958A KR 1020140119081 A KR1020140119081 A KR 1020140119081A KR 20140119081 A KR20140119081 A KR 20140119081A KR 20160029958 A KR20160029958 A KR 20160029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pad
customer system
dummy
display panel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484B1 (ko
Inventor
여인호
전경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484B1/ko
Priority to US14/846,234 priority patent/US9585252B2/en
Priority to CN201510561214.0A priority patent/CN105404063B/zh
Publication of KR20160029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958A/ko
Priority to US15/410,485 priority patent/US996176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06Circuit arrangements or driv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single liquid crystal ce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05K1/0219Printed shielding conductors for shielding around or between signal conductors, e.g. coplanar or coaxial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4Assemblies of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09Staggered pads, lands or terminals; Parallel conductors in different pla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27Varying width along a single conductor; Conductors or pads having different width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은 연결하기 위한 구동 인쇄회로기판(PCB)으로서, 구동 PCB의 커낵터부에는 구동 PCB가 고객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전기적으로 플로우팅되어 있는 더미 접지 패드가 포함되는 바, 그러한 더미 접지 패드를 인접한 접지 패드 또는 접지 금속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구동 PCB가 고객 시스템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ESD, EOS 등의 외부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 또는 구동 회로부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Drive Printed-Circuit Boar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시장치용 고객 시스템과 표시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구동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액정 표시장치(LCD)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소 영역의 양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전계에 따라 액정층의 배열 상태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광의 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의 표시패널은 사용자에게 이미지를 제공하는 표시 영역(active area, AA)과 상기 표시영역(AA)의 주변 영역인 비표시 영역(non-active area, NA)으로 정의되며, 표시 패널은 통상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이 정의되는 어레이기판인 제1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또는 칼라필터층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다.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는 어레이기판 또는 제1기판은 다시,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GL)과,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DL)을 포함하며, 각각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하나의 화소영역(Pixel; P)이 정의된다. 하나의 화소영역(P) 내에는 1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며, 각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또는 소스 전극은 각각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에 각 화소의 구동에 필요한 게이트 신호 및 데이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비표시영역 또는 패널 외부의 게이트 구동부(구동회로) 또는 데이터 구동회로 등이 포함된다.
이 중에서, 게이트 구동회로는 표시패널의 각종 신호라인과 화소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표시패널의 비표시 영역상에 동시에 형성되어서, 결과적으로 게이트 구동회로가 패널 내부에 포함되는 게이트-인-패널(Gate-In-Panel; 이하 “GIP”라고도 함)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게이트 구동회로와 데이터 구동회로가 동일한 드라이버 IC 등에 포함되어 표시패널의 하부에 별도로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데이터 구동회로(D-IC) 까지 포함한 표시패널을 액정모니터(Liquid Crystal Monitor)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액정모니터는 휴대폰, PC, 태블릿 PC 등과 같은 고객 시스템과 연결되어서, 고객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제공받아 표시장치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액정모니터와 연결되어 액정모니터에 포함된 게이트 구동회로 및 데이터 구동회로에 각종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이 제공되며, 이러한 구동 인쇄 회로 기판상에는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각종 구동 소자가 실장된다. 구동 인쇄 회로 기판(구동 PCB)은 일단에서는 연성 회로 기판(FPC) 또는 연성 회로 필름을 통해 액정모니터와 연결되고, 타단에서는 각종 단자 또는 패드가 형성된 커낵터(Connector; CNT)부를 통해서 고객 시스템의 연결부와 접속된다.
