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011A -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 Google Patents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011A
KR20160020011A KR1020140104342A KR20140104342A KR20160020011A KR 20160020011 A KR20160020011 A KR 20160020011A KR 1020140104342 A KR1020140104342 A KR 1020140104342A KR 20140104342 A KR20140104342 A KR 20140104342A KR 20160020011 A KR20160020011 A KR 20160020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tray
contact
card tray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697B1 (ko
Inventor
김주철
박상현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40104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9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G06K7/007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having multiple insertion slots, the respective slots suited for the same or different card form fa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12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tilizing a push bar for manipulation by hand in order to eject the inserted card
    • G06K13/081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tilizing a push bar for manipulation by hand in order to eject the inserted card the push bar comprising a pivotable push butt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connectors capable of contact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memory stick and SD card readers sharing at least one connector contact and the associated signal line, e.g. both using the same signal line for input or output of dat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7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automatically by insertion of rigid printed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류의 나노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카드 트레이에 동시에 장착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하나의 소켓 커넥터에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를 안착시킬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히 수동작에 의해 카드 트레이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Connect assembly for dual memory card and card tray used in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종류의 나노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카드 트레이에 동시에 장착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하나의 소켓 커넥터에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를 안착시킬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을 사용하여 간단히 수동작에 의해 카드 트레이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는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에 대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한 메모리 카드와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가 각각 구비된다.
메모리 카드 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의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는 일반적인 심 카드, 나노 심 카드, 알유아이엠 카드, 모네타 카드, 뱅크 온 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위한 데이터의 저장에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 스마트 미디어 카드, 메모리스틱, 엑스디 픽쳐 카드, 티플래쉬 카드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 중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를 위해 사용되는 인증용 심 카드는 분실에 의한 위험성을 줄이기 위하여 배터리 팩이 밀착되는 백 케이스의 결합 면에 실장되어 배터리 팩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메모리 카드의 교체가 불가능하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용 메모리 카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서 바로 교체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카드들이 휴대용 단말기 내에 삽입되어 내부의 접점단자와 접촉하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삽입된 카드를 견고하게 안착시키고 임의로 인출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소켓 커넥터가 단말기 내에 구비되어 있는데, 하나의 소켓 커넥터에서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켓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별도의 카드 트레이를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하나의 소켓 커넥터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카드 트레이는 다양한 카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고, 그 외주연은 소켓 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카드 트레이의 경우, 다양한 형상의 카드를 범용적으로 안착시키는 것은 가능하나 실제 사용시에는 하나의 카드만이 카드 트레이에 안착되어 휴대용 단말기 내의 소켓 커넥터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형태로 사용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즉, 종래의 카드 트레이의 경우, 2종류의 나노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동시에 장착가능한 구조는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카드 트레이용 소켓 커넥터의 경우, 카드 트레이가 휴대용 단말기의 트레이 삽입구를 통해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는 카드 트레이의 선단면이 트레이 삽입구의 입구와 거의 일직선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카드 트레이를 외측으로 취출할 수 있는 별도의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카드 트레이를 수동으로 취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64562 호(2013.05.0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2종류의 나노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카드 트레이에 동시에 장착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하나의 소켓 커넥터에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를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소켓 커넥터를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켓 커넥터의 일측에 레버 타입의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을 구비하여 간단히 수동작에 의해 카드 트레이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는, 전방에 트레이 삽입구가 형성되고,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형성되는 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트레이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쉘;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자;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자; 및 상기 트레이 삽입구를 통해 상기 트레이 삽입 공간으로 삽입 및 취출되며, 전후로 제 1 및 제 2 카드가 안착되는 제 1 및 제 2 카드 안착부가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전방측에 중앙이 개구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가 안착되며, 상기 제 2 카드 안착부는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의 상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에서 상향 단차진 형태로 중앙이 개구진 사각형상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카드가 안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안착된 상기 제 1 카드의 다수의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제 1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 2 카드 안착부의 상기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안착된 상기 제 2 카드의 다수의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제 2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의 일측 코너에는 경사진 카드 오삽입 방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의 오삽입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드 오삽입 방지턱은,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코너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카드의 일변에 형성된 제 2 경사면에 대해 동일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공통의 오삽입 방지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드 오삽입 방지턱은,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코너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카드의 일변에 형성된 제 2 경사면에 동일 각도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공통의 