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983A -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983A
KR20160022983A KR1020140108300A KR20140108300A KR20160022983A KR 20160022983 A KR20160022983 A KR 20160022983A KR 1020140108300 A KR1020140108300 A KR 1020140108300A KR 20140108300 A KR20140108300 A KR 20140108300A KR 20160022983 A KR20160022983 A KR 20160022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iber
polyester
core
mechanical proper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338B1 (ko
Inventor
박재규
김동욱
조경제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3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2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3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초형(Sheath-Core type)복합 섬유로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한 본 발명의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는 초부(sheath)는 190℃에서 용융지수(MFR)가 10 내지 25g/10분이고 밀도가 0.950 내지 0.9566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로 하고, 심부(core)는 점도 0.8 내지 1.2cps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단독 또는 점도 0.6 내지 0.8cps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 terephthalate: PET) 혼합한 수지로 하여 복합 방사법으로 원형의 구금을 사용하여 방사한 섬유를 엠보스 롤에 의해 열접착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는 종래의 폴리프로필렌(PP) 단독 또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PE-PP) 심초형 제품 대비 기계적인 인장강도가 높고, 이성분의 소재가 융점차이가 높기 때문에 열융착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PET 또는 PET계 심초형으로 제조된 제품대비 유연하며, 표면이 매우 부드러워 피부에 접촉하거나, 잦은 활동에 의해 변형이 잦은 용도에 적합하고, 더욱이 종래의 PE-PET계 심초형 제품 대비 심부에 PTT성분을 추가하여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면서도 개선된 유연성이 발현 가능하며, HDPE를 적용하여 PET계 섬유를 방사하기 위한 위한 높은 온도조건에서의 열분해, 퓸 발생 억제 및 조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Polyester nonwoven fabric having an improved softness and mechanical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심초형(Sheath-Core type)복합 섬유로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자세하게는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면서도, 드레이프성 및 촉감이 우수하여, 보호복, 이미용 재료, 유아용 기저귀, 성인용 위생용품, 의류용 가운 등 피부 밀착성을 요구하는 분야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해당 적용 분야에 사용하기 위한 최종 제품 생산 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열적 특성에 의해 작업성이 향상된,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가지 이상의 폴리머를 심초형으로 방사하는 기술은 원사 제조 이외에도 부직포 제조 방법에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심초형 섬유를 구성하는 성분은 동일한 성분 계열의 섬유를 사용하기도 하나 최종 용도에 따라 필라멘트간의 융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융점차이가 나는 두 가지의 성분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부직포는 다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실제로 각 분야의 제품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각 제품의 용도에 적합한 성질이나 구조가 발현되도록 제조되어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기저귀나, 보호복 등의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는 용도의 제품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사용 및 가공에 필요한 기계적인 내구성뿐만 아니라, 장착자의 피부에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촉감이 뛰어나거나, 활동 시 신체의 움직임에 맞추어 용이하게 신축 및 변형이 가능하도록 드레이프성(유연성)이 좋아야 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단독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심초형으로 제조되어진 부직포의 경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강도와 내구성이 요구되는 용도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강연도가 매우 높은, 강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표면 촉감이 다소 거칠기 때문에 1회용 위생제, 의료용 제품 등에는 거의 적용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용도의 경우 일정수준의 강도를 가지며, 드레이프성과 표면 촉감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원료를 적용한 부직포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46821호에서는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심부로 하는 심초형 복합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유연성과 우수한 촉감 및 강도가 우수한 위생제용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40941호에서는 마찬가지로 초부와 심부에 서로 다른 폴리올레핀계 원료를 적용하여, 부직포의 기계적 강도와 탄성, 그리고 표면의 접촉 촉감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단독 제품의 경우 이 성분간의 상용성과 생산성, 표면촉감 등이 1회용 기저귀 등에 사용하기는 적합한 수준이나, 보다 더 높은 기계적인 강도나 내구성을 요구하는 용도에는 적용이 어려우며, 자체적으로 열융착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용도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33771호에서는 폴리에스터계 섬유를 심부로 하고 폴리에틸렌계 섬유를 초부로 하는 심초형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나, 두 원료간의 융점 및 상용성 차이로 인해 별도로 고가의 원료인 폴리프로필렌-아크릴산 공중합체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열풍 방식으로 부직포로 열 융착을 가해서 인장강도가 높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한 방법은 별도의 첨가제를 사용함에 따른 원가의 상승, 아크릴산 특유의 냄새 발생, 너무 많은 열융착으로 인해 표면의 촉감과 드레이프성의 저하라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7006557호에서는 폴리에스테르를 심부로 하고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적용하여 고의로 섬유의 직경이 일정치 않은 구조로 방사하여 유연성을 향상시킨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경우 