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719B1 -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 Google Patents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719B1
KR102118719B1 KR1020180105308A KR20180105308A KR102118719B1 KR 102118719 B1 KR102118719 B1 KR 102118719B1 KR 1020180105308 A KR1020180105308 A KR 1020180105308A KR 20180105308 A KR20180105308 A KR 20180105308A KR 102118719 B1 KR102118719 B1 KR 102118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layer
articl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244A (ko
Inventor
윤제득
윤영일
김대희
서영석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7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 D10B2509/0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D10B2509/026Absorbent pads; Tampons; Laundry; T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Non-woven fabric,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rticle and sanitary product including the non-woven fabric}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 예를 들어 장섬유 부직포는 스펀본드, 멜트 블로운(Meltblown)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유래된 부직포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는 기계적 특성 및 공기 역학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고, 또한 연속방사에 의한 생산성이 높아 위생용품, 농업자재용 물품, 생활자재용 물품, 또는 의료자재용 물품과 같은 다양한 물품에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기저귀와 같은 위생용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펀본드, 멜트 블로운 복합방사 부직포는 아기 피부에 접촉부분이 크거나 또는 활동성이 큰 부분의 경우에는, 딱딱하여 피부 트러블 및 발진을 유발하고 있다. 나아가 웨이스트 밴드(waist bend) 및 이어 파트(ear part)와 같은 고중량 부직포의 경우에는 트러블 및 발진이 더 크게 발생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연성이 우수하면서 가공시 강도, 액체의 누수성, 및 통기성의 측면에서도 양호한 신규한 부직포, 상기 부직포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일 측면은 유연성이 우수하면서 가공시 강도, 액체의 누수성, 및 통기성의 측면에서도 양호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은 상기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측면은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다른 측면은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위생용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라,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1.8:1 내지 5:1이고,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의 함량이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7 내지 14 중량부인 부직포가 제공된다.
다른 측면에 따라,
압축강도가 0.04 내지 0.07N이고,
길이(M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20N/5cm 이상이고,
폭(C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10N/5cm 이상이며,
내수압이 130mmH2O 내지 160mmH2O인 적층형 부직포가 제공된다.
또다른 측면에 따라,
전술한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이 제공된다.
또다른 측면에 따라,
전술한 부직포를 사이드 게더(side gather)로 포함하는 위생용품이 제공된다.
일 측면에 따른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는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멜트 블로운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의 함량은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7 내지 14 중량부인 부직포로서, 유연성이 우수하면서 가공시 강도, 액체의 누수성, 및 통기성의 측면에서도 양호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엠보 패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흡수성 물품(기저귀)의 평면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부직포"라는 용어는 편직 또는 직조 이외의 수단에 의해 형성되며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일부 또는 전부 사이에 결합을 함유하는 섬유 또는 필라멘트 웹을 의미하며, 이러한 결합은, 예를 들어 엉킴과 같은 열적, 접착적 또는 기계적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부직은 스펀본드, 멜트 블로운, 카딩(carding), 또는 에어레잉(air-laying)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부직포"는 "장섬유 부직포"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엠보 본딩율"이라는 용어는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배치되어 있는 엠보 패턴의 총 면적에 100을 곱한 값을 의미하며, 부직포의 단위면적은 부직포 일부 또는 전체의 면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복합"이라는 용어는 두 개 이상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된 고분자의 균질 혼합물 또는 이성분 섬유(Bi-component)와 같이 물리적으로 상이한 두 개 이상의 고분자의 비균질 혼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이라는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성분)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성분)를 추가 또는/및 개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 중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한 스펀본드 부직포는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스펀본드 부직포에 비하여 유연성이 우수하여 일회용 기저귀 및 생리대와 같은 위생용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저귀에서 유체를 흡수/투과시키는 기능을 하는 탑시트(top sheet)는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또는 이들 조합의 복합방사 부직포가 통상적인 단섬유나 펀칭된 필름을 대체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저귀에서 스펀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또는 이들 조합의 복합방사 부직포가 분말상의 고흡수성 고분자(SAP:Super Absorbent Polymer)로 구성된 흡수 집합체를 감싸 유지하여 주는 코어랩(corewrap)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직포들은 유연성이 부족하여 사람의 피부에 닿을 시 접촉성 피부염과 같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물리적으로 마찰계수를 저감시키는 방법, 및 폴리프로필렌 사슬에 특정 화합물을 일정한 비율로 블렌딩하여 사용하는 방법 등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도 아기 피부에도 아무런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유연성이 개선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어, 개선의 요구가 여전히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부직포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1.8:1 내지 5:1이고,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의 함량이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7 내지 14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고,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은 멜트 블로운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대 스펀본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1.8:1 내지 5: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81:1 내지 4.8: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82:1 내지 4.6: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83:1 내지 4.4: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84:1 내지 4.2: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85:1 내지 4: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86:1 내지 3.8:1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86:1 내지 3.65:1일 수 있다.
