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140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140A
KR20160019140A KR1020140103133A KR20140103133A KR20160019140A KR 20160019140 A KR20160019140 A KR 20160019140A KR 1020140103133 A KR1020140103133 A KR 1020140103133A KR 20140103133 A KR20140103133 A KR 20140103133A KR 20160019140 A KR20160019140 A KR 20160019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vanes
inner casing
housing
gu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393B1 (ko
Inventor
박태상
방명배
김광수
박종진
오현준
이승열
인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3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393B1/ko
Priority to AU2015302568A priority patent/AU2015302568B2/en
Priority to PCT/KR2015/003735 priority patent/WO2016024691A1/en
Priority to EP15831935.0A priority patent/EP3179895B1/en
Priority to CN201580043483.6A priority patent/CN106572773B/zh
Priority to US14/695,223 priority patent/US10098515B2/en
Publication of KR2016001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53Fan casings with axial entry and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44Bladed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2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50Inlet or outlet
    • F05D2250/52Out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개시한다.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이너 케이싱,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싱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유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청소기는 흡입력을 결정하는 구성 요소로써, 임펠러(impeller) 및 디퓨져(diffus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수 차례 구부러진 유로를 따라 임펠러 및 디퓨져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손실이 증가하게 되고, 압력손실에 따른 흡입력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임펠러 및 디퓨져의 간격을 좁게 설계한다. 그러나 임펠러 및 디퓨져의 간격을 좁게 할수록 압력섭동에 의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임펠러 및 임펠러에 결합되는 모터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청소기의 크기 또한 증가되므로 컴팩트(compact)한 제품을 요하는 최근 시장 추세에 부합하지 않는다.
특히, 핸디형 청소기와 같은 소형 청소기는 통상 고출력의 흡입모터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압력손실이나 유동손실에 따른 흡입효율 감소가 크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소형화 내지 컴팩트화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소형화 내지 컴팩트화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소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디퓨져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이너 케이싱,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싱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유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복수의 베인의 일 단부가 상기 아우터 케이싱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는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인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불연속적으로 상기 엣지부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아우터 케이싱과 이격되도록 상기 엣지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연결하는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엣지부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이너 케이싱, 상기 이너 케이싱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로 및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연결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를 가지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는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유로 상에 위치하는 상기 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이너 케이싱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향할수록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유로를 구획하고,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서 상기 유로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 및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인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이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진공청소기의 흡입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 내지 아우터 케이싱의 직경을 확대하는 대신, 복수의 베인의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진공청소기의 소형화 내지 컴팩트화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에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를 형성함으로써, 진공청소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를 임펠러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유로저항을 줄일 수 있다.
어퍼하우징 및 베어링 하우징에 체결홀 내지 체결홈을 형성함으로써 디퓨져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모터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도 10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b는 도 11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디퓨져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어퍼하우징을 도시한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디퓨져를 도시한 도면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 디퓨져 및 어퍼하우징 결합체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입유닛(200,200a)은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타입, 본체와 흡입노즐이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 타입, 핸디 타입 및 로봇청소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청소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일 실시예로써 핸디 타입의 진공청소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가 스틱 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1)는 본체(52), 흡입유닛(200) 및 집진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52)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그릴 형태의 제 1배기부(56), 손잡이(62) 및 전원버튼(65)이 구비될 수 있다. 본체(52)의 상측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200)과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본체(52)의 배면부에는 제 1배기부(56)와 반대되는 위치에 다수의 배기공이 형성된 그릴 형태의 제 2배기부(58)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52)의 배면부에는 제 2배기부(58)의 상부에 제 2접속단자(60)가 설치될 수 있다. 본체(52)의 하단에는 롤러(1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52)의 하부에는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100)가 장착되는 사이클론 장착공간(미도시)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는 사이클론 방식에 한정하지 않으나,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진공청소기(1)가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장치(1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체(52)는 흡입구(63), 롤러(114), 입구 가스켓(미도시), 출구 가스켓(미도시) 및 리브(69)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63)는 스틱 본체(14)의 개구(4) 및 사이클론 입구(110)와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입구 가스켓은 흡입구(63)와 사이클론 입구(110)의 결합부위에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흡입구(63)의 원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출구 가스켓은 사이클론 장착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흡입유닛(200)의 흡기구(251)의 주변에 설치되어 필터유닛(70)과 본체(52)의 결합부위에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롤러(114)는 흡입구(6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를 스틱 본체(14)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는 경우, 롤러(114)는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진공청소기(1)의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바닥과 진공청소기(1)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리브(69)는 흡입구(63)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진공청소기(1)를 장착공간(3)에 장착 시 스틱 본체(14)의 개구(4)에 삽입되어 흡입구(63)와 개구(4) 사이에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진공청소기(1)를 기울여 흡입구(63)를 바닥면에 접촉시킬 경우, 바닥면과 흡입구(63) 사이의 이격 공간을 줄여, 흡입유닛(200)의 흡입력이 바닥까지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피청소면의 먼지흡입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는 먼지통(102), 커버부재(104), 필터유닛(70) 및 사이클론통(107)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102)은 투명재질로 구성되며, 일 측에 필터유닛(7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재(104)는 투명재질로 구성되며 먼지통(10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재(104)는 진공청소기(1)의 사이클론 장착공간(미도시)에 장착될 경우 진공청소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클론통(107)은 먼지통(102)의 내부에 설치되어 먼지통(102)의 내부공간을 원심분리챔버(S1)과 먼지수용챔버(S2)로 구획할 수 있다. 사이클론통(107)의 중심에는 중앙파이프(108)가 구비되어 있고, 사이클론통(107)과 중앙파이프(108) 사이에는 사이클론 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나선형 유로가이드부재(106)가 설치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는 분리 가능하도록 스틱 본체(14)에 결합될 수 있다.
스틱 본체(14)는 상부에 손잡이부(16)와, 하부에 장착공간(3)이 마련된 항아리 형상의 중앙부(11)로 구분될 수 있다. 손잡이부(16)는 중앙부(11)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노즐조립체(2)를 밀거나 당기기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중앙부(11)에 형성된 장착공간(3)은 진공청소기(1)를 스틱 본체(14)에 장착하거나 스틱 본체(14)에서 분리할 수 있는 공간이다.
