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534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534A
KR20160020534A KR1020167001068A KR20167001068A KR20160020534A KR 20160020534 A KR20160020534 A KR 20160020534A KR 1020167001068 A KR1020167001068 A KR 1020167001068A KR 20167001068 A KR20167001068 A KR 20167001068A KR 20160020534 A KR20160020534 A KR 20160020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anding door
landing
hoistwa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559B1 (ko
Inventor
게이고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8Details of seals an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hoist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적어도 1개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가, 복수의 승강장 도어 중 대응하는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한다. 개폐 장치는, 승강장 출입구 이외에서 승강로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를 개폐한다. 개폐 제어부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개폐 장치에 의해 개구부를 개폐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이 고속으로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승강장에서의 돌발적인 드래프트(draft) 소음의 저감에 관한 것이다.
승강장 드래프트 소음은, 승강장과 승강로와의 사이의 압력차에 의해 승강장 도어의 주위의 간극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의 흐트러짐에 의해서 발생한다. 또, 승강장 드래프트 소음은, 일반적으로, 옥외가 춥고 건물 내가 따뜻한 동계(冬季)에 발생하기 쉽다. 이것은, 하층에서 옥외로부터 건물 내로 들어간 공기가 건물 내에서 따뜻해지는 것에 의해, 승강로 내에 상승 기류가 발생하고, 하층에서는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로 공기가 유입하기 쉽고, 상층에서는 승강로로부터 승강장으로 공기가 유출하기 쉽게 되어, 승강장 도어의 주위의 간극을 통과하는 공기의 양이 많게 되기 때문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삼방(三方) 프레임의 좌우의 측부 프레임의 승강로측에 고무제의 씰링관이 고정되어 있다. 또, 승강장 도어의 두껍닫이(door case)측 단부에는, 차폐(遮蔽) 프레임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장 출입구의 전폐시(全閉時)에 차폐 프레임이 씰링관에 맞닿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에 의해서 발생하는 소음이 승강장에 전해지는 것이 방지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 종래의 다른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장 도어의 두껍닫이측 단부에 가요성의 차폐판이 고정되어 있다. 차폐판은, 승강장 출입구의 전폐시에 삼방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측부 프레임과 승강장 도어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승강로 내로 유입하는 공기량이 감소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게다가,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장치에서는, 풍량계, 풍속계 또는 소음계등의 드래프트 검출 수단이, 하부의 승강장 출입구의 간극에 마련되어 있다. 또, 승강로와 건물의 외부를 연통하는 공기 유로에는, 전동 댐퍼로 이루어지는 드래프트 관제(管制)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드래프트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값이 설정값을 넘으면, 드래프트 관제 수단에 의해 공기 유로가 개방되어, 건물 외부의 공기가 승강로 내로 유입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평8-23918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8-5327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특허공개 평4-213579호 공보
특허 문헌 1,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승강장 출입구의 간극을 밀폐화하는 것은, 전(全)층의 승강장 도어가 폐쇄 상태이면, 승강로에 유입 또는 승강로로부터 유출하는 풍량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드래프트 소음 대책으로서 유효하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칸이 목적층에 도착하고, 엘리베이터 칸 도어 및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면, 승강로 내와 승강장이 연통된다. 이 때, 승강장과 승강로와의 사이에서 압력차가 있으면, 공기의 흐름이 발생한다.
여기서, 전층의 승강장 도어가 폐쇄 상태이면, 승강로 내는, 질량 보존칙이 거의 성립한 평형 상태이다. 이것에 대해서,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면, 승강로 내의 평형 상태는 무너져, 다른 상태로 변화한다. 즉,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로 유입하는 공기의 양과, 승강로로부터 승강장으로 유출하는 공기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변화한다.
예를 들면 동계에는, 승강로 내에 상승 기류가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상층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면, 승강로로부터 승강장으로 유출하는 공기량이 증가한다. 그 결과, 질량 보존칙에 의해, 하층에서는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 내로 흐르는 공기의 유량이 증대한다. 이 때, 하층의 승강장 도어가 폐쇄되어 있고, 또 승강장 출입구의 간극이 밀폐화되어 있으면, 약간의 간극을 통해 공기가 무리하게 유입하려고 하게 되고, 풍속이 증가하여 돌발적인 승강장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하여, 하층 승강장 부근에 있는 이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
이상은, 상층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경우를 설명했지만, 하층의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경우에도, 다른 층에서 돌발적인 승강장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특허 문헌 3에 나타내어진 종래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장치에서는,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지만, 드래프트 검출 수단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 복수층에서의 드래프트 소음을 감시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감시층마다 드래프트 검출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생기고, 설치 기기가 대규모로 되어, 코스트 및의 스페이스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적어도 1대의 엘리베이터 칸, 복수층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승강장 도어 중 대응하는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적어도 1개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 승강장 출입구 이외에서 승강로의 내외를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개폐 장치, 및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개폐 장치에 의해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개폐 장치에 의해 개구부를 개폐하므로,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 장치)(3), 디플렉터 쉬브(deflector sheave)(4), 및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와,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터 쉬브(4)에는, 현가체(7)가 감아 걸려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3)에 의해 승강로(1) 내에서 승강된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8)을 승강시킨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0) 및 균형추 완충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와,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를 개폐 동작시킴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13)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도어(12)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 장치(13)로부터 매달려져 있다.