상기 멜트 블로운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의 함량이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7 내지 14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과 스펀본드의 부직포층 간의 엠보 본딩율이 11%일 수 있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엠보 패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엠보 패턴은 마름모 형상이 연속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엠보 패턴의 크기는 0.1 mm 내지 3.0 mm일 수 있고, 상기 엠보 패턴의 간격은 0.1 mm 내지 0.3 mm 미만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의 엠보 본딩율은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예를 들어 3.0 mm2 내지 5.0 mm2 단위면적당 배치되어 있는 엠보 패턴의 총 면적에 100을 곱한 값을 구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엠보 패턴은 상기 마름모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원, 타원, 기다란 원, 정사각, 직사각, 사각, 킬트, 격자, 귀갑 형상 등을 기본으로 하여 연속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낮은 중량으로 높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과 스펀본드의 부직포층 간에 18% 정도의 높은 엠보 본딩율을 갖는 부직포와 비교하여 아기 피부에도 아무런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극대화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부 미만이라면 유연성이 개선되지 않을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예를 들어 2층 내지 3층 이상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로 구성된 다층의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로 구성된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이 적층되는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형태의 적층형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심부(core portion);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초부(sheath portion);로 구성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심부와 초부의 중량비는 7:93 내지 14:86일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적층형 부직포는, 압축강도가 0.04 내지 0.07N이고, 길이(M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20N/5cm 이상이고, 폭(C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10N/5cm 이상이며, 내수압이 130mmH2O 내지 160mmH2O일 수 있다.
상기 적층형 부직포의 압축강도는 0.04 내지 0.07N일 수 있다. 상기 적층형 부직포의 압축강도가 0.04N 미만이면 폭(C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낮아 부직포의 가공시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0.07N을 초과하면 유연성이 개선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적층형 부직포의 압축강도가 상기 범위 내일 때 피부 접촉시 유연성 내지 소프트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층형 부직포의 길이(M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는 20N/5cm 이상이고, 폭(C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는 10N/5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적층형 부직포의 길이(M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20N/5cm 미만이고, 폭(C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10N/5cm 미만이면 부직포 가공시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적층형 부직포의 내수압은 130mmH2O 내지 160mmH2O일 수 있다. 상기 적층형 부직포의 내수압이 130mmH2O 미만이면 사이드 개더용 일회용 흡수성 물품에 사용시 액체의 누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60mmH2O를 초과하면 통기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적층형 부직포는 예를 들어, 소수성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흡수성 물품(기저귀, 1)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일회용 흡수성 물품(기저귀, 1)은 개략적으로 표면시트(10) 및 사이드 개더(20)로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 개더(20)는 사이드 시트(21)와 사이드 시트(21)에 고정된 신축성 부재(22), 및 표면시트(10)에 고정된 고정부(51) 및 표면시트(10)에 고정되지 않은 비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소수성인 사이드 개더(20)측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와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동시에 제1 압출기(extruder)에 투입하고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제2 압출기(extruder)에 투입하여 균질하게 혼합한 후 각각 용융 방사하여 복합 필라멘트를 수득하는 단계; 상기 수득한 복합 필라멘트를 다공성 연속벨트 상에 적층하여 복합 필라멘트 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합 필라멘트 웹을 에어분사하고 부분적으로 열압착하여 엠보싱 본딩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시트형태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흡인식 드럼에 보집시키고 열처리하여 전술한 부직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와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동시에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제1 압출기(extruder)에 투입하고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제2 압출기(extruder)에 투입한다. 이 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비드, 펠렛, 또는 칩 등 다양한 상태로 제1 압출기 또는 제2 압출기의 송출부로 이송되어 용융되고 혼련기에서 균질하게 혼합한다. 이후 혼합한 결과물들을 또는 필요하다면 안정제, 안료 마스터 배치, 또는 기타 첨가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결과물을 복수의 홀이 있는 노즐을 통하여 각각 용융 방사하여 복합 필라멘트를 수득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득한 복합 필라멘트를 벌집 모양의 챔버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공기에 의해 고화시키고 상부에서 불어주는 공기와 다공성 연속벨트 하부에서 흡입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연신하여 상기 다공성 연속벨트 상에 일정한 중량으로 적층하여 약 1 내지 3 데니아 굵기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형성한다. 상기 복합 필라멘트 웹은 예를 들어, 다공성 연속벨트 상에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로 구성된 스펀본드 부직포층이 적층되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 위에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섬유로 구성된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이 적층되며, 최종적으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복합 필라멘트의 굵기가 약 1 내지 3 데니아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복합 필라멘트의 굵기가 1 데니아 보다 가늘게 되면 방사 작업성이 불량할 수 있고, 반대로 3 데니아를 초과하면 연신이 충분하지 않아 강도가 낮게 되고 유연성을 확보할 수 없다.
