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707B1 -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4707B1 KR101874707B1 KR1020160154802A KR20160154802A KR101874707B1 KR 101874707 B1 KR101874707 B1 KR 101874707B1 KR 1020160154802 A KR1020160154802 A KR 1020160154802A KR 20160154802 A KR20160154802 A KR 20160154802A KR 101874707 B1 KR101874707 B1 KR 1018747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onwoven fabric
- polyolefin
- crimp
- based polym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부직포는 에루카마이드 슬립제를 중량대비 0.5% 내지 5.0%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를 0.2 내지 2.0%를 포함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의 점도 차가 2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의 중량 성분비(A/B)를 90/10 내지 10/90으로 하여 모노형(Mono), 심초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 구성의 배열이 되도록 방사하여 3층 이상의 복합층으로 적층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은 크림프의 형태가 선명하고 형태안전성이 우수한 크림프의 형상을 제공하여 탑 시트용 스펀본드로 사용할 때 많은 양의 배뇨에도 크림프에 의해 표면적이 증가되어 젖음성 평가가 우수하여 건조(Dryness)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은 크림프의 형태가 선명하고 형태안전성이 우수한 크림프의 형상을 제공하여 탑 시트용 스펀본드로 사용할 때 많은 양의 배뇨에도 크림프에 의해 표면적이 증가되어 젖음성 평가가 우수하여 건조(Dryness)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종래의 스펀본드 탑 시트용 또는 백 시트용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웹 형성시 크림프를 부여하여 기능성이 향상시킨 제품으로 부직포를 위생제품의 톱 시트용 또는 백 시트용 부직포로 사용시 사용자 신체와의 접촉 면적 및 감촉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 건조도(Dryness)가 양호한 탑 시트 부직포와 부품성(Bulkiness) 및 촉감(Tactile touch)이 우수한 백 시트 스펀본드 부직포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섬유 부직포인 스판본드 부직포는 기계적 특성 및 공기 역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연속방사에 의한 생산성이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재질은 폴리아미드계의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거나 또는 공중합 폴리머 등을 용융 방사하여 제조하는데, 이러한 장섬유 부직포는 보통 스판본드 부직포 또는 멜트스펀(Meltspuns)이라고 알려져 있다. 즉, 스펀본드(Spunbond), 멜트블로운(Meltblown)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장섬유 부직포는 멜트스펀 방식으로 생산되는 것을 총칭으로 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용융 방사하여 섬유화하고 웹을 형성하여 열접착 방식에 의해 부직포를 제조하는데, 이때 결합방식에는 열접착 이외에 공지된 사항으로 수류결합, 니들펀칭, 초음파 결합, 열풍결합 및 케미컬 접착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저가의 섬유 및 웹의 제조는 일회용 기저귀, 어린이 수영팬츠, 어린이 배변연습용 팬츠 및 성인 요실금복과 같은 많은 일회용 위생제 제품을 가능하게 하는 산업이 되었다. 부직포 및 섬유는 이들 구성성분 및 이들 구성성분의 일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에 상기 제품이 진화되고 개선이 이루어지면서, 섬유 및 웹 성분의 요건 또한 개선되어 왔다. 근래 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료용품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위생재에 부직포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부직포는 주로 피부에 접촉되어 사용되므로 피부와의 접촉감의 개선이 항상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개인 위생용품 또는 다른 흡수성 제품의 임의의 부분을 형성하는 섬유 및 부직포 성분의 유연성 및 촉감과 같은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바람직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0-033191호는 지방산 아미드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를 제조함에 있어 부직포의 표면 마찰계수 조절을 통하여 유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상기 위생제품이 진화되고 개선이 이루어지면서 특히 이들 위생제의 구성부분인 표면의 물리적인 구조를 바꾸어 피부에 닿는 촉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66155호에서는, "펀칭롤(10), 카운터롤(20), 가이드롤(52)(53)으로 구성한 원통형 형상의 롤러를 구성하되, 그 외주연을 따라 돌출된 핀을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한 펀칭롤(10)이 구비되어, 이 하부의 구성된 카운터롤(20)이 모터에 의해 맞물려 돌아가면서 이 사이에 부직포가 공급되어 부직포를 천공하고, 이 펀칭롤(10)과 카운터롤(20) 전·후면에 다수개 설치된 가이드롤(52)(53)에 의해 부직포의 장력을 조절하는 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펀칭롤(10)의 핀(11)은 그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되, 그 횡단면이 타원형을 형성하고, 상기 카운터롤(20)에는 원주 둘레를 따라 상기 핀(11)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파인 홈(21)을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직포의 천공 장치에 의해 타원형 형상으로 천공된 부직포를 생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천공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발명에 제안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재 기저귀에 사용중인 일반적인 