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5476A -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5476A
KR20160025476A KR1020150119715A KR20150119715A KR20160025476A KR 20160025476 A KR20160025476 A KR 20160025476A KR 1020150119715 A KR1020150119715 A KR 1020150119715A KR 20150119715 A KR20150119715 A KR 20150119715A KR 20160025476 A KR20160025476 A KR 20160025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roller
shaft
lock
elastic pressing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829B1 (ko
Inventor
가즈유키 아이자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73027A external-priority patent/JP63290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60735A external-priority patent/JP6422334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5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5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4Detents, brakes, or couplings for feed rollers o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본체 프레임과, 본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를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로크 위치, 및 플래튼 롤러가 본체 프레임에 대해 이탈 가능한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 로크 기구와,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되는 서멀 헤드와, 본체 프레임 및 로크 기구 중 어느 일방측의 부재에 설치된 회동 샤프트이며, 타방측의 부재에 설치된 축 구멍 내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로크 기구를 본체 프레임에 대해 그 회동 샤프트 둘레로 회동시키는 회동 샤프트와, 로크 위치를 향해 로크 기구를 탄성 가압함과 함께, 회동 샤프트와 상기 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를 맞닿게 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멀 프린터는, 플래튼 롤러와 서멀 헤드 사이에 기록지를 끼운 상태로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지를 급지하면서 기록지의 인자면을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하여, 인자면을 발색시켜 인자를 행한다. 이 서멀 프린터는, 플래튼 롤러를 착탈식으로 함으로써, 기록지의 교환 작업 등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서멀 프린터(인자 유닛)는, 본체 프레임과,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의 양단으로부터 동축 상태로 돌출되어 있는 롤러 축에 부착되어 있는 플래튼 베어링과, 이 플래튼 베어링이 착탈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에 형성한 베어링 삽입 홈과, 베어링 삽입 홈으로부터 플래튼 베어링이 빠지지 않도록 로크하고 있는 로크 위치로부터, 베어링 삽입 홈으로부터 플래튼 베어링이 빠질 수 있는 로크 해제 위치로 이동 가능한 로크 레버(로크 기구)와, 이 로크 레버를 로크 위치를 향해 항상 탄성 가압하고 있는 레버 탄성 가압 부재(탄성 가압 부재)를 가지고 있다. 플래튼 베어링은, 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 레버에 의해 베어링 삽입 홈의 내주 단면에 눌러져, 본체 프레임에 대한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착탈식의 플래튼 롤러는, 본체 프레임에 대해 위치 결정된다.
그러나, 상술한 인자 유닛은, 낙하 충격 등의 외력이 본체 프레임이나 로크 아암에 대해 작용함으로써 각 부품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로크 아암에 의한 플래튼 롤러의 유지력이 저하된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가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탈락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런 종류의 인자 유닛은, 개폐 가능한 커버를 가지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하우징은, 중량이나 비용의 면을 고려하여, 그다지 고강도로는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하우징이 낙하한 경우, 그 낙하 충격에 의해 하우징에 관성력이나 비틀림, 뒤틀림에 의한 힘이 발생되어 버리고, 이러한 힘이 본체 프레임이나 로크 아암에 대해 작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문제가 발생되어 버린다. 또, 이러한 프린터 하우징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의 탈락이 발생하면, 커버가 개방되어 버리게 되어, 장치의 파손이나 롤지의 탈락 등이 일어나, 프린터의 사용자에 불이익을 초래해 버린다.
또, 이런 종류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는, 로크 기구의 회동 샤프트와 그 회동 샤프트가 삽입 통과되는 본체 프레임의 축 구멍 사이에, 끼워맞춤 공차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자 유닛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로크 기구의 회동 샤프트가 끼워맞춤 공차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덜컹거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로크 기구의 회동 샤프트가 원하는 위치로부터 이동하면, 로크 기구로부터 플래튼 롤러에 작용하는 유지력이나 유지력의 작용 방향이 불안정해져, 서멀 헤드에 대한 플래튼 롤러의 위치 어긋남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결과, 인자 끊김, 주기 불균일(주기적인 진동에 수반하는 발열 소자와 기록지의 접촉 상태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인자 불균일) 등의 인자 장해가 발생한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당 기술 분야에서는, 서멀 헤드에 대한 플래튼 롤러의 위치를 안정시켜, 인자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가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은, 본체 프레임과, 그 본체 프레임에 부착된 서멀 헤드와, 상기 서멀 헤드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서멀 헤드와의 사이에 기록지를 끼운 상태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기록지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롤러 삽입 홈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동 샤프트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롤러 삽입 홈에 삽입된 상기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과, 상기 회동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와, 상기 로크 아암에 설치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고 있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멀 헤드와는 반대측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서멀 헤드를 향해 연장되는 홀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의 선단부는, 상기 유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중심축과 상기 회동 샤프트의 축을 포함하는 가상면보다 상기 서멀 헤드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유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의 회동이 제한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유지 상태와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롤러 삽입 홈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해방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로크 아암의 회동이 가능해지는 회동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회동 샤프트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유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동 샤프트가 상기 회동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면서, 상기 회동 샤프트가 상기 회동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해방 상태에서 상기 유지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에 의하면, 로크 아암은,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유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가압됨과 함께, 유지 상태에 있어서 회동 샤프트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 가압된다.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은, 플래튼 롤러를 해방시키기까지, 이동 기구에 의해 회동 샤프트를 회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회동 샤프트 둘레로 회동하여 플래튼 롤러를 해방시키는 동작의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해진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는, 로크 아암에 대해 외력이 작용해도 롤러 삽입 홈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또, 홀딩부의 선단부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의 중심축과 회동 샤프트의 축을 포함하는 가상면보다 서멀 헤드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인자 유닛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로크 아암에 형성된 긴 구멍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긴 구멍에 끼워넣어진 축부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에 의하면, 긴 구멍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축부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회동 위치와 로크 위치를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에 대해 회동 샤프트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플래튼 롤러에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에서 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에 의하면, 홀딩부가 플래튼 롤러를 유지할 때에,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보다 넓은 영역에서 접촉하여 유지하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플래튼 롤러를 홀딩부의 원호상의 부분에서 유지함으로써, 회동 샤프트가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홀딩부의 선단부의 회전 궤적이 플래튼 롤러에 간섭하여, 로크 아암의 회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은,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로크 위치, 및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이탈 가능한 로크 해제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 로크 기구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되는 서멀 헤드와,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로크 기구 중 어느 일방측의 부재에 설치된 회동 샤프트이며, 타방측의 부재에 설치된 축 구멍 내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그 회동 샤프트 둘레로 회동시키는, 회동 샤프트와, 상기 로크 위치를 향해 상기 로크 기구를 탄성 가압함과 함께, 상기 회동 샤프트와 상기 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를 맞닿게 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에 의하면, 탄성 가압 부재는, 로크 기구를 로크 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함과 함께, 회동 샤프트를 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맞닿게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에 대해 로크 기구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해 둘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만일 인자 유닛에 대해 외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예를 들면 회동 샤프트가 축 구멍과의 끼워맞춤 공차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기구로부터 플래튼 롤러에 작용하는 유지력이나 유지력의 작용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어, 서멀 헤드에 대한 플래튼 롤러의 위치를 안정시켜, 인자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은, 긴 구멍이며, 또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 중, 상기 각 축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회동 샤프트를 맞닿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에 의하면, 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 중, 상기 각 축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회동 샤프트를 맞닿게 함으로써, 회동 샤프트가 축 구멍의 짧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 상태에서, 회동 샤프트를 축 구멍의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 구멍 내에 있어서 회동 샤프트의 위치가 안정되어, 로크 기구의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서멀 헤드에 대한 플래튼 롤러의 위치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축 구멍을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축 구멍을 진원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한 탄성 가압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서멀 헤드에 대한 플래튼 롤러의 위치를 보다 안정시킴과 함께, 제품 간에서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축 구멍을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축 구멍의 치수 관리가 용이해지므로, 제조 편차를 개선할 수 있음과 함께, 축 구멍을 성형하는 금형의 고수명화를 도모하여,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의 길이 방향과 상기 탄성 가압 부재의 탄성 가압 방향의 교차각은, 45°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에 의하면, 탄성 가압 부재의 탄성 가압 방향이 축 구멍의 길이 방향에 대해 45° 이하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가압 부재의 탄성 가압력 중, 절반 이상의 분력을 축 구멍의 길이 방향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회동 샤프트를 축 구멍 내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보다 강한 힘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기구의 덜컹거림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어, 플래튼 롤러의 위치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상기의 인자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로크 기구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에 의하면, 탄성 가압 부재가 인자 유닛 내에 부착되기 때문에, 탄성 가압 부재가 부착된 상태로 인자 유닛을 하우징에 조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가압 부재를 하우징과 로크 기구 사이에 개재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인자 유닛을 하우징으로 조립하는 것이 용이해져,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는, 상기의 인자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에 의하면, 상기의 인자 유닛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서멀 헤드에 대한 플래튼 롤러의 위치를 안정시켜, 인자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서멀 프린터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의하면, 로크 아암은,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유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가압됨과 함께, 유지 상태에 있어서 회동 샤프트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 가압된다.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은, 플래튼 롤러를 해방시키기까지, 이동 기구에 의해 회동 샤프트를 회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회동 샤프트 둘레로 회동하여 플래튼 롤러를 해방시키는 동작의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해진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는, 로크 아암에 대해 외력이 작용해도 롤러 삽입 홈으로부터 탈락되기 어려워진다. 또, 홀딩부의 선단부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의 중심축과 회동 샤프트의 축을 포함하는 가상면보다 서멀 헤드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인자 유닛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양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의하면, 탄성 가압 부재는, 로크 기구를 로크 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함과 함께, 회동 샤프트를 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맞닿게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에 대해 로크 기구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해 둘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만일 인자 유닛에 대해 외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예를 들면 회동 샤프트가 축 구멍과의 끼워맞춤 공차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기구로부터 플래튼 롤러에 작용하는 유지력이나 유지력의 작용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어, 서멀 헤드에 대한 플래튼 롤러의 위치를 안정시켜, 인자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페이퍼 커버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로크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로크 아암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의 IV-IV선을 따른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로크 아암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의 IV-IV선을 따른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련된 로크 아암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의 IV-IV선을 따른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페이퍼 커버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플래튼 롤러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플래튼 롤러 및 서멀 헤드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X1-X1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로크 위치에 있는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로크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로크 기구의 설명도이다.
