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151B1 -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151B1
KR101475151B1 KR20130080780A KR20130080780A KR101475151B1 KR 101475151 B1 KR101475151 B1 KR 101475151B1 KR 20130080780 A KR20130080780 A KR 20130080780A KR 20130080780 A KR20130080780 A KR 20130080780A KR 101475151 B1 KR101475151 B1 KR 101475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spunbond
conjugate
spunbond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진
김동욱
정진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1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04H3/147Composite yarns or fil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 D04H3/03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reorientation immediately after yarn or filament 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복합방사 부직포에 드레이프성 및 소프트성을 향상시켜 아기 피부 트러블 및 발진에 효과적인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층을 갖거나 또는 2층 내지 3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 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된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최외층은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Elastomer Random Copolymer)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투입하여 용융시켜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복합 장섬유를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가 용이한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여 상기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에어 분사 장치와 이 복합 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하여 엠보싱 결합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를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 와인딩을 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10 내지 100g/㎡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특정한 슬립제를 일정비율로 함유되도록 하므로서 기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복합방사 부직포에 드레이프성 및 소프트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아기 피부 트러블 및 발진에도 아주 효과적인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한다.

Description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Spunbond nonwoven fabric by conjugate spinning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복합방사 부직포에 드레이프성 및 소프트성을 향상시켜 아기 피부 트러블 및 발진에 효과적인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장섬유 부직포는 스펀본드(Spunbond) 부직포 또는 멜트스펀(Meltspuns)으로 알려진 것으로, 스펀본드, 멜트블로운(Meltblown)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이러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특성과 공기 역학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또한 연속방사에 의한 생산성이 높아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가장 많이 적용되는 부분이 위생자재용이며 농업용, 생활자재용, 산업용 및 의료용 등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한 스펀본드 부직포는 폴리아미드계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에 비하여 우수한 유연성으로 일회용 기저귀 및 생리대와 같은 위생자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기저귀에서 유체를 흡수 및 투과시키는 기능을 하는 톱 시트(top sheet)에 장섬유 스판본드가 종래의 단섬유나 펀칭된 필름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종래 기저귀에서 분말상의 고흡수성 고분자(SAP:Super Absorbent Polymer)로 구성된 흡수 집합체를 감싸 유지하여 주는 코어랩(Corewrap)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종래 기저귀에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복합방사 부직포는 아기 피부에 접촉부분이 크거나, 활동성이 큰 부분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복합방사 부직포가 딱딱(Stiff)하여 피부 트러블 및 발진을 유발하고 있으며 특히 웨이스트 밴드(waist bend) 및 이어 파트(Ear part)와 같은 고중량 부직포의 경우 트러블 및 발진이 더 크게 발생되고 있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제안들이 되어 왔는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39671호에서는, 스펀본드 부직포 위생재 및 그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지방산아미드 화합물이 1∼50중량% 첨가된 마스터 칩(Chip)을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0.5∼10중량% 첨가하는 폴리올레핀계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용융 방사와 동시에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생성된 부직포에 65∼200℃의 열을 가하여 정마찰계수가 0.1∼0.4가 되도록 에이징함으로써 부직포의 표면 마찰계수를 저감시켜 유연성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판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027973호에서는,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으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사슬에 에틸렌(ethylene)이 6중량% 이상 10중량% 이하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를 호모 폴리프로필렌에 10~40중량% 블렌딩(blending), 아미드화합물이 5~20중량%함유된 마스터 배치를 0.5~5%를 블렌딩 하여 용융한 후 방사·연신하여 1 내지 5데니아 굵기의 필라멘트 섬유로 제조하고, 그런 다음 상기 섬유를 연속 이동하는 컨베이어 상에 웹을 적층하여 필라멘트 웹을 열접착 시키거나 또는 니들펀칭하여 부직포의 기본중량이 10 내지 100g/㎡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방법은 물리적인 방법으로 마찰계수를 저감시키는 구성으로 소프트성의 향상에 한계가 있었으며, 상기 후자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사슬에 특정 화합물을 일정한 비율로 블렌딩하여 사용하므로 종래의 통상적인 스펀본드 부직포에 비하여 소프트성이 현저하게 우수하게 되었다고 하고 있으나, 여전히 아기 피부에도 아무런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소프트성 개선이 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을 요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039671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1-002797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 실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통상적인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복합방사 부직포에 드레이프성 및 소프트성을 향상시켜 아기 피부 트러블 및 발진에 효과적인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성을 갖는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이러한 목적 및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층을 갖거나 또는 2층 내지 3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 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되는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Elastomer Random Copolymer)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투입하여 