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6081A -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6081A
KR20160026081A KR1020140113934A KR20140113934A KR20160026081A KR 20160026081 A KR20160026081 A KR 20160026081A KR 1020140113934 A KR1020140113934 A KR 1020140113934A KR 20140113934 A KR20140113934 A KR 20140113934A KR 20160026081 A KR20160026081 A KR 20160026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ub
main chamber
vehicle body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247B1 (ko
Inventor
박해권
이석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247B1/ko
Priority to CN201520169650.9U priority patent/CN204548014U/zh
Priority to US14/722,920 priority patent/US9511740B2/en
Publication of KR2016002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means outsid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차체에 장착되어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작동가스를 전달받아 차체의 폭방향으로 팽창되는 메인챔버와, 메인챔버에 연결되며 메인챔버를 통하여 작동가스를 전달받아 차체의 에이필러 외측으로 팽창되는 서브챔버 및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에 양측이 연결되어 작동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연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AIR BAG CUSHION DEVICE FOR PROTECTING PEDESTRIAN}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의 전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서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에는 엔진 및 라디에이터 등이 배치되는 엔진룸이 형성되어 있고, 엔진룸을 개폐시키는 후드가 엔진룸의 상측에 배치된다. 후드는 후방이 차체에 힌지결합되며, 전방이 상하로 벌어지면서 개폐된다.
그런데, 차량이 보행자를 충돌할 경우, 보행자가 후드 위로 쓰러지면서 윈드쉴드 글래스와 프론트필러 등에 머리를 부딪치는 2차 상해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행자의 2차 상해를 저감하기 위해, 차량이 보행자를 충돌할 경우 차량과 보행자 사이로 에어백쿠션이 전개되어 보행자의 머리 등이 차량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2차 상해를 방지하는 장치들이 개발되는 추세이나, 에어백이 전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62221호(2007.06.15 공개, 발명의 명칭: 범퍼 에어백 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의 전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서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차체에 장착되어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작동가스를 전달받아 차체의 폭방향으로 팽창되는 메인챔버와, 메인챔버에 연결되며 메인챔버를 통하여 작동가스를 전달받아 차체의 에이필러 외측으로 팽창되는 서브챔버 및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에 양측이 연결되어 작동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연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챔버와 차체를 연결하며 메인챔버의 팽창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서브챔버와 차체를 연결하며 제1가이드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서브챔버의 팽창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가이드부는 차체와 마주하는 메인챔버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제2가이드부는 차체와 마주하는 서브챔버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챔버와 연결통로부를 연결하며 연결통로부의 팽창을 안내하는 제3가이드부 및 메인챔버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여 메인챔버의 팽창을 안내하며 제3가이드부와 교차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4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가이드부와 제4가이드부는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가이드부는 차체와 마주하는 메인챔버의 내측면과 차량용 앞유리와 마주하는 연결통로부의 내측면에 양측이 연결되며, 제4가이드부는 차체와 마주하는 메인챔버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가이드부의 하측과 제4가이드부의 일측은 에이필러와 마주하는 메인챔버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에이필러와 마주하는 서브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에이필러와 마주하는 서브챔버의 내측면과 에이필러와 이격된 서브챔버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결부재는 작동가스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제1연결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챔버는, 내측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에 의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챔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챔버마다 제2가이드부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연결부재는 작동가스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구멍을 구비하며, 서브챔버의 내측에서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챔버의 전개시 제2연결부재는 에이필러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통로부는, 서브챔버의 상측과 서브챔버에서 이격된 메인챔버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와 연결통로부는 서로 연결되어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에이필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와 연결통로부에 의해 닫힌공간부를 형성하며, 닫힌공간부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플레이터의 외측에 설치되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작동가스의 분출구가 양측에 구비되어 작동가스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가스토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토출부는, 서브챔버를 향한 메인챔버의 일측으로 작동가스를 배출하는 제1분출구 및 제1분출구와 반대되는 메인챔버의 타측으로 작동가스를 분출하는 제2분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분출구의 면적은 제1분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는, 인플레이터의 작동으로 팽창되는 서브챔버가 에이필러의 외측에 밀착되어 에어백의 전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보행자가 에이필러에 충격됨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가 제2가이드부의 안내를 받으며 팽창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의 내측에 제1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의 내측에 제1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의 내측에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닫힌공간부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닫힌공간부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와 연결통로부가 서로 연결되어 삼각형 형상으로 팽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와 연결통로부가 서로 연결되어 타원형 형상으로 팽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와 연결통로부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 형상으로 팽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용차에 설치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가 동작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가 제2가이드부의 안내를 받으며 팽창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의 내측에 제1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의 내측에 제1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의 내측에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닫힌공간부의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닫힌공간부의 형상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와 연결통로부가 서로 연결되어 삼각형 형상으로 팽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와 연결통로부가 서로 연결되어 타원형 형상으로 팽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인챔버와 서브챔버와 연결통로부가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 형상으로 팽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는, 차체(10)에 장착되어 작동가스(G)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20)와, 인플레이터(20)에서 발생된 작동가스(G)를 전달받아 차체(10)의 폭방향(W)으로 팽창되는 메인챔버(30)와, 메인챔버(30)에 연결되며 메인챔버(30)를 통하여 작동가스(G)를 전달받아 차체(10)의 에이필러(12) 외측으로 팽창되는 서브챔버(40)와,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에 양측이 연결되어 작동가스(G)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연결통로부(50)를 포함한다.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가 설치되는 차체(10)는, 차량용 앞유리(14)의 양측에 설치되는 에이필러(12)와, 엔진룸을 커버하는 후드(16)를 포함한다. 후드(16)는 차량용 앞유리(14)의 하측 전방에 위치하며, 차량과 충돌한 보행자는 후드(16)나 에이필러(12) 등에 머리를 충격하므로 상해가 가중된다. 또한 인플레이터(20)를 고정시키는 장착브라켓(22)과 인플레이터(20)를 감싸는 형상으로 고정되는 커버부(25)도 제1실시예에 의한 차체(10)에 포함된다.
