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9262A - 차량 커튼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 커튼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9262A
KR20090019262A KR1020070083557A KR20070083557A KR20090019262A KR 20090019262 A KR20090019262 A KR 20090019262A KR 1020070083557 A KR1020070083557 A KR 1020070083557A KR 20070083557 A KR20070083557 A KR 20070083557A KR 20090019262 A KR20090019262 A KR 20090019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vehicle
gas
flow path
curtain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경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9262A/ko
Publication of KR20090019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2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1/262Elongated tubular diffusers, e.g. curtain-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 B60R2021/2612Gas guiding means, e.g.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커튼에어백의 쿠션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쿠션의 내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쿠션을 전개시키기 때문에, 커튼에어백과 같이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쿠션의 전개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커튼에어백{Curtain air ba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커튼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이 신속하게 전개되도록 공기유로가 쿠션의 대각선으로 형성된 차량의 커튼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은 일정 크기 이상의 충돌사고 발생 시 에어백을 풍선처럼 부풀게 함으로써 에어백의 쿠션 작용에 의해 승객의 충격을 완화하고 승객이 차체 밖으로 퉁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정면 충돌 시 앞좌석 승객을 보호하는 운전석 에어백(Driver Air-Bag, DAB) 및 조수석 에어백(PAB)과, 측면 충돌 시 승객의 옆을 보호하는 사이드 에어백(SAB) 및 커튼 에어백(CAB)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측에 횡 방향으로 설치된 에어백 커버(1)와, 상기 에어백 커버(4)에 수납되어 커튼처럼 하향 전개되는 쿠션(2)과, 상기 쿠션(2)에 횡 방향으로 삽입되어 다수 형성된 가스구(3a)를 통해 상기 쿠션(2)에 가스를 안내하는 필호스(3)와, 상기 필호스(3)의 일단에 연결되어 차량의 측면 충돌 시 상기 필호스(3)로 고압의 가스를 분출시키는 인플레이터(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백 커버(1)는 일단의 채널(5) 및 타단의 인플레이터(4)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고, 상측은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며, 상기 차량에 고정되고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고정부(1a)가 형성된다.
상기 쿠션(2)은 상기 에어백 커버(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2a)가 상기 에어백 커버(1)의 절개된 곳을 통해 돌출되어 정부(1a)와 겹쳐지며, 상기 쿠션(2) 및 상기 에어백 커버(1)는 체결수단인 볼트에 의해 차량의 내부에 동시 고정된다.
상기 쿠션(2)은 가스 분출구(4a)가 형성된 상기 인플레이터(4)를 통해 고압의 가스를 공급받고, 상기 쿠션(2)과 상기 인플레이터(4) 사이에는 상기 인플레이터(4)에서 분출되는 가스를 상기 쿠션(2)으로 안내하는 연결관(7)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플레이터(4)는 볼트 체결되는 클램프(8)에 의해 차량의 실내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충돌이나 전복 등의 사고를 당할 경우 차량에 설치된 임팩트 센서(미도시)는 상기 충돌이나 전복 등을 감지하여 차량의 전자제어유닛(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커튼 에어백 모듈은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그래서 차량의 측면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신호를 받은 상기 인플레이터(4)는 상기 필호스(3)로 가스를 분출하고, 상기 필호스(3)로 분출된 가스는 상기 필호스의 가스구(3a)를 통해 쿠션(2)에 충진되며, 상기 쿠션(2)은 상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탑승자의 측면과 차량의 실내 측면 사이로 급격히 전개된다.
특히 전개되는 상기 쿠션(2)은 상기 헤드라이너와 차체 사이의 틈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전개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에서 상기 쿠션(2)은 상기 필호스(3)를 통해 가스를 공급받고, 상기 필호스(3)는 상기 쿠션(2)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그래서 종래 기술에 따른 쿠션(2)이 전개될 때에는, 상기 쿠션(2)의 전 부분이 신속하게 전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쿠션이 신속하게 전개되도록 공기유로가 쿠션의 대각선으로 형성된 차량의 커튼에어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공급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주입되는 공급구와, 상기 바디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를 상기 바디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메인유로가 형성된 쿠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에어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구는 상기 바디의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를 안내하는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인유로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가스 중 일부를 상기 바디의 내부로 안내하는 분기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유로 또는 상기 분기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커튼에어백의 쿠션은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쿠션의 내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쿠션을 전개시키기 때문에, 커튼에어백과 같이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쿠션의 전개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커튼에어백의 쿠션이 도시된 단면 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에어백의 쿠션(10)은 인플레이터(미도시)에서 공급된 가스가 내부에 채워지는 바디(12)와, 상기 바디(12) 내부로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발생된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구(11)와, 상기 공급구(11)와 연결되고 상기 바디(12)에 대하여 대각선 측으로 상기 가스를 안내하는 메인유로(20)와, 상기 메인유로(2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유로(20)를 통해 이동되는 가스 중 일부를 상기 바디(12)의 각 부분으로 안내하는 분기유로(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2)는 전체적인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공급구(11)는 상기 바디(12)의 모서리 측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유로(20)는 바디(12)의 모서리측에서 반대측 모서리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12)는 내/외측의 2겹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분출된 가스는 상기 바디(12) 내부에 충진된다.
상기 메인유로(20)는 상기 바디(12)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1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2겹으로 이루어진 바디(12)를 연결시키는 격벽(22)을 통해 형성된다.
상기 격벽(22)은 소정 간격 이격된 2개로 형성되고, 상기 격벽(22) 사이로 상기 가스가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분기유로(30)는 상기 격벽(22)에 슬릿 형태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와 달리 메인유로처럼 격벽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격벽(22)에는 상기 분기유로(30)에서 토출된 가스를 안내하는 가이드(4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40)는 상기 바디(12)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40)는 상기 메인유로(20) 또는 상기 분기유로(30)에서 토출된 가스를 안내하여 상기 쿠션(10)의 각 부분이 동시에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쿠션(10)의 전개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상기 공급구(11)를 통해 가스가 공급되면, 상기 가스는 상기 메인유로(20)를 통해 안내되고, 상기 메인유로(20)를 따라 유동되면서 상기 쿠션(10)을 팽창시킨다.
여기서 상기 쿠션(10)은 차량의 내부에 접혀져 설치되는 바, 상기 메인유로(20)따라 이동되는 가스는 쿠션(10)의 최 말단으로 곧장 유동되면서 상기 쿠션(10)을 신속하게 전개시키고, 이를 통해 접혀진 쿠션(10)이 신속하게 팽창된다.
한편, 상기 메인유로(20)를 따라 유동되는 가스 중 일부는 상기 격벽(22)에 형성된 분기유로(30)를 통해 상기 쿠션(10) 내부의 다른 공간(15)으로 유동되고, 이를 통해 상기 쿠션(10)이 전체적으로 전개되는 시간동안 각 공간(15)을 팽창시킨다.
또한, 상기 가이드(40)는 상기 각 공간(15)이 효과적으로 팽창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스를 안내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쿠션(10)은 가스가 쿠션(10)의 내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유동되면서 쿠션(10)을 전개시키기 때문에, 커튼에어백과 같이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쿠션의 전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커튼에어백의 쿠션이 도시된 단면도
<도면의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 : 쿠션 11 : 공급구
12 : 바디 15 : 공간
20 : 메인유로 22 : 격벽
30 : 분기유로 40 : 가이드