심부에 폴리에스테르만 전량 사용하고, 방사성을 고의로 악화시켰기 때문에 폴리에스터 섬유의 구조발달 저하로 인장강도가 충분치 않을 수 있으며, 방사시의 섬유 절단 현상에 의해 공정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특성상 폴리에스테르의 높은 방사온도에서 복합 방사 시 열에 의한 분해 및 저분자들의 기화에 따른 퓸(fume)을 발생시켜 조업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심부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섬유 전체의 드레이프성을 향상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04682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40941호 특허문헌 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2-0033771호 특허문헌 4: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700655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위생제 및 의료용, 산업용 등에 사용되는 부직포의 기계적인 강도와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기존에 봉제 공정으로 제조하였던 제품을 무제봉 열율착 가능하도록 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열에 의해 융착성을 가지는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성을 갖는 부직포를 우수한 생산성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폴리올레핀 단독 또는 폴리올레핀계 심초형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의 낮은 인장강도와 열융착 가공이 어렵다는 단점을 개선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드계 제품의 높은 강연도로 인해 용도가 제한적이라는 문제점, 나아가 폴리에스테르계를 심부로 하고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구성한 심초형 부직포의 제조상의 문제점 및 단점을 극복하여 상기한 종래의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므로서 조업성이 양호하고, 소프트하면서 기계적인 물성이 우수한 장섬유 복합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안출하여 달성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초부(sheath)는 190℃에서 용융지수(MFR)가 10 내지 25g/10분이고 밀도가 0.950 내지 0.9566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로 하고, 심부(core)는 점도 0.8 내지 1.2cps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단독 또는 점도 0.6 내지 0.8cps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 terephthalate: PET) 혼합한 수지로 하여 복합 방사법으로 원형의 구금을 사용하여 방사한 섬유를 엠보스 롤에 의해 열접착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초부와 심부의 비율은 섬유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90 내지 50/50이며,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4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30/7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심부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 terephthalate:PET) 비율이 1:9 내지 9: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단위명적당 중량이 15 내지 150g/m2 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섬유 직경이 15 내지 35㎛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일회용 위생 자재 및 산업자재로 적용이 가능하며, 기저귀나 생리대 외에 PE 필름(Film)과 합지하여 방호복, 보호복 등을 제조할 때 사용되어 질 수 있고, 열 또는 고주파 가공을 통해 차단 및 보호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는 종래의 폴리프로필렌(PP) 단독 또는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PE-PP) 심초형 제품 대비 기계적인 인장강도가 높고, 이성분의 소재가 융점차이가 높기 때문에 열융착 가공이 가능하다. 또한, PET 또는 PET계 심초형으로 제조된 제품대비 유연하며, 표면이 매우 부드러워 피부에 접촉하거나, 잦은 활동에 의해 변형이 잦은 용도에 적합하고, 더욱이 종래의 PE-PET계 심초형 제품 대비 심부에 PTT성분을 추가하여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면서도 개선된 유연성이 발현 가능하며, HDPE를 적용하여 PET계 섬유를 방사하기 위한 위한 높은 온도조건에서의 열분해, 퓸 발생 억제 및 조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계적 인장강도와 유연성이 우수한 장섬유 복합 부직포의 제조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드(PTT)
-폴리에틸렌테리프탈레이트(PET)/고밀도폴리에틸렌(HDPE)의 심초형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 PTT/PET성분은 중량의 약 90 내지 50중량%, HDPE성분은 중량의 약 10 내지 50중량%로 구성된 복합방사 섬유용융 방사하고, 이젝터 연신속도를 3,000m/분 이상 4,500m/분 미만으로 연신 및 결정화하여 장섬유를 얻고, 얻어진 해당 장섬유를 개섬 및 네트에 안착하여 부직포 형태로 제조 후, 열접착 공정을 통해 부직포 형태로 제조한다. 이때, 상기 초부와 심부의 비율은 섬유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40/6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90 내지 30/70로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특히 초부(sheath)를 190℃에서 용융지수(MFR)가 10 내지 25g/10분이고 밀도가 0.950 내지 0.9566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로 하고, 심부(core)를 점도 0.8 내지 1.2cps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단독 또는 점도 0.6 내지 0.8cps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 terephthalate: PET) 혼합한 수지로 하여 복합 방사법으로 원형의 구금을 사용하여 방사한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심부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비율이 1:9 내지 9:1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단위명적당 중량이 15 내지 150g/m2 으로 할 수 있고,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15 내지 3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는 그 부직포의 제조방법이 기존의 PP나 PE-PP계 부직포 대비 높은 기계적인 특성과 융착 가공 가능성, PET계 제품 대비 우수한 유연성과 촉감, 기존 PE-PET계 제품대비 우수한 조업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초성분의 HDPE와 심성분의 PTT/PET의 융점차이로 인해 융착 가공이 가능하게 되며, 심부에 PTT 성분의 존재로 기존 PET 단독 제품대비 유연성(즉, 드레이프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고, 표면의 PE로 인해 터치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는 인장 강도 등의 역학적 물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우수한 촉감과 유연성을 가지므로 PP 제품보다 저중량화가 가능하며,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위생제 및 보호복 등의 용도에도 적합하다.