톱 시트용 스펀본드 부직포의 경우 아기 엉덩이 피부에 직접 닿는 면적이 크고 부직포 라미네이팅시 ADL층과 공간이 없다 보니 배뇨시 오줌이 일부 톱 시트에 남아 아기 엉덩이를 진 무르게 하거나 발진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기저귀 외부로 누수(Leakage)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부품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65898호(특허문헌 3)에서는, 부직포의 방사 작업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면서 부품성을 월등하게 개선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기재의 폴리머를 방사하여 연속하는 벨트 상에 웹을 형성하고 열접착 본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점도가 상호 다른 제일성분 및 제이성분의 폴리프로필렌을 특정한 구조를 가지는 분배판을 사용하여 각각의 노즐 홀 쪽으로 유도하여 복합방사하여 복합 장섬유를 제조하고, 방사된 복합 장섬유를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가 용이한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여 상기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에어 분사 장치와 이 복합 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하거나 또는 니들 펀칭하여 결합함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를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 와인딩을 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벌키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방사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발명은 비록 부품성은 개선하고 있지만 기저귀의 톱 시트 또는 백 시트용으로 사용시 엉덩이 진무름 현상이나 누수 문제를 완전하게 해소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바와 같은 스펀본드 부직포의 유용한 특성을 이용하면서도, 기저귀 등의 위생제품의 탑 시트 및 백 시트로서 유효한 물성을 갖는 부직포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특정한 구성을 사용하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위생제품의 탑 시트용 또는 백 시트용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웹 형성시 크림프를 부여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킨 제품으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위생제품의 톱 시트용 또는 백 시트용 부직포로 사용시 사용자 신체와의 접촉 면적 및 감촉에 따른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배뇨시 오줌이 일부 톱 시트에 남아 있어도 사용자의 엉덩이를 진 무르거나 발진을 유발시키지 않고, 건조성이 우수하여 위생제품 외부로 누수가 발생하지 않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성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우수한 생산성으로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한 결과, 기존 스펀본드 기저귀 탑 시트의 발진 및 진무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섬유 스펀본드 제조시 무수히 많은 크림프를 부여하는데, 이러한 크림프의 형상은 크림프의 형태가 선명하고 형태안전성이 좋아야 그 기능의 발현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인지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의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특성의 크림프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밝혀내어 이러한 방법에 의해 부직포의 건조성, 벌키성 및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밝혀내어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는;
에루카마이드 슬립제를 중량대비 0.5% 내지 5.0%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를 0.2 내지 2.0%를 포함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의 점도 차가 2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의 중량 성분비(A/B)를 90/10 내지 10/90으로 하여 모노형(Mono), 심초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 구성의 배열이 되도록 방사하여 3층 이상의 복합층으로 적층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블럭게이지 두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두께가 0.40mm 내지 1.20mm이며, 부직포 젖음성 평가 수치가 2.0g 내지 3.5g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틸렌 랜덤 코폴리머를 10 내지 30%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g/㎡ 내지 50g/㎡을 포함하며, 엠보 패턴에 의해 열융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로만 구성된 다층의 복합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한층 이상의 멜트블로운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는 엠보패턴에 의해 열융착되어 MD 강도가 1.0kgf/5cm 내지 5.0kg/5cm이며, CD 강도는 0.5kgf/5cm 내지 4.0kgf/5cm로 되고 MD 신도는 20% 내지 120%이며, CD 신도는 30% 내지 150%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엠보패턴은 오픈엠보 타입으로 본딩율율이 10 내지 20%이며, 개별 엠보패턴의 면적은 0.2mm2 내지 0.5mm2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에루카마이드 슬립제를 중량대비 0.5% 내지 5.0%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를 0.2 내지 2.0%를 포함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의 점도 차가 2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로 구성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의 