도 19는,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인자 유닛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은,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축 구멍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련된 축 구멍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페이퍼 커버가 닫힘 위치에 있을 때의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페이퍼 커버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또한, 서멀 프린터는, 설치면에 올려 놓아진 상태에서 사용되며, 도면 중에 있어서 화살표 UP를 상방이라고 정의하고, 화살표 FR을 전방이라고 정의하고, 화살표 LH를 좌방이라고 정의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1)는, 기록지 P를 인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기록지 P는, 열을 가하면 변색되는 감열지이며, 각종 라벨이나 영수증, 티켓 등의 인쇄 등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지 P는, 중공 구멍(5)을 가지도록 감겨진 롤지 R의 상태로 서멀 프린터(1)에 세트되고, 롤지 R로부터 인출된 부분에 대해 인쇄가 행해진다.
서멀 프린터(1)는, 개구부(3a)를 가지는 케이싱(3)과, 케이싱(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케이싱(3)의 개구부(3a)를 개폐하는 페이퍼 커버(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서멀 프린터(1)에는, 인자 유닛(30)이 내장되어 있다.
케이싱(3)은,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며, 그 전부(前部)는 상측 벽(10)을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는 한편, 후부는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상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의 내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리브 등이 형성되어, 케이싱(3)의 기계적 강도가 보강되어 있다. 케이싱(3) 상측 벽(10)에는, 서멀 프린터(1)의 각종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14)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14)는, 전원 스위치나 FEED 스위치 등의 각종 기능 스위치(15)가 배치됨과 함께, 기능 스위치(15)에 인접하여 전원 스위치의 ON/OFF의 정보를 알리는 POWER 램프나, 서멀 프린터(1)의 에러 등을 알리는 ERROR 램프 등의 각종 램프(16)가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싱(3) 상측 벽(10)과 측벽(12) 사이에는, 페이퍼 커버(20)의 오픈 버튼(1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3) 상측 벽(10)에 있어서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기록지 P를 절단하는 제1 절단날(26)이 형성되어 있다.
페이퍼 커버(20)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페이퍼 커버(20)는, 후단이 도시하지 않는 힌지 샤프트에 의해, 인자 유닛(30)의 본체 프레임(31)(도 3 참조)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페이퍼 커버(20)는, 전단에 부착된 후술하는 플래튼 롤러(51)에 의해, 전단이 본체 프레임(31)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페이퍼 커버(20)는, 케이싱(3)의 오픈 버튼(18)을 압하함으로써, 본체 프레임(31)을 내장하는 케이싱(3)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닫힘 위치(도 1 참조)로부터 열림 위치(도 2 참조)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퍼 커버(20)의 닫힘 위치에 있어서, 페이퍼 커버(20)의 전단 가장자리와 케이싱(3) 상측 벽(10)에 있어서의 후단 가장자리 사이에는, 기록지 P의 폭방향을 따라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간극은, 인쇄된 기록지 P가 배출되는 배출구(19)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페이퍼 커버(20)의 전단 가장자리에는, 기록지 P를 절단하는 제2 절단날(27)(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9)로부터 송출된 기록지 P는, 상술한 제1 절단날(26) 또는 제2 절단날(27)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절단된다.
도 3은,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30)은, 본체 프레임(31)과, 서멀 헤드(41)와, 플래튼 롤러(51)와, 로크 아암(61)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31)은, 저부에 있어서 좌우 방향(청구항에 있어서의 「제1 방향」에 상당.)으로 연장되는 종이 수용부(32)와, 종이 수용부(32)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상방을 향해 세워 설친된 한 쌍의 측벽부(33)와, 종이 수용부(32)의 전방에서 상방을 향해 세워 설친된 전벽부(34)를 가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종이 수용부(32)가 인자 유닛(30)(본체 프레임(31))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기재되어 있지만, 물론 종이 수용부(32)가 인자 유닛(30)과는 별체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 일례로서는, 이 종이 수용부(32)가, 케이싱(3)의 내면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종이 수용부(32)는, 롤지 R을 유지한다. 종이 수용부(32)는, 단면 원호상의 부재이며, 후단이 페이퍼 커버(20)(도 2 참조)의 후단측까지 연장됨과 함께, 전단이 후술하는 플래튼 롤러(51)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종이 수용부(32)의 후단 가장자리에는, 페이퍼 커버(2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종이 수용부(32)의 전단의 상부에는, 종이 수용부(32)의 곡면과 매끄럽게 접속하도록, 가이드 부재(37)가 배치되어 있다. 기록지 P는, 가이드 부재(37)에 의해, 후술하는 서멀 헤드(41)를 향해 부드럽게 도입된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각 측벽부(3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하방을 향해 절입된 롤러 삽입 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 삽입 홈(35)에는, 플래튼 롤러(51)가 상하 방향(청구항에 있어서의 「제2 방향」에 상당.)을 따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삽입 홈(35)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전후 방향을 따르는 홈 저면(35a)과, 홈 저면(35a)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홈 전면(35b)과, 홈 저면(35a)의 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홈 후면(35c)과, 홈 후면(35c)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홈 경사면(35d)에 의해 구획형성되어 있다.
홈 저면(35a)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의 외경보다 약간 길게 되어 있다. 홈 전면(35b) 및 홈 후면(35c)은, 홈 저면(35a)에 대해 직교하고 있다. 홈 전면(35b)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베어링(54)의 외경의 2배 정도가 되어 있다. 홈 후면(35c)의 상하 방향의 길이는, 베어링(54)의 외경 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홈 경사면(35d)은, 홈 전면(35b)과 홈 후면(35c)의 상하 방향의 길이의 차를 보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롤러 삽입 홈(35)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동일 개소에 형성되며, 플래튼 롤러(51)가, 좌우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삽입된다. 롤러 삽입 홈(35)은, 홈 경사면(35d)에 의해 롤러 삽입 홈(35)의 개구폭이 상방을 향함에 따라 넓어져 있다.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51)를 롤러 삽입 홈(35)에 부드럽게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41)는, 기록지 P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것이며, 전후 방향에서 봐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멀 헤드(41)는, 케이싱(3) 상측 벽(10)의 내측이며, 개구부(3a) 내에 노출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그 길이 방향과 기록지 P의 폭방향이 일치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41)의 헤드면(41a)에는,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며 또한 라인형상으로 늘어선 다수의 발열 소자(42)가 배열되어 있다. 헤드면(41a)은, 기록지 P의 인자면과 대향하고 있으며, 플래튼 롤러(5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기록지 P를 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서멀 헤드(41)의 발열 소자(42)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각각 발열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서멀 헤드(41)는, 발열 소자(42)의 발열이 제어되어, 각종의 문자나 도형 등을 기록지 P의 인자면으로 인쇄한다.