다음으로, 상기 복합 필라멘트 웹을 에어제트로 분사하고 부분적으로 열 칼렌더롤을 통하여 열과 압력을 부여받아 열압착하고 기본중량이 약 10gsm 내지 100gsm이고 엠보 본딩율이 약 11%인 엠보롤을 통과시키면서 엠보싱 본딩으로 고정시킨 시트형태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제조한다. 이 때 열압착은 약 120℃ 내지 160℃의 온도, 예를 들어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트형태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흡인식 드럼에 보집시키고 열처리하여 전술한 부직포를 제조한다. 상기 흡인식 드럼에 보집시키고 열처리하는 공정은 80℃ 내지 110℃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80℃ 이하의 온도에서는 열적 셋팅 효과가 없어서 신도(elongation) 조절이 어려우며, 110℃이상의 온도에서는 유연성을 훼손시킬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물품은 전술한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은 일회용 흡수성 물품, 농업자재용 물품, 산업자재용 물품, 건축자재용 물품, 생활자재용 물품, 또는 의료자재용 물품일 수 있다. 상기 일회용 흡수성 물품으로는 예를 들어,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성인 요실금 제품, 신체 분비물 흡수성 제품, 여성 위생 제품 또는 기타 흡수성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건축자재용 물품 및 농업자재용 물품으로는, 예를 들어 루핑 또는 방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산업자재용 물품으로는 예를 들어, 자동차 내장재, 전선피목용 제품, 필터용 제품, 배터리용 제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생활자재용 물품으로는, 예를 들어 포장지재 등을 들 수 있다.
또다른 일 구현예에 따른 위생용품은 전술한 부직포를 사이드 게더(side gather)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생용품은 일회용 위생용품일 수 있다. 상기 일회용 위생용품은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 또는 일회용 생리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회용 기저귀 또는 일회용 생리대는 평면형 또는 입체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에서 사용된 스펀본드 부직포층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스펀본드 부직포층에 사용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펠렛 형태의 칩이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엘지화학㈜ 제조의 상품명 H7700 (용융흐름지수(MI): 32g~36g/10분),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에 사용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다우 케미칼㈜ 제조의 상품명 DP4200 (용융흐름지수(MI): 23g~27g/10분), 및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는 엘지화학㈜ 제조의 상품명 H7910 (용융흐름지수(MI): 950g~1050g/10분)으로부터 각각 입수하였다.
실시예 1: 부직포의 제조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3 중량부 및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0 중량부를 동시에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제1 압출기에 투입하고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7 중량부를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제2 압출기에 투입하여 혼련기에서 균질하게 혼합한 후 복수의 홀이 있는 노즐을 통하여 각각 용융 방사하여 복합 필라멘트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복합 필라멘트를 다공성 연속벨트 상에 랜덤하게 적층하여 복합 필라멘트 웹을 형성하였다. 상기 복합 필라멘트 웹을 에어제트로 분사하고 엠보 본딩율이 11%인 엠보롤을 통과시키면서 열압착하여 시트형태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트형태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100℃, 60% 열풍 흡인식 드럼으로 열처리하여 중량이 13gsm인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부직포의 제조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3 중량부 대신 56 중량부,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7 중량부 대신 14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부직포의 제조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3 중량부 대신 73 중량부,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0 중량부 대신 20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부직포의 제조
상기 복합 필라멘트 웹을 에어제트로 분사하고 엠보 본딩율이 11%인 대신 18%인 엠보롤을 통과시키면서 열압착하여 시트형태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부직포의 제조
상기 복합 필라멘트 웹을 에어제트로 분사하고 엠보 본딩율이 11%인 대신 8%인 엠보롤을 통과시키면서 열압착하여 시트형태의 복합 필라멘트 웹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부직포의 제조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3 중량부 대신 78 중량부,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0 중량부 대신 1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부직포의 제조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3 중량부 대신 58 중량부,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0 중량부 대신 3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부직포의 제조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3 중량부 대신 66 중량부를 투입하고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7 중량부 대신 4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부직포의 제조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63 중량부 대신 53 중량부를 투입하고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7 중량부 대신 17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섬유로 구성된 적층형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평가예 1: 부직포의 물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중량(Weight): EDANA 40.3 - 90
(2) 엠보 본딩율: 부직포의 단위면적(약 5 mm2)당 배치되어 있는 엠보 패턴의 총 면적에 100을 곱한 값
(3)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 MD 방향 & @ CD 방향): EDANA 20.2 -89
(4) 내수압(Hydrohead): WSP 80.6
(5) 압축강도: JIS P8126(Load Cell: 50N)
(6) 유연성: 관능(피부 촉감) 평가



