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289B1 -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0289B1
KR102310289B1 KR1020140163775A KR20140163775A KR102310289B1 KR 102310289 B1 KR102310289 B1 KR 102310289B1 KR 1020140163775 A KR1020140163775 A KR 1020140163775A KR 20140163775 A KR20140163775 A KR 20140163775A KR 102310289 B1 KR102310289 B1 KR 10231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ushion
tether
airbag
strap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191A (ko
Inventor
문건웅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2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means outsid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가스가유입되어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가스를 분배하되,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볼륨을 제어하는 테더;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로 상기 테더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테더와 상기 에어백 쿠션에 연결된 스트랩;을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Pedestrian Protection Airbag}
본 발명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중량을 절감하고, 에어백 쿠션의 끝까지 빠르게 가스가 균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효과적인 보행자 보호를 충족시키는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 보호를 위한 에어백, 조수석 탑승 승객 보호를 위한 에어백 등 다양한 종류의 에어백 장치들이 장착되어 있다.
그 중,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장치는, 카울탑 패널 또는 후드 패널에 인플레이터가 장착되고,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해 에어백 쿠션이 윈드쉴드글래스쪽으로 전개됨으로써, 차량에 부딪힌 후 윈드쉴드글래스 측으로 2차 충돌을 일으키는 보행자의 머리 및 상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카울탑 패널 또는 후드 패널에 인플레이터가 장착되는 관계로 인플레이터는 차체의 좌우 방향으로 수평되게 설치된다. 또한, 인플레이터는, 윈드쉴드글래스를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에 하나가 설치되고, 인플레이터에는 전개가스의 토출부가 일방향으로만 형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편, 에어백 쿠션은 전개시 윈드쉴드글래스를 기준으로 윈드쉴드글래스의 하단부 부분을 커버하고, 좌우 연장부가 운전자 및 조수석 탑승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윈드쉴드글래스의 좌우 부분을 커버하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대략 “U"자 형상으로 전개된다.
그런데, 인플레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개가스의 토출부가 일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어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토출되는 전개가스를 에어백 쿠션의 좌우 연장부까지 균일하게 분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8866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748호는 각각 인플레이터의 전개가스 토출부로부터 토출되는 전개가스를 에어백 쿠션의 끝까지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8866호는 메인쿠션의 내부압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다수개의 분할챔버로 구획하고, 메인쿠션의 내부에 메인쿠션과 결합되어 위치하면서 인플레이터로부터 에어백 가스를 공급받는 입구 및 분할챔버로 에어백 가스를 토출하는 다수개의 가스토출부가 일체로 구비된 분배포켓(디퓨저 포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1748호는 실질은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지만, 인플레이터의 전개가스 토출부 근처에 구비되어 방출된 가스를 분산시키는 주머니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디퓨저 배출구를 갖는 디퓨저 포켓을 포함함으로써 에어백 쿠션 내의 균형있는 전개를 도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된 기술적 특징은 모두 분배포켓 또는 디퓨저 포켓이라는 별도의 구성을 에어백 쿠션 내부에 구비하여야 하는 바 전체적인 중량 및 원가를 상승시키고, 인플레이터의 토출부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게 전개가스가 분출됨으로써 에어백 쿠션의 좌우 연장부로의 균일한 분배가 어려우며, 분배포켓 또는 디퓨저 포켓과 같은 구성을 필수적으로 구비할 경우, 초기 전개가스의 고열 및 고압을 흡수하기 위한 보강포의 마련이 필수적임은 물론, 에어백 쿠션 전체를 한꺼번에 밀어주는 방식의 전개 구조를 가지는 관계로 에어백의 연장부 부분까지의 전개가스 공급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8866호(2013.05.13.공개) 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431748호(2006.11.16.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모듈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하며, 에어백 쿠션의 끝까지 전개가스의 균일 분배 및 공급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보호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에어백 모듈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원가를 절감하며, 에어백 쿠션의 끝까지 전개가스의 균일 분배 및 공급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 보호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에어백 쿠션의 전개력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게 됨에따라, 에어백 쿠션에 접촉하는 승객 타이밍에 에어백 쿠션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테더를 이용하여 에어백 쿠션의 상측 좌우 연장부에 신속하게 전개가스를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보행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의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이 전개되는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의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4는 도 2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바람직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인 경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의 작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에어백 쿠션을 상측에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10)와, 가스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20)과, 상기 가스를 분배하되,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에어백 쿠션(20)의 볼륨을 제어하는 테더(30) 및 에어백 쿠션(20)의 전개로 상기 테더를 분리시키도록 테더(30)와 에어백 쿠션(20)에 연결된 스트랩(40)을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와, 도 4는 도 2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차량의 보행자 충돌사고 발생 전에는 차량의 윈드쉴드글래스(3)의 전방측 구성 중 카울탑 패널 또는 후드 패널(1) 내부에 은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좌우 방향을 좌우 폭이라 정의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은 차량의 좌우 폭의 중간 부분에 접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인플레이터(1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좌우 양단 중 어느 일측으로 가스가 토출되는 가스토출부(도면부호 미표기)가 형성된다. 인플레이터(10)의 내부에서 발생된 가스는 가스토출부를 통하여 고속 토출된다.