인플레이터(20)는 차체(10)에 장착되며, 보행자 충돌시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를 팽창시키기 위한 작동가스(G)를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20)는 보행자가 차체(10)에 부딪힐 때 차체(10)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동작되며, 점화장치에 의해 아질산나트륨과 같은 가스 발생제를 순간적으로 연소시켜 나온 질소 등의 작동가스(G)를 이용하여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를 부풀어 오르게 한다.
메인챔버(30)는 인플레이터(20)에서 발생된 작동가스(G)를 전달받아 차체(10)의 폭방향(W)(도 1기준 수평방향)으로 팽창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챔버(30)는 차량용 앞유리(14)의 하측과 후드(16)의 경계부를 따라 팽창되므로, 보행자의 머리가 후드(16)나 차량용 앞유리(14)에 접하여 상해가 증가함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챔버(30)의 내측면(32)은 차체(10)를 향한 상태로 설치되며, 에이필러(12)와 접한 메인챔버(30)의 내측면(32)은 에이필러(12)의 형상을 따라 곡면을 형성한다.
메인챔버(30)의 일측(도 2기준 우측)은 인플레이터(20)의 상측으로 팽창되면서 서브챔버(40)를 향하여 곡선형상으로 휘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메인챔버(30)의 일측이 차체의 폭방향(W)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메인챔버(3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챔버(40)는 메인챔버(30)에 연결되며, 메인챔버(30)를 통하여 작동가스(G)를 전달받아 차체(10)의 에이필러(12) 외측으로 팽창되어 보행자가 에이필러(12)에 충격됨을 방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메인챔버(30)는 차량용 앞유리(14)의 전면에 위치하며, 메인챔버(30)의 길이방향(D) 일측(도 2 기준 좌측)에 서브챔버(40)가 연결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40)와 메인챔버(3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10)의 에이필러(12)와 차량용 앞유리(14)의 전방을 커버한다. 서브챔버(40)가 전방에 설치된 에이필러(12)와 마주하는 반대편 에이필러(12)에도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가 설치되어 차량에 충돌된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킨다.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은 차체(10)의 에이필러(12)와 마주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서브챔버(40)의 외측면(44)은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과 이격되어 서브챔버(40)의 외측을 형성한다.
연결통로부(50)는 서브챔버(40)의 상측과 서브챔버(40)에서 이격된 메인챔버(30)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50)는 서브챔버(40)가 에이필러(12)에서 벗어나서 회전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한다. 연결통로부(50)는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의 상측을 가교시키는 역할을 하며, 연결통로부(50)와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로 둘러쌓인 내측에는 닫힌공간부(60)가 구비된다.
서브챔버(40)와 메인챔버(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통로부(50)의 폭과, 연결통로부(50)와 메인챔버(3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서브챔버(4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연결통로부(50)는 서브챔버(40)와 메인챔버(30)의 사이에 하나가 연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개 이상의 복수로 연결될 수 도 있다. 연결통로부(50)는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연결통로부(50)의 내측을 통해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 내측의 작동가스(G)가 이동될 수 있다.
연결통로부(50)를 설치하므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의 에어백 전개시 좌우 균형이 맞지 않아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가 회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서브챔버(40)의 내측 공간이 단일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복수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연결통로부(50)의 설치로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로 공급되는 작동가스(G)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다.
서브챔버(40)의 내측에 복수로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경우에 연결통로부(50)의 구성이 없으면,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의 쿠션 전개시 좌우 균형이 맞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도 있다. 좌우 균형의 맞지 않는 것은,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로 공급되는 작동가스(G) 유동의 불균형으로 발생된다. 따라서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통로부(50)를 설치하여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의 좌우 균형을 잡아준다.
