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796A - 청소기 - Google Patents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796A
KR20150141796A KR1020140070303A KR20140070303A KR20150141796A KR 20150141796 A KR20150141796 A KR 20150141796A KR 1020140070303 A KR1020140070303 A KR 1020140070303A KR 20140070303 A KR20140070303 A KR 20140070303A KR 20150141796 A KR20150141796 A KR 20150141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axial direction
return channel
motor
dischar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1796A/ko
Publication of KR20150141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모터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개시한다. 청소기는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가 마련되는 리턴 채널,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모터 및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모터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는 냉각핀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소기{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모터의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흡입한 후,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여 수거하고, 정화된 공기는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그 형태별로 본체와 흡입노즐이 분리되어 소정의 관으로 연결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과, 흡입노즐과 본체가 하나로 마련되는 업라이트(Up-right)방식으로 구별된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영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가 각광받고 있다.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써 소비전력이 낮고, 높은 효율을 가지는 고출력 모터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BLDC모터와 같은 고출력 모터를 사용함에 따라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대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모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흡입유닛의 내부에 방열 구조물을 설치한다. 이 경우, 청소기의 내부 구조가 복잡해지고, 방열 구조물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 확보로 인해 흡입유닛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별도의 방열 구조물 없이 모터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의 슬림화 내지 컴팩트화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가 마련되는 리턴 채널,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모터 및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모터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는 냉각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및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배출유로의 출구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핀은 상기 배출유로의 출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날개의 연장선(L)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는 상기 냉각핀의 일 면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은 상기 리턴 채널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바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리턴 채널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모터에 대한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 1지지유닛 및 제 2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지지유닛 및 상기 제 2지지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청소기는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유닛은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가 마련되는 리턴 채널,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대한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모터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에는 상기 모터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는 냉각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리턴 채널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냉각핀이 형성되는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방사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지지유닛의 바디는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Y)으로 상기 배출유로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및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배출유로의 출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날개의 연장선(L)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별도의 방열 구조물 없이 지지유닛에 냉각핀을 배치함으로써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의 과열을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방열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 확보가 불필요하므로 청소기의 슬림화 내지 컴팩트화가 가능하다.
지지유닛에 냉각핀을 배치함으로써 리턴 채널에 마련되는 배출유로를 연장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흡입유닛의 흡입력 상승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 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 및 먼지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냉각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청소기의 종류 내지 형상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다. 일 예로써,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청소기는 캐니스터(Canister)타입의 청소기, 업라이트(Up-right)타입의 청소기 및 로봇 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로봇 청소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는 하우징(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0)은 전방에 형성되는 제 1하우징(400)과, 제 1하우징(40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 2하우징(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하우징(400)과 제 2하우징(500)의 사이에는 제 1하우징(400)과 제 2하우징(500)을 연결시키는 연결부재(6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2하우징(500)에는 먼지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집진 유닛(530)이 결합될 수 있다. 집진 유닛(530)은 먼지를 흡입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유닛(100)과, 흡입된 먼지를 저장하는 집진통(510)을 포함할 수 있다.
집진통(5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마련되는 파지부(511)가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511)를 파지하여 집진통(510)을 회전시켜 제 2하우징(500)으로부터 집진통(510)을 분리할 수 있다. 집진통(510)을 분리하여 사용자는 집진통(510) 내의 누적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제 2하우징(500)의 측면에는 본체를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본체의 주행을 위한 구동휠(540)과, 본체의 주행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휠(540)은 제 2하우징(500)의 양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하우징(400)에는 바닥의 먼지를 쓸어 담도록 구성되는 브러시 유닛(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하우징(400)의 전면부에는 청소기(1)의 주행 시, 청소기(1)가 벽면에 부딪혀 발생하는 소음과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범퍼(70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범퍼(700)에는 별도의 완충부재(710)가 결합될 수 있다.
제 1하우징(400)의 상면에는 진입 차단 센서(720)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진입 차단 센서(720)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소정의 구간에 청소기(1)가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진입 차단 센서(720)는 제 1하우징(400)의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 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제 1하우징과 제 2하우징의 외측 하우징 및 먼지통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하우징(500)의 내측에는 본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유닛(550)이 결합될 수 있다. 전원유닛(550)은 배터리(미도시)와, 메인보드(551)와, 메인보드(551)의 상측에 위치하며 청소기(1)의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유닛(550)은 집진 유닛(53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터리(미도시)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 배터리로 마련되며, 본체가 청소 과정을 완료하고 도킹스테이션(미도시)에 결합된 경우 도킹스테이션(미도시)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된다.