인플레이터(10)는 좌우 방향의 길이가 대략 전개 상태의 에어백 쿠션(20)의 하단부의 2/3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되기 때문에, 카울탑 패널 또는 후드 패널(1) 내부에 상하로 수직되게 설치하는 것이 곤란한 바, 보통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에어백 쿠션(20)은, 에어백 하우징(5) 내부에 접힌 상태로 보관된다. 에어백 쿠션(20)을 접는 방식은 에어백 쿠션(20)이 가스의 충진에 의하여 팽창될 때 전개가스의 유동 모습 및 유동 속도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전개되되, 에어백 하우징 내부에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에어백 쿠션(20)은 윈드쉴드글래스(3)의 전방면에 접촉하도록 전개되는 리어 패널(23)과, 리어 패널(23)의 전방부에 봉재 결합되고,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하는 프론트 패널(21)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20)은 가스가 충진되어 전개될 때, 윈드쉴드글래스(3)의 하단부 중간부분에서 가스가 윈드쉴드글래스(3)의 상부 좌우 양측의 대략 “U"자 형상으로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쿠션(20)은 차량의 전방면에 에이필러를 덮도록 연장부(a,b)가 형성되어, 연장부(a,b)에 후술할 스트랩(40)이 연결된다. 연장부(a,b)는 제 1연장부(a)와, 제 2연장부(b)가 각각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의 에이필러를 덮는다. 에어백 쿠션(20)은 하나의 챔버로 구비되어 가스가 챔버 내부에 유동하게 되면서,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 가스가 충진되어 팽창 전개된다.
테더(30)는 인플레이터(10)로부터 상부측에 위치되어 인플레이터(10)로부터 분출되는 가스를 에어백 쿠션(20)의 좌우 양측의 연장부(a,b)까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더(30)는 인플레이터(10)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위치될 수 있다. 테더(50)는, 상단부(34) 및 하단부(32)가 각각 프론트 패널(21) 및 리어 패널(23)의 내측면에 설치된가이드레일(50)에 삽입 결합되고, 좌측단부(30b) 및 우측단부(30c)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벤트홀(35)이 형성될 수 있다.
테더(30)는 짧은 시간이지만 가스의 충진에 의한 에어백 쿠션(20)의 내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하기 전에는 가스를 중앙으로의 전개가스 통과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되, 설정치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테더(30)의 벤트홀(35)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20)을 충진시키도록 한다.
또한, 테더(30)는 에어백 하우징에 에어백 쿠션(20)이 접힌 상태로 보관될 때, 에어백 쿠션(20) 내부에 접힌 상태로 봉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더(30)는 폴딩라인(30a)이 복수개의 벤트홀(35)을 가로지르도록 접힌 상태로 에어백 쿠션(20)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테더(3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에어백 쿠션(20)이 전개될 때 전후 폭이 “H"가 되도록 구비되고, 프론트 패널(21) 및 리어 패널(23)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상단부(34) 및 하단부(32)가 상술한 전후 폭을 소정길이 연장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테더(30)는 양측단이 즉, 좌측단부(30b)와 우측단부(30c)가 스트랩(40)과 연결된다. 또, 테더(30)의 상단부(34) 및 하단부(32)는 후술할 가이드레일(50)의 슬라이딩홈(52a,54b)에 삽입되어 스트랩(40)으로부터의 장력으로 슬라이딩된다.
테더(30)에는 좌측단부(30b) 및 우측단부(30c) 사이에 벤트홀(35)이 형성되어, 인플레이터(10)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벤트홀(35)을 통하여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 유동되면서 충진된다. 이때, 테더(30)는 에어백 쿠션(20)의 센터부(c)가 팽창하게 되는 것을 잡아주게 된다.
