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6821A -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6821A
KR20020046821A KR1020000077164A KR20000077164A KR20020046821A KR 20020046821 A KR20020046821 A KR 20020046821A KR 1020000077164 A KR1020000077164 A KR 1020000077164A KR 20000077164 A KR20000077164 A KR 20000077164A KR 20020046821 A KR20020046821 A KR 20020046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lamp
pivot
leaf spring
clamp lev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7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8958B1 (ko
Inventor
안근식
Original Assignee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중구,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중구
Priority to KR10-2000-0077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9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60Attaching or detaching leads or other conductive member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5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 H01L2224/85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wire connector the connector being supplied to the parts to be connected in the bond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에 관한 본 발명은, 와이어본딩장치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와, 상기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 사이에서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에 대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를 지지하는 피봇과, 상기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후단부에 구비되는 클램프레버 회동수단을 갖는 와이어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양단이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내측부에 각각 지지되되,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판스프링과; 상기 제 1판스프링과 직교하며 양단이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내측부에 각각 지지되는 제 2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클램프레버사이에 구비되는 피봇으로서 상호 직교하는 두 개의 판스프링을 적용하여, 고속본딩작업시 레버가 롤링(rolling)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아 와이어클램프가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높은 본딩품질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비정상적인 충격을 받더라도 죠오의 상대위치가 흐트러지지 않으며 마찰부위가 없어 마모가 없다. 또한 피봇을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력이 작으므로 출력 및 크기가 작은 보이스코일모터(VCM)나 솔레노이드를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Pivot of wire clamp}
본 발명은 와이어본딩장치에 설치되는 와이어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와이어클램프내에 장착되는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클램프는 와이어본딩장치의 트랜스듀서 상부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트랜스듀서의 선단부에 구비된 본딩툴(bonding tool)로 공급하여 본딩툴로 하여금 와이어본딩을 수행하도록하는 수단이다.
상기 와이어클램프는 구동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예를들어 피에조(piezo)소자를 적용한 와이어클램프가 있고 보이스코일모터를 적용한 종류도 있다.
이러한 와이어클램프는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선단에 죠오가 각각 구비되어 있는 한 쌍의 레버와, 상기 레버의 사이에 설치되어 양측의 레버를 탄성결합하며 회동축의 역할을 하는 피봇과, 상기 레버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후단부를 진퇴운동시켜 상기 피봇을 회동축으로 삼아 죠오를 클램핑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클램프는 기본적인 작동성능에는 문제가 없으나, 피봇의 강성문제로 와이어클램프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부정확한 동작을 하게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는 고속의 와이어본딩 작업시 레버에 롤링방향으로의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야기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클램프레버사이에 구비되는 피봇으로서 상호 직교하는 두 개의 판스프링을 적용하여, 고속본딩작업시 레버가 롤링(rolling)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아 와이어클램프가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높은 본딩품질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비정상적인 충격을 받더라도 죠오의 상대위치가 흐트러지지 않으며 마찰부위가 없어 마모가 없고, 또한 피봇을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력이 작으므로 출력 및 크기가 작은 보이스코일모터(VCM)나 솔레노이드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피봇이 장착된 와이어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클램프의 피봇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a,4b,4c는 상기 피봇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피봇에 제 1판스프링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상기 피봇에 제 2판스프링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절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와이어클램프 12:보이스코일모터(voice coil motor)
14:제 1와이어클램프레버 16:제 2와이어클램프레버
18:죠오(jaw) 20:장착볼트
22:피봇장착공간부 24:피봇
26:제 1피봇브라켓 28:제 2피봇브라켓
30:제 1판스프링 32:제 2판스프링
34,35,36,37:제1,2,3,4볼트 38,39,40,41:제1,2,3,4와셔
42:암나사 46,47:제 1판스프링장착면
48,49:제 2판스프링장착면 50:암나사