도 1에서 스틱 본체(14)를 A방향으로 바라보는 쪽이 스틱 본체(14)의 전면부이고, B방향으로 바라보는 쪽이 스틱 본체(14)의 배면부이다. 스틱 본체(14)의 전면부에는 다수의 배기구멍으로 구성된 본체 배기부(20)가 형성될 수 있고, 그 하부에 투명한 패널로 구성된 본체 투명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노즐조립체(2)는 스틱 본체(14)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노즐조립체(2)의 내부 공기유로(미도시) 네크부(6) 및 스틱 본체(14)의 개구(4)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조립체(2)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와 먼지 등은 네크부(6) 및 스틱 본체(14)의 개구(4)를 통해 진공청소기(1)로 유입될 수 있다. 노즐조립체(2)는 하면에 피청소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저면 흡입구(2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피청소면의 먼지를 긁어내기 위한 원통형 브러시(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스틱 본체(14)의 장착공간(3)에는 제 1접속단자(12)가 구비되고, 진공청소기(1)의 배면부에는 제 2접속단자(60)가 설치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가 장착공간(3)에 장착될 경우, 제 1접속단자(12) 및 제 2접속단자(60)가 접촉되며, 이로 인해, 스틱 본체(14)와 진공청소기(1)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흡입유닛(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진공청소기(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본체(52)에 설치된 전원버튼(65)을 이용하여 본체(52) 내부에 설치된 흡입유닛(2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1)의 흡입구(63) 및 롤러(114)를 청소하고자 하는 피청소면과 접촉시키고, 진공청소기(1)를 이동시키면서 외부공기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를 가동시키면 외부공기는 흡입구(63) 및 사이클론 입구(110)를 통해 집진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 사이클론 입구(110)가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흡입구(63)를 통과한 공기는 이와 접촉된 사이클론 입구(110)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된 먼지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는 나선형 유로가이드부재(106)를 따라 회전되면서 원심분리챔버(S1)로 유입되고, 원심력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는 공기로부터 분리되어 사이클론통(107)의 상단을 넘어 먼지통(102)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진행방향의 변화없이 계속 상부로 직진하면서 사이클론통(107) 상부에 장착된 필터유닛(70)을 통과한다. 이 때, 공기 중에 남아 있는 미세먼지는 그릴부(71) 및 필터부재(미도시)에 의해 제거되고, 흡입유닛(200)을 통해 진공청소기(1)의 제 1배기부(56) 및 제 2배기부(58)로 배출될 수 있다.
진공청소기(1)를 스틱 본체(14)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이하, '스틱형 청소기'라 칭한다), 사용자는 스틱 본체(14)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스틱형 청소기를 작동시킨 후, 스틱 본체(14)의 손잡이부(16)를 손으로 파지하여 스틱 본체(14)를 노즐조립체(2)에 대하여 기울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스틱 본체(14)를 적당하게 기울인 후 스틱형 청소기를 전후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청소할 수 있다. 먼지를 포함한 외부공기는 노즐조립체(2), 네크부(6) 및 스틱 본체(14)의 개구(4)를 통해 집진장치(100)로 유입될 수 있다. 집진장치(100)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원심분리챔버(S1)에서 회전되고, 원심력에 의해 외부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는 분리되어 먼지통(102)에 저장될 수 있다.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필터유닛(70)을 통과하면서 그릴부(71) 및 필터부재(미도시)에 의해 미세먼지가 제거된 후 흡입유닛(200)을 통해 진공청소기(1)의 제 1배기부(56) 및 제 2배기부(58)로 배출될 수 있다. 제 2배기부(58)로 배출된 공기는 본체 배기부(20)를 통해 스틱 본체(14)의 전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모터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흡입유닛(200)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본체(52)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유닛(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우징(210)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복수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210)은 제 1하우징(211), 제2하우징(212) 및 제 3하우징(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211), 제 2하우징(212) 및 제 3하우징(213)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하우징(211)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상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 3하우징(213)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하우징(212)은 제 1하우징(211) 및 제 3하우징(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하우징(211), 제 2하우징(212) 및 제 3하우징(213)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하우징(211)은 제 2하우징(212)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2하우징(212)은 제 1하우징(211) 또는 제 3하우징(213)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3하우징(213)은 제 2하우징(212)과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 1하우징(211)에는 공기가 흡입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흡입구(21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3하우징(213)에는 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흡입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흡입유닛(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배출구(213a)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자면, 공기흡입구(211a)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하우징(2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고, 공기배출구(213a)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하우징(2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공기흡입구(211a) 및 공기배출구(213a)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공기흡입구(211a) 및 공기배출구(213a)를 연결하는 공기유로(230)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로(230)는 모듈유로(231), 모듈외부유로(232), 공기이동통로(233) 및 디퓨져유로(23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공기유로(230)는 모듈유로(231), 모듈외부유로(232), 공기이동통로(233) 및 디퓨져유로(234)를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흡입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로(230)를 따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흡입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임펠러(220)에 마련되는 공기이동통로(233)를 통과하여 디퓨져유로(234)로 전달될 수 있다. 모듈유로(231) 및 모듈외부유로(232)는 디퓨져유로(234)에서 분기될 수 있다. 즉, 디퓨져유로(234)를 통과한 공기의 일부는 모듈유로(231)를 따라 이동하고, 디퓨져유로(234)를 통과한 공기의 다른 일부는 모듈외부유로(23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모듈유로(231) 및 모듈외부유로(232)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설명한다.
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흡입유닛(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로(230)를 따라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인슐레이터(240)의 유로가이드부(241)에 의해 모터모듈(260)의 내부로 유입되는 모듈유로(231)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모터모듈(260) 및 하우징(210) 사이에 형성되는 모듈외부유로(232)를 따라 이동한다. 즉,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모듈유로(231)를 따라 이동하고,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모듈외부유로(232)를 따라 이동한다. 모듈유로(23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모터모듈(26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듈유로(231) 및 모듈외부유로(23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회로기판(250)을 통과하면서 회로기판(25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제 1하우징(211)은 쉬라우드(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211b)는 임펠러(220) 또는 디퓨져(300,400,500,600,700)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쉬라우드(211b)는 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하우징(210)의 내부로 안내한다. 또한, 쉬라우드(211b)는 임펠러(220)의 상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쉬라우드(211b)는 임펠러(220)의 복수의 날개(221)와 결합하여 공기이동통로(233)를 형성할 수 있다.
흡입유닛(200)은 임펠러(impeller)(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20)는 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임펠러(220)는 축(22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220)는 제 1하우징(21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220)는 모터(261)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흡입유닛(200)의 내부로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임펠러(220)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임펠러(220)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221)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221)는 축(2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날개(221) 사이에는 공기이동통로(233)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이동통로(233)는 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유입구(233a) 및 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유출구(233b)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20)의 형상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다.