테더(30)는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테더(30)로 구비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한다. 테더(30)의 상단부(34)와 하단부(32)가 가이드레일(50)에 슬라이딩홈(52a,54a)에 삽입된다. 테더(30)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된 스트랩(40)이 에어백 쿠션(20)의 팽창에 따라 연장부(a,b)로부터 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테더(30)의 양측단을 a, b방향으로 각각 잡아당기게 되어 테더(30)의 테어라인은 파단되어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다른실시예 의하면, 테더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이 가접되어 있다. 그리고, 테더가 각각 가이드레일의 슬라이딩홈(52a,54a)에 삽입된 뒤, 중심에 맞춰 배치된 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랩(40)에 의해 a, b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 테더(30)의 가접 부분은 스트랩(40)이 잡아당겨 뜯어진다.
벤트홀(35)은 에어백 쿠션(20)이 가스에 의하여 전개될 때 에어백 쿠션(20)의 내부 압력이 상술한 설정치를 초과하면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서 상하로 관통되도록 노출되어 가스가 이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백 쿠션(20)의 내부 압력이 설정치 미만일 경우, 폴딩라인(30a)이 풀어지지 않은 상태로 존재하면서, 에어백 쿠션(20)의 내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할 경우, 폴딩라인(30a)이 펴지면서, 테더(30)로 하여금 에어백 쿠션(20)의 전체적인 두께를 유지시키게 하되, 에어백 쿠션(20)의 중앙부분에도 벤트홀(35)을 통하여 전개가스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형 있는 가스 충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테더(30)는 폴딩라인(30a)이 펴진 뒤,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가이드레일(50)은 스트랩(40)에 의해 분리되는 테더(30)를 가이드하도록 에어백 쿠션(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레일(50)은 복수개 구비되어 프론트패널(24)과 리어패널(22)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다. 가이드레일(50)에는 슬라이딩홈(52a,54a)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다.
스트랩(40)은 에어백 쿠션(20)의 전개로 테더(30)를 분리시키도록 테더(30)를 에어백 쿠션(20)과 연결시킨다. 스트랩(40)은 에어백 쿠션(20)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어, 테더(30)를 잡아당겨 파단시킨다.
즉, 스트랩(40)은 제 1스트랩(42)과 제 2스트랩(44)으로 복수개 구비된다. 스트랩(40)은 일단이 연장부(a,b)와 연결되고, 타단이 테더(30)에 연결된다. 보다상세하게는, 제 1스트랩(42)은 제 1연장부(a)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테더(30)의 좌측단부(30b)에 연결된다. 제 2스트랩(44)은 제 2연장부(b)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테더(30)의 우측단부(30c)에 연결된다. 제 1스트랩(42) 제 2스트랩(44)이 연장부(a,b)의 전개로 테더(30)를 잡아당길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이 전개되는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의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주행 중 보행자 충돌 사고가 발생되어 인플레이터(20)가 작동되면, 가스가 인플레이터(20)의 가스 토출부를 통하여 고속으로 토출된다.
다음으로, 상측으로 변경된 가스의 토출 방향에도 불구하고, 에어백 쿠션(20)의 상단부 좌우 양측으로의 적절한 가스의 유동 분배를 균형있는 가스의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이 설정치 미만일 경우 가변 테더(50)의 안내를 받아 신속하게 에어백 쿠션(10)의 연장부(a,b)까지 유동되어 충진되고, 에어백 쿠션(10)의 내부 압력이 설정치에 도달되면 테더(50)의 폴딩라인(30a)이 풀어지면서 벤트홀(35)이 노출되고, 노출된 벤트홀(35)을 통하여 가스가 에어백 쿠션(10)의 센터부(c)에 충진되면서 전체적으로 신속하고 균형있는 가스 충진이 가능해진다.
이때, 에어백 쿠션(20)의 연장부(a,b)가 에이필러를 향하여 팽창하면서 전개된다. 스트랩(40)은 에어백 쿠션(20)의 센터부의 팽창때까지는 장력을 받지 않고, 이에 따라 테더(30)의 이동도 발생 하지는 않으며, 이때의 에어백 쿠션(20)의 센터부(c)의 만개시간은 대략 30m/s일 수 있다.