도 5는, 도 3의 V-V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I-VI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서멀 헤드(41)는, 본체 프레임(31)에 지지된 헤드 지지체(45)에 붙여져 고정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지지체(45)는,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재이며, 한 쌍의 측벽부(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후면에 서멀 헤드(41)가 붙여져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45)는, 본체 프레임(31)의 전벽부(34)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제1 샤프트(3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샤프트(38)는, 중심축의 축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며, 또한 축방향의 양단부가 한 쌍의 측벽부(3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지지체(45)와 전벽부(34) 사이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탄성 부재(46)가 개재되어 있다. 탄성 부재(46)는, 헤드 지지체(45)와 전벽부(34)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하고 있다. 즉, 탄성 부재(46)는, 헤드 지지체(45)를 후방을 향해 항상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45)의 상단부에는, 헤드 지지체(45)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45a)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5a)는, 헤드 지지체(4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이며, 본체 프레임(31)의 측벽부(33)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33a) 내를 바라보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5a)는, 헤드 지지체(45)의 회동에 수반하여 오목부(33a) 내를 이동하고, 오목부(33a)의 양단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45a)는, 오목부(33a)의 단면에 접촉함으로써, 헤드 지지체(45)의 회동량을 규제하고 있다.
플래튼 롤러(51)는, 서멀 헤드(41)에 대향 배치되며, 서멀 헤드(41)와의 사이에 기록지 P를 끼운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둘레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지 P를 송출한다. 플래튼 롤러(51)는, 롤러 샤프트(52)와, 롤러 샤프트(52)에 외장된 롤러 본체(53)와, 롤러 샤프트(52)의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4)을 가진다. 롤러 샤프트(52)는, 본체 프레임(31)의 한 쌍의 측벽부(33)의 이격 거리 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롤러 본체(53)는, 예를 들면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며, 롤러 샤프트(52)의 축방향을 따라, 롤러 샤프트(52)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1)는, 페이퍼 커버(20)의 전단 가장자리에 플래튼 프레임(55)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페이퍼 커버(20)의 개폐에 수반하여 본체 프레임(3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1)는, 페이퍼 커버(20)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도 1 참조)에 있어서,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4)이 본체 프레임(31)의 롤러 삽입 홈(35)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51)는, 본체 프레임(31)에 대해 중심축 P 둘레(도 4 참조)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플래튼 롤러(51)는, 롤러 삽입 홈(35)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롤지 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 P를 그 플래튼 롤러(51)와 서멀 헤드(41) 사이에 끼운 상태로, 롤러 본체(53)가 서멀 헤드(41)에 대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플래튼 롤러(51)의 축방향 일단(도 3에 있어서의 우단)에는 종동 기어(56)가 고정되어 있다. 종동 기어(56)는, 플래튼 롤러(51)가 한 쌍의 측벽부(33)에 유지되었을 때에, 본체 프레임(31)에 부착된 톱니바퀴 전달 기구(57)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이 톱니바퀴 전달 기구(57)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58)(도 4 참조)에 접속되어 있어, 구동 수단(58)으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을 종동 기어(56)에 전달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51)는, 한 쌍의 측벽부(33)에 유지된 상태로 회전하여, 기록지 P를 송출할 수 있다.
도 7은, 로크 아암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61)은, 좌우 방향을 따르는 회동 샤프트(중심축 Q)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롤러 삽입 홈(35)에 삽입된 플래튼 롤러(51)를 유지한다. 로크 아암(61)은, 본체 프레임(31)의 한 쌍의 측벽부(33)를 따라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부(62)와, 한 쌍의 측판부(62)를 접속하는 배판부(66)를 가진다. 또한 한 쌍의 측판부(62)는,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방의 측판부(6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 이하 로크 아암(61)의 구성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로크 아암(61)이 롤러 삽입 홈(35)에 삽입된 플래튼 롤러(51)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도 4에 나타내는 상태. 이하, 「유지 상태」라고 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부(62)는, 평판형상의 부재이며, 좌우 방향에서 봐서 롤러 삽입 홈(35)의 하방에 배치된 기부(63)와, 기부(63)의 상단 후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홀딩부(64)를 가진다. 홀딩부(64)는, 플래튼 롤러(51)를 사이에 두고 서멀 헤드(41)(도 3 참조)와는 반대측의 영역으로부터, 플래튼 롤러(51)의 상방을 지나 서멀 헤드(41)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기부(63)에는, 하부에 긴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긴 구멍(81)은, 좌우 방향을 따르도록 긴 축을 가지는 긴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샤프트(82)(청구항에 있어서의 「축부」에 상당.)가 끼워 넣어져 있다. 제2 샤프트(82)는, 중심축 Q가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며, 또한 축방향의 양단부가 한 쌍의 측벽부(3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들 긴 구멍(81) 및 제2 샤프트(82)에 의해, 홀딩부(64)는 전후 방향을 향해 제2 샤프트(82)의 중심축 Q(청구항에 있어서의 「회동 샤프트」에 상당.) 둘레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또, 긴 구멍(81) 및 제2 샤프트(82)에 의해 구성되는 이동 기구(80)는, 로크 아암(61)의 회동 중심(중심축 Q)을, 로크 아암(61)에 대해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 기구(80)는, 제2 샤프트(82)를 긴 구멍(81)의 전부(이하, 「로크 위치」라고 한다.)와 긴 구멍(81)의 후부(이하, 「회동 위치」라고 한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기부(63)는, 상단 전부에 있어서 전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단면(63a)을 가진다. 상단면(63a)의 후단에는, 홀딩부(64)의 전단면(64a)이 접속하고 있다. 전단면(64a)은, 기부(63)의 상단면(63a)의 후단에서 상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며, 또한 전방을 향해 만곡하고 있다. 전단면(64a) 중 만곡하고 있는 부분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며, 베어링(54)의 반경보다 약간 큰 곡률반경을 가진다. 로크 아암(61)은, 전단면(64a)의 만곡 부분이 베어링(54)에 접촉함으로써, 베어링(54)을 롤러 삽입 홈(35)에 대해 끼워 넣어, 유지하고 있다.
홀딩부(64)의 선단부(64b)(전단면(64a)의 전단)는, 플래튼 롤러(51)의 중심축 P와 제2 샤프트(82)의 중심축 Q를 포함하는 가상면 F보다 서멀 헤드(41)측(전측)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64b)는, 상단면(63a)과의 최근접 거리가, 베어링(54)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선단부(64b)는, 제2 샤프트(82)가 긴 구멍(81)의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도 4)에 있어서, 제2 샤프트(82)의 중심축 Q와의 거리가, 제2 샤프트(82)의 중심축 Q와 베어링(54)의 외주면의 최장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판부(62)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선단부(64b)가 베어링(54)에 접촉함으로써, 중심축 Q 둘레의 회동이 제한된다. 또한 선단부(64b)는, 제2 샤프트(82)가 긴 구멍(81)의 회동 위치에 있는 상태(도 8)에 있어서, 제2 샤프트(82)의 중심축 Q와의 거리가, 제2 샤프트(82)의 중심축 Q와 베어링(54)의 외주면의 최장 거리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측판부(62)는, 선단부(64b)가 베어링(54)에 접촉하지 않고, 중심축 Q 둘레를 회동할 수 있다(도 8 참조).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판부(66)는,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평판형상의 부재이며, 한 쌍의 측벽부(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배판부(66)는, 한 쌍의 측판부(6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측판부(62)의 전단을 접속하고 있다. 배판부(66)는, 우측의 하단부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1 연결부(67)와, 좌측의 상단부에 있어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2 연결부(68)를 가진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67)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인 제1 탄성 가압 부재(71)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1 탄성 가압 부재(71)는, 타단부가 제1 연결부(67)의 하방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31)과 접속되며, 제1 연결부(67)를 하방을 향해 탄성 가압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연결부(68)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인 제2 탄성 가압 부재(7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2 탄성 가압 부재(72)는, 타단부가 제2 연결부(68)의 하방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31)과 접속되며, 제2 연결부(68)를 하방을 향해 탄성 가압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인자 유닛(30)은, 레버(90)를 구비한다. 레버(90)는, 좌측의 측벽부(33)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일단부(90a)가 측벽부(33)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회동 샤프트를 사이에 두고 일단부(90a)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타단부(90b)(도 6 참조)가 측벽부(33)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90)는, 타단부(90b)가 로크 아암(61)의 제2 연결부(68)의 하면에 접하고 있어, 일단부(90a)를 누름으로써, 로크 아암(61)의 제2 연결부(68)가 타단부(90b)에 의해 밀어 올려진다. 레버(90)의 일단부(90a)는, 케이싱(3)에 배치된 오픈 버튼(1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레버(90)의 일단부(90a)는, 오픈 버튼(18)을 압하함으로써 눌러진다.