52,56:볼트구멍 54:죠오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본딩장치의 프레임에 상하 회동하도록 설치되고 선단부에 죠오(jaw)부재가 구비된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의 측부에 설치되며 선단부에 죠오부재가 구비된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와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에 대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를 탄성지지하는 피봇과, 상기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의 후단부에 대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의 후단부를 진퇴운동시켜 상기 피봇을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죠오부재를 클램핑운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갖는 와이어본딩장치의 와이어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일단부가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에 고정되되,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판스프링과; 상기 제 1판스프링과 직교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에 고정되는 제 2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판스프링 및 제 2판스프링을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 사이에 수용 할 수 있도록,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대향면에는 상호 대향하는 피봇장착공간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피봇장착공간부내에는 상기 제 1판스프링 일단부의 일측면과 결합하는 제 1판스프링장착면과, 제 2판스프링 일단부의 일측면과 결합하는 제 2판스프링장착면이 형성된 제 1피봇브라켓과; 상기 제 1피봇브라켓과 동일형상을 취하며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제 1판스프링 타단부의 타측면과 결합하는 제 1판스프링장착면과, 상기 제 2판스프링 타단부의 타측면과 결합하는 제 2판스프링장착면을 갖는 제 2피봇브라켓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각각의 제 1판스프링장착면에 대해 제 1판스프링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볼트결합하고, 각각의 제 2판스프링장착면에 대해 제 2판스프링도 각각 볼트결합하되, 각 장착면과 볼트헤드사이에는 장착면의 넓이와 같은 넓이를갖는 가압와셔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피봇브라켓 및 제 2피봇브라켓의 제 1판스프링장착면은 0.4mm 내지 0.6mm만큼 어긋나 제 1,2피봇브라켓사이에서 제 1판스프링의 중앙부가 0.4mm 내지 0.6mm만큼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피봇이 장착된 와이어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봇이 장착된 와이어클램프(10)는 와이어본딩장치의 프레임(미도시)에 고정결합하는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의 측부에 설치되어 하나의 쌍을 이루는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 및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보이스코일모터(12)와, 상기 클램프레버(14,16)사이에 설치되는 피봇(도 2의 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이스코일모터(12)는 공지의 요소로서 외부의 전력을 인가받아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의 후단부와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의 후단부를 진퇴운동시키는 동작을 한다.
상기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14,16)의 선단부에는 죠오(18)가 구비된다. 상기 죠오(18)는 보이스코일모터(12)의 작동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므라지는 클램핑(clamping)동작을 하며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와이어(미도시)를 잡아 하부로 한 피치씩 이송시킨다.
한편, 상기 제1,2와이어클램프레버(14,16)의 대략 중앙부 내측면에는 피봇장착공간부(도 2의 22)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피봇장착공간부(22)는 후술할 본 발명의 피봇(도 2의 24)이 내장되어 고정되는 부위로서, 상기 피봇장착공간부(22)내에 장착된 피봇은 장착볼트(20)에 의해 각 와이어클램프레버(14,16)의 내측부에 견고히 고정결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봇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봇(24)은 하나의 뭉치로서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14,16)의 피봇장착공간부(22)에 양측면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피봇(24)은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에 대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가 밀착되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의 화살표 a방향 운동시 회전축의 기능을 한다.
상기 피봇(24)을 양쪽의 피봇장착공간부(22)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피봇장착공간부(22)의 외측면에는 장착볼트(20)가 관통하는 볼트구멍(5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할 제 1피봇브라켓(26) 및 제 2피봇브라켓(28)의 외측면에는 암나사(5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볼트(20)는 각 볼트구멍(52)을 관통하여 각자의 암나사(50)에 결합하여 피봇장착공간부(22)내에 피봇(24)을 견고히 고정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클램프의 피봇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피봇(24)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대향하여 설치되는 두 개의 피봇브라켓(26,28)과, 상기 피봇브라켓(26,28)에 고정되며 상호 직교하여 상하로 설치되는 두 개의 판스프링(30,32)과, 상기 판스프링(30,32)을 피봇브라켓(26,28)에 고정시키는 와셔(38,39,40,41) 및 볼트(34,35,36,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피봇브라켓(26,28)은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측에 고정되는 제 1피봇브라켓(26)과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에 고정되는 제 2피봇브라켓(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피봇브라켓(26,28)은 상기 제1,2판스프링(30,32)이 상하로 위치하며 상호 직교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 1,2피봇브라켓(26,28)의 상측 대향면에는 제 1판스프링장착면(46,47)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판스프링장착면(46,47)은 수직의 평면으로서 서로에 대해 마주하지하지 않고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어긋나있다. 상기 제 1판스프링장착면 46과 47의 어긋남정도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판스프링(30)의 중앙부위가 간극 t만큼 외부로 노출되도록 어긋나있다.