한편, 이러한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측 커낵터(CNT)부에는 구동 PCB의 본 회로부에 형성된 각종 신호라인의 전기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1 이상의 더미 접지패드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접지패드 중 일부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에 연결되지 못하고 플로우팅(floating)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측 커낵터(CNT)부에서 플로우팅되어 있는 접지패드는 정전기나 외부 유입 전하를 보유하고 있다가 이후에 고객 시스템이나 테스트 장비 등과 구동 PCB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액정모니터로 유입되어 액정모니터에 각종 불량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커낵터부를 전기적으로 강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에 플로우팅되어 있는 도체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정전기 발생 등의 외부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연결되는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에 형성된 플로우팅된 접지 패드를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본 회로 부에 형성된 접지 금속 패턴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외부 노이즈나 외부 전하로부터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은 연결하기 위한 구동 인쇄회로기판(PCB)으로서, 상기 구동 PCB는 1 이상의 표시패널 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본 기판 영역과, 상기 본 기판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객 시스템의 연결부와 접속되는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는 1 이상의 플로우팅된 더미 접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접지 패드 중 1 이상을 인접한 접지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회로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을 외부의 고객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구동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구동 PCB는 1 이상의 표시패널 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본 기판 영역과, 상기 본 기판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객 시스템의 연결부와 접속되는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는 1 이상의 플로우팅된 더미 접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접지 패드 중 1 이상을 인접한 접지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커낵터부에 플로우팅되어 있는 도체 패턴을 제거함으로써,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와 연결되는 표시장치의 전기적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장치에 연결되는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에 형성된 플로우팅된 더미 접지 패드를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본 기판 영역에 형성된 접지 금속 패턴 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외부 노이즈나 외부 전하로부터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 및 그 둘을 연결하는 구동 인쇄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2는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그에 대한 등가 회로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 및 그 둘을 연결하는 구동 인쇄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표시장치의 세부 구성도로서, 표시패널(110)과, 사용자 단말 또는 테스트 장치 등과 같은 고객 시스템(120) 및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을 연결하되 표시장치의 각종 구동소자를 실장하고 고객 시스템에 연결되는 커낵터부를 포함하는 구동 인쇄 회로 기판인 구동 PCB(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11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도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플라즈마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등 다른 형태의 표시패널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200)가 연결될 수 있는 한 표시패널의 방식이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패널을 액정표시패널로 대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110)인 액정패널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 데이트 라인,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된 하부 기판으로서의 어레이 기판과, 칼라 필터와 블랙 매트릭스(BM)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컬러필터 기판과, 그 사이에 주입되는 액정층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표시패널(110)에는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의 교차 영역으로 정의되는 화소(Pixel: P)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하부 어레이 기판에는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이 교차되고, 이들의 교차 구조에 의해 m × n(m,n은 양의정수) 개의 액정셀(Clc) 또는 픽셀로 이루어지는 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k는 양의 정수)개의 더미 라인들(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액정셀(Clc)들 각각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TFT에 접속된 화소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등을 포함한다. 액정셀(Clc)은 TFT를 통해 데이터전압을 충전하는 화소전극과 공통전압(Vcom)이 인가되는 공통전극의 전압차에 의해 구동되어 입사되는 빛의 투과량을 조정하여 화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표시화상을 구현한다.