인자 유닛(30)은, 한 쌍의 측벽부(33)에 있어서의 각각의 롤러 삽입 홈(35)의 근방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39)를 통하여, 케이싱(3)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싱(3)에 대한 고정 개소를 보다 줄임으로써, 케이싱(3)에 외력이 작용하여 뒤틀림이 발생했을 때에 있어서의, 본체 프레임(31)으로의 뒤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9)를 롤러 삽입 홈(35)의 근방에 형성함으로써, 고정부(39)를 통하여 본체 프레임(31)에 뒤틀림이 발생했을 때에 있어서의 플래튼 롤러(51)로의 뒤틀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인자 유닛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페이퍼 커버(20)의 전단 가장자리에 부착된 플래튼 롤러(51)를 본체 프레임(31)으로부터 떼어내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 도 10은, 로크 아암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3의 IV-IV선을 따른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61)이 유지 상태이며, 또한 제2 샤프트(82)가 긴 구멍(81)의 로크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는, 로크 아암(61)은, 중심축 Q 둘레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로크 아암(61)은, 홀딩부(64)의 전단면(64a)에 있어서의 베어링(54)과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로크 아암(61)은, 제1 탄성 가압 부재(71) 및 제2 탄성 가압 부재(72)(이하, 「각 탄성 가압 부재(71, 72)」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의해, 배판부(66)가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즉 각 탄성 가압 부재(71, 72)는, 홀딩부(64)에 있어서의 베어링(54)과의 접촉부 둘레에 있어서 배판부(66)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중심축 Q(제2 샤프트(82))가 긴 구멍(81)의 회동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크 아암(61)을 탄성 가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샤프트(82)는, 긴 구멍(81)의 로크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레버(90)의 일단부(90a)를 눌러, 로크 아암(61)의 제2 연결부(68)(도 6 참조)를 각 탄성 가압 부재(71, 72)의 탄성 가압 방향에 반하여 상방을 향해 밀어 올린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61)은, 홀딩부(64)의 전단면(64a)에 있어서의 베어링(54)과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제2 연결부(68)를 상방을 향해 밀어 올리는 힘의 일부가 기부(63)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으로 변환된다. 이 결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61)은, 기부(63)가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홀딩부(64)와 베어링(54)의 접촉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중심축 Q(제2 샤프트(82))가 긴 구멍(81)의 회동 위치로 상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로크 아암(61)은, 중심축 Q 둘레로 회동 가능해진다. 이 때 로크 아암(61)은, 각 탄성 가압 부재(71, 72)에 의해, 배판부(66)가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즉 각 탄성 가압 부재(71, 72)는, 중심축 Q 둘레에 있어서 배판부(66)를 하방으로 탄성 가압함으로써, 홀딩부(64)가 베어링(54)을 홀딩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다음에, 레버(90)의 일단부(90a)를 더 눌러, 로크 아암(61)의 제2 연결부(68)를 상방을 향해 더 밀어 올린다. 이 때 로크 아암(61)은, 중심축 Q 둘레로 회동 가능하기 때문에, 홀딩부(64)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한다. 그러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63)의 상단면(63a)이 후방 비스듬하게 위를 향해 이동하여, 롤러 삽입 홈(35)에 삽입된 베어링(54)에 접촉한다.
다음에, 레버(90)의 일단부(90a)를 더 누르면, 로크 아암(61)은, 홀딩부(64)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중심축 Q 둘레로 회동한다. 그러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딩부(64)는, 롤러 삽입 홈(35)의 상방으로부터 완전하게 빠진다. 이것에 의해, 로크 아암(61)은, 플래튼 롤러(51)가 롤러 삽입 홈(35)으로부터 완전하게 해방되어 착탈 가능한 해방 상태가 된다. 또 이 때, 기부(63)의 상단면(63a)은, 후방 비스듬하게 위를 향해 더 이동하여, 롤러 삽입 홈(35)에 삽입된 베어링(54)을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 결과, 플래튼 롤러(51)는, 롤러 삽입 홈(35)으로부터 떼어내기 가능하게 된다. 페이퍼 커버(20)는, 본체 프레임(31)을 내장하는 케이싱(3)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닫힘 위치(도 1 참조)로부터 열림 위치(도 2 참조)로 이동한다. 이상으로, 플래튼 롤러(51)를 본체 프레임(31)으로부터 떼어내는 동작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30)은, 본체 프레임(31)과, 서멀 헤드(41)와, 서멀 헤드(41)에 대향 배치되며, 서멀 헤드(41)와의 사이에 기록지 P를 끼운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둘레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지 P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51)와, 본체 프레임(31)에 형성되며, 플래튼 롤러(51)가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롤러 삽입 홈(35)과, 중심축 Q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롤러 삽입 홈(35)에 삽입된 플래튼 롤러(51)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61)과, 회동 샤프트(중심축 Q)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80)와, 로크 아암(61)을 탄성 가압하는 각 탄성 가압 부재(71, 72)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아암(61)은, 유지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51)를 사이에 두고 서멀 헤드(41)와는 반대측의 영역으로부터, 서멀 헤드(41)를 향해 연장되는 홀딩부(64)를 구비하고 있다. 홀딩부(64)의 선단부(64b)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51)의 중심축 P와 중심축 Q를 포함하는 가상면 F보다 서멀 헤드(41)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동 기구(80)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로크 아암(61)의 회동이 제한되는 로크 위치와, 유지 상태와 플래튼 롤러(51)가 롤러 삽입 홈(35)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해방 상태의 사이에서 로크 아암(61)의 회동이 가능해지는 회동 위치의 사이에서 중심축 Q를 이동시킨다. 각 탄성 가압 부재(71, 72)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중심축 Q가 회동 위치로부터 로크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크 아암(61)을 탄성 가압하면서, 중심축 Q가 회동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로크 아암(61)이 해방 상태에서 유지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로크 아암(61)을 탄성 가압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로크 아암(61)은, 각 탄성 가압 부재(71, 72)에 의해 유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가압됨과 함께, 유지 상태에 있어서 중심축 Q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도록 탄성 가압된다. 이 때문에, 플래튼 롤러(51)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61)은, 플래튼 롤러(51)를 해방하기까지, 이동 기구(80)에 의해 중심축 Q를 회동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작과, 중심축 Q 둘레로 회동하여 플래튼 롤러(51)를 해방시키는 동작의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해진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51)는, 로크 아암(61)에 대해 외력이 작용해도 롤러 삽입 홈(35)으로부터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또, 홀딩부(64)의 선단부(64b)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51)의 중심축 P와 중심축 Q를 포함하는 가상면 F보다 서멀 헤드(41)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51)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롤러(51)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인자 유닛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30)은, 로크 아암(61)이 서멀 헤드(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음으로써, 장치의 소형화와 레이아웃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31)의 서멀 헤드(41)측에는, 서멀 헤드(41) 외에, 구동 수단(58)이나 톱니바퀴 전달 기구(57) 등의 다수의 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서멀 헤드(41)측에 로크 아암(61)이 회동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이들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어, 결과적으로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리지만, 본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30)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고 있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30)은, 이동 기구(80)가, 로크 아암(61)에 형성된 긴 구멍(81)과, 본체 프레임(31)에 고정되며, 긴 구멍(81)에 끼워넣어진 제2 샤프트(82)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긴 구멍(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샤프트(82)(중심축 Q)를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회동 위치와 로크 위치를 이행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아암(61)에 대해 중심축 Q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8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30)은, 홀딩부(64) 중,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에 접촉하는 부분이, 좌우 방향에서 봐서 플래튼 롤러(51)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홀딩부(64)가 플래튼 롤러(51)를 유지할 때에, 플래튼 롤러(51)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보다 넓은 영역에서 접촉하여 유지하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51)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플래튼 롤러(51)를 홀딩부(64)의 원호상의 부분에서 유지함으로써, 중심축 Q가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홀딩부(64)의 선단부(64b)의 회전 궤적이 플래튼 롤러(51)에 간섭하여, 로크 아암(61)의 회동이 제한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제1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는, 인자 유닛(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래튼 롤러(51)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함께, 낙하 충격 등의 외력에 강한 서멀 프린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기술적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래튼 롤러(51)의 떼어내기 동작에는, 레버(90)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링크 기구나 캠 기구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동 기구(80)는, 로크 아암(61)에 형성된 긴 구멍(81)과, 본체 프레임(31)에 고정된 제2 샤프트(82)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동 기구(80)는, 로크 아암(61)에 고정된 축부와, 본체 프레임(31)에 형성된 긴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싱(3)의 주위나 본체 프레임(31)과의 사이에, 완충재를 배치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낙하 충격 등의 영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페이퍼 커버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의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또한, 서멀 프린터는, 설치면에 올려 놓아진 상태에서 사용되며, 도면 중에 있어서 화살표 UP를 상방이라고 정의하고, 화살표 FR을 전방이라고 정의하고, 화살표 LH를 좌방이라고 정의한다.