연결통로부(50)는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그와 유사한 형태의 통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와 연결통로부(50) 사이에 작동가스(G)가 공급되지 않는 닫힌공간부(60)를 구비하여 쿠션의 전체 볼륨을 줄인다.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와 연결통로부(50)에 의해 닫힌공간부(60)를 형성하며, 닫힌공간부(60)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곡면을 구비하는 폐곡선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닫힌공간부(60)는 닫힌 공간 형상의 폐구간을 형성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공간부(60)가 곡면을 구비하는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챔버(130)와 서브챔버(140)와 연결통로부(51)가 연결되어 닫힌공간부(61)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챔버(230)와 서브챔버(240)와 연결통로부(52)가 연결되어 닫힌공간부(62)가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제1가이드부(70)는 메인챔버(30)와 차체(10)를 연결하며, 메인챔버(30)가 차체(10)를 향한 방향으로 팽창됨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70)는 끈이나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가이드부(70)의 상측은 메인챔버(30)의 내측면(32)에 연결되며, 제1가이드부(70)의 하측은 차체(10)나 인플레이터(20) 등에 고정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1가이드부(70)는 인플레이터(20)를 고정시키는 장착브라켓(22)에 하측이 고정되며, 메인챔버(30)의 내측면(32)에 제1가이드부(70)의 상측이 고정된다. 제1가이드부(70)는 인플레이터(20)를 중심으로 우상향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메인챔버(30)가 작동가스(G)에 의해 팽창될 때 제1가이드부(70)가 메인챔버(30)의 내측면(32)을 차량용 앞유리(14)를 향한 방향으로 당겨주므로, 메인챔버(30)가 차체(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차체(10)에 접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80)는 서브챔버(40)와 차체(10)를 연결하며, 제1가이드부(70)에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서브챔버(40)의 팽창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80)는 인플레이터(20)를 고정시키는 장착브라켓(22)에 하측이 고정되며,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에 제2가이드부(80)의 상측이 고정된다. 제2가이드부(80)는 인플레이터(20)를 중심으로 좌상향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서브챔버(40)가 작동가스(G)에 의해 팽창될 때 제2가이드부(80)가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을 에이필러(12)를 향한 방향으로 당겨주므로, 서브챔버(40)가 에이필러(1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에이필러(12)에 접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70)와 제2가이드부(80)는 인플레이터(20)가 설치되는 장착브라켓(22)에서 서로 반대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가 팽창될 때 차체(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전개된다.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가 차체(10)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팽창되도록 제1가이드부(70)는 차체(10)와 마주하는 메인챔버(30)의 내측면(32)에 연결되며, 제2가이드부(80)는 차체(10)와 마주하는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에 연결된다. 제1가이드부(70)와 제2가이드부(80)가 설치되므로,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는 차체(10)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에이필러(12)를 포함한 차체(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연결부재(90)는 에이필러(12)와 마주하는 서브챔버(40)의 내측에 대각선 방향(도 2기준)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종방향(도 6 기준 상하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90)는 에이필러(12)와 마주하는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과 에이필러(12)와 이격된 서브챔버(40)의 외측면(44)을 연결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는 에어백 전개 후, 보행자가 메인챔버(30)나 서브챔버(40)에 충돌할때 까지 서브챔버(40)가 에이필러(12)부에 좌우 유동없이 안착되어야 한다. 오랜 시간 서브챔버(40)가 에이필러(12)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에이펄러 형상에 맞게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 형상이 변형되어야 한다.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 형상은 제1연결부재(90)의 높이를 가변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이필러(12)의 굴곡에 맞게 제1연결부재(90)의 높이가 가변되면, 제1연결부재(90)에 연결된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과 외측면(44) 형상이 가변되면서 에이필러(12)에 맞게 서브챔버(40)의 형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제1연결부재(90)는 작동가스(G)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제1연결구멍(92)을 구비하므로, 제1연결부재(90)의 좌우에 위치한 서브챔버(40)의 팽창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제1연결부재(90)는 필요에 따라 서브챔버(40)의 내측에 복수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제1연결부재(90)의 재질은 서브챔버(40)와 같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히는 동작과 작동가스(G)에 의해 팽창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서 차체(10)의 폭방향(W)과 메인챔버(30)의 길이방향(D)은 서로 같은 방향을 가르킨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가 단수로 마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가 복수로 설치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챔버(45)의 내측에 제1연결부재(90)와 제2연결부재(100)가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1연결부재(90)는 에이필러(12)와 마주하는 서브챔버(45)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2연결부재(1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1연결부재(90)는 에이필러(12)와 마주하는 서브챔버(45)의 내측에 설치되며, 에이필러(12)의 형상에 따라 제1연결부재(90)의 높이가 가변되어 서브챔버(45)의 내측면(42)이 에이필러(12)의 형상을 따라 변형되도록 한다. 