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432A - 현악기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현악기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432A
KR20160019432A KR1020157034933A KR20157034933A KR20160019432A KR 20160019432 A KR20160019432 A KR 20160019432A KR 1020157034933 A KR1020157034933 A KR 1020157034933A KR 20157034933 A KR20157034933 A KR 20157034933A KR 20160019432 A KR20160019432 A KR 20160019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ase member
string
point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지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고바야시 쇼지
고지 고바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바야시 쇼지, 고지 고바야시 filed Critical 고바야시 쇼지
Publication of KR2016001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00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1/16Stringed musical instruments other than pianofort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4Brid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F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10F5/00Details or accessories
    • G10F5/02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43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iezoelectric or magneto-strictive transduc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46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membrane, e.g. a drum; Pick-up means for vibrating surfaces, e.g. housing of an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2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electro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4Structural combinations of separate transducers or of two parts of the same transducer and responsive respectively to two or more frequency rang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Abstract

[과제] 현악기(1)를 스피커로서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현악기의 가진 장치(20)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진동 발생기(50)가 장착된 베이스 부재(22)를, 진동 전달 부재(26)의 작용점부(24)를 거쳐서 현악기(1)의 브릿지(13)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해, 베이스 부재(22)에는, 현악기(1)의 현(9)의 상면에 접촉하는 지점 부재(30)와, 현(9)의 하면에 접촉하는 역점 부재(38)가 마련된다. 진동 전달 부재(26)를 브릿지(13)를 향하여 부세하기 위해서, 캠 기구(40)를 이용하여, 역점 부재(38)를 현(9)의 하면에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현악기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VIBRATING A STRINGED INSTRUMENT}
본 발명은 현악기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현악기를 스피커로서 이용 가능하게 하는 용도에 적합한 현악기의 가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기를 자동 연주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오르골은 그 고전적인 것이며, 최근 전자적으로 기록된 악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자동 연주하는 형식의 자동 피아노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현악기를 자동 연주하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로봇과 같이 복잡한 기구가 필요하며, 용이하게 실용화할 수 없는 것이 현 상태이다.
한편, 현악기를 시즈닝(seasoning), 에이징(aging)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현악기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하지 않으면 소기의 음색을 낼 수 없게 된다고 고려되고, 현악기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빈도로 현악기를 연주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으며, 이것이 시즈닝이라 불리고 있다. 제조한지 얼마안된 현악기라도, 역시 소기의 음색을 내지 못할 수 있고, 혹은 시간에 걸쳐서 현악기를 연주하여, 충분한 에이징이 된 후에, 현악기를 구입하는 사람에게 인도하는 것이 실행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시즈닝, 에이징이 번잡하므로, 현악기의 현을 특별한 동력 가진기에 의해 진동시켜, 시즈닝, 에이징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바이올린의 브릿지(bridge)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브릿지 크래들(cradle)을 거쳐서 진동 발생기를 바이올린에 장착하고 그것에 의해 바이올린을 가진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진동 발생기를, 기타의 몸통판과 현 사이에 끼우는 것에 의해 기타를 가진하기 위한 구성도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진동 발생기와 악기 사이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에, 저파워의 가진이 가능하지만, 현악기를 스피커로서 이용할 수 있는 고파워의 가진을 실행한 경우에는, 진동 발생기가 비비리 진동을 일으키는 것에 의해, 양호한 명동(鳴動)을 기대할 수 없고, 게다가 사용 중에 진동 발생기가 탈락할 우려까지 있다.
그래서, 현악기 자체를 가공하는 것에 의해, 진동 발생기를 현악기에 강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그 때문에 현악기가 본래의 악기로서의 상태가 손상되기 때문에, 소기의 음색을 낼 수 없게 되거나, 외관이 손상되기 때문에, 악기로서의 가치가 없어지게 된다.
특허문헌 2에서는, 바이올린 자체를 가공함으로써, 바이올린을 스피커로서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지만, 바이올린의 몸통의 내부에 가진기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바이올린의 제조 시에 실행할 필요가 있으며, 사실상 통상의 바이올린으로서 취급할 수 없다. 또한, 기존의 바이올린을 개조하여, 가진기를 조립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고가의 바이올린에 이러한 개조를 실행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받어들여지지 않는다.
일본 특허 공표 특허 공보 제 2009-505137 호 일본 특허 공표 특허 공보 제 2011-35851 호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현악기를 스피커로서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현악기의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현악기를 스피커로서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현악기에 대폭적인 혹은 영구적인 가공을 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현악기에 강고하게 장착할 수 있는 현악기의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는, 브릿지(13)를 구비한 현악기(1)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20, 100)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13)에 접촉해야 하는 작용점부(作用点部)(24, 156)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22, 102)와, 상기 베이스 부재(22, 102)에 장착되고, 전기 신호를 기계 진동으로 변환하는 진동 발생기(50, 14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22, 102)가, 상기 현악기(1) 중 적어도 1개의 현(9)의 상면에 결합하는 지점부(30, 120)와, 상기 작용점부(24, 156)와 상기 지점부(30, 120)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현(9)의 하면에 결합하는 역점부(力点部)(38, 130)와, 상기 지점부(30, 120) 및 상기 역점부(38, 130)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작용점부(24, 156)를 상기 브릿지(13)를 향하여 부세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40, 13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해, 가진 장치(20, 100)는, 지점부(30, 120) 및 역점부(38, 130)에 있어서 현(9)에 결합하고, 작용점부(24, 156)에 있어서 브릿지(13)에 결합하게 되며, 현악기(1)의 몸통판 등의 파손되기 쉬운 부분을 피하여, 고강도의 부분에만 결합하게 되고, 작용점부(24, 156)를 브릿지(13)에 대하여 충분히 강한 힘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져, 현악기를 대음량 또한 고음질로 명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브릿지(13)란, 현(9)의 단말을 규정하는, 몸통판 등에 고착된 부재를 가리킨다. 브릿지(13)는, 굄목(駒)이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으며, 악기에 따라서는 그 호칭이 상위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특허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에 있어서는, "브릿지(bridge)"라는 용어는, 현의 유효한 단말을 규정하기 위한 부재를 폭넓게 의미하는 것으로 합목적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작용점부(24, 156), 상기 역점부(38, 130) 및 상기 지점부(30, 120)가 상기 현(9)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통상은, 상기 진동 발생기(50, 140) 및 상기 작용점부(24, 156)가 상기 베이스 부재(22, 102)의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지점부(30, 120)가 상기 베이스 부재(22, 102)의 타단에 마련된다. 상기 역점부(38, 130)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캠 기구가 상기 베이스 부재(22, 102)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작용점부(24, 156)를 브릿지(13)에 대하여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작용점부(24, 156)는, 오직 1개의 돌기부 혹은 예를 들면 중심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마련된 2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대상이 되는 악기의 브릿지(13)의 형상에 따라서, 가진 장치(20, 100)를 악기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역점부(38, 130)가, 상기 작용점부(24, 156) 및 상기 지점부(30, 120)의 양 중심부를 연결하는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현(9)에 결합하는 봉 부재 혹은 후크 형상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봉 부재는 악기에 대하여 근접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좋다. 한편, 상기 지점부(30, 120)가, 상기 작용점부(24, 156) 및 상기 지점부(30, 120)의 양 중심부를 연결하는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현(9)에 결합하는 봉 부재를 이루는 것이면 좋다.
