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243A -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죽엽 추출물 - Google Patents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죽엽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243A
KR20160024243A KR1020140110835A KR20140110835A KR20160024243A KR 20160024243 A KR20160024243 A KR 20160024243A KR 1020140110835 A KR1020140110835 A KR 1020140110835A KR 20140110835 A KR20140110835 A KR 20140110835A KR 20160024243 A KR20160024243 A KR 20160024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extract
fermented
powder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택
김리나
이희경
Original Assignee
김용택
김리나
이희경
박찬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택, 김리나, 이희경, 박찬흠 filed Critical 김용택
Priority to KR1020140110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4243A/ko
Publication of KR20160024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2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4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B7/155Microorganisms; Enzymes; Antibiot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죽엽을 적어도 20 시간 이상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하는 단계 후에 수득되는 발효액을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1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우더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2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죽엽 추출물{METHOD FOR MANUFACTURING OF EXTRACT OF FERMENTATED BAMBOO-LEAVES AND EXTRACT OF FERMENTATED BAMBOO-LEAVES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효된 죽엽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는 우리나라에는 맹종죽, 왕대, 솜대 등 12 내지 13종이 분포 자생하고 있으며, 죽엽은 인체에 이로운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예로부터 한방의 약재로 쓰여왔다. 죽엽은 맛이 쓰고 성질이 차서 해소와 종양, 해열, 상충에 효과가 있고, 곽란, 토혈, 거담, 중풍, 당뇨, 두통, 고혈압, 현기증, 신경쇠약, 임신빈혈, 간질, 불면, 과다음주, 피로회복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죽엽에는 체내의 생화학적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서 고혈압이나 중풍 치료에 좋고 필수불포화 지방산인 리놀산과 리놀렌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항비만 효과가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섬유질도 풍부해서 변비나 치질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외에도 죽엽에는 세균이나 곰팡이에 대한 소독 살균 및 소염 효과가 높아서 피부미용 아토피 무좀 치료에도 도움이 되고, 펩타이드, 폴리페놀, 다당류 및 각종 비타민이 많은데 펩타이드 성분은 고혈압, 동맥경화, 콜레스테롤에, 폴리페놀은 피로회복과 황산화에 탁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죽엽은 한의학에서는 건조된 것보다는 날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약효가 우수하다고 알려져 왔다. 또한 죽엽은 구강투여 시 흔히 열수추출 방법으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죽엽을 적어도 20 시간 이상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하는 단계 후에 수득되는 발효액을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1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우더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2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 죽엽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죽엽을 적어도 20 시간 이상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하는 단계 후에 수득되는 발효액을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1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우더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2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죽엽은 5년생 이상의 대나무로부터 채취될 수 있고, 대한약전 관능평가에 합격한 것만을 선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대나무는 솜대, 이대, 맹종죽, 왕대 등의 대나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상기 죽엽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수 50 내지 20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10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수는 식품으로부터 추출한 미생물 균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미생물 균류는 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스트렙토코쿠스 파에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tobacillus bifidus),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u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폴리페르멘티쿠(Bacillus polyfermenticu), 바실러스 메센테리쿠스(Bacillus mesentericus), 삭차로미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스트렙토코쿠스 파에시움(Streptococcus faecium), 클로엑케라 아피큘라타(Kloeckera apiculata), 삭차로미세스 체발리에리(Saccharomyces chevalieri), 칸디다 스텔라타(Candida stellata), 삭차로미세스 오비포미스/바야너스(Saccharomyces oviformis/bayanus), 삭차로미세스 로세이(Saccharomyces rosei), 쉬조삭차로미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한세니아스포라 우바럼(Hanseniaspora uvarum) 또는 삭차로미세스(Saccharomyces)의 미생물중 적어도 1종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30 내지 100℃의 온도 및 1 내지 1.2 기압의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파우더 및 상기 증류수의 비율은 1:5 내지 1:20 일 수 있다.