집진통(510)을 제거하면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통(510) 내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의 작동으로 인하여 집진통(510)에 먼지가 누적되고, 사용자는 집진통(510)을 분리하여 먼지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흡입 유닛 하우징(미도시)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집진통(51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휠(540)은 집진통(510)과 흡입유닛(100)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휠(540)은 제 1구동휠(541)과 제 2구동휠(5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구동휠(541)은 흡입유닛(100)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 2구동휠(542)은 집진통(51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통(510), 흡입유닛(100) 및 구동휠(540)은 본체의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집진통(510), 흡입유닛(100) 및 구동휠(540)은 일직선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흡입유닛(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는 외부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임펠러(IMPELLER)(110), 임펠러 커버(IMPELLER COVER)(120) 및 리턴 채널(RETURN CHANNEL)(130)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커버(120)에는 흡기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축(axis) 주위를 회전 가능한 임펠러(110)는 임펠러 커버(12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11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임펠러(110)는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는 서로 마주하도록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 사이에는 복수의 회전날개(113)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회전날개(113)의 상면은 복수의 회전날개(113) 상부에 위치하는 제 1플레이트(111)에 결합되고, 복수의 회전날개(113)의 하면은 복수의 회전날개(113) 하부에 위치하는 제 2플레이트(112)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플레이트(111)에는 임펠러 커버(120)의 흡기구(121)에 대응하는 개구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21)를 통과한 공기는 개구홀(114)을 거쳐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2플레이트(112)에는 모터축(141)의 일 단부가 고정된다. 따라서, 제 1플레이트(111), 제 2플레이트(112) 및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모터축(141)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서로 이격되도록 제 1플레이트(111) 및 제 2플레이트(112)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전날개(113)는 유로(115)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홀(114)을 통과하여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115)를 따라 이동하여 리턴 채널(130)에 형성되는 배출유로(161)로 전달된다.
임펠러(110)는 반경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바디(BODY) 및 블레이드(BLADE)를 포함하는 3D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1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며,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고, 임펠러 커버(120)와 결합하여 내부에 임펠러(110)를 수용할 수 있는 임펠러 수용공간(134)을 형성할 수 있다.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에 직결될 수 있다.
리턴 채널(130)은 이너 프레임(INNER FRAME)(131) 및 아우터 프레임(OUTER FRAME)(132)을 포함할 수 있다.
리턴 채널(130)은 임펠러(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이너 프레임(131)의 상면에는 임펠러(110)가 안착되는 안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33)는 임펠러 커버(120)를 향하여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33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33a)는 안착부(13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10)는 돌출부(133a)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안착부(133)에 안착될 수 있다.
돌출부(133a)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133a)는 이너 프레임(131)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3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주면을 따라 이너 프레임(131)의 외측에 위치하고, 임펠러 커버(120)와 결합하여 임펠러(110)를 수용하는 임펠러 수용공간(13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31)과 아우터 프레임(13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리턴 채널(130)에는 복수의 날개(16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긴 배출유로(161)를 형성할 수 있고, 흡입유닛(100)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리턴 채널(13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는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는 서로 이격되어 이너 프레임(131) 및 아우터 프레임(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161)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유로(161)는 입구(137) 및 출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입구(137)를 통해 배출유로(16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를 향하는 배출유로(16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는 배출유로(16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출구(135)를 통해 흡입유닛(100)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배출유로(16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향할수록 복수의 날개(160) 사이의 이격 정도가 커질 수 있다. 즉, 출구(135)에 가까워질수록 배출유로(161)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는 제 1면(162) 및 제 2면(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16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과 마주하고,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 1면(162)은 제 1면(162)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시작점(M)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63)은 제 2면(163)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시작점(N)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63)의 시작점(N)은 제 1면(162)의 시작점(M)과 함께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의 제 1면(162)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날개(160)의 제 2면(163)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의 제 1면(162)은 돌출부(133a)의 외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면(162)의 시작점(M)은 이너 프레임(131)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돌출부(133a)의 외면에도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는 제 1면(162)의 시작점(M) 및 제 2면(163)의 시작점(N)을 연결하는 연결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가 기울어진 방향은 임펠러(110)의 회전방향과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가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날개(16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제 1방향(H)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I)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
임펠러 커버(120)는 가이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122)는 임펠러(110)의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122)는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유로(161)의 입구(137)로 도입되기 전까지 임펠러(110) 및 리턴 채널(130) 사이에 형성되는 스페이스(191)에 머무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122)는 임펠러 커버(120)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임펠러(110)에 마련되는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부(122)를 따라 리턴 채널(130)에 마련되는 배출유로(161)로 도입된다.