중량 성분비(A/B)를 90/10 내지 10/90으로 용융하고, 모노형(Mono), 심초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 구성의 배열이 되도록 방사하여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3층 이상의 복합층으로 적층하여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고 이 웹을 열융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로된 위생제품은;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로 된 위생제품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에루카마이드 슬립제를 중량대비 0.5% 내지 5.0%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를 0.2 내지 2.0%를 포함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의 점도 차가 2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의 중량 성분비(A/B)를 90/10 내지 10/90으로 하여 모노형(Mono), 심초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 구성의 배열이 되도록 방사하여 3층 이상의 복합층으로 적층하여 얻은 것을 사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은 크림프의 형태가 선명하고 형태안전성이 우수한 크림프의 형상을 제공하여 탑 시트용 스펀본드로 사용할 때 많은 양의 배뇨에도 크림프에 의해 표면적이 증가되어 젖음성 평가가 우수하여 건조(Dryness)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렇게 만들어진 부직포는 기저귀의 탑 시트뿐만 아니라 기저귀 탑 시트 아래층에서 흡수, 분산 역할을 하는 ADL층, 그리고 백 시트 층의 적용시 우수한 기능성을 나타내며, 또한 필름과 필라멘트의 복합 형태로 매우 단단(hard)한데 비해 부품성 백 시트 스펀본드 부직포 적용시 소프트(Soft)성에 의한 아기 피부에 상처를 주거나 발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부직포를 제공하므로 위생제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가 위생제품의 탑 시트로 사용 시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가 위생제품의 탑 시트로 사용 시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가 위생제품의 탑 시트로 사용 시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가 위생제품의 탑 시트로 사용 시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부직포"라는 용어는 편직 또는 직조 이외에 수단에 의해 형성되며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일부 또는 전부 사이에 결합을 함유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웹을 의미하며,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엉킴과 같은 열적, 접착적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인 부직은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카딩, 웨트레잉 및 에어레잉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의 개략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가 위생제품의 탑 시트로 사용 시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스펀본드 부직포를 기저귀 탑 시트로 사용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이 되므로 피부 발진 및 피부 진무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섬유 스펀본드 제품에 기능성이 우수한 크림프를 부여하여 사용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발진이나 진무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펀본드 부직포는 크림프의 형태안전성이 좋아 그 기능의 발현이 뛰어나게 된다. 일반 스펀본드 부직포의 경우 도 3과 같이 아기 엉덩이가 직접적으로 배뇨에 직접 닿아 기저귀 발진이나 진무름을 유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이 우수한 크림프를 갖는 부직포는 도 2와 우수한 크림프의 형태안정성이 부여되어 엉덩이가 배뇨에 닿지 않아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부직포는 기저귀의 탑 시트 뿐만 아니라 기저귀 탑 시트 아래층에서 흡수, 분산 역할을 하는 ADL층, 그리고 백 시트 층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는 에루카마이드 슬립제를 중량대비 0.5% 내지 5.0%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를 0.2 내지 2.0%를 포함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의 점도 차가 2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로 구성되는,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의 중량 성분비(A/B)를 90/10 내지 10/90으로 용융하고, 모노형(Mono), 심초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 구성의 배열이 되도록 방사하여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3층 이상의 복합층으로 적층하여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고 이 웹을 열융착 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는 에루카마이드 슬립제를 중량대비 0.5% 내지 5.0%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가 0.2 내지 2.0%를 포함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보다 용융 고분자의 유출량의 차가 2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로 포함하고,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의 중량 성분비(A/B)가 90/10 내지 10/90이며, 블럭게이지 두께 측정방법(시험표준: CC-64K-510)으로 측정한 두께(벌키성)가 0.40mm 내지 1.20mm이며, 상기 부직포가 엠보패턴에 의해 열융착되어 MD 강도가 1.0kgf/5cm 내지 5.0kg/5cm이며, CD 강도는 0.5kgf/5cm 내지 4.0kgf/5cm를 포함하고 MD 신도는 20% 내지 120%이며, CD 신도는 30% 내지 150%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형성되며, 이때 사용되는 엠보패턴은 오픈엠보 타입으로 본딩율율은 10 내지 20%이며, 개별 엠보패턴의 면적은 0.2mm2 내지 0.5mm2인 것을 포함하고 성분의 구성은 모노형(Mono), 심초형(sheath/core),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면 구성의 배열 및 3층 이상의 복합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리스토머계 랜덤 코폴리머가 코어 중량대비 10% 내지 30%, 에루카마이드 슬립제가 쉬쓰 중량대비 0.5% 내지 5.