복수층의 승강장에는,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한 쌍의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도어(14)의 개폐 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장 도어 장치(15)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도어(14)는, 승강장 도어 장치(15)로부터 매달려져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이 층에 도착했을 때, 그 층의 승강장 도어(14)는, 엘리베이터 칸 도어(12)의 개폐 동작에 연동연동하여 개폐 동작한다.
승강장 도어(14)가 전폐(全閉) 위치에 위치할 때,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출입구와의 사이의 간극은 거의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
또, 승강로(1)에는, 승강로(1)의 내외를 연통하는 복수의 개구부(16)(도 2)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개구부(16)는, 복수층의 승강장과 승강로(1)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각 개구부(16)에는, 개폐 장치로서의 개구량 조정 장치(17)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대응하는 개구부(16)를 개폐한다. 또,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대응하는 개구부(16)의 개구량을 조정한다.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개구부(16)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와, 개구부(16)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개구부(16)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 개폐 부재를 변위시키는 개폐 구동 모터를 가지고 있다. 또, 개구량 조정 장치(17)로서는, 예를 들면 자동 개폐 가능한 루버(louver)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승강장 출입구의 좌우 양측 및 상부에는, 삼방 프레임(18)이 마련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개구부(16)는, 삼방 프레임(18)의 상부 프레임에, 승강장 출입구에 임(臨)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삼방 프레임(18)의 상부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각 승강장 도어 장치(15)에는, 승강장 도어(14)를 시정(施錠) 상태로 하기 위한 인터락(interlock)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인터락 장치에는, 승강장 도어(14)가 전폐 위치에서 시정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인터락 스위치(19)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에 입력된다. 엘리베이터 칸(8)이 어느 층에 도착하여, 그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면, 인터락 스위치(19)가 오프가 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에서는, 인터락 스위치(19)의 상태에 의해, 모든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전폐 상태인지 아닌지, 아닌 경우,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실시 형태 1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는, 인터락 스위치(19)이다.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개구량 조정 장치(17)에 의해 개구부(16)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어떤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는지를 식별한다. 그리고,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는지에 따라서, 어느 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할지를 선택한다. 실시 형태 1의 개폐 제어부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이다.
모든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전폐 상태인 경우는, 승강장과 승강로(1)와의 사이의 공기류(空氣流)를 가능한 한 줄이는 것에 의해 드래프트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장 도어(14)에는, 기밀성이 높은 구조(예를 들면, 차연(遮煙) 도어)가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출입구와의 사이의 밀폐성을 높이면, 어떤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어떤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다른 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하여, 공기를 개구부(16)에 적극적으로 유통시킨다. 이것에 의해, 전폐 위치에 있는 승강장 도어(14)와 승강장 출입구와의 사이의 약간의 간극을 무리하게 통과하려고 하는 공기의 흐름이 억제되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8)의 정지층이 1~20층의 각 층이며, 엘리베이터 칸(8)이 1층(최하층)에 정지하고, 1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것으로 한다. 동계에는, 저층 에어리어(area)에서는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1)를 향해서 공기가 흐르기 쉽기 때문에, 1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면, 다량의 공기가 승강로(1) 내에 유입한다.