상기 제2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성분을 1.0% 내지 1.5% 포함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은 상술한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발효 죽엽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성분을 1.0% 내지 2%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죽엽을 적어도 20 시간 이상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하는 단계 후에 수득되는 발효액을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1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 파우더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2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생물전환기법을 적용한 결과, 발효죽엽 추출물의 지표성분 함량이 증대되었다. 또한 미백 및 세정 효과를 갖는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고, 종래와 비교했을 때보다 더 뛰어난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 중의 이소오리엔틴의 함량을 분석한 검량선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 중의 이소오리엔틴 및 종래의 죽엽 추출물 중의 이소오리엔틴의 함량을 분석한 검량선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 및 종래의 죽엽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는 3주 동안 자외선을 노출하지 않은 HRM2 마우스의 등 부위 흑변 정도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6은 3주 동안 자외선을 노출시킨 대조군의 HRM2 마우스의 등 부위 흑변 정도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7은 양성대조약물을 HRM2 마우스의 등 부위를 좌우로 나누어 도포한 결과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8은 0.5% 죽엽 추출물과 2% 죽엽 추출물을 등 부위를 좌우로 나누어 도포한 결과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0.5% 발효 죽엽 추출물과 2% 발효 죽엽 추출물을 등 부위를 좌우로 나누어 도포한 결과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10은 5주 동안 자외선을 노출하지 않은 HRM2 마우스의 등 부위 흑변 정도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11은 5주 동안 자외선을 노출시킨 대조군의 HRM2 마우스의 등 부위 흑변 정도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12는 양성대조약물을 HRM2 마우스의 등 부위를 좌우로 나누어 도포한 결과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13은 0.5% 죽엽 추출물과 2% 죽엽 추출물을 등 부위를 좌우로 나누어 도포한 결과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0.5% 발효 죽엽 추출물과 2% 발효 죽엽 추출물을 등 부위를 좌우로 나누어 도포한 결과를 관찰한 사진 및 분석수치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죽엽을 적어도 20 시간 이상 발효하는 단계(S110); 상기 발효하는 단계 후에 수득되는 발효액을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120); 상기 제1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1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S130); 상기 제1 파우더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2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발효하는 단계(S110)에서, 상기 죽엽은 5년생 이상의 대나무로부터 채취될 수 있고, 대한약전 관능평가에 합격한 것만을 선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대나무는 관암죽, 고려조릿대, 조릿대 또는 섬대 등의 대나무를 이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이 풍부하여 약재 또는 건강 식품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죽엽은 길이 7 내지 15㎝, 폭 1 내지 2㎝의 좁고 긴 형태를 갖는 것으로 한쪽 끝이 뾰족하고 다른 한 쪽에는 잎자루가 붙어 있다.
발효하는 단계(S110)는 상기 죽엽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수 5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할 수 있다. 상기 발효수는 미생물 균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균류는 유산균, 효모균, 납두균, 아세트산균 또는 광합성세균 등의 인체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미생물 균류로, 특히 미백 및 세정의 효능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균류는 토양 등에서 추출할 수도 있으나, 인체에 해가 없도록 식품에서 추출한 선옥균(善玉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 균류는 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스트렙토코쿠스 파에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tobacillus bifidus),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u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폴리페르멘티쿠(Bacillus polyfermenticu), 바실러스 메센테리쿠스(Bacillus mesentericus), 삭차로미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스트렙토코쿠스 파에시움(Streptococcus faecium), 클로엑케라 아피큘라타(Kloeckera apiculata), 삭차로미세스 체발리에리(Saccharomyces chevalieri), 칸디다 스텔라타(Candida stellata), 삭차로미세스 오비포미스/바야너스(Saccharomyces oviformis/bayanus), 삭차로미세스 로세이(Saccharomyces rosei), 쉬조삭차로미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한세니아스포라 우바럼(Hanseniaspora uvarum) 또는 삭차로미세스(Saccharomyces)의 미생물중 적어도 1종의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죽엽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없도록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세척한 후에, 발효용 용기 또는 발효장치에 상기 죽엽, 발효수 및 프락토올리고당을 투입한다. 이후, 30 내지 100℃의 온도 및 1 내지 1.2기압의 압력하에서 발효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120)에서는, 발효하는 단계(110)에서 수득되는 발효액을 여과하게 된다. 상기 여과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한약재 또는 식품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120)에서의 여과는 발효된 상기 죽엽 및 기타 침전물을 거르기 위한 여과이므로, 눈이 큰 체를 이용할 수 있다.