상기 각 제 1판스프링장착면(46,47)에는 후술할 제 1볼트(34) 및 제 3볼트(36)와 결합하는 암나사(4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판스프링(30)은 일정두께를 가지며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탄성력을 내재한 탄성부재이다. 상기 제 1판스프링(30)의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폭은 2.8mm 내지 3.2mm, 두께는 0.1mm를가지도록 한다. 상기 제1판스프링(30)에는 두 개의 볼트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구멍(56)은 제 1볼트(34) 및 제 3볼트(36)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제 1판스프링(30)에 있어서 한쪽 볼트구멍을 포함하는 일측부는 제 1판스프링장착면(46)에 밀착결합하며, 다른쪽 볼트구멍을 포함하는 타측부는 제 2피봇브라켓(28)의 제 1판스프링장착면(47)에 밀착결합한다. 이와같은 결합을 위해서 제 1볼트(34)는 제 1와셔(38)와 한쪽 볼트구멍(56)을 통해, 제 3볼트(36)는 제 3와셔(40)와 다른쪽 볼트구멍을 통해 각자의 암나사(42)에 결합한다.
상기 제 1,3와셔(38,40)의 넓이는 제 1판스프링장착면(46,47)의 넓이와 같으며 사각의 형태를 갖는다. 아울러 후술할 제 2,4와셔(39,41)도 제 2판스프링장착면(48,49)의 넓이와 같으며 사각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제 1볼트(34)가 암나사(42)에 결합함에 따라 제 1판스프링(30)의 일측부는 제 1와셔(38)에 의해 제 1판스프링장착면(46)에 완전히 밀착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 3볼트(36)가 제 3와셔(40)를 통해 암나사(42)에 결합함에 따라 제 1판스프링(30)의 타측부는 다른쪽 제 1판스프링장착면(47)에 완전히 밀착고정되어 도 5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판스프링(30)의 하측부에는 제 2판스프링(32)이 직교되도록 설치된다. 즉, 제 1판스프링(30)은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14,16)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제 2판스프링(32)은 클램프레버(14,16)의 길이방향의 직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 2판스프링(32)도 제 1판스프링(30)과 같은 재질 및 크기를 가지며 양측부에 볼트구멍(56)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2판스프링(32)을 설치하기 위하여 제 2판스프링(32)의 일측부는 제 1피봇브라켓(26)의 제 2판스프링장착면(48)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제 2피봇브라켓(28)의 제 2판스프링장착면(49)에 결합된다. 상기 한쪽의 제 2판스프링장착면(48) 과 다른쪽의 제 2판스프링장착면(49)은 수직의 평면으로서 상기 제 2판스프링(32)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호 평행하다. 따라서 제 2판스프링(32)은 장착면(48,49)에 장착됨에 따라 휘어지지 않고 직선을 유지한다.
상기 제 2판스프링(32)의 일측부는 제 4와셔(41) 및 제 4볼트(37)에 의해 제 2판스프링장착면(48)에 밀착고정된다. 상기 제 4와셔(41)는 제 2판스프링장착면(48)에 대해 제 2판스프링(32)의 일측부를 가압하여 견고한 결합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제 2판스프링(32)의 타측부는 제 2볼트(35) 및 제 2와셔(39)에 의해 제 2판스프링장착면(49)에 밀착고정되어 결국 도 6에서와 같이 위치된다.
결국 상기 제 1피봇브라켓(26)과 제 2피봇브라켓(28)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제 1판스프링(30) 및 제 2판스프링(32)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에 대해서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즉, 제 1피봇브라켓(26)에 대해서 제 2피봇브라켓(28)이 도 4a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상기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에 가해지던 회동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 1판스프링(30) 및 제 2판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제 2피봇브라켓(28)이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고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는 처음의 위치로 돌아와 죠오(18)가 와이어를 클램핑한다.