흡입유닛(200)은 디퓨져(diffuser)(300,400,500,600,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300,400,500,600,700)는 임펠러(220)에 의해 흡입유닛(2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디퓨져(300,400,500,600,700)는 임펠러(22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퓨져(300,400,500,600,700)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300,400,500,600,700)는 공기이동통로(233)의 유출구(233b)와 마주하도록 임펠러(2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300,400,500,600,7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흡입유닛(200)은 모터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모듈(260)은 하우징(2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모터모듈(260)은 모터(261)가 하나의 모듈로서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모듈(260)은 모터(261) 및 안착하우징(79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261)는 하우징(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 내지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안착하우징(790)은 모터(261)가 하우징(210)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안착하우징(790)은 제 1안착하우징(262) 및 모터(261)를 사이에 두고 제 1안착하우징(262)과 결합하는 제 2안착하우징(2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안착하우징(262)은 하우징(2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제 2하우징(212)의 내부에는 제 1안착하우징(26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홀(212a)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홀(212a)은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안착하우징(262)은 안착홀(212a)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나,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안착하우징(262)은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 임펠러안착부(262b) 및 제 1안착부(26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는 제 2하우징(212)의 안착홀(212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안착홀(212a)의 형상에 대응되는 바디결합부(262d)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안착부(262b)는 임펠러(2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의 상면에 마련된다. 임펠러안착부(262b)의 상면은 축(222)에 결합된 임펠러(220)가 회전하는데 간섭되지 않도록 임펠러(220) 배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안착부(262c)는 모터(26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의 하면에 마련된다. 제 1안착부(262c)는 축(222)의 중심과 임펠러(220)의 회전중심이 동일하게 배치되도록 스테이터(264)를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 1안착부(262c)는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와 모터(26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 1안착부(262c)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안착부(262c)는 스테이터(264)의 각 단부에 대응하도록 네 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제 1안착부(262c)의 배치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2안착하우징(263)은 제 1안착하우징(262)과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안착하우징(263)은 제 1안착하우징(262)과의 사이에 모터(261)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안착하우징(263)은 제 2안착하우징바디(263a) 및 제 2안착부(26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안착하우징바디(263a)는 스테이터(264)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스테이터(264)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안착부(263c)는 스테이터(264)의 각 단부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제 2안착부(263c)의 배치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안착하우징(262) 및 제 2안착하우징(263)은 고정부재(28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안착하우징(262) 및 제 2안착하우징(263)에는 고정부재(28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홀(280a,280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 1안착하우징(262)과 제 2안착하우징(263)의 중심에는 축(222)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각각 제 1관통홀(262e)과, 제 2관통홀(263e)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관통홀(262e)과 제 2관통홀(263e)에는 축(222)의 회전을 위해 각각 제 1베어링(283)과 제 2베어링(284)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안착하우징(262)은 제 1안착돌기(262f) 및 제 1안착부(26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안착부(262c)는 제 1안착하우징(262)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안착부(262c)는 모터(261)의 일측면이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264)가 제 1안착부(262c)에 안착 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로터(265), 임펠러(220) 및 디퓨저(300,400,500,600,7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 1관통홀(262e)은 복수의 제 1안착부(262c)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안착돌기(262f)는 제 1안착부(262c)의 둘레를 따라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안착돌기(262f)는 제 1안착돌기(262f)의 내측면으로 모터(261)를 감쌀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안착돌기(262f)는 흡입유닛(200)이 동작하는 경우, 모터(261)가 축(222)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제 1안착부(262c)에 모터(261)의 상면이 안착되고, 제 1안착돌기(262f)의 제 1돌기안착면(262h)에 모터(261)의 측면이 안착된다. 제 1안착돌기(262f)에는 모터(261)가 제 1안착부(262c)에 용이하게 안착되도록 이를 안내하는 제 1가이드면(262g)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면(262g)은 제 1안착돌기(262f)의 단부에 마련되어 그 내측으로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가이드면(262g)은 제 1돌기안착면(262h)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안착돌기(262f)는 네 개가 형성되어 제 1안착하우징바디(262a)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2안착하우징(263)은 제 2안착돌기(263f) 및 제 2안착부(263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안착부(263c)는 모터(261)의 다른 측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 2안착하우징(263)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스테이터(264)가 제 2안착부(263c)에 안착 또는 고정된 상태에서 로터(265), 임펠러(220) 및 디퓨져(300,400,500,600,700)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제 2관통홀(263e)은 복수의 제 2안착부(263c)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안착돌기(263f)는 제 2안착부(263c)의 둘레를 따라 제 2안착하우징바디(263a)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안착돌기(263f)는 그 내측면으로 모터(261)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안착돌기(263f)는 제 1안착돌기(262f)와 함께 흡입유닛(200)이 동작하는 경우, 모터(261)가 축(222)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모터(261)와 제 2안착돌기(263f)의 결합 시, 모터(261)가 제 2안착부(263c)에 안착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제 2안착돌기(263f)의 내부에는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 2가이드면(263g)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안착부(263c)에 모터(261)의 하면이 안착될 수 있다. 제 2안착돌기(263f)의 제 2돌기안착면(263h)에는 모터(261)의 측면이 안착될 수 있다. 제 2안착돌기(263f)에는 모터(261)가 제 2안착부(263c)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이를 안내하는 제 2가이드면(263g)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가이드면(263g)은 제 2안착돌기(263f)의 단부에 마련되어 일정각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가이드면(263g)은 제 2돌기안착면(263h)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안착하우징바디(263a)는 스테이터(26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스테이터(264)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안착돌기(263f)는 네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제 1안착하우징(262)의 제 1안착돌기(262f)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축(222)의 하부에는 센서마그넷(293)이 결합될 수 있다.