Claims (5)

  1.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공급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되고,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된 가스가 주입되는 공급구와,
    상기 바디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구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를 상기 바디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안내하는 메인유로가 형성된 쿠션을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에어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는 상기 바디의 모서리에 형성된 차량의 커튼에어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는 상기 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를 안내하는 격벽으로 형성되는 차량의 커튼에어백.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가스 중 일부를 상기 바디의 내부로 안내하는 분기유로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에어백.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 또는 상기 분기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가스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커튼에어백.
KR1020070083557A 2007-08-20 2007-08-20 차량 커튼에어백 KR20090019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557A KR20090019262A (ko) 2007-08-20 2007-08-20 차량 커튼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557A KR20090019262A (ko) 2007-08-20 2007-08-20 차량 커튼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262A true KR20090019262A (ko) 2009-02-25

Family

ID=4068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557A KR20090019262A (ko) 2007-08-20 2007-08-20 차량 커튼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92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6270U1 (de) * 2019-11-11 2021-02-15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 Gassackmodul sowie 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6270U1 (de) * 2019-11-11 2021-02-15 Dalphi Metal Espana, S.A. Gassack, Gassackmodul sowie Fahrzeu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667B1 (ko) 루프 에어백 장치
EP2617607B1 (en) Airbag arrangement
JP4894803B2 (ja) 乗員保護装置
JP200805611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4569310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2647186B1 (ko) 차량의 에어백 장치
EP2156997B1 (en) A vehicle safety system
KR100698730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
JP5236907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5748552B2 (ja) エアバッグ
KR20090019262A (ko) 차량 커튼에어백
JP2005289257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629635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622424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KR102321096B1 (ko) 무릎 에어백 장치
KR100641039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 모듈
KR100692777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 모듈
KR20140042496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KR100629633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모듈
KR100529497B1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US20050127647A1 (en) Side curtain airbag system
KR20230067070A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JP2016210217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KR100622425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KR100622420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