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른 상기 부직포는 단위면적당 중량이 10 내지 50g/㎡로 제조하고, 그 두께는 0.40 내지 1.20mm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부직포는,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펀본드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의 다층 구조로 제조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무수히 많은 크림프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장섬유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용융된 고분자는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 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된다.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특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이 형성된다. 본 부직포 제조시 사용한 중합체는 에루카마이드 슬립제가 중량대비 1%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 1.0%를 함유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이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점도 차이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를 크림프 형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는데,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원료의 점도를 각각 34와 60 원료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원료의 비율 또한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비율을 3:7로 부여하였다. 엠보싱 온도는 상부가 146℃ 하부가 144℃로 구성된 칼렌더 롤에 의해 1차 본딩을 시켜 부직포 시트를 형성한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는 건조성 및 부품성의 기능성을 갖는 부직포로 제조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의 블럭게이지 두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두께, 부직포 젖음성 평가 등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시 에루카마이드 슬립제가 중량대비 1%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가 1.0%를 포함한 크림프형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원료의 MI 차이는 표 1과 같이 각각 34와 60 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원료의 비율 또한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비율을 4:6으로 부여하였다. 엠보싱 온도는 상부가 146℃ 하부가 144℃로 구성된 칼렌더 롤에 의해 1차 본딩을 시켜 부직포 시트를 형성한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는 건조성 및 부품성의 기능성을 갖는 부직포로 제조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의 블럭게이지 두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두께, 부직포 젖음성 평가 등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시 에루카마이드 슬립제가 중량대비 1%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가 1.0%를 포함한 크림프형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원료의 MI 차이는 표 1과 같이 각각 34와 60 원료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원료의 비율 또한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비율을 5:5로 부여하였다. 소프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보조 도징(dosing)을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리스토머계 랜덤 코폴리머를 사이드 A 중량의 10% 투입하여 용융방사 하였다. 엠보싱 온도는 상부가 146℃ 하부가 144℃로 구성된 칼렌더 롤에 의해 1차 본딩을 시켜 부직포 시트를 형성한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는 건조성 및 부품성의 기능성을 갖는 부직포로 제조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의 블럭게이지 두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두께, 부직포 젖음성 평가 등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원료의 MI 차이가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고, 그리고 원료의 비율 또한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비율을 5:5로 부여하는 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고,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원료의 MI 차이가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고, 그리고 원료의 비율 또한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비율을 3:7로 부여하고,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쉬쓰부 중량의 1%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3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고,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항 목 | 단 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