용융시켜 방사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복합 장섬유를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가 용이한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에어 분사 장치와 이 복합 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하여 엠보싱 결합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형태를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 와인딩을 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는 각각 중량비가 10% 내지 30% 및 1% 내지 2%로 함유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층을 갖거나 또는 2층 내지 3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 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된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최외층은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Elastomer Random Copolymer)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투입하여 용융시켜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복합 장섬유를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가 용이한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여 상기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에어 분사 장치와 이 복합 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하여 엠보싱 결합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를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 와인딩을 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10 내지 100g/㎡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최소 1 내지 최대 3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의 드레이프성(MD)은 45mm 이하, 드레이프성(CD)는 35mm 이하, 표면마찰계수는 0.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층 사이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중량은 0.5 내지 2.0g/㎡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은 특정한 슬립제를 일정비율로 함유되도록 하므로서 기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복합방사 부직포에 드레이프성 및 소프트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아기 피부 트러블 및 발진에도 아주 효과적인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한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제품에 드레이프성 및 소프트성을 현저하게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사용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여 부직포의 드레이프성 및 소프트성을 개선하여 강연도(드레이프성) 및 표면마찰계수(소프트성)와 역학적 물성을 보유하는 복합방사 부직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층을 갖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2층 내지 3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 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되는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Elastomer Random Copolymer)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투입하여 용융시켜 방사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복합 장섬유를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가 용이한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에어 분사 장치와 이 복합 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하여 엠보싱 결합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형태를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 와인딩을 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에 약 10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블렌딩(blending)되도록 하는데, 만일 10 중량%보다 낮은 비율로 혼합하면 소프트성의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30중량%보다 많이 혼합하면 방사성과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할 뿐 아니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는 중량비가 1중량% 내지 2중량%로 함유되도록 되는데, 만일 1 중량%보다 낮은 비율로 혼합하면 표면 마찰계수를 원하는 수치로 낮출 수 없어 소프트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거의 없어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2중량%보다 많이 혼합하면 방사성과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중합체를 용융하여 방사·연신하여 1 내지 3데니아 굵기의 필라멘트 섬유로 제조하고, 그런 다음 상기 섬유를 연속 이동하는 컨베이어 상에 웹을 적층하여 필라멘트 웹을 열압착하여 기본중량이 10 내지 100g/㎡로 되도록 부직포를 제조하여 소프트성이 개선된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의 굵기가 1데니아 보다 가늘게 되면 방사 작업성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3데니아를 초과하면 연신이 충분하기 않기 때문에 강도가 낮게 되고 소프트성을 확보할 수가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직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지만, 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SMS)의 3층 구조로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다층구조 부직포를 구성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은 0.5 내지 2.0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구조 부직포에 포함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의 중량이 0.5g/㎡ 미만이면 조직이 치밀하지 못해 물을 차단하는 기능인 사이드게더용으로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고, 2.0g/㎡을 초과시는 조직이 치밀하게 되어 통기성이 저하됨으로서 암모니아가스와 같은 기체 배출이 되지 않는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소프트성이 우수한 장섬유 부직포는 위생자재로 적용이 되며 특히, 기저귀 웨이스트 밴드, 이어 파트 및 사이드 게더에 적용시 아기피부 트러블 및 발진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를 바탕으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멜트블로운 부직포/스펀본드 부직포(SMS)의 3층 구조의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스펀본드 부직포 층은 용융지수(MI)가 20 내지 5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 방사하고, 멜트블로운 부직포 층은 용융지수(MI)가 800 내지 1500g/10분 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용 방사 한다. 또한, 스펀본드 부직포 층의 도징(Dosing)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각각 전체 중량의 30%와 2%를 검량하고 투입하여 용융시켜 방사한다. 스핀펌프와 압출기를 통과하고 방사노즐로부터 방사된 필라멘트는 벌집 모양의 냉각챔버를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된다. 이때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컨베이어 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되고 분리성이 좋은 다공성 특수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이 되어 부직포 웹이 형성된다.
멜트블로운 부직포 제조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방법으로, 용융지수(MI) 800 내지 1300g/10분인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용융하고 방사시 구금의 양쪽에서 강한 열풍으로 불어주어 극세한 멜트블로운 부직포 웹을 형성한다. 이때 방사되는 멜트블로운 부직포는 전체 중량의 20중량%가 되도록 한다.