오삽입 방지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드 트레이는 상기 삽입부의 전방에 일체 형성되는 전단 몸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단 몸체부는 상기 카드 트레이의 삽입 후에, 상기 트레이 삽입구를 통해 노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단 몸체부의 일측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취출핀 삽입홀이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일측방에는 삽입된 상기 카드 트레이를 수동으로 취출하기 위한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수동 카드 이젝터 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일측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장형(長型)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가이드되는 이젝트 로드; 및 상기 이젝트 로드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이젝트 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된 힌지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 레버의 일단은 상기 이젝트 로드의 후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삽입된 상기 카드 트레이의 삽입부의 후측부에 대응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젝트 로드의 후진시에는 상기 힌지 레버의 일단은 후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 레버의 타단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전방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에 맞닿은 카드 트레이의 삽입부의 후측부를 전방으로 밀게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보다 상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 2 카드의 삽입 및 취출을 감지하도록 디텍트 스위치 리드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카드는 나노 심 카드(Micro SIM CARD)이고, 상기 제 2 카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Micro SD CARD)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드는 더미(dummy) 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의하면, 2종류의 나노 심 카드와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하나의 카드 트레이에 동시에 장착가능하도록 하여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하나의 소켓 커넥터에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를 안착시킬 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켓 커넥터의 일측에 레버 타입의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을 구비하여 간단히 수동작에 의해 카드 트레이를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제 1 카드 안착부의 카드 오삽입 방지턱의 형성에 의해 두 개의 카드가 종횡으로 교차함과 아울러, 단일의 카드 오삽입 방지턱에 의해 상하로 두 개의 카드의 오삽입을 방지하면서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로 되어 그 장착 구조 형상이 매우 단순화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카드 트레이에서 나노 심 카드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더미(dummy) 카드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대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도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제 1 및 제 2 카드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도 1a의 제 1 및 제 2 카드가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의 카드 트레이의 결합전 및 결합후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의 카드 트레이 취출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제 1 및 제 2 카드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 및 도 1c는 도 1a의 제 1 및 제 2 카드가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드 트레이(100)는, 나노 심(Nano SIM)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 및 상기 나노 심 카드보다 사이즈가 상대적으로 큰 마이크로 에스디(Micro SD)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가 안착된 상태로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1)(도 3a 참조)의 베이스(10)의 트레이 삽입구(4)에 삽입 및 취출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의 트레이 삽입구(4)에 삽입 및 취출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의 전방에 일체 형성되는 전단 몸체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110)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상기 제 1 카드(2)가 안착되는 제 1 카드 안착부(130) 및 상기 제 2 카드(3)가 안착되는 제 2 카드 안착부(1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10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체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단 몸체부(120)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1)(도 3a 참조)의 베이스(10)의 트레이 삽입구(4)에 삽입된 후에, 전방으로 노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전단 몸체부(120)의 일측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취출핀 삽입홀(111)이 더 구비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취출핀(90; 도 4b 참조)이 삽입되어 이젝터 로드(52; 도 4a 및 도 4b 참조)의 선단을 후측으로 밀어줌으로써 삽입된 카드 트레이(100)를 수동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제 1 카드 안착부(130)는 대략 직사각형상의 삽입부(110)의 전방측에 중앙이 개구진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작은 사이즈의 나노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가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카드 안착부(130)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안착된 제 1 카드(2)의 다수의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가 노출되어 후술하는 제 1 접촉자(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진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대략 사각형상의 제 1 카드 안착부(130)의 후방 일측 코너에는 경사진 카드 오삽입 방지턱(131)이 형성되어 제 1 카드(2)의 일측 코너에 형성된 제 1 경사면(2-1)에 동일 위치 및 동일각도로 대응되도록 하여 제 1 카드(2)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카드(2)가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130)에 안착된 후에는 안착된 제 1 카드(2)의 상측이 제 2 카드(3)의 제 2 카드 안착부(140)의 일부를 이루게 되는 데, 이 경우, 카드 오삽입 방지턱(131)의 상측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형성되어 제 2 카드(3)의 일변에 형성된 제 2 경사면(3-1)에 대응되도록 하여 역시 제 2 카드(3)의 오삽입을 공통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공통된 카드 오삽입 방지턱(131)이 제 1 및 제 2 경사면(2-1)에 대해 동일 위치 및 동일 각도로 대응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 1 및 제 2 경사면(2-1)에 대해 동일 위치이나 경사 각도가 약간 달라지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동일 각도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카드 트레이의 제작시 금형으로부터 인출이 용이해지므로 제작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고, 경사 각도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각 카드별로 다른 형상의 스펙으로 정밀하게 대응시켜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제 2 카드 안착부(140)는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130)의 상측을 포함함과 동시에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100)의 후방으로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130)에서 연장되어 상향 단차진 형태로 중앙이 개구진 사각형상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141)가 연장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제 2 카드 안착부(140)는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130)에 안착된 상태의 제 1 카드(2)의 배면(단자 형성 반대면)과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130)에서 연장되어 상향 단차진 사각형상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1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사각형상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141)의 대향하는 반대쪽인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130)의 전방으로 역시 상향 단차진 단턱부(142)가 형성되어 제 2 카드(3)가 단턱부(142), 제 1 카드(2)의 배면 및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1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 2 카드 안착부(140)에 수평형태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카드 안착부(140)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141)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안착된 제 2 카드(3)의 다수의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가 노출되어 후술하는 제 2 접촉자(4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진다(도 2 참조).