한편, 표시패널(110)의 상부 유리기판 상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이 형성된다. 공통전극은 TN 모드와 VA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상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되며, IPS 모드와 FFS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과 함께 하부 유리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라인으로 게이트 출력신호(Vout)를 제공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13)는 게이트 인 패널(Gate-In-Panel; 이하 ‘GIP’라 함) 방식에 따른 TFT 어레이 공정을 통해 표시패널의 하부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즉, 게이트 구동회로는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AA) 바깥에 있는 비 표시영역(NAA)에 형성되며, 패널의 좌우(또는 상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구조일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구동 PCB(200)는 타이밍 컨트롤러(T-con), 데이터 구동회로(D-IC) 등과 같은 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으로서, 구동 소자 및 각종 신호 라인들이 형성되는 본 기판 영역(210)과 양측의 커낵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커낵터부는 다시 구동 PCB(200)의 일단에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 FPCB) 또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등을 통해 표시패널(110)와 연결하기 위한 표시패널 연결부(220)와, 타단에서 사용자 단말 또는 테스트 장비 등과 같은 고객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한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PCB(200)는 연성 인쇄회로 기판(Flexible PCB)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설명에서는 구동 PCB(200)가 타이밍 컨트롤러(T-con)와 데이터 구동회로(D-IC)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의 (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10)에는 구동 회로가 포함되지 않고,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1200을 연결하는 구동 PCB(200)에 타이밍 컨트롤러, 게이트 구동회로, 데이터 구동회로 등과 같은 일체의 구동 회로 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10)의 일측 비표시 영역(NA)에 직접 게이트 구동회로 소자가 형성되는 칩온 글래스(Chip on Gloass; COG) 또는 게이트-인-패널 (Gate-In-Panel; GIP) 구조의 표시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도 1의 (b)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10) 내부에 게이트 구동회로(112)가 형성됨과 동시에, 표시패널 내부 또는 그와 연결되는 별도의 연성 PCB(FPCB)에 데이터 구동회로(114; D-IC)가 실장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하는 구동 PCB(200)에는 게이트 구동회로나 데이터 구동회로는 포함되지 않으며, 그 이외의 표시패널 구동에 필요한 구동 소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구동 PCB(200)는 표시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소자를 1 이상 포함하되, 표시패널(110) 또는 액정모니터(LCM)과 고객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인쇄 회로 필름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200)는 구동 소자 등이 배치되는 본 기판 영역(210) 이외에, 사용자 단말 장치(이동단말, 태블릿 PC, PC 등) 또는 테스트 장비 등과 같은 고객 시스템(120)의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한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동 PCB(200)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에는 본 기판 영역(210)으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신호 배선의 단부에 형성되는 신호 패드와, 본 기판 영역에 형성된 접지 패턴으로부터 연장되는 접지 패드를 포함하며, 고객 시스템에 연결되었을 때 고객 시스템으로부터 접지 신호가 인가되지만 구동 PCB 단위로 보았을 때에는 플로우팅(Floating)되어 있는 다수의 더미 접지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더미 접지 패드는 고객 시스템에 연결되었을 때에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어 여러 신호 라인, 특히 페어(Pair) 신호 라인의 전기적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고객 시스템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정전기(ESD; Electro Static Discharge) 또는 EOD(Electrical Overstress) 등으로 인한 외부 전하가 이러한 더미 접지 패드에 보유되어 있다가, 인접 패드 등으로 유입됨으로써 표시패널에 전기적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서,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은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1 이상의 표시패널 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본 기판 영역과, 본 기판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객 시스템의 연결부와 접속되는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를 포함하는 구동 인쇄회로기판(PCB)으로서,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는 1 이상의 더미 접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접지 패드 중 1 이상을 인접한 접지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에 대한 도면으로서, 도 2는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3은 그에 대한 등가 회로로이다.
도 2 및 3에서와 같이, 구동 PCB(200)의 본 기판 영역(210)에는 다수의 신호 라인(310, 32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에는 이러한 신호 라인들로부터 연장되어 단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신호 패드(360)들이 형성된다.
또한, 구동 PCB(200)의 본 기판 영역(210)에는 다수의 접지 금속 패턴(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접지 금속 패턴에는 구동 PCB내에서 실제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된다. 한편,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에는 이러한 접지 금속 패턴(300)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접지 패드(370)가 형성된다.
한편, 신호 라인들은 예를 들면, 고전위 전압 신호(VDD)라인과 같이 단일 신호 라인(310)들도 있지만, 1 쌍의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를 제공하기 위한 페어 신호 라인(320, 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페어 신호 라인(320, 320’)는 예를 들면, DON(DO negative) 및 DOP(DO Positive)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 라인이거나, CLKN(Clock Negative) 및 CLKP(Clock Positive)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신호라인 등이 될 수 있다.