한편, 20층(최상층)에서는, 승강로(1)로부터 승강장으로 공기가 흐르기 쉬워, 1층의 승강장 출입구로부터 다량의 공기가 유입하면, 유량 보존칙에 의해 승강로(1)로부터 승강장으로의 공기의 유출도 크게 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1층의 인터락 스위치(19)가 오프가 된 것을 검출하면, 20층의 개구량 조정 장치(17)에 의해 20층의 개구부(16)를 개방시킨다. 이것에 의해, 20층의 승강장에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20층에 더하여, 20층 근방의 층, 예를 들면 19층 및 18층 등의 개구부(16)도 개방시켜도 괜찮다. 반대로, 1층은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1층의 개구부(16)는 폐쇄해 둔다. 또, 1층 근방의 층, 예를 들면 2층 및 3층의 개구부(16)도 폐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리베이터 칸(8)이 20층에 정지하고, 20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경우, 승강로(1) 내로부터 다량의 공기가 20층의 승강장으로 유출하여, 저층 에어리어, 특히 현관층인 1층의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1) 내로 다량의 공기가 유입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20층의 인터락 스위치(19)가 오프가 된 것을 검출하면, 1층의 개구량 조정 장치(17)에 의해 1층의 개구부(16)를 개방시킨다. 이것에 의해, 1층의 승강장에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1층에 더하여, 1층 근방의 층, 예를 들면 2층 및 3층 등의 개구부(16)도 개방시켜도 괜찮다. 반대로, 20층은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20층의 개구부(16)는 폐쇄해 둔다. 또, 20층 근방의 층, 예를 들면 19층 및 18층의 개구부(16)도 폐쇄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모든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모든 개구부(16)를 폐쇄한다. 또,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적어도 최상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한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는, 최상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적어도 최하층 또는 현관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한다. 이것에 의해, 저층 승강장→승강로(1)→고층 승강장으로 흐르는 공기를 비교적 밸런스가 좋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1)의 내외를 연통하는 개구부(16)를 승강로(1)와 승강장과의 사이에 마련하고, 개구부(16)에 개구량 조정 장치(17)를 마련하며,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 개구량 조정 장치(17)에 의해 개구부(16)를 개폐하도록 했으므로,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어떤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는지에 따라서, 어느 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할지를 선택하도록 했으므로, 모든 층의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기존의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승강장 도어(14)의 개방을 검출하므로, 구성을 더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또, 개구부(16)를 삼방 프레임(18)에 마련했으므로, 건축측면에서 새롭게 개구부를 시공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용자로부터 보기 어려운 삼방 프레임(18)의 상부 프레임에 개구부(16)를 마련했으므로, 의장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삼방 프레임(18)에 개구부(16)를 마련했지만, 실시 형태 2에서는 승강장 벽에 개구부(20)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20)는, 승강장 출입구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승강장과 승강로(1) 내를 연통하고 있다. 개구량 조정 장치(17)는, 개구부(20) 내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장 벽에 개구부(20)를 마련했으므로, 삼방 프레임(18)의 의장성이 손상되지는 않는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3에서는, 4대의 엘리베이터 칸(8)이, 1개의 승강로(1) 내를 승강(병주(竝走, 나란히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실시 형태 3의 승강로(1)는, 각 엘리베이터 칸(8)에 대응하는 승강로 부분이 가로 방향으로 서로 연통된 공간이다. 각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은, 서로 독립하여 제어, 또는 그룹 관리 제어된다. 이 경우, 개폐 제어부는, 각 호기의 엘리베이터 칸(8)이 어느 층에 정지하고, 어느 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는지에 따라서, 승강로(1) 전체에서의 통기의 밸런스로부터, 개구부(16)(또는 개구부(20))의 개폐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모든 엘리베이터 칸(8)이 저층에서 문열림 상태라면, 고층의 개구부(16)를 개방한다. 그러나, 1대의 엘리베이터 칸(8)이 저층에서 문열림 상태, 다른 1대의 엘리베이터 칸(8)이 고층에서 문열림 상태, 나머지 2대의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 중이면, 통기의 밸런스가 유지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각 층의 개구부(16)는 폐쇄한 채로 해도 괜찮다.
이와 같이,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8)이 1개의 승강로(1)를 승강하는 경우는, 그 승강로(1)에 임하는 모든 호기의 승강장 도어(14)의 개방을 감시하고, 개구부(16)의 개폐 상태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호기의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력되는 개폐 제어부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도, 인터락 스위치(19)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돌발적인 드래프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시 형태 3에서, 개구부(16)는, 호기마다 설치할 필요는 없고, 각 층에 1개소 마련하는 것만으로도 괜찮다.
또, 실시 형태 3에서는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8)이 병주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2대 이상의 엘리베이터 칸(8)이, 바로 위로부터 보아 동일 개소에 배치되어 있는, 즉 원 샤프트 멀티 카(one-shaft-multi-car)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실시 형태 1에서는, 개폐 제어부로서,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를 이용했지만,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로부터 독립한 개폐 제어부에 의해 개구부의 개폐를 제어해도 괜찮다.
게다가 또, 상기의 예에서는, 모든 층에 개구부(16)(또는 개구부(20)) 및 개구량 조정 장치(17)를 마련했지만, 모든 층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면, 개구부를 현관층 또는 최하층과 최상층에만 마련하며, 현관층 또는 최하층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최상층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최상층 또는 최상층 부근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현관층 또는 최하층의 개구부를 개방해도 괜찮다. 또, 개구부를 현관층 또는 최하층에만 마련하여, 최상층 또는 최상층 부근의 승강장 도어(14)가 개방되었을 때에 개구부를 개방한다고 하는 제어만을 실시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서 인터락 스위치(19)를 나타냈지만, 인터락 스위치(19)와는 다른 스위치 또는 센서를 이용해도 괜찮다.