상기 베이스 부재(22)가, 또한 상기 브릿지(13)에 대하여, 상기 지점부(30)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현(9)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부딪쳐야 할 상기 작용점부(24)의 근방에 마련된 위치결정부(28)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면, 가진 장치(20)를 현(9)을 따라서 미끄럼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가진 장치(20)의 축선방향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넓은 음역에 걸친 음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작용점부(24) 및 상기 지점부(30)의 양 중심부를 연결하는 축선의 양측에 배치된 고음용 진동 발생기 및 저음용 진동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진동 발생기(50A, 50B)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좋다.
그러한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22)가 2갈래로 분기된 부분(22A, 22B)을 포함하며, 해당 양 분기 부분(22A, 22B)에, 각각 전기 고음용 진동 발생기(50A) 및 상기 저음용 진동 발생기(50B)가 배치되며, 또한 양 분기 부분(22A, 22B)의 각각에 상기 작용점부(2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진동 발생기(140)의 진동 전달 부재(152)와 상기 베이스 부재(102)의 사이에, 상기 진동 전달 부재(152)와 상기 베이스 부재(102)를 진동 절연하는 제 1 진동 절연 부재(108)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 진동 전달 부재(152)는, 제 1 진동 절연 부재(108)에 의해서 진동 절연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02)에 장착되어 있는 것에 의해, 진동 전달 부재(152)의 기계 진동이 베이스 부재(102)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진동 전달 부재(152)의 기계 진동이 베이스 부재(102)를 경유하여 지점부(120), 역점부(130)에 의해서 현(9)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며, 울림통(5)의 명동에 있어서, 고음질의 음, 특히, 고음역에서 노이즈 성분이 없는 맑은 음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102)와 상기 지점부(120)의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102)와 상기 지점부(120)를 진동 절연하는 제 2 진동 절연 부재(116)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102)와 상기 역점부(130)의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102)와 상기 역점부(130)를 진동 절연하는 제 3 진동 절연 부재(126)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진동 전달 부재(152)의 기계 진동이 베이스 부재(102)를 경유하여 지점부(120) 및 제 2 접촉 부재(130)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울림통(5)의 명동에 있어서 더욱 고음질의 음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현악기에 대하여 영구적인 가공을 실행하는 일 없이, 현악기를 대음량 또한 고음질로 명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현악기를 스피커로서 호적하게 이용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한 현악기의 가진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기타에 적용된 본 발명에 근거하는 현악기의 가진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배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측면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단부면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진동 발생기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진동 발생기에 이용되고 있는 스프링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작동의 요령을 도시하는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근거하는 현악기의 가진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4와 동일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근거하는 현악기의 가진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12는 기타에 적용된 본 발명에 근거하는 현악기의 가진 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악기의 축선방향의 방향을, 그 방향을 따라서 몸통측 및 헤드측이라 부르는 것에 의해 특정해야 한다. 또한, 악기 표면의 몸통판에 대하여, 그것을 향하는 방향을 하측 혹은 배측, 그것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측 혹은 표측이라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브릿지란, 현의 단말을 규정하는, 몸통판 등에 고착된 부재를 가리킨다. 브릿지는, 새들이나 굄목이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으며, 악기에 따라서는 그 호칭이 상위한 경우가 있다. 그래서, 특허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기재에 있어서는, "브릿지"라는 용어는, 현의 유효한 단말을 규정하기 위한 부재를 널리 의미하는 것으로 합목적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근거하는 현악기의 가진 장치(20)가 장착된 기타(1)는 표판(表板)(몸통판)(3)과 미도시의 이판 및 측판에 의해서 구성된 울림통(5)을 갖는다. 표판(3)에는 향공(響穴)(사운드 홀)(7)이 형성되어 있다. 기타(1)는 6개의 현(9)을 갖고 있다.
표판(3)에는 판형상의 브릿지 베이스 부재(11)가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브릿지 베이스 부재(11) 상에는 현(9)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릿지(새들)(13)가 장착되어 있다.
각 현(9)은, 브릿지(13)의 상부를 통과하여 일단부가 브릿지 베이스 부재(11)에 장착된 브릿지 핀(15)에 고정되어 있다. 현(9)은, 타단부를 미도시의 헤드측에 마련되어 있는 장력 조정 기구에 의해서 장력이 부여되는 것에 의해, 브릿지(13)의 상면으로 가압되고, 브릿지(13)에 의해서 유효한 단말 위치가 규정된다.