페어 신호 라인에 의하여 차동 신호를 제공하는 것은, 병렬(Parallel) 구조를 직렬(Serial) 구조로 변경하기 위하여 최근 많이 사용하는 회로 형태로서, 이러한 페어 신호 라인은 전송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페어 신호 라인으로 차동 신호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페어 신호 라인 주위에 접지 신호를 제공해서 밸런스 전자기장(Balance EMF)를 형성하여 전자파 간섭(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200)에는 본 기판 영역에 다수의 페어 신호 라인(320, 320’)이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페어 신호 라인들의 단부에는 페어 신호 패드(3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페어 신호 패드(322)에는 고객 시스템으로부터 해당되는 신호들이 인가되고, 그 신호들이 페어 신호 라인(320, 320’)을 따라 구동 PCB(200) 및 표시패널(100)로 인가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페어 신호 라인의 전기적 안정성을 위하여 페어 신호 패드(322, 322’) 사이에는 더미 접지 패드(38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더미 접지 패드는 구동 PCB(200)가 고객 시스템(12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고객 시스템으로부터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페어 신호 패드 또는 그로 인가되는 차동 신호의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한쌍의 페어 신호 패드와 인접한 다른 한쌍의 페어 신호 패드 사이에는 1 이상의 또다른 더미 접지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1쌍(2개)의 페어 신호 패드 사이에 형성되는 더미 접지 패드를 제1더미 접지 패드(380)로, 인접한 페어 신호 패드 쌍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더미 접지 패드를 제2더미 접지 패드(39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제1더미 접지 패드(370) 및 제2 접지 더미 패드(380)는 고객 시스템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고객 시스템으로부터 그라운드 신호를 인가받아 페어 신호 라인 등의 전기적 안정성에 기여하지만, 고객 시스템에 연결되기 이전 상태에서는 구동 PCB 단위에서 볼 때 전기적으로 플로우팅(Floating)되어 있다.
도 2 이하의 도면에서는 편의상, 각종 신호가 인가되는 신호 패드인 단일 신호 패드(360) 및 페어 신호 패드(322)를 음영 없는 백색으로 표시하고, 본 기판에 형성된 접지 금속 패턴(330) 및 그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접지 패드(370)는 빗금 음영으로 표시하며, 플로우팅되어 있는 제1더미 접지 패드(370) 및 제2 접지 더미 패드(380)를 회색 영역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제1더미 접지 패드(370) 및 제2 접지 더미 패드(380)는 고객 시스템에 연결되기 이전 상태에서는 전기적으로 플로우팅(Floating)되어 있는 금속 패턴이며, 따라서 정전기나 기타 외부에서 발생된 비정상적인 전하를 보유할 수 있고, 이렇게 보유된 비정상적인 외부 전하들이 인접 패드 등을 유입되어 구동 PCB내의 소자들이나 표시패널에 전기적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은 연결하는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에 형성되는 더미 접지 패드를 인접하는 접지 패드와 연결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의 확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110)과 고객 시스템(120)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1 이상의 표시패널 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본 기판 영역(210)과, 상기 본 기판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고객 시스템의 연결부와 접속되는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는 1 이상의 더미 접지 패드를 포함하며, 더미 접지 패드 중 1 이상은 연결 라인에 의하여 인접한 접지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구동 PCB(200)의 본 기판 영역(210)에는 1 이상의 단일 신호 라인(310)과 한 쌍 이상의 페어 신호 라인(320, 320’)이 형성되고, 신호 라인들 사이사이에는 1 이상의 접지 금속 패턴(3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PCB(200)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에는 페어 신호 라인으로부터 연장되는 페어 신호 패드(322, 322’)와, 2개의 페어 신호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1더미 접지 패드(380)와, 인접한 페어 신호 패드 쌍 사이에는 2개의 제2 접지 더미 패드(390)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본 기판 영역의 접지 금속 패턴(330)으로부터 직접 연장되는 접지 패드(370)도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제2 더미 접지 패드(390)는 추가 연결 라인(420)에 의하여 본 기판 영역 상에 배치된 접지 금속 패턴(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 