센서마그넷(293)은 로터(265)가 구비하는 마그넷(미도시)과 동시에 착자되어 로터(265)의 마그넷과 같은 자화 방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센서마그넷(293)은 로터(265)의 마그넷과 동일축상에 마련되고, 홀 센서(290)는 센서마그넷(293)의 자기장을 센싱하여 회전에 따른 로터(265)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로터(265)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홀 센서(290)는 센서브라켓(291)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센서브라켓(291)의 일 단부는 제 2안착하우징(263)의 배면에 마련되는 센서안착부(292)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브라켓(291)의 다른 단부는 회로기판(250)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안착하우징(262) 및 제 2안착하우징(263)은 고정부재(28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안착하우징(262) 및 제 2안착하우징(263)에는 고정부재(280)가 결합될 수 있는 고정홀(280a,280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한다. 이하, 유로는 디퓨져유로(234)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하우징(212)은 디퓨져(300,400,500,600,700)의 아우터 케이싱(212)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디퓨져(300,400,500,600,700)는 케이싱(212,31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212,310)은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212)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212)은 이너 케이싱(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212)은 이너 케이싱(310)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싱(212)은 이너 케이싱(3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싱(310)은 안착홀(212a) 및 프레임(311)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홀(212a)은 제 1안착하우징(262)이 결합될 수 있도록 이너 케이싱(3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홀(212a)은 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안착홀(212a)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임펠러(220)는 안착홀(212a)에서 제 1안착하우징(262)의 임펠러안착부(262b)에 안착될 수 있다. 프레임(311)은 안착홀(212a)의 외측에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311)은 안착홀(212a)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프레임(311)은 안착홀(212a)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31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으로 일정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300,400,500,600,700)는 디퓨져유로(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유로(234)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212,31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퓨져유로(234)는 공기이동통로(233)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져유로(234)는 공기이동통로(233)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디퓨져유로(234)는 공기이동통로(233)의 유출구(233b)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디퓨져유로(234)는 공기이동통로(233)에 연결될 수 있다. 디퓨져유로(234)는 공기이동통로(233)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퓨져유로(234)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입구(234a) 및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출구(234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입구(234a)는 공기이동통로(233)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상류측에 위치할 수 있고, 출구(234b)는 공기이동통로(233)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디퓨져(300,400,500,600,700)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320,420,520,620,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하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이너 케이싱(310)에 설치되어 아우터 케이싱(212)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이너 케이싱(310)에 설치되어 아우터 케이싱(212)을 향하여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아우터 케이싱(212)에 설치되어 이너 케이싱(31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아우터 케이싱(212)에 설치되어 이너 케이싱(310)을 향하여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복수의 베인(421,521,621,721) 및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 및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베인(421,521,621,721) 및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서로 조립 내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베인(421,521,621,721) 및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 및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422,522,622)의 상방에 위치하고,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공기이동통로(233)의 유출구(233b)와 마주하도록 이너 케이싱(3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너 케이싱(31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아우터 케이싱(212)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아우터 케이싱(21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공기이동통로(233)의 유출구(233b)와 마주하도록 이너 케이싱(310)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불연속적으로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을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함으로써, 공기흡입구(2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유로(230)의 길이, 특히, 공기이동통로(233) 내지 디퓨져유로(234)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흡입유닛(200)의 흡입성능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아우터 케이싱(212)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이너 케이싱(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아우터 케이싱(212)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프레임(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의 배치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이 이너 케이싱(310)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아우터 케이싱(212) 상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디퓨져유로(234)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으로 디퓨져유로(234)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입구(234a)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에 대하여 임펠러(220)의 회전방향(R)을 따라 기울어지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이너 케이싱(310)에서 아우터 케이싱(212)을 향할수록 임펠러(220)의 회전방향(R)을 따라 더 기울어지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공기이동통로(233) 및 디퓨져유로(234)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디퓨져유로(23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디퓨져유로(234)를 구획할 수 있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디퓨져유로(234)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엣지부(323)(도6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엣지부(323)는 디퓨져유로(234)의 입구(234a)를 향하도록 복수의 가이드(422,522,622)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엣지부(323)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엣지부(323)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하고, 디퓨져유로(234)의 입구(234a)를 향하는 복수의 가이드(422,522,622)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복수의 가이드(422,522,622)의 엣지부(32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은 엣지부(323)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디퓨져유로(234)의 상류측에서 디퓨져유로(234)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임펠러(220)의 회전방향(R)을 따라 더 기울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이드(422,522,622)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디퓨져유로(234)의 입구(234a)에서 디퓨져유로(234)의 출구(234b)로 갈수록 임펠러(220)의 회전방향(R)을 따라 더 경사질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320,420,520,620,720)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 및 복수의 가이드(422,522,622)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320)의 배치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의 블레이드(32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미도시)의 상방에 위치하고, 복수의 가이드(미도시)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복수의 베인(미도시)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복수의 가이드(미도시)의 엣지부(32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미도시) 및 복수의 가이드(미도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엣지부(323)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미도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제 1하우징(211)의 쉬라우드(211b)와 마주하도록 임펠러(220)의 축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방향으로 디퓨져유로(234)의 입구(234a)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미도시)은 복수의 베인(미도시)의 일 단부가 아우터 케이싱(212)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베인(미도시)의 일 단부는 아우터 케이싱(212)에 연결되고, 복수의 베인(미도시)의 다른 단부는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미도시)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2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또한, 도 8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42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복수의 가이드(422)의 상방에 위치하고, 복수의 가이드(422)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복수의 베인(421)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베인(421)은 복수의 가이드(422)의 엣지부(32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은 엣지부(323)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4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의 일 단부는 아우터 케이싱(212)에 연결되고, 복수의 베인(421)의 다른 단부는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가이드(422)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디퓨져유로(234)의 입구(234a)에서 디퓨져유로(234)의 출구(234b)로 갈수록 임펠러(220)의 회전방향(R)을 따라 더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422)를 임펠러(22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입구(234a)를 통해 디퓨져유로(234)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422)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복수의 가이드(422)의 적어도 일부는 임펠러(220)의 축방향(X)을 따라 오목하거나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3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또한, 도 8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52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521)은 임펠러(220)의 축방향(X)으로 복수의 가이드(522)의 엣지부(32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521)은 엣지부(323)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이드(5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521)은 제 1하우징(211)의 쉬라우드(211b)와 마주하도록 임펠러(220)의 축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521)은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5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5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으로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321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21c)는 엣지부(323)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바디(321c)는 엣지부(32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의 베인(521)은 아우터 케이싱(212)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으로 외측을 향하는 복수의 베인(521)의 일 단부는 아우터 케이싱(212)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521)은 아우터 케이싱(212)과 이격되도록 엣지부(32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베인(521)은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는 디퓨져유로(234)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디퓨져유로(234)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베인(521)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는 바디(321c)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는 디퓨져유로(234) 상에 위치하는 바디(321c)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는 복수의 베인(521)이 아우터 케이싱(212)과 이격되도록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는 복수의 베인(521)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는 복수의 베인(521) 및 복수의 가이드(522) 중 적어도 하나에 작용하는 공기의 압력을 해소시켜 흡입유닛(200)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는 흡입유닛(2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복수의 베인(521)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522)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522)는 임펠러(2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M)으로 디퓨져유로(234)의 입구(234a)에서 디퓨져유로(234)의 출구(234b)로 갈수록 임펠러(220)의 회전방향(R)을 따라 더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4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베인(621)은 불연속적으로 복수의 가이드(6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베인(621)은 불연속적으로 엣지부(323)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330)는 바디(321c)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621)이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베인(621)은 이너 케이싱(310)에 배치되는 이너 베인(621b) 및 아우터 케이싱(212)에 배치되는 아우터 베인(621a)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베인(621b) 및 아우터 베인(621a)은 디퓨져유로(23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너 베인(621b) 및 아우터 베인(621a)은 디퓨져유로(234)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너 베인(621b)은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제 5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블레이드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부호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다. 또한, 도 8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블레이드(720)는 복수의 베인(721) 및 복수의 브리지(bridge)(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브리지(34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브리지(340)의 일 단부는 이너 케이싱(310)에 연결되고, 복수의 브리지(340)의 다른 단부는 아우터 케이싱(212)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브리지(34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사이에 마련되어 디퓨져유로(234)를 구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복수의 브리지(340)는 서로 이격되도록 이너 케이싱(3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베인(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이너 케이싱(310)의 프레임(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721)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브리지(340) 사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는 복수의 베인(721)의 일 단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브리지(3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베인(721)의 배치구조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는 복수의 베인(721)의 일 단부가 복수의 브리지(340) 상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의 브리지(340)는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721)은 이너 케이싱(310) 및 아우터 케이싱(21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721)은 이너 케이싱(310)의 반경방향(D)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721)은 공기이동통로(233) 및 디퓨져유로(234)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베인(421,521,621,721)의 형상은 모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도 12는 DC모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BLDC모터 및 AC모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200a)은 모터부 어셈블리(800) 및 제어부 어셈블리(90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8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810)은 모터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810)은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어퍼하우징(811) 및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로어하우징(81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하우징(811)과 로어하우징(812)은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어퍼하우징(811)은 쉬라우드(811a)를 포함할 수 있다.