가이드부(122)를 기준으로 공기의 이동방향이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구홀(114)을 통과하여 임펠러(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115)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고,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는 가이드부(122)에 충돌하여 배출유로(161)를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한다.
하방을 향하는 가이드부(122)의 일 단부는 아우터 프레임(132)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유닛(100)은 임펠러(110)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0)는 BLDC모터, DC모터 및 AC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0)는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40)는 이너 프레임(13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모터(140)는 임펠러(110)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140)는 모터축(141)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축(141)의 일 단부는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에 연결되고, 모터축(141)의 다른 단부는 모터(140)에 연결된다.
이너 프레임(131)의 안착부(133)에는 모터축(141)의 일 단부가 이너 프레임(131) 상부에 위치하는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에 연결되도록 모터축관통홀(13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은 흡입유닛(100)을 뒤집어 놓은 모습(역방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리턴 채널(130)의 상방은 배출유로(161)의 입구(137)측을 가리키고, 리턴 채널(130)의 하방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측을 가리킨다. 이하, 상하관계는 흡입유닛(100)의 정방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닛(100)은 인쇄회로기판(210)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모터(140)에 대한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모터(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리턴 채널(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210)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와 인접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배출유로(161)를 막지 않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리턴 채널(130)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임펠러(110)의 반경방향(Y)으로 배출유로(16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은 리턴 채널(130)에 마련되는 배출유로(161)를 막지 않도록 리턴 채널(130)의 이너 프레임(131)과 동일하거나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리턴 채널(130)의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리턴 채널(130)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바디(201) 및 냉각핀(20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01)는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201)는 배출유로(161)를 막지 않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201)는 리턴 채널(130)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바디(201)는 임펠러(110)의 반경방향(Y)으로 배출유로(16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201)는 리턴 채널(130)에 마련되는 배출유로(161)를 막지 않도록 리턴 채널(130)의 이너 프레임(131)과 동일하거나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냉각핀(202)은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적어도 일부를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리턴 채널(130)에 마련되는 복수의 날개(160)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에 대응하는 복수의 날개(160)의 연장선(L)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와 인접하도록 지지유닛(20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바디(201)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임펠러(110)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바디(201)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바디(201)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바디(201)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임펠러(110)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도록 바디(201)에 방사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 및 모터(140)에서 발생한 열은 바디(201)를 거쳐 냉각핀(202)에 전달될 수 있다.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로 배출된 공기는 냉각핀(20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각핀(202)에 전달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를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여 흡입유닛(100)의 흡입력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바디(20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인쇄회로기판(210) 및 모터(140)의 발열량에 따라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의 전부 또는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리턴 채널(13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냉각핀(202)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리턴 채널(13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냉각구조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를 폐쇄하지 않도록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의 바디(201)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냉각핀(202)은 바디(201)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방사상으로 바디(201)의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의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냉각핀(202)은 배출유로(161)의 출구(135)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핀(202)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냉각효율은 증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지지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10)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는 냉각핀(202)의 