더미 접지 패드(380)는 연결 라인(410)에 의하여 인접한 제2 더미 접지 패드(390)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도 4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추가 연결 라인(420)에 의하여 접지 금속 패턴(330)에 연결된 제2 더미 접지패드(390)이 일종의 접지 패드 기능을 하게 되며, 페어 신호 패드(322, 32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더미 접지 패드가 연결 라인(410)에 의해 이러한 접지 패드에 연결됨으로써, 플로우팅 상태를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 4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더미 접지 패드(380) 및 제2 더미 접지 패드(390) 모두 구동 PCB(200) 내에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는 접지 금속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플로우팅 상태를 벗어나게 되고, 따라서 구동 PCB가 고객 시스템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ESD, EOS 등의 외부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 또는 구동 회로부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구동 PCB 단독으로 보더라도 더미 접지 패드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음으로써 고객 시스템에 미연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비정상 전하가 더미 접지 패드로 유입되더라도 모두 접지되어 소멸되므로, 외부 비정상 전하에 의한 전기적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며, 추가 연결 라인(420’)의 형성 위치만 상이하다.
즉,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페어 신호 패드(322, 322’) 쌍들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더미 접지 패드인 제2 더미 접지 패드(390)를 전기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한 추가 연결 라인(420)이 제2 더미 접지 패드(390)를 직접 구동 PCB의 접지 금속 패턴(330)과 연결하는 형태이다.
그에 비하여,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제2 더미 접지 패드(390)가 가로방향 추가 연결 라인(420’)에 의하여 접지 금속 패턴(330)이 아닌 접지 패드(370)에 직접 연결된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차별화된다.
도 5의 실시예 역시,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더미 접지 패드(380) 및 제2 더미 접지 패드(390) 모두 구동 PCB(200) 내에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는 접지 금속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동 PCB가 고객 시스템에 미연결된 상태에서도 외부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 등의 전기적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동 PCB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제1 더미 접지 패드(380)이 인접한 제 2 더미 접지 패드(390)에만 연결된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도 6의 실시예에서는, 페어 신호 패드(322, 322’) 사이에 배치되는 플로우팅된 제1 더미 접지 패드(380)가 인접한 접지 패드(370)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즉,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제1 더미 접지 패드(380)을 인접한 접지 패드(370)와 직접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 라인(630)과, 추가 연결 라인(420)에 의하여 접지 금속 패턴(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더미 접지 패드(390)과 제1 더미 접지 패드를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6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다시 정리하면, 표시패널(110)과 고객 시스템(120)을 연결하는 구동 PCB(200)의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230)는 1 이상의 플로우팅된 더미 접지 패드를 포함하며, 그러한 더미 접지 패드들은 별도의 연결 라인들에 의하여 인접한 접지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 때, 더미 접지 패드는 구동 PCB(200)의 본 기판 영역(210)에 형성되는 페어 신호 라인의 일단에 부착되는 페어 신호 패드(322, 322’)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더미 접지 패드(380)이고, 전술한 접지 패드는 본 기판 영역에 형성된 접지 금속 패턴(330)으로부터 직접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접지 패드(370)일 수도 있고, 별도의 추가 연결 라인에 의하여 접지 금속 패턴(330) 또는 제1 접지 패드(3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접한 제 2 더미 접지 패드(390)일 수도 있다.