서멀 프린터(101)는, 개구부(3a)를 가지는 케이싱(3)과, 케이싱(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케이싱(3)의 개구부(3a)를 개폐하는 페이퍼 커버(20)와, 인자 유닛(130)을 가진다.
케이싱(3)의 후부에는, 개구부(3a)를 통하여 롤지 R이 수용되는 롤지 수용부(21)가 구획형성되어 있다. 롤지 수용부(21)는, 롤지 R을 유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2)를 구비하고, 이 가이드 플레이트(22)와 페이퍼 커버(20)의 내면 사이에서 롤지 R을 덮도록 유지하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2)는, 좌우 방향에서 본 단면에서 호상이 되며, 그 내주면에 롤지 R의 외주면이 접촉한 상태에서 롤지 R을 유지함과 함께, 롤지 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 P를 인자 유닛(130)까지 안내한다.
페이퍼 커버(20)는, 전단에 부착된 후술하는 플래튼 롤러(51)에 의해, 전단이 인자 유닛(130)의 후술하는 본체 프레임(131)(도 12 참조)에 걸림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인자 유닛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인자 유닛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플래튼 롤러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인자 유닛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플래튼 롤러 및 서멀 헤드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의 인자 유닛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130)은, 본체 프레임(131)과, 서멀 헤드(41)와, 플래튼 롤러(51)와, 로크 기구(16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131)은, 금속 등의 판재가 굴곡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전후 방향에서 봐서 상방을 향해 개방된 U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프레임(131)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부(132)와, 저부(132)의 좌우 방향 양측에서 상방을 향해 세워 설친된 한 쌍의 측벽부(133)(좌측벽부(133A) 및 우측벽부(133B))와, 저부(132)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부(134)를 가진다. 본체 프레임(131)은, 저부(132)가 케이싱(3)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베이스 부재 상에 고정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벽부(133)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하방을 향해 절입된 롤러 삽입 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 삽입 홈(135)에는, 플래튼 롤러(51)가 상하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도 12 참조).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벽부(133B)에는, 모터 등의 구동 수단(58)이 부착되어 있다. 구동 수단(58)은, 우측벽부(133B)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부착됨과 함께, 그 출력축(58a)이 우측벽부(133B)를 관통하여 본체 프레임(13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134)는, 평면에서 봐서 직사각형 형상의 부재이며, 좌우 방향 양단부가 상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34)의 상부에는, 헤드 가압판(134a)이 고정되어 있다. 헤드 가압판(134a)은,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재이며, 한 쌍의 측벽부(1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31)의 후방 하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샤프트(136)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샤프트(136)는, 양단부가 한 쌍의 측벽부(13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31)에 있어서, 제1 샤프트(136)에 대해 전방 비스듬하게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샤프트(137)(청구항에 있어서의 「회동 샤프트」에 상당.)가 배치되어 있다. 제2 샤프트(137)는, 제1 샤프트(136)와 마찬가지로, 양단부가 한 쌍의 측벽부(13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도 16은, 도 12의 X1-X1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서멀 헤드(41)는, 본체 프레임(131)에 지지된 헤드 지지체(145)에 붙여져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145)는,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판형상의 부재이며, 한 쌍의 측벽부(1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후면에 서멀 헤드(41)가 붙여져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145)는, 헤드 가압판(134a)의 후방에 배치되며, 하부가 제2 샤프트(13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지지체(145)와 헤드 가압판(134a) 사이에는, 헤드 지지체(145)와 헤드 가압판(134a)을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146)가 개재되어 있다. 즉, 탄성 부재(146)는, 헤드 지지체(145)를 후방을 향해 항상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46)는,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5개) 배열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지지체(145)의 상단부에는, 헤드 지지체(145)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145a)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145a)는, 헤드 지지체(145)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이며, 본체 프레임(131)의 측벽부(133)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33a) 내를 바라보고 있다. 스토퍼(145a)는, 헤드 지지체(145)의 회동에 수반하여 오목부(133a) 내를 이동하며, 오목부(133a)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양단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145a)는, 오목부(133a)의 단면에 접촉함으로써, 헤드 지지체(145)의 회동량을 규제하고 있다.
도 12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 샤프트(52)는, 본체 프레임(131)의 한 쌍의 측벽부(133)의 이격 거리 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롤러 본체(53)는, 예를 들면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며, 롤러 샤프트(52)의 축방향(좌우 방향)을 따라, 롤러 샤프트(52)의 양단에 상당하는 부분을 제외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1)는, 페이퍼 커버(20)의 전단 가장자리에 플래튼 프레임(55)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됨과 함께, 페이퍼 커버(20)의 개폐에 수반하여 본체 프레임(13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1)는, 페이퍼 커버(20)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4)이 본체 프레임(131)의 롤러 삽입 홈(135)(도 14 참조)에 삽입된다. 플래튼 롤러(51)는, 롤러 삽입 홈(135)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롤지 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 P를 그 플래튼 롤러(51)와 서멀 헤드(41) 사이에 끼운 상태로, 롤러 본체(53)가 서멀 헤드(41)에 대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종동 기어(56)는, 플래튼 롤러(51)가 한 쌍의 측벽부(133)에 유지되었을 때에, 본체 프레임(131)에 부착된 톱니바퀴 전달 기구(57)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도 17은, 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 기구의 설명도이며, 도 12의 X2-X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로크 해제 위치에 있는 로크 기구의 설명도이며, 도 12의 X2-X2선을 따른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160)는, 제2 샤프트(13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롤러 삽입 홈(135)에 삽입된 플래튼 롤러(51)를 유지한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기구(160)는, 플래튼 롤러(51)를 본체 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로크 위치(도 17에 나타내는 위치), 및 플래튼 롤러(51)가 본체 프레임(131)에 대해 이탈 가능한 로크 해제 위치(도 18에 나타내는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한다. 로크 기구(160)는, 플래튼 롤러(51)의 각 베어링(54)을 각각 유지하는 한 쌍의 로크 아암(162)과, 한 쌍의 로크 아암(162)을 연결하는 연결판(16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로크 아암(162)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일방의 로크 아암(16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또, 이하 로크 기구(160)의 구성의 설명에서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로크 기구(160)가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도 17에 나타내는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판(166)은, 전후 방향을 두께 방향으로 하고,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상이 되며, 본체 프레임(131)의 한 쌍의 측벽부(133)의 사이에서 헤드 가압판(134a)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판(166)은, 좌측의 하단부에 레버 맞댐부(167)를 가진다. 레버 맞댐부(167)는, 그 하면이 전후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후술하는 해제 레버(190)의 제2 조작편(193)이 맞닿는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로크 아암(162)은, 평판형상의 부재이며, 연결판(166)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로크 아암(162)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롤러 삽입 홈(135)의 하방에 배치된 기부(163)와, 기부(163)의 상단 후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홀딩부(164)를 가진다.