일 면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의 바디(201)에서 바디(201)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냉각핀(202)의 일 면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접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모터(140) 및 인쇄회로기판(210)을 지지하도록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리턴 채널(130)의 아우터 프레임(132)은 냉각핀(202)이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접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하방을 향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즉, 리턴 채널(130)의 하방을 향하는 아우터 프레임(132)의 일 단부는 지지유닛(200)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리턴 채널(1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은 모터(140)를 지지하도록 리턴 채널(130)의 내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200)의 바디(201)에서 바디(201)의 외측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에 접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리턴 채널(130)의 아우터 프레임(132)은 리턴 채널(130)의 하방을 향하여 더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턴 채널(130)의 하방을 향하는 아우터 프레임(132)의 일 단부는 인쇄회로기판(210)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냉각구조의 제 5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채널(130)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유닛(203,204)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유닛(203,204)은 제 1지지유닛(203) 및 제 2지지유닛(2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지지유닛(203) 및 제 2지지유닛(204)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할 수 있다. 제 1지지유닛(203)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지지유닛(204)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핀(202)은 제 1지지유닛(203) 및 제 2지지유닛(20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모터(140)와 마주하는 제 1지지유닛(203)의 냉각핀(202)은 아우터 프레임(132)의 내면을 향하도록 바디(20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2지지유닛(204)의 냉각핀(202)은 바디(201)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 2지지유닛(204)의 냉각핀(202)의 적어도 일부는 리턴 채널(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의 흡입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3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기(1)의 흡입유닛(100a)은 임펠러(110),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 및 케이싱(800)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110) 및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은 케이싱(80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임펠러(110) 및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케이싱(8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110)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은 제 1리턴 채널(130a) 및 제 2리턴 채널(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리턴 채널(130a)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임펠러(110)의 상방에 위치하고, 제 2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임펠러(11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리턴 채널(130a)은 임펠러(110)의 제 1플레이트(111)와 마주하고, 제 2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와 마주할 수 있다.
제 1리턴 채널(130a)에는 흡기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리턴 채널(130a)의 흡기구(121)를 통과한 공기는 제 1플레이트(111)에 형성되는 개구홀(114)을 거쳐 임펠러(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은 임펠러(110)에 직결될 수 있다.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은 프레임(131a) 및 복수의 날개(160a,16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리턴 채널(130a)은 임펠러(1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임펠러(110)의 제 1플레이트(111)와 마주하는 제 1리턴 채널(130a)의 프레임(131a)의 일 면에는 임펠러(110)가 안착되는 제 1안착부(81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안착부(810a)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 1돌출부(8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돌출부(820a)는 제 1안착부(810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10)는 임펠러(110)의 제 1플레이트(111)가 제 1돌출부(820a)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 1안착부(810a)에 안착될 수 있다.
제 1돌출부(820a)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 1돌출부(820a)는 프레임(131a)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 2리턴 채널(130b)은 임펠러(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와 마주하는 제 2리턴 채널(130b)의 프레임(131a)의 일 면에는 임펠러(110)가 안착되는 제 2안착부(81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안착부(810b)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제 2돌출부(8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돌출부(820b)는 제 2안착부(810b)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10)는 임펠러(110)의 제 2플레이트(112)가 제 2돌출부(820b)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 2안착부(810b)에 안착될 수 있다.