다음에,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가진 장치(20)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가진 장치(20)는, 현(9)의 연장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의 판형상을 이루는 베이스 부재(22)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22)의 기타(1)측을 향하는 하면의 한쪽 길이방향 단부의 중앙부에는 돌기부를 이루는 작용점부(24)를 구비한 진동 전달 부재(26)가 장착 또는 형성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6)에는 작용점부(24)로부터 다른쪽 길이방향 단부를 향하여 약간 어긋난 위치에 위치결정 돌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돌출부(28)는 작용점부(24)보다 약간 큰 돌출 높이를 갖는다. 위치결정 돌출부(28)와는 반대측의 가장자리부는 장착시의 가이드 경사면(24A)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2)의 기타(1)측을 향하는 하면의 다른쪽 길이방향 단부에는 현(9)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의 지점 부재(30)가 장착 또는 형성되어 있다. 지점 부재(30)의 하면에는 베이스 부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다수의 홈(30A)이 형성되어 있다. 홈(30A)은 사용시에 지점 부재(30)와 현(9) 사이의 미끄러짐을 회피한다. 지점 부재(30)의 좌우 중앙부에는 돌기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32)는, 가진 장치(20)를 기타(1)에 장착할 때에 중앙의 2개의 현(9)의 사이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가진 장치(20)를 현(9)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장착할 때의 가이드부를 이룬다.
베이스 부재(22)의 길이방향의 중간 위치의 중앙에는 베이스 부재(22)를 판두께 방향(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34)에는 지지 부재(36)가 회전 가능하게 또한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지지 부재(36)의 하단부는 베이스 부재(22)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해당 돌출 단부에 역점 부재(38)가 장착되어 있다. 역점 부재(38)는, 진동 전달 부재(26)(작용점부(24))와 지점 부재(30)의 사이에 있어서 현(9)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을 이루고 있다. 역점 부재(38)의 상면에는, 지점 부재(30)의 하면과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재(2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다수의 축선방향 홈(38A)(도 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22) 상에는 레버 캠(40)이 배치되어 있다. 레버 캠(40)은, 후술하는 피봇 지지 핀(42)이 배치된 모서리부로부터 서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40A)와 캠부(40B)를 갖는 L자형을 하고 있다. 캠부(40B)에는, 그 자유단으로부터 모서리부를 관통할 때까지 연장되는 슬롯(40C)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40C)에는 지지 부재(36)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피봇 지지 핀(42)이 슬롯(40C)을 가로질러 레버 캠(40)의 모서리부 및 지지 부재(36)의 상단부에 관통 삽입되는 것에 의해, 레버 캠(40)이 지지 부재(36)에 대하여 피봇 지지 핀(4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 부재(36)보다 지점 부재(30)의 측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베이스 부재(22)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확두(擴頭) 핀(44)이 마련되어 있다. 레버 캠(40)의 피봇 지지 핀(19)을 중심으로 한 회동은, 확두 핀(44)이 슬롯(40C)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서 허용되며, 확두 핀(44)의 확두부(44A)가 아암부(40A) 혹은 캠부(40B)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회동 가능 범위가 규정된다.
이러한 지지 구조에 있어서, 역점 부재(38)는,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레버 캠(40)의 아암부(40A)가 옆으로 쓰러진 회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캠부(40B)가 기립하는 것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승 위치에 위치하고, 아암부(40A)가 기립한 회동 위치에 있는 상태(도 8의 (A) 참조)에서는, 캠부(40B)가 횡전(橫轉)하는 것에 의해, 눌려진 강하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부(40B)의 자유단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캠부(40B)의 작동에 적절한 범위 내에서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베이스 부재(22)의 기타(1)로부터 이격되는 측의 상면의 한쪽 길이방향 단부에는, 진동 발생기(50)가 장착되어 있다. 진동 발생기(50)는,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주형의 영구 자석(52)과, 영구 자석(52)의 한쪽 축선방향 단부에 결합된 부분으로부터, 그 다른쪽 축선방향 단부의 외주에 대하여 자기 갭(54)을 형성하여 대치하는 부분에 도달하는 요크 부재(56)와, 스프링 부재(58)에 의해서 자기 갭(54) 내에 위치하도록 요크 부재(56)에 지지된 보이스 코일(60)을 포함한다. 보이스 코일(60)에는, 출력단으로서의 수지제의 디스크(62)가 고정되어 있다. 실제로는, 요크 부재(56)의 외주는 적절히 케이스 부재에 의해 덮이지만, 도시 생략했다.
스프링 부재(58)는, 도 7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평탄한 판 스프링을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낸 것이며, 중심의 디스크(62)에 고정되는 내측 원환 부분(58A)과, 내측 원환 부분(58A)과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요크 부재(56)측에 고정되는 외측 원환 부분(58B)과, 양쪽 원환 부분(58A, 58B) 사이에서 동심원상에 배치된 2개의 중간 원환 부분(58C)과, 순차적으로 90도의 각도 차이를 갖고서 직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인접하는 원환 부분(55A, 58B, 58C)끼리를 서로 결합하는 복수 개의 브릿지부(58D)를 일체로 갖는다.
진동 발생기(50)는, 보이스 코일(60)에 음향 신호에 대응하는 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보이스 코일(60)에 의해서 디스크(62)가 진동한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6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된 대상,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전달 부재(26)를 가진할 수 있다.