이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각 특성 값은 다음의 실험예에 기술된 방법으로 측정된 것이다.
실시예 1
고밀도폴리에틸렌(HDPE)/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심초형 스펀본드 부직포를 방사함에 있어서 초부 는 용융지수 20g/10분의 HDPE를 10% 투입하고 심부는 점도 0.68cps의 PTT는 10%, 점도 0.67cps의 PET는 전체 부직포 중량의 80%를 투입하여 방사한다.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냉각장을 거쳐 고화되고 이후 이젝터(Ejector)를 통하여 방사속도 약 3,500m/min 속도로 연신하여 충돌판에 의해 개섬이 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특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이 형성된다. 컨베이어 벨트 상에 안착된 웹은 1차 칼렌더 롤에 의해 열압착하여 시트의 박리와 보풀을 억제하는데 열접착 온도를 130℃로 설정함으로써 섬유의 융해로 인한 천공을 방지하고, HDPE의 과도한 열융착을 막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중량 25gsm의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하고 제조된 제품의 물성을 하기 실험예에서와 같이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적용한 동일한 원료로 초성분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함량이 부직포 중량의 20%이며 심성분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1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이 부직포 중량의 70%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부직포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적용한 동일한 원료로 초성분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함량이 부직포 중량의 20%이며 심성분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20%,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이 부직포 중량의 60%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부직포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적용한 동일한 원료로 초성분의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함량이 부직포 중량의 20%이며 심성분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성분이 부직포 중량의 80%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부직포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2
초성분은 저융점 (PET)이며 부직포 중량의 15%, 심성분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사용된 동일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며 부직포 중량의 85%로 제조되었으며, 엠보스롤에 의한 열접착 온도는 PET의 조건에 맞게 210℃ 조건에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부직포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3
폴리프로필렌(PP) 단독으로 사용하여 다른 설비에서 30gsm으로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입수하여 그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4
다른 설비에서 유사하게 제조되었고 비교예 1과 동일한 중량대의 폴리프로필렌(PP)이 심부이며, 폴리에틸렌(PE)이 초부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를 입수하여 그 물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표 1에 기재하였다.

항 목 단 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비교예4
부직포 총중량 Gsm 25 25 25 25 25 30 25
PTT 함량(코어) % 10 10 20 0 0 - -
PET 함량(코어) % 80 70 60 80 85 PP
100
PP
50
HDPE함량
(쉬쓰)
% 10 20 20 20 LM PET
15
- PE
50
강도(MD) Kgf
/5cm
7.5 8.2 7.1 8.3 10.5 6.6 5.0
강연도MD mm 65.2 50.0 61.3 68.7 80↑ 67 57
표면 터치 평가 감성 2 1 1 2 4 2 1
초음파 가공 간이 평가 외관비교 양호 양호 양호 양호 Cutting 불가 과열 융착
파괴
과열 융착
파괴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한 물성은 다음과 같이 각각 평가하였다.
(1) 단위면적당 무게(중량:g/㎡): ASTM D 3776-1985의 방법에 준해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인장시험기(Instorn)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KSK 0743법에 의해 시험 편 폭 5cm, 간격 10cm의 시험 편을 인장속도 500mm/min의 조건으로 인장하여 최대 하중을 구하였다.
(3) 강연도(드레이프성): bending length 측정기를 이용하여 KSK 0861 (KS K ISO 9073-7)강연도 시험법(45도 켄틸레버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강연도의 경우 그 값이 낮을 경우 드레이프성(유연성)이 우수하다.
(4) 표면 터치성 및 촉감: 손에 의한 감촉으로 8명의 패널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부직포 사이에서 부드러운 촉감을 하기와 같이 상대 평가하고 그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1:매우 부드럽다, 2:약간 부드럽다 3:약간 뻣뻣(Stiff)하다. 4:매우 뻣뻣하다.