쉬라우드(811a)는 흡입유닛(200a)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임펠러(850)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813)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유로(815)를 따라 이동하고, 쉬라우드(811a)를 거쳐 공기토출구(814)로 토출된다.
로어하우징(812)에는 공기토출구(814)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814)는 제어부하우징(910)에 마련되는 공기유입구(813)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로어하우징(812)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810)의 내부에는 스테이터(820) 및 로터(830)가 배치될 수 있다. 로터(830)는 스테이터(820)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로터(830)는 스테이터(8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터(830)의 중심에는 로터(830)와 함께 회전하도록 모터축(831)이 삽입된다. 모터축(831)의 일측은 제 1베어링(832)을 통해 베어링 하우징(8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모터축(831)의 타측은 제 2베어링(833)을 통해 로어하우징(8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스테이터(820)는 스테이터바디(821), 제 1인슐레이터(822), 제 2인슐레이터(823) 및 코일(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바디(821)의 중앙부에는 로터(830)를 수용하기 위한 로터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스테이터바디(821)는 프레스 가공된 철판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모터축(831)에는 밸런서(834)가 마련될 수 있다. 밸런서(834)는 모터축(831)이 편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밸런서(834)는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로터(830)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밸런서(834)는 로터(830)의 편심 회전을 방지하도록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로터(83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 1밸런서(834a) 및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로터(83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 2밸런서(83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로터(830)를 중심으로 모터축(831)의 상하에서 로터(830)의 질량중심을 모터축(831)에 가깝게 만들 수 있고, 그에 따라 모터축(831)과 로터(830)의 편심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모터축(831)과 로터(830)의 편심 회전을 방지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모터부 어셈블리(110)는 임펠러(850) 및 디퓨져(8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850)는 모터축(831)과 함께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임펠러(850)는 임펠러(850)의 회전에 따라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모터축(831)의 반경방향으로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임펠러(850)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850)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날개(851)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축(831)의 일 단부에는 임펠러(8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임펠러(85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852)가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850)의 형상 및 배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디퓨져(860)는 임펠러(850)에 의해 흡입유닛(200a)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디퓨져(860)는 임펠러(85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퓨져(860)는 임펠러(85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860)의 구체적인 형상 및 구조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 어셈블리(900)는 모터부 어셈블리(800)를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제어부 어셈블리(900)는 모터부 어셈블리(80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 어셈블리(900)는 제어부하우징(910) 및 제어부하우징(9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인쇄회로기판(9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하우징(910)은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920) 또는 리액터(9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하우징(910)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813)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813)는 공기유로(815)와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813)는 모터축(831)의 축방향(P) 상에 위치하도록 제어부하우징(910)에 마련될 수 있으나, 공기유입구(813)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인쇄회로기판(920)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어부하우징(9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920)은 제어부하우징(91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920)에는 모터부 어셈블리(8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소자(921)가 실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920)에는 공기유입구(813)에 대응하고, 인쇄회로기판(920)을 관통하는 관통홀(922)이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920)은 관통홀(922)을 중심으로 환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인쇄회로기판(92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인쇄회로기판(920)은 제어부하우징(910)의 내측면(911)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어부 어셈블리(900)는 히트싱크(94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싱크(940)는 제어부 어셈블리(9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흡입유닛(200a)이 안정적인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히트싱크(940)는 인쇄회로기판(920)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트싱크(940)는 인쇄회로기판(920)의 관통홀(922)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히트싱크(94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고, 상호간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히트싱크(940)는 공기유입구(813)로 유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공기유로(815)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유로(815)는 히트싱크(940)의 일 단부 및 쉬라우드(811a)의 일 단부가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로(815)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공기토출구(814)로 배출될 수 있다.
제어부 어셈블리(900)는 리액터(93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액터(930)는 제어부하우징(9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리액터(930)는 전류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 서지전압 등을 흡수하여 모터부 어셈블리(800) 내지 제어부 어셈블리(900)를 보호할 수 있다.
리액터(930)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920)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액터(930)는 리액터안착부(950)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액터안착부(950)는 인쇄회로기판(9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9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레그부(미도시) 및 리액터(9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환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안착홈(951)을 포함할 수 있다. 리액터(930)는 환형으로 형성되므로, 리액터(930)가 안착되는 안착홈(951) 또한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액터안착부(950)의 중앙에는 공기유로(815)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부(952)가 마련될 수 있다.
리액터(930)는 리액터안착부(950)에 안착되고, 리액터안착부(950)는 인쇄회로기판(920)에 결합됨으로서, 리액터(930)와 인쇄회로기판(920)의 조립이 가능하다. 또한 인쇄회로기판(920)은 제어부하우징(910)의 내측면(911)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 어셈블리(900)가 하나의 모듈로서 조립될 수 있다.
모터부 어셈블리(800)와 제어부 어셈블리(900)를 결합시키는 경우, 리액터(930)는 어퍼하우징(811)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리액터(930) 및 어퍼하우징(811) 사이에는 패드(미도시) 및 디퓨져(860) 중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패드는 리액터(930) 및 어퍼하우징(811) 사이의 갭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내지 떨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패드는 리액터(930) 및 어퍼하우징(811) 사이의 갭을 줄이고, 전기적으로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리액터(930) 및 어퍼하우징(811) 사이에는 디퓨져(860)가 마련될 수 있다. 디퓨져(860)는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어퍼하우징(8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860)는 어퍼하우징(811)에 형성되는 체결홀(816)을 관통하여 베어링 하우징(840)에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860)는 리액터(930) 및 어퍼하우징(811) 사이의 갭을 줄이고, 전기적으로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860)의 결합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모터부 어셈블리(800) 및 제어부 어셈블리(900)는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모터부 어셈블리(800) 및 제어부 어셈블리(900)의 결합방법은 나사결합에 한정하지 않는다.