상술한 제 1 및 제 2 카드 안착부(130, 140)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100)에 의하면, 작은 사이즈의 나노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가 먼저, 중앙이 개구진 사각형상의 제 1 카드 안착부(130)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130)에 안착된 제 1 카드(2)의 배면과 제 2 카드 안착부(140)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141)에 상기 나노 심 카드보다 사이즈가 큰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가 안착되어 두 개의 제 1 및 제 2 카드(2, 3)가 동시에 상하로 적층되어 장착될 수 있는 트레이 구조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1 카드 안착부(130)의 카드 오삽입 방지턱(131)과 이에 대응하는 제 1 및 제 경사면(2-1, 3-1)의 형성에 의해 두 개의 제 1 및 제 2 카드(2, 3)가 종횡으로 교차함과 아울러, 하나의 카드 오삽입 방지턱(131)에 의해 상하로 두 개의 카드의 오삽입을 공통적으로 방지하면서 간단히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로 되어 그 장착 구조 형상이 단순화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부주의로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가 오삽입되는 경우, 상기 역삽입 방지턱(15)이 마이크로 심 카드(2)의 삽입을 저지하여 마이크로 심 카드 접촉자(50)와 마이크로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의 접속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못하게 하여 시스템 오류 또는 오동작을 사전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100)에서는 나노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 2 카드 대신(3)에 더미(dummy) 카드를 이용하여 제 2 카드(3)를 대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의 카드 트레이의 결합전 및 결합후의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 "전후"방향이라 함은 제 1 및 제 2 카드(2, 3)가 안착된 카드 트레이(100)가 트레이 삽입구(4)를 통해 삽입 및 취출되는 방향을 지칭하며, "좌우"라 함은 상기 "전후"와는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이고, "상하"라 함은 상기 "전후"와는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조립체(1)는,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가 형성된 베이스(10)와,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의 상면을 덮는 쉘(20)과, 제 1 및 제 2 접촉자(30, 40)와, 상기 베이스(10)의 트레이 삽입구(4)를 통해 삽입되는 카드 트레이(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은 베이스(10)와 쉘(20)에 의해 이루어지는 트레이 삽입 공간(60)으로 제 1 및 제 2 카드(2, 3) 즉, 나노 심 카드 및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가 동시에 상하로 장착된 카드 트레이(100)가 트레이 삽입구(4)를 통해 트레이 삽입 공간(60)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삽입된 카드 트레이(100)는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50)에 의해 푸시(push)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취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나노 심 카드 및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를 각각 제 1 및 제 2 카드로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종류의 심 카드나 에스디 카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조립체(1)는, 나노 심 카드 및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가 함께 장착되는 소형 메모리 카드 트레이를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도록 하여 적용됨이 바람직하나, 그 적용 대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베이스(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이나 기판 등에 설치되거나 그 일부로 형성되며, 전방에 트레이 삽입구(4)가 구비되며,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12)가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10)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체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11)는 전후로 다수 개 배열된 나노 심 카드 접촉자인 제 1 카드 접촉자(30)가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12)는 다수개의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 접촉자인 제 2 카드 접촉자(4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자(30, 40)는 전후로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후방에 위치하는 제 2 접촉자(40)는 제 2 접촉자 장착부(12)와의 결합을 위해 제 1 접촉자(30)보다는 상측에 단차를 두고 높게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접촉자(30, 40)는 베이스(10)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에 오버 몰딩(over molding)에 의해 결합됨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억지끼움 방식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 또는 체결시킬 수도 있다.