제 2돌출부(820b)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 2돌출부(820b)는 프레임(131a)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케이싱(800)은 프레임(131a)의 외주면을 따라 프레임(131a)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케이싱(800)은 내부에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 및 임펠러(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프레임(131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800)은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향하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케이싱(800)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케이싱(800)은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의 프레임(131a)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케이싱(800)은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의 프레임(131a)과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에는 복수의 날개(160a,160b)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160b)는 제 1리턴 채널(130a)에 배치되는 제 1날개(160a) 및 제 2리턴 채널(130b)에 배치되는 제 2날개(16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160b)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복수의 리턴 채널(130a,130b)의 프레임(131a) 및 케이싱(800)의 사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날개(160a)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제 1리턴 채널(130a)의 프레임(131a) 및 케이싱(800)의 사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날개(160b)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을 따라 제 2리턴 채널(130b)의 프레임(131a) 및 케이싱(800)의 사이에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날개(160a,160b)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긴 배출유로(161a,161b)를 형성할 수 있고, 흡입유닛(100a)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160b)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리턴 채널(130a,130b)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날개(160a,160b)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경사를 형성하도록 프레임(131a) 및 케이싱(8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160b)는 서로 이격되어 프레임(131a) 및 케이싱(8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격된 복수의 날개(160a,160b)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161a,161b)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서로 이격된 제 1날개(160a)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제 1배출유로(161a)를 형성하고, 서로 이격된 제 2날개(160b)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제 2배출유로(161b)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리턴 채널(130a)에 형성되는 흡기구(121)를 통해 임펠러(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 1배출유로(161a) 및 제 2배출유로(16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임펠러(110)에 형성되는 유로(115)는 제 1배출유로(161a) 및 제 2배출유로(161b)로 분기될 수 있다. 제 1배출유로(161a)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제 2배출유로(161b)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 1배출유로(161a) 및 제 2배출유로(161b)는 각각 입구(137a,137b) 및 출구(135a,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배출유로(161a)의 입구(137a)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입구(137a)를 통해 제 1배출유로(161a)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제 1배출유로(161a)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배출유로(161a)의 출구(135a)는 제 1배출유로(161a)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출구(135a)를 통해 흡입유닛(100a)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제 1배출유로(161a)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배출유로(161b)의 입구(137b)는 임펠러(110)를 통과한 공기가 입구(137b)를 통해 제 2배출유로(161b)로 유입될 수 있도록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제 2배출유로(161b)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배출유로(161b)의 출구(135b)는 제 2배출유로(161b)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출구(135b)를 통해 흡입유닛(100a)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제 2배출유로(161b)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160b)는 제 1면(162) 및 제 2면(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날개(160a)의 제 1면(162)은 제 1리턴 채널(130a)의 프레임(131a)의 외면과 마주하고, 제 1날개(160a)의 제 2면(163)은 케이싱(800)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제 2날개(160b)의 제 1면(162)은 제 2리턴 채널(130b)의 프레임(131a)의 외면과 마주하고, 제 2날개(160b)의 제 2면(163)은 케이싱(800)의 내면과 마주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160b)의 제 1면(162)은 제 1리턴 채널(130a) 및 제 2리턴 채널(130b)의 프레임(131a)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날개(160a,160b)의 제 2면(163)은 케이싱(80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160b)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제 1날개(160a) 및 제 2날개(160b)의 경사방향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160a,160b)가 기울어진 방향은 임펠러(110)의 회전방향과 관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임펠러(110)가 제 1방향(H)을 향하여 회전하는 경우, 제 1날개(160a) 및 제 2날개(160b)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에 대하여 제 1방향(H)과 반대방향인 제 2방향(I)을 따라 기울어질 수 있다.
제 1배출유로(161a)의 입구(137a)를 형성하는 제 1날개(160a) 및 제 2배출유로(161b)의 입구(137b)를 형성하는 제 2날개(160b)는 임펠러(110)의 반경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K)을 향하여 집결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배출유로(161a)의 입구(137a)를 형성하는 제 1날개(160a) 및 제 2배출유로(161b)의 입구(137b)를 형성하는 제 2날개(160b)는 가상선(K) 상의 임의의 점을 향하여 집결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 1날개(160a) 및 제 2날개(160b)는 대칭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 1날개(160a) 및 제 2날개(160b)는 임펠러(110)의 반경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K)을 중심으로 대칭관계에 있을 수 있다.
다만, 제 1날개(160a) 및 제 2날개(160b)의 관계는 대칭관계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1날개(160a) 및 제 2날개(160b)는 서로 상이한 경사도를 가질 수도 있다.