제1연결부재(90)와 제2연결부재(100)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며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각도로 교차하며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는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와 연결통로부(50,51,52)의 형상 변형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쿠션이 부풀어 오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챔버(3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서브챔버(40)는 메인챔버(30)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연결통로부(50)는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의 측면을 연결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챔버(330)와 서브챔버(340)와 연결통로부(53)는 서로 연결되어 닫힌공간부(63)를 포함한 외형이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챔버(430)와 서브챔버(440)와 연결통로부(54)는 서로 연결되어 닫힌공간부(64)를 포함한 외형이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챔버(530)와 서브챔버(540)와 연결통로부(55)는 서로 연결되어 닫힌공간부(65)를 포함한 외형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서브챔버(40,140,240,340,440,540)는 항상 에이필러(12) 전방에서 팽창되어 보행자가 에이필러(12)에 충격됨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차체(10)의 전방에 보행자가 충돌되면, 차체(10)에 장착된 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인플레이터(20)가 동작된다. 인플레이터(20)의 동작으로 작동가스(G)가 발생되며, 작동가스(G)의 공급으로 메인챔버(30)가 부풀어 오른다. 메인챔버(30)는 제1가이드부(70)에 의해 팽창이 안내되어 차체(10)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팽창되므로, 팽창이 완료된 후에도 차체(10)에 접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메인챔버(30)로 공급된 작동가스(G)가 메인챔버(30)의 일측에 연결된 서브챔버(40)로 이동되면서 서브챔버(40)도 에이필러(12)를 따라 팽창된다. 서브챔버(40)도 제2가이드부(80)에 의해 에이필러(12)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이 안내되므로, 팽창이 완료된 후에도 에이필러(12)에 접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서브챔버(40)의 팽창시 제1연결부재(90)가 서브챔버(40)의 내측면(42) 형상을 제어하므로, 에이필러(12)의 외측에 형성된 곡면 형상을 따라 서브챔버(40)의 내측 형상도 가변된 상태로 에이필러(12) 외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서브챔버(40)가 에이필러(12) 외측에 접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행자가 에이필러(12)에 충격되어 상해가 증가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서브챔버(40)와 메인챔버(30)로 공급된 작동가스(G)는 연결통로부(50)를 통해 서로 이동되므로 서브챔버(40)와 메인챔버(30)로 공급된 작동가스(G)의 불균형으로 발생되는 회전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3)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3)는 서브챔버(45)가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서브챔버(45)는, 내측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100)에 의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서브챔버(45)는 제1챔버(46)와 제2챔버(47)와 제3챔버(48)를 포함하며, 각 챔버의 경계면에 제2연결부재(100)가 설치되어 이웃한 챔버를 구획한다. 서브챔버(45)에 구비된 챔버의 개수를 3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챔버의 개수는 사용상태에 따라 증감이 가능하다.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3)는 메인챔버(30)와, 1개 이상의 상단 복수 챔버를 구비한 서브챔버(45)를 포함한다. 메인챔버(30)는 인프레이터로 부터 작동가스(G)의 초기 압력을 흡수한 후, 서브챔버(45)에 구비된 각 챔버로 작동가스(G)를 분배한다. 서브챔버(45)의 이웃한 챔버 사이에는 내부 테더인 격막형상의 제2연결부재(100)를 설치하여 작동가스(G)의 분배 속도를 조절하며, 에이필러(12)를 포함한 차체(10)를 따라 서브챔버(45)가 전개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외부 테더인 제1가이드부(70)와 제2가이드부(81)는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5)에 각각 연결되므로,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5)의 전개시 좌우 유동을 최소화하며, 차량용 앞유리(14) 방행으로 전개되도록 유도한다.
도 7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챔버(45)의 내측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100)는 작동가스(G)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구멍(102)을 구비하며, 서브챔버(45)의 내측에서 차체(10)의 폭방향(W)으로 설치된다. 제2연결부재(100)는 휨이 용이한 재질로 성형되며, 제2연결부재(100)의 일측(도 7기준 우측)은 서브챔버(45)의 내측면(42)에 고정되며, 제2연결부재(100)의 타측(도 7기준 좌측)은 서브챔버(45)의 외측면(44)에 고정된다. 제2연결부재(100)의 일측보다 제2연결부재(100)의 타측이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100)의 제2연결구멍(102)을 통해 작동가스(G)가 공급되는 경우, 서브챔버(45)는 팽창되면서 제2연결부재(100)는 서브챔버(45)의 내측면(42)과 설정된 경사각도(B)를 이루며 대각선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설치된다.