한편,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의 삽입 및 취출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10) 후단부에 디텍트 스위치 리드(70)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접촉자(40)들 중 우측으로부터 기설정된 접촉자와 디텍트 스위치 리드(70)와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이용하여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의 삽입 및 취출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의 우측 및 후측에는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50)이 설치되어 카드 트레이(100)를 수동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5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해당 부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쉘(20)은 상기 베이스(10)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의 상면을 덮으며 결합되어 베이스(10)와의 사이 공간인 트레이 삽입 공간(60)을 형성하여 제 1 및 제 2 카드(2, 3)가 함께 상하로 장착된 카드 트레이(100)가 트레이 삽입구(4)를 통해 삽입 및 취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쉘(20)은 그 좌우 양측부와 후측부에서 상기 베이스(10) 및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ㄱ" 자 또는 역(逆) "ㄱ" 자" 끼움부(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된다.
상기한 카드 트레이(100)는 트레이 삽입구(4)를 통해 그 삽입부(110)가 베이스(10)의 트레이 삽입 공간(60)내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카드 트레이(100)의 삽입부(110)가 트레이 삽입 공간(60)내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그 전단 몸체부(120)는 트레이 삽입구(4)를 통해 베이스(10)의 전방으로 노출되어진다.
한편, 상기 카드 트레이(100)의 삽입부(110)가 트레이 삽입 공간(60)내로 완전히 삽입되어 카드 트레이(100)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조립체(1)내에 삽입되어 장착되어지면, 제 1 카드 안착부(130)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안착된 제 1 카드(2)의 다수의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는 제 1 접촉자(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지고, 제 2 카드 안착부(140)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141)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제 2 카드(3)의 다수의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는 제 2 접촉자(4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진다.
상기한 수동 카드 이젝터 수단(50)은 베이스(10)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11, 12)의 일측(도면에서 우측) 측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장형(長型)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부(51); 상기 가이드홈부(51)에 삽입되어 전후로 가이드되는 이젝트 로드(52); 및 상기 이젝트 로드(52)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이젝트 로드(52)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된 힌지핀(80)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된 힌지 레버(5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힌지 레버(53)의 일단은 상기 이젝트 로드(52)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삽입된 카드 트레이(100)의 삽입부(110)의 후측부에 대응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이젝트 로드(52)의 후진시에는 힌지 레버(53)의 일단은 후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힌지 레버(53)의 타단은 상기 힌지핀(80)을 중심으로 전방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에 맞닿은 카드 트레이(100)의 삽입부(110)의 후측부를 전방으로 밀게 되어 카드 트레이(100)가 취출되어 진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의 카드 트레이 취출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쉘(20)을 제외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노 심 카드로서의 제 1 카드(2) 및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로서의 제 2 카드(3)가 동시에 장착된 카드 트레이(100)는 베이스(10)의 트레이 삽입 공간(60) 내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카드 안착부(130)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안착된 제 1 카드(2)의 다수의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는 제 1 접촉자(3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지고, 제 2 카드 안착부(140)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141)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제 2 카드(3)의 다수의 단자(도면 번호 미부여)는 제 2 접촉자(4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어진다.
이때, 수동 카드 이젝터 수단(50)의 이젝트 로드(52)는 초기 위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힌지 레버(53)의 타단은 삽입된 카드 트레이(100)의 삽입부(110)의 후측부와는 접촉이 이루어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동 카드 이젝터 수단(50)의 이젝트 로드(52)를 취출핀 삽입홀(111)을 통해 취출핀(90)을 삽입하여 후방으로 푸시(push)하게 되면, 이젝트 로드(52)는 장형(長型)의 가이드홈부(51)를 따라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고, 이에 연결된 힌지 레버(53)의 일단은 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힌지 레버(53)는 힌지핀(80)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전후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힌지 레버(53)의 타단은 힌지핀(8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카드 트레이(100)의 삽입부(110)의 후측부는 힌지 레버(53)의 타단에 맞닿아 접촉하게 되고 계속적인 전방 가압력에 의해 카드 트레이(100)의 삽입부(110)의 후측부를 전방으로 밀게 되어 카드 트레이(100)가 취출되어 진다.