1



2



3



1



2



3



4



5



6
중량
(gsm)
13 13 13 13 13 13 13 13 13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함량
(중량부)
63 56 73 63 63 78 58 66 53
스펀본드
부직포층용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함량
(중량부)
30 30 20 30 30 15 35 30 30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용
폴리프로필렌 함량
(중량부)
7 14 7 7 7 7 7 4 17
엠보 본딩율
(%)
11 11 11 18 8 11 11 11 11
인장강도
(@ MD 방향,
N/5㎝)
25.7 25.8 27.2 27.8 17.5 26.8 18.9 25.5 25.4
인장강도
(@ CD 방향,
N/5㎝)
11.6 11.4 12.1 13.2 8.4 12.5 9.8 11.5 11.6
내수압
(mmH2O)
138 157 158 135 125 132 134 107 164
압축강도
(N)
0.042 0.051 0.062 0.117 0.031 0.085 0.031 0.035 0.091
유연성 양호 양호 양호 불량 양호 불량 양호 양호 불량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는 비교예 1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와 비교하여 압축강도가 모두 0.04 내지 0.07N의 범위 내에 있으며, 관능(피부 촉감) 평가시 모두 양호한 판정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는 비교예 1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와 비교하여 정량적 및 정성적 평가 모두에서 모두 유연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는 모두 길이(M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20N/5cm 이상의 범위이고, 폭(C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10N/5cm 이상의 범위에 해당되어 부직포의 가공시 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는 모두 내수압이 130mmH2O 내지 160mmH2O의 범위에 해당되어 액체의 누수성 및 통기성의 측면에서도 양호함을 알 수 있다.
1: 일회용 흡수성 물품(기저귀), 10: 표면시트
20: 사이더 개더, 21: 사이드 시트
22: 신축성 부재, 30: 고정부

Claims (10)