제1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S130)는 액상을 파우더로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동결건조 방법은 동일한 공정에서 이용되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방법 및 장치면에 있어서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동결건조는 일반적으로 수 torr의 진공상태에서 -20℃ 내지 -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S140)에서는 상기 제1 파우더를 증류수에 투입한다. 상기 제1 파우더 및 상기 증류수의 비율은 1:5 내지 1:20일 수 있다. 상기 제1 파우더로부터 유용한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증류수는 원수(原水)에 함유된 성분이 적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제1 파우더 및 증류수의 혼합물을 열수 추출 장치에서 80 내지 100℃의 온도에서 60분 내지 180분간 추출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S150)에서는 상기 제2 추출물을 동결건조한다. 상기 동결건조는 제1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S130)에서 이용된 동결건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제2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S150) 후, 수득된 상기 제2 파우더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성분을 1.0% 내지 2.0%로 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효 죽엽 추출물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성분함량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효 죽엽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이소오리엔틴(isoorientin)으로, 항산화물질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의 일종이다. 상기 이소오리엔틴은 항암작용, 살균작용, 항궤양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당뇨병 또는 고혈압에 유효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소오리엔틴의 항산화작용 중 미백효과를 갖는 점에 주목하여 실시예를 작성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종래에는 죽엽으로부터 이소오리엔틴 등의 유효성분을 추출할 때, 발효단계를 거치지 않고 생엽(生葉)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효를 거침으로써 이러한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대되는 점에 착안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또는 세정제는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다. 상기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성분함량은 상술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은, 상기 발효 죽엽 추출물 자체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분말, 환, 연고, 에멀젼, 겔, 크림 등과 같은 피부외용제 등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자외선 노출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이 된 부분에 도포하여 색소 침작 정도를 감소시켜 줄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물과 혼합하여 세정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발효 죽엽 추출물은 항산화작용, 살균 작용을 하는 유효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샴푸, 페이셜 클린징 등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죽엽(옴니허브) 600g과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선옥균 발효추출액이 함유된 발효수 3L, 프락토올리고당 300g 혼합한 후 20시간 동안 한약 발효기를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하였다. 20시간 경과 후 내용물을 빼내어 필터링하였고, 이를 동결건조하여 발효 죽엽 추출물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발효 죽엽 추출물은 600g을 증류수 6L에 넣고 3시간 열수 추출한 다음 이를 필터링하였다. 추출액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
비교예 1
죽엽의 발효 단계를 제외하여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죽엽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분석 및 평가]
1. HPLC 성분 분석
발효 죽엽 추출물을 희석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이소오리엔틴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 HPLC: Waters 2695 system/Waters 2998 PDA/ Column: Luna C18 column (250㎜ ⅹ 4.6 ㎜; particle size 5 im, Phenomenex, USA)/ Oven temperature: 40℃/ Flow rate: 1.0㎖/분 / Inject volume: 20㎕/ Mobile phase: 0.1%TFA in water/ acetonitrile gradient system
시간/분 A%
(0.1%TFA/Water)
B%
(Acetonitrile)
0-2 90 10
6 86 14
16 83 17
23 60 40
28 40 60
33 20 80
38 10 90
50 0 100
표준물질 이소오리엔틴의 검량은 도 2와 같이 리텐션타임은 15.060분임을 확인하였다.
2. 죽엽 추출물 및 발효죽엽 추출물의 성분 비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 중의 이소오리엔틴의 함량을 HPLC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서 검정색 화살표는 실시예, 흰색 화살표는 비교예의 함량을 나타낸 것으로, 죽엽 추출물의 함량은 0.85%인 반면에 발효 죽엽 추출물의 함량은 1.2%로 41%의 증가된 함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In vitro 티로시나아제( Tyrosinase ) 저해능
티로시나아제를 이용한 활성성분의 탐색을 목적으로 계통분획하여 얻은 분획물들에 대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 저해 검정법은 존스 등에 의해 보고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Jones et al. (2002) Pigment. Cell Res. 15:335). 이 방법을 사용하여, 티로시나아제의 기질인 L-DOPA의 도파크롬(dopachrome)으로의 전환은 450nm에서 흡수 모니터링에 의해 수행하였다.