도 4a,4b,4c는 상기 피봇의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4a는 조립된 상태의 피봇(24)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1판스프링(30)이 제 1피봇브라켓(26) 및 제 2피봇브라켓(28)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한쪽의 제 1판스프링장착면(46)과 다른쪽의 제 1판스프링장착면(47)간의 어긋남에 의하여 제 1판스프링(30)의 중앙부가 간격 t1만큼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와같이 제 1판스프링(30)의 중앙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제 1판스프링(30)이 벤딩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여 제 1피봇브라켓(26)에 대해 제 2피봇브라켓(28)을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피봇(24)을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2판스프링(32)이 제 4볼트(37)에 의하여 제 1피봇브라켓(26)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 1피봇브라켓(26)의 상측부 및 하측부에는 암나사(50)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암나사(50)는 도 2의 장착볼트(20)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또한 상기 제 1판스프링(30)이 간극 t1만큼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c는 상기 도 4a의 피봇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판스프링(30) 및 제 2판스프링(32)이 직교하여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 2판스프링(32)이 제 2판스프링장착면(도 3의 48,49)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제 2판스프링(32) 자체는 인장되지 않는 탄성판이므로 제 1피봇브라켓(26)에 대해 제 2피봇브라켓(28)을 화살표 f방향으로 당기더라도 제 1피봇브라켓(26_과 제 2피봇브라켓(28)은 밀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벌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에 대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의 간격은 변함없이 항상 일정하며 사용이 오랜기간 사용하더라도 헐거워지거나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14,16)사이의 밀착력이 감소하지 않고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의 롤링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피봇(24)에서의 제 1판스프링(30)이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피봇브라켓(26)과 제 2피봇브라켓(28)의 제 1판스프링장착면(46,47)에 제 1판스프링(30)의 양측부가 결합하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은 결합에 의해 제 2피봇브라켓(28)은 제 1피봇브라켓(26)에 대해 화살표 d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피봇(24)에 제 2판스프링(32)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제 2판스프링(32)은 제 1피봇브라켓(26) 및 제 2피봇브라켓(28)의 제 2판스프링장착면(48,49)에 양측부가 결합된다.
이와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 1피봇브라켓(26)에 대해 제 2피봇브라켓(28)을 화살표 g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14)에 대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를 도 1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와이어클램프의 피봇은, 제 1피봇브라켓(26)에 대해 제 2피봇브라켓(28)을 도 4a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서의 보이스코일모터(12)가 작동하면 죠오(18)가 벌어질 수 있으며, 보이스코일모터(12)가 작동을 멈추었을 때 상기 제 1,2판스프링(30,32)의 복원력에 의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가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어 죠오(18)가 와이어를 클램핑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판스프링(32)에 의하여 제 1피봇브라켓(26)과 제 2피봇브라켓(28)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상기 죠오(18)는 항상 일정한 클램핑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16)의 롤링현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는, 클램프레버사이에 구비되는 피봇으로서 상호 직교하는 두 개의 판스프링을 적용하여, 고속본딩작업시 레버가 롤링(rolling)방향으로 진동하지 않아 와이어클램프가 정확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높은 본딩품질을 구현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비정상적인 충격을 받더라도 죠오의 상대위치가 흐트러지지 않으며 마찰부위가 없어 마모가 없다. 또한 피봇을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동력이 작으므로 출력 및 크기가 작은 보이스코일모터(VCM)나 솔레노이드를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와이어본딩장치의 프레임에 상하 회동하도록 설치되고 선단부에 죠오(jaw)부재가 구비된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의 측부에 설치되며 선단부에 죠오부재가 구비된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와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에 대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를 탄성지지하는 피봇과, 상기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후단부에 구비되어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의 후단부에 대해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의 후단부를 진퇴운동시켜 상기 피봇을 회동축으로 하여 상기 죠오부재를 클램핑운동시키는 회동수단을 갖는 와이어본딩장치의 와이어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피봇은, 일단부가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에 고정되되,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제 1판스프링과;