기부(163)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는, 축 구멍(181)이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181)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플래튼 롤러(51)의 중심축 Q2와 제2 샤프트(137)의 중심축 Q1을 지나는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 구멍(181)에는, 제2 샤프트(137)가 삽입되어 있다. 이들 축 구멍(181) 및 제2 샤프트(137)에 의해, 로크 기구(160)가 제2 샤프트(137) 둘레로 회동한다. 또, 로크 기구(160)는, 축 구멍(181)의 범위 내에서 제2 샤프트(137)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로크 기구(160)는, 로크 위치에 있어서 제2 샤프트(137)가 축 구멍(181) 내의 전단 가장자리에 맞닿고(도 17에 나타내는 상태), 로크 해제 위치에 있어서 축 구멍(181) 내의 후단 가장자리에 맞닿는다(도 18에 나타내는 상태).
기부(163)의 하부에는, 제3 샤프트(168)가 부착되어 있다. 제3 샤프트(168)는, 제1 샤프트(136)보다 전방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양단부가 한 쌍의 기부(16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제3 샤프트(168)의 중심축 Q3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직선 L 상에 배치되어 있다.
홀딩부(164)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51)를 사이에 두고 서멀 헤드(41)측과는 반대측의 영역으로부터, 플래튼 롤러(51)의 상방을 지나 서멀 헤드(41)측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도 16 참조). 홀딩부(164)의 전단면(164a)(기부(163)의 상단면에 연속되는 부분)는, 상방을 향해 비스듬하게 후방으로 연장된 후, 전방을 향해 만곡하면서 연장되어 있다. 전단면(164a) 중 만곡하고 있는 부분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기구(160)는, 전단면(164a)의 만곡 부분이 베어링(54)에 접촉함으로써, 베어링(54)을 롤러 삽입 홈(135)의 내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 롤러 삽입 홈(135) 내에서 베어링(54)을 유지하고 있다.
홀딩부(164)의 선단부(164b)(전단면(164a)의 전단)는, 좌우 방향에서 봐서 직선 L보다 서멀 헤드(41)측(전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164b)는, 기부(163)의 상단면과의 최근접 거리가, 베어링(54)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선단부(164b)는, 로크 기구(160)가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샤프트(137)의 중심축 Q1과의 거리가, 제2 샤프트(137)의 중심축 Q1과 베어링(54)의 외주면의 최장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크 아암(162)은, 선단부(164b)가 베어링(54)에 전방으로부터 접촉함으로써, 제2 샤프트(137)(중심축 Q1) 둘레의 회동이 제한된다. 또한 선단부(164b)는, 제2 샤프트(137)가 축 구멍(181) 내의 후단 가장자리에 맞닿은 상태(도 18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제2 샤프트(137)의 중심축 Q1과의 거리가, 제2 샤프트(137)의 중심축 Q1과 베어링(54)의 외주면의 최장 거리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로크 아암(162)은, 선단부(164b)가 베어링(54)에 접촉하지 않고, 제2 샤프트(137)(중심축 Q1) 둘레를 회동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샤프트(136)와 제3 샤프트(168) 사이에는, 한 쌍의 탄성 가압 부재(170)가 개재하고 있다. 한 쌍의 탄성 가압 부재(170)는, 각각 한 쌍의 기부(163)의 내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가압 부재(170)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며, 제1 샤프트(136) 및 제3 샤프트(168)를 접근시키는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가압 부재(170)는, 로크 기구(160)를 로크 위치(제2 샤프트(137) 둘레에 있어서 홀딩부(164)가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하고 있다.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 방향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직선 L에 직교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 방향은, 상술한 축 구멍(181)의 길이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31)의 좌측벽부(133A)에는, 오픈 버튼(18)의 조작에 연동하여 플래튼 롤러(51)와 본체 프레임(131)의 장착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 레버(190)가 설치되어 있다. 해제 레버(190)는, 좌측벽부(133A) 및 지지부(134) 사이에 지지되며,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해제 레버(19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부(191)와, 좌측벽부(133A)의 외측에 있어서 축부(19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조작편(192)과, 좌측벽부(133A)의 내측에 있어서 축부(19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2 조작편(19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조작편(192)은, 오픈 버튼(18)에 하방으로부터 연계하여, 오픈 버튼(18)의 압하에 수반하여 눌러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조작편(193)은, 로크 기구(160)의 레버 맞댐부(167)에 하방으로부터 연계하여, 오픈 버튼(18)의 압하에 수반하여 밀어 올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제 레버(190)는, 오픈 버튼(18)의 압하에 수반하여 좌방에서 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2 조작편(193)을 통하여 로크 기구(160)의 레버 맞댐부(167)를 밀어 올린다. 이것에 의해, 로크 기구(160)는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해 이행한다(도 18 참조).
다음에, 상술한 인자 유닛(13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페이퍼 커버(20)의 닫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페이퍼 커버(20)의 열림 위치에 있어서, 로크 기구(160)는 상술한 로크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지 R을 롤지 수용부(21) 내에 투입한 후, 페이퍼 커버(20)를 닫는다. 그러면, 우선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이 로크 아암(162)의 홀딩부(164)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접촉함과 함께, 롤러 본체(53)의 외주면이 서멀 헤드(41)에 접촉한다.
페이퍼 커버(20)를 닫힘 방향을 향해 더 밀어넣으면,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이 홀딩부(164)를 통하여 로크 기구(160)를 로크 해제 위치(즉,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의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한다. 또, 플래튼 롤러(51)는, 롤러 본체(53)의 외주면이 서멀 헤드(41)를 통하여 헤드 지지체(145)를 가압함으로써, 헤드 지지체(145)를 제2 샤프트(137) 둘레의 탄성 부재(146)의 탄성 가압력의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을 향해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홀딩부(164)와 서멀 헤드(41) 사이의 전후 방향의 간극을 넓히면서, 베어링(54)이 본체 프레임(131)의 롤러 삽입 홈(135) 내에 각각 진입한다.
그 후, 베어링(54)이 홀딩부(164)의 선단부(164b)를 타고 넘은 시점에서, 로크 기구(160)가 탄성 가압 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해 로크 위치를 향해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베어링(54)이 홀딩부(164)의 전단면(164a)과 롤러 삽입 홈(135)의 내주 가장자리 사이에서 유지되고, 플래튼 롤러(51)가 본체 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됨과 함께, 페이퍼 커버(20)가 닫힘 위치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플래튼 롤러(51)의 종동 기어(56)가 본체 프레임(131)에 부착된 톱니바퀴 전달 기구(57)에 맞물린다. 이상에 의해, 페이퍼 커버(20)의 닫힘 동작이 종료된다.
도 19는, 인자 유닛의 동작 설명도이며, 주로 본체 프레임(131)의 좌측벽부(133A),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 및 로크 기구(160)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160)는, 탄성 가압 부재(170)에 의해 로크 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로크 기구(160)는, 로크 위치에 있어서, 홀딩부(164)의 전단면(164a)에 있어서의 만곡 부분이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로크 기구(160)에는, 홀딩부(164)의 전단면(164a)과 베어링(54)의 접촉부 둘레에 로크 위치(기부(163)가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향하는 제1 토크 T1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홀딩부(164)의 전단면(164a)에 있어서의 만곡 부분은, 베어링(54)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토크 T1의 회전 중심은, 베어링(54)(플래튼 롤러(51))의 중심축 Q2와 대략 일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로크 기구(160)는, 로크 위치에 있어서, 축 구멍(181)의 전단 가장자리가 제2 샤프트(137)에 전방으로부터 맞닿은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2 샤프트(137)와 축 구멍(181)의 접촉 상태는,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 F(제1 토크 T1)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로크 기구(160)가 제2 샤프트(137)에 대해 축 구멍(181)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로크 기구(160)가 로크 위치에 있을 때(제2 샤프트(137)와 축 구멍(181)의 개구 가장자리의 전단부의 접촉 상태), 로크 기구(160)에는,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 F에 의해, 제2 샤프트(137)의 중심축 Q1 둘레에 로크 위치를 향하는 제2 토크 T2가 발생한다. 이 제2 토크 T2에 의해, 로크 기구(160)의 홀딩부(164)는, 전방을 향해 탄성 가압되며,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을 유지함과 함께, 플래튼 롤러(51)의 외주면을 서멀 헤드(41)(도 16 참조)에 압접시킨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축 구멍(181)은, 그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즉, 축 구멍(181)의 길이 방향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플래튼 롤러(51)의 중심축 Q2를 중심으로 하여, 제2 샤프트(137)의 중심축 Q1을 지나는 가상원의 접선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한편, 탄성 가압 부재(170)는, 탄성 가압력 F가 제3 샤프트(168)에 작용함과 함께, 탄성 가압 방향이 좌우 방향에서 봐서 플래튼 롤러(51)의 중심축 Q2와 제3 샤프트(168)의 중심축 Q3을 잇는 직선(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 F는, 그 전체가 제1 토크 T1이 되어, 제2 샤프트(137)와 축 구멍(181)의 접촉부에 있어서, 제2 샤프트(137)와 축 구멍(181) 사이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된다. 또한 축 구멍(181)은 긴 구멍이기 때문에, 제2 샤프트(137)가 축 구멍(181) 내에 있어서 축 구멍(181)의 짧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축 구멍(181) 내에 있어서 제2 샤프트(137)의 위치가 안정된다.