다음에, 가진 장치(20)의 사용 요령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캠(40)의 아암부(40A)를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지지 부재(36)를 베이스 부재(22)보다 하방으로 최대한 돌출된 상태로 한다. 다음에, 베이스 부재(22)를 현(9)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절히 회동시키는 것 등을 하여, 봉형상의 역점 부재(38)를 중앙의 인접하는 현(9)의 사이의 공극으로부터 현(9)의 하측의 위치에 삽입한다. 다음에, 진동 전달 부재(26)를 현(9)의 상면을 따라서, 브릿지(13)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면, 위치결정 돌출부(28)가 브릿지(13)에 부딪친다. 그 때, 진동 전달 부재(26)가 현(9)에 의해 양호하게 가이드되며, 진동 전달 부재(26)의 작용점부(24)가 브릿지(13)에 도달할 때, 작용점부(24)의 후연에 마련된 가이드 경사면(24A)을 따라서 작용점부(24)가 원활하게 브릿지(13)에 올라탈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용점부(24)가 브릿지(13)의 상면에 올바르게 접촉하도록 위치결정 돌출부(28)와 작용점부(24)의 상대 위치가 정해져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레버 캠(40)의 아암부(40A)를 누르면, 레버 캠(40)의 캠부(40B)와 베이스 부재(22)의 대응 부분 사이의 캠 작용에 의해, 지지 부재(36)와 함께 역점 부재(38)가 상승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역점 부재(38)가 현(9)의 하면에 가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지점 부재(30)와 현(9)의 접촉점을 지점, 역점 부재(38)와 현(9)의 접촉점을 역점, 작용점부(24)와 현(9)의 접촉점을 작용점으로 하여, 베이스 부재(22)가 제 3 종의 지렛대를 이루고, 지점 부재(30)가 브릿지(13)의 상면에 가압되게 된다. 이 때, 현(9)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역점 부재(38)가 강하게 현(9)의 하면에 가압되는 것으로 하면, 지점 부재(30)를 거쳐서 진동 전달 부재(26)의 작용점부(24)가 브릿지(13)에 대하여 강하게 가압되게 된다.
이러한 가압력은, 레버 캠(40)의 치수 혹은 형상을 적절히 정하는 것에 의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진 장치(20)가 장착된 악기의 현의 강도의 강약에 의해서도 이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지점 부재(30) 및 역점 부재(38)에 마련된 홈(30A, 38A)은, 각각, 지점 부재(30) 혹은 역점 부재(38)에 대하여 현(9)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가진 장치(20)를 현악기 상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에 기여한다. 지점 부재(30) 혹은 역점 부재(38)에 마련된 홈(30A, 38A)을 대신하여 혹은 그것에 부가하여, 지점 부재(30) 혹은 역점 부재(38)의 표면에 고무상 재료의 층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동일 부분과 현(9) 사이의 마찰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때, 진동 전달 부재(26)의 중앙에 마련된 오직 1개의 작용점부(24)가 브릿지(13)에 의해 지지되고, 역점 부재(38)가 복수의 현(9)에 의해 지지되게 되며, 가진 장치(20)는 지점 부재(30)를 부가하여 합계 3점에서 기타(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진 장치(20)의 장착을 위해서 기타(1)에 개량을 가하는 일 없이, 가진 장치(20)가 진동에 대하여 강한 장착 강도를 갖고서 기타(1)에 장착되게 된다. 또한, 가진 장치(20)는, 지점 부재(30) 및 역점 부재(38)에 있어서 현(9)에 결합하고, 작용점부(24)에 있어서 브릿지(13)에 결합하므로, 기타(1)의 몸통판 등의 파손하기 쉬운 부분을 피하여 고강도의 부분에만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동 발생기(50)를 구동하면, 발생한 가진력이 브릿지(13)를 거쳐서 표판(3)에 전달되고, 표판(3)의 진동 및/또는 울림통(5) 내의 공기 진동을 거쳐서, 진동 발생기(23)로부터 입력된 가진 에너지를 높은 효율을 갖고서 음향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가진 장치(20)에 가해지는 신호는, 통상의 CD, 방송 등에서 얻어지는 음원 혹은 마이크로폰에 의해 라이브 연주로부터 얻어지는 음원이어도 좋다. 또한, 현악기의 바디, 브릿지 등의 현악기 본체에 진동 픽업을 장착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음원을 이용하면, 현악기로부터 나온 음을 충실히 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동일 종류의 악기 및/또는 복수 종류의 악기에 가진 장치(20)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중후한 음색을 발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자가 실행한 실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장치를 기타에 장착한 경우, 기타에 의한 음곡(音曲)뿐만이 아니라, 기타와 동일한 음색 및/또는 음역의 악기에 의한 음곡을 특히 호적하게 재생할 수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한편, 비교적 소형의 악기에 본 발명의 장치를 장착한 경우에도, 동일한 정도의 크기의 박스를 구비한 스피커에도 증가된 음역폭 또한 대음량의 명동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9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전달 부재(26)에는, 브릿지(13)에 접촉해야 할 작용점부(24)로서의 돌출부가 2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진동 전달 부재(26)에 마련된 2개의 작용점부(24)가 브릿지(13)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작용점부(24)가 2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역점 부재(38)가 중앙의 어느 1개의 현(9)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해도, 가진 장치(20)는 기타(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 부재(22)의 한쪽 길이방향 단부가 2개의 분기부(22A, 22B)로 분기되어 있으며, 분기부(22A와 22B)에 진동 발생기(50A와 50B)가 장착되어 있다. 진동 발생기(50A)는 고음역용의 진동 발생기이며, 진동 발생기(50B)는 저음역용의 진동 발생기이다. 양쪽 진동 발생기(50A, 50B)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이루어지며, 고음역용의 진동 발생기(50A)의 스프링 부재(58)는 저음역용의 진동 발생기(50B)의 것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부재(22)의 양쪽 진동 발생기(50A, 50B)에 대응하는 위치의 이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 전달 부재(26)가 장착되어 있으며, 진동 전달 부재(26)에는, 해당 진동 전달 부재(26)가 양쪽 진동 발생기(50A, 50B)의 각각의 대략 중심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브릿지(13)에 접촉해야 할 작용점부(24)로서의 돌출부가 1개씩 마련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26)의 중앙 부분이 고무상의 변형 용이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양쪽 분기부(22A, 22B)가, 특히 현악기에 대하여 근접 이격되는 방향으로 비교적 저항을 받는 일 없이, 서로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넓은 음역에 걸쳐서 현악기를 가진할 수 있어, 합주곡 등과 같은 음역이 넓은 악곡을 호적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진동 전달 부재(26)가 양쪽 분기부(22A와 22B)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지만, 진동 전달 부재(26)를 각각의 분기부(22A, 22B)마다 서로 분리하여 마련하고, 각각의 진동 전달 부재(26)에 개별의 작용점부(24)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위치결정 돌출부(28)에 대해서는, 각각의 진동 전달 부재(26)에 개별적으로 마련해도, 오직 1개의 위치결정 돌출부(28)를 양쪽 진동 전달 부재(26) 중 어느 하나에 마련하거나, 예를 들어 베이스 부재(22) 등, 진동 전달 부재(26) 이외의 부분에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의 가진 장치(100)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이용된 기타(1)와 동등한 기타(1)에 장착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진 장치(100)는 현(9)의 연장방향으로 긴 판형상을 이루는 알루미늄제의 베이스 부재(102)를 갖는다. 베이스 부재(102)의 한쪽 길이방향 단부에는 원형의 개구(104)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개구(104)에는 진동 발생기(140)가 배치되어 있다. 진동 발생기(140)는, 원주형의 영구 자석(142)과, 영구 자석(142)의 상단부(한쪽 자극부)와 자기적으로 연결된 자성 재료제의 상단 폐쇄의 원통형상의 요크 부재(144)와, 지지 부재(146)와 스프링 부재(148)에 의해서 요크 부재(144)에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 비자성 재료제의 원통형상의 보빈(150) 및 원반 판형상의 진동 전달 부재(152)와, 보빈(150)의 외주에 권취된 보이스 코일(무빙 코일)(154)을 갖는다.