만약 서브챔버(45)의 내측에 제2연결부재(100)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서브챔버(45)는 작동가스(G)에 의해 전개되면서 에이필러(12)의 외측으로 휘어지므로 에이필러(12)와 거의 수직인 상태로 전개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서브챔버(45)의 내측에 경사형 제2연결부재(100)를 추가하면, 서브챔버(45)의 내측면(42)과 연결된 제2연결부재(100)의 일측을 중심으로 시계방향(도 10기준)으로 서브챔버(45)의 회전을 유도한다. 또한 제2연결부재(100)에 제2연결구멍(102)을 구비하여 각 챔버로 공급되는 작동가스(G)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서브챔버(45)의 전개시 제2연결부재(100)는 에이필러(12)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제2연결부재(100)의 제2연결구멍(102)을 통과하는 작동가스(G)는 서브챔버(45)의 내측면(42)을 차체(10)방향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서브챔버(45)는 차체(10)방향(도 10기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서브챔버(45)가 차체(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팽창된다. 서브챔버(45)가 에이필러(12)를 따라 상측으로 전개될 때, 제2연결부재(100)는 서브챔버(45)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서브챔버(45)의 부풀어 오르는 동작을 안내한다.
서브챔버(45)의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90)만 설치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연결부재(100)만 설치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20)의 외측에 설치되는 가스토출부(110)는, 인플레이터(20)에서 발생된 작동가스(G)의 분출구가 양측에 구비되어 작동가스(G)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가스토출부(110)는 토출몸체(112), 제1분출구(114), 제2분출구(116)를 포함한다.
토출몸체(112)는 인플레이터(20)에서 발생된 작동가스(G)가 공급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20)와 토출몸체(112)는 메인챔버(30)의 내측에 위치하며, 인플레이터(2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토출몸체(112)가 설치된다.
제1분출구(114)는 서브챔버(45)를 향한 메인챔버(30)의 일측(도 12기준 좌측)으로 작동가스(G)를 배출한다. 제2분출구(116)는 제1분출구(114)와 반대되는 메인챔버(30)의 타측(도 12기준 우측)으로 작동가스(G)를 분출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분출구(116)의 면적은 제1분출구(114)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3)의 좌우 균형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분출구(114)와 제2분출구(116)의 면적을 변경하여 배출되는 작동가스(G)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5)의 좌우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제1분출구(114)의 면적이 제2분출구(116)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면, 서브챔버(45)의 로테이션이 과다 발생하여 전개 유동이 심해진다.
한편, 제2가이드부(81)는 서브챔버(45)가 차체(10)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차체(10)에 밀착되도록 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2가이드부(81)는 서브챔버(45)에 구비된 복수 개의 챔버마다 제2가이드부(81)가 연결된다. 제2가이드부(81)는 제1챔버(46)에 연결된 제1부재(82)와, 제2챔버(47)에 연결된 제2부재(84)와 제3챔버(48)에 연결된 제3부재(86)를 포함한다. 제1부재(82) 내지 제3부재(86)의 상측은 각 챔버의 내측면(42)(42)에 연결되며, 하측은 인플레이터(20)나 장착브라켓(22)을 포함한 차체(10)에 고정된다. 제1가이드부(70)와 제2가이드부(81)는 인플레이터(20)를 중심으로 "V"자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인플레이터(20)의 상측 양측으로 전개되는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5)가 차체(10)에 접하는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3)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5)가 인플레이터(20)와 함께 커버부(25)의 내측에 보관되며, 보행자 충돌시 서브챔버(45)는 에이필러(12)의 전방으로 팽창되며, 메인챔버(30)는 차량용 앞유리(14)의 전방으로 팽창되어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킨다.
인플레이터(20)에서 발생된 작동가스(G)는 메인챔버(30)를 어느 정도 팽창시킨 후, 서브챔버(45)에 구비된 제2연결부재(100)를 통해 서브챔버(45)의 각 챔버로 공급된다. 작동가스(G)는 제2연결부재(100)에 구비된 제2연결구멍(102)을 통해 제3챔버(48)와 제2챔버(47)와 제1챔버(46)로 이동된다.
제2연결부재(100)가 설정된 경사각도(B) 만큼 비스듬하게 설치되므로, 제2연결부재(100)에 구비된 제2연결구멍(102)을 통과하는 작동가스(G)는 서브챔버(45)의 내측면(42)을 에이필러(12)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이동된다. 따라서 서브챔버(45)는 차체(10)에 접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팽창될 수 있다.
인플레이터(20) 외측에 가스토출부(110)가 설치된 경우, 인플레이터(20)에서 발생된 작동가스(G)는 제1분출구(114) 보다 면적이 넓은 제2분출구(116)를 통하여 보다 많이 이동하므로, 서브챔버(45) 보다 메인챔버(30)가 먼저 부풀어 오르기 시작한다. 따라서 메인챔버(30)가 어느 정도 팽창된 상태에서 서브챔버(45)가 팽창되기 시작하므로, 서브챔버(45)의 팽창시 발생하는 회전현상을 감소시켜 서브챔버(45)의 팽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를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는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의 팽창을 안내하는 외부테더인 제3가이드부(120)와 제4가이드부(130)가 서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3가이드부(120)와 제4가이드부(130)는 팽창이 완료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가 우측(이하 도 14 기준)으로 회전됨을 방지하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가 에이필러(12)의 외측을 감싸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외부테더인 제3가이드부(120)와 제4가이드부(130)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수평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며, 서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메인챔버(30) 회전은 구속한 상태에서, "X"자 형상으로 교차된 제3가이드부(120)와 제4가이드부(130)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좌측 하단에서 우측 상단으로 연결되면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우측 로테이션을 방지한다.