이때, 힌지 레버(53)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카드 트레이(100)의 취출 후에는 수동 카드 이젝터 수단(50)의 이젝트 로드(52)는 전방으로 가이드되어 원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용 조립체
2: 제 1 카드 3: 제 2 카드
4: 트레이 삽입구
10 : 베이스 11. 12: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
20: 쉘 30: 제 1 접촉자
40: 제 2 접촉자 50: 수동 카드 이젝터 수단
51: 가이드홈부 52: 이젝트 로드
53: 힌지 레버 60: 트레이 삽입 공간
70: 디텍트 스위치 리드 80: 힌지핀
90: 취출핀 100: 카드 트레이
110: 삽입부 111: 취출핀 삽입홀
120: 전단 몸체부 130: 제 1 카드 안착부
131: 카드 오삽입 방지턱 140: 제 2 카드 안착부
141: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 142: 단턱부

Claims (15)

  1. 전방에 트레이 삽입구가 형성되고, 전후로 이격하여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가 형성되는 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 상면을 덮으며, 트레이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쉘;
    상기 베이스의 제 1 접촉자 장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1 접촉자;
    상기 베이스의 제 2 접촉자 장착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카드와 접촉되기 위한 제 2 접촉자; 및
    상기 트레이 삽입구를 통해 상기 트레이 삽입 공간으로 삽입 및 취출되며, 전후로 제 1 및 제 2 카드가 안착되는 제 1 및 제 2 카드 안착부가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카드 트레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는 상기 삽입부의 전방측에 중앙이 개구진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가 안착되며,
    상기 제 2 카드 안착부는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의 상측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에서 상향 단차진 형태로 중앙이 개구진 사각형상의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카드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안착된 상기 제 1 카드의 다수의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제 1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제 2 카드 안착부의 상기 제 2 카드 단자 안착부의 개구진 하측으로는 안착된 상기 제 2 카드의 다수의 단자가 노출되어 상기 제 2 접촉자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 안착부의 일측 코너에는 경사진 카드 오삽입 방지턱이 형성되어 상기 제 1 카드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오삽입 방지턱은,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코너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카드의 일변에 형성된 제 2 경사면에 대해 동일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공통의 오삽입 방지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오삽입 방지턱은, 상기 제 1 카드의 일측 코너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카드의 일변에 형성된 제 2 경사면에 동일 각도로 대응되도록 형성된 공통의 오삽입 방지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트레이는 상기 삽입부의 전방에 일체 형성되는 전단 몸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전단 몸체부는 상기 카드 트레이의 삽입 후에, 상기 트레이 삽입구를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 몸체부의 일측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취출핀 삽입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일측방에는 삽입된 상기 카드 트레이를 수동으로 취출하기 위한 수동 카드 트레이 이젝터 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수동 카드 이젝터 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제 1 및 제 2 접촉자 장착부의 일측방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장형(長型)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홈부;
    상기 가이드홈부에 삽입되어 전후로 가이드되는 이젝트 로드; 및
    상기 이젝트 로드의 후단부에 내측으로 수평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이젝트 로드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 설치된 힌지핀을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된 힌지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레버의 일단은 상기 이젝트 로드의 후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삽입된 상기 카드 트레이의 삽입부의 후측부에 대응되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젝트 로드의 후진시에는 상기 힌지 레버의 일단은 후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힌지 레버의 타단은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전방측으로 회전하게 되어, 이에 맞닿은 카드 트레이의 삽입부의 후측부를 전방으로 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자 장착부는 상기 제 1 접촉자 장착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 2 카드의 삽입 및 취출을 감지하도록 디텍트 스위치 리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드는 나노 심 카드(Micro SIM CARD)이고, 상기 제 2 카드는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Micro SD C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드는 더미(dummy)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KR1020140104342A 2014-08-12 2014-08-12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KR101627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342A KR101627697B1 (ko) 2014-08-12 2014-08-12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342A KR101627697B1 (ko) 2014-08-12 2014-08-12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011A true KR20160020011A (ko) 2016-02-23
KR101627697B1 KR101627697B1 (ko) 2016-06-08

Family

ID=5544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342A KR101627697B1 (ko) 2014-08-12 2014-08-12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9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0120A (zh) * 2014-09-16 2016-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塞子弹出系统、手机及手机塞子弹出方法
CN105870760A (zh) * 2016-04-26 2016-08-17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电子卡卡托的制造工艺
CN106252927A (zh) * 2016-07-22 2016-1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路板、卡托和设备