게다가,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 내에서 엘리베이터 칸(8)이 어느 층에 정지하는지를 판정하고, 그 정보를 승강장 도어(14)의 개방 검출에 이용해도 괜찮다. 즉,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5) 내에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와 개폐 제어부를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 승강장 도어(14)의 개방 동작 개시전에 개구부를 개방할 수도 있다.
게다가 또, 개폐 장치는, 개구량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개구부의 위치는 상기의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삼방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의 상단부, 삼방 프레임의 측부 프레임의 하단부, 또는 승강장 조작반 등에 개구부를 마련해도 좋다.
게다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2:1 로핑 방식의 엘리베이터 장치, 또는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승강로 내에서 승강되는 적어도 1대의 엘리베이터 칸,
    복수층의 승강장에 마련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장 도어,
    상기 승강장 도어 중 대응하는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검출하는 적어도 1개의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
    승강장 출입구 이외에서 상기 승강로의 내외를 연통하는 적어도 1개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어도 1개의 개폐 장치, 및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라서, 상기 개폐 장치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에 의해, 2개 이상의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이 각각 검출되고,
    2개 이상의 층의 승강장과 상기 승강로와의 사이에 상기 개구부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제어부는, 어떤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된 것을 검출하면, 어느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었는지에 따라서, 어느 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할지를 선택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부는, 모든 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모든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부는, 최하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 최상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부는, 최상층의 상기 승강장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에, 최하층 또는 현관층의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도어 개방 검출부는, 인터락 스위치(interlock switch)인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승강장 출입구에는, 삼방(三方)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삼방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승강장 벽에 마련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2대 이상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1개의 상기 승강로 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승강로에 임(臨)하는 모든 호기(號機)의 상기 승강장 도어의 개방을 감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67001068A 2013-07-17 2013-07-17 엘리베이터 장치 KR101800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69376 WO2015008345A1 (ja) 2013-07-17 2013-07-17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534A true KR20160020534A (ko) 2016-02-23
KR101800559B1 KR101800559B1 (ko) 2017-11-22

Family

ID=5234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068A KR101800559B1 (ko) 2013-07-17 2013-07-17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49881B2 (ko)
KR (1) KR101800559B1 (ko)
CN (1) CN105307965B (ko)
WO (1) WO2015008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2935B2 (ja) * 2017-06-06 2021-07-1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出入口開閉システム
EP3511278A1 (en) * 2018-01-11 2019-07-17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positioning an elevator car with high accuracy
CN112744656B (zh) * 2020-12-30 2022-07-1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一种烟囱效应下的电梯泄压装置控制方法及其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3579A (ja) 1990-12-12 1992-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昇降路装置
JPH0853279A (ja) 1994-08-09 1996-02-2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08239185A (ja) 1995-03-02 1996-09-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477A (ja) * 1984-08-20 1986-03-13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のドア閉じ確認装置
JPH10338435A (ja) * 1997-06-09 1998-12-22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エレベータ装置
JP2004168535A (ja) * 2002-11-22 2004-06-17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三方枠固定装置
JP2010058946A (ja) * 2008-09-05 2010-03-1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装置
JP4748615B2 (ja) * 2008-12-26 2011-08-17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3579A (ja) 1990-12-12 1992-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昇降路装置
JPH0853279A (ja) 1994-08-09 1996-02-2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装置
JPH08239185A (ja) 1995-03-02 1996-09-17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出入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008345A1 (ja) 2017-03-02
CN105307965A (zh) 2016-02-03
WO2015008345A1 (ja) 2015-01-22
KR101800559B1 (ko) 2017-11-22
CN105307965B (zh) 2017-04-05
JP6049881B2 (ja)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176B2 (ja) エレベーター
CN105384039B (zh) 用于关闭电梯的门的方法和配置
JP201005894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80055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557113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645439B2 (ja) 遮煙構造が乗り場に付設されたエレベータの冠水防止装置
JP5885172B2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712559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7148393A (zh) 用于电梯系统的疏散概念
JP7094919B2 (ja) エレベーター
JP2010047401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1411415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005894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7147900B1 (ja) エレベータ
CN107709215B (zh) 电梯装置
JP2006027808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3107766A (ja) エレベータ及びエレベータの防煙方法
JP2006131403A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13114566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523599B1 (ko) 볼 구동 구조를 이용한 나선형 엘리베이터
JP4489879B2 (ja) 中低層集合住宅用エレベータ装置
JP2012180199A (ja) 避難用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1022798B1 (ko) 소형 기계실 설치형 승강기
KR100923607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2184092A (ja) テールコード配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