모터부 어셈블리(800) 및 제어부 어셈블리(900)를 결합시키는 경우, 어퍼하우징(811) 및 제어부 하우징(810) 사이에는 오링(o-ring)(960)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링(960)은 어퍼하우징(811)의 상면과 제어부하우징(910)의 내측면이 맞닿는 부분에서 흡입유닛(200a)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어퍼하우징(811)의 상면과 제어부하우징(910)의 내측면이 맞닿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오링(960)은 환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오링(960)은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유닛(200a)은 서로 분리 가능한 모터부 어셈블리(800) 및 제어부 어셈블리(900)가 조립된 구조를 가지므로, 모터부 어셈블리(800) 및 제어부 어셈블리(90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난 경우, 흡입유닛(200a)을 전부 분해하거나 절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흡입유닛(200a)의 유지 및 보수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부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디퓨져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어퍼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디퓨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하우징(811)의 내부에는 임펠러(850) 및 베어링 하우징(840)이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850) 및 베어링 하우징(840)은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어퍼하우징(81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850) 및 베어링 하우징(840)은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어퍼하우징(81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임펠러(850) 및 베어링 하우징(840)은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서로 결합하도록 어퍼하우징(81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850)는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상방에 위치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40)은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하방에 위치하도록 어퍼하우징(81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40)은 바디(84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841)는 원판 형상일 수 있으나, 바디(841)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디(841)에는 임펠러(8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임펠러안착부(842)가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안착부(842)는 바디(84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안착부(842)는 임펠러(850)가 결합 내지 안착될 수 있도록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하방을 향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임펠러안착부(842)는 임펠러(850)의 배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임펠러안착부(842)는 베어링 하우징(840)을 관통하는 모터축(831)에 가까워질수록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상방을 향하여 볼록한 봉우리부(843)를 포함할 수 있다. 봉우리부(843)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봉우리부(843)의 경사는 베어링 하우징(840)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완만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봉우리부(843)의 경사는 모터축(83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완만해질 수 있다. 다만, 임펠러안착부(842)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임펠러(850)의 배면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임펠러안착부(842)는 모터축(831)이 관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중공(8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공(844)은 봉우리부(843)에 형성될 수 있다. 중공(844)은 봉우리부(843)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중공(844)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베어링 하우징(840)은 복수의 체결홈(8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홈(845)은 바디(841)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홈(845)은 바디(84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홈(845)은 바디(84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홈(845)은 임펠러안착부(84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바디(84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홈(845)은 임펠러안착부(842)의 둘레를 따라 위치하도록 바디(841)의 테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홈(845)은 디퓨져(860)에 마련되는 복수의 베인(862)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체결홈(845)은 디퓨져(860)에 마련되는 복수의 베인(862)과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디퓨져(860)는 베어링 하우징(84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퓨져(860)는 디퓨져(860)의 복수의 베인(862)이 베어링 하우징(840)에 형성되는 복수의 체결홈(845)에 결합됨으로써, 베어링 하우징(840)에 고정 내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862)은 복수의 체결홈(845)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나, 복수의 베인(862) 및 복수의 체결홈(845)의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베어링 하우징(840)은 적어도 하나의 레그(8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레그(846)는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바디(841)에서 연장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40)은 제 1인슐레이터(822)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어링 하우징(840)의 적어도 하나의 레그(846)는 제 1인슐레이터(822)의 상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840)은 강성 및 방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써, 베어링 하우징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860)는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어퍼하우징(8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져(860)는 플랫폼(861) 및 플랫폼(861)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862)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861)은 도넛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디퓨져(860)는 복수의 베인(862)이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하방을 향하도록 베어링 하우징(840)의 복수의 체결홈(845)에 결합될 수 있다.
플랫폼(861)은 어퍼하우징(811)의 상면과의 사이에 갭이 없도록 어퍼하우징(81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랫폼(861)은 어퍼하우징(811)의 상면과의 사이에 들뜸이 없도록 어퍼하우징(811)의 상면에 배치 내지 결합될 수 있다.
디퓨져(86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860)를 알루미늄 다이케스팅(aluminum alloy for diecastings) 방법으로 제작할 경우, 복수의 베인(862)의 두께는 두꺼워질 수 있고, 두꺼워진 복수의 베인(862)은 디퓨져(86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디퓨져(860)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경우, 복수의 베인(862)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디퓨져(86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퓨져(860)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경우, 리액터(930)와의 절연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액터(930)는 디퓨져(860)의 플랫폼(861)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리액터(930)는 모터축(831)의 축방향(P)으로 베어링 하우징(840)에 결합되는 디퓨져(860)의 플랫폼(861)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액터(930) 및 디퓨져(860)의 배치구조 상, 디퓨져(860)가 금속재질을 가지는 경우, 리액터(930)와 디퓨져(860) 사이에 절연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디퓨져(860)를 플라스틱으로 제작할 경우, 설사 리액터(930) 및 디퓨져(860)가 직접 접촉하더라도 리액터(930)와 디퓨져(860) 사이의 절연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디퓨져(860) 및 베어링 하우징(840) 사이에는 어퍼하우징(811)이 배치될 수 있다.
어퍼하우징(811)에는 복수의 체결홀(816)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816)은 어퍼하우징(811)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816)은 어퍼하우징(811)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홀(816)은 디퓨져(860)의 복수의 베인(862)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체결홀(816)은 디퓨져(860)에 마련되는 복수의 베인(862)과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디퓨져(860)의 복수의 베인(862)은 복수의 체결홀(816)을 관통하여 베어링 하우징(840)의 복수의 체결홈(84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베인(862), 복수의 체결홀(816) 및 복수의 체결홈(845)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 및 개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베인(862), 복수의 체결홀(816) 및 복수의 체결홈(845)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베인(862)이 복수의 체결홀(816)을 관통하여 복수의 체결홈(845)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디퓨져(860), 어퍼하우징(811) 및 베어링 하우징(84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디퓨져(860)를 베어링 하우징(840)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복수의 베인(862)이 복수의 체결홀(816)을 관통하여 복수의 체결홈(845)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디퓨져(860), 어퍼하우징(811) 및 베어링 하우징(840)의 조립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디퓨져(860)는 어퍼하우징(811)에 밀착될 수 있다. 디퓨져(860) 및 어퍼하우징(811) 사이의 실링(sealing)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디퓨져(860) 및 어퍼하우징(811)은 접착 또는 융착될 수 있다.