    상기 제 1판스프링과 직교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제 1와이어클램프레버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2와이어클램프레버에 고정되는 제 2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판스프링 및 제 2판스프링을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 사이에 수용 할 수 있도록, 제 1,2와이어클램프레버의 대향면에는 상호 대향하는 피봇장착공간부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피봇장착공간부내에는 상기 제 1판스프링 일단부의 일측면과 결합하는 제 1판스프링장착면과, 제 2판스프링 일단부의 일측면과 결합하는 제 2판스프링장착면이 형성된 제 1피봇브라켓과;
    상기 제 1피봇브라켓과 동일형상을 취하며 대향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제 1판스프링 타단부의 타측면과 결합하는 제 1판스프링장착면과, 상기 제 2판스프링 타단부의 타측면과 결합하는 제 2판스프링장착면을 갖는 제 2피봇브라켓이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판스프링장착면에 대해 제 1판스프링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각각 볼트결합하고, 각각의 제 2판스프링장착면에 대해 제 2판스프링도 각각 볼트결합하되, 각 장착면과 볼트헤드사이에는 장착면의 넓이와 같은 넓이를 갖는 가압와셔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피봇브라켓 및 제 2피봇브라켓의 제 1판스프링장착면은 0.4mm 내지 0.6mm만큼 어긋나 제 1,2피봇브라켓사이에서 제 1판스프링의 중앙부가 0.4mm 내지 0.6mm만큼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KR10-2000-0077164A 2000-12-15 2000-12-15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KR10038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164A KR100388958B1 (ko) 2000-12-15 2000-12-15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7164A KR100388958B1 (ko) 2000-12-15 2000-12-15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821A true KR20020046821A (ko) 2002-06-21
KR100388958B1 KR100388958B1 (ko) 2003-06-25

Family

ID=27682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7164A KR100388958B1 (ko) 2000-12-15 2000-12-15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9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359A (ko) 2012-12-26 2014-07-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생산성이 향상된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한 복합 친환경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2983A (ko) 2014-08-20 2016-03-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600B1 (ko) 2004-05-22 2006-06-0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와이어 클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9411B2 (ja) * 1992-07-10 1999-11-02 株式会社新川 ワイヤボンデイング装置
JP3378378B2 (ja) * 1994-10-17 2003-02-17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におけるワイヤクランプ機構の構造
KR200160148Y1 (ko) * 1996-06-28 1999-11-01 김영환 판 스프링을 이용한 와이어 클램프 유닛
JPH11257905A (ja) * 1998-03-09 1999-09-24 Tokyo Seimitsu Co Ltd 接触型直径測定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3359A (ko) 2012-12-26 2014-07-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생산성이 향상된 식물유래 조성물을 함유한 복합 친환경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2983A (ko) 2014-08-20 2016-03-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8958B1 (ko)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0095A (en) Mechanical amplification mechanism combined with piezoelectric elements
KR100443638B1 (ko) 소형 압전/전왜 초음파 리니어모터
US8434659B2 (en) Bonding device, ultrasonic transducer, and bonding method
US20200252007A1 (en) Drive unit
KR20160145126A (ko) 압전 구동기를 위한 일체형 예압 메커니즘
EP0479614B1 (en) Vibration driven motor
KR100388958B1 (ko) 와이어클램프의 피봇구조
KR930009211A (ko) 초음파 모우터
US20180367064A1 (en) Linear driving mechanism for driving driven object, image pickup apparatus, lens barrel, and stage moving apparatus
JPH09201080A (ja) 振動装置
JPH07325242A (ja) レンズ駆動装置
US7565994B2 (en) Wire bonding apparatus
JP3298783B2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用ワイヤカットフィード装置
JP2000028890A (ja) 駆動装置
JP4475633B2 (ja) 送り装置
JP4123128B2 (ja) 光ケーブルのテンションメンバ固定装置
JPH0287108A (ja) 自動焦点調整用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100443639B1 (ko) 소형 압전/전왜 초음파 리니어모터
JPH1154540A (ja) ボンディング装置
JPH07298654A (ja) 駆動装置
JP3383401B2 (ja) 超音波モータおよび超音波モータ駆動装置
CN215088460U (zh) 一种有源光缆的点胶系统
JP2019039997A (ja) 振動波モータおよび駆動装置
JPH10128466A (ja) 金型固定装置
SU1750853A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