진동 전달 부재(152)의 중심부에는, 선단이 작용점부(156)를 이루도록 진동 전달 부재(152)의 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158)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148)는 전술한 실시형태의 스프링 부재(58)와 동등한 것이어도 좋다.
베이스 부재(102)는, 개구(104)의 축선방향(상하방향)의 중간부에, 개구(104)의 내주면보다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원환상의 플랜지부(106)를 갖는다. 플랜지부(106)의 하면에는 진동 절연 시트(제 1 진동 절연 부재)(108)가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진동 전달 부재(152)는, 외주측을 진동 절연 시트(108)에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접합되고, 또한 중심측을 접착제 등에 의해서 진동 전달 부재(152)의 평평한 저부 하면에 접합되며, 지지판(110)에 의해서 베이스 부재(10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환언하면, 베이스 부재(102)는, 진동 절연 시트(108)를 거쳐서 지지판(110)에 의해, 진동 전달 부재(152)를 지지하고 있다.
진동 절연 시트(108)는, 스펀지나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등에 의한 쿠션재에 의해 구성되며, 탄성 변형하는 것에 의해 진동 전달 부재(152)의 기계 진동이 베이스 부재(102)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하는 진동 절연 부재로서 작용한다.
지지판(110)은, 슬릿(110A)이 관통 형성되어 스프링성을 갖는 금속판이나 플라스틱판에 의해서 구성되며, 진동 발생기(140)의 전체를 스프링성을 갖고서 베이스 부재(102)에 장착하고 있다.
진동 발생기(140)는 보이스 코일(154)에 전기 신호(전류)가 공급되는 것에 의해, 보이스 코일(154)과 영구 자석(142) 및 요크 부재(144)의 자기 작용에 의해서 요크 부재(144)측을 반력 부재로 하여, 진동 전달 부재(152)가 스프링 부재(148)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상하방향으로 변위, 즉 기계 진동한다.
지지판(110) 및 진동 전달 부재(152)의 저부에는, 상술한 기계 진동에 대하여, 보빈(150)의 내측 공간의 공기가 압축되는 것에 의한 유체 저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빈(150)의 내측 공간을 외측에 개방하는 공기 배출 개구(110B, 152A)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10)의 슬릿(110A)은 개구(104) 내의 공간을 외측으로 개방하는 공기 배출 개구로서도 기능한다.
개구(104)의 상측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요크 부재(144)와 간섭하는 일 없이 개구(104)의 상측 개구를 막는 보호 링 부재(112)가 장착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02)의 다른쪽 길이방향 단부의 중앙에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지지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114)에는 방진 슬리브(제 2 진동 절연 부재)(116)를 거쳐서 지지봉(118)이 끼워 삽입되어 있다. 지지봉(118)의 하단은 베이스 부재(22)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해당 돌출 단부에 현(9)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의 지점 부재(120)가 장착되어 있다.
방진 슬리브(116)는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등에 의한 고무상 탄성을 갖는 방진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점 부재(120)의 하면에는 고무판(122)이 접착제 등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다. 고무판(122)은, 사용 시에 지점 부재(120)와 현(9) 사이의 미끄러짐을 회피하는 동시에, 지점 부재(120)와 현(9) 사이의 진동 절연을 실행한다.
베이스 부재(102)의 길이방향의 중간 위치의 중앙에는 베이스 부재(102)를 판 두께 방향(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 구멍(124)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구멍(124)에는 방진 슬리브(제 3 진동 절연 부재)(126)를 거쳐서 지지축(128)이 회전 가능하며 또한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지지축(128)의 하단부는 베이스 부재(102)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해당 돌출 단부에 역점 부재(130)가 장착되어 있다. 역점 부재(130)는, 진동 전달 부재(152)(작용점부(156))와 지점 부재(120) 사이에 있어서 현(9)의 연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봉형상을 이루고 있다.