또한,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 방향은, 좌우 방향에서 봐서 제2 샤프트(137)의 중심축 Q1과 제3 샤프트(168)의 중심축 Q3을 잇는 직선(직선 L)에 직교하는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 F는, 그 전체가 제2 토크 T2가 되어, 홀딩부(164)와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 사이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된다. 따라서,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 F를, 축 구멍(181)에 대한 제2 샤프트(137)의 위치 결정, 및 홀딩부(164)에 의한 플래튼 롤러(51)의 유지에 대해 효율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다음에, 페이퍼 커버(20)의 열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오픈 버튼(18)을 압하하면, 그에 연동하여 해제 레버(190)가 회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2 조작편(193)을 통하여 로크 기구(160)가 로크 해제 위치(즉,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의 방향에 저항하는 방향)을 향해 가압된다. 구체적으로, 로크 기구(160)는, 홀딩부(164)의 전단면(164a)과 베어링(54)의 접촉부 둘레로 회동함으로써 축 구멍(181)의 후단 가장자리가 제2 샤프트(137)에 접근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로크 기구(160)가 상방을 향해 밀어 올려져, 홀딩부(164)의 선단부(164b)가 베어링(54)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하고, 로크 기구(160)의 제2 샤프트(137) 둘레의 회동이 허용된다. 이 상태에서, 오픈 버튼(18)을 더 압하하면, 로크 기구(160)가 제2 샤프트(137) 둘레로 회동함으로써, 베어링(54)이 롤러 삽입 홈(135)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로크 해제 위치까지 홀딩부(164)가 퇴피한다. 이 상태에서, 페이퍼 커버(20)를 끌어올리면, 플래튼 롤러(51)의 베어링(54)이 롤러 삽입 홈(135)으로부터 이탈한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51)가 본체 프레임(131)으로부터 떼어내짐과 함께, 페이퍼 커버(20)가 열림 위치가 된다. 이상에 의해, 페이퍼 커버(20)의 열림 동작이 종료된다.
그런데, 서멀 프린터(101)(인자 유닛(130))에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로크 위치에 있는 로크 기구(160)가 본체 프레임(131)에 대해 상방(축 구멍(181)의 후단 가장자리가 제2 샤프트(13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딩부(164)가 베어링(54)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로크 기구(160)는, 탄성 가압 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해 본체 프레임(131)에 대해 하방(축 구멍(181)의 전단 가장자리가 제2 샤프트(13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속하게 로크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로크 위치에 있어서, 축 구멍(181)의 전단 가장자리가 제2 샤프트(137)에 전방으로부터 맞닿은 접촉 상태가 유지된다. 특히,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축 구멍(181)의 길이 방향이,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 방향에 일치하고 있기 때문에,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 F를 축 구멍(181)의 길이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샤프트(137)를 축 구멍(181) 내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보다 강한 힘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기구(160)의 덜컹거림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어, 플래튼 롤러(51)의 위치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프레임(131)에는, 로크 기구(160)에 설치된 축 구멍(181) 내에 삽입 통과되는 제2 샤프트(137)가 설치되며, 로크 기구(160)가 본체 프레임(131)에 대해 제2 샤프트(137) 둘레로 회동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위치를 향해 로크 기구(160)를 탄성 가압함과 함께, 제2 샤프트(137)와 축 구멍(181)의 개구 가장자리를 맞닿게 하는 탄성 가압 부재(1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탄성 가압 부재(170)는, 로크 기구(160)를 로크 위치를 향해 탄성 가압함과 함께, 제2 샤프트(137)를 축 구멍(181)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맞닿게 함으로써, 본체 프레임(131)에 대해 로크 기구(16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해 둘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만일 인자 유닛(130)에 대해 외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예를 들면 제2 샤프트(137)가 축 구멍(181)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기구(160)로부터 플래튼 롤러(51)에 작용하는 유지력이나 유지력의 작용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어, 서멀 헤드(41)에 대한 플래튼 롤러(51)의 위치를 안정시켜, 인자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샤프트(137)를 축 구멍(181)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소정 개소에 맞닿게 하고 있기 때문에, 로크 기구(160)에 의한 플래튼 롤러(51)의 유지 정밀도는, 제2 샤프트(137)와 축 구멍(181)의 개구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소정 개소의 접촉면의 정밀도에 의해 정해진다. 이 때문에, 종래의 인자 유닛과 같이, 로크 기구에 의한 플래튼 롤러의 유지 정밀도를 보증하기 위해, 제조 시에 있어서 축 구멍의 진원도나, 축 구멍과 회동 샤프트의 동축도 등을 관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조 편차를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축 구멍(181)을 구비한 로크 기구(160)의 제조에 이용하는 금형의 관리가 용이해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삭감시킬 수 있다. 또, 축 구멍(181)을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축 구멍(181)의 치수 관리가 용이해지므로, 제조 편차를 개선할 수 있음과 함께, 축 구멍(181)을 성형하는 금형의 고수명화를 도모하여,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축 구멍(181)은, 긴 구멍이며, 탄성 가압 부재(170)는, 축 구멍(181)의 개구 가장자리 중, 각 축 구멍(181)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2 샤프트(137)를 맞닿게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축 구멍(181)의 개구 가장자리 중, 각 축 구멍(181)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제2 샤프트(137)를 맞닿게 함으로써, 제2 샤프트(137)가 축 구멍(181)의 짧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 상태에서, 제2 샤프트(137)를 축 구멍(181)의 원하는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축 구멍(181) 내에 있어서 제2 샤프트(137)의 위치가 안정되어, 로크 기구(160)의 덜컹거림이 억제된다. 따라서, 서멀 헤드(41)에 대한 플래튼 롤러(51)의 위치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축 구멍(181)을 긴 구멍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축 구멍(181)을 진원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탄성 가압 부재(170)에 의한 탄성 가압 방향을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서멀 헤드(41)에 대한 플래튼 롤러(51)의 위치를 보다 안정시킴과 함께, 제품 간에서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탄성 가압 부재(170)는, 본체 프레임(131)(제1 샤프트(136))과 로크 기구(160)(제3 샤프트(168)) 사이에 개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탄성 가압 부재(170)가 인자 유닛(130) 내에 부착되기 때문에, 탄성 가압 부재(170)가 부착된 상태로 인자 유닛(130)을 케이싱(3)에 조립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탄성 가압 부재(170)를 케이싱(3)과 로크 기구(160) 사이에 개재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인자 유닛(130)을 케이싱(3)으로 조립하는 것이 용이해져,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제2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01)는, 인자 유닛(13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서멀 헤드(41)에 대한 플래튼 롤러(51)의 위치를 안정시켜, 인자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기술적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로크 기구(160)는, 로크 기구(160)에 형성된 축 구멍(181)과, 본체 프레임(131)이 구비한 제2 샤프트(137)(회동 샤프트)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로크 기구는, 로크 기구가 구비하는 회동 샤프트와,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축 구멍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축 구멍(181)의 길이 방향과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 방향이 일치(평행)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양자의 교차각은 45° 이하이면 상관없다. 이 경우에는, 탄성 가압 부재(170)의 탄성 가압력 중, 절반 이상의 분력을 축 구멍(181)의 길이 방향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샤프트(137)를 축 구멍(181) 내에 있어서의 소정 위치에 보다 강한 힘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로크 기구(160)의 덜컹거림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어, 플래튼 롤러(51)의 위치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축 구멍(181)이 긴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구멍(281)은, 타원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축 구멍(281)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곡률반경을, 제2 샤프트(137)의 반경보다 작아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샤프트(137)를 축 구멍(281)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맞닿게 함으로써, 제2 샤프트(137)와 축 구멍(281)의 개구 가장자리는 2개소에서 접하기 때문에, 제2 샤프트(137)와 축 구멍(281)의 덜컹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 구멍(381)은, 원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탄성 가압 부재(170)에 의해 제2 샤프트(137)를 축 구멍(381)의 원하는 위치에 위치 결정할 수 있어, 제2 샤프트(137)가 축 구멍(381)과의 끼워맞춤 공차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축 구멍 및 회동 샤프트(제2 샤프트)의 형상은,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서로 소정 개소에서 서로 맞닿는 형상이면 된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당히 가능하다.