총중량 | Gsm | 17 | 17 | 17 | 17 | 17 | |
Spinning part |
원료의 비율 |
Side A | 3 | 4 | 5 | 5 | 3 |
Side B | 7 | 6 | 5 | 5 | 7 | ||
원료의 점도 |
Side A | 34 | 34 | 34 | 34 | 34 | |
Side B | 60 | 60 | 60 | 34 | 34 | ||
코폴리 비율(%) |
Side A | 0 | 0 | 10 | 0 | 10 | |
Side B | 0 | 0 | 10 | 0 | 10 | ||
슬립제 | % | 1 | 1 | 1 | 1 | 1 | |
캘린더 상부온도 | ℃ | 146 | 146 | 146 | 146 | 146 | |
캘린더 하부온도 | ℃ | 144 | 144 | 144 | 144 | 144 | |
캘린더 선압 | N/cm | 75 | 75 | 75 | 75 | 75 | |
강도(MD) | Kgf/5cm | 2.8 | 2.9 | 3.0 | 3.3 | 3.5 | |
강도(CD) | Kgf/5cm | 1.5 | 1.6 | 1.7 | 1.9 | 1.8 | |
신도(MD) | % | 70 | 67 | 60 | 60 | 65 | |
신도(CD) | % | 90 | 81 | 90 | 84 | 80 | |
두께 | mm | 1.10 | 0.950 | 0.850 | 0.210 | 0.220 | |
젖음성 | g | 2.1 | 2.3 | 3.2 | 5.2 | 5.0 | |
방사성 | -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양호 | |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각각이 물성을 평가하였다.
(1) 단위면적당 무게(중량:g/㎡) : ASTM D 3776-1985의 방법에 준해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 인장강신도기(Instron)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KSK 0520법에 의해 시험 편 폭 5cm, 간격 10cm의 시험 편을 인장속도 500mm/min의 조건으로 인장하여 최대 하중을 구하였다.
(3) 인장신도 : 상기 (2)의 방법으로 측정한 최대 신장시의 신도를 구하였다.
(4) 두께(mm) : KSK 0506의 방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5) 리?(Rewet; g) :Edana 151.2-99의 방법을 이용하여 시료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배뇨가 배어나온 중량을 측정.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그 내용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술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 크림프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장섬유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에루카마이드 슬립제를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의 중량대비 0.5% 내지 5.0중량% 포함하고, 피그먼트 화이트(TiO2)를 0.2 내지 2.0중량%를 포함한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의 용융 지수(MELTING INDEX; MI) 차가 20 이상인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로 구성되고,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A)와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B)의 중량 성분비(A/B)를 30/70 내지 50/50으로 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side-by-side) 단면 구성의 배열이 되도록 용융된 고분자를 방사 노즐로부터 방사한 필라멘트를 벌집 모양의 냉각 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하고,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하고, 다공성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하여 부직포 웹을 형성하고 엠보싱하여, 블럭게이지 두께 측정방법으로 측정한 두께가 0.40mm 내지 1.20mm이며, 부직포의 리?(Rewet, 젖음성; g) 평가 수치가 2.0g 내지 3.5g가 되도록 하되,
크림프 형성을 위해 사이드 A와 사이드 B의 원료의 MI는 각각 34와 60인 원료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로, 상기 부직포는 단위 면적당 중량이 10g/㎡ 내지 50g/㎡을 포함하며, 엠보 패턴에 의해 열융착되어지며, 엠보패턴에 의해 열융착되어 MD 강도가 1.0kgf/5cm 내지 5.0kg/5cm이며, CD 강도는 0.5kgf/5cm 내지 4.0kgf/5cm로 되고 MD 신도는 20% 내지 120%이며, CD 신도는 30% 내지 150%로 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 청구항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로, 상기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로만 구성된 다층의 복합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한층 이상의 멜트블로운 층을 포함하는 다층 복합구성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로, 상기 부직포는 위생제품으로 사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802A KR101874707B1 (ko) | 2016-11-21 | 2016-11-21 |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802A KR101874707B1 (ko) | 2016-11-21 | 2016-11-21 |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6892A KR20180056892A (ko) | 2018-05-30 |
KR101874707B1 true KR101874707B1 (ko) | 2018-08-02 |
Family
ID=6230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4802A KR101874707B1 (ko) | 2016-11-21 | 2016-11-21 |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470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250A (ko) * | 2018-06-22 | 2020-01-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물성 평가 방법,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