또한 "X"자 형상으로 교차된 제3가이드부(120)와 제4가이드부(130)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외부테더로 사용되는 경우,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전개 안전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제3가이드부(120)는 메인챔버(30)와 연결통로부(50)를 연결하며 연결통로부(50)의 팽창을 안내하며, 제4가이드부(130)는 메인챔버(30)의 길이방향 일측(도 14기준 좌측)과 타측(도 14기준 우측)을 연결하여 메인챔버(30)의 팽창을 안내하며 제3가이드부(120)와 교차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제3가이드부(120)와 제4가이드부(130)는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가 팽창될 때 와이어 형상의 제3가이드부(120)와 제4가이드부(130)에 장력이 발생되어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상측을 하측으로 잡아당기므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가 차체의 전면으로 휘어지는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제3가이드부(120)는 차체와 마주하는 메인챔버(30)의 내측면과 차량용 앞유리(14)와 마주하는 연결통로부(50)의 내측면에 양측이 연결되며, 제4가이드부(130)는 차체와 마주하는 메인챔버(30)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또한 제3가이드부(120)의 하측과 제4가이드부(130)의 일측은 에이필러(12)와 마주하는 메인챔버(30)의 내측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에이필러(12)와 마주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상측에는 제4가이드부(130)의 일측이 위치하며, 제4가이드부(130)의 하측에 제3가이드부(120)의 일측이 위치한다. 제4가이드부(130)의 타측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우측에 연결되며, 제3가이드부(120)의 일측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의 우측 상향 부분에 연결되므로 메인챔버(30)와 서브챔버(40)의 팽창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3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4)는 서브챔버(40)의 내측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될 수 있다. 서브챔버(40)의 내측에는 제1,2실시예에 도시된 제1연결부재(90)와 제2연결부재(100)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플레이터(20)의 작동으로 팽창되는 서브챔버(40,45,140,240,340,440,540)가 에이필러(12)의 외측에 밀착되어 에어백의 전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보행자가 에이필러(12)에 충격됨을 방지하여 보행자의 상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승용차에 설치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승용차가 아닌 화물차를 포함한 다른 이동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3,4: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0: 차체 12: 에이필러
14: 차량용 앞유리 16: 후드
20: 인플레이터 22: 장착브라켓
25: 커버부 30,130,230,330,430,530: 메인챔버
32: 내측면 40,45,140,240,340,440,540: 서브챔버
42: 내측면 44: 외측면
46: 제1챔버 47: 제2챔버
48: 제3챔버 50,51,52,53,54,55: 연결통로부
60,61,62,63,64,65: 닫힌공간부 70: 제1가이드부
80,81: 제2가이드부 82: 제1부재
84: 제2부재 86: 제3부재
90: 제1연결부재 92: 제1연결구멍
100: 제2연결부재 102: 제2연결구멍
110: 가스토출부 112: 토출몸체
114: 제1분출구 116: 제2분출구
120: 제3가이드부 130: 제4가이드부
W: 차체의 폭방향 D: 메인챔버의 길이방향 B: 경사각도 G: 작동가스

Claims (19)

  1. 차체에 장착되어 작동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작동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차체의 폭방향으로 팽창되는 메인챔버;
    상기 메인챔버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챔버를 통하여 작동가스를 전달받아 상기 차체의 에이필러 외측으로 팽창되는 서브챔버; 및
    상기 메인챔버와 상기 서브챔버에 양측이 연결되어 작동가스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연결통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챔버와 상기 차체를 연결하며, 상기 메인챔버의 팽창을 안내하는 제1가이드부; 및
    상기 서브챔버와 상기 차체를 연결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서브챔버의 팽창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차체와 마주하는 상기 메인챔버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차체와 마주하는 상기 서브챔버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챔버와 상기 연결통로부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통로부의 팽창을 안내하는 제3가이드부; 및
    상기 메인챔버의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여 상기 메인챔버의 팽창을 안내하며, 상기 제3가이드부와 교차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제4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부와 상기 제4가이드부는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차체와 마주하는 상기 메인챔버의 내측면과 차량용 앞유리와 마주하는 상기 연결통로부의 내측면에 양측이 연결되며, 상기 제4가이드부는 상기 차체와 마주하는 상기 메인챔버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이드부의 하측과 상기 제4가이드부의 일측은 상기 에이필러와 마주하는 상기 메인챔버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필러와 마주하는 상기 서브챔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에이필러와 마주하는 상기 서브챔버의 내측면과, 상기 에이필러와 이격된 상기 서브챔버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작동가스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제1연결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챔버는, 내측에 설치된 제2연결부재에 의해 복수 개의 챔버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챔버에 구비된 복수 개의 챔버마다 상기 제2가이드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작동가스가 통과되는 복수 개의 제2연결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서브챔버의 내측에서 상기 차체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챔버의 전개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상기 에이필러를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부는, 상기 서브챔버의 상측과 상기 서브챔버에서 이격된 상기 메인챔버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챔버와 상기 서브챔버와 상기 연결통로부는 서로 연결되어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에이필러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챔버와 상기 서브챔버와 상기 연결통로부에 의해 닫힌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닫힌공간부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레이터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작동가스의 분출구가 양측에 구비되어 작동가스의 배출양을 조절하는 가스토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토출부는, 상기 서브챔버를 향한 상기 메인챔버의 일측으로 작동가스를 배출하는 제1분출구; 및