Claims (11)

  1. 본체 프레임과,
    그 본체 프레임에 부착된 서멀 헤드와,
    상기 서멀 헤드에 대향 배치되며, 상기 서멀 헤드와의 사이에 기록지를 끼운 상태로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기록지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삽입되는 롤러 삽입 홈과,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회동 샤프트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롤러 삽입 홈에 삽입된 상기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는 로크 아암과,
    상기 회동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상기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와,
    상기 로크 아암에 설치되며, 상기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고 있는 유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서멀 헤드와는 반대측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서멀 헤드를 향해 연장되는 홀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딩부의 선단부는, 상기 유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중심축과 상기 회동 샤프트의 축을 포함하는 가상면보다 상기 서멀 헤드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유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의 회동이 제한되는 로크 위치와, 상기 유지 상태와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롤러 삽입 홈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해방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로크 아암의 회동이 가능해지는 회동 위치 사이에서 상기 회동 샤프트를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유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동 샤프트가 상기 회동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면서, 상기 회동 샤프트가 상기 회동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이 상기 해방 상태로부터 상기 유지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고 있는, 인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는,
    상기 로크 아암에 형성된 긴 구멍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긴 구멍에 끼워넣어진 축부를 가지고 있는, 인자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플래튼 롤러에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에서 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플래튼 롤러에 접촉하는 부분이, 상기 제1 방향에서 봐서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을 따르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5.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로크 위치, 및 상기 플래튼 롤러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이탈 가능한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 로크 기구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되는 서멀 헤드와,
    상기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로크 기구 중 어느 일방측의 부재에 설치된 회동 샤프트이며, 타방측의 부재에 설치된 축 구멍 내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상기 로크 기구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해 그 회동 샤프트 둘레로 회동시키는 회동 샤프트와,
    상기 로크 위치를 향해 상기 로크 기구를 탄성 가압함과 함께, 상기 회동 샤프트와 상기 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를 맞닿게 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은 긴 구멍이며, 또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축 구멍의 개구 가장자리 중, 상기 각 축 구멍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회동 샤프트를 맞닿게 하고 있는, 인자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축 구멍의 길이 방향과 상기 탄성 가압 부재의 탄성 가압 방향의 교차각은 45° 이하인, 인자 유닛.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로크 기구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인자 유닛.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로크 기구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인자 유닛.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로크 기구 사이에 개재하고 있는, 인자 유닛.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인자 유닛을 구비하는, 서멀 프린터.
KR1020150119715A 2014-08-27 2015-08-25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102365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73027A JP6329033B2 (ja) 2014-08-27 2014-08-27 サーマルプリンタモジュール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JP-P-2014-173027 2014-08-27
JPJP-P-2014-260735 2014-12-24
JP2014260735A JP6422334B2 (ja) 2014-12-24 2014-12-24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5476A true KR20160025476A (ko) 2016-03-08
KR102365829B1 KR102365829B1 (ko) 2022-02-21

Family

ID=5400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9715A KR102365829B1 (ko) 2014-08-27 2015-08-25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93814B2 (ko)
EP (1) EP3064361B1 (ko)
KR (1) KR102365829B1 (ko)
CN (2) CN204914946U (ko)
TW (1) TWI6425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42555B (zh) * 2014-08-27 2018-12-01 日商精工電子有限公司 印字單元及熱列印機
JP6685830B2 (ja) * 2016-05-16 2020-04-2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携帯型端末
JP2018001719A (ja) * 2016-07-08 2018-01-11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プリンタ
JP6767189B2 (ja) * 2016-07-26 2020-10-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携帯型端末
JP7046589B2 (ja) * 2017-12-20 2022-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7060990B2 (ja) * 2018-03-27 2022-04-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モジュール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CN110667259B (zh) * 2019-10-18 2024-07-16 珠海智汇网络设备有限公司 一种转臂式开盖的热敏打印机
US11400735B2 (en) 2019-12-02 2022-08-02 Seiko Instruments Inc.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WO2021144745A1 (en) * 2020-01-16 2021-07-22 4P Srl Portable thermal printer of the clamshell type and handheld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with said printer integrated therein
CN113022150A (zh) * 2021-04-23 2021-06-25 珠海捷威尔科技有限公司 一种打印胶辊装置及其热转印标签打印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145A (ko) * 1989-03-06 1990-10-22 고바야시 쥰 써어멀 프린터
JP2004123317A (ja) * 2002-10-03 2004-04-22 Kyocera Mita Corp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シート排出機構,シート処理装置
JP2007331112A (ja) * 2006-06-12 2007-12-27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5564B2 (ja) * 2001-11-16 2007-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ユニット
JP3734753B2 (ja) * 2001-12-28 2006-01-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350942B2 (ja) * 2002-12-18 2009-10-2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389534B2 (ja) * 2003-09-25 2009-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開閉蓋のロック・アンロック機構およびプリンタ
JP4761465B2 (ja) * 2006-09-15 2011-08-3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09143133A (ja) * 2007-12-14 2009-07-02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JP5181145B2 (ja) * 2008-05-21 2013-04-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0240881A (ja) * 2009-04-01 2010-10-28 Fujitsu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1110917A (ja) * 2009-11-30 2011-06-09 Seiko Instruments Inc サーマルプリンタ
EP2765005B1 (en) * 2011-10-07 2017-12-06 Fujitsu Component Limited Printer device
JP6262429B2 (ja) * 2012-12-27 2018-01-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プリンタ
TWI642555B (zh) * 2014-08-27 2018-12-01 日商精工電子有限公司 印字單元及熱列印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4145A (ko) * 1989-03-06 1990-10-22 고바야시 쥰 써어멀 프린터
JP2004123317A (ja) * 2002-10-03 2004-04-22 Kyocera Mita Corp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シート排出機構,シート処理装置
JP2007331112A (ja) * 2006-06-12 2007-12-27 Seiko Epson Corp サーマ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4361A1 (en) 2016-09-07
CN105383190A (zh) 2016-03-09
CN105383190B (zh) 2020-02-07
TWI642555B (zh) 2018-12-01
US9393814B2 (en) 2016-07-19
US20160059588A1 (en) 2016-03-03
EP3064361B1 (en) 2017-11-22
TW201615440A (zh) 2016-05-01
KR102365829B1 (ko) 2022-02-21
CN204914946U (zh) 2015-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5476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5498802B2 (ja) カッター機構及び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5106238B2 (ja)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KR20110013206A (ko)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
JP5466514B2 (ja)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KR102441776B1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2008068552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6533433B2 (ja)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8177460A (ja) 印刷装置
JP5469469B2 (ja) プリンタ
JP7060990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モジュール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6329033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モジュール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EP3524437A1 (en) Printer
US20150225198A1 (en) Paper guide mechanism of printer
JP5912047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6422334B2 (ja)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6120708A (ja)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WO2014192480A1 (ja) プリンタ
JP6229509B2 (ja) 切断装置及び印字装置
JP6631305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および該サーマルプリンタを備える自動取引装置
JP2004106483A (ja) ロータリカッタ装置及びプリンタ
KR102356765B1 (ko) 인자 유닛 및 프린터
US11040554B2 (en) Printer including first link, second link, and connection member for moving platen holder in accordance with movement of operation member
JP2017154269A (ja) 印刷装置
JP2003276255A (ja) プリン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