방진 슬리브(126)는 에테르계 폴리우레탄 등에 의한 고무상 탄성을 갖는 방진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102) 상에는 레버 캠(132)이 배치되어 있다. 레버 캠(132)은, 후술하는 피봇 지지 핀(134)이 배치된 모서리부로부터 서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부(132A)와 캠부(132B)를 가진 L자형을 하고 있다. 캠부(132B)에는 슬롯(132C)이 형성되어 있다. 슬롯(132C)에는 지지축(128)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피봇 지지 핀(134)이 슬롯(132C)을 가로질러 레버 캠(132)의 모서리부 및 지지축(128)의 상단부에 관통 삽입되는 것에 의해, 레버 캠(132)이 지지축(128)에 대하여 피봇 지지 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역점 부재(130)는, 도 13에 실선에 의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캠(132)의 아암부(132A)가 옆으로 쓰러진 회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캠부(132B)가 기립하는 것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승 위치에 위치하며, 도 13에 가상선에 의해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아암부(132A)가 기립한 회동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캠부(132B)가 횡전하는 것에 의해, 눌려진 강하 위치에 위치한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에 의한 가진 장치(20)의 사용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가상선에 의해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레버 캠(132)의 아암부(132A)를 들어올림으로써, 캠부(132B)를 횡전시켜 지지축(128)을 베이스 부재(102)보다 하방으로 강하한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역점 부재(130)는 강하 위치에 위치한다. 다음에, 역점 부재(130)를 현(9)의 연장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적절히 회동시키는 것 등을 하여, 봉형상의 역점 부재(130)를 중앙의 인접하는 현(9)의 사이의 공극으로부터 현(9)의 하측의 위치에 삽입한다. 그 후, 역점 부재(130)가 현(9)의 직교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고, 지점 부재(120)의 고무판(122)을 현(9) 상에 탑재하는 동시에, 작용점부(156)를 브릿지(13) 상의 현(9) 상 혹은 브릿지(13)의 상부에 탑재한다.
다음에, 도 13에 실선에 의해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레버 캠(132)을 넘어뜨리는 것에 의해, 아암부(132A)를 기립시켜 지지축(128)을 상승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역점 부재(130)가 상승 위치에 위치하고, 역점 부재(130)에 의해서 현(9)이 작용점부(156)와의 접촉부와 지점 부재(120)와의 접촉부 사이에 있어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현(9)의 들어올림에 의해서, 지점 부재(120)와 현(9)의 접촉점을 지점, 역점 부재(130)와 현(9)의 접촉점을 역점, 역점 부재(130)와 현(9)의 접촉점을 작용점으로 하여 베이스 부재(22)가 제 3 종의 지렛대를 이루고, 지점 부재(120)가 현(9)의 상면에 가압되는 동시에 역점 부재(130)가 현(9)의 하면에 가압되는 것에 의해, 가진 장치(100)가 현(9)에 현가된 상태에서, 작용점을 이루는 진동 전달 부재(152)의 돌기부(158)의 선단, 즉 작용점부(156)가 브릿지(13)에 대하여 가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가진 장치(100)의 장착을 위해서 기타(1)에 개량을 가하는 일 없이, 가진 장치(100)가 진동에 대하여 강한 장착 강도를 갖고서 기타(1)에 장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진 장치(100)는, 지점 부재(120) 및 역점 부재(130)에 있어서 현(9)에 결합하고, 작용점부(156)에 있어서 브릿지(13)에 대하여 접촉하게 되며, 기타(1)의 몸통판 등의 파손되기 쉬운 부분을 피하여, 고강도의 부분에만 결합하게 되며, 게다가 작용점부(156)를 브릿지(13)에 대하여 충분히 강한 힘으로 가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진동 발생기(140)의 보이스 코일(154)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고, 진동 전달 부재(152)를 기계 진동시키면, 진동 전달 부재(152)의 기계 진동이 돌기부(158)에 의해서 브릿지(13)에 전달되며, 표판(3) 등의 몸통판이 진동하여, 울림통(5)이 스피커 박스로서 작용한다. 가진 장치(100)는, 진동에 대하여 강한 장착 강도를 갖고서 기타(1)에 장착되므로, 가진 장치(100)가 기타(1)에 대하여 비비리 진동을 일으키는 것 등을 하여 양호한 명동을 기대할 수 없게 되거나 사용 중에 가진 장치(100)가 기타(1)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없어진다.
게다가, 작용점부(156)가 브릿지(13)에 대하여 충분히 강한 힘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진동 전달 부재(152)보다 기계 진동을 브릿지(13)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기타(1)를 대음량 또한 고음질로 명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진동 전달 부재(152)는, 진동 절연 시트(108)에 의해서 진동 절연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102)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진동 전달 부재(152)의 기계 진동이 베이스 부재(102)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진동 전달 부재(152)의 기계 진동이 베이스 부재(102)를 경유하여 지점 부재(120) 혹은 역점 부재(130)에 의해서 현(9)이 가진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 현(9)의 진동에 의한 울림통(5)의 명동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되고, 울림통(5)은 가진 장치(100)에 의한 브릿지(13)의 가진에 의해서만 명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울림통(5)의 명동에 있어서, 고음질의 음, 특히, 고음역에 있어서 노이즈 성분이 없는 맑은 음이 얻어진다.
진동 전달 부재(125)의 기계 진동이 베이스 부재(102)에 전달되었다고 해도, 지점 부재(120) 및 역점 부재(130)와 베이스 부재(102)의 사이에 방진 슬리브(116, 126)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의해, 베이스 부재(102)의 기계 진동이 지점 부재(120) 및 역점 부재(130)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진동 전달 부재(152)의 기계 진동이 베이스 부재(102)를 경유하여 지점 부재(120) 혹은 역점 부재(130)에 의해서 현(9)이 가진되는 것이 억제되어, 가진 장치(100)에 의한 울림통(5)의 명동에 있어서 더욱 고음질의 음이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미적인 외관을 구비한 기타 그 자체로부터 음을 낼 수 있으므로,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매력적인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그 호적한 실시형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전달 부재(26)의 작용점부(24)를 브릿지(13)를 향하여 부세하기 위해서, 캠 기구를 이용하여, 역점 부재(38)를 현(9)의 하면에 가압할 수 있도록 했지만, 역점 부재(38)를 베이스 부재(22)에 고정하고, 캠 기구 등을 이용하여, 지점 부재(30)를 현(9)의 하면에 가압할 수 있도록 해도, 마찬가지로 작용점부를 브릿지를 향하여 부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진동 발생기(50, 140)로서, 무빙 코일형 진동 발생기가 이용되고 있지만, 진동 발생기(50, 140)는 가동 철편형이나 피에조형 등 다른 형식의 것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진동 발생기(50, 140)의 스프링 부재(58, 148)는 벨로우즈 형식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악기는, 기타 혹은 바이올린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 및 브릿지에 상당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모든 악기에 적용 가능하며, 또한 본 발명을 현악기의 시즈닝이나 에이징에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구성요소는 반드시 전체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서 적절히 취사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의 파리 조약에 근거하는 우선권의 기초가 되는 일본 특허 출원(2013년 6월 10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13-121936 호)의 개시 내용은, 여기서 참조한 것에 의해 그 전체가 본원 명세서에 포함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적인 외관을 구비한 현악기 그 자체로부터 음을 낼 수 있으므로,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매력적인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어, 가정이나 공공의 장소에서 본 발명을 높은 효과를 갖고서 실시할 수 있다.