즉, 제 2 더미 접지 패드(390)는 2 이상의 상기 페어 신호 패드 쌍 사이에 배치되되, 추가 연결 라인(420, 420’)에 의하여 접지 금속 패턴(330) 또는 제1 접지 패드(370)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일종의 접지 패드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제 1 더미 접지 패드(380)를 전기적으로 접지 영역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라인은, 제1 더미 접지 패드(380)를 제1 접지 패드(370)와 직접 연결하는 제1 연결 라인(630)과, 제 1 더미 접지 패드(380)를 인접한 제2 더미 접지 패드(390) - 단, 이 때의 제 2 더미 접지 패드는 추가 연결 라인에 의하여 접지 금속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와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610)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의되는 더미 접지 패드(380, 390) 구동 PCB(200)가 고객 시스템(120)에 연결되었을 때에는 페어 신호 라인 등의 전기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지만, 고객 시스템에 미연결시에는 플로우팅되어 있는 모든 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면, 구동 PCB의 커낵터부에는 고객 시스템과 연결되었을 때 전기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의 플로우팅된 더미 접지 패드들이 존재하는데, 이를 구동 PCB의 접지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플로우팅 상태를 벗어나게 되고, 따라서 구동 PCB가 고객 시스템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ESD, EOS 등의 외부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 또는 구동 회로부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표시패널 또는 액정모니터(LCM)와 사용자 단말 또는 테스트 장비 등과 같은 고객 시스템을 연결하는 구동 인쇄회로기판(PCB)의 커낵터부의 전기적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외부 비정상 전하로부터 표시패널 등을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표시패널 120 : 고객 시스템
200 : 구동 인쇄회로기판(구동 PCB) 210 : 본 기판 영역
230 :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 310 : 단일 신호 라인
320, 320’ : 페어 신호 라인 322, 322’: 페어 신호 패드
330 : 접지 금속 패턴 360 : 단일 신호 패드
370 : 제1 접지 패드 380 : 제1 더미 접지 패드
390 : 제 2 더미 접지 패드 410 : 연결 라인
420, 420’ : 추가 연결 라인 630 : 제1 연결 라인
610 : 제 2 연결 라인

Claims (7)

  1. 표시패널과 고객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구동 인쇄회로기판(PCB)으로서,
    상기 구동 PCB는 1 이상의 표시패널 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본 기판 영역과, 상기 본 기판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객 시스템의 연결부와 접속되는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는 1 이상의 플로우팅된 더미 접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접지 패드 중 1 이상을 인접한 접지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회로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접지 패드는 상기 본 기판 영역에 형성되는 페어 신호 라인의 일단에 부착되는 페어 신호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더미 접지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회로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패드는 상기 본 기판 영역에 형성된 접지 금속 패턴으로부터 직접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접지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회로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패드는 2 이상의 상기 페어 신호 패드 쌍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더미 접지 패드와 상기 제2 더미 접지 패드를 본 기판 영역에 형성된 접지 금속 패턴과 연결하는 추가 연결 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회로 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라인은 상기 제1 더미 접지 패드를 상기 제1 접지 패드와 연결하는 제1 연결 라인과, 상기 제 1 더미 접지 패드를 상기 제2 더미 접지 패드와 연결하는 제2 연결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회로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접지 패드는 상기 고객 시스템에 연결되었을 때에는 상기 페어 신호 라인의 전기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그라운드 신호가 인가되지만, 고객 시스템에 미연결시에는 플로우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회로 기판.