디퓨져(860) 및 어퍼하우징(811)의 접착은 접착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접착제를 사용하여 복수의 베인(862) 및 복수의 체결홀(816) 사이의 결합력 내지 실링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퓨져(860) 및 어퍼하우징(811)의 융착은 열융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베인(862)이 복수의 체결홀(816)에 삽입 내지 결합된 상태에서 열융착을 진행함으로써, 복수의 베인(862) 및 복수의 체결홀(816) 사이의 결합력 내지 실링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디퓨져(860) 및 어퍼하우징(811) 사이의 실링방법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유닛에 있어서,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 디퓨져 및 어퍼하우징 결합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3 내지 도 18b를 참조한다.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퓨져(860) 및 어퍼하우징(81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디퓨져(860) 및 어퍼하우징(811)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재질의 어퍼하우징(811)을 제작한 후, 플라스틱재질의 디퓨져(860)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디퓨져(860) 및 어퍼하우징(811)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어퍼하우징(811)의 금속재질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디퓨져(860), 어퍼하우징(811) 및 베어링 하우징(840) 사이의 조립방법은 모터의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다. 즉, 도 13 내지 도 19b는 AC모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BLDC모터 및 DC모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진공청소기 2 : 노즐조립체
3 : 장착공간 4 : 개구
6 : 네크부 11 : 중앙부
12 : 제 1접속단자 14 : 스틱 본체
16 : 손잡이부 18 : 본체 투명부
20 : 본체 배기부 52 : 본체
56 : 제 1배기부 58 : 제 2배기부
60 : 제 2접속단자 62 : 손잡이
63 : 흡입구 65 : 전원버튼
69 : 리브 70 : 필터유닛
71 : 그릴부 100 : 집진장치
102 : 먼지통 104 : 커버부재
106 : 나선형 유로가이드부재 107 : 사이클론통
110 : 사이클론 입구 114 : 롤러
200,200a : 흡입유닛 210 : 하우징
211 : 제 1하우징 211a : 공기흡입구
211b : 쉬라우드 212 : 제 2하우징, 아우터 케이싱
212a : 안착홀 213 : 제 3하우징
213a : 공기배출구 220 : 임펠러
221 : 날개 222 : 축
230 : 공기유로 231 : 모듈유로
232 : 모듈외부유로 233 : 공기이동통로
233a : 유입구 233b : 유출구
234 : 디퓨져유로 234a : 입구
234b : 출구 240 : 인슐레이터
241 : 유로가이드부 250 : 회로기판
260 : 모터모듈 261 : 모터
262 : 제 1안착하우징 262a : 제 1안착하우징바디
262b : 임펠러안착부 262c : 제 1안착부
262d : 바디결합부 262e : 제 1관통홀
262f : 제 1안착돌기 262g : 제 1가이드면
262h : 제 1돌기안착면 263 : 제 2안착하우징
263a : 제 2안착하우징바디 263c : 제 2안착부
263e : 제 2관통홀 263f : 제 2안착돌기
263g : 제 2가이드면 263h : 제 2돌기안착면
264 : 스테이터 265 : 로터
280 : 고정부재 280a, 280b : 고정홀
283 : 제 1베어링 284 : 제 2베어링
290 : 홀센서 291 : 센서브라켓
292 : 센서안착부 293 : 센서마그넷
300,400,500,600,700 : 디퓨져
310 : 이너 케이싱 311 : 프레임
320,420,520,620,720 : 블레이드 421,521,621,721 : 베인
321c : 바디 422,522,622 : 가이드
323 : 엣지부 330 : 연통부
340 : 브리지 621a : 아우터 베인
621b : 이너 베인 790 : 안착하우징
800 : 모터부 어셈블리 810 : 하우징
811 : 어퍼하우징 811a : 쉬라우드
812 : 로어하우징 813 : 공기유입구
814 : 공기토출구 815 : 공기유로
816 : 체결홀 820 : 스테이터
821 : 스테이터바디 822 : 제 1인슐레이터
823 : 제 2인슐레이터 830 : 로터
831 : 모터축 832 : 제 1베어링
833 : 제 2베어링 834 : 밸런서
834a : 제 1밸런서 834b : 제 2밸런서
840 : 베어링 하우징 841 : 바디
842 : 임펠러안착부 843 : 봉우리부
844 : 중공 845 : 체결홈
846 : 레그 850 : 임펠러
851 : 날개 852 : 고정부재
860 : 디퓨져 861 : 플랫폼
862 : 베인 900 : 제어부 어셈블리
910 : 제어부하우징 911 : 내측면
920 : 인쇄회로기판 921 : 전기소자
922 : 관통홀 930 : 리액터
940 : 히트싱크 950 : 리액터안착부
951 : 안착홈 952 : 중공부
960 : 오링

Claims (21)

  1.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이너 케이싱;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싱;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유로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복수의 베인의 일 단부가 상기 아우터 케이싱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는 상기 유로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베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인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불연속적으로 상기 엣지부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아우터 케이싱과 이격되도록 상기 엣지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연결하는 엣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엣지부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흡입하도록 배치되는 임펠러; 및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디퓨져;를 포함하고,
    상기 디퓨져는,
    이너 케이싱;
    상기 이너 케이싱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싱;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의 사이에 마련되는 유로; 및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연결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입구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는 바디를 가지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부는 상기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상기 유로 상에 위치하는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은 상기 이너 케이싱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싱을 향할수록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더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유로를 구획하고,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는 상기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상류측에서 상기 유로의 하류측으로 갈수록 상기 임펠러의 회전방향을 따라 더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상기 이너 케이싱의 반경방향으로 상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이너 케이싱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베인; 및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이너 케이싱 및 상기 아우터 케이싱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복수의 베인에 연결되는 복수의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베인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40103133A 2014-08-11 2014-08-11 진공청소기 KR102274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133A KR102274393B1 (ko) 2014-08-11 2014-08-11 진공청소기
AU2015302568A AU2015302568B2 (en) 2014-08-11 2015-04-14 Vacuum cleaner
PCT/KR2015/003735 WO2016024691A1 (en) 2014-08-11 2015-04-14 Vacuum cleaner
EP15831935.0A EP3179895B1 (en) 2014-08-11 2015-04-14 Vacuum cleaner
CN201580043483.6A CN106572773B (zh) 2014-08-11 2015-04-14 真空吸尘器
US14/695,223 US10098515B2 (en) 2014-08-11 2015-04-24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3133A KR102274393B1 (ko) 2014-08-11 2014-08-11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140A true KR20160019140A (ko) 2016-02-19
KR102274393B1 KR102274393B1 (ko) 2021-07-08

Family

ID=5526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133A KR102274393B1 (ko) 2014-08-11 2014-08-11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98515B2 (ko)
EP (1) EP3179895B1 (ko)
KR (1) KR102274393B1 (ko)
CN (1) CN106572773B (ko)
AU (1) AU2015302568B2 (ko)
WO (1) WO20160246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31A1 (ko) * 2016-09-0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DE102017215261A1 (de) * 2017-08-31 2019-02-28 BSH Hausgeräte GmbH Gebläse für ein elektrogerä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4790A1 (ja) * 2015-04-28 2016-11-03 日本電産株式会社 遠心送風機および掃除機
GB2542387B (en) 2015-09-17 2017-11-01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542385B (en) 2015-09-17 2018-10-1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GB2542386B (en) 2015-09-17 2018-10-10 Dyson Technology Ltd Vacuum Cleaner