1 : 기타 3 : 표판
5 : 울림통 7 : 향공
9 : 현 11 : 브릿지 베이스 부재
13 : 브릿지 15 : 브릿지 핀
19 : 피봇 지지 핀 20 : 가진 장치
22 : 베이스 부재 23 : 진동 발생기
24 : 작용점부 26 : 진동 전달 부재
28 : 위치결정 돌기부 30 : 지점 부재
32 : 돌기부 34 : 지지 구멍
36 : 지지 부재 38 : 역점 부재
40 : 레버 캠 42 : 피봇 지지 핀
44 : 확두 핀 50 : 진동 발생기
52 : 영구 자석 54 : 자기 갭
56 : 요크 부재 58 : 스프링 부재
60 : 보이스 코일 62 : 디스크
100 : 가진 장치 102 : 베이스 부재
108 : 진동 절연 시트 110 : 지지판
116 : 방진 슬리브 118 : 지지봉
120 : 지점 부재 122 : 고무판
125 : 진동 전달 부재 126 : 방진 슬리브
130 : 역점 부재 132 : 레버 캠
140 : 진동 발생기 142 : 영구 자석
144 : 요크 부재 146 : 지지 부재
148 : 스프링 부재 150 : 보빈
152 : 진동 전달 부재 154 : 보이스 코일
156 : 작용점부 158 : 돌기부

Claims (13)

  1. 브릿지를 구비한 현악기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에 접촉해야 할 작용점부를 구비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장착되고, 전기 신호를 기계 진동으로 변환하는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가, 상기 현악기 중 적어도 1개의 현의 상면에 결합하는 지점부와, 상기 작용점부와 상기 지점부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1개의 현의 하면에 결합하는 역점부와, 상기 지점부 및 상기 역점부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작용점부를 상기 브릿지를 향하여 부세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점부, 상기 역점부 및 상기 지점부가 상기 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점부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캠 기구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작용점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지점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타단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점부가, 상기 작용점부 및 상기 지점부의 양쪽 중심부를 연결하는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현에 결합하는 봉 부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가, 상기 작용점부 및 상기 지점부의 양쪽 중심부를 연결하는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2개의 현에 결합하는 봉 부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또한 상기 브릿지에 대하여, 상기 지점부의 방향으로부터 상기 현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부딪쳐야 할 상기 작용점부의 근방에 마련된 위치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점부가 오직 1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점부가 2개의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가, 상기 작용점부 및 상기 지점부의 양쪽 중심부를 연결하는 축선의 양측에 배치된 고음용 진동 발생기 및 저음용 진동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2개의 진동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재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가 2갈래로 분기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 분기 부분에, 각각 상기 고음용 진동 발생기 및 상기 저음용 진동 발생기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양쪽 분기 부분의 각각에 상기 작용점부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기는 기계 진동을 외부에 전달하는 진동 전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전달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 사이에, 상기 진동 전달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를 진동 절연하는 제 1 진동 절연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지점부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지점부를 진동 절연하는 제 2 진동 절연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역점부 사이에,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역점부를 진동 절연하는 제 3 진동 절연 부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57034933A 2013-06-10 2014-06-06 현악기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 KR20160019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1936 2013-06-10
JP2013121936 2013-06-10
PCT/JP2014/003047 WO2014199613A1 (ja) 2013-06-10 2014-06-06 弦楽器を加振するための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432A true KR20160019432A (ko) 2016-02-19

Family

ID=52021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933A KR20160019432A (ko) 2013-06-10 2014-06-06 현악기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2347B2 (ko)
EP (1) EP3010012B1 (ko)
JP (1) JP5849172B2 (ko)
KR (1) KR20160019432A (ko)
CN (1) CN105264593B (ko)
WO (1) WO2014199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0928A (ja) * 2015-03-25 2016-10-13 ヤマハ株式会社 楽器用支持体
US9583076B2 (en) * 2015-05-21 2017-02-28 Luciano Nigro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sound of musical instruments
WO2017104506A1 (ja) * 2015-12-14 2017-06-22 善武 阿部 楽器用ピックアップ装置
US10418012B2 (en) 2015-12-24 2019-09-17 Symphonova, Ltd. Techniques for dynamic music performan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10767205B (zh) * 2016-01-20 2023-08-29 雅马哈株式会社 音响装置以及机械性振动生成方法
CN105869611B (zh) * 2016-06-03 2022-11-15 陈世江 弦乐器音质训化装置
JP6251458B1 (ja) * 2016-12-04 2017-12-20 安彦 浩志 音響装置
JP6939254B2 (ja) * 2017-08-25 2021-09-22 ヤマハ株式会社 楽器
GB2572129A (en) * 2018-01-26 2019-09-25 Tonik Sounds Ltd Accessory for a musical instrument
CN108335690A (zh) * 2018-05-10 2018-07-27 广州博创乐器有限公司 一种用于弦乐器振动传感和放大系统的传导结构
CN112955949A (zh) * 2018-11-09 2021-06-11 雅马哈株式会社 加振单元、加振器的安装构造、乐器
US11508342B2 (en) * 2019-06-14 2022-11-22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Arizona State University Shoulder rest with haptic feedback