티로시나아제는 200U/㎖의 pH 6.8(검정 완충액), 50mM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액으로 제조하고, 사용하기 전에 1㎖로 엘리컷하여 -20℃에 보관하였다. 검정법에 사용하기 위해, 스톡 효소 용액을 녹이고 200U/㎖의 검정 완충액에 희석하였다.
기질인 L-DOPA의 2mM 모액(working solution)은 각 검정법을 위한 검정 완충액으로 제조하였다. 샘플들은 10%의 DMSO(0.5㎖)에 용해되고 5㎖의 검정 완충액으로 희석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0.050㎖의 2mM L-DOPA, 0.050ml 200U/㎖ 머쉬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및 0.050㎖ 저해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반응 부피는 200:l의 검정 완충액으로 조정하였다.
검정은 96웰 팔콘 3097의 바닥이 평평한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Beckton Dickinson, NJ)에서 수행하였다.
도파크롬의 존재는 WALLAC 1420 다중레이블 카운터(multilable Counter)(Turku, Finland)로 측정하였다. 평균 속도는 분당 450 m에서 흡광도(ΔA450)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선형 효소비율로부터 측정되었다.
테스트 샘플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저해 퍼센트는 하기 식을 사용하여 대조군에 대한 샘플의 흡광도의 비교에 의해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식 1]
(음성 대조군 흡광도 - 샘플 흡광도) / 음성 대조군 흡광도× 100
4. In vivo 미백 효능 검증
동물은 HRM2 마우스(hairless)를 중앙실험동물에서 6주령 웅성을 구입하였다.
동물은 자외선에 노출하지 않은 정상군, 자외선을 노출시키면서 증류수만 처치한 대조군(NC)과 자외선 차단 기능 물질 처리군(양성대조군), 죽엽 추출물 처리군(PPE), 발효 죽엽 추출물을 처치한 실험군(MF-PPE)으로 분리하였다.
3주 자외선 노출 후 미백 효능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5 내지 도 9, 5주 자외선 노출 후 미백 효능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내었다.
구분 조건 결과 도면
실험군 1 자외선 노출 없음 도 5
실험군 2 자외선 노출 도 6
실험군 3 우측부에만 자외선 차단 기능 물질 처리
(양성 대조군)
도 7
실험군 4 우측부에만 0.5% 죽엽 추출물과
2% 죽엽 추출물 처리(PPE)
도 8
실험군 5 우측부에만 0.5% 발효 죽엽 추출물과
2% 발효 죽엽 추출물 처리(MF_PPE)
도 9
구분 조건 결과 도면
실험군 6 자외선 노출 없음 도 10
실험군 7 자외선 노출 도 11
실험군 8 우측부에만 자외선 차단 기능 물질 처리
(양성 대조군)
도 12
실험군 9 우측부에만 0.5% 죽엽 추출물과
2% 죽엽 추출물 처리(PPE)
도 13
실험군 10 우측부에만 0.5% 발효 죽엽 추출물과
2% 발효 죽엽 추출물 처리(MF_PPE)
도 14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죽엽을 적어도 20 시간 이상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하는 단계 후에 수득되는 발효액을 여과하여 제1 추출물을 수득하는단계;
    상기 제1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1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제1파우더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열수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제2 파우더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죽엽은,
    5년생 이상의 대나무로부터 채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죽엽은,
    대한약전 관능평가에 합격한 것만을 선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는,
    관암죽, 고려조릿대, 조릿대 및 섬대 종류의 대나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대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상기 죽엽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발효수 50 중량부 내지 200 중량부 및 프락토올리고당 50 내지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발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발효수는,
    식품으로부터 추출한 미생물 균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 균류는,
    트렙토코쿠스(Streptococcus), 스트렙토코쿠스 파에칼리스(Streptococcus faecalis),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비피더스(Latobacillus bifidus), 바실러스 서브틸러스(Bacillus subtilus),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폴리페르멘티쿠(Bacillus polyfermenticu), 바실러스 메센테리쿠스(Bacillus mesentericus), 삭차로미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 cerevisiae), 클로스트리디움 부티리쿰(Clostridium butyricum), 스트렙토코쿠스 파에시움(Streptococcus faecium), 클로엑케라 아피큘라타(Kloeckera apiculata), 삭차로미세스 체발리에리(Saccharomyces chevalieri), 칸디다 스텔라타(Candida stellata), 삭차로미세스 오비포미스/바야너스(Saccharomyces oviformis/bayanus), 삭차로미세스 로세이(Saccharomyces rosei), 쉬조삭차로미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한세니아스포라 우바럼(Hanseniaspora uvarum) 및 삭차로미세스(Saccharomyce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미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효하는 단계는,