(5) 초음파 봉제 가공 간이 평가: brandson 사(社)의 초음파 융착기를 이용하여 부직포와 PE 필름(Film) 합지 및 컷팅(Cutting) 후 단면 상태를 외관으로 평가함.

Claims (6)

  1. 초부(sheath)는 190℃에서 용융지수(MFR)가 10 내지 25g/10분이고 밀도가 0.950 내지 0.9566g/cm3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로 하고, 심부(core)는 점도 0.8 내지 1.2cps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단독 또는 점도 0.6 내지 0.8cps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 terephthalate: PET) 혼합한 수지로 하여 복합 방사법으로 원형의 구금을 사용하여 방사한 섬유를 엠보스 롤에 의해 열접착하여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초부와 심부의 비율은 섬유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90 내지 50/5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부를 구성하는 중합체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 terephthalate:PET) 비율이 1:9 내지 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단위명적 당 중량이 15 내지 150g/m2 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섬유 직경이 15 내지 35㎛를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6.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복 합지용 또는 위생제용 스펀본드 부직포 여재.


KR1020140108300A 2014-08-20 2014-08-20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4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00A KR101646338B1 (ko) 2014-08-20 2014-08-20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300A KR101646338B1 (ko) 2014-08-20 2014-08-20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983A true KR20160022983A (ko) 2016-03-03
KR101646338B1 KR101646338B1 (ko) 2016-08-16

Family

ID=5553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300A KR101646338B1 (ko) 2014-08-20 2014-08-20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3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470B1 (ko) 2019-08-12 2021-02-04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심초형 접촉 냉감용 복합방사섬유 및 이를 구비하는 원단과 의류
KR20220056506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휴비스 절곡성이 개선된 열접착 복합섬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223A (ko) * 1999-12-18 2001-07-04 조민호 톤 효과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20020046821A (ko) 2000-12-15 2002-06-21 이중구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KR20050065601A (ko) 2002-10-17 2005-06-29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심초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33771A (ko) 2010-09-30 2012-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심초형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4918A (ko) * 2010-10-04 2012-04-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40941A (ko) 2010-10-20 2012-04-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피트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장섬유 탄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350508B1 (ko) * 2013-07-22 2014-01-1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열 융착성 심초형 복합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40074984A (ko) * 2011-10-07 2014-06-1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폴리(트라이메틸렌 아릴레이트)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6223A (ko) * 1999-12-18 2001-07-04 조민호 톤 효과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방법
KR20020046821A (ko) 2000-12-15 2002-06-21 이중구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KR20050065601A (ko) 2002-10-17 2005-06-29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심초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와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33771A (ko) 2010-09-30 2012-04-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심초형 필라멘트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4918A (ko) * 2010-10-04 2012-04-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40941A (ko) 2010-10-20 2012-04-3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피트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가지는 장섬유 탄성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4984A (ko) * 2011-10-07 2014-06-1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폴리(트라이메틸렌 아릴레이트) 필라멘트를 포함하는 천
KR101350508B1 (ko) * 2013-07-22 2014-01-16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열 융착성 심초형 복합 섬유,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470B1 (ko) 2019-08-12 2021-02-04 주식회사 웰테크글로벌 심초형 접촉 냉감용 복합방사섬유 및 이를 구비하는 원단과 의류
KR20220056506A (ko) * 2020-10-28 2022-05-06 주식회사 휴비스 절곡성이 개선된 열접착 복합섬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338B1 (ko) 201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3852B2 (ja) 伸縮性不織布
KR101212426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27973A (ko)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7955457B2 (en) Elastic laminat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KR101551554B1 (ko) 부직포 적층체
KR101720439B1 (ko) 부직포 적층체
KR101483363B1 (ko) 소프트성 및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4845587B2 (ja) 伸縮性不織布
JP6397210B2 (ja) 吸収性物品用表面シート、及びこれを含む吸収性物品
JP2016041858A (ja) 嵩高性複合長繊維不織布
CN108778218A (zh) 非织造织物及形成其的方法
US20180169995A1 (en) Hydraulically treat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475151B1 (ko)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302804B1 (ko)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646338B1 (ko)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6764B1 (ko) 심초형 섬유,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10187470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4544B1 (ko) 입체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19183293A (ja) 積層不織布
KR100579438B1 (ko) 복합방사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JP4753838B2 (ja) 伸縮性不織布
WO2003065927A2 (en) Lightweight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performance
TWI843872B (zh) 紡絲黏合不織布及積層不織布
KR101776400B1 (ko) 운동성이 확보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750B1 (ko) 우수한 신축 회복성과 소프트한 촉감을 동시에 가지는 탄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