WO2017124632A1 (zh) * 2016-01-20 2017-07-27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
US10575688B2 (en) * 2016-01-20 2020-03-03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Hand-held vacuum cleaner
US10548441B2 (en) * 2016-01-20 2020-02-04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Vacuum cleaner
CA2971069A1 (en) * 2016-01-20 2017-07-20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Vacuum cleaner
EP3406172B1 (en) * 2016-01-20 2023-05-03 Jiangsu Midea Cleaning Appliances Co., Ltd. Vacuum cleaner
KR102450240B1 (ko) * 2016-02-19 2022-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KR20190058501A (ko) * 2016-10-07 2019-05-29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필터가 개선된 막대형 진공 청소기
JP6718365B2 (ja) * 2016-11-21 2020-07-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CN110073540B (zh) * 2016-12-21 2022-03-2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温度调节单元、温度调节系统以及车辆
KR101896173B1 (ko) * 2017-02-01 2018-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 모터
USD847861S1 (en) * 2017-03-21 2019-05-07 Wilkins Ip, Llc Impeller
JP7145588B2 (ja) * 2017-06-14 2022-10-03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107198492B (zh) * 2017-06-26 2022-11-29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导流组件及吸尘器
WO2019011315A1 (zh) * 2017-07-14 2019-01-17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离心叶轮和具有其的离心风机、吸尘器
GB2567631A (en) * 2017-10-16 2019-04-24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USD897059S1 (en) * 2017-10-20 2020-09-22 Shenzhen Hizero Technologies Co., Ltd. Floor cleaner
KR102054681B1 (ko) * 2018-05-03 2019-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 어셈블리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GB2573813A (en) * 2018-05-18 2019-11-20 Dyson Technology Ltd A Compressor
KR20200076858A (ko) * 2018-12-20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모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JP2020112145A (ja) * 2019-01-17 2020-07-27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7230585B2 (ja) * 2019-02-28 2023-03-01 日本電産株式会社 送風装置、および掃除機
SI25978A (sl) * 2020-03-05 2021-09-30 HYLA, Proizvodnja, razvoj in trgovina d.o.o Separator za sesalnik
KR20210133544A (ko) * 2020-04-29 202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모터
KR102483761B1 (ko) * 2020-08-31 2023-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조립체
US11957294B2 (en) * 2020-09-17 2024-04-16 Nidec Corporation Blower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KR20220045434A (ko) * 2020-10-05 2022-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KR20220053344A (ko) 2020-10-22 2022-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팬모터
USD988624S1 (en) * 2020-12-29 2023-06-06 Wuhan Dishui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Hand-held scrubber
JP1707471S (ja) * 2021-06-16 2022-02-15 電気掃除機
JP1707470S (ja) * 2021-06-16 2022-02-15 電気掃除機
JP1707486S (ja) * 2021-07-07 2022-02-15 電気掃除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2749A (ja) * 2011-08-03 2013-02-14 Hitachi Appliances Inc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掃除機
US20140147311A1 (en) * 2012-11-26 2014-05-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witched reluctance mo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1700A (ja) * 1982-09-01 1984-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送風機
JPH0765597B2 (ja) * 1989-03-01 1995-07-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動送風機
KR100721306B1 (ko) * 2005-11-28 2007-05-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팬 조립체
GB0613796D0 (en) * 2006-07-12 2006-08-23 Johnson Electric Sa Blower
KR101287468B1 (ko) * 2006-08-25 2013-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US9089248B2 (en) * 2009-02-16 2015-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n motor apparatus having diffuser unit for vacuum cleaner
GB2467968B (en) 2009-02-24 2015-04-22 Dyson Technology Ltd Centrifugal compressor with a diffuser
GB2489266B8 (en) * 2011-03-23 2015-04-15 Techtronic Floor Care Tech Ltd Suction cleaner
JP6139537B2 (ja) * 2011-10-13 2017-05-31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掃除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2749A (ja) * 2011-08-03 2013-02-14 Hitachi Appliances Inc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掃除機
US20140147311A1 (en) * 2012-11-26 2014-05-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witched reluctance motor assembl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31A1 (ko) * 2016-09-01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KR20180025663A (ko) * 2016-09-01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US11297989B2 (en) 2016-09-01 2022-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US20220183522A1 (en) * 2016-09-01 2022-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DE102017215261A1 (de) * 2017-08-31 2019-02-28 BSH Hausgeräte GmbH Gebläse für ein elektrogerät
DE102017215261B4 (de) * 2017-08-31 2020-12-24 BSH Hausgeräte GmbH Gebläse für ein elektro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5302568A1 (en) 2017-02-02
CN106572773A (zh) 2017-04-19
EP3179895B1 (en) 2020-03-04
EP3179895A4 (en) 2017-08-30
US10098515B2 (en) 2018-10-16
CN106572773B (zh) 2019-08-16
US20160037984A1 (en) 2016-02-11
WO2016024691A1 (en) 2016-02-18
KR102274393B1 (ko) 2021-07-08
AU2015302568B2 (en) 2018-03-08
EP3179895A1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9140A (ko) 진공청소기
KR102030103B1 (ko) 휴대형 전기기구
KR102010940B1 (ko) 휴대형 전기기구
TWI741387B (zh) 風扇馬達及包含該風扇馬達的真空吸塵器
CN108953229B (zh) 送风装置以及吸尘器
JP6382122B2 (ja)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掃除機
WO2011027519A1 (ja) 電動送風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2008045557A (ja) ファン−モータアセンブリ用インサート
CN113775545A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CN111742148A (zh) 电动鼓风机、电动吸尘器以及手干燥装置
US20220341432A1 (en) Blower
CN215521345U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KR102396076B1 (ko) 로봇 청소기 팬 조립체 및 로봇 청소기
CN112814947A (zh) 送风装置及吸尘器
JP2016130453A (ja) 電動送風機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掃除機
JP2020018577A (ja) クリーナ
CN110680229B (zh) 电动风机和搭载其的电动吸尘器
CN111306079B (zh) 送风装置和吸尘器
CN209733852U (zh) 马达、送风装置以及吸尘器
KR20070078957A (ko) 전동송풍기 및 전기청소기
KR20150141796A (ko) 청소기
JP3788912B2 (ja) 電動送風機及び電気掃除機
US20240209865A1 (en) Electric blower and cleaning apparatus
WO2023029426A1 (zh) 一种电风机及清洁设备
WO2022202273A1 (ja) 電動送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