    상기 제1분출구와 반대되는 상기 메인챔버의 타측으로 작동가스를 분출하는 제2분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출구의 면적은 상기 제1분출구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20140113934A 2014-08-29 2014-08-29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164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934A KR101640247B1 (ko) 2014-08-29 2014-08-29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CN201520169650.9U CN204548014U (zh) 2014-08-29 2015-03-25 行人保护用安全气囊装置
US14/722,920 US9511740B2 (en) 2014-08-29 2015-05-27 Air bag cushion device for protecting pedestri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934A KR101640247B1 (ko) 2014-08-29 2014-08-29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081A true KR20160026081A (ko) 2016-03-09
KR101640247B1 KR101640247B1 (ko) 2016-07-15

Family

ID=53823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934A KR101640247B1 (ko) 2014-08-29 2014-08-29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11740B2 (ko)
KR (1) KR101640247B1 (ko)
CN (1) CN20454801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1761B (zh) * 2018-08-31 2024-05-14 标致雪铁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前保险杠骨架结构及车辆
KR102647186B1 (ko) * 2018-12-11 2024-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어백 장치
JP7315358B2 (ja) * 2019-03-29 2023-07-26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装置
JP7327359B2 (ja) * 2020-11-16 2023-08-16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KR20220132927A (ko) * 2021-03-24 2022-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20220158442A (ko) * 2021-05-24 2022-12-0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에어백 쿠션
WO2023119932A1 (ja) * 2021-12-22 2023-06-2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23128139A (ja) * 2022-03-03 2023-09-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システム、物体保護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6159836A (zh) * 2023-03-06 2023-05-26 合肥中航天成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低磕伤率的陶瓷化镀清洗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444B2 (ko) * 1983-12-05 1992-07-08 Cables De Lyon Geoffroy Delore
JPH0517873B2 (ko) * 1985-05-15 1993-03-10 Fuji Photo Film Co Ltd
JPH0570078B2 (ko) * 1984-10-16 1993-10-04 Sutaamu Ruugaa Ando Co Inc
JPH0621119B2 (ja) * 1986-02-13 1994-03-23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ポリアミン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1356B2 (ja) * 1999-07-12 2008-08-13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467563B1 (en) * 2000-06-19 2002-10-22 Delphi Technologies, Inc. Windshield frame air bag for pedestrian protection
DE10059223A1 (de) * 2000-11-29 2002-07-11 Volkswagen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 Frontscheibe eines Kraftfahrzeugs zum Schutz von Fußgängern
US6497302B2 (en) * 2000-12-19 2002-12-24 Delphi Technologies, Inc. Scuttle area air bag for pedestrian protection
JP2003170793A (ja) * 2001-12-04 2003-06-17 Takata Corp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US6923286B2 (en) * 2002-02-26 2005-08-02 Toyoda Gosei Co., Ltd. Pedestrian protecting device
JP3951747B2 (ja) * 2002-03-01 2007-08-01 タカタ株式会社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US6712169B2 (en) * 2002-05-16 2004-03-30 Delphi Technologies, Inc. Displaceable automotive hood assembly
DE10341368A1 (de) * 2003-09-03 2005-04-07 Takata-Petri Ag Sicherheitsein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zum Schutz von Fußgängern und Radfahrern
JP4464772B2 (ja) * 2004-09-01 2010-05-1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非乗員保護装置
JP4570078B2 (ja) * 2004-09-24 2010-10-27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非乗員保護装置
JP4517873B2 (ja) * 2005-02-14 2010-08-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歩行者保護装置
JP2006248332A (ja) * 2005-03-09 2006-09-21 Takata Corp 歩行者等保護用エアバッグ及び歩行者等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4441444B2 (ja) * 2005-06-01 2010-03-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物保護装置
JP4589855B2 (ja) * 2005-07-26 2010-12-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物保護装置
DE102006033670B4 (de) * 2005-07-26 2011-08-25 Honda Motor Co., Ltd. Fahrzeug mit Kollisionsobjekt-Schutzeinrichtung
JP4621119B2 (ja) * 2005-11-18 2011-0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突物保護装置
JP2007152967A (ja) * 2005-11-30 2007-06-21 Takata Corp 歩行者用エアバッグ及び装置
KR20070062221A (ko) 2005-12-12 2007-06-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범퍼 에어백 구조