WO2023090914A1 (ko) * | 2021-11-18 | 2023-05-25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복합 부직포 및 물품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22415437A1 (en) * | 2021-12-17 | 2024-07-2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Nonwoven webs made from multicomponent filaments and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webs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8593A (ja) | 1998-11-27 | 2000-06-13 | Mitsui Chemicals Inc | 伸縮性不織布積層体 |
KR101483363B1 (ko) * | 2013-07-10 | 2015-01-16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소프트성 및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JP2016040428A (ja) * | 2014-03-20 | 2016-03-24 | 出光興産株式会社 | 捲縮繊維及び不織布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3191A (ko) | 1998-11-20 | 2000-06-15 | 구자홍 |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
KR100775510B1 (ko) | 2006-05-23 | 2007-11-15 | (주) 삼보 | 부직포의 천공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 |
KR101212426B1 (ko) * | 2009-08-25 | 2012-12-13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KR101837204B1 (ko) | 2012-11-22 | 2018-03-09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우수한 벌키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방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KR20150134470A (ko) * | 2014-05-21 | 2015-12-02 | 주식회사 휴비스 | 산화생분해성을 갖는 열접착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
2016
- 2016-11-21 KR KR1020160154802A patent/KR1018747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58593A (ja) | 1998-11-27 | 2000-06-13 | Mitsui Chemicals Inc | 伸縮性不織布積層体 |
KR101483363B1 (ko) * | 2013-07-10 | 2015-01-16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소프트성 및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JP2016040428A (ja) * | 2014-03-20 | 2016-03-24 | 出光興産株式会社 | 捲縮繊維及び不織布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0250A (ko) * | 2018-06-22 | 2020-01-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물성 평가 방법,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
KR102384286B1 (ko) | 2018-06-22 | 2022-04-0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물성 평가 방법,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제조 방법, 및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
WO2023090914A1 (ko) * | 2021-11-18 | 2023-05-25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복합 부직포 및 물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6892A (ko) | 2018-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33783B2 (ja) | 伸張性不織布 | |
CN1547631B (zh) | 高度伸长的有孔无纺织网及其制造方法 | |
KR101319183B1 (ko) |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212426B1 (ko) |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
JP4068171B2 (ja) | 積層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11479888B2 (en) |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 |
CN102021751A (zh) | 纺粘无纺布及其制造方法 | |
US10767296B2 (en) | Multi-denier hydraulically treat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US10737459B2 (en) | Hydraulically treated nonwoven fabric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1874707B1 (ko) |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302804B1 (ko) |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1837204B1 (ko) | 우수한 벌키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방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CN107278146B (zh) | 无纺织物及用于形成无纺织物的方法 | |
WO2021010357A1 (ja) | スパンボンド不織布及び積層不織布 | |
KR101664544B1 (ko) | 입체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79438B1 (ko) | 복합방사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 |
JP2009120975A (ja) | 混繊長繊維不織布 | |
JP5503768B2 (ja) | 混繊長繊維不織布 | |
KR20040013756A (ko) |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74733B1 (ko) | 신축 회복율과 생산성이 개선된 부직포의 제조방법 | |
KR100696137B1 (ko) | 다층 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494099B1 (ko) | 신축성이 우수한 등방성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KR20140039405A (ko) | 흡수성과 신축성 및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
JP2020111845A (ja) | 開孔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