CN106790798A (zh) * 2016-12-14 2017-05-31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卡托结构及手机
CN107196087A (zh) * 2016-03-15 2017-09-22 宇宙电子株式会社 具有防止端子卡住功能的连接器装置
CN107611706A (zh) * 2016-07-11 2018-01-19 宇宙电子株式会社 能够容纳多个卡的连接器装置
WO2020190006A1 (ko) * 2019-03-19 2020-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장 매체용 트레이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7134788A (zh) * 2023-02-03 2023-11-2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107B1 (ko) 2016-10-07 2017-12-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스위치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킨 커넥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6438A (ja) * 1989-12-04 1991-07-31 Asahi Chem Ind Co Ltd イソブタンおよびメタクロレインの回収方法
JP2002032715A (ja) * 2000-07-18 2002-01-31 Sony Corp 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メモリーカードアダプター装置
KR20120068997A (ko) * 2010-10-13 2012-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듀얼 카드소켓 커넥터
KR101264562B1 (ko) 2011-12-19 2013-05-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트레이 일체형 스마트카드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JP2014056553A (ja) * 2012-09-11 2014-03-27 Smk Corp カード収納用トレイ、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カード収納構造を利用し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438B2 (ja) * 1992-07-02 2001-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トナー用樹脂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76438A (ja) * 1989-12-04 1991-07-31 Asahi Chem Ind Co Ltd イソブタンおよびメタクロレインの回収方法
JP2002032715A (ja) * 2000-07-18 2002-01-31 Sony Corp 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メモリーカード装着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メモリーカードアダプター装置
KR20120068997A (ko) * 2010-10-13 2012-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듀얼 카드소켓 커넥터
KR101264562B1 (ko) 2011-12-19 2013-05-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트레이 일체형 스마트카드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기기
JP2014056553A (ja) * 2012-09-11 2014-03-27 Smk Corp カード収納用トレイ、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カード収納構造を利用した電子機器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0120A (zh) * 2014-09-16 2016-03-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塞子弹出系统、手机及手机塞子弹出方法
CN107196087A (zh) * 2016-03-15 2017-09-22 宇宙电子株式会社 具有防止端子卡住功能的连接器装置
CN105870760A (zh) * 2016-04-26 2016-08-17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电子卡卡托的制造工艺
CN107611706A (zh) * 2016-07-11 2018-01-19 宇宙电子株式会社 能够容纳多个卡的连接器装置
CN107611706B (zh) * 2016-07-11 2019-09-27 宇宙电子株式会社 能够容纳多个卡的连接器装置
CN106252927A (zh) * 2016-07-22 2016-12-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路板、卡托和设备
CN106252927B (zh) * 2016-07-22 2019-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路板、卡托和设备
CN106790798A (zh) * 2016-12-14 2017-05-31 奇酷互联网络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卡托结构及手机
WO2020190006A1 (ko) * 2019-03-19 2020-09-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저장 매체용 트레이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14459B2 (en) 2019-03-19 2023-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medium tray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CN117134788A (zh) * 2023-02-03 2023-11-28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697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697B1 (ko)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듀얼 메모리 카드 트레이
JP6395557B2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セット
CN103124014B (zh) 双存储卡类型插座
US9859653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JP6456777B2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セット
TWI663794B (zh) Card connector
JP5893915B2 (ja) カード用トレイ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TWI601335B (zh) Card connector and combinations
JP6442258B2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6457885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US9761971B2 (en) Card holding member and card connector, which prevents short-circuits, prevents damage and wear, enables easier handling, and improves reliability
JP573868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CN100544129C (zh) 芯片卡固持结构
US9124042B2 (en) Holder connected to an operation member via an elastic member
US7578703B2 (en) Card connector
JP6339488B2 (ja)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JP5824357B2 (ja) コネクタ
KR102042082B1 (ko) 적층형 트레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CN104600490B (zh) 具有固定装置的移动终端
KR101574726B1 (ko) 수동 카드 이젝터를 구비한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US7614891B2 (en) Card connector
KR101489495B1 (ko)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JP6295165B2 (ja) 端子ユニット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468956B1 (ko) 카드 자동 취출 기능을 갖는 듀얼 카드형 소켓
KR20170027585A (ko) 메모리 카드 트레이용 커넥터 조립체 및 이에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