다음, 스트랩(40)은 에어백 쿠션(20) 연장부(a,b)의 전개력에 의해 테더(30)를 각각 잡아당기게 되면, 테더(30)의 중심이 분리되면서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센터부(c)가 만개되고 에이필라를 향하여 연장부(a,b)가 전개력으로 스트랩(40)에 의해 테더(30)가 이동되면서 테더(30)가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의 센터부 만개시간은 대략 30~50m/s일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50)을 따라 이동하는 테더(30)가 가이드레일(50)로부터 이탈하게 되면서 에어백쿠션(20)은 만개된다. 즉, 에어백 쿠션(20)의 연장부(a,b)가 에이필라를 덮개된다. 또한, 프론트패널(24)과 리어패널(22)을 잡아주던 테더(30) 가 가이드레일(50)을 이탈하게 되므로서 에어백 쿠션(20)의 체적이 커지게 된다. 여기서, 테더(30)에 의해 구속되었던 에어백 쿠션(20)의 뎁스(Depth)가 늘어나는데 대략 50m/s 정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인플레이터 20: 에어백 쿠션
30: 테더 40: 스트랩
50: 가이드레일

Claims (10)

  1.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차량의 윈드쉴드글래스의 전방측에 구성된 카울탑 패널 또는 후드 패널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차량의 전방면에 에이필러를 덮도록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스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
    상기 가스를 분배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볼륨을 제어하는 테더;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로 상기 테더를 분리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테더에 연결된 스트랩;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좌측의 에이필러를 덮는 제1 연장부; 및
    차량의 전방으로부터 우측의 에이필러를 덮는 제2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백쿠션은,
    차량의 윈드쉴드의 전방면에 접촉하도록 전개되는 리어패널과,
    상기 리어패널의 전방부에 봉재 결합되고, 보행자의 충격을 흡수하는 프론트 패널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랩이 상기 리어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이 봉재되어 결합되며,
    상기 스트랩에 의해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 방향으로 각각 분리되는 상기 테더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에어백 쿠션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테더를 잡아당겨 파단시키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쿠션은, 상기 차량의 전방면에 에이필러를 덮도록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랩이 상기 연장부에 연결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양측단이 상기 스트랩과 연결되어, 상기 스트랩으로부터의 장력으로 중심부가 분리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상기 중심부가 파단되도록 노치부가 형성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는 복수개로 일단을 가접하여 상기 스트랩이 잡아당겨 뜯어지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을 구성하는 프론트패널과 리어패널에 각각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서로 대응되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KR1020140163775A 2014-11-21 2014-11-21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KR10231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775A KR102310289B1 (ko) 2014-11-21 2014-11-21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775A KR102310289B1 (ko) 2014-11-21 2014-11-21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191A KR20160061191A (ko) 2016-05-31
KR102310289B1 true KR102310289B1 (ko) 2021-10-07

Family

ID=5609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775A KR102310289B1 (ko) 2014-11-21 2014-11-21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927A (ko) 2021-03-24 2022-10-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658A (ja) * 2006-06-16 2007-12-27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460723B1 (ko) * 2013-11-26 2014-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748Y1 (ko) 2006-09-12 2006-11-24 에스앤티대우(주) 디퓨저포켓을 구비한 사이드 에어백
KR20110129723A (ko) * 2010-05-26 2011-1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326990B1 (ko) 2011-11-03 2013-1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쿠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1658A (ja) * 2006-06-16 2007-12-27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460723B1 (ko) * 2013-11-26 2014-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191A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2298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406409B1 (ko) 사이드에어백
KR102203274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KR101360434B1 (ko) 사이드 에어백
KR101241156B1 (ko) 차량의 무릎에어백
CN102307759A (zh) 气囊装置
KR102310283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KR101627123B1 (ko)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101491277B1 (ko) 차량용 센터 에어백
KR101708223B1 (ko)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102059687B1 (ko) 사이드 에어백
KR20160021658A (ko) 차량의 에어백
KR10218290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2310289B1 (ko) 보행자 보호용 에어백 모듈
KR10226372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080008109A (ko) 커튼 에어백 장치의 쿠션
KR102321096B1 (ko) 무릎 에어백 장치
JP603711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20090030614A (ko) 에어백 쿠션용 테더
JP5568252B2 (ja) 非対称展開の車両用エアバッグクッション
KR102523104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407265B1 (ko) 에어백 장치
KR20140014923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140014928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20090019262A (ko) 차량 커튼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