JP4893043B2 (ja) * 2006-01-17 2012-03-07 タカタ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CN101389510B (zh) * 2006-02-27 2011-07-27 马自达汽车株式会社 安全气囊装置
JP4937831B2 (ja) * 2007-05-16 2012-05-2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テザー取付方法
JP5029643B2 (ja) * 2009-03-31 2012-09-19 豊田合成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20100300792A1 (en) * 2009-05-28 2010-12-02 Liang-Yann Yuan Airbag apparatus for pedestrian protection
US8016066B1 (en) * 2010-06-10 2011-09-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Pedestrian air bag
DE102011085330A1 (de) * 2011-01-27 2012-08-02 Takata-Petri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EP2492156B1 (en) * 2011-02-28 2014-03-05 Autoliv Development AB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for a vehicle
EP2502794B1 (en) * 2011-03-25 2013-12-11 Autoliv Development AB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EP2524843B1 (en) * 2011-05-20 2014-11-19 Autoliv Development AB A pedestrian air-bag retraction mechanism
EP2548772B1 (en) * 2011-07-20 2014-03-05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arrangement
DE102011114297A1 (de) * 2011-09-23 2013-03-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119564A1 (de) * 2011-11-26 2013-05-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Gassack für ein Fußgängerschutzsystem und damit ausgestattetes Kraftfahrzeug
EP2599669B1 (en) * 2011-11-29 2015-07-22 Volvo Car Corporation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EP2607183B1 (en) * 2011-12-19 2015-04-08 Autoliv Development AB An inflatable airbag for a motor vehicle safety arrangement
DE102012222006A1 (de) * 2012-02-29 2013-08-29 Takata AG Gassackanordnungen für ein Kraftfahrzeug
EP2822816B1 (de) * 2012-03-08 2016-09-07 Takata AG Gassack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gassackanordnung
KR20140014803A (ko) 2012-07-26 2014-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DE102013205283A1 (de) * 2012-09-03 2014-05-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EP2765036B1 (en) * 2013-02-06 2015-11-04 Autoliv Development AB A pedestrian airbag arrangement
EP2958775B1 (en) * 2013-02-20 2018-10-24 Autoliv Development AB An airbag device with directed inflation
JP2014208513A (ja) * 2013-03-29 2014-11-06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5987753B2 (ja) * 2013-03-29 2016-09-07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6375484B2 (ja) * 2013-04-26 2018-08-22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2015067182A (ja) * 2013-09-30 2015-04-13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460723B1 (ko) * 2013-11-26 2014-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KR101500232B1 (ko) * 2013-12-19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에어백 쿠션
KR20150124003A (ko) * 2014-04-25 2015-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보행자 에어백 시스템
KR101664017B1 (ko) * 2014-07-25 2016-10-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444B2 (ko) * 1983-12-05 1992-07-08 Cables De Lyon Geoffroy Delore
JPH0570078B2 (ko) * 1984-10-16 1993-10-04 Sutaamu Ruugaa Ando Co Inc
JPH0517873B2 (ko) * 1985-05-15 1993-03-10 Fuji Photo Film Co Ltd
JPH0621119B2 (ja) * 1986-02-13 1994-03-23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ポリアミ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247B1 (ko) 2016-07-15
CN204548014U (zh) 2015-08-12
US20160059822A1 (en) 2016-03-03
US9511740B2 (en) 201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247B1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1664017B1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KR101491276B1 (ko) 에어백 장치
KR101878073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KR102216133B1 (ko) 차량의 동승석 에어백
KR20140063022A (ko) 사이드에어백
KR20170051824A (ko) 센터에어백 장치
WO2016158022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2156997B1 (en) A vehicle safety system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JP2007161107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2021003908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708390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468605B1 (ko) 차량용 커튼 에어백
KR20160024258A (ko) 보행자 보호용 자동차의 에어백장치
WO2020174892A1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310289B1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KR100783934B1 (ko) 에어백 쿠션의 압력 유지 타입 인플레이터
JP603711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1020547B1 (ko) 벤트홀 조절기구가 마련된 에어백모듈
KR102192535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0286983B1 (ko) 승객용에어백의인플레터홀더
KR102534323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18114947A (ja) エアバッグ
KR101708221B1 (ko) 차량용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