    30 내지 100℃의 온도 및 1 내지 1.2기압의 압력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파우더 및 상기 증류수의 비율은 1:5 내지 1: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파우더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성분을 1.0% 내지 1.5%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05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효 죽엽 추출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발효 죽엽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성분을 1.0% 내지 1.5%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죽엽 추출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발효 죽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KR1020140110835A 2014-08-25 2014-08-25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죽엽 추출물 KR20160024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835A KR20160024243A (ko) 2014-08-25 2014-08-25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죽엽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835A KR20160024243A (ko) 2014-08-25 2014-08-25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죽엽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243A true KR20160024243A (ko) 2016-03-04

Family

ID=5553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835A KR20160024243A (ko) 2014-08-25 2014-08-25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죽엽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424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7074A (zh) * 2017-07-18 2017-11-03 合肥百绿盛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水果保鲜剂及其制备使用方法
KR20180063748A (ko) * 2016-12-02 2018-06-12 이종옥 대잎 발효물의 제조 방법
CN113967188A (zh) * 2021-12-10 2022-01-25 杭州雅妍化妆品有限公司 竹叶发酵滤液的制备法及其用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748A (ko) * 2016-12-02 2018-06-12 이종옥 대잎 발효물의 제조 방법
CN107307074A (zh) * 2017-07-18 2017-11-03 合肥百绿盛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水果保鲜剂及其制备使用方法
CN113967188A (zh) * 2021-12-10 2022-01-25 杭州雅妍化妆品有限公司 竹叶发酵滤液的制备法及其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4647B2 (ja) 緑茶抽出物を含有する美白用化粧料組成物
KR101918266B1 (ko) 활성 단백질의 추출방법
CN105647974B (zh) 一种酿酒酵母植物发酵物及其应用和皮肤外用剂
KR100889605B1 (ko)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002254A (zh) 一种银耳发酵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686112B1 (ko)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5092B1 (ko)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CN114209617A (zh) 一种酵母发酵的灵芝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TWI601540B (zh) Human Skin Epidermal Cell Proliferator, Compositions Containing Its Skin, and Cosmetic Ingredients
KR20160024243A (ko) 발효 죽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 죽엽 추출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100889604B1 (ko) 미백용 화장료
KR101815925B1 (ko) 폴리코사놀이 증대된 보리새싹 발효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54298A (ko) 발효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48148B1 (ko) 그라비올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6369751B2 (ja) ケラチン産生作用を呈するクルクミ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8201B2 (ja) サイトケラチン増加作用を呈するカロチノイド誘導体
CN115317432B (zh) 一种包含乳双歧杆菌发酵产物的面膜
KR101431882B1 (ko) 효소-처리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조성물
KR20170005534A (ko) 천연배지를 이용한 잔나비걸상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2379A (ko) 동치미 원료를 이용한 복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408088B1 (ko) 효모 복합 발효를 통한 백년초의 기능성 성분 증진방법
KR102106313B1 (ko) 인삼 및 녹차의 발효물에서 추출한 다당체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CN107779410B (zh) 一种制备中华红芝菌丝体发酵液的方法、发酵液及其应用
KR102505275B1 (ko) 인진쑥 추출물 또는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