스펀본드와 멜트블로운의 웹을 열융착시키지 위해서 칼렌더 롤의 열적 온도는 상부가 156℃, 하부가 154℃로 하였고, 선압은 75N/cm으로 하였으며 칼렌더 본딩율은 11% 내지 18%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부직포의 물성을 하기 실험예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리스토머계 랜덤콜폴리머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각각 전체 중량의 20%와 2%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리스토머계 랜덤콜폴리머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각각 전체 중량의 10%와 2%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전체 중량의 1%가 되도록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각각이 물성을 평가하였다.
(1) 단위면적당 무게(중량:g/㎡) : ASTM D 3776-1985의 방법에 준해 측정하였다.
(2) 인장강도 : 인장강신도기(Instron) 측정설비를 이용하여 KSK 0520법에 의해 시험 편 폭 5cm, 간격 10cm의 시험 편을 인장속도 500mm/min의 조건으로 인장하여 최대 하중을 구하였다.
(3) 인장신도 : 상기 (2)의 방법으로 측정한 최대 신장시의 신도를 구하였다.
(4) 드레이프성 : KSK 5038의 방법을 이용하여 시료가 경사면에 닿을 때까지 움직인 거리를 측정하였다
(5) 소프트성 : KS M 3009의 방법을 이용하여 마찰계수 측정 설비를 작동시키면 측정장치가 자동으로 기울어지면서 plate가 아래로 미끄러져 센서를 누르면 정지한다. 이때 정지상태에서의 각도의 값을 변환한다.
항 목 단 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총중량 Gsm 15 15 15 15
랜덤콜포리머 % 30 20 10 0
슬립제 % 2 2 2 1
캘린더 상부온도 156 156 156 156
캘린더 하부온도 154 154 154 154
캘린더 선압 N/cm 75 75 75 75
강도(MD) Kgf/5cm 2.4 2.3 2.5 2.5
강도(CD) Kgf/5cm 1.2 1.3 1.2 1.3
신도(MD) % 57 60 55 56
신도(CD) % 73 71 70 64
드레이프성(MD) mm 42 45 47 52
드레이프성(CD) mm 31 32 38 43
소프트성 C.O.F 0.33 0.35 0.40 0.55
방사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특정한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층을 갖거나 또는 2층 내지 3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 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되는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Elastomer Random Copolymer)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투입하여 용융시켜 방사하는 단계;
    상기 방사된 복합 장섬유를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가 용이한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에어 분사 장치와 이 복합 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하여 엠보싱 결합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형태를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 와인딩을 하여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는 각각 중량비가 10% 내지 30% 및 1% 내지 2%로 함유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스펀본드 부직포를 최외층으로 하고 내층은 1층의 멜트블로운 부직포 층을 갖거나 또는 2층 내지 3층 이상의 스펀본드 부직포 층 및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이 부가적으로 적층된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최외층은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이 공중합된 엘라스토머계 랜덤코폴리머(Elastomer Random Copolymer)와 에루카아미드계의 슬립제를 투입하여 용융시켜 방사하고 상기 방사된 복합 장섬유를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가 용이한 다공질의 연속 벨트 상에 적층시켜 복합 장섬유의 웹(web)을 형성하여 상기 섬유 웹과 벨트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에어 분사 장치와 이 복합 장섬유 웹을 부분적으로 열·압착하여 엠보싱 결합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를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 와인딩을 하여, 단위면적당 중량이 10 내지 100g/㎡로 된 것으로,
    상기 부직포의 드레이프성(MD)은 45mm 이하, 드레이프성(CD)는 35mm 이하, 표면마찰계수는 0.4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최소 1 내지 최대 3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5. 삭제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층 사이의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중량은 0.5 내지 2.0g/㎡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KR20130080780A 2013-07-10 2013-07-10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475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780A KR101475151B1 (ko) 2013-07-10 2013-07-10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0780A KR101475151B1 (ko) 2013-07-10 2013-07-10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151B1 true KR101475151B1 (ko) 2014-12-22

Family

ID=5267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0780A KR101475151B1 (ko) 2013-07-10 2013-07-10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515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847B1 (ko) * 2015-09-22 2017-07-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소프트 엠보 패턴을 적용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10512289B2 (en) 2016-05-04 2019-12-24 O&M Halyard, Inc. Disposable surgical gown
WO2020241913A1 (ko) * 2019-05-28 2020-12-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부직포를 사용한 위생용품
US11528947B2 (en) 2018-08-24 2022-12-20 O&M Halyard, Inc. Personal protection and ventilation system