  1. 스펀본드 부직포층; 및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중량비가 1.8:1 내지 5:1이고,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의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의 함량이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7 내지 14 중량부이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부직포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30 중량부인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 블로운 부직포층과 스펀본드의 부직포층 간의 엠보 본딩율이 11%인 부직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단층 또는 2층 이상의 다층인 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심부(core portion);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초부(sheath portion);로 구성된 심초형 복합섬유를 포함하는 심초형 부직포.
  6. 압축강도가 0.04 내지 0.07N이고,
    길이(M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20N/5cm 이상이고,
    폭(CD) 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10N/5cm 이상이며,
    내수압이 130mmH2O 내지 160mmH2O인 적층형 부직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부직포는 소수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부직포.
  8.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은 일회용 흡수성 물품, 농업자재용 물품, 산업자재용 물품, 건축자재용 물품, 생활자재용 물품, 또는 의료자재용 물품인 물품.
  10.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부직포를 사이드 게더(side gather)로 포함하는 위생용품.
KR1020180105308A 2018-09-04 2018-09-04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KR10211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08A KR102118719B1 (ko) 2018-09-04 2018-09-04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308A KR102118719B1 (ko) 2018-09-04 2018-09-04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44A KR20200027244A (ko) 2020-03-12
KR102118719B1 true KR102118719B1 (ko) 2020-06-03

Family

ID=6980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308A KR102118719B1 (ko) 2018-09-04 2018-09-04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7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914A1 (ko) * 2021-11-18 2023-05-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복합 부직포 및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51613A (zh) * 2020-04-09 2022-12-30 东丽尖端素材株式会社 复合无纺布及包括其的物品
KR102374088B1 (ko) * 2020-07-09 2022-03-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부직포, 부직포 적층체 및 물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1960B1 (ko) 2011-07-18 2013-02-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락트산의 복합방사를 통한 친환경성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9183B1 (ko) 2011-08-02 2013-10-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5744925B2 (ja) * 2011-02-15 2015-07-08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積層体
KR101664544B1 (ko) 2014-05-27 2016-10-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입체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553B1 (ko) * 2001-01-29 2007-03-30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권축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적층체
US8598052B2 (en) * 2006-03-02 2013-12-03 Daio Paper Corporation Highly air-permeable and water-resistance sheet, a highly air-permeable and water-resistance sheet composite and an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ly air-permeable and water-resistance she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ly air-permeable and water-resistance sheet composi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4925B2 (ja) * 2011-02-15 2015-07-08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積層体
KR101231960B1 (ko) 2011-07-18 2013-02-0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락트산의 복합방사를 통한 친환경성 스판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19183B1 (ko) 2011-08-02 2013-10-18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544B1 (ko) 2014-05-27 2016-10-1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입체 형상을 갖는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0914A1 (ko) * 2021-11-18 2023-05-2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복합 부직포 및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244A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7973A (ko) 소프트성이 우수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US11591730B2 (en) Extensible nonwoven fabric
EP0755325B1 (en) Nonwoven fabric laminate with enhanced barrier properties
KR101212426B1 (ko) 개선된 특성을 갖는 복합 스펀본드 장섬유 다층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8719B1 (ko) 부직포,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부직포를 포함하는 물품 및 위생용품
EP3016625B1 (en)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KR20080099303A (ko) 부직포 적층체, 부직포 적층체를 이용한 투습성 부직포 적층 시트 및 그들을 이용한 위생 용품
AU2003276145B2 (en) Nonwoven material with elastic properties, related production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4661627A (zh) 带有柔软非织造层的制品
EP2319970A1 (en) Fiber, nonwoven fabric, and use thereof
KR101475151B1 (ko) 복합 방사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77133A (ko) 위생 용품
KR20230169896A (ko) 3d 엠보싱을 갖는 셀룰로오스 부직포 라미네이트
US7045030B2 (en) Lightweight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performance
US20070181242A1 (en) Nonwoven fabric having improved performance
CN114144550B (zh) 无纺布、其制备方法、包括所述无纺布的物品,以及使用该无纺布的卫生用品
CN111132642B (zh) 吸收性物品
KR102599732B1 (ko) 신축성 다층 부직포 웹
KR101776400B1 (ko) 운동성이 확보된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JP2024519229A (ja) テキスタイルバックシート
KR20230073105A (ko) 복합 부직포 및 물품
JP2003053871A (ja) 通気性積層体および吸水性物品
US20050124949A1 (en) Unitized cover and transfer layer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