흡입유닛(100a)은 임펠러(110)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140)는 제 2리턴 채널(130b)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140)는 제 2리턴 채널(130b)의 프레임(131a)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 흡입유닛(100a)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제 1리턴 채널(130a)에 마련되는 흡기구(121)를 통과한 공기는 개구홀(114)을 거쳐 임펠러(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임펠러(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유로(115)를 따라 이동한다.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는 제 1리턴 채널(130a)에 마련되는 제 1배출유로(161a) 및 제 2리턴 채널(130b)에 마련되는 제 2배출유로(161b)로 전달된다. 즉,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제 1배출유로(161a)를 따라 이동하고, 유로(115)를 통과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 2배출유로(161b)를 따라 이동한다. 제 1배출유로(161a)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상방을 향하여 토출되고, 제 2배출유로(161b)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임펠러(110)의 축방향(X)으로 하방을 향하여 토출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청소기 100,100a : 흡입유닛
110 : 임펠러 111 : 제 1플레이트
112 : 제 2플레이트 113 : 회전날개
114 : 개구홀 115 : 유로
120 : 임펠러 커버 121 : 흡기구
122 : 가이드부 130 : 리턴 채널
130a : 제 1리턴 채널 130b : 제 2리턴 채널
131 : 이너 프레임 132 : 아우터 프레임
133 : 안착부 133a : 돌출부
134 : 임펠러 수용공간 135 : 출구
136 : 모터축관통홀 137 : 입구
140 : 모터 141 : 모터축
160 : 날개 160a : 제 1날개
160b : 제 2날개 161 : 배출유로
161a : 제 1배출유로 161b : 제 2배출유로
162 : 제 1면 163 : 제 2면
191 : 스페이스 200 : 지지유닛
201 : 바디 202 : 냉각핀
203 : 제 1지지유닛 204 : 제 2지지유닛
210 : 인쇄회로기판 300 : 하우징
400 : 제 1하우징 500 : 제 2하우징
510 : 집진통 511 : 파지부
530 : 집진 유닛 540 : 구동휠
541 : 제 1구동휠 542 : 제 2구동휠
550 : 전원유닛 551 : 메인보드
600 : 연결부재 700 : 범퍼
710 : 완충부재 720 : 진입 차단 센서
800 : 케이싱 810a : 제 1안착부
810b : 제 2안착부 820a : 제 1돌출부
820b : 제 2돌출부 131a : 프레임
164 : 연결부

Claims (14)

  1.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가 마련되는 리턴 채널;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모터; 및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모터를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는 냉각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복수의 날개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및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배출유로의 출구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상기 배출유로의 출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날개의 연장선(L)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는 상기 냉각핀의 일 면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면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은 상기 리턴 채널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바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리턴 채널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대한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유닛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제 1지지유닛 및 제 2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지지유닛 및 상기 제 2지지유닛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공기를 본체 내부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유닛은,
    축 주위를 회전 가능한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이동하는 배출유로가 마련되는 리턴 채널;
    상기 임펠러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대한 구동 전압을 인가하도록 상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 및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모터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에는 상기 모터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연장시키는 냉각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리턴 채널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고,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상기 냉각핀이 형성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Y)의 외측을 향하도록 상기 바디에 방사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 채널은,
    이너 프레임;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이격되도록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이너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지지유닛의 바디는 상기 임펠러의 반경방향(Y)으로 상기 배출유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임펠러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및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임펠러의 축방향(X)으로 상기 배출유로의 출구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날개의 연장선(L)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KR1020140070303A 2014-06-10 2014-06-10 청소기 KR20150141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03A KR20150141796A (ko) 2014-06-10 2014-06-10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03A KR20150141796A (ko) 2014-06-10 2014-06-10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796A true KR20150141796A (ko) 2015-12-21

Family

ID=55083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303A KR20150141796A (ko) 2014-06-10 2014-06-10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17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768A1 (ko) * 2016-12-23 2018-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20210136614A (ko) 2020-05-08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768A1 (ko) * 2016-12-23 2018-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KR20180074045A (ko) * 2016-12-23 2018-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CN108697285A (zh) * 2016-12-23 2018-10-23 Lg电子株式会社 吸尘器的吸嘴
AU2017382967B2 (en) * 2016-12-23 2019-11-07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RU2711159C1 (ru) * 2016-12-23 2020-01-1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CN108697285B (zh) * 2016-12-23 2021-01-22 Lg电子株式会社 吸尘器的吸嘴
US11457781B2 (en) 2016-12-23 2022-10-04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cleaner
KR20210136614A (ko) 2020-05-08 2021-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어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0633B2 (en) Cleaning device
US10098515B2 (en) Vacuum cleaner
US9144358B2 (en) Motor, fan and dirt separation means arrangement
CN101822505B (zh) 清洁器械
US8657905B2 (en)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EP2581019B1 (en)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KR102195707B1 (ko) 청소기
WO2012103053A2 (en) Diffuser for a vacuum cleaner motor-fan assembly
US11953016B2 (en) Blower
EP3209180B1 (en) Vacuum cleaner with motor between separation stages
KR20150141796A (ko) 청소기
CN105848544B (zh) 清洁设备
JP6152044B2 (ja) クリーナ
EP3209181A1 (en) Vacuum cleaner with motor between separation stages
KR102171874B1 (ko) 청소기
KR20030059653A (ko) 청소기용 원심송풍기
KR20050019275A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모터 냉각구조
JP201601042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