TWM586795U (zh) * 2019-07-17 2019-11-21 楊岱宜 弦樂器共鳴分析裝置
CN114762036A (zh) 2020-11-09 2022-07-15 日本弦奏株式会社 音响装置
US11670268B2 (en) * 2021-06-24 2023-06-06 Gerald Francis Brown Broad spectrum audio device designed to accelerate the maturation of stringed instruments
JP7098219B1 (ja) * 2021-10-20 2022-07-11 英男 大島 弦楽器励振装置および弦楽器励振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5137A (ja) 2005-08-11 2009-02-05 ライ,アガピタス・ビー 弦楽器を振動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JP2011035851A (ja) 2009-08-06 2011-02-17 Shigeki Kobayashi ヴァイオリンとスピーカーによる重畳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48285A (en) * 1975-07-14 1979-07-11 Heet G S String instrument vipration initiator and sustainer
US4245540A (en) * 1976-04-12 1981-01-20 Groupp Barry A Sound sustain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US4697491A (en) * 1986-06-17 1987-10-06 Maloney Terrance R Electric feedback guitar
US4762046A (en) * 1987-06-16 1988-08-09 Les Entreprises Roberto Aspri Ltee Sound reverberator device for detachable connection to the strings of a string musical instrument
EP0352536B1 (en) * 1988-07-20 1996-10-02 Yamaha Corporation Musical instrument with electro-acoustic transducer for generating musical tone
US5449858A (en) * 1993-12-30 1995-09-12 Edward E. Haddock, Jr. Guitar feedback device and method
US5932827A (en) * 1995-01-09 1999-08-03 Osborne; Gary T. Sustainer for a musical instrument
US6320113B1 (en) * 1995-07-19 2001-11-20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for enhancing the sound of an acoustic instrument
JPH09247779A (ja) * 1996-03-08 1997-09-19 Yoshijirou Watanabe 加振装置及び音響装置
JPH11122687A (ja) 1997-10-13 1999-04-30 Dynamic Art Kenkyusho:Kk スピーカー楽器
GB9905039D0 (en) 1999-03-05 1999-04-28 New Transducers Ltd Musical instrument
US7227068B1 (en) * 2004-05-17 2007-06-05 Clayton Lee Van Doren String-mounted condition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7453040B2 (en) * 2004-12-03 2008-11-18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8658879B2 (en) * 2004-12-03 2014-02-25 Stephen Gillette Active bridge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2006308870A (ja) * 2005-04-28 2006-11-09 Yamaha Corp 弦楽器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変換装置の取付構造
US20070180975A1 (en) * 2006-02-06 2007-08-09 Paris Rainer K Guitar with acoustical mixing chamber
US20080173165A1 (en) * 2007-01-19 2008-07-24 Demars Daniel D Stringed Musical Instrument with Enhanced Musical Sound
JP2008219202A (ja) 2007-02-28 2008-09-18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音響振動再生装置
US8017857B2 (en) * 2008-01-24 2011-09-13 745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stringed controllers and/or instruments
US7977565B1 (en) * 2008-02-11 2011-07-12 ToneRite, Inc. Vib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son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JP5146882B2 (ja) 2008-12-08 2013-02-20 和男 村上 ギターによる音源再生装置とその音源収録装置
US8389835B2 (en) * 2010-02-05 2013-03-05 Sean J. Findley Sound system in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US9111517B2 (en) * 2013-02-11 2015-08-18 Ofer Webman System and method for sound augmentation of acoustic musical instrumen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05137A (ja) 2005-08-11 2009-02-05 ライ,アガピタス・ビー 弦楽器を振動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JP2011035851A (ja) 2009-08-06 2011-02-17 Shigeki Kobayashi ヴァイオリンとスピーカーによる重畳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849172B2 (ja) 2016-01-27
JPWO2014199613A1 (ja) 2017-02-23
US20160140941A1 (en) 2016-05-19
EP3010012A4 (en) 2017-01-25
EP3010012B1 (en) 2020-10-21
CN105264593B (zh) 2019-10-25
CN105264593A (zh) 2016-01-20
EP3010012A1 (en) 2016-04-20
WO2014199613A1 (ja) 2014-12-18
US9412347B2 (en)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9432A (ko) 현악기를 가진하기 위한 장치
TWI422240B (zh) 多功能微型喇叭
WO2002021504A1 (fr) Batterie electronique analogique, parties pour baguette de batterie, batterie electronique analogique et pied de grosse caisse
JP2002171595A (ja) 振動スピーカ
CN107025903A (zh) 乐器和声换能器装置
CN107408374B (zh) 发声设备、键盘乐器和发声控制方法
JPH04500735A (ja) 音響発生装置及び楽器
CN107836021B (zh) 乐器用拾音装置
JP5032707B2 (ja) 多機能マイクロスピーカー
KR200408289Y1 (ko) 바 형상의 스피커
JPH06282269A (ja) ピックアップ
WO2019026186A1 (ja) 音響装置および音響システム
WO2016152930A1 (ja) 楽器用支持体
KR101863499B1 (ko) 요크와 별도의 프레임을 가지는 스피커
JPH09247779A (ja) 加振装置及び音響装置
KR101335627B1 (ko) 스피커
KR102363471B1 (ko) 음향발생장치
KR102374602B1 (ko) 솔레노이드 스피커
KR20040069394A (ko) 일체형 투웨이 스피커
JP7098219B1 (ja) 弦楽器励振装置および弦楽器励振システム
KR102658276B1 (ko) 자성체 진동판을 이용한 평판형 트위터 스피커
WO2016152929A1 (ja) 振動供給装置及び楽器
JP2017068214A (ja) 発音制御装置
JP6390069B1 (ja) 音響装置
JP3201529U (ja) 電子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