  7.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을 외부의 고객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구동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는 표시장치로서,
    상기 구동 PCB는 1 이상의 표시패널 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본 기판 영역과, 상기 본 기판 영역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객 시스템의 연결부와 접속되는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객 시스템 커낵터부는 1 이상의 플로우팅된 더미 접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접지 패드 중 1 이상을 인접한 접지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19081A 2014-09-05 2014-09-05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194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81A KR102194484B1 (ko) 2014-09-05 2014-09-05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4/846,234 US9585252B2 (en) 2014-09-05 2015-09-04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1510561214.0A CN105404063B (zh) 2014-09-05 2015-09-06 用于显示装置的驱动印刷电路板以及具有其的显示装置
US15/410,485 US9961763B2 (en) 2014-09-05 2017-01-19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81A KR102194484B1 (ko) 2014-09-05 2014-09-05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958A true KR20160029958A (ko) 2016-03-16
KR102194484B1 KR102194484B1 (ko) 2020-12-24

Family

ID=55438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081A KR102194484B1 (ko) 2014-09-05 2014-09-05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585252B2 (ko)
KR (1) KR102194484B1 (ko)
CN (1) CN10540406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481A (ko) * 2018-06-14 2019-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호 패드와 나란히 위치하는 더미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3345322A (zh) * 2020-03-02 2021-09-03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走线结构
US11250775B2 (en) 2018-04-16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484B1 (ko) * 2014-09-05 2020-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249924B2 (en) * 2015-06-26 2019-04-02 Intel Corporation Compact via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70039025A (ko) * 2015-09-30 2017-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5975B1 (ko) 2017-08-18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64470B1 (ko) * 2017-08-23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70088B1 (ko) * 2018-01-17 2022-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37499B1 (ko) * 2018-12-17 2024-02-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과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전자 기기
KR20200115775A (ko) * 2019-03-26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회로 기판 조립체를 포함한 전자 패널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46885A (ko) * 2019-10-18 2021-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카메라 모듈, 및 전자 기기
TWI740397B (zh) 2020-03-02 2021-09-2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的走線結構
CN112327548B (zh) * 2020-11-02 2022-08-2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241914B (zh) * 2021-12-21 2024-02-20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5252B2 (en) * 2014-09-05 2017-02-28 Lg Display Co., Ltd.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128B1 (ko) * 2000-09-04 2005-07-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과 그 제조방법
KR20060134291A (ko) * 2005-06-22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패널
KR20080001975A (ko) * 2006-06-30 200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기판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KR20080039699A (ko) * 2006-11-01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 하는 표시 장치
JP2009032714A (ja) * 2007-07-24 2009-02-12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集積回路、表示装置及び電子回路
KR101071138B1 (ko) * 2008-06-13 2011-10-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74564B1 (ko) * 2009-02-04 2011-10-1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KR101954985B1 (ko) * 2012-09-17 2019-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5252B2 (en) * 2014-09-05 2017-02-28 Lg Display Co., Ltd. Driving printed circuit board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0775B2 (en) 2018-04-16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190141481A (ko) * 2018-06-14 2019-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호 패드와 나란히 위치하는 더미 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3345322A (zh) * 2020-03-02 2021-09-03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的走线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404063A (zh) 2016-03-16
CN105404063B (zh) 2018-09-04
KR102194484B1 (ko) 2020-12-24
US20170135201A1 (en) 2017-05-11
US9961763B2 (en) 2018-05-01
US9585252B2 (en) 2017-02-28
US20160073498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484B1 (ko) 표시장치용 구동 인쇄 회로 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0062317B2 (en) Panel array for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US10802358B2 (en) Display device with signal lines routed to decrease size of non-display area
US10877333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runk lines
US9875699B2 (en) Display device
US94297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vertical and horizontal gate lines that directly contact a same upper surface of a same layer
US1035460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398687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line on glass
KR101623593B1 (ko) 액정표시장치
JP2018049193A (ja) 表示装置
US9935130B2 (en) Pixel structur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pixel structure
KR102020938B1 (ko) 액정표시장치
US20110157121A1 (en) Pixel array
KR10127590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381908B1 (ko) 표시패널과 그 정전기 방전 방법
CN113284413A (zh) 显示设备
KR102662960B1 (ko) 면적이 감소된 연성필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KR102075355B1 (ko) 액정표시장치
WO2020032014A1 (ja) 表示装置および配線基板
KR20050063587A (ko) 정전기 제거용 도전층을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KR20170075434A (ko) 액정표시장치
KR102199705B1 (ko) 액정표시패널
KR20070001557A (ko) 액정표시장치
KR20170071105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