US11528954B2 (en) 2018-08-24 2022-12-20 O&M Halyard, Inc. Personal protection and ventilation system
US11583013B2 (en) 2016-07-29 2023-02-21 O&M Halyard, Inc. Collar for a disposable surgical gow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302A (ko) * 2006-05-25 2009-02-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연성 및 신장성 폴리프로필렌 기반 스펀본드 부직물
KR20100126712A (ko) * 2008-02-29 2010-12-0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직물
KR20110027973A (ko) * 2009-09-11 2011-03-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5078A (ko) * 2011-08-02 2013-02-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4302A (ko) * 2006-05-25 2009-02-09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연성 및 신장성 폴리프로필렌 기반 스펀본드 부직물
KR20100126712A (ko) * 2008-02-29 2010-12-0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에틸렌/α-올레핀 혼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된 섬유 및 직물
KR20110027973A (ko) * 2009-09-11 2011-03-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5078A (ko) * 2011-08-02 2013-02-1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5847B1 (ko) * 2015-09-22 2017-07-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소프트 엠보 패턴을 적용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10512289B2 (en) 2016-05-04 2019-12-24 O&M Halyard, Inc. Disposable surgical gown
US11576449B2 (en) 2016-05-04 2023-02-14 O&M Halyard, Inc. Disposable surgical gown
US11583013B2 (en) 2016-07-29 2023-02-21 O&M Halyard, Inc. Collar for a disposable surgical gown
US11528947B2 (en) 2018-08-24 2022-12-20 O&M Halyard, Inc. Personal protection and ventilation system
US11528954B2 (en) 2018-08-24 2022-12-20 O&M Halyard, Inc. Personal protection and ventilation system
JP2022534938A (ja) * 2019-05-28 2022-08-04 トーレ・アドバンスド・マテリアルズ・コリ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不織布、その製造方法、該不織布を含む物品、及び該不織布を使用した衛生用品
CN114144550A (zh) * 2019-05-28 2022-03-04 东丽尖端素材株式会社 无纺布、其制备方法、包括所述无纺布的物品,以及使用该无纺布的卫生用品
KR20210154993A (ko) * 2019-05-28 2021-12-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부직포를 사용한 위생용품
WO2020241913A1 (ko) * 2019-05-28 2020-12-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부직포를 사용한 위생용품
JP7282211B2 (ja) 2019-05-28 2023-05-26 トーレ・アドバンスド・マテリアルズ・コリア・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不織布、その製造方法、該不織布を含む物品、及び該不織布を使用した衛生用品
KR102609593B1 (ko) 2019-05-28 2023-12-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상기 부직포를 사용한 위생용품
CN114144550B (zh) * 2019-05-28 2024-03-12 东丽尖端素材株式会社 无纺布、其制备方法、包括所述无纺布的物品,以及使用该无纺布的卫生用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363B1 (ko) 소프트성 및 독특한 시각적 특징을 갖는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475151B1 (ko)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27973A (ko)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EP2319970B1 (en) Fiber, nonwoven fabric, and use thereof
KR101319183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9303A (ko) 부직포 적층체, 부직포 적층체를 이용한 투습성 부직포 적층 시트 및 그들을 이용한 위생 용품
KR20110021147A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50728A1 (ja) 吸収体及び衛生用品
KR101302804B1 (ko) 기계적 특성이 향상된 우수한 드레이프성의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489594B1 (ko) 볼륨감이 우수한 친수 장섬유 부직포
KR102118719B1 (ko)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KR101837204B1 (ko) 우수한 벌키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복합방사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874707B1 (ko) 기능성이 향상된 크림프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US7045030B2 (en) Lightweight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performance
KR101664544B1 (ko) 입체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755847B1 (ko) 소프트 엠보 패턴을 적용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N114144550B (zh) 无纺布、其制备方法、包括所述无纺布的物品,以及使用该无纺布的卫生用品
KR100649073B1 (ko) 드레이프성이 우수한 장섬유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제조방법
KR101646338B1 (ko) 유연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터치감이 향상된 폴리에스테르계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43998A (ja) 不織布
KR100579438B1 (ko) 복합방사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KR101494099B1 (ko) 신축성이 우수한 등방성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599732B1 (ko) 신축성 다층 부직포 웹
KR101401114B1 (ko) 내수압이 향상된 이